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351A - 점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점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351A
KR20070057351A KR1020050116688A KR20050116688A KR20070057351A KR 20070057351 A KR20070057351 A KR 20070057351A KR 1020050116688 A KR1020050116688 A KR 1020050116688A KR 20050116688 A KR20050116688 A KR 20050116688A KR 20070057351 A KR20070057351 A KR 20070057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voice
camera
mobile communic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16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7351A/ko
Publication of KR20070057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점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점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점자 이미지를 판독하여 문자로 변환하고, 이 문자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음성처리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점자를 인식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므로, 시각 장애인이 편리하게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점자, 시각, 장애인, 카메라, 인식, TTS, 이동통신단말기, 문자.

Description

점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이동통신단말기 {Mobile phone for transforming braille into vo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점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메모리 140 제어부
150 무선회로부 160 스피커 구동부
170 카메라 142 점자변환부
144 TTS부
본 발명은 점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점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점자를 인식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음성통화만이 가능하였으나, 최근들어 통신 기술 및 이동통신단말기 제작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 이동통신단말기가 상용화되고 있다. 최근에 상용화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을 전달하는 통화기능 이외에 이동통신단말기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E-mail, 대금결제 등 다양한 기능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사물의 형상을 찍는 카메라폰 기능과 자신의 형상을 카메라로 찍어 상대방에게 전송해 주는 화상 이동통신단말기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시각 장애인의 편의를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점자를 인식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27799호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점자 인식 장치와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은 단말기를 통해 전화번호와 이름 등의 정보가 점자로 새겨진 명함을 인식하여, 전화번호부에 등록하거나 전화 발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그러나, 이 발명을 포함한 종래 기술은 점자 인식을 위한 별도의 점자인식부를 더 구비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점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이 구체적으로 제안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카메라 기능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고,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TTS(Text To Speech)기능이 포함된 이동통신단말기도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점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점자 이미지를 인식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점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점자 이미지를 판독하여 문자로 변환하고, 이 문자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음성처리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점자 이미지를 판독하여 문자로 변환하는 점자변환부와, 상기 점자변환부로부터 변환된 문자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TTS(Text To Speech)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무선회로부(150), 음성처리부(160), 카메라(170) 등을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키패드, 조그셔틀, 포인트스틱,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표시부(120)는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주로 사용된다.
메모리(13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무선회로부(150)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 도록 하기 위한 회로이다.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송하는 호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170)는 사물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170)는 점자를 촬영한다. 참고로 점자는 일정한 패턴이 있는 문자이므로 일반 문자를 인식하는 것과는 달리 카메라(170)를 통해 입력된 점자의 인식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음성처리부(160)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음성처리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SP)를 통해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40)에는 또한 무선회로부(150)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의 처리를 위한 기저대역신호처리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카메라(170)로부터 촬영된 점자 이미지를 판독하여 문자로 변환하고, 이 문자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어부(140)의 내부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 구성도이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점자변환부(142)와 TTS(Text To Speech)부(1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점자변환부(142)는 카메라(170)로부터 입력된 점자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점자에 대응하는 문자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TTS부(144)는 점자변환부(142)에서 변환된 문자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TTS부(144)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는 음성처리부(160)를 거쳐 스피커(SP)를 통해 출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점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170)를 통해 점자를 촬영한다(S310). 촬영된 점자 이미지를 판독하여 문자로 변환한다(S320). 변환된 문자를 음성신호로 변환한다(S330). 스피커(SP)를 통해 음성을 출력한다(S340).
이러한 방법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점자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점자를 인식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므로, 시각 장애인이 편리하게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기 사업자로서도 약 20만명으로 추산되는 국내 시각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단말기 매출이 증가하는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점자인식부를 구비하지 않고 기존의 카메라와 간단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점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점자 이미지를 판독하여 문자로 변환하고, 이 문자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음성처리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점자 이미지를 판독하여 문자로 변환하는 점자변환부와, 상기 점자변환부로부터 변환된 문자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TTS(Text To Speech)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50116688A 2005-12-02 2005-12-02 점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57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688A KR20070057351A (ko) 2005-12-02 2005-12-02 점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688A KR20070057351A (ko) 2005-12-02 2005-12-02 점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351A true KR20070057351A (ko) 2007-06-07

Family

ID=3835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688A KR20070057351A (ko) 2005-12-02 2005-12-02 점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735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856B1 (ko) * 2014-01-07 2015-04-2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자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시스템
KR20160028867A (ko) 2014-09-04 2016-03-14 이태희 점자 음성변환 장치
WO2020149501A1 (ko) * 2019-01-17 2020-07-23 (주)에이티소프트 전자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393361B1 (en) 2021-12-10 2022-07-19 Prince Mohammad Bin Fahd University Braille reader system using deep learning framework
KR102464263B1 (ko) * 2022-06-14 2022-11-09 주식회사 네츠로 전자 등기 발송 장치 및 방법
KR20230085528A (ko) 2021-12-07 2023-06-1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자 이미지의 해석장치 및 음성출력 장치, 점자 이미지 처리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856B1 (ko) * 2014-01-07 2015-04-2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자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시스템
KR20160028867A (ko) 2014-09-04 2016-03-14 이태희 점자 음성변환 장치
WO2020149501A1 (ko) * 2019-01-17 2020-07-23 (주)에이티소프트 전자문서의 점자 변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85528A (ko) 2021-12-07 2023-06-1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자 이미지의 해석장치 및 음성출력 장치, 점자 이미지 처리방법
US11393361B1 (en) 2021-12-10 2022-07-19 Prince Mohammad Bin Fahd University Braille reader system using deep learning framework
KR102464263B1 (ko) * 2022-06-14 2022-11-09 주식회사 네츠로 전자 등기 발송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509B1 (ko) 통신단말장치
KR100678206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감정표시 방법
KR102072542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070057351A (ko) 점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이동통신단말기
EP1838099A1 (en) Image-based commun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US20040097261A1 (en) Portable terminal and announcement method
KR1006898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명함인식을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
JP2007199908A (ja) 顔文字入力装置
JP2005072734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該携帯端末に用いられる画像表示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073526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 출력 방법
JP2008010935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2006319618A (ja) インターホン応答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5008160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쳐 방법
JP4146700B2 (ja) 携帯端末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印刷媒体
KR20050087597A (ko) 입력 인터페이스 모드에 따라 전자 터치 인터페이스들을화면과 별도의 영역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KR20060114137A (ko) 문자 인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호처리 방법
JP4419493B2 (ja) 指紋読取装置、同装置に用いられる指紋読み取り状況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78027B1 (ko)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영상처리방법
KR2006003791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촬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이동통신단말기
KR2006012391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KR20060123917A (ko) 빛의 밝기에 따른 색 설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이동 통신단말기
KR10056090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정보 표시 방법
JP5061838B2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2004320403A (ja) 携帯電話機および状態呈示方法
JP5294329B2 (ja) 電話システム及び外部端末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