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620A -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620A
KR20050090620A KR1020040015783A KR20040015783A KR20050090620A KR 20050090620 A KR20050090620 A KR 20050090620A KR 1020040015783 A KR1020040015783 A KR 1020040015783A KR 20040015783 A KR20040015783 A KR 20040015783A KR 20050090620 A KR20050090620 A KR 20050090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15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0620A/ko
Publication of KR20050090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62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3Mains power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 홈 서버 기능을 구현하고, 충전기에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의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하여, 최소한의 비용으로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충전기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 및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전송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의 해당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충전기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its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단말기에 홈 서버 기능을 구현하고, 충전기에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의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하여, 최소한의 비용으로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단말기란 이동통신단말기, 개인휴대통신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홈 서버)이란 집안의 가전기기나 정보기기의 각종 정보를 모아 외부의 통신망과 연결하는 일종의 '정류장'으로서, 집안에서는 물론 밖에서도 가정 내 모든 가전기기나 정보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현재 홈 서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톱박스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디지털 텔레비전, 냉장고, 오디오, 홈 네트워크용 전용 서버(PC) 등과 같은 여러가지의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홈 서버의 조건은 홈 네트워크 내 기기들과의 연결이 쉽고, 비용이 적게 들며, 설치가 간편하여야 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로 사용되는 셋톱박스, 홈 네트워크용 전용 서버 등의 경우에는 별도의 장비를 구입하여야 하고, 비용이 높으며, 유무선 제어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유선 제어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는 각 장치와 홈 서버 간에 배선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이동 및 설치가 불편하였다. 또한, 무선 제어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경우에는 주파수 간섭에 의한 오동작 가능성이 있으며, 무선 칩의 가격이 고가이고, 액세스 포인트 설치에 따른 별도의 배선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널리 친숙하게 사용하는 무선통신단말기에 홈 서버 기능을 구현하고, 가격이 저렴하고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한 전력선 통신(PLC)을 제어 인터페이스로 사용한다면 최소한의 비용으로 효율적인 홈 서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단말기에 홈 서버 기능을 구현하고, 충전기에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의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하여, 최소한의 비용으로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충전기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 및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전송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의 해당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충전기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가 홈 네트워크 제어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원격지 단말기로부터 호 연결을 요청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원격제어 인증 단계; 상기 무선통신단말기가 사용자 인증에 성공함에 따라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원격제어신호 입력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단말기가 상기 입력받은 원격제어신호를 인식하여 상응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로 변환한 후 충전기로 전달하여, 상기 충전기가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전송하여 홈 네트워크의 해당 기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가 입력장치를 통하여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홈 네트워크 제어 요청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단말기가 상기 입력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충전기로 전달하여, 상기 충전기가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전송하여 홈 네트워크의 해당 기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메뉴 선택에 의하여 선택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충전기(22)로 전달하거나, 홈 서버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원격지로부터의 제어신호(예 : 듀얼 톤 다중 주파수(DTMF : 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에 상응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충전기(22)로 전달하기 위한 무선통신단말기(21) 및 무선통신단말기(21)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전송하여 홈 네트워크의 해당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충전기(22)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1)는 충전기(22)와 연결된 상태에서 메뉴 선택에 의하여 홈 네트워크 내 가전기기나 정보기기들을 직접 제어할 수도 있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통화가 연결된 원격지 유무선 단말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홈 네트워크 내 가전기기나 정보기기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때, 원격지 유무선 단말기로부터의 제어신호는 듀얼 톤 다중 주파수(DTMF : 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음성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에는 듀얼 톤 다중 주파수(DTMF) 신호를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기능 및/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충전기(22)에 무선통신단말기(21)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홈 네트워크에 연결이 가능하므로 매우 편리하다.
한편, 상기 충전기(22)에서 전송한 전력선 통신 신호는 전력선을 통하여 홈 네트워크 내 가전기기나 정보기기들로 브로드캐스팅된다. 그러면, 각 가전기기나 정보기기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 신호를 해석하고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전력선 통신(PLC : Power Line Communication)이란 가정이나 사무실에 포설되어 있는 전력선을 통하여 통신 신호를 100KHz~30MHz의 고주파 신호로 바꿔 실어 보내고, 수신측에서는 이를 고주파 필터를 이용하여 따로 분리해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을 말한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전력은 60Hz의 교류 신호로서, 일반적인 가전기기는 전력변환기(트랜스포머)를 통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하며, 전력선 통신에서의 고주파 신호는 저출력의 신호이므로 일반 가전기기나 정보기기의 작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전력선 통신(PLC)의 장점은 별도의 통신 선로가 불필요하고, 콘센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 때, 전력선 통신 제어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프로토콜로는 X10 프로토콜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장치(31),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를 구동시키고 제어하며, 입력장치(키패드)(37)를 통하여 입력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 및/또는 홈 서버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지로부터 입력받은 원격제어신호에 상응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충전기(22)로 전달하기 위한 연산/제어장치(32), 상기 연산/제어장치(32)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선송수신장치(11)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출력장치(스피커)(35)로 출력하고, 음성입력장치(마이크)(38)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을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연산/제어장치(32)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송수신장치(31)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하기 위한 코덱(CODEC)(33),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파일 시스템(이미지, 캐릭터, 아이콘), 홈 네트워크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34), 상기 코덱(CODEC)(33)으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장치(스피커)(35), 상기 연산/제어장치(32)의 제어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장치(LCD)(36), 버튼을 통해 전화번호, 메뉴선택정보,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 홈 네트워크 제어 모드 설정 요청 신호 등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치(키패드)(37),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코덱(CODEC)(13)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성입력장치(마이크)(38)를 포함한다.
상기 연산/제어장치(32)는, 입력장치(키패드)(37)를 통하여 입력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충전기(22)로 전달하는 기능 및/또는 상기 입력장치(키패드)(37)를 통하여 입력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 모드 설정 요청 신호에 따라 홈 네트워크 제어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지로부터 입력받은 원격제어신호에 상응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상기 충전기(22)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연산/제어장치(32)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지로부터 입력받은 원격제어신호는 듀얼 톤 다중 주파수(DTMF) 신호 또는 사용자 음성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연산/제어장치(32)는 듀얼 톤 다중 주파수(DTMF) 신호 또는 사용자 음성 형태의 원격제어신호를 인식하여 상응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21)가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 중에 연산/제어장치(12), 입력장치(키패드)(37), 저장장치(34) 및 표시장치(LCD)(36)를 포함하면 메뉴 선택에 의하여 홈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표시장치(LCD)(36)는 메뉴 선택 화면 등을 출력해주기 위한 것으로, 음성출력장치(35)를 포함하여 음성 안내 등을 이용한다면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21)가 연산/제어장치(12), 입력장치(키패드)(37), 저장장치(34), 표시장치(LCD)(36) 이외에 무선송수신장치(31)를 더 포함하면, 메뉴 선택에 의한 홈 네트워크 제어는 물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지 단말기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에 의하여 홈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으며, 그외에 코덱(CODEG)(33), 음성입력장치(마이크)(38) 및 음성출력장치(스피커)를 더 포함하면,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 기능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무선통신단말기의 기능, 즉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는, 무선통신단말기(21)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원인가부(43)로 전달하기 위한 전력선 통신 변환부(41), 전원인가부(43)로부터 전달받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무선통신단말기(21)의 충전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정류부(42), 및 전력선을 통하여 전달받은 교류를 정류부(42)로 전달하고, 전력선 통신 변환부(41)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전력선을 통하여 홈 네트워크의 해당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전원인가부(43)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1)가 홈 네트워크 제어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원격지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을 요청받으면(501), 패스워드를 묻는 안내 정보를 출력하여 듀얼 톤 다중 주파수(DTMF) 신호 또는 음성 신호 형태의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502).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502),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였으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린 후 종료한다(503,507). 이 때, 일정 횟수만큼 패스워드의 재입력을 요구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502),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였으면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1)는 홈 네트워크 제어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여 듀얼 톤 다중 주파수(DTMF) 신호 또는 음성 신호 형태의 원격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503,504).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1)는 상기 입력받은 듀얼 톤 다중 주파수(DTMF) 신호 또는 음성 신호 형태의 원격제어신호를 인식하여 상응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로 변환한 후 충전기(22)로 전달한다(505).
그러면, 상기 충전기(22)는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1)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전송하여(506), 홈 네트워크의 해당 기기를 제어한다. 이후, 호 종료 전까지 "504" 내지 "506"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홈 네트워크의 여러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1)의 연산/제어장치(32)가 입력장치(키패드)(37)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직접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601), 부가적으로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 등을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602).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602),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였으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린 후 종료한다(603,604). 이 때, 일정 횟수만큼 패스워드의 재입력을 요구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602),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였으면 상기 입력장치(키패드)(37)를 통하여 입력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충전기(22)로 전달한다(603,605).
그러면, 상기 충전기(22)는 상기 무선통신단말기(21)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전송하여(606), 홈 네트워크의 해당 기기를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무선통신단말기(21)를 이용하여 직접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식이므로 사용자 인증 과정에 해당하는 "602" 내지 "604"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 홈 서버 기능을 구현하고, 충전기에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의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하여, 최소한의 비용으로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셋톱박스를 이용한 홈 서버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1 : 무선통신단말기 22 : 충전기
31 : 무선송수신장치 32 : 연산/제어장치
33 : 코덱(CODEC) 34 : 저장장치
35 : 음성출력장치(스피커) 36 : 표시장치(LCD)
37 : 입력장치(키패드) 38 : 음성입력장치(마이크)
41 : 전력선 통신 변환부 42 : 정류부
43 : 전원인가부

Claims (10)

  1.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충전기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 및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전송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의 해당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충전기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는,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상기 충전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하여 호가 연결된 원격지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원격제어신호에 상응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상기 충전기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 또는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하여 호가 연결된 원격지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원격제어신호에 상응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상기 충전기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원격제어신호를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듀얼 톤 다중 주파수(DTMF) 신호 형태의 원격제어신호를 인식하여 상응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원격제어신호를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여 상응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원인가부로 전달하기 위한 전력선 통신 변환부;
    상기 전원인가부로부터 전달받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의 충전부로 전달하기 위한 정류부; 및
    상기 전력선을 통하여 전달받은 교류를 상기 정류부로 전달하고, 상기 전력선 통신 변환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전력선을 통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의 해당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전원인가부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8.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가 홈 네트워크 제어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원격지 단말기로부터 호 연결을 요청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원격제어 인증 단계;
    상기 무선통신단말기가 사용자 인증에 성공함에 따라 상기 원격지 단말기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원격제어신호 입력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단말기가 상기 입력받은 원격제어신호를 인식하여 상응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로 변환한 후 충전기로 전달하여, 상기 충전기가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전송하여 홈 네트워크의 해당 기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9.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가 입력장치를 통하여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홈 네트워크 제어 요청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단말기가 상기 입력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충전기로 전달하여, 상기 충전기가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전송하여 홈 네트워크의 해당 기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 요청 단계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에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홈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KR1020040015783A 2004-03-09 2004-03-09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50090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783A KR20050090620A (ko) 2004-03-09 2004-03-09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783A KR20050090620A (ko) 2004-03-09 2004-03-09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620A true KR20050090620A (ko) 2005-09-14

Family

ID=3727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783A KR20050090620A (ko) 2004-03-09 2004-03-09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06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6501A (ko) * 2010-08-16 201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무선 등록 요청 디바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6501A (ko) * 2010-08-16 201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무선 등록 요청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7508B2 (en)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ent display system and content display method
JP4170222B2 (ja) 家庭用電気機器ネットワーク
RU2375834C2 (ru) Способ,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и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е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й коммуникации и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и в среде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го дома"
KR2008005368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0184471A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方式
CN102455799A (zh) 移动终端控制数字电视接收终端的方法、装置和系统
EP1793585A2 (en)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set-top box, and home network control system employing the same
CN105163371A (zh) 基于蓝牙的wifi设置系统及方法
KR100700537B1 (ko) 가정용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시스템 및방법
CN102737489A (zh) 一种遥控器及遥控系统及基于该遥控系统的控制方法
CN106023566B (zh) 一种基于语音识别的蓝牙遥控装置、系统及方法
US20080001774A1 (en) Remote control with UPnP suppor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JP2003259463A (ja) 情報家電制御装置
KR100510122B1 (ko) 음성인식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정용 기기 제어방법
CN200997604Y (zh) 电力传输线通讯系统
KR101136875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일괄 알람 설정 기능을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일괄 알람 설정을 하는 방법
KR20050090620A (ko)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60077418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제어 방법
CN108133587A (zh) 一种终端控制方法及系统
JP5209626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KR100605638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장치
KR10151723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송신 시스템
KR100789782B1 (ko) 디지털 위성방송 셋탑박스 및 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KR20060084546A (ko) 원격 음성인식 제어 시스템
KR20130064973A (ko) 스마트폰의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