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6571A -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6571A
KR20070056571A KR1020050115449A KR20050115449A KR20070056571A KR 20070056571 A KR20070056571 A KR 20070056571A KR 1020050115449 A KR1020050115449 A KR 1020050115449A KR 20050115449 A KR20050115449 A KR 20050115449A KR 20070056571 A KR20070056571 A KR 20070056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key data
unit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상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15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6571A/ko
Publication of KR20070056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2Comprising means fo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도어 록이 걸림쇠와 걸림쇠 고정부의 잠금 동작을 통해 상기 도어의 열림 및 잠금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도어개폐 감지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도어개폐 감지부, 도어개폐 감지부의 도어개폐 감지신호를 토대로 매회 도어 개폐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에 새로운 키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키데이터 생성부, 키데이터 생성부에서 키데이터를 입력받아 키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작성하는 메시지 작성부, 메시지 작성부에서 작성된 문자메시지를 지정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RF 통신부를 포함하고 있어, 지문, 반도체칩, 스마트카드 등을 이용하여 접촉하지 않더라도 원터치(One-touch) 방식에 의한 도어 개폐, 키데이터(비밀번호) 입력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편리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장기간 키데이터 사용으로 인한 키데이터 노출을 방지할 수 있고, 잦은 키데이터의 변경으로 인해 사용자가 키데이터를 잊어버리더라도 자신의 휴대폰에 수신되어 있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키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 록, 키데이터, 도어개폐 감지부, 키데이터 생성부, RF 통신부

Description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 {SYSTEM FOR KEY DATA TRANSMITTING OF DIGITAL DOOR LOC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비밀번호)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지정 휴대폰으로 전송해주는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도어 록(Digital door lock)은 일반 도어 록보다 사용상 편리함이 우수한 디지털화된 출입문 잠금 장치이다. 즉, 디지털 도어 록은 자동 잠금 기능을 갖고 있어 사용자가 일일이 문을 잠그지 않아도 저절로 문이 잠기게 되고, 열쇠를 소지할 필요가 없어 열쇠의 분실이나 복사된 열쇠로 인한 외부 침입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집 안에서 모니터를 통해 방문자를 확인하는 즉시 자동으로 문을 열어 주 는 등의 편리성, 안전성, 방범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 록은 기존의 열쇠 대신 비밀번호나 반도체칩, 스마트카드, 지문 등을 활용하여 출입을 제한 또는 개방할 수 있는데, 크게 주키(master key)와 보조키(slave key)로 나누어진다.
디지털 도어 록의 주키는 별도의 잠금장치와 손잡이가 없어도 되는 것으로 비교적 부피가 크고 손잡이가 달려있고, 보조키는 문을 보조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별도의 손잡이나 잠금장치를 요구하기도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 로킹 시스템은 크게 관제서버부와 디지털 도어 록부로 구성되는데, 관제서버부는 디지털 키 소유자와 요청자가 인증과정을 거쳐 키데이터를 등록하거나 키데이터를 발급하며 소유자운영프로그램과 요청자운영프로그램의 설치에 의해 발급된 키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고 소유자가 휴대폰으로 키데이터를 요청시 키데이터를 요청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한다.
디지털 도어 록부는 디지털 도어록의 개방을 위한 키데이터의 생성과 아울러 소유자의 휴대폰과 요청자의 휴대폰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을 설치하고, 통신수단의 시리얼포트를 통해 디지털 도어 록으로부터 소유자의 휴대폰으로 디지털 키데이터를 입력 받으며, 요청자가 자신의 휴대폰에 전송된 키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 록을 개방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 로킹 시스템은 디지털 키데이터(비밀번호)를 지니고 있는 소유자가 현장에 있지 않더라도 이동 통신을 통해 요청자가 소유주에 디지털 도어 록을 개방시켜 줄 수 있는 키데이터를 요청하게 되면, 간단한 인증절차를 거쳐 요청자가 키데이터를 용이하게 획득하여 디지털 도어 록을 쉽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요청자에게 키데이터가 노출되거나 키데이터의 보안을 위해, 디지털 도어록의 소유자는 키 버튼을 이용하여 새로운 키데이터를 수동으로 생성하거나, 자신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부 및 관제서버부와의 연동을 통해 키데이터를 생성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의 키데이터 변경 방식은 소유자가 수동으로 키데이터를 변경하게 되면 매번 키버튼을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휴대폰을 이용하여 키데이터를 변경하게 되면 통신비용이 부과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어의 개폐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에 새로운 키데이터를 생성하여 SMS 메시지 형태로 사용자의 휴대폰에 전송해주는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걸림쇠 및 걸림쇠 고정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 록(Digital Door Lock)이 배터리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여 배터리의 교환 여부를 알려줌으로써 전원 공급이 계속적으로 이루 어지도록 하는 전원부,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키버튼을 통해 적어도 1개 이상의 문자/숫자 조합으로 이루어진 키데이터를 입력받는 키입력부, 걸림쇠와 걸림쇠 고정부의 잠금 동작을 통해 상기 도어의 열림 및 잠금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도어개폐 감지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도어개폐 감지부, 도어개폐감지부의 도어개폐 감지신호를 토대로 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도어가 잠기도록 하고, 상기 전원부에 의해 배터리 전원이 소모되어 도어의 자동 열림이 불가능한 경우에 수동으로 도어가 열리도록 하는 도어개폐 구동부, 도어개폐 감지부의 도어개폐 감지신호를 토대로 매회 도어 개폐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에 새로운 키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키데이터 생성부, 키데이터 생성부에서 키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키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작성하는 메시지 작성부, 메시지 작성부에서 작성된 문자메시지를 지정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RF 통신부, 키데이터가 일정 횟수 이내에 정상적으로 입력되는지를 감시하여 상기 키데이터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경보 안내와 함께 도어의 자동 개폐 동작을 록킹(locking)하며, 상기 키데이터 생성부, 메시지 작성부, RF 통신부를 통한 키데이터 생성/전송 과정을 제어하고,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도어의 정상 개폐 동작을 총괄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키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키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키데이터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1개 이상의 휴대폰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키데이터 오류에 대한 경보 안내, 상기 전원부에서 감지된 배터리의 교환 안내와 같은 음성 안내 및 메시지를 전달하는 음성출력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숫자나 문자를 표시하고, 각종 안내 및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어 외부인 또는 방문객의 도어 접근 상태, 도어의 비정상적인 개폐 동작과 같은 도어의 실외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외부인 또는 방문객의 존재 여부를 음성 안내하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지털 도어 록은 외관상 도어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실외부 및 실내부로 구분될 수 있는데, 실외부에는 키데이터(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10개의 숫자버튼과 2개의 특수문자 버튼으로 이루어진 키버튼, 키버튼의 상부 측에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키버튼을 오픈/클로즈(OPEN/CLOSE)하는 커버, 경우에 따라 지문, 반도체칩, 스마트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장치, 손잡이 일체형인 경우에는 손잡이 등으로 구비되어 있다.
한편, 디지털 도어 록의 실내부에는 내부 회로도를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housing), 도어의 수동 개폐가 가능토록 수동개폐레버, 마이크, 스피커, 배터리수납부, LED 또는 LCD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사무실이나 주택의 출입문, 자동차의 문 등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 록은 걸림쇠와 걸림쇠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어 걸림쇠와 걸림쇠 고정부의 맞물림 동작으로 도어가 단단히 잠기게 된다.
이때, 걸림쇠는 도어 대응부(일례로, 벽면이나 차체 등) 쪽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고, 걸림쇠 고정부는 걸림쇠와 대응되도록 도어 대응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디지털 도어 록의 외관상 구조와 동작은 일반 디지털 도어록과 유사하므로, 디지털 도어 록의 실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회로들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전원부(11), 키입력부(12), 도어개폐 감지부(13), 도어개폐 구동부(14), 키데이터 생성부(15), 메시지 작성부(16), RF 통신부(17), 움직임 감지부(19), 제어부(18), 음성출력부(21), 표시부(22)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키입력부(12)는 키버튼을 통해 적어도 1개 이상의 문자/숫자 조합으로 이루어진 키데이터(또는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키버튼은 각 버튼의 주위 또는 후면에 야간에도 숫자나 특수 문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빛이 발산되어 사용자가 야간에도 쉽게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음성출력부(21)와 연계하여 사용 자가 선택한 버튼의 번호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키버튼에는 시각장애인용 점자가 더 표시될 수도 있다.
도어개폐 감지부(13)는 도어의 열림 및 잠금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는데, 걸림쇠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어 걸림쇠가 걸림쇠 고정부에 접촉되어 눌리게 되면 도어개폐 감지신호를 생성 출력한다.
도어개폐 감지신호에는 걸림쇠가 걸림쇠 고정부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해제되어 외부로 돌출된 경우에 생성되는 도어개방 감지신호, 및 걸림쇠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걸림쇠 고정부에 접촉되어 눌려진 경우에 생성되는 도어폐쇄 감지신호를 포함한다.
전원부(11)는 배터리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여 배터리의 교환 여부를 제어부(18)에 알려줌으로써 전원 공급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어개폐 구동부(14)는 도어개폐 감지부(13)의 감지 결과를 토대로 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일정 시간(5~7초) 이상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도어가 잠기도록 하고, 전원부(11)에 의해 배터리 전원이 소모되어 도어의 자동 열림이 불가능한 경우에 수동으로 도어가 열리도록 한다.
키데이터 생성부(15)는 도어개폐 감지부(13)의 도어개폐 감지신호에 의해 매회 도어가 열림/닫힘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에 이전의 키데이터를 삭제하고 새로운 키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메시지 작성부(16)는 키데이터 생성부(15)에서 키데이터를 입력받아 키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작성하고, RF 통신부(17)는 메시지 작성부(16)에서 작 성된 문자메시지를 지정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한다.
움직임 감지부(19)는 디지털 도어 록의 실외부에 장착되어 외부인의 도어 접근 상태, 또는 도어의 비정상적인 개폐 동작(일례로, 우유 투입구를 통한 잠금 해제 동작이나 물리적인 힘에 의한 도어의 강제 열림 동작 등)과 같은 도어의 실외 움직임을 감지한다.
제어부(18)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도어의 정상 개폐 동작을 총괄하는데, 특히 키입력부(12)를 통해 키데이터가 일정 횟수 이내에 정상적으로 입력되는지를 감시하여 키데이터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경보 안내와 함께 도어의 자동 개폐 동작을 록킹(locking)하며, 키데이터 생성부(15), 메시지 작성부(16), RF 통신부(17)를 통한 키데이터 생성/전송 과정을 제어하고, 움직임 감지부(19)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음성출력부(21)를 통해 외부인 또는 방문객의 존재 여부를 음성 안내하도록 한다.
메모리부(20)는 제어부(18)의 제어 하에 키데이터 생성부(15)에서 생성된 키데이터를 저장하고, 키데이터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1개 이상의 휴대폰의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음성출력부(21)는 제어부(18)의 제어에 따라 키데이터 오류에 대한 경보 안내, 전원부(11)에서 감지된 배터리의 교환 안내, 외부인 또는 방문객 존재에 대한 음성 안내, 음성 녹음 기능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녹음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표시부(22)는 제어부(18)의 제어에 따라 키입력부(12)에서 입력되는 숫자나 문자를 표시하고, 음성출력부(21)와 같이 각종 안내 및 메시지를 표시한다.
상기한 구성 외에도 디지털 도어 록은 실내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경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센서, 원격 도어개폐를 위한 리모콘 기능, 인터폰 또는 비디오폰과의 연결 기능, 손잡이 작동 감지 센서, 지문, 반도체칩, 스마트카드 등의 인식 기능 등이 추가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어개폐 감지부(13)는 걸림쇠와 걸림쇠 고정부의 맞물린 상태에 따라 도어개방 감지신호와 도어폐쇄 감지신호를 생성 출력한다.
제어부(18)는 도어개폐 감지부(13)에서 도어개방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도어개방 감지신호가 전달된 시점에서 수초 이상 경과된 후에 도어폐쇄 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도어강제 잠금신호를 생성하여 도어개폐 구동부(14)로 전송한다.
도어개폐 구동부(14)는 도어강제 잠금신호를 입력받는 즉시 도어를 강제적으로 잠그게 된다.
한편, 제어부(18)는 도어개폐 감지부(13)에서 도어폐쇄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키데이터 생성신호를 생성하여 키데이터 생성부(15)로 전송하고, 키데이터 생성부(15)는 키데이터 생성신호에 의해 이전의 키데이터를 삭제하고 암호화된 새로운 키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렇게 키데이터가 생성되면, 메시지 작성부(16)는 키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작성하고, RF 통신부(17)는 메시지 작성부(16)에서 작성된 문자메시지를 지정된 휴대폰의 전화번호로 전송한다.
이때, 메모리부(20)에는 출입이 허용된 가족 또는 사용자들의 휴대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8)는 지정되어 있는 휴대폰의 전화번호를 메모리부(20)에서 읽어들여 RF 통신부(17)에 전달한다.
키데이터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전송받은 사용자는 문자메시지를 확인하고, 디지털 도어 록의 실외부에 설치된 키버튼을 통해 새로운 키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일정 횟수(3회 정도) 이내에 새로운 키데이터를 입력하지 못하는 경우에, 제어부(18)는 키데이터의 오류에 대한 음성 안내 또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도어의 자동 개폐 동작을 록킹(locking)함으로써 외부인 출입을 통제한다.
또한, 제어부(18)는 움직임 감지부(19)를 통해 외부인 또는 방문객이 도어와 일정 거리 이내에 접촉된 상태, 또는 물리적인 힘을 가하거나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도어를 개방하려고 하는 경우를 감지하고, 음성출력부(21)를 통해 외부인 또는 방문객이 있음을 알려 사용자가 방범 및 보안을 강화하도록 한다.
디지털 도어 록은 지문, 반도체칩, 스마트카드 등으로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지문, 반도체칩, 스마트카드 등은 접촉식 방식이므로 실외부의 인식장치에 정확히 접촉해야한다.
이러한 접촉식 방식의 도어 개폐 동작은 인식장치에 지문, 반도체칩, 스마트카드 등이 정확히 접촉되지 않을 경우에 사용자가 수회 접촉 동작을 수행해야 하고, 인식장치에 이물질 등이 묻은 경우에 정확한 데이터 인식이 불가능하여 도어 개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지문, 반도체칩, 스마트카드 등을 이용하여 접촉하지 않더라도 원터치(One-touch) 방식에 의한 도어 개폐, 키데이터(비밀번호) 입력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편리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도어가 닫히는 순간에 새로운 키데이터를 생성하여 자동으로 지정된 휴대폰으로 전송해줌으로써 키데이터 노출을 방지할 수 있고, 잦은 키데이터의 변경으로 인해 사용자가 키데이터를 잊어버린 경우에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폰에 수신 및 저장되어 있는 키데이터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통해 변경된 키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도어의 개폐동작이 완료되는 시점마다 새로운 키데이터를 생성하여 SMS 메시지 형태로 사용자의 휴대폰에 전송해줌으로써 장기간 키데이터의 사용으로 인해 외부인에게 키데이터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범 및 보안을 강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키데이터를 잊어버리더라도 자신의 휴대폰에 수신되어 있는 문자메시지를 확인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걸림쇠 및 걸림쇠 고정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 록(Digital Door Lock)의 키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 록은,
    배터리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여 배터리의 교환 여부를 알려줌으로써 전원 공급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원부;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키버튼을 통해 적어도 1개 이상의 문자/숫자 조합으로 이루어진 키데이터를 입력받는 키입력부;
    상기 걸림쇠와 걸림쇠 고정부의 잠금 동작을 통해 상기 도어의 열림 및 잠금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도어개폐 감지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도어개폐 감지부;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의 도어개폐 감지신호를 토대로 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도어가 잠기도록 하고, 상기 전원부에 의해 배터리 전원이 소모되어 도어의 자동 열림이 불가능한 경우에 수동으로 도어가 열리도록 하는 도어개폐 구동부;
    상기 도어개폐 감지부의 도어개폐 감지신호를 토대로 매회 도어 개폐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에 새로운 키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키데이터 생성부;
    상기 키데이터 생성부에서 키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키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작성하는 메시지 작성부;
    상기 메시지 작성부에서 작성된 문자메시지를 지정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RF 통신부;
    상기 키데이터가 일정 횟수 이내에 정상적으로 입력되는지를 감시하여 상기 키데이터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경보 안내와 함께 도어의 자동 개폐 동작을 록킹(locking)하며, 상기 키데이터 생성부, 메시지 작성부, RF 통신부를 통한 키데이터 생성/전송 과정을 제어하고,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도어의 정상 개폐 동작을 총괄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키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키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키데이터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1개 이상의 휴대폰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키데이터 오류에 대한 경보 안내, 상기 전원부에서 감지된 배터리의 교환 안내와 같은 음성 안내 및 메시지를 전달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숫자나 문자를 표시하고, 각종 안내 및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어 외부인 또는 방문객의 도어 접근 상태, 도어의 비정상적인 개폐 동작과 같은 도어의 실외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외부인 또는 방문객의 존재 여부를 음성 안내하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 감지부는 상기 걸림쇠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어개폐 감지신호는 상기 걸림쇠가 걸림쇠 고정부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해제되어 외부로 돌출된 경우에 생성되는 도어개방 감지신호, 및 상기 걸림쇠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걸림쇠 고정부에 접촉되어 눌려진 경우에 생성되는 도어폐쇄 감지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개폐 감지부에서 상기 도어개방 감지신호가 입력된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도어강제 잠금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도어개폐 구동부에 전송하고, 상기 도어개폐 감지부에서 상기 도어폐쇄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키데이터 생성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키데이터 생성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20050115449A 2005-11-30 2005-11-30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 KR200700565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449A KR20070056571A (ko) 2005-11-30 2005-11-30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449A KR20070056571A (ko) 2005-11-30 2005-11-30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571A true KR20070056571A (ko) 2007-06-04

Family

ID=3835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449A KR20070056571A (ko) 2005-11-30 2005-11-30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65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924B1 (ko) * 2009-08-06 2012-05-14 주식회사 케이티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924B1 (ko) * 2009-08-06 2012-05-14 주식회사 케이티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558B2 (en) Biometric verification and duress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20030036825A1 (en) Multiway control system for keyset
KR101995663B1 (ko) 키리스 기반의 도어락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CA234704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fingerprint identification door lock system
CN113678177B (zh) 安全性增强门锁及利用该门锁的进出门安全管理系统
CN109636957A (zh) 防盗安全门智能控制系统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100564996B1 (ko) 다중 인증을 지원하는 도어락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649571B1 (ko) 디지털 도어락에서의 무선 송수신기 등록 및 삭제방법과, 그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및 무선 송수신기
KR20100009883U (ko) 원격 출입 보안시스템이 적용된 도어록
KR20070056571A (ko) 디지털 도어 록의 키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0265416B1 (ko) 지문인식용 전자식 도어록
US20070132546A1 (e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service providing progra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key unit
JP2007191915A (ja) 電子錠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90046031A (ko) 경보기능을 구비하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지문인식 전자자물쇠 시스템 및 그 자물쇠시스템을 이용한 보안관리방법
KR2018006358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30034704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출입/근태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0890283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00080893A (ko) 스마트 도어락
JP2007077692A (ja) 電子錠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6796804B2 (ja) 電気錠システム及び電気錠装置
KR102239276B1 (ko)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KR101055269B1 (ko) 스마트키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
KR100649483B1 (ko) 원격 보안 수단을 내장한 도어록 시스템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