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819A -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819A
KR20070055819A KR1020050114265A KR20050114265A KR20070055819A KR 20070055819 A KR20070055819 A KR 20070055819A KR 1020050114265 A KR1020050114265 A KR 1020050114265A KR 20050114265 A KR20050114265 A KR 20050114265A KR 20070055819 A KR20070055819 A KR 20070055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ontent
list
content lis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1513B1 (ko
Inventor
김도균
주창남
김영섭
최종일
정효성
장윤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4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513B1/ko
Publication of KR20070055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검색 사용자가 입력한 컨텐츠의 종류별 수량의 비율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등록 사용자가 등록한 컨텐츠 리스트 중 유사한 패턴의 컨텐츠의 리스트 또는 컨텐츠를 검색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는 소정의 앨범에 포함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의 비율에 대한 제 1 패턴과 입력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의 비율에 대한 제 2 패턴을 분석하는 패턴 분석부와,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패턴에 대하여 유사한 제 1 패턴을 가진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리스트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제 1 패턴과 상기 제 2 패턴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유사도를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컨텐츠 리스트, 선호도, 유사도, 증감 패턴

Description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preference level}
도 1a는 종래의 검색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추천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의 증감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감 패턴의 기울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의 증감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출된 유사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10 : 송수신부 220 : 저장부
230 : 제어부 240 : 패턴 분석부
250 : 리스트 추출부 260 : 유사도 추출부
본 발명은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색 사용자가 입력한 컨텐츠의 종류별 수량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등록 사용자가 등록한 유사한 패턴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의 리스트를 검색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압축 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사용자는 인터넷상에서 음악 파일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키워드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기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추천 대상이 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한다.
도 1a는 종래의 검색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11a)는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보유할 수 있는데, 음악 파일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11a)는 곡명, 아티스트(artist), 가사, 발매일 및 다운로드 회수 등에 따른 그룹으로 음악 파일(15a)을 보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2a)에 소정의 키워드를 입력하는데, 입력된 키워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11a)로 송신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11a)는 수신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음악 파일을 검색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11a)는 검색 결과에 따라 추출된 음악 파일을 사용자 단말기(12a)로 송신하거나 음악 파일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12a)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2a)를 통하여 자신이 선호하는 음악 파일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2a)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11a)의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하여 직접 음악 파일을 검색할 수도 있다.
도 1b는 종래의 추천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11b)는 다양한 사용자 단말기(12b)로부터 수신된 키워드 및 검색 메시지 등을 참조하여 각 음악 파일에 대한 접근 회수를 확인하고, 갱신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추천 음악 파일(15b)을 제공할 수 있다.
추천 음악 파일(15b)로는 추천 곡, 최신 곡 및 최신 앨범 등이 포함되는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2b)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11b)에 접속한 후 추천된 음악 파일(15b) 중 하나 또는 복수 개를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검색 또는 자신의 추천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검색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은 사용자에게 자신이 선호하는 음악 파일에 대한 정보가 있음을 가정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자신이 선호하는 음악 파일에 대한 정보가 있지 않은 경우, 검색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는 음악 파일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추천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은 사용자의 취향에 관계없이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음악 파일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추천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을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음악 파일을 제공받지 못할 수 있는 것이다.
한국 공개 특허 2003-059503은 온라인 음악 서비스를 위해 구비한 다양한 음악 파일에 대한 특징 요소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음악 파일의 특징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별 재생 요구 음악 파일에 대한 특징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생성된 사용자별 선호하는 음악에 대한 특징 정보 값과 유사성이 높은 특징 정보 값을 갖는 음악 파일을 웹상에서 검색하며, 검색된 음악 파일을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음악 서비스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사용자별로 부여된 특징 정보 값을 이용하여 그에 대응되는 음악 파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징 정보 값은 전술한 곡명, 아티스트, 가사, 발매일 및 다운로드 회수 등과 같은 분류 방법과 다를 바 없다.
즉, 특징 정보 값은 그 분포가 한정적인 것으로서 사용자는 한정적인 음악 파일만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징 정보 값에 발라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는 발라드 관련 음악 파일만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반면, 일반적인 사용자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선호하면서, 특정 장르에서 선호하는 음악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다양한 종류의 음악 파일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검색 사용자가 입력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등록 사용자가 등록한 컨텐츠 리스트 중 유사한 패턴의 컨텐츠 리스트 또는 컨텐츠를 검색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색 사용자가 입력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유사한 패턴을 부여받은 등록 사용자의 컨텐츠 리스트 또는 컨텐츠를 검색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는 소정의 앨범에 포함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의 비율에 대한 제 1 패턴과 입력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의 비율에 대한 제 2 패턴을 분석하는 패턴 분석부와,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패턴에 대하여 유사한 제 1 패턴을 가진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리스트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제 1 패턴과 상기 제 2 패턴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 산출부 및 상기 선출된 유사도를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소정의 앨범에 포함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의 비율에 대한 제 1 패턴과 입력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의 비율에 대한 제 2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와, (b)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패턴에 대하여 유사한 제 1 패턴을 가진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와, (c) 상기 추출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제 1 패턴과 상기 제 2 패턴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산출된 유사도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하, 컨텐츠 제공 장 치라 한다)(200)는 송수신부(210), 저장부(220), 제어부(230), 패턴 분석부(240), 리스트 추출부(250) 및 유사도 산출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220)는 컨텐츠 리스트를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이하, 등록 사용자라 한다)에 의해 등록된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 컨텐츠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로서 오디오 컨텐츠, 정지 영상 컨텐츠 및 동영상 컨텐츠를 포함한다.
여기서, 등록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일련의 컨텐츠 리스트를 등록할 수 있는데 이하, 일련의 컨텐츠 리스트를 앨범이라 한다. 즉, 등록 사용자는 자신이 등록하고자 하는 컨텐츠 리스트 중 특정 집합을 하나의 앨범으로 등록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과정으로 또 다른 앨범을 등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앨범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하나의 앨범에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종류는 멀티미디어의 분류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컨텐츠 자체의 성격에 따른 분류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의 분류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가 포함된 앨범에는 오디오 컨텐츠, 정지 영상 컨텐츠 및 동영상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으며, 컨텐츠 자체의 성격에 따른 분류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가 포함된 앨범에는 다양한 리듬의 오디오 컨텐츠, 다양한 분위기의 정지 영상 또는 다양한 장르의 동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컨텐츠의 경우 리듬뿐만이 아니라 별도의 분류 방법이 종류로 사용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장르, 연령대, 시간, 느낌, 날씨 또는 상황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가 하나의 앨범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오디오 컨텐츠를 위주로 본 발명을 설명하나, 이는 단지 하나의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실시 범위에 정지 영상 컨텐츠 및 동영상 컨텐츠도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종류의 수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구현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등록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앨범을 검색하는 사용자(이하, 검색 사용자라 한다)는 컨텐츠 리스트를 통하여 해당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검색 사용자는 소정의 단말기를 통하여 자신이 선호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별도로 입력하여 그에 의한 패턴(이하, 제 2 패턴이라 한다)을 저장된 등록 사용자의 패턴(이하, 제 1 패턴이라 한다)과 비교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자신이 등록 사용자로서 사전에 입력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패턴을 다른 등록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제 1 패턴과 비교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저장부(220)는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에 대응되는 컨텐츠 리스트를 모두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220)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패턴 분석부(240)는 등록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앨범에 포함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의 비율에 대한 제 1 패턴과 검색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의 비율에 대한 제 2 패턴을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패턴 분석부(240)는 등록 사용자에 의하여 컨텐츠 리스트가 등록될 때 제 1 패턴을 분석하고, 검색 사용자에 의하여 컨텐츠 리스트가 입력될 때 제 2 패턴을 분석할 수 있으며, 검색 사용자에 의하여 컨텐츠 리스트가 입력될 때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을 분석할 수도 있다.
등록 사용자에 의하여 컨텐츠 리스트가 등록될 때 제 1 패턴이 분석되는 경우 이에 대한 결과는 해당 컨텐츠 리스트를 포함하는 앨범에 대응되어 저장부(22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등록 사용자는 복수 개의 앨범을 제 1 패턴에 대응시켜 저장부(220)에 저장시킬 수 있는데, 각각의 앨범을 제 1 패턴에 대응시켜 저장시킬 수 있고, 자신의 전체 앨범을 제 1 패턴에 대응시켜 저장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검색 사용자는 등록 사용자의 특정 앨범을 검색할 수도 있고, 등록 사용자의 전체 앨범을 검색할 수도 있게 된다.
패턴 분석부(240)는 비율에 대한 증감 패턴, 증감 패턴의 기울기 및 기울기의 증감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패턴 분석부(240)의 패턴 분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리스트 추출부(250)는 패턴 분석부(240)의 분석 결과에 따라 제 2 패턴에 대하여 유사한 제 1 패턴을 가진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한다. 이 때, 리스트 추출부(250)는 제 2 패턴에 대하여 유사한 제 1 패턴을 가진 특정 앨범에 포함된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할 수도 있고, 제 2 패턴에 대하여 유사한 제 1 패턴을 가진 등록 사용자의 전체 앨범에 포함된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할 수도 있다.
유사도 산출부(260)는 리스트 추출부(250)에 의하여 추출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제 1 패턴과 제 2 패턴 간의 유사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유사도는 퍼센트로 표시될 수 있다.
유사도 산출부(260)의 유사도 산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송수신부(210)는 유사도 산출부(260)에 의하여 산출된 유사도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송수신부(210)는 등록 사용자로부터 등록 요청된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하고, 검색 사용자로부터 검색 요청된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송수신부(210)는 제어부(2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소정 임계 범위에 포함되는 유사도를 송신할 수도 있다.
송수신부(210)와 등록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검색 사용자의 단말기 간의 통신 방식은 이더넷, USB, IEEE 1394, 직렬 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 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홈 RF 및 무선 랜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송수신부(210), 저장부(220), 패턴 분석부(240), 리스트 추출부(250), 유사도 산출부(260) 및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의 증감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1 패턴과 제 2 패턴 간의 유사도를 판별함에 있어서, 패턴의 수는 패턴을 구성하는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과 그 비율의 범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 리스트의 각 종류는 0~100%인 퍼센트로 표시되므로 비율의 범위는 101이 된다. 또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은 사용자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는데, 적용 범위 101과 종류별 수량 n을 이용한 패턴의 수 pat n 은 다음 수학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05069004750-PAT00001
위 수학식에 따라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이 2인 경우 패턴의 수는 101이 되고,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이 3인 경우 패턴의 수는 5,151이 되며,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이 4인 경우 패턴의 수는 176,851이 된다.
즉,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패턴의 수도 증가하는 것 인데, 이와 같이 모든 가능한 패턴을 고려하여 제 1 패턴과 제 2 패턴 간의 유사도를 판별하는 것은 패턴 분석부(240)의 연산량을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패턴 분석부(240)는 전술한 모든 패턴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증감 패턴(300)을 이용하여 제 1 패턴과 제 2 패턴 간의 유사도를 판별한다.
도 3은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이 4인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컨텐츠 리스트의 증감 패턴(300)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이 n인 경우 증감 패턴(300)의 수 vpat n 는 다음 수학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05069004750-PAT00002
즉, 증감 패턴(300)의 수는 비율의 범위에는 무관하고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이 2인 경우 증감 패턴의 수는 2가 되고,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이 3인 경우 증감 패턴의 수는 4가 되며,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이 4인 경우 증감 패턴의 수는 8이 된다.
따라서, 패턴 분석부(240)는 증감 패턴(300)의 수에 해당하는 회수만큼 제 1 패턴과 제 2 패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므로 적은 연산으로 제 1 패턴과 제 2 패턴을 분석하여 그 유사도를 판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220)에는 소정의 앨범에 포함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의 비율에 대한 제 1 패턴이 저장될 수 있는데, 종류별 수량은 등록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이 4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오디오 컨텐츠를 예로 들면, 장르, 연령대, 시간, 느낌, 날씨 또는 상황을 4개의 단계로 구분하고, 구분된 단계의 오디오 컨텐츠 리스트의 수량을 비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등록 사용자에 의하여 저장된 제 1 패턴은 검색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제 2 패턴과 비교되는데 이에 따라,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을 구성하는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는 그 순서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오디오 컨텐츠가 그 장르별로 구분되고, 제 1 패턴의 각 지점이 블루스, 재즈, 클래스 및 가요 순서로 구성되면 제 2 패턴의 각 지점도 블루스, 재즈, 클래스 및 가요 순서로 입력되어야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감 패턴의 기울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증감 패턴을 이용하여 제 1 패턴과 제 2 패턴을 분석하여 유사도를 판별하는 것은 적은 연산량으로 인하여 패턴 분석부(240)의 연산량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저장된 앨범의 수에 따라 제 2 패턴에 유사한 제 1 패턴이 과도하게 추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패턴 분석부(240)는 증감 패턴의 기울기(400)를 고려하여 제 1 패턴과 제 2 패턴 간의 유사도를 판별한다.
즉, 패턴 분석부(240)는 제 2 패턴과 유사한 제 1 패턴을 추출한 후에 추출된 제 1 패턴의 기울기를 산출하고, 이를 제 2 패턴의 기울기와 비교하는 것이다.
증감 패턴의 기울기(400)는 증감 패턴을 구성하는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의 비율에 의한 그래프에서 전체 직선의 기울기에 대한 평균을 구하는 것으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패턴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증감 패턴의 기울기(450)가 동일한 복수 개의 증감 패턴(460, 470)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패턴 분석부(240)는 그래프에서 전체 지점이 아닌 일부 지점에 대한 증감 패턴의 기울기(400)를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가 4개인 경우 1, 2, 3번 지점의 비율에 대한 기울기를 산출하거나 2, 3, 4번 지점의 비율에 대한 기울기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패턴 분석부(240)는 패턴에 따른 기울기를 이용하여 제 1 패턴과 제 2 패턴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의 증감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패턴 분석부(240)는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의 비율을 각 지점으로 잇는 직선 간의 기울기(510, 520, 530)에 대한 증감 패턴(500)을 이용하여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기울기는 소정의 간격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해당 간격에 포함된 기울기는 서로 동일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울기의 간격이 36도인 경우 제 1 패턴의 첫 번째 직선과 두 번째 직선 간의 기울기의 차이가 30도이고, 제 2 패턴의 첫 번째 직선과 두 번째 직선 간의 기울기의 차이가 25도이면, 둘은 모두 36도의 범위에 포함되므로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출된 유사도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이 4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이 n인 경우, 제 1 패턴과 제 2 패턴 간의 유사도 sim은 다음 수학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05069004750-PAT00003
여기서, xy는 각각 제 1 패턴의 종류별 비율 및 제 2 패턴의 종류별 비율을 나타낸다.
유사도 산출부(260)는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제 1 패턴과 제 2 패턴 간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는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임계 범위에 포함된 유사도를 제어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송수신부(210)를 통하여 전달받은 유사도를 검색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는데, 제어부(230)는 소정 임계 범위에 포함된 유사도를 모두 송수신부(210)로 전달하여 검색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색 사용자의 단말기는 수신한 유사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제 2 패턴을 구성하는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비율 및 제 1 패턴을 구성하는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비율을 610과 같이 테이블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620과 같이 아이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검색 사용자에게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송수신부(210)는 등록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한다(S710). 수신된 컨텐츠 리스트는 저장부(220)에 저장된다.
그리고, 송수신부(210)는 검색 사용자로부터 검색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한다(S720). 여기서, 검색 사용자의 컨텐츠 리스트는 검색 사용자가 등록 사용자로서 등록한 컨텐츠 리스트일 수 있다.
검색 사용자의 컨텐츠 리스트 및 등록 사용자의 컨텐츠 리스트 입력에 따라 패턴 분석부(240)는 등록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앨범에 포함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의 비율에 대한 제 1 패턴과 검색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의 비율에 대한 제 2 패턴을 분석한다(S730).
패턴 분석부(240)는 등록 사용자에 의하여 컨텐츠 리스트가 등록될 때 제 1 패턴을 분석하고, 검색 사용자에 의하여 컨텐츠 리스트가 입력될 때 제 2 패턴을 분석할 수 있으며, 검색 사용자에 의하여 컨텐츠 리스트가 입력될 때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을 분석할 수도 있다.
여기서, 패턴 분석부(240)는 비율에 대한 증감 패턴, 증감 패턴의 기울기 및 기울기의 증감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증감 패턴, 증감 패턴의 기울기 및 기울기의 증감 패턴에 대한 자세한 설명 은 도 3 내지 도 5를 통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패턴 분석부(240)의 분석 결과에 따라 리스트 추출부(250)는 제 2 패턴에 대하여 유사한 제 1 패턴을 가진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한다(S740).
그리고, 추출된 컨텐츠 리스트는 유사도 산출부(260)로 전달되고, 유사도 산출부(260)는 전달 받은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제 1 패턴과 제 2 패턴 간의 유사도를 산출한다(S750). 여기서, 유사도는 퍼센트로 표시될 수 있다.
유사도 산출부(260)의 유사도 산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통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산출된 유사도는 송수신부(210)로 전달되고, 송수신부(210)는 검색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받은 유사도를 송신한다(S760). 이 때, 송수신부(210)는 제어부(2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소정 임계 범위에 포함되는 유사도를 검색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색 사용자는 자신과 취향이 유사한 등록 사용자의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은 컨텐츠 리스트를 통하여 해당 컨텐츠로 접근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검색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등록 사용자의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인데, 하이퍼링크에 의하여 연결된 컨텐츠로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 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검색 사용자가 입력한 컨텐츠의 종류별 수량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등록 사용자가 등록한 컨텐츠 리스트 중 유사한 패턴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의 리스트를 검색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유사한 패턴을 부여 받은 등록 사용자의 컨텐츠 리스트 또는 컨텐츠를 검색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검색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취향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검색 사용자 및 등록 사용자가 등록한 컨텐츠의 종류별 수량에 대한 전체적인 분석을 수행하지 않고 종류별 수량에 대한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신속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5)

  1. 소정의 앨범에 포함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의 비율에 대한 제 1 패턴과 입력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의 비율에 대한 제 2 패턴을 분석하는 패턴 분석부;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패턴에 대하여 유사한 제 1 패턴을 가진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리스트 추출부;
    상기 추출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제 1 패턴과 상기 제 2 패턴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유사도를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분석부는 상기 비율에 대한 증감 패턴, 상기 증감 패턴의 기울기 및 상기 기울기의 증감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을 수행하는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소정 임계 범위에 포함되는 유사도를 송신하는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4. (a) 소정의 앨범에 포함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의 비율에 대한 제 1 패턴과 입력된 컨텐츠 리스트의 종류별 수량의 비율에 대한 제 2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b)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패턴에 대하여 유사한 제 1 패턴을 가진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제 1 패턴과 상기 제 2 패턴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산출된 유사도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비율에 대한 증감 패턴, 상기 증감 패턴의 기울기 및 상기 기울기의 증감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50114265A 2005-11-28 2005-11-28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81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265A KR100781513B1 (ko) 2005-11-28 2005-11-28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265A KR100781513B1 (ko) 2005-11-28 2005-11-28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819A true KR20070055819A (ko) 2007-05-31
KR100781513B1 KR100781513B1 (ko) 2007-12-03

Family

ID=3827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265A KR100781513B1 (ko) 2005-11-28 2005-11-28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5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3307A3 (en) * 2007-06-11 2009-02-12 Sk Telecom Co Ltd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collecting contents usage information
KR20160128591A (ko) * 2015-04-29 2016-11-0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8787A1 (en) 2012-04-17 2013-10-24 Sirius Xm Radio Inc. Server side crossfade for progressive download media
US9406303B2 (en) 2011-11-18 2016-08-02 Sirius Xm Radi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cross-fading, interstitials and other effects downstream
MX343807B (es) 2012-03-06 2016-11-24 Sirius Xm Radio Inc Sistemas y métodos para el mapeo de atributos de audio.
KR102157175B1 (ko) 2018-12-27 2020-09-1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셜네트워크에서 분위기 태그와 동의어를 고려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추천 방법
KR102248570B1 (ko) 2019-10-14 2021-05-0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셜네트워크에서 분위기 태그와 동의어를 이용한 퍼지기반 멀티미디어 콘텐츠 검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4638A (en) 1996-05-29 2000-01-11 America Online, Inc. System for customizing computer displays in accordance with user preferences
JPH10326289A (ja) 1997-03-28 1998-12-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提供方法、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100375404B1 (ko) * 1999-12-24 2003-03-10 잇이즈콤주식회사 웹사이트 방문자 이용내역에 기반한 맞춤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KR20020031605A (ko) * 2000-10-19 2002-05-03 최승석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3307A3 (en) * 2007-06-11 2009-02-12 Sk Telecom Co Ltd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collecting contents usage information
KR20160128591A (ko) * 2015-04-29 2016-11-0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1513B1 (ko) 2007-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8168B2 (en) Scalable music recommendation by search
US8346801B2 (en) Context based video finder
US811721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US7809793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by collaborative filter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use with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for use with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85836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user profile using content tag, and method for content recommendation using the constructed user profile
KR100781513B1 (ko) 선호도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1051513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suggesting metadata for media content
KR101648204B1 (ko) 콘텐트 아이템들의 컬렉션과 연관하여 메타데이터 생성
US86116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eature extraction method, recording media, and program
US82447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esenting method of related items
JP2005526340A (ja) プレイリストの生成、配信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
US20080275904A1 (en) Method of Generating and Methods of Filtering a User Profile
EP1930902A1 (en) Display control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contrlo processing program
US20100217755A1 (en) Classifying a set of content items
JP200811722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755699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7164633A (ja) コンテンツ検索方法及び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0015441A (ja)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情報の検索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6251975A (ja) テキスト分類方法ならびにその方法によるプログラム、およびテキスト分類装置
Goh et al. User song preferenc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N116756366A (zh) 一种智能分类方法及系统
CN113010726A (zh) 佛乐歌曲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