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638A -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및 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및 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638A
KR20070057638A KR1020060069950A KR20060069950A KR20070057638A KR 20070057638 A KR20070057638 A KR 20070057638A KR 1020060069950 A KR1020060069950 A KR 1020060069950A KR 20060069950 A KR20060069950 A KR 20060069950A KR 20070057638 A KR20070057638 A KR 20070057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home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power lin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9782B1 (ko
Inventor
최은아
김내수
장대익
오덕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EP06125073A priority Critical patent/EP1793585A3/en
Priority to US11/607,637 priority patent/US20070130598A1/en
Publication of KR20070057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3Mains power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및 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에 홈 서버기능을 구현하고,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변환장치를 통해 전력선 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최소한의 비용으로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및 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는, 댁내에 전력선을 통해 구현된 홈 네트워크 상의 댁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에 있어서, 원격 단말기측으로부터 위성방송망을 통하여 댁내기기 제어신호[홈 네트워크 제어신호]가 포함된 위성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위성신호 수신수단; 및 상기 위성신호 수신수단에서 수신받은 위성신호에 포함된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추출하고서, 전력선 변환장치에게 이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해당 댁내 기기로 전달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선 변환장치는 본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로부터 전달받은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신호로 변환해 전력선을 통해 홈 네트워크 상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등에 이용됨.
홈 서버,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홈 네트워크 제어, 전력선

Description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및 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set-top box, and Home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it}
도 1 은 종래의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서브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중 전력선 변환장치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22 : 전력선 변환장치
31 : 디지털 위성방송 송수신부 32 : 연산/제어부
33 : 코덱(CODEC) 34 : 저장부
35 : 음성출력부(스피커) 36 : 표시부(LCD)
37 : 입력부(키패드) 38 : 음성입력부(마이크)
41 : 전력선 통신 변환부 42 : 정류부
43 : 전원 인가부
본 발명은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및 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에 홈 서버기능을 구현하고,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변환장치를 통해 전력선 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최소한의 비용으로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및 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란 현재 위성방송 수신을 위해 설치가 필요한, 유럽 국제표준인 DVB에서 제정한 표준을 따르는 디지털 위성방송 수신을 위한 모뎀기능을 포함한 디모듈레이터, 채널디코더, 모드 역적응부, 제어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위성방송 수신 단말 셋을 말한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방송 중인 위성방송 규격 DVB-S를 포함, DVB-S2도 포함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홈 서버)이란 집안의 가전기기나 정보기기의 각종 정보를 모아 외부의 통신망과 연결하는 일종의 연결통로로써, 집안에서는 물론 밖에서도 가정 내 모든 가전기기나 정보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현재 홈 서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탑박스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디지털 텔레비전, 냉장고, 오디오, 홈 네트워크용 전용서버(PC)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홈 서버의 조건은 홈 네트워크 내 기기들과의 연결이 쉽고, 비용이 적게 들며, 설치가 간편하여야 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로 사용되는 셋탑박스, 홈네트워크용 전용 서버 등의 경우에는 별도의 장비를 구입하여야 하고,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널리 친숙하게 사용하는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에 홈 서버 기능을 구현하고, 가격이 저렴하고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한 전력선 통신(PLC)을 제어 인터페이스로 사용함으로써, 최소한의 비용으로 보다 효율적인 홈 서버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에 홈 서버기능을 구현하고,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변환장치를 통해 전력선 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최소한의 비용으로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및 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는, 댁내에 전력선을 통해 구현된 홈 네트워크 상의 댁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에 있어서, 원격 단말기측으로부터 위성방송망을 통하여 댁내기기 제어신호[홈 네트워크 제어신호]가 포함된 위성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위성신호 수신수단; 및 상기 위성신호 수신수단에서 수신받은 위성신호에 포함된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추출하고서, 전력선 변환장치에게 이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해당 댁내 기기로 전달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선 변환장치는 본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로부터 전달받은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신호로 변환해 전력선을 통해 홈 네트워크 상으로 송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댁내에 전력선을 통해 구현된 홈 네트워크 상의 댁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위성방송망을 통하여 원격 단말기측으로부터 수신받은 위성신호에 포함된 댁내기기 제어신호[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추출하고서, 전력선 변환장치에게 이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해당 댁내 기기로 전달할 것을 명령하는 상기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및 상기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로부터 전달 명령받은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신호로 변환해 상기 전력선을 통해 홈 네트워크 상으로 송출하는 상기 전력선 변환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댁내에 전력선을 통해 구현된 홈 네트워크 상의 댁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위성방송망을 통하여 원격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구를 받으면 이 원격 단말기측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로 인증 성공하면 위성방송망을 통하여 상기 원격 단말기에게 댁내기기 제어신호[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라고 요구하는 단계; 상기 댁내기기 제어신호 송신 요구 결과로 위성방송망을 통하여 상기 원격 단말기로부터 댁내기기 제어신호가 포함된 위성신호를 수신받으면 이 위성신호에 포함된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신호로 변환해 전력선을 통해 홈 네트워크 상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댁내에 전력선을 통해 구현된 홈 네트워크 상의 댁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댁내 사용자로부터 특정 댁내 기기를 제어할 것을 요구받으면 이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로 인증 성공하면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되는 댁내기기 제어신호[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신호로 변환해 전력선을 통해 홈 네트워크 상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디지털 위성방송 전송 시스템을 살펴보면, 송신국에서 여러 방송국으로부터의 방송송출신호를 조합하여, 위성을 통해 전송한 후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가 설치되어 있는 각 가입자들이 소유하고 있는 위성 안테나로 전송 받고,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가 전송받은 방송신호를 디코딩하여 TV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일반적인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와 홈 서버역할을 하는 모드로 동작하게 하려면, 다음의 전송 과정을 생각할 수 있다.
송신국에 전력사업자, 보안사업자, 인터넷/휴대폰/전화 사업자 등 홈네트워크 구성과 관련된 여러 사업자들이 연결되어 있고, 가입자로부터 외부에서 각 사업자를 통하거나 송신국으로 직접 연결되어 요청받은 신호들을 조합하여 DVB-S나 DVB-S2 방송/통신 프레임에 실어서 송출하게 된다. 프레임에 싣게 되는 과정에서, 가입자들마다 다르게 정보에 암호화가 되어 있어야 하며, 송출된 신호는 위성을 통해 전송,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 셋탑박스를 소지하고 있는 가입자들이 소유하고 있는 위성 안테나들로 신호가 전송될 것이며, 각 디지털 위성방송 수신 셋탑박스는 사용자 인증 절차 기능을 통하여, 해당 사용자만 해당 신호를 받게 된다. 이렇게 전송받은 신호는 디지털 위성방송 수신 셋탑박스의 내부나 외부에 장착될 전력선 변환장치에 의해 전력선 신호로 변환되어 연결되어 있는 가정 내 각 가전 기기들과 통신을 하게 된다.
또한, DVB-S2 규격에서 옵션으로 지원되는 양방향 통신 기능(DVB-RCS기능)을 구현해 둔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라면, 각 가전 기기들로부터 다시 거꾸로 전송받은 신호들을 이용하여 오류분석로그를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에 저장시켜둘 수도 있으며, 또한 RCS 기능을 통해 다시 위성을 통해 송신국, 각 사업자 및 가입자에게까지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 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메뉴 선택에 의하여 선택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변환장치(22)로 전달하거나, 홈 서버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원격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변환장치(22)에 전달하기 위한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21) 및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21)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한 후, 전력선을 통하여 전송하여 홈 네트워크의 해당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력선 변환장치(22)를 포함한다. 여기서,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는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의미한다.
이때, 전력선 변환장치(22)는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21) 내부에 장착할 수도, 외부에 연결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21)는 전력선 변환장치(22)와 연결된 상태에서 메뉴 선택에 의하여 홈 네트워크 내 가전기기나 정보기기들을 직접 제어할 수도 있고, 위성통신 방송망을 통하여 통신이 연결된 원격지 유무선 단말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홈 네트워크 내 가전기기나 정보기기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전력선 변환장치(22)를 통해 전송된 전력선 통신신호는 전력선을 통하여 홈 네트워크 내 가전기기나 정보기기들로 브로드캐스팅된다. 그러면, 각 가전기기나 정보기기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신호를 해석하고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후술되 는 도 3 및 도 4와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는, 위성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위성방송 송수신부(31)와,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21)를 구동시키고 제어하며, 입력부(키패드)(37)를 통하여 입력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 및/또는 홈 서버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위성통신 방송망을 통하여 원격지로부터 입력받은 원격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홈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변환장치(22)로 전달하기 위한 연산/제어부(32)와, 연산/제어부(32)의 제어신호에 따라,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11)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출력장치(스피커)(35)로 출력하고, 음성입력장치(마이크)(38)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을 신호로 변환하여 연산/제어부(32)로 전달하여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31)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하기 위한 코덱(CODEC)(33)과,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31)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파일 시스템(이미지, 캐릭터, 아이콘), 홈 네트워크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34)와, 코덱(CODEC)(33)으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스피커)(35)와, 연산/제어부(32)의 제어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LCD)(36)와, 버튼을 통해 전화번호, 메뉴선택정보,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 홈 네트워크 제어 모드 설정 요청 신호 등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키패드)(37)와, 음성을 입력받아 코덱(CODEC)(33)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성입력부(마이크)(38)를 포함 한다.
여기서, 연산/제어부(32)는 입력부(키패드)(37)를 통하여 입력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변환장치(22)로 전달하는 기능 및/또는 입력부(키패드)(37)를 통하여 입력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 모드 설정 요청 신호에 따라 홈 네트워크 제어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위성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지로부터 입력받은 원격제어신호에 상응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변환장치(22)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연산/제어부(32)는 위성통신 방송망을 통하여 원격지로부터 입력받은 원격 제어신호를 인식하여 그에 상응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21)가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 중에 연산/제어부(32), 입력부(키패드)(37), 저장부(34) 및 표시부(LCD)(36)를 포함하면 메뉴선택에 의하여 홈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표시부(LCD)(36)는 메뉴선택 화면 등을 출력해주기 위한 것으로, 음성출력부(35)를 포함하여 음성 안내 등을 이용한다면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21)가 연산/제어부(32), 입력부(키패드)(37), 저장부(34), 표시부(LCD)(36) 이외에 디지털 위성방송 송수신부(31)를 더 포함하면, 메뉴 선택에 의한 홈 네트워크 제어는 물론, 위성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지 단말기로부터의 원격 제어신호에 의하여 홈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으며, 그 외에 TV를 연결시키면,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 기능뿐만 아니라 일반적 인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의 기능, 즉 통신방송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중 전력선 변환장치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로서,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21)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고, 외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변환장치는,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21)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원인가부(43)로 전달하기 위한 전력선 통신 변환부(41)와, 전원인가부(43)로부터 전달받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21)의 충전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정류부(42) 및 전력선을 통하여 전달받은 교류를 정류부(42)로 전달하고, 전력선 통신 변환부(41)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선 통신신호를 전력선을 통하여 홈 네트워크의 해당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전원인가부(43)를 포함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21)가 홈 네트워크 제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원격지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을 요청받으면(501), 패스워드를 묻는 안내정보를 출력하여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502),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였는지 확인한다(503).
확인 결과(503),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21)가 홈 네트워크 제어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여 원격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504),입력받은 원격제어신호를 인식하여 그에 상응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로 변환한 후 전력선 변환장치(22)로 전달한다(505).
그러면, 전력선 변환장치(22)는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21)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전송하여(506), 홈 네트워크의 해당 기기를 제어한다. 이후, 호 종료 전까지 (504) 내지 (506)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홈네트워크의 여러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인증 성공 결과를 확인한 결과(503),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였을 경우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가 사용자 인증 실패를 사용자에게 알린다(507).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21)의 연산/제어부(32)가 입력부(키패드)(37)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직접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601), 부가적으로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 등을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602),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였는지 확인한다(603).
확인 결과(603),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 입력부(키패드)(37)를 통하여 입력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변환장치(22)로 전달한다(605).
그러면, 전력선 변환장치(22)는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21)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신호로 변환한 후 전력선을 통하여 전송하여(606), 홈 네트워크의 해당 기기를 제어한다.
한편, 사용자 인증 성공 결과를 확인한 결과(603),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였을 경우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가 사용자 인증 실패를 사용자에게 알린다(604).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21)를 이용하여 직접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에 홈 서버기능을 구현하고, 전력선 변환장치에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로부터의 홈 네트워크 제어 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최소한의 비용으로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댁내에 전력선을 통해 구현된 홈 네트워크 상의 댁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에 있어서,
    원격 단말기측으로부터 위성방송망을 통하여 댁내기기 제어신호[홈 네트워크 제어신호]가 포함된 위성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위성신호 수신수단; 및
    상기 위성신호 수신수단에서 수신받은 위성신호에 포함된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추출하고서, 전력선 변환장치에게 이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해당 댁내 기기로 전달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선 변환장치는 본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로부터 전달받은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신호로 변환해 전력선을 통해 홈 네트워크 상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는,
    댁내 사용자로부터 댁내기기 제어신호[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의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서 입력받은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해당 댁내 기기로 전달할 것을 전력선 변환장치에게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는,
    위성방송망을 통하여 원격 단말기측으로 특정 위성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위성신호 송신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의 제어수단은 전력선 변환장치에게 댁내기기 제어신호 전달 명령 결과로 이 전력선 변환장치를 통해 해당되는 댁내 기기로부터 수신받은 제어수행 응답신호를 상기 위성신호 송신수단을 통해 원격 단말기측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변환장치는,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내에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에 탑재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외장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5. 댁내에 전력선을 통해 구현된 홈 네트워크 상의 댁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위성방송망을 통하여 원격 단말기측으로부터 수신받은 위성신호에 포함된 댁내기기 제어신호[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추출하고서, 전력선 변환장치에게 이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해당 댁내 기기로 전달할 것을 명령하는 상기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및
    상기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로부터 전달 명령받은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신호로 변환해 상기 전력선을 통해 홈 네트워크 상으로 송출하는 상기 전력선 변환장치
    를 포함하는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는,
    원격 단말기측으로부터 위성방송망을 통하여 댁내기기 제어신호가 포함된 위성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위성신호 수신수단; 및
    상기 위성신호 수신수단에서 수신받은 위성신호에 포함된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추출하고서, 전력선 변환장치에게 이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해당 댁내 기기로 전달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7. 댁내에 전력선을 통해 구현된 홈 네트워크 상의 댁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위성방송망을 통하여 원격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구를 받으면 이 원격 단말기측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로 인증 성공하면 위성방송망을 통하여 상기 원격 단말기에게 댁내기기 제어신호[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라고 요구하는 단계;
    상기 댁내기기 제어신호 송신 요구 결과로 위성방송망을 통하여 상기 원격 단말기로부터 댁내기기 제어신호가 포함된 위성신호를 수신받으면 이 위성신호에 포함된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신호로 변환해 전력선을 통해 홈 네트워크 상으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홈 네트워크 상으로 송출한 결과로 해당되는 댁내 기기로부터 제어수행 응답신호를 수신받으면 이 제어수행 응답신호를 위성신호에 실어서 위성방송망을 통하여 상기 원격 단말기측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9. 댁내에 전력선을 통해 구현된 홈 네트워크 상의 댁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댁내 사용자로부터 특정 댁내 기기를 제어할 것을 요구받으면 이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로 인증 성공하면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되는 댁내기기 제어신호[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댁내기기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신호로 변환해 전력선을 통해 홈 네트워크 상으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KR1020060069950A 2005-12-01 2006-07-25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및 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KR100789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25073A EP1793585A3 (en) 2005-12-01 2006-11-30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set-top box, and home network control system employing the same
US11/607,637 US20070130598A1 (en) 2005-12-01 2006-11-30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set-top box, and home network control system emplo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6049 2005-12-01
KR1020050116049 2005-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638A true KR20070057638A (ko) 2007-06-07
KR100789782B1 KR100789782B1 (ko) 2007-12-28

Family

ID=3835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950A KR100789782B1 (ko) 2005-12-01 2006-07-25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및 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7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984B1 (ko) * 2010-12-30 2012-03-12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셋탑박스를 이용한 지능형 전력 사용량 측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446B1 (ko) * 2001-04-14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데이터 전송방법
KR100407051B1 (ko) * 2001-11-16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
KR20050121474A (ko) * 2004-06-22 2005-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셋탑박스의 대기 모드에서 디지털 방송 정보를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85963B1 (ko) * 2004-08-31 2006-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부가 데이터를 이용하는 연동형 방송서비스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인핸스드 방송 서비스 시스템
KR100667153B1 (ko) * 2004-11-25 2007-0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한 원격 가전기기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984B1 (ko) * 2010-12-30 2012-03-12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셋탑박스를 이용한 지능형 전력 사용량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9782B1 (ko) 200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30598A1 (en)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set-top box, and home network control system employing the same
RU2375834C2 (ru) Способ,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и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е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й коммуникации и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и в среде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го дома"
JP5794332B2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並びにシステム
JP4207900B2 (ja) リモコン・システム、リモート・コマンダ、並びにリモコン・サーバ
US9406221B2 (en) Programming a universal remote control via direct interaction
US9111439B2 (en) Programming a universal remote control via direct interaction
US20040072584A1 (en) Wireless distribution of multimedia content
JPH09162818A (ja) テレビジョン放送装置、テレビジョン放送方法、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方法、遠隔制御装置および遠隔制御方法
US916724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mote diagnostics to a television receiver
JP4148555B2 (ja) 遠隔制御信号をコンピュータ・キーボード信号に変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789782B1 (ko)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및 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JPH11284757A (ja) 携帯電話リモコンシステム
KR100685985B1 (ko)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휴대형 단말장치,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프로그램 실행 방법
US200400648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peech recognition control unit
EP21405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6082348A1 (zh) 一种实现电视节目无线传输的方法和机顶盒
KR20100042907A (ko) 이동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한 iptv 원격 제어방법 및 iptv 제어서버
KR100738205B1 (ko) Dmb 애플리케이션 수용을 위한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포함되어 있는 dmb 모듈
KR102564659B1 (ko) 셋탑박스를 위한 서버기반 동적 모드셋 시스템
KR20090030153A (ko) Iptv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90620A (ko)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20066100A (ko) 인터넷 텔레비전
KR20080001544A (ko) 공연장 전용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데이터 시스템
KR100977133B1 (ko) 기가대역 무선 영상 전송 시스템
US20070043460A1 (en) Apparatus for audiocasting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