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085A - 올레핀 공중합체 기재 열-용해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올레핀 공중합체 기재 열-용해 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085A
KR20070057085A KR1020067025959A KR20067025959A KR20070057085A KR 20070057085 A KR20070057085 A KR 20070057085A KR 1020067025959 A KR1020067025959 A KR 1020067025959A KR 20067025959 A KR20067025959 A KR 20067025959A KR 20070057085 A KR20070057085 A KR 20070057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copolymer
polypropylene
c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릭신 선
엔리코 엘. 부에나코사
짐 해슬먼
Original Assignee
헌츠만 폴리머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헌츠만 폴리머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헌츠만 폴리머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57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4Phenols containing ester groups
    • C08K5/1345Carboxylic esters of phenol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8But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24Graft or block copolymers according to groups C08L51/00, C08L53/00 or C08L55/02;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용해 접착제를 기초로한 폴리올레핀의 신규한 종류 및 그것의 생산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결합 강도, 부착 특성, 및 가공성의 양호한 균형을 갖는 열-용해 접착제의 신규한 종류에 관한 것인데, 이것은 예를 들면, 탄성 부착 접착제로서 어떠한 열-용해 접착제의 응용을 위해 그것들을 특히 적절하게 한다.
프로필렌 공중합체, 결합 강도, 점착 부여제 수지, 기능적 중합체

Description

올레핀 공중합체 기재 열-용해 접착제 조성물 {HOT-MELT ADHESIVE COMPOSITIONS BASED ON OLEFIN CO-POLYMER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 중합체 및 그것의 생산물의 최종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접착제 및 그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상기 접착제는 결합 강도, 부착 특성, 및 가공성의 양호한 균형을 갖는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용해 접착제이다.
종래의 열-용해 접착제는 특성의 소정의 균형을 성취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중합체 (통상적으로 SIS, SBS 또는 SEBS 블록 공중합체), 수지, 점착 부여제, 오일, 왁스 및 다른 첨가제 같은 여러 성분을 사용하여 조제되었다. 이러한 넓은 범위의 물질의 제제화 및 융합에 의해 생산된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고가 (expensive)이다. 현재, 탄성 접착제로서 이러한 적용을 위한 접착제는 고가의 비-폴리올레핀 성분들의 제제화에 의해 독점적으로 만들어진다.
폴리올레핀-기재 열-용해 접착제는 수년 동안 발전해왔고 상업화되어왔다. 시판용 제품의 한 예는 헌츠만 폴리머스 코포레이션에 의해 공급된 REXTACTM 수지이다. 폴리올레핀 기재 열-용해 접착제를 생산하기 위한 조성, 과정 및 방법은 미국 특허 4,859,757호 및 4,847,340호를 포함하는 다수의 특허에서 개시되어왔다. 이들 폴리올레핀은 다수의 건축용 접착제 적용에서 유용한 반면, 그것들은 기저귀 및 다른 일회용 개인 위생 제품에서 사용되는 탄성 접착제 같은 특정한 다른 생산물의 최종 용도의 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균형적인 특성을 갖지 못한다. 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중대한 성질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SPANDEX® 탄성체 및 부직포 물품에서 사용하는 다른 탄성 물질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에 허용가능한 부착력과 반복된 변형에 저항하기 위해 수반되는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양호한 부착 강도를 포함한다.
US 2002/0123726은 아이소탁틱 (isotactic) 폴리프로필렌 및 아탁틱 (atactic) 폴리프로필렌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개시했다. 상기 조성물은 탄성 복합재 적층판 제조에서 특정한 향상된 수행 성질을 갖기 위해 청구되었다. 그러나, 탄성 부착 접착제로서 상기 조성물의 유용성은 보통은 극성 중합체로 제조되는 SPANDEX® 탄성 가닥 (strands)에 대한 그것의 고유한 불량한 점착성 때문에 매우 제한적일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WO 97/39075는 폴리부텐,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점착부여제 수지, 가소제, 점도 감소제로서의 왁스, 및 안정화제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개시했다. 게다가, 탄성 부착 접착제로서 상기 조성물의 유용성은 SPANDEX® 탄성 가닥에 대한 그것의 고유한 불량한 점착성 때문에 매우 제한적일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4개의 성분을 포함하는, 접착제로서 유용한 물질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첫번째 성분은 폴리프로필렌 성분으로, 이것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3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사이의 어떠한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성분은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어느 둘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어느 혼합물, 또는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두번째 성분은 점착 부여제 수지 성분으로,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중량% 내지 약 60 중량% 사이의 어떠한 양으로 존재한다. 세번째 성분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중량% 내지 약 40 중량% 사이의 어떠한 양으로 존재하는 기능적 (functionalized) 중합체 성분이다. 네번째 성분은 안정화제 성분으로,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중량% 내지 약 1 중량% 사이의 어떠한 양으로 존재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유용한 열-용해 접착제 조성물을 가리키며, 이것은 무엇보다도 부직포 탄성 복합재에 결합하기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접착제가 탄성 가닥과 기질 간에서 "포인트 결합 (point bonding)"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적용되는 응용 기술을 사용하는 용도에서 특히 적절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는 전-스트레치된 (pre-stretched) 탄성 가닥 상에 소용돌이 무늬로 적용될 수 있고, 그 후 탄성 복합재를 형성하기 위해 기질에 적층된다. 본 발명은 열-용해 접착제 기재 폴리올레핀을 생산하기 위한 신규하고, 경제적인 방침을 제공한다.
본 설명의 열-용해 접착제 조성물은 프로필렌 공중합체, 점착 부여제 수지, 기능적 폴리올레핀, 및 하나 이상의 중합체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기저귀 같은 일회용, 부직포 물품을 위한 탄성 부착 응용에서 그것들을 특히 유용한 만드는 수행 성질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현재 이들 응용에서 이용되는 종래의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기초 접착제와 비교해서 열 안정성 같은 특정 물리적 성질에서의 개선을 제공한다.
탄성 부착 접착제에 요구되는 중대한 성질은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물품, 및 SPANDEX® 탄성 가닥 같은 탄성 가닥에 대한) 양호한 점착성, 양호한 부착 강도, 및 변형에 대한 특정 유연성을 포함한다고 생각된다. 현재는, 이러한 성질을 갖는 수지를 제공하는 것은, 균형있는 성질을 얻기 위해, SIS, SBS, 또는 SEBS 같은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또는 점착 부여제, 오일 또는 왁스, 및 다른 첨가제를 전형적으로 함유하는 고가의 비-폴리올레핀 성분을 함유하는 제제를 요구한다.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상기 특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기재 조성물을 고안하였고, 그것의 특성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부직포 물품에서 탄성 부착 응용에 유용하도록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제공된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a) 프로필렌 공중합체 30 중량% 내지 90 중량%; b) 점착 부여제 수지 10 중량% 내지 60 중량%; c) 기능적 중합체 0 중량% 내지 40 중량%; 및 d) 안정화제 0.01 중량% 내지 1 중량%.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과 C2 또는 C4 - C20 알켄으로부터 선택되는 다른 알파-올레핀 코모노머의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한 코모노머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이다. 가장 바람직한 코모노머는 1-부텐이다. 프로필렌 공중합체에서 코-모노머의 함량은 약 0 중량% 내지 60 중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50 중량%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내지 45 중량% 이다.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시차 주사 열량계 (DSC)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낮은 결정도를 가져야 한다. 융해열은 ASTM 방법 D-3417에 따른 DSC로 측정되었을 때 약 0 내지 50 J/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J/g 이어야 한다.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로 측정되었을 때, 10,000 내지 1,000,000,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100,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40,000 내지 80,000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브룩필드 점성도계 (Brookfield Viscometer)에 의해 측정되었을 때, 375℉에서 1,000 내지 1,000,000 cps, 바람직하게는 375℉에서 2,000 내지 8,000 cps, 가장 바람직하게는 375℉에서 3,000 내지 5,000 cps의 용해 점성도를 가져야 한다.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지글러-나타 (Ziegler-Natta) 촉매 또는 메탈로센 (metallocene) 촉매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지글러-나타 촉매는 당업자에게 알려졌고, 일반적으로 원소의 주기율표의 Ⅰ 내지 Ⅲ 금속 군의 염기 금속 알킬, 및 Ⅳ 내지 Ⅶ 금속 군의 전이 금속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촉매의 종류를 말한다. 지글러-나타 촉매는 기본적으로, 예를 들면, 티타늄, 크롬 또는 바나듐의 전이 금속의 할로겐 화합물과 금속 알킬로부터 유래된 복합체로 통상적으로 유기알루미늄 화합물이다. 통상적인 발전된 지글러-나타 촉매는 일반적으로 마그네슘 화합물 상에서 지지된 티타늄 할로겐 화합물을 포함한다. 메탈로센 촉매는 그것의 구조에서 전이 금속에 배위된 적어도 하나의 시클로펜타디에닐 리간드를 함유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알려졌다. 경제적으로 고려하여, 본 발명의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람직한 촉매는 지글러-나타 촉매이다.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회분식 또는 연속 모드로, 기체 상, 슬러리, 벌크 및 용액 과정을 포함하여 종래의 폴리올레핀 제조 방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폴리올레핀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당업자에게 알려졌다. 바람직한 과정은 "액상 풀 (liquid pool)" 벌크 중합 과정으로 중합반응이 액상 프로필렌의 매질에서 수행된다.
점착 부여제 수지 성분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점착 부여제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점착 부여제 수지는 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양립가능해야하고, 조성물의 특이적 점착력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탄화수소, 로진, 로진 에스테르, 합성 폴리-테르펜 및 천연 테르펜으로부터 유래된 것 같은 대부분의 시판용 점착 부여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바람직한 점착 부여제는 올레핀 중합체와 최고의 양립성을 갖는 것으로 발견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이다. 접착제 블렌드에서 점착 부여제 수지의 적절한 양은 약 5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30 중량%이다.
기능적 중합체 성분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에서 기능적 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 및 부가된 청구항의 목적을 위해, 용어 "기능적 중합체"는 그것의 구조에서 극성기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폴리우레탄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적 중합체는 SPANDEX® 탄성 가닥에 접착제 조성물의 부착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기능적 중합체는 접착제 조성물에서 반드시 다른 성분과 함께 양립가능해야 한다. 바람직한 기능적 중합체는 무수 말레인산 같은 극성 모노머와 함께 공-중합되거나 그래프트된 폴리올레핀 백본 (backbone)을 갖는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기능적 중합체는 무수 말레인산과 함께 그래프트된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이다.
안정화제 성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공정 및 저장 동안에 분해로부터 중합체를 보호하고, 최종 산물의 유효 기간 동안에 접착제의 보전을 유지하기 위해,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1 중량%의 범위 내에서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적절한 안정화제들을 함유한다. 여기서 유용한 안정화제는 장해 (hindered) 페놀 또는 장해 페놀과 인산염의 결합물이다. 이러한 안정화제들은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에 사용되고,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졌다.
상기 모든 성분을 포함하여, 접착제 성분은 접착 목적을 위해 선택된 기질에 적용되기 전에 균질한 블렌드를 만들기 위해 교반기, 순환 펌프, 및 정적 (static) 믹서 같은 기계적인 혼합의 어떠한 적절한 수단에 의해 약 300℉ 내지 400℉ 사이의 범위 내의 상승된 온도에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라, 최종 접착제 조성물은 375℃에서 측정된 약 1,000 내지 20,000 cps의 용해 점성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기는 용해 점성도는 약 2,000 내지 8,000 cps 사이이다. 더욱 바람직하기는 용해 점성도는 약 2,000 내지 4,000 cps 사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라, 접착제 조성물은 50 내지 400 psi, 바람직하기는 100 내지 300 psi의 장력 강도, 그리고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 (TBD)의 장력 신장을 가져야 한다.
사용된 시험 방법
용해 점성도 (MV)는 ASTM D-3236에 따라 Brookfield THERMOCEL® 점도계 (RVTDV-I)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경도 (hardness)의 측정법인 바늘 투과 (Needle Penetration:NP)는 ASTM D-1321에 따른 Universal Penetrometer Model HPT 735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측정되었다.
접착제 재료의 내열 측정법인 환구식 연화점 (Ring and Ball Softening Point: RBSP)은 ASTM E-28에 따른 Herzog MC 754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용해된 접착제를 크라프트와 크라프트지 기질 결합에 적용할 때, 경화 또는 경과 시간인 개시 시간 (Open Time)은 변형된 ASTM D-4497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중합체에서 코모노머 함량 (1-부텐% 또는 에틸렌%)은 니콜레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계 5DXC (Nicolet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5DXC)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표본은 염화나트륨 결정상의 중합체의 용해 축소에 의해 직경 30mm으로 제조되었다.
융해점 및 융해열은 ASTM D-3417에 따른 Perkin Elmer PDSC-A-S 계기상의 시차 주사 열량계 (DSC)에 의해 측정되었다.
장력 특성은 Class B-1 비디오 신장계 (video extentiometer) (ASTM D-638-98) 설비를 갖춘 Instron 5565 상에서 측정되었다. 표본은 예를 들면, 8.0 인치 × 8.0 인치로 성형 평판의 압착, 0.5 인치 × 6.0 인치로의 다이-컷 및 50%±5% 습도 통제실에서 23℃±2℃에서, 40-시간 동안의 조절됨에 의해 제조되었다.
내크리프성 (Creep Resistance)은 2개의-적층 기질 상의 탄성 가닥 또는 섬유 상의 긴장 하의 압력을 견디기 위한 접착제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이다. 낮은 크리프 값은 두 기질 사이의 탄성 가닥 또는 섬유를 유지하기 위한 접착제의 강한 유지 능력을 나타낸다. 시험 표본은 탄성 가닥 예를 들면, 두 기질 사이에서 평행한 3개의 가닥에 접착제를 적용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시험은 38℃±4℃에서 이완 상태로부터 300% 긴장하에 표본 상에서 실시되었다. 계산은 다음과 같다:
크리프 % = (L개시-L종결) 100/L최초@300%
여기서:
L개시= 에이징 (Aging) 전 300% 신장된 탄성 가닥의 길이
L종결= 에이징 후 탄성 가닥의 길이
L최초@300%= 300% 신장된 표본의 길이
= (Lo/ 100+300) ×100
도 1은 최종 중합체의 결정도와 중합체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Al/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CHMMS) 비율 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그리고
도 2는 기질에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적용하기 위한 공지 기술 방법을 나타낸다.
실시예 1 - 촉매 제조
지글러-나타 촉매는 다음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MgCl2의 30g (0.315 몰)과 AlCl3 5.22g (0.0391 몰)을 질소 대기 하에서 회전식 볼 밀 (ball mill)에서 24 시간 동안 함께-분쇄하였다. 그 후, TiCl4의 4.02g (0.0212 몰)을 첨가하였다. 볼 밀링은 별도의 24시간 동안 계속되었다. 황색 촉매 분말의 약 30g가 수집되었다. 티타늄 성분은 약 2.6 중량%, 알루미늄 성분은 약 2.7 중량%, 마그네슘 성분은 약 19.3 중량%, Mg:Al:Ti 몰 비는 약 8:1:0.5로 계산되었다.
실시예 2-5 -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제조
중합은 기계식 교반기를 갖춘 1-리터의 압열멸균기 (autoclave) 반응기에서 수행되었다. 수증기 및 산소와 같은 어떠한 촉매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해 반응기를 질소로 완전히 정화시킨 후에, 촉매의 규정된 양 (표 1)을 건조 미네랄 오일 중의 1 중량% 혼합물로서 반응기에 투입하였고, 공촉매 (cocatalyst)로서 트리에틸알루미늄 (TEAL) 및 임의로 선택 대조제로서 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CHMMS)의 규정된 양을 첨가하였다. 그 후, 분자량 조절제로서 수소, 및 액체 프로필렌과 1-부텐을 순차적으로 반응기에 투입하고, 60℃에서 2시간 동안 충분한 교반 하에 중합을 진행하였다. 중합 반응의 종기에, 반응되지 않은 모노머를 배출시키고, 공중합체 산물을 회수하였다.
여러 공중합체 합성 예 및 그것들의 성질의 예들을 표1 및 2에 나타냈다. 결정도 및 중합체 중의 코모노머의 비율은 접합 강도 및 부착 특성 같은 수행 성질에 중요한 영향을 갖는다. 도 1은 상이한 Al/CHMMS 비율을 이용함으로서 주어진 코모노머 함량에서 중합체의 결정성을 조절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표 1 -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합성
Figure 112006091164898-PCT00001
표 2 - 중합체의 특성
Figure 112006091164898-PCT00002
실시예 6-9 - 접착제 블렌드
접착제 블렌드는 회전식 저-전단 오일 피복된 혼합 설비 (Ross Mixer)에서 약 1시간 동안 150℃ 내지 190℃ 사이의 온도로 질소 대기 하에서 제조되었다. (상기 혼합 과정은 선택된 방법이 균질한 블렌드를 제공하는 한 공지 기술로 알려진 어떠한 혼합 기술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었다)
VECTOR® 4211 수지는 ExxonMobil Chemical Company에 의해 공급된 선형 SIS 블록 공중합체이다. ESCOREZ® 5400 및 5415 수지는 ExxonMobil에 의해 생산된 수소첨가된 디시클로펜타디엔 점착 부여제 수지이다. ENDEX® 160 수지는 Hercules Chemical Company에 의해 생산된 알파-메틸 스티렌 점착 부여제 수지이다. EPOLENE® E-43 왁스는 Eastman Chemical Company에 의해 공급된 말레화 (maleated) 폴리프로필렌 왁스이다. EPOLENE® N-15 왁스는 Eastman Chemical Company에 의해 공급된 폴리프로필렌 왁스이다. IRGANOX® 1010 항-산화제는 페놀 항산화제이고, IRGAFOS® 168 항-산화제는 아인산염 항산화제이다.
하기의 표 3은 접착제 블렌드의 여러 예를 나타낸다. 비교예 A는 미국 특허 6,531,544에 개시된 종래의 접착제 조성물이다.
표 3 - 접착제 블렌드
Figure 112006091164898-PCT00003
크리프 시험을 위해 사용되는 표본의 박편은 May Coatings Technology (CLS-300 Laminator)의 웹 드라이브 장치상에서 0.018" 나선형 분무 헤드를 갖는 Nordson CF-200을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NW 직물과 폴리에틸렌 필름 사이에서 300% 신장된 3개의 탄성 가닥 (LYCRA® 620 또는 940 접착제)을 적층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접착제는 2개의 상이한 적용 배치를 이용하여 탄성 가닥에 나선형 분무 무늬로 적용되었다. 첫번째 배치는 특허 번호 4,842,666에 기재되었고, "랩핑 적용 방법 (Wrapping application Method)"로서 언급되었다. 두번째 적용 방법 또는 "오버스프레이 적용 방법"은 상기 가닥을 PE 필름 상부에 내려놓은 후에 접착제를 탄성 가닥에 적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첫번째와 유사하다. 상기 방법을 도 2에 설명하였다.
표 4는 여러 접착제 블렌드를 사용하여 제조된 박편 상의 크리프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나타내고 우수한 내크리프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7-9은 당시에는 특히 잘 수행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고, 여기서 수행상의 블렌드 제조법뿐만 아니라 염기 중합체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포함된다.
표 4 - 박편 상의 크리프 시험
Figure 112006091164898-PCT00004
비록 본 발명이 특정 바람직한 구현예와 관련해서 기재되고 개시되었지만, 그것의 명백히 동등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와 여기에 부가된 청구항을 읽고 이해함에 의해 당업자에게 분명하다는 사실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설명서는 어느 종속항의 특징 및/또는 한정이,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종속항들의 특징 및/또는 한정과 결합하여, 하나 이상의 어느 독립항의 특징 및/또는 한정과 결합하여, 그것들의 원본이 이해되고 이와 같이 변형된 어느 독립항에 적용되는 나머지 종속항과 병합되는 것을 포함하여, 여기에 부가된 여러 청구항 중 어느 하나와 나머지 청구항의 어떠한 하나 이상이 어떠한 조합에 의해서 설명된 주제를 포함한다. 이것은 또한 하나 이상의 독립항의 특징 및/또는 한정과 다른 독립항의 특징 및/또는 한정의 조합을 수정된 독립항에 도달하기 위해 포함하고, 그것들의 원본에서 나머지 종속항이 이해되고 적용되는 어떠한 독립항도 또한 수정된다. 따라서, 현재 기재된 발명은 이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려고 하고, 상기의 전술한 내용 및 본 명세서의 다른 내용을 고려하여 다음의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 단지 제한된다.

Claims (20)

  1. 접착제로서 유용한 물질의 조성물로,
    a)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상기의 어떠한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프로필렌 성분 약 3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b)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점착 부여제 수지 성분 약 10 중량% 내지 약 60 중량%;
    c)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기능적 중합체 성분 약 0 중량% 내지 약 40 중량%; 그리고
    d)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안정화제 성분 약 0.01 중량% 내지 약 1 중량%을 포함하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성분은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다른 C2-C10 올레핀 모노머이고, 여기서,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중의 코-모노머 함량은 상기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중량% 내지 약 60 중량% 사이의 어떠한 양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ASTM D-3417 방법으로 측정되었을 때, 약 0.2 내지 약 35 줄(Joules)/그램의 결정도를 갖는 것인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약 10,000 내지 약 1,000,000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인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375℉에서 약 500 cps 내지 약 1,000,000 cps 범위의 용해 점성도를 갖는 것인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 수지 성분은 탄화수소, 로진, 로진 에스테르, 합성 폴리-테르펜 및 천연 테르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부터 유래된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 수지 성분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어떠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적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의 무수 말레인산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적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의 무수 말레인산 그래프트 공중합체와 활성 수소 원자를 갖는 물질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 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수소 원자를 갖는 물질은 아민, 폴리알킬렌 아민, 및 폴리옥시알킬렌 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 성분은 페놀, 장해 페놀 및 인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375℃에서 약 500 cps 내지 약 80,000 cps의 용해 점성도를 갖는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375℃에서 약 1500 cps 내지 약 10,000 cps의 용해 점성도를 갖는 조성물.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 50 내지 약 400 psi의 장력 강도를 갖는 조성물.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50% 이상의 장력 신장을 갖는 조성물.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75% 이상의 장력 신장을 갖는 조성물.
  1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올레핀 모노머는 1-부텐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8. 제 1항에 따른 접착제를 포함하는 당업자에 의해 직조되기에 적절한 의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는 부직포 폴리올레핀-함유 섬유가 부착된 탄성 재료의 가닥을 포함하는 것인 의류.
  20. 제 1항에 따른 접착제를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KR1020067025959A 2004-05-11 2005-05-09 올레핀 공중합체 기재 열-용해 접착제 조성물 KR200700570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7004804P 2004-05-11 2004-05-11
US60/570,048 2004-05-11
US57430604P 2004-05-25 2004-05-25
US60/574,306 2004-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085A true KR20070057085A (ko) 2007-06-04

Family

ID=3805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959A KR20070057085A (ko) 2004-05-11 2005-05-09 올레핀 공중합체 기재 열-용해 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745094A4 (ko)
KR (1) KR20070057085A (ko)
MX (1) MXPA06012993A (ko)
WO (1) WO20051111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744A (ko) * 2015-04-17 2017-12-13 헨켈 아이피 앤드 홀딩 게엠베하 핫 멜트 접착제 및 그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6407B2 (en) 2008-02-08 2011-12-13 Henkel Ag & Co. Kgaa Hot melt adhesive
US8623480B2 (en) 2011-06-27 2014-01-07 H. B. Fuller Company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olefinic polymer blend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US9593235B2 (en) 2013-02-15 2017-03-14 H.B. Fuller Company Reaction product of propylene polymer and wax, graft copolymers derived from polypropylene polymer and wax,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using and making the same
US9267060B2 (en) 2013-02-15 2016-02-23 H.B. Fuller Company Reaction product of propylene polymer and wax, graft copolymers derived from polypropylene polymer and wax,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using and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05334A1 (en) * 1987-11-30 1989-06-15 Eastman Kodak Company Hot-melt adhesive composition
US5441999A (en) * 1993-10-15 1995-08-15 Reichhold Chemicals, Inc. Hot melt adhesive
DE19504425A1 (de) * 1995-02-10 1996-08-14 Hella Kg Hueck & Co Heißschmelzklebstoffe für Fahrzeugleuchten und Fahrzeugscheinwerfer
US5685758A (en) * 1996-04-12 1997-11-11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with improved wicking properties
CN1333032C (zh) * 1999-12-22 2007-08-22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聚丙烯基粘合剂组合物
US6329468B1 (en) * 2000-01-21 2001-12-11 Bostik Findley, Inc. Hot melt adhesive based on semicrystalline flexible polyolefins
GB0026507D0 (en) * 2000-10-30 2000-12-13 Univ Leeds Adhesive
US7067585B2 (en) * 2002-10-28 2006-06-27 Bostik, Inc.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based on a random copolymer of isotactic polypropylene
US7270889B2 (en) * 2003-11-04 2007-09-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ackified amorphous-poly-alpha-olefin-bonded struct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744A (ko) * 2015-04-17 2017-12-13 헨켈 아이피 앤드 홀딩 게엠베하 핫 멜트 접착제 및 그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11132A8 (en) 2007-05-24
MXPA06012993A (es) 2008-03-11
EP1745094A1 (en) 2007-01-24
EP1745094A4 (en) 2009-02-25
WO2005111132A1 (en)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63530B (zh) 使用单位点催化剂和方法制备的基于丙烯共聚物的共混物的热熔性粘合剂组合物
EP0886656B1 (en) Adhesives comprising olefin polymers
AU2002327479B2 (e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based on a blend of amorphous poly-alpha-olefin and syndiotactic polypropylene
JP5148877B2 (ja) 改良された性能ウィンドウを有するホットメルト接着剤
AU2002327479A1 (e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based on a blend of amorphous poly-alpha-olefin and syndiotactic polypropylene
KR20070087670A (ko) 폴리프로필렌-기재의 접착제 조성물
EP2272933A2 (de) Modifizierte Polyolefine mit besonderem Eigenschaftsprofil,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TW201542605A (zh) 非晶型丙烯-乙烯共聚物
US20080306194A1 (en) Hot-Melt Adhesive Compositions Based on Olefin Co-Polymers
KR20070057085A (ko) 올레핀 공중합체 기재 열-용해 접착제 조성물
WO2017102702A1 (e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made from metallocene catalyzed ethylene based plastomer
AU2020376803A1 (en) Tackifier-fre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method for using the same, and article mad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