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895A - 키 패드와 그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키 패드와 그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895A
KR20070058895A KR1020050117728A KR20050117728A KR20070058895A KR 20070058895 A KR20070058895 A KR 20070058895A KR 1020050117728 A KR1020050117728 A KR 1020050117728A KR 20050117728 A KR20050117728 A KR 20050117728A KR 20070058895 A KR20070058895 A KR 20070058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layer
keypad
key
waveguide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4283B1 (ko
Inventor
정선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7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283B1/ko
Priority to US11/592,931 priority patent/US7572994B2/en
Priority to CN2006101631478A priority patent/CN1979710B/zh
Priority to EP06125436A priority patent/EP1793402A3/en
Publication of KR20070058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44Edge lighting of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56Diffuser; Uneven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Ref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01H2219/0621Optical fiber light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키 패드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과, 상면에 상기 키 버튼이 배치되고 그 내부로 진행하는 광의 일부를 해당 키 버튼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해서 하부 면에 형성된 반사 패턴을 갖는 도파로와, 상기 도파로의 하면 상에 배치된 하부 탄성층과, 상기 키 버튼과 상기 도파로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도파로의 상면 상에 배치된 상부 탄성층을 포함한다.
도파로, 광섬유, 키 패드

Description

키 패드와 그 제작 방법{KEY-PAD AND FABRICAT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키 패드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파로를 포함하는 키 패드로 구비한 키 패드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 패드를 제작하기 위한 각 단계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e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본 발명은 키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명 수단을 구비한 키 패드 및 키 패드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어두운 곳에서도 키 패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발광 가능한 조명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조명 수단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들을 PCB 기판에 배열한 구조 또는 무기 전기 발광체(Electro Luminescence)를 탄성 패드(Pad) 내에 삽입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키 패드 어셈블리(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키 패드 어셈블리(100)는 스위치 기판(switch board, 150)과,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light emitting diode: LED, 170)과, 키 패드(110)를 포함한다.
상기 키 패드(110)는 판 형상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층(120)과, 상기 탄성 층(120)의 제1 면(122) 상에 형성되며 각각 그 상면에 문자 등이 인쇄된 복수의 키 버튼들(140)과, 상기 제1 면(122)의 반대편에 위치된 제2 면(124) 상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들(130)을 포함한다. 상기 각 돌기(130)는 해당 키 버튼(140)의 중앙의 하부에 수직 정렬된다. 상기 제2 면(124)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170)이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의 홈들(126)이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 기판(150)은 판 형상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155) 상에 배치된 스위치 시트(switch sheet)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시트)는 그 상면에 복수의 스위치들(160)을 구비한다. 상기 각 스위치(160)는 도전성 접촉 부재(Contact member, 162)와 상기 접촉 부재(162)를 완전히 덮는 도전성 돔(doom, 16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170)은 상기 스위치 시트 상에 탑재된다.
그 외에도, 무기 전기 발광체(Elector Luminescence)를 탄성 층 내에 삽입된 키 패드를 포함하는 키 패드 어셈블리가 제안되고 있으나, 무기 전기 발광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AC 전원을 사용해야 한다. 즉, 무기 전기 발광체를 포함하는 키 패드 어셈블리는 DC를 AC로 변환시키기 위한 별도의 인버터(Inverter)를 더 포함해야 함으로 부피가 커지고, 제작 비용이 증가 되고,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균일한 세기의 광을 조사할 수 있고,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키 패드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 패드의 제작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광섬유 어레이들과 정렬을 위한 다수의 홈들을 구비한 광섬유 시트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광섬유 어레이들에 일대일 대응되는 키 패턴들과, 상기 각 홈에 대응되는 정렬 핀들이 돌출되게 형성된 키 시트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광섬유 시트 상에 탄성 층을 부착하는 과정과;
상기 각 정렬 핀이 상기 탄성 층을 관통해서 해당 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키 시트를 상기 탄성 필름에 안착시키는 과정과;
상기 탄성 층에 안착된 키 시트를 상기 각 패턴에 따라서 절단하는 과정과;
절단된 상기 각 패턴의 하부에 돌기를 포함하는 하부 탄성 층을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는 키 패드를 포함하는 키 패드 어셈블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키 패드 어셈블리(200)는 조명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250)을 포함하는 키 패드(210)와, 상기 키 패드(210)의 하부에 위치되며 키 버튼(250)의 조작에 따라 각각의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기 위한 스위치 보드(300)와, 인쇄 회로 기판(360) 및 광원(350)을 포함한다.
상기 키 패드(210)는 키 버튼들(250)과, 상면에 상기 각 키 버튼(250)이 배치되고 그 내부로 진행하는 광의 일부를 해당 키 버튼(250)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해서 하부 면에 복수의 반사 패턴(223)들이 형성된 도파로(220)와, 상기 도파로(220)의 하면 상에 배치된 하부 탄성층(240)과, 상기 키 버튼(250)과 상기 도파로(220)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도파로(220)의 상면 상에 배치된 상부 탄성층(230)을 포함한다.
상기 도파로(220)는 코어(222)와, 상기 코어(222)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클래드(221a, 221b)를 포함하며, 특히 하부 클래드(221b)의 일 부분에는 상기 코어(222) 내부를 진행하는 광을 해당 키 버튼(250)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패턴들(223)이 형성된다.
상기 반사 패턴(223)은 광원에 인접한 부분은 소 하게 형성하고 광원에서 이격된 부분은 밀 하게 형성함으로써 반사된 광이 해당 키 버튼(250) 측으로 균일한 휘도를 갖는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60)은 상기 하부 탄성층(240)의 하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350)은 상기 도파로(220)의 측면과 그 발광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360)의 상면에 탑재된다. 상기 광원(350)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상기 도파로(220)의 측면을 통해 그 내부로 결합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60)으로는 통상의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CB: FPCB)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광원(350)으로는 통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 패드를 제작하기 위한 각 단계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상기 키 패드의 제작 방법은 광섬유 시트(310)를 형성하는 과정과, 키 시트(320)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광섬유 시트(310) 상에 탄성 층(330)을 부착하는 과정과, 상기 각 패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들(341,342)이 형성된 하부 탄성 층(340)을 각 돌기(341,342)가 상기 광섬유 시트(310) 상에 형성된 각 패턴(312a,312b,312c,312d)에 대응되게 부착시키는 과정과, 상기 키 시트(32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홀들(321a,321b)과 상기 광섬유 시트(310)의 상기 제1 홀들(311a,311b)이 일치하게 정렬하고, 상기 키 시트(320)를 상기 상부 탄성 층(330)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광섬유 시트(310)를 형성하는 과정은 다수의 광섬유들을 해당 키 버튼(322)의 형태에 맞게 배열된 적어도 둘 이상의 광섬유 어레이들(312a,312b,312c,312d)과 정렬을 위한 제1 홀들(311a,311b,311c,311d)을 구비한 시트를 형성하기 위한 과정이다. 상기 광섬유 시트(310)는 일면에 각 광섬유 어레이 들(312a,312b,312c,312d)에 복수의 반사 패턴들(미도시)이 형성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키 시트(320) 형성 과정은 상기 광섬유 어레이들(312a,312b,312c,312d)에 일대일 대응되는 키 패턴들(324) 및 상기 각 제1 홀(311a,311b,311c,311d)에 대응되는 상기 제2 홀들(322a,322b,322c,322d)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키 시트(320)는 사출 성형 등에 의해서 형성 가능하고 상기 각 키 패턴들(324)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들(323)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홀들(322a,322b,322c,322d)은 상기 제1 홀(311a,311b,311c,311d)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도 3c는 상기 광섬유 시트(310) 상에 상기 상부 탄성 층(330)을 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상부 탄성 층(330) 역시 사출 성형 등에 의해서 형성 가능하며, 상기 상부 탄성 층(330)은 상기 제1 홀들(311a,311b,311c,311d)에 일대일 대응되는 복수의 제3 홀들(331,332)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탄성 층(330)은 상기 제3 홀들(331,332)이 상기 광섬유 시트(31)의 상기 제1 홀들(311a,311b,311c,311d)에 대응되도록 상기 광섬유 시트(310) 상에 부착된다.
도 3d는 상기 상부 탄성 층(330)이 부착된 상태의 광섬유 시트(310)의 하부에 돌기(341,342)들이 형성된 하부 탄성 층(340)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탄성 층(340)은 상면에 상기 광섬유 시트(310)가 안착되고 그 반대편에 위치된 하부 면에는 상기 광섬유 어레이들(312a,312b,312c,312d)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돌기(341,342)이 형성된다.
도 4는 도 3e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e는 상기 키 시트(320)는 상기 각 키 패턴들(324)이 해당 광섬유 어레이(312a,312b,312c,312d)에 대응되도록 정렬되며, 상기 키 시트(320), 상기 광섬유 시트(310)와 상기 탄성층(330)은 상기 제1 내지 제3 홀들(311a,311b,311c,311d,322a,322b,322c,322d,331,332) 이 일치하도록 정렬된다. 서로 일치하게 정렬된 상기 홀들에는 외부의 정렬수단(미도시)을 삽입해서, 정렬 상태를 확인하고, 정렬시킬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은 상기 광섬유 시트(310)가 상기 상부 탄성 층(330) 상에 부착되거나, 상기 탄성 층(330) 상에 실리콘 물질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상기 광섬유 시트(310)를 부착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e는 각 키 패턴(324)에 따라서 절단됨으로써 각각의 키 패드들로 완성된다.
본 발명은 도파로를 이용해서 동시에 다수의 키 패드들을 제작함으로써 탄성 층 내에 키 버튼 측으로 조사시키기 위한 광을 도파시키는 도파로가 삽입된 키 패드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광섬유 어레이의 열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작 공정이 종래에 비해서 단순하고, 도파로를 이용함으로써 균일한 조도를 갖는 광의 조사가 가능한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7)

  1. 키 패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과;
    상면에 상기 키 버튼이 배치되고 그 내부로 진행하는 광의 일부를 해당 키 버튼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해서 하부 면에 형성된 반사 패턴을 갖는 도파로와;
    상기 도파로의 하면 상에 배치된 하부 탄성층과;
    상기 키 버튼과 상기 도파로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도파로의 상면 상에 배치된 상부 탄성층과;
    상기 도파로의 측면으로 상기 광을 입사시키기 위한 광을 생성하는 광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패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로는 상부 면이 상기 제1 탄성 층의 하부 면에 접하고, 상기 도파로의 하부 면이 상기 제2 타성 층의 상부 면에 접하게 상기 제1 및 제2 탄성 층의 사이에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패턴은 광원에 인접한 부분은 소 하게 형성하고 광원에서 이격된 부분은 밀 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하부 탄성층의 하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상기 도파로의 측면과 그 발광면이 대향하도록 그 상면에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5. 키 패드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광섬유 어레이들과 정렬을 위한 다수의 제1 홀들을 구비한 광섬유 시트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광섬유 어레이들에 일대일 대응되는 키 패턴들과, 상기 제1 홀들에 일대일 대응되는 복수의 제2 홀들이 구비하는 키 시트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광섬유 시트 상에 상부 탄성 층을 부착하는 과정과;
    상기 각 패턴의 하부에 돌기를 포함하는 하부 탄성 층을 부착하는 과정과;
    상기 각 제1 홀과 상기 각 제2 홀이 대응되도록 상기 키 시트를 상기 상부 탄성 층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패드 제작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시트는 일면에 각 광섬유 어레이들에 반사 패턴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 패드 제작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탄성 층은 상기 제1 및 제2 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3 홀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 패드 제작 방법.
KR1020050117728A 2005-12-05 2005-12-05 키 패드와 그 제작 방법 KR100744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728A KR100744283B1 (ko) 2005-12-05 2005-12-05 키 패드와 그 제작 방법
US11/592,931 US7572994B2 (en) 2005-12-05 2006-11-03 Keypad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CN2006101631478A CN1979710B (zh) 2005-12-05 2006-11-30 小键盘及其制造方法
EP06125436A EP1793402A3 (en) 2005-12-05 2006-12-05 Keypad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728A KR100744283B1 (ko) 2005-12-05 2005-12-05 키 패드와 그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895A true KR20070058895A (ko) 2007-06-11
KR100744283B1 KR100744283B1 (ko) 2007-07-30

Family

ID=37832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728A KR100744283B1 (ko) 2005-12-05 2005-12-05 키 패드와 그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72994B2 (ko)
EP (1) EP1793402A3 (ko)
KR (1) KR100744283B1 (ko)
CN (1) CN1979710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971B1 (ko) * 2006-12-07 2007-11-09 리엔리하이테크(주) 키패드용 백라이트 유닛
KR200446649Y1 (ko) * 2007-12-26 2009-11-17 (주)유비엠메카트로닉 도광판 시트 및 그 도광판 시트를 구비한 키패드 조립체
KR101021820B1 (ko) * 2007-08-10 2011-03-17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용 가동 접점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스위치 장치
KR101039339B1 (ko) * 2008-05-20 2011-06-07 권순하 백라이트형 발광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키패드용 돔시트 및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41265U (en) * 2008-03-05 2008-09-21 Global Lighting Technologies Taiwan Inc Light emitting key structure
TWI402717B (zh) * 2008-05-13 2013-07-21 Chicony Electronic Co Ltd Glowing keyboard
KR101004799B1 (ko) 2008-10-02 2011-01-04 주식회사 하이디스 멀티라이팅 발광장치
TWI623957B (zh) * 2012-03-13 2018-05-11 盧米泰克斯公司 光導和鍵盤背光
CN105299530A (zh) * 2015-09-30 2016-02-03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光源模组及电子设备
CN107180717B (zh) * 2017-06-21 2019-09-27 苏州达方电子有限公司 发光按键及包含该发光按键的发光键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2182A (en) 1980-01-11 1981-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Fully illuminated backlit membrane touch switch
US4302647A (en) * 1980-04-04 1981-11-24 General Electric Company Membrane touch switches
DE8510863U1 (de) 1985-04-13 1985-05-30 Diemer & Fastenrath, 5880 Lüdenscheid Schaltfolie
DE3628781A1 (de) 1985-08-27 1987-03-05 Heiner Flohr Folientastatur
JPH03257728A (ja) * 1990-03-07 1991-11-18 Iri Design:Kk プッシュ式パネルスイッチの発光構造
US5097396A (en) 1990-09-25 1992-03-17 Poly-Optical Products, Inc. Fiber optic backlighting panel
US5128842A (en) 1991-06-03 1992-07-07 Sunarrow Co., Inc. Uniform illumination plate
EP0544332B1 (en) * 1991-11-28 1997-01-29 Enplas Corporatio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KR960003475U (ko) 1994-06-08 1996-01-22 라이팅 리모트콘트롤
JP3103833B2 (ja) * 1994-08-10 2000-10-30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照光式押釦スイッチ装置
JPH095744A (ja) * 1995-04-20 1997-01-10 Toshiba Corp 平面表示装置
KR100211063B1 (ko) * 1996-12-04 1999-07-15 정선종 비선형 박막이 첨가된 격자-도움형 방향성 결합기
KR19980075424A (ko) * 1997-03-31 1998-11-16 윤종용 광섬유를 이용한 광다이얼 키버튼 구조
TW509955B (en) 2001-11-30 2002-11-11 Darfon Electronics Corp Light emitting keyboard
US6827459B2 (en) 2002-03-27 2004-12-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ed fastening structure
TW587800U (en) 2003-03-07 2004-05-11 Behavior Tech Computer Corp Keyboard with a backlight module
KR100501402B1 (ko) * 2004-11-03 2005-07-18 주식회사 유일전자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2218A (ko) * 2005-01-11 2006-07-18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KR100692742B1 (ko) 2005-05-13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광층을 갖는 키 패드 및 키 패드 어셈블리
EP1944782B1 (en) * 2005-05-19 2012-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pad and keypad assembly
KR100651417B1 (ko) * 2005-07-15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971B1 (ko) * 2006-12-07 2007-11-09 리엔리하이테크(주) 키패드용 백라이트 유닛
KR101021820B1 (ko) * 2007-08-10 2011-03-17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용 가동 접점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스위치 장치
KR200446649Y1 (ko) * 2007-12-26 2009-11-17 (주)유비엠메카트로닉 도광판 시트 및 그 도광판 시트를 구비한 키패드 조립체
KR101039339B1 (ko) * 2008-05-20 2011-06-07 권순하 백라이트형 발광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키패드용 돔시트 및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25634A1 (en) 2007-06-07
EP1793402A2 (en) 2007-06-06
KR100744283B1 (ko) 2007-07-30
EP1793402A3 (en) 2008-05-07
US7572994B2 (en) 2009-08-11
CN1979710B (zh) 2011-07-13
CN1979710A (zh)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283B1 (ko) 키 패드와 그 제작 방법
KR100629053B1 (ko) 키 패드 어셈블리
US5960942A (en) Thin profile keypad with integrated LEDs
KR100678067B1 (ko) 터치 센서 장치
WO1998050931A1 (en) Direct keypad back lighting
JP2006324253A (ja) キーパッド装置および携帯型端末機
JP3130331U (ja) キーパッドの発光組立体
JP2011159970A (ja) 発光素子パッケージ
JP2010244508A (ja) 発光キーボード
US9964287B2 (en) LED support, LED and backlight module
KR20100124754A (ko) 광학 장치 및 제작 방법
WO2008072577A1 (ja) 照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照光機能付き入力装置
KR10080255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팅 장치
KR100807884B1 (ko) 키 패드 어셈블리
KR200388305Y1 (ko)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한 키패드용 백라이팅장치
KR101333050B1 (ko) 키 패드 어셈블리
KR101501916B1 (ko)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28373B1 (ko) 이단 도광판 구조를 가진 키패드 조립체
TWM569084U (zh) LED lighting unit and illuminated keyboard
JP2836582B2 (ja) キー入力装置
KR20060120302A (ko) 키 패드 어셈블리
CN101859182A (zh) 发光键盘
JP2012187188A (ja) 発光棚装置
KR100799676B1 (ko) 도파로 시트를 구비한 휴대용 키패드
KR100948322B1 (ko) 키패드 발광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