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452A -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 - Google Patents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452A
KR20070058452A KR1020077003708A KR20077003708A KR20070058452A KR 20070058452 A KR20070058452 A KR 20070058452A KR 1020077003708 A KR1020077003708 A KR 1020077003708A KR 20077003708 A KR20077003708 A KR 20077003708A KR 20070058452 A KR20070058452 A KR 20070058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bus bar
base element
snap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0794B1 (ko
Inventor
한스 바게너
Original Assignee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58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1Bus-bar arrangements for rack-mounted device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바 시스템의 버스 바(2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하여 연결 접촉체(32)를 갖는 접촉 유닛(70)이 수용되는 베이스 요소(39)를 가지며, 상기 버스 바 시스템에 대하여 장치 어댑터(3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홀딩 장치를 가지는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30)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홀딩 장치는, 다양한 모듈식 연결 수단(40,50)과 상기 장치 어댑터(30)를 선택적으로 상기 버스 바 시스템의 지지 장치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 바에 직접적으로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가 착탈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요소(39) 상에 결합될 수 있는 클램핑 피트(36)를 갖는다는 점에서, 간단한 설계와 간단한 작동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DEVICE OR CONNECTION ADAPTER}
본 발명은 버스 바 시스템의 버스 바와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접촉체를 갖는 접촉 유닛과 수용되는 베이스 요소를 가지며 상기 버스 바 시스템에 대하여 장치 어댑터를 대신하는 해제 가능한 고정을 위한 홀딩 장치를 가지는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와 이러한 어댑터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가, DE 103 00 723 A1, DE 93 06 013 U1, 및 DE 100 61 939 A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착 유닛을 갖는 버스 바 시스템과 관련하여 다양한 설계 방식으로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커넥터 및/또는 스냅 인 요소가 상기 버스 바 홀더 상에, 상기 장착 유닛의 플랫포옴 상에 그리고 상기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 상에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며, 단지 장착 유닛과, 서로 짝을 이루는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는 상기 어댑터의 채택 범위를 상당히 좁게 만든다. 예로서, 한정된 방식으로 설계된 장착 유닛을 갖는 설치 시스템이 각각 다른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에 연결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응용 및 변형 범위가 확대되며 잇점을 가는 채택 가능성을 개시하는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를 유용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 항 내지 제13 항의 특성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홀딩 장치는, 다양한 모듈식 연결 수단과 상기 장치 어댑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버스 바 시스템의 지지 장치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 바에 직접적으로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요소 상에 부착될 수 있는 클램핑 피트를 갖는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단순한 장착과 단순한 작동으로, 동일한 베이스 요소와 간단히 연결되는 다른 연결 요소를 상기 버스 바와 또는 상기 버스 바를 수용하는 플랫포옴과 선택적으로 직접적으로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종속 가능한 전기적 접촉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잇점은 또한 절연된 버스 바 홀더 내에 수 개의 이격된 버스 바, 또는 절연 플랫포옴을 포함하는 장착 유닛을 갖는 버스 바 시스템과 관련하여 이러한 장치의 사용 방법에서 나타난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의 잇점을 갖는 실시예는, 상기 연결 수단의 일부가 상기 세장형의 대략적으로 큐브 형상의 베이스 요소의 좁은 측에 부착되며, 상기 연결 수단의 다른 일부가 상기 베이스 요소의 반대로 위치하는 측에 부착되며, 상기 연결 수단(50)은 적어도 하나의 좁은 측에 스냅 인 요소를 갖는다. 상기 어댑터의 두 좁은 측에서 서로 짝을 이루는 상기 연결 수단은 부착하는 동안에 간단히 조절되는 결과와 종속 가능한 연결을 가져온다.
예를 들어, 상기 플랫포옴의 홈통 형상의 리셉터클의 엣지 상에서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장치 어댑터의 양 좁은 측의 반대로 위치하는 연결 수단은 서로 마주보는 또는 서로 이격된 연결부를 갖는다.
더욱이, 다른 이용예의 경우에, 장착 및 작동을 위하여 단계가 잇점을 가지며, 상기 장치 어댑터의 적어도 하나의 좁은 측의 연결 수단은 상기 베이스 요소와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부착편에 부착된다.
이 경우, 다양한 실시 변형예는,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착편이 상기 베이스 요소와 함께 스냅되거나 플러그 되거나, 및/또는 나사 결합된다는 점에 있다.
장착 및 조작을 위하여, 이러한 단계는 상기 장치 어댑터의 좁은 측에서, 상기 연결 수단은 좁은 측부를 거쳐 상기 베이스 요소와 하나의 부품으로 연결되는 점에서 더욱 잇점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버스 바 상에서의 간단한 고정을 위한 잇점을 갖는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레그가 상기 베이스 요소의 적절한 하측에서 연관된 버스 바의 후방으로 연장하기 위한 후크 형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는 데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레그가 상기 베이스 요소의 하측에 형성된 벽 부착물 내로 스냅되거나 나사 결합되거나, 및/또는 플러그된다는 점에서 상기 클램핑 레그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벽 부착물이 상기 베이스 요소의 하측에서 버스 바 리셉터클과 접경한다는 점에서 다른 잇점이 달성된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벽 부착물과 마주 보는 측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버스 바의 측의 측방향 한계 결정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 요소에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 요소의 하측에 대하여 수직으로 변위되거나 선회될 수 있는 로킹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버스 바 리셉터클 내로 돌출하는 버스 바 상의 상기 어댑터를 대신한 종속 가능한 고정에 기여한다.
장착 및 작동은, 더욱이 상기 로킹 요소가 분리될 수 있는 점에서 선호된다.
상기 버스 바에서의 전기적 접촉의 제공뿐 아니라 제 위치에서의 기계적인 고정은, 상기 버스 바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 요소는 상기 베이스 요소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점에서 도움을 받는다.
상기 어댑터를 이용할 때 기계적 연결을 빠르고 간단하게 확립하기 위하여, 스냅 인 요소로서 구현되는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의 연결 요소가 상기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에서 완화되며, 상기 장착 유닛의 결합면과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버스 바에 대하여 수직으로 한정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가 상기 장착 유닛 상에 위치할 때, 스냅 인 램프 및 스냅 인 팁이 제공되는 상기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의 상기 스냅 인 요소가 상기 장착 유닛의 플랫포옴의 스냅 인 리셉터클 또는 상기 버스 바 홀더 스냅 인 리셉터클 내로 스냅된다.
도 1은 플랫포옴을 갖는 장착 유닛과 상기 플랫포옴의 상부 상에서 위치하며 유지되는 연결 어댑터로 구성되는 버스 바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연결 어댑터가 버스 바 상에서 유지되는 도 1에 따른 버스 바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일측의 플랫포옴 상에 부착물을 가지며 변형된 로킹 요소를 가지며 버스 바 상에서 상기 어댑터가 고정된, 도 2에 따른 버스 바 시스템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연결 어댑터의 도면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다르게 설계된 두 개의 어댑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A 내지 도 4C에 따른, 두 개의 다르게 조립된 어댑터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볼 수 있듯이, 세 개의 이격된 버스 바(20)가 절연된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플랫포옴(11)은 일종의 홈통(trough)(9)을 가지며, 상기 버스 바(20)의 전 길이에 걸쳐 연장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포옴(11)은 상기 홈통(9) 상에 배열된 수 개의 절연 버스 바 홀더(8)를 구비하거나 상기 버스 바(20)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수 개의 절연 버스 바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연결 요소(14,16)가 상기 홈통, 또는, 상기 장치 어댑터와 마주하면서, 예를 들어 상기 홈통(9)의 결합면과 평행하게 외부를 향하는 홀딩부(15,17)의 형태로 플러그 요소에서 상기 연결 요소(14,16)가 종단하는 버스 바(2)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플랫폼(11)의 측부에 부착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연결 요소(16)의 결합 플랜지(18)를 거쳐, 지지대의 고정이 제공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홀딩부(15,17)는 좁은 홈통 엣지의 외향하는 각진 단부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 에 따라서, 상기 장치 어댑터(30)의 결합은, 한편으로는 후크 형상의 연결 요소(14)에 의하여, 다른 한편으로는, 도 1 및 도 3에서 보여지듯이, 상기 장치 어댑터(30)의 적절한 좁은 측의 부착편(35)에서 스냅될 수 있으며 스냅 인 돌출부(51)를 갖는 해제 가능한 연결 수단(50)에 의하여, 상기 홀딩부(15,17)에서 제공된다.
이 경우에, 상기 버스 바(20)의 푸트(foot)(21)는 상기 버스 바 홀더(8)의 또는 상기 플랫포옴(11)의 리셉터클(12) 내로 삽입되어 있으며, 필러 부품(filler piece)(13)은 상기 리셉터클을 채우며, 커버 플레이트(19)는 피트(feet)(21)와 필러 부품(13)을 고정한다. 상기 버스 바(20)는 상기 장착 유닛(10)의 상부에서 L자 형상으로 부분(22,23)에 의하여 외향 돌출한다. 상기 장착 유닛(10)과 마주보는 측에서, 상기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30)가, 그 내로 전기 접촉 요소(32)가 돌출하는 세 개의 버스 바 리셉터클(31)을 갖는다. 상기 벽 부착물(33)은 상기 버스 바 리셉터클(31)을 분할하고, 상기 버스 바(20)의 단부(23)의 후방으로 연장하는, 분리 가능한 클램핑 피트(36)(도 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클램핑 피트(36)는 상기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30) 내로 스냅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링 로딩된 로킹 요소(37)가 도 1, 도 2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 요소(32)의 후방에서 적어도 하나의 버스 바 리셉터클(31) 내로 돌출할 수 있다. 상기 로킹 요소(37)는 상기 단부(23)로부터 상기 버스 바(20)의 부분(30)으로의 전이부 후방에 위치하며, 예를 들어, 연결 수단(50)과 같은 로킹 수단(51)이 상기 플랫포옴(11) 또는 상기 버스 바 홀더(8) 상에서의 고정을 위하여 제공되지 않으면 상기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30)가 상기 장착 유닛(10) 상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플랫포 옴(11) 상에서의 고정을 위한 로킹 수단이 제공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로킹 요소(37)는 생략될 수 있다. 편평한 버스 바의 채택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및 도 2A에 따른 부분 확대도의 좌측이 도시하듯이, 상기 플러그 인 이동을 뒤따라, 상기 연결 요소(14)의 상기 플러그 요소(15,17)가 상기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30)에서 상기 연결 요소(40) 내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 요소(10)와 상기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30) 사이의 기계적 연결이 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 요소(40)는, 해제 가능하게 그리고 교환 가능하게, 상기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30)의 좁은 측 단부(34)에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 연결은 상기 장착 유닛(10)의 상기 결합면에 대하여 상기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30)가 확실히 고정되게 한다.
도 1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좁은 측과 반대에 위치하는 상기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30)의 좁은 측 단부 또는 상기 연결 요소(40)를 갖는 상기 좁은 측 부분(34)은 상기 부착편(35)을 지지한다. 연결 수단으로서, 상기 후자는 위치 설정시 굴곡을 위한 스냅 인 램프(ramp)를 갖는 스냅 인 요소(50) 및 삽입된 상태에서의 홀딩을 위한 스냅 인 돌출부(51)를 갖는다. 상기 스냅 인 요소(50)는 상기 부착편(35)에 탄성적으로 안착되며 상기 장착 유닛(10)이 결합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버스 바(20)의 긴 측에 대하여 수직으로 한정된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요소(40)가 측방 이동에 의하여 상기 장착 유닛(10)의 상기 플랜지 형상의 홀딩부(15,17) 상에 위치되거나 후크 결합되 면, 선회 운동에 의하여 상기 스냅 인 팁 또는 스냅 인 돌출부(50)가 측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연관된 홀딩부(17)가 후방으로부터 잡히는 방식으로 상기 스냅 인 요소(5) 상에서 반대측에서 상기 스냅 인 요소(50)를 굴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기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30)와 상기 장착 유닛(10) 사이의 기계적 연결은 단순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단지 상기 스냅 인 요소(50)를 되돌려 놓음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버스 바 홀더, 상기 장착 유닛, 및 상기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와의 해제 가능한 그리고 교체 가능한 연결뿐 아니라 연결 및/또는 스냅 인 요소의 상세 사항에 대하여 여전히 다수의 실시예 변형이 존재한다.
도 2 및 도 2A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푸트(36)가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조정 가능한 로킹 요소(37)가 제공되면, 상기 연결 및/또는 스냅 인 요소가 설치되지 않고 버스 바 상(20) 상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채택 가능성을 가져온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다양한 분해도 상에서 연결 수단(40,50)과 클램핑 피트(36)를 가지며, 사시도 상에서 언제나 동일한 베이스 요소(31)를 갖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된 두 개의 장치 어댑터(30)를 보여준다. 도 5는 사시도 상에서 조립된 상태의 두 개의 실시예의 장치 어댑터(30)를 보여 준다.
상기 플랫포옴(11), 즉 양측에서 외향으로 각이 진 상기 홀딩부(15,17) 상에 단지 고정될 수 있는 상기 장치 어댑터(30)의 실시 변형예는 부분도 (a)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버스 바(20) 상에 고정될 수 있는 장치 어댑터(30)의 실시 변형예 는 부분도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특히 상기 스냅 인 요소(50)를 구비하는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플랫포옴을 마주하는 하부에서 부착편(35)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며, 상기 스냅 인 돌출부(51)를 갖는 상기 스냅 인 요소(50)가 별개의 요소로서 상기 부착편(35)의 슬릿 형상의 컷아웃(cutout) 내로 삽입되며 스냅 인 연결을 생성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상기 플랫포옴(11)의 레벨과 평행하게 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그 내에 탄성적으로 안착된다. 상기 베이스 요소(39)의 각각의 좁은 측과 마주하는 상부에서, 상기 부착편(35)은 상기 베이스 요소(39)의 상기 종방향 측부 요소의 영역에서 짝을 이루는 개구부 내로 플러그되고 그 내에서 고정되는, 예를 들어 스냅 인되는, 측방향 플러그 인 페그(38)가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 요소(39)의 반대 측 상의 상기 좁은 측부(34)는 상기 베이스 요소(39)와 한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 그와 짝을 이루는 홀딩부(15,16)용의 후크 형상의 플러그 인 리셉터클(41)을 갖는, 또한 그 위에 형성되는 연결 요소(40)를 갖는다. 상기 플랫포옴(11) 상에 이와 같이 구비된 상기 장치 어댑터(30)를 연결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연결 요소(40)가 상기 플랫포옴의 레벨의 방향으로의 변위 이동에 의하여 각각의 홀딩부(15,17) 상에 매달리며, 다음으로 선회 이동에 의하여 적절한 홀딩부(15,17)에서 상기 장치 어댑터(30)의 반대되는 좁은 측에 상기 스냅 인 연결이 제공되며, 상기 스냅 인 요소(50)는 상기 스냅 인 돌출부(51) 상의 상기 스냅 인 램프에 의하여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원래 위치로 다시 밀리며, 상기 홀딩부(15,17)의 후방에서 그를 연장함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힘 하에서 상기 스냅 인된 위치로 스냅된다.
접촉 스프링(72)를 위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리셉터클이 상기 연결편(71)의 적절한 컨덕터와 연결되며 함께 접촉 유닛(70)을 구성하는 상기 베이스 요소(39)에 또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편(71)은, 도 4C 뿐 아니라 도 4B 와 관련하여 도 4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좁은 측부(34)의 짝을 이루는 리세스 내에 수용된다. 셋업 플레이트(60)는 상기 베이스 요소(39)의 상부에 부착되며, 이 목적으로 스냅 인 스프링(62)과 스냅 인 후크가 상기 베이스 요소(39)의 상부의 짝을 이루는 개구부와 결합하는 상기 셋업 플레이트(6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추가적인 스냅 인 후크(63)가 상기 부착편(35)과 함께 작동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상기 셋업 스프링(72)의 하측 상의 헬리컬 스프링은 상기 접촉 스프링(72)의 상기 접촉 요소(32) 상에서 지지되어, 종속 가능한 접촉이 상기 버스 바(20) 상에 제공되며, 이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기계적 연결이 또한 도움을 받는다. 또한,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연결 수단이 상기 셋업 플레이트(60)의 상부에 또는 그와 측방향으로 경계를 이루는 스트립에 부착될 수 있다.
부분도 (b)에 따른 버스 바로의 부착을 위하여 설계된 장치 어댑터(30)의 변형과 관련하여, 상기 부착편(35)은,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공되지 않는다. 대신, 상기 부착편(35)을 대신하여 상기 장치 어댑터(30)의 좁은 측에서 단순한 클로저를 구성하는 상기 셋업 플레이트(60) 상에 커버 플레이트(62)가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설계 변형에는 상기 베이스 요소(39)의 하측에서 상기 벽 부착물(33)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예를 들어, 스냅 인되거나 플러그 인되거나 나사 결합되는 상기 버스 바(20) 상에서의 고정을 위하여, 상 기 클램핑 피트(36)가 제공된다. 상기 클램핑 피트(36)에는 삽입되는 보강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버스 바(20) 상의 고정은 여기서 상기 접촉 스프링(72)에서 상기 접촉 요소(32) 상의 헬리컬 스프링의 효과에 의하여 또한 보강된다. 상기 벽 부착물(33)은 수용된 버스 바(20)를 위한 측방 경계를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 요소(39)의 하측에 대하여 수직으로 변위 가능하고 선회 가능하며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외향 가압되는 로킹 부재(37)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버스 바(20)가 상기 벽 부착물(33)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그 종방향 측에서 고정된다. 상기 로킹 부재(37)는 버스 바의 다른 폭에 대하여 다양한 세팅을 가지며, 상기 어댑터(30)를 로킹 해제하기 위하여 스냅 인 램프를 거쳐 상기 베이스 요소(30)의 종방향과 평행한 선회 운동 또는 변위 운동에 의하여 상기 좁은 측부(34)의 상부에서 핸들(37.1)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내측으로 변위될 수 있다. 상기 로킹 요소(37)와, 필요한 경우 상기 핸들(37.1)은 상기 베이스 요소로부터 분리되어 별도의 부품으로 그 내로 유입될 수 있다.

Claims (14)

  1. 버스 바 시스템의 버스 바(2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접촉 요소(32)를 갖는 접촉 유닛(70)이 수용되는 베이스 요소(39)를 가지며, 상기 버스 바 시스템에 대하여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30)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홀딩 장치를 가지는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30)에 있어서,
    상기 홀딩 장치는, 다양한 모듈식 연결 수단(40,50)과 상기 장치 어댑터(30)를 선택적으로 상기 버스 바 시스템의 지지 장치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 바에 직접적으로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요소(39) 상에 부착될 수 있는 클램핑 피트(3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40)의 일부는 상기 세장형의 대략적으로 큐브 형상의 베이스 요소(39)의 좁은 측에 부착되며, 상기 연결 수단(50)의 다른 일부는 상기 베이스 요소(30)의 반대로 위치하는 측에 부착되며, 상기 연결 수단(50)은 적어도 하나의 좁은 측에 스냅 인 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어댑터(30)의 양 좁은 측의 반대로 위치하는 연결 수단(40,50)은 서로 마주보는 또는 서로 이격된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4.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어댑터(30)의 적어도 하나의 좁은 측의 연결 수단(50)은 상기 베이스 요소(39)와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부착편(35)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착편(35)이 상기 베이스 요소(39)와 함께 스냅되거나 플러그되거나, 및/또는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6.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어댑터(30)의 좁은 측에서, 상기 연결 수단(40)은 좁은 측부(34)를 거쳐 상기 베이스 요소(39)와 하나의 부품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7.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레그(36)가 상기 베이스 요소(39)의 적절한 하측에서 연관된 버스 바(20)의 후방으로 연장하기 위한 후크 형상으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레그(36)는 상기 베이스 요소 의 하측에 형성된 벽 부착물(33) 내로 스냅되거나 나사 결합되거나, 및/또는 플러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벽 부착물(33)은 상기 베이스 요소(39)의 하측에서 버스 바 리셉터클(31)과 접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벽 부착물(33)과 마주 보는 측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버스 바(20)의 측의 측방향 한계 결정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 요소(39)에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 요소(39)의 하측에 대하여 수직으로 변위되거나 선회될 수 있는 로킹 요소(37)가 적어도 하나의 버스 바 리셉터클(31) 내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요소(37)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2.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2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 요소(32)는 상기 베이스 요소(39)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3. 절연 플랫포옴(11)의 절연 버스 바 홀더에서 수개의 이격된 버스 바를 수용 하는 장착 유닛(10)을 갖는 버스 바 시스템에서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30)의 사용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스냅 인 요소로서 구현되는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30)의 연결 요소(50)가 상기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30)에서 완화되며 상기 장착 유닛(10)의 결합면과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버스 바(20)에 대하여 수직으로 한정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30)가 상기 장착 유닛(10) 상에 위치할 때, 스냅 인 램프 및 스냅 인 팁(51)이 제공되는 상기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30)의 상기 스냅 인 요소(50)가 상기 장착 유닛(10)의 플랫포옴(11)의 스냅 인 리셉터클 또는 상기 버스 바 홀더(8)의 스냅 인 리셉터클 내로 스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KR1020077003708A 2005-03-04 2006-02-10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 KR100890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09992.0 2005-03-04
DE102005009992A DE102005009992B3 (de) 2005-03-04 2005-03-04 Geräte- oder Anschlussadap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452A true KR20070058452A (ko) 2007-06-08
KR100890794B1 KR100890794B1 (ko) 2009-03-31

Family

ID=36282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708A KR100890794B1 (ko) 2005-03-04 2006-02-10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48885B2 (ko)
EP (1) EP1859519B1 (ko)
KR (1) KR100890794B1 (ko)
CN (1) CN101133534B (ko)
DE (1) DE102005009992B3 (ko)
WO (1) WO200609459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28396A1 (en) * 2018-08-27 2021-10-21 Molex, Llc Hinged busbar assembly
KR20210144893A (ko) * 2019-04-11 2021-11-30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쇼크-보호 하우징 내에서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를 갖는 버스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09856B4 (de) * 2005-03-04 2008-10-09 Rittal Gmbh & Co. Kg Anschluss- oder Geräteadapter
DE102005010219B3 (de) * 2005-03-05 2006-09-28 Rittal Gmbh & Co. Kg Sammelschienen-Montagevorrichtung
JP5179855B2 (ja) * 2007-12-21 2013-04-10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ーブロックの組付構造
CN102084517A (zh) * 2008-05-15 2011-06-01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系统有限责任公司 电池系统
DE102008026507A1 (de) * 2008-05-23 2009-11-26 August Schmid Geschlossenes Sammelschienensystem zur Niederspannungsverteilung
US8678612B2 (en) * 2009-04-14 2014-03-25 Phoseon Technology, Inc. Modular light source
US8547684B2 (en) * 2009-12-17 2013-10-01 Schneider Electric USA, Inc. Panelboard having a parallel feeder bars distribution
DE102011105373B4 (de) * 2011-06-20 2013-04-18 Rittal Gmbh & Co. Kg Sammelschienenadapter
DE102012206597B4 (de) * 2012-04-20 2015-02-26 Wöhner GmbH & Co. KG Elektrotechnische Systeme Sammelschienenadapter
PT2911253T (pt) * 2014-02-21 2016-09-28 Woehner Gmbh & Co Kg Elektrotechnische Systeme Resumo
DE102014108090B3 (de) * 2014-06-10 2015-08-20 Klaus Bruchmann Gmbh Adaptersystem mit einem Adapter für Sammelschienen und einem Adapteranschlussmodul
FR3076101B1 (fr) * 2017-12-21 2021-03-05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e maintien et de positionnement d'un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courant dans un coffret electrique
CN108390296A (zh) * 2018-03-20 2018-08-10 江苏江阴华明电气设备有限公司 400v抽屉柜动插件位置固定装置
CN110994301B (zh) * 2019-11-11 2021-03-26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用于航天功率产品的钩型功率汇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6199A (en) * 1985-11-27 1987-02-24 General Electric Company Adapter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support saddle
US4916574A (en) * 1989-06-06 1990-04-10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Panelboard bus bar arrangement
DE9306013U1 (de) * 1993-04-21 1994-03-24 Lindner Gmbh Elektrisches Installationsgerät, insbesondere Sammelschienen-Adapter
DE19511284C1 (de) * 1995-03-28 1996-07-11 Loh Kg Rittal Werk Geräteadapter für Stromsammelschienen eines Sammelschienensystems
DE19714839C1 (de) * 1997-04-10 1998-04-30 Loh Kg Rittal Werk Adapter für ein Sammelschienensystem
DE10005818A1 (de) * 2000-02-10 2001-08-16 Moeller Gmbh Vorrichtung zur Befestigung von Schaltgeräten auf Tragschienen
DE10061939B4 (de) * 2000-12-13 2011-04-07 Wöhner GmbH & Co. KG Elektrotechnische Systeme Sammelschienenadapter
DE10152347C1 (de) * 2001-10-24 2003-06-12 Siemens Ag Schaltgerät mit adaptiertem mehrphasigem Sammelschienensystem
DE10300723B4 (de) 2003-01-11 2005-05-04 Rittal Gmbh & Co. Kg Sammelschienensystem und Anschluss- oder Geräte-Adap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28396A1 (en) * 2018-08-27 2021-10-21 Molex, Llc Hinged busbar assembly
US11837830B2 (en) * 2018-08-27 2023-12-05 Molex, Llc Hinged busbar assembly
KR20210144893A (ko) * 2019-04-11 2021-11-30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쇼크-보호 하우징 내에서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를 갖는 버스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33534A (zh) 2008-02-27
EP1859519A1 (de) 2007-11-28
KR100890794B1 (ko) 2009-03-31
CN101133534B (zh) 2010-05-19
EP1859519B1 (de) 2012-09-19
DE102005009992B3 (de) 2006-06-01
US20080038947A1 (en) 2008-02-14
WO2006094599A1 (de) 2006-09-14
US7448885B2 (en) 2008-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8452A (ko)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
JP6267716B2 (ja) エネルギバスシステムを備えた電気的モジュール構成
JP2022177194A (ja) 導体接続端子
JP2936343B2 (ja) 電気コネクタ
US7554032B2 (en) Electrical box with multi-mount features
KR101527345B1 (ko) 급동 고정 부재
US20060194459A1 (en) Terminal block
KR100897900B1 (ko)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US20060084294A1 (en) Electric junction box
KR20110038709A (ko) 급동 고정 부재
JP2000507800A (ja) 組立板を有する配電盤
JP4230509B2 (ja) ブスバーシステムおよび接続アダプタまたは機器アダプタ
US7513794B2 (en) Clamp/plug connector for through-wall connection having wedge-shaped attachment
KR20080000640A (ko) 접속 터미널용 클램핑 장치
CN108702851B (zh) 用于承载电子设备壳体的支架装置
CA2363826C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US7655865B2 (en) Apparatus for mounting busbars
JP3990287B2 (ja) Idc接続モジュール用の取付トレイ
EP0889551A2 (en) Slimline plug-in connector
EP1168505B1 (en) Electrical socket
CA2506864C (en) Receptacle retainer for snap-in style receptacles
JP6538038B2 (ja) 電子装置
AU2002254952A1 (en) Mounting tray for IDC junction modules
US20060107559A1 (en) Adapter for attachment to an ironing board
KR20130138342A (ko) 접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