KR20070058901A -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901A
KR20070058901A KR1020050117743A KR20050117743A KR20070058901A KR 20070058901 A KR20070058901 A KR 20070058901A KR 1020050117743 A KR1020050117743 A KR 1020050117743A KR 20050117743 A KR20050117743 A KR 20050117743A KR 20070058901 A KR20070058901 A KR 20070058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nsor
sensor holder
sensor
holder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7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8901A/ko
Priority to CNA200610002771XA priority patent/CN1979104A/zh
Publication of KR20070058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31Sensor arrangements
    • F25B2313/0315Temperature sensors near the outdoo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2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at the discharge side of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6Temperatures of a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충격이나 지속적인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온도센서가 설치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온도센서 고정장치와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온도센서 고정장치는 센서홀더와, 센서홀더에 끼워지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고정부재는 온도센서의 일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고리구역과, 온도센서가 센서홀더에 밀착되게 하기 위한 밀착구역과, 고정부재를 센서홀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역을 구비한다. 밀착구역에는 측방으로 절곡된 밀착부가 형성되어 감지부재를 센서홀더의 내면에 밀착되게 고정시킨다. 이러한 온도센서 고정장치는 센서홀더가 공기조화기의 냉매관에 결합되어 온도센서가 공기조화기에서 냉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Temperature Sensor Fix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도센서가 고정부재의 고리구역의 입구부를 통해 고리구역에 끼워지는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온도센서가 고정부재의 고리구역 안에서 90도 각도로 돌려져서 온도센서가 고리구역의 입구부로 빠져나가지 않게 위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온도센서와 고정부재가 센서홀더에 끼워진 것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고정부재의 상단부가 센서홀더의 외면에 밀착되게 구부려져서 고정부재가 센서홀더에 고정된 것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보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 고정장치가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냉매관 20: 온도센서 고정장치
30: 센서홀더 40: 온도센서
41: 감지부재 42: 보호튜브
50: 고정부재 60: 고리구역
70: 밀착구역 71: 밀착부
72: 걸림부 80: 고정구역
본 발명은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충격이나 반복적인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온도센서가 설치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 전자 팽창장치와 실내 열교환기, 그리고 상기 장치들을 연결하여 폐회로를 형성하게 하는 다수의 냉매관을 구비하여 폐회로를 순환하는 냉매가 실내 및 실외 열교환기에서 기화 또는 액화됨으로써 이루어지는 흡열작용과 발열작용을 이용하여 주위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게 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이 설정된 온도에서 유지되도록 장치들을 제어하고 압축기의 과부하나 오작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몇몇 냉매관에는 온도센서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온도센서가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한다.
냉매관에 온도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종래 공기조화기의 온도센서 고정장치의 일례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25068호가 있다.
상기 종래의 온도센서 고정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되고 단면이 일정직경을 가진 원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와, 결합부의 개구부의 반대쪽에서 결합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하여 형성된 지지부로 구성되어 결합부가 탄성적으로 벌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온도센서를 지지부에 끼워서 고정시킨 후에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냉매관을 감싸도록 개구부를 통해 결합부를 냉매관에 밀어 넣으면 온도센서 고정장치가 냉매관에 설치되어 온도센서가 냉매관의 외면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냉매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온도센서 고정장치는 단지 결합부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냉매관에 고정되어 온도센서를 지지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여 결합부의 탄성력이 약해지게 되면 온도센서가 냉매관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없게 되어 냉매관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온도센서 고정장치는 온도센서를 상하방향으로는 지지할 수 없는 구조를 가져서 온도센서의 설치와 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온도센서 고정장치는 압축기의 작동에 따른 지속적인 진동을 받게 됨에 따라 결합부의 탄성력이 약화되어서 냉매관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온도센서 고정장치는 냉매관의 직경에 맞추어 결합부의 직경이 정해지는 구조를 가져서 냉매관의 직경에 따라 여러 크기의 온도센서 고정장치를 제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온도센서 고정장치는 온도센서가 지지부에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서 냉매관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가 온도센서에 침투되어 온도센서를 고장나게 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이나 지속적인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온도센서가 설치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경이 다른 냉매관들에 공통으로 설치할 수 있는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도센서에 물이 침투하지 않게 배치할 수 있는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 고정장치는, 온도센서를 수용하기 위한 센서홀더와, 상기 센서홀더에 끼워져서 상기 온도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온도센서의 일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고리구역과,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센서홀더에 밀착되게 하기 위한 밀착 구역과,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센서홀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센서는 감지부재와, 상기 감지부재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보호튜브와, 상기 보호튜브를 통해 상기 감지부재와 연결되는 전선을 구비하며, 상기 고리구역에는 상기 보호튜브의 두께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입구부와, 상기 보호튜브의 폭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수용부가 마련된다.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센서홀더와의 사이에 일정 갭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센서홀더에 수용되며, 상기 고리구역에서 연장한 상기 밀착구역에는 상기 갭에 대응하는 길이로 측방으로 절곡된 밀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재를 상기 센서홀더의 내면에 밀착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구역은 상기 센서홀더의 바깥으로 빠져 나오도록 상기 밀착구역으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어서, 상기 밀착구역이 상기 센서홀더에 끼워져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홀더의 외면에 밀착되게 구부려져서 고정되게 된다.
상기 고정구역의 단부는 말아져서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역을 용이하게 상기 센서홀더의 외면에 밀착되게 구부리거나 펼 수 있게 한다.
상기 고리구역은 그 내주연이 그 외주연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되도록 형성되거나 전체적으로 수지재로 코팅되어 상기 보호튜브 및 전선의 손상을 방지하게 한다.
상기 밀착구역의 하단에는 상기 밀착구역의 두께가 더 두껍게 되게 하는 걸림부가 마련되어 상기 밀착구역이 상기 센서홀더에 끼워질 때 상기 걸림부가 상기 센서홀더의 단부에 걸려져서 위치 고정되게 한다.
상기 센서홀더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벌어져서 형성된 플레어부가 마련되어서,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센서홀더에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끼워지게 하는 표시부로 기능하며, 상기 밀착구역의 걸림부는 상기 플레어부에 걸려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에 온도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온도센서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 고정장치는 상기 냉매관의 외면에 결합되는 센서홀더와, 상기 온도센서와 함께 상기 센서홀더에 끼워지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온도센서의 보호튜브가 끼워지는 고리구역과, 상기 고리구역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센서홀더에 밀착되게 측방향으로 절곡된 밀착부가 형성된 밀착구역과, 상기 센서홀더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도록 상기 밀착구역에서 직선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상기 센서홀더의 외면에 밀착되게 구부려지는 고정구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센서와 고정부재는 상기 센서홀더에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결합되게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도센서 고정장치(20)는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냉매관(10)(물론, 다른 용도에 사용되는 배관일 수도 있음)에 결합되는 센서홀더(30)와, 온도센서(40)를 센서홀더(30)에 움직이거나 빠지지 않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0) 를 포함한다.
센서홀더(30)는 냉매관(10)과 동일하게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냉매관(10)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센서홀더(30)는 물론 용접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센서홀더(30)는 센서홀더(30)가 냉매관(10)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냉매관(10)과 동일하게 동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며, 그 하단에는 외측으로 벌어져서 형성된 플레어(flare)부(31)가 마련된다. 이 플레어부(31)는 온도센서(40)와 고정부재(50)가 센서홀더(30)에 하부에서 상부의 방향으로 끼워지도록 방향을 정해주는 표시기능을 하게 되며, 또한 이 플레어부(31)에 고정부재(50)의 하단부가 걸려져서 고정부재(50)가 센서홀더(30)에 결합될 때 더 이상 상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하게 된다.
온도센서(4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센서홀더(30)를 통해서 전해지는 냉매관(10)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재(41)와, 감지부재(41)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보호튜브(42)와, 보호튜브(42)를 통해 감지부재(41)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전선(43)을 구비한다.
보호튜브(42)는 비전도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보호튜브(42)의 하단부(42a)는 한 쌍의 전선(43)을 감싸도록 두께보다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형상을 하게 된다.
고정부재(50)는 전체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진 금속재질로 만들어져서 쉽게 구부리거나 펼 수 있게 되며, 온도센서(40)의 일단부(정확하게는 보호튜브(42)의 하단부(42a))를 수용하기 위한 고리구역(60)과, 온도센서(40)(정확하게는 감지부재(41))가 센서홀더(30)에 밀착되게 하기 위한 밀착구역(70)과, 고정부재(50)가 센서홀더(30)에 고정되게 하기 위한 고정구역(80)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환형상으로 형성된 고리구역(60)은 보호튜브(42)의 하단부(42a)를 끼워지게 하는 입구를 형성하는 입구부(61)와, 입구부(61)를 통해 들어온 보호튜브(42)의 하단부(42a)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62)를 구비한다.
보호튜브(42)의 하단부(42a)가 고리구역(60)에 끼워지게 하기 위해 입구부(61)의 폭은 보호튜브(42)의 하단부(42a)의 폭보다 더 크고, 수용부(62)의 직경은 보호튜브(42)의 하단부(42a)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고리구역(60)은 또한 내주연이 날카롭지 않게 되도록 내주연의 주위에 중첩부(63)가 형성된 구조(도 2 참조)를 가져서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진 보호튜브(42)의 하단부(42a)가 고리구역(60)의 수용부(62)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속적인 진동에 의해 보호튜브(42)와 전선(43)이 고리구역(60)의 내주연과 접촉하여 찢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밀착구역(70)은 고리구역(60)에서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그 중간지점에는 온도센서(40)의 감지부재(41)를 밀어서 감지부재(41)가 센서홀더(3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하는 밀착부(71)가 마련된다.
밀착구역(70)의 하단에는 밀착구역(7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 걸림부(72)가 마련되어(도 3 참조) 밀착구역(70)이 온도센서(40)와 함께 센 서홀더(30)에 끼워질 때 이 걸림부(72)가 센서홀더(30)의 하단에 형성된 플레어부(31)에 걸려져서 더 이상 상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위치 고정되게 한다.
고정구역(80)은 고정부재(50)가 센서홀더(30)에 결합될 때 센서홀더(30)의 바깥으로 빠져 나오도록 밀착구역(70)에서 더 연장하여 형성되며, 그 단부는 말아져서 형성되어 고정구역(80)을 용이하게 센서홀더(30)의 외면에 밀착되게 구부리거나 펼 수 있게 하는 손잡이(81)로 이용된다.
다음에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온도센서 고정장치(20)에 의해 온도센서(40)가 센서홀더(30)에 고정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온도센서(40)가 고정부재(50)의 고리구역(60)에 끼워지는 것을 보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센서(40)의 보호튜브(42)의 하단부(42a)는 그 두께가 고리구역(60)의 입구부(61)의 폭보다 작고, 그 폭이 고리구역(60)의 수용부(62)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튜브(42)의 하단부(42a)의 두께부분이 고리구역(60)의 입구부(61)를 통과하도록 하여 온도센서(42)의 보호튜브(42)가 고리구역(60)의 수용부(62)에 끼워진 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40)를 90도 각도로 돌리면 보호튜브(42)의 폭이 고리구역(60)의 입구부(61)와 마주하게 됨으로써 보호튜브(42)(더 정확하게는 보호튜브(42)의 하단부(42a))가 고리구역(60)의 수용부(62) 안에서 움직이지 않게 위치 고정되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튜브(42)가 고리구역(60)의 수용부(62) 안에서 움직이지 않게 끼워진 상태에서는 온도센서(40)의 감지부재(41)가 고정부재 (50)의 밀착구역(70)의 밀착부(71)와 접촉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다음에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고정부재(50)가 온도센서(40)와 함께 센서홀더(30)에 결합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온도센서(40)의 보호튜브(42)가 고정부재(50)의 고리구역(60)에 끼워져서 온도센서(40)가 고정부재(5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부재(50)를 센서홀더(30)의 하단을 통해 상향으로 끼우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50)의 밀착구역(70)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부(72)가 센서홀더(30)의 플레어부(31)에 걸려지게 되면서 고정부재(50)의 밀착구역(70)은 센서홀더(3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반면에, 고정부재(50)의 고정구역(80)은 센서홀더(30)의 상단에서 바깥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렇게 고정부재(50)를 센서홀더(30)에 끼우는 동작이 진행될 때 고정부재(50)는 두께가 매우 얇고 폭이 작은 구조를 갖기 때문에 고정부재(50)의 고정구역(80)이 쉽게 휘어지면서 센서홀더(30)를 관통하게 된다. 물론, 고정부재(50)의 고정구역(80)을 미리 약간 휘어진 상태로 변형시켜 놓고 고정부재(50)를 센서홀더(30)에 끼워지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밀착구역(70)이 센서홀더(3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밀착구역(70)의 밀착부(71)는 온도센서(40)의 감지부재(41)가 센서홀더(30)의 내면에 밀착되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구역(70)에서 밀착부(71)가 밀착구역(70)의 측방으로 절곡되는 길이(L1)는 온도센서(40)의 감지부재(41)와 센서홀더(30)의 내 경 사이에 형성된 갭(G1)의 크기와 동일하게 됨으로써 밀착부(71)가 감지부재(41)를 센서홀더(30)의 내면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홀더(3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빠져나간 고정부재(50)의 고정구역(80)을 하향으로 구부려서 손잡이(81)가 센서홀더(30)의 외면에 밀착되게 하면 고정부재(50)가 센서홀더(30)에서 상하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게 고정되게 되며, 이에 따라 온도센서(40)는 냉매관(10)과 센서홀더(30)에 외부 충격이나 지속적인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센서홀더(3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조립작업을 역순으로 하게 되면 온도센서(40)는 간편하게 센서홀더(30)와 고정부재(50)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보인 것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50)는 고리구역(60)의 두께가 두껍게 되도록 고리구역(60)을 전체적으로 수지와 같은 재료로 코팅 처리하여 이루어진 코팅층(64)이 형성된 구조를 가져서, 보호튜브(42)의 하단부(42a)가 두께가 얇아서 날카롭게 형성된 고리구역(60)의 수용부(62)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속적인 진동에 의해 보호튜브(42)와 전선(43)이 고리구역(60)의 내주연과 접촉하여 찢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온도센서 고정장치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설치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에는 가스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2)와, 압축된 고온 고압의 가스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3)와, 응축기(3)가 외부공기와 열교환되도록 외부공기를 응축기(3)로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팬(4)과, 압축기(2)와 응축기(3)를 연결하는 다수의 냉매관(10)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 고정장치(20)는 온도를 감지하고자 하는 냉매관(10)에 설치되어 온도센서(4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 고정장치(20)는 공기조화기 이외에도 온도를 감지할 필요가 있는 다른 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설치위치는 냉매관 뿐만 아니라 다른 부품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에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는 센서홀더에 충격이나 지속적인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온도센서가 설치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서 온도센서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가 오작동 없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는 직경이 다른 냉매관들에 공통으로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다른 부품에도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서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는 온도센서를 센서홀더에 하향에서 상향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서 센서홀더를 따라 흘러내린 응축수가 온도센서의 보호튜브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온도센서의 오작동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온도센서를 수용하기 위한 센서홀더와, 상기 센서홀더에 끼워져서 상기 온도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온도센서의 일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고리구역과,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센서홀더에 밀착되게 하기 위한 밀착구역과,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센서홀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감지부재와, 상기 감지부재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보호튜브와, 상기 보호튜브를 통해 상기 감지부재와 연결되는 전선을 구비하며, 상기 고리구역에는 상기 보호튜브의 두께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입구부와, 상기 보호튜브의 폭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수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센서홀더와의 사이에 일정 갭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센서홀더에 수용되며, 상기 고리구역에서 연장한 상기 밀착구역에는 상기 갭에 대응하는 길이로 측방으로 절곡된 밀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재를 상기 센서홀더의 내면에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고정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역은 상기 센서홀더의 바깥으로 빠져 나오도록 상기 밀착구역으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어서, 상기 밀착구역이 상기 센서홀더에 끼워져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홀더의 외면에 밀착되게 구부려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역의 단부는 말아져서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역을 용이하게 상기 센서홀더의 외면에 밀착되게 구부리거나 펼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고정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구역의 내주연은 그 외주연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호튜브 및 전선의 손상을 방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고정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구역은 수지재로 코팅되어 상기 보호튜브 및 전선의 손상을 방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고정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구역의 하단에는 상기 밀착구역의 두께가 더 두껍게 되게 하는 걸림부가 마련되어 상기 밀착구역이 상기 센서홀더에 끼워질 때 상기 걸림부가 상기 센서홀더의 단부에 걸려져서 위치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고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홀더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벌어져서 형성된 플레어부가 마련되어서,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센서홀더에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끼워지게 하는 표시부로 기능하며, 상기 밀착구역의 걸림부는 상기 플레어부에 걸려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고정장치.
  10.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에 온도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온도센서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 고정장치는 상기 냉매관의 외면에 결합되는 센서홀더와, 상기 온도센서와 함께 상기 센서홀더에 끼워지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온도센서의 보호튜브가 끼워지는 고리구역과, 상기 고리구역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센서홀더에 밀착되게 측방향으로 절곡된 밀착부가 형성된 밀착구역과, 상기 센서홀더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도록 상기 밀착구역에서 직선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상기 센서홀더의 외면에 밀착되게 구부려지는 고정구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와 고정부재는 상기 센서홀더에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50117743A 2005-12-05 2005-12-05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070058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743A KR20070058901A (ko) 2005-12-05 2005-12-05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NA200610002771XA CN1979104A (zh) 2005-12-05 2006-01-25 温度传感器固定装置及具有该装置的空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743A KR20070058901A (ko) 2005-12-05 2005-12-05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901A true KR20070058901A (ko) 2007-06-11

Family

ID=38130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743A KR20070058901A (ko) 2005-12-05 2005-12-05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58901A (ko)
CN (1) CN19791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1047B2 (en) 2016-07-25 2020-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rmaldehyde detecting apparatus, and ai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JPWO2021124474A1 (ko) * 2019-12-18 2021-06-24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3691B2 (ja) * 2008-09-17 2013-01-0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温度センサの取付装置
CN101806633B (zh) * 2010-04-14 2011-08-31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隧道式灭菌干燥机的温度检测定位装置
JP6203076B2 (ja) * 2014-02-19 2017-09-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サーミスタ取り付け構造、サーミスタ引き出し方法および空気調和機
WO2016120929A1 (ja) * 2015-01-29 2016-08-04 株式会社芝浦電子 温度センサ
CN106556123A (zh) * 2015-09-25 2017-04-0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立式空调室内环温传感器固定夹及立式空调
CN105605754B (zh) * 2016-03-01 2018-09-14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管温探头组件以及空调
US11378464B2 (en) 2019-04-10 2022-07-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Temperature sensor clamping systems and methods
CN110579013B (zh) * 2019-10-21 2024-01-02 周本原 新型空调冷凝水回收组件
WO2023037472A1 (ja) * 2021-09-09 2023-03-16 株式会社芝浦電子 温度センサ
CN114216174B (zh) * 2021-12-03 2023-02-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及其控制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1047B2 (en) 2016-07-25 2020-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rmaldehyde detecting apparatus, and ai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JPWO2021124474A1 (ko) * 2019-12-18 2021-06-24
CN114761741A (zh) * 2019-12-18 2022-07-15 三菱电机株式会社 温度检测传感器固定装置以及压缩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9104A (zh)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8901A (ko)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US8474281B2 (en) Suspension bracket
JP2008020175A (ja) 温度センサー固定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AU2015212207B2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US10113916B2 (en) Temperature sensing apparatus for heat exchanger
EP2578953A1 (en) Outdoor unit bracket and outdoor unit comprising the same
US20060162179A1 (en) Dryer
KR100757938B1 (ko)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EP2098768A2 (en) Locking device for locking tube clamping collars
US3319657A (en) Coil freeze protection device
KR100757946B1 (ko)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1623841B1 (ko) 에어컨 배관용 행거
CN207423384U (zh) 感温固定装置、空调器和除湿机
JP7086296B2 (ja) 空調室内機用の取り付け用アセンブリ
KR20080006413A (ko)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0423979B1 (ko) 공기조화기
KR100786686B1 (ko) 배관 홀더와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N218936509U (zh) 空调室内机
KR20200050857A (ko) 금속 부품의 부식을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6042950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配管の取付装置
CN218724809U (zh) 一种温度检测组件和空调器
CN214618455U (zh) 燃油管和油气泵
US20180133528A1 (en) Fire sprinkler assembly including adjustable drop
KR200369350Y1 (ko)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
JP3395037B2 (ja) 高温流体配管の温度の高低表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