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534A - 자동차용 에너지 흡수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너지 흡수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534A
KR20070055534A KR1020077005865A KR20077005865A KR20070055534A KR 20070055534 A KR20070055534 A KR 20070055534A KR 1020077005865 A KR1020077005865 A KR 1020077005865A KR 20077005865 A KR20077005865 A KR 20077005865A KR 20070055534 A KR20070055534 A KR 20070055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absorber
wall
bumper
automotive
l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799B1 (ko
Inventor
에릭 제이 자알다
애로크 낸다
스테판 에프 슐러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70055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6Additional energy absorbing means supported on bumber beams, e.g. cellular structures or material
    • B60R2019/1866Cellula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범퍼 장치(20)에 관한 것으로서, 전형적 실시예로는 비임(24) 및 상기 비임에 연결된 에너지 흡수체(2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비임(24)은 상단면(80) 및 하단면(82)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차량에 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흡수체(22)는 제 1 측면(42) 및 대칭되는 제 2 측면(44)을 갖춘 본체(40), 상기 제 1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압착 로브(50), 및 상기 제 2 측면으로부터 뻗어있는 복수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7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측면은 비임에 면하고, 각각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70)는 비임의 상단면(82) 및 하단면(88)과 결합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너지 흡수체{BUMPER ASSEMBLY INCLUDING ENERGY ABSORBER WITH VERTICAL TRANSLATION CRUSH LOB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범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범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범퍼 장치의 설계에 대한 공지된 기준은 미연방 자동차용 안전 기준(FMVSS)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에너지 흡수 범퍼 시스템은 충격 에너지 및 침입을 관리하면서 차량의 레일 하중(rail load) 한계를 제한하지 않게 하여 저속 충격에 따른 차량 손상을 감소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일부 범퍼 장치는 충격 결과에 따라 보행자의 손상을 감소시키려는 시도도 있다.
범퍼 장치는 전형적으로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을 가로질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비임을 구비하고 있고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상에 장착된다. 비임은 전형적으로 강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강 비임은 매우 견고하며 구조적 강도 및 강성을 제공한다. 범퍼 장치의 에너지 흡수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일부 범퍼 장치는 또한 충격 흡수체를 구비한다.
에너지 흡수 범퍼 장치 또는 조립체의 효율은 거리에 걸쳐 흡수된 에너지 양 또는 하중에 걸쳐 흡수된 에너지 양으로서 규정된다. 고 효율 범퍼 장치는 저 효율 흡수체에 비해 짧은 거리에 걸쳐서 보다 많은 에너지를 흡수한다. 하중을 신속하게 레일 하중 한계치 바로 아래에 축적하고 충격 에너지가 분산될 때까지 하중을 일정하게 유지함에 의해 고 효율이 이루어진다.
에너지 흡수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충격 흡수체는 종종 예를 들어, 강 범퍼 비임과 차량용 레일 사이에 위치된다. 충격 흡수체는 충격으로부터 결과된 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범퍼 조립체에 충격 흡수체를 부가하여 강 비임에 비해 비용 및 복잡성이 부가될 수 있다. 또한 충격은 중량을 범퍼 조립체에 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가중된 중량은 차량의 전체 연료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공지된 에지 흡수 범퍼 장치는 발포(foam) 에너지 흡수체를 구비한다. 성형 기초 에너지 흡수체는 전형적으로 변위가 높게 결과되는 충격에 대해 느리게 하중이 가해진다. 나아가, 발포는 60 또는 70퍼센트 압축에 효과적이며, 이것을 넘으면, 발포는 압착되지 않아서 충격 에너지가 충분히 흡수되지 않도록 한다. 나머지 충격 에너지는 흡수되어 비임 및/또는 차량 구조물을 변형시킨다.
발명의 요약
자동차용 범퍼 장치가 일 실시예로 제공된다. 범퍼 장치는 비임 및 상기 비임에 연결된 에너지 흡수체를 구비한다. 비임은 상단면 및 하단면을 구비하며, 차량에 부착되도록 배치된다. 에너지 흡수체는 제 1 측면 및 대칭되는 제 2 측면을 갖춘 본체를 구비하고, 복수의 압착 로브(crush lobe)가 상기 제 1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복수의 수직 이동(translational) 압착 로브는 제 2 측면으로 뻗어있다. 상기 제 2 측면은 상기 비임에 면하고, 각각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는 상기 비임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과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로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가 제공된다. 범퍼 조립체는 상단면 및 하단면을 갖춘 비임을 구비하고, 에너지 흡수체는 비임에 연결되어 있고, 페시어(fascia)가 비임 및 에너지 흡수체를 실질적으로 봉입하도록 에너지 흡수체에 부착된다. 비임이 차량에 부착되도록 배치되고, 에너지 흡수체는 제 1측면 및 제 2 측면이 비임에 면하는 대칭되는 제 2 측면을 갖춘 본체를 구비하고, 복수의 압착 로브는 제 1 측면으로부터 뻗어있고, 그리고 복수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는 제 1 측면으로부터 뻗어있다. 각각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는 비임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에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로, 상단면과 하단면을 갖춘 범퍼 비임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 장치용 에너지 흡수체가 제공된다.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제 1 측면 및 대칭되는 제 2 측면을 갖춘 본체를 구비하고, 복수의 압착 로브가 제 1 측면으로부터 뻗어있고, 그리고 복수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가 상기 제 2 측면으로부터 뻗어있다. 각각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는 상기 비임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에 결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범퍼 조립체의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범퍼 조립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퍼 조립체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높고 낮은 오프셋 충격 보호를 제공하도록 발명된 에너지 흡수체를 구비한 범퍼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전형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비 발포(non-foam) 타입의 에너지 흡수체는 비임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비임은 강, 알루미늄, 또는 유리 매트 열가소성 부재로 제조된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제노이(Xenoy®) 재료로 제조되고, 소정의 충격 표준, 예컨대, 보행자 충격에 맞추어지도록 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너지 흡수체는 저속 FMVSS, CMVSS, 및 ECE42 충격 동안에 수평 충격을 범퍼 비임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방향을 전환시킨다. 범퍼 장치는 상부 및/또는 하부 비임 표면에 측방향 힘을 전달하도록 성형된 에너지 흡수체를 사용함으로써 운송의 충격 성능 고저를 제공한다. 특정 타입의 충격이 가해지는 동안, 충격 이벤트의 운동 에너지가 흡수될 때까지 에너지 흡수체 및 비임을 변형시킴으로써, 충격력은 소정 수준 바로 이하로 유지된다. 충격이 과도해질 때, 에너지 흡수체는 그들의 원래의 형태로 실질적으로 복원되고 그리고 연속적 충격을 견뎌내도록 충분히 일체식으로 유지된다.
범퍼 장치는 다음의 특수 재료(에너지 흡수체로서, 예컨대, 메사츄세츠, 핏츠필드의 제너럴 일렉트릭 컴퍼니에서 시판되는 크세노이 재료)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 장치는 실제적으로는 이러한 재료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임은 필수적으로 강, 알루미늄, 또는 GMT 압축 성형 비임일 필요는 없으며, 다른 재료 및 제조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흡수체는 에너지 흡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재료로 제조되고, 비임 재료 및 제조 기술은 강성 비임을 이루도록 선택된다.
범퍼 장치는 보다 높거나 또는 낮은 충격 성능을 개선하도록 디자인된다. 운송의 고저 조건에서 차량의 관리를 개선하여 범퍼 비임이 범퍼 장치에 작은 크기 및 질량으로 병합되도록 한다. 상기 범퍼 장치는 비임의 전방 방향 면의 상하로 뻗어있는 에너지 흡수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범퍼 비임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서 에너지 흡수체의 커서 리엑션 플레인(cursory reaction plane)의 뒤로 뻗어있는 압착 로브를 구비한다. 배면 배향된 압착 로브는 범퍼 비임의 상부 및/또는 하부 표면과 작용하여 전방 방향의 수평력을 제공하여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한다. 이러한 형상은 높이가 낮아 질량이 작은 비임을 갖는 보다 높은 범퍼가 디자인되도록 한다.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면, 도 1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조립체(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범퍼 조립체(20)를 배면에서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범퍼 조립체(2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범퍼 조립체(20)는 에너지 흡수체(22) 및 비임(24)를 구비한다. 에너지 흡수체(22)는 비임(24)과 조립할 때, 차량용 범퍼 조립체(20)를 형성하는 페시어(26) 사이에 위치된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임(24)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량 플레임 레일(미도시)에 부착된다.
전형적으로, 페시어(26)는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차량 페인팅 및/또는 코팅 기술을 사용하여 마감 처리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페시어(26)는 부재가 차량에 부착될 때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에너지 흡수체(22)와 보강 비임(24) 양측을 봉입한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비임(24)은 압출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임(24)은 롤 형 강 또는 압축 성형 유리 매트 열가소성 재료(GMT)로 제조된다. 비임(24)은 복수의 다음, 장방형 단면(section), B-단면, D-단면, I-비임으로 형성된 형태 또는 C 또는 W 단면 형상을 가진 형태들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비임(24)의 기하학적 형태는 비임이 사용되는 특정한 응용 부분에 따라 소정의 단면 탄성계수(modulus)를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에너지 흡수체(22)는 제 1 측면(42) 및 제 2 측면(44)을 갖춘 본체(40)를 구비한다. 제 1 측면(42)는 비임(24)에서 떨어져서 면하고 제 2 측면(44)은 비임(24)을 향해 면하고 있다. 복수 개의 압착 로브(50)가 에너지 흡수체 본체(40)의 제 1 측면(42)으로부터 뻗어있다. 로브(50)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각각의 로브(50)는 제 1 횡방향 벽(52), 제 2 횡방향 벽(54), 제 1 측면 벽(56), 제 2 측면 벽(58), 및 외측벽(60)을 구비하고 있다. 횡방향 벽(52 및 54), 측면벽(56 및 58), 및 외측벽(60)은 압착 로브(50)에 중공형의 공동(62)을 형성한다. 각각의 압착 로브(50)는 또한, 횡방향 벽(52 및 54), 측면벽(56 및 58), 및 외측벽(60)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64)을 구비한다. 각각의 로브(50)는 소정의 강도를 갖도록 조절될 수 있다. 로브(50)는 횡방향 벽(52 및 54), 측면벽(56 및 58), 및 외측벽(60)의 개구(64)의 크기, 형태 및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전형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측방향 벽(52 및 54), 측면 벽(56 및 58)은 두께가 최외곽 전면 부분(66)으로부터 최외곽 배면 부분(68)으로 선형적으로 변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벽 두께는 약 1 밀리미터(mm)로부터 약 7mm까지 가변적이고, 일 실시예에서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약 1.5mm 내지 약 5mm까지 가변적이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약 2.5mm 내지 약 3.5mm까지 가변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벽의 두께는 최외곽 전면 부분(66)으로부터 최외곽 배면 부분(68)까지 일정하고, 약 1mm 내지 약 7mm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벽의 두께는 단차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최외곽 전면 부분(66)의 벽 두께는 일정하고, 그리고 최외곽 배면 부분(68)의 벽 두께는 일정한데, 최외곽 배면 부분(68)의 벽은 최외곽 전면 부분(66)의 벽보다 더 두껍다.
복수 개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70)는 에너지 흡수체 본체(40)의 제 2 측면(44)으로부터 뻗어있다. 각각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70)는 제 1 횡방향 벽(72), 제 2 횡방향 벽(74), 제 1 측면 벽(76), 및 제 2 측면 벽(78)을 구비한다. 횡방향 벽(72 및 74) 및 측면 벽(76 및 78)은 수직 이동 압착 로브(70)내에 중공의 공동을 형성한다. 각각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70)는 에너지 흡수체 본체 제 2 측면(44)으로부터 뻗어있고, 비임(24)의 상단면(80) 또는 하단면(82) 중 하나와 결합한다. 특히, 수직 이동 압착 로브(70)의 제 2 횡방향 벽(74)은 비임(24)의 상단면(80) 또는 하단면(82)과 결합하여, 측방향 힘을 충격 이벤트로부터 비임(24)의 상단면(80) 또는 하단면(82)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수직 이동 압착 로브(70)는 수평 충격 힘을, 저속 FMVSS, CMVSS, 및ECE42 충격이 가해지는 동안 비임(24)의 상단면(80) 또는 하단면(82)으로 방향을 전환시킨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제 1 횡방향 벽(72)은 만곡되어 있고 그리고 제 2 횡방향 벽(74)을 교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횡방향 벽의 다른 배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흡수체(22)는 제 1 플랜지(86) 및 제 2 플랜지(88)를 구비하며, 이것은 에너지 흡수체 본체(40)의 제 2 측면(44)으로부터 뻗어있다. 제 1 및 제 2 플랜지(86 및 88)는 비임(24)을 오버랩시키고 에너지 흡수체(22)를 비임(24)에 부착시킨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70)의 제 2 횡방향 벽(74)은 제 1 플랜지(86) 또는 제 2 플랜지(88)와 일체식으로 이루어진다.
에너지 흡수체(22)를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재료의 특징은 고도한 인성(toughness)/연성(ductility), 열적으로 안정한, 고도한 에너지 흡수 용량, 우수한 모듈러스 대 신장(elongation) 비 및 재활용성을 갖춘다. 에너지 흡수체는 분획되어 성형될 수 있지만, 또한 흡수체는 단단한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일체식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다른 공업용 열 가소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흡수체용 실례의 재료는 상기 참조된 바와 같이 크세노이 재료이다. 전형적인 공업용 열가소성 수지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ABS 혼합물,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아크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ASA),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폴리프로필렌 디아민 변형된)-스티렌(AES), 페닐렌 에테르 수지, (제너럴 일렉트릭 콤파니의 노릴 지티엑스(NORYL GTX®)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아미드의 혼합물, 폴리카보네이트/PET/PBT의 혼합물, 폴리부틸렌 테레프랄레이트 및 충격 변형제(제너럴 일렉트릭 콤파니의 크세노이® 수지), 폴리아미드, 페닐렌 술파이드 수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PVC, 고도한 충격 폴리스티렌(HIPS), 저/고 밀도 폴리에틸렌(l/hdpe, 폴리프로필렌(pp) 및 열가소성 올레핀(tpo)을 들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흡수체(22)의 높이 A는 비임(24)의 높이 B보다 작다. 도 4는 에너지 흡수체(90)의 높이 C가 비임(92)의 높이 D 보다 작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비임(24)의 높이 B는 비임(92)의 높이 보다 작다. 에너지 흡수체(22)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70)는 도 3 및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범퍼 조립체 디자인이 프로파일 비임이 낮도록 하면서 높고 낮은 오프셋 충격 보호를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특정 실시예로 기술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들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6)

  1. 자동차용 범퍼 장치에 있어서,
    상단면 및 하단면을 가지며, 상기 차량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비임과,
    상기 비임에 연결되는 에너지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제 1 측면 및 상기 비임에 대면하고 상기 제 1 측면과 대향하는 제 2 측면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제 1 측면으로부터 뻗어있는 복수의 압착 로브와,
    상기 제 2 측면으로부터 뻗어있고, 각각이 상기 비임의 상기 상단면 또는 상기 하단면과 결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범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가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은 중공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를 형성하는
    자동차용 범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가 상기 에너지 흡수체의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비임의 상기 상단면 또는 상기 하단면까지 연장하여, 충돌시 측방향 힘을 상기 비임의 상단면 또는 상기 하단면으로 전달하는
    자동차용 범퍼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상기 비임의 수직 치수보다 더 큰 수직 치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범퍼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압착 로브가 제 1 횡방향 벽, 제 2 횡방향 벽, 제 1 측면 벽, 제 2 측면 벽 및 외측 벽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횡방향 벽, 상기 제 2 횡방향 벽, 상기 제 1 측면 벽 및 상기 제 2 측면 벽이 중공의 압착 로브를 형성하고 있는
    자동차용 범퍼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횡방향 벽, 상기 제 2 횡방향 벽, 상기 제 1 측면 벽, 상기 제 2 측면 벽 및 상기 외측 벽의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범퍼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범퍼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사출 성형된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범퍼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이 강, 알루미늄, 열가소성 재료 및 유리 매트 열가소성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범퍼 장치.
  10. 자동차 용 범퍼 조립체에 있어서,
    상단면 및 하단면을 가지며, 상기 차량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비임과,
    상기 비임에 연결된 에너지 흡수체와,
    상기 비임 및 상기 에너지 흡수체를 실질적으로 봉입하도록 상기 에너지 흡수체에 부착되는 페시어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제 1 측면 및 대칭되는 제 2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측면이 상기 비임에 대면하는 비임과,
    상기 제 1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압착 로브와,
    상기 제 2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각각이 상기 비임의 상기 상단면 또는 상기 하단면과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가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측면들은 중공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를 형성하는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가 상기 에너지 흡수체의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비임의 상기 상단면 또는 상기 하단면으로 연장되어, 충돌시 측방향 힘을 상기 비임의 상단면 또는 상기 하단면으로 전달하는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상기 비임의 수직 치수보다 더 큰 수직 치수를 포함하 는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압착 로브는 제 1 횡방향 벽, 제 2 횡방향 벽, 제 1 측면 벽, 제 2 측면 벽 및 외측 벽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횡방향 벽, 상기 제 2 횡방향 벽, 상기 제 1 측면 벽 및 상기 제 2 측면 벽이 중공의 압착 로브를 형성하는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횡방향 벽, 상기 제 2 횡방향 벽, 상기 제 1 측면 벽, 상기 제 2 측면 벽 및 상기 외측 벽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체가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사출 성형된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이 강, 알루미늄, 열가소성 재료 및 유리 매트 열가소성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19. 상단면과 하단면을 갖는 범퍼 비임을 포함하는 차량 범퍼 장치용 에너지 흡수체에 있어서,
    제 1 측면 및 대향하는 제 2 측면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제 1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압착 로브와,
    상기 제 2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며, 각각이 상기 비임의 상기 상단면 또는 상기 하단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에너지 흡수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가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은 중공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를 형성하는
    자동차용 에너지 흡수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직 이동 압착 로브는 상기 에너지 흡수체의 상기 제 2 측면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충돌시 측방향 힘을 상기 비임의 상단면 또는 상기 하단면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비임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에너지 흡수체.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로브의 각각이 제 1 횡방향 벽, 제 2 횡방향 벽, 제 1 측면 벽, 제 2 측면 벽 및 외측 벽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횡방향 벽, 상기 제 2 횡방향 벽, 상기 제 1 측면 벽 및 상기 제 2 측면 벽이 중공의 압착 로브를 형성하는
    자동차용 에너지 흡수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횡방향 벽, 상기 제 2 횡방향 벽, 상기 제 1 측면 벽, 상기 제 2 측면 벽 및 상기 외측 벽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에너지 흡수체.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체가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에너지 흡수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사출 성형된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에너지 흡수체.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이 강, 알루미늄, 열가소성 재료 및 유리 매트 열가소성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에너지 흡수체.
KR1020077005865A 2004-09-14 2005-08-09 에너지 흡수재, 범퍼 시스템 및 범퍼 조립체 KR101162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40,828 2004-09-14
US10/940,828 US7188876B2 (en) 2004-09-14 2004-09-14 Bumper assembly including energy absorber with vertical translation crush lobes
PCT/US2005/028528 WO2006031338A1 (en) 2004-09-14 2005-08-09 Bumper assembly including energy absorber with vertical translation crush lob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534A true KR20070055534A (ko) 2007-05-30
KR101162799B1 KR101162799B1 (ko) 2012-07-09

Family

ID=3520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865A KR101162799B1 (ko) 2004-09-14 2005-08-09 에너지 흡수재, 범퍼 시스템 및 범퍼 조립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88876B2 (ko)
EP (1) EP1791727B1 (ko)
JP (1) JP2008513260A (ko)
KR (1) KR101162799B1 (ko)
CN (1) CN101022977B (ko)
AT (1) ATE443635T1 (ko)
AU (1) AU2005285412A1 (ko)
DE (1) DE602005016821D1 (ko)
WO (1) WO20060313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8340B2 (ja) * 2003-10-03 2009-12-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自動車用強度部材
JP4350584B2 (ja) * 2004-05-07 2009-10-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KR100980981B1 (ko) * 2004-12-01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충돌 가속도 조절부재
US7163242B2 (en) * 2005-01-05 2007-01-16 General Electric Company Bumper system with energy absorber
US7484780B2 (en) * 2006-04-12 2009-02-03 Chrysler Llc Bumper beam for automobile
US7533912B2 (en) 2007-06-12 2009-05-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ybrid energy absorber for automobile bumper
JP4533924B2 (ja) * 2007-11-26 2010-09-01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衝撃吸収構造体
US20090159384A1 (en) * 2007-12-19 2009-06-25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Energy absorber and system
US8016331B2 (en) * 2008-02-14 2011-09-13 Shape Corp. Energy absorber with sidewall stabilizer ribs
JP2009234313A (ja) * 2008-03-26 2009-10-15 Nikkeikin Aluminium Core Technology Co Ltd バンパー構造
US7866716B2 (en) 2008-04-08 2011-01-11 Flex-N-Gate Corporation Energy absorber for vehicle
FR2930216B1 (fr) * 2008-04-16 2010-12-24 Plastic Omnium Cie Absorbeur pour vehicule automobile.
US7806448B2 (en) * 2008-11-04 2010-10-05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Vehicle bumper system with energy absorber
DE102009013322A1 (de) * 2009-03-18 2010-09-30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toßfängeranordnung
CN102762414B (zh) * 2009-11-06 2015-09-30 沙普公司 具有对行人提供均匀的撞击的凸起部的能量吸收器
JP2013521194A (ja) * 2010-03-05 2013-06-10 シェイプ・コープ 歩行者のためのボンネットエネルギー吸収体
US20120032458A1 (en) * 2010-08-04 2012-02-09 Oakwood Energy Management, Inc. Bumper system with friction-fit energy absorber and method
US8684427B2 (en) * 2010-10-29 2014-04-0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Reinforced plastic energy absorber system
US8328251B2 (en) * 2010-12-17 2012-12-1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Asymmetric energy absorber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12122256A2 (en) 2011-03-09 2012-09-13 Shape Corp. Vehicle energy absorber for pedestrian's upper leg
DE102012000631A1 (de) 2012-01-14 2013-07-1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Absorption von Stoßenergie mit Deformationselementen, insbesondere Stoßfänger eines Fahrzeugs
US8876179B2 (en) 2012-02-01 2014-11-0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Energy absorbing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9033380B2 (en) * 2012-05-23 2015-05-19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Energy absorber with staggered, vertically oriented crush lobes
US8517454B1 (en) 2012-06-22 2013-08-27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front energy absorber
KR101428243B1 (ko) * 2012-12-05 2014-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외장 에어백장치
US8973957B2 (en) * 2013-04-22 2015-03-10 Shape Corp. Bumper energy absorber with sensor and configured lobes
US9193318B2 (en) 2013-10-14 2015-11-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epped dual tube deflector
US9233657B1 (en) 2014-08-29 2016-01-1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umper energy absorber with local stiffening
US9180829B1 (en) 2014-09-10 2015-1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rbon fiber wrapped aluminum dual tube deflector
US9580029B2 (en) * 2015-06-05 2017-02-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umper assemblies including a bumper cover reinforcement and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US10065587B2 (en) 2015-11-23 2018-09-04 Flex|N|Gate Corporation Multi-layer energy absorber
US10272858B2 (en) * 2017-04-20 2019-04-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mper assembly
KR102030130B1 (ko) * 2019-05-08 2019-10-08 이동근 범퍼
JP7213229B2 (ja) * 2020-12-16 2023-01-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者保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8852A (ja) * 1985-11-29 1987-06-11 Honda Motor Co Ltd 自動車用合成樹脂製バンパ
DE19637512C2 (de) * 1996-09-13 1999-11-11 Daimler Chrysler Ag Stoßfänger
US6082792A (en) * 1998-05-07 2000-07-04 General Electric Company Vehicle bumper
JP2001277963A (ja) * 2000-03-30 2001-10-10 Fuji Heavy Ind Ltd 自動車用バンパ構造
AU2001265177A1 (en) * 2000-05-31 2001-12-11 Textron Automotive Company Inc. Motor vehicle bumper
US6406081B1 (en) * 2001-03-20 2002-06-18 General Electric Company Energy absorber system
US6874832B2 (en) * 2001-04-16 2005-04-05 Netshape International, Llc Bumper system with face-mounted energy absorber
US6609740B2 (en) * 2001-04-16 2003-08-26 Shape Corporation Bumper system with face-mounted energy absorber
JP2005510393A (ja) * 2001-10-29 2005-04-21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エネルギー吸収部材を備えるバンパアセンブリ
US6793256B2 (en) * 2001-12-17 2004-09-21 Jsp Licenses, Inc. Vehicle bumper energy absorber system and method
US6663150B1 (en) * 2002-06-06 2003-12-16 Netshape Corporation Bumper with integrated energy absorber and beam
US6866313B2 (en) * 2002-07-30 2005-03-15 General Electric Co. Bumper assembly including and energy absorber
US6746061B1 (en) * 2003-02-04 2004-06-08 Shape Corporation Bumper beam with interference-fit energy absorber
US20040174025A1 (en) * 2003-03-07 2004-09-09 General Electric Company Blow molded energy absorber for a vehicle front e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22977A (zh) 2007-08-22
EP1791727A1 (en) 2007-06-06
US20060055187A1 (en) 2006-03-16
CN101022977B (zh) 2013-01-02
US7188876B2 (en) 2007-03-13
ATE443635T1 (de) 2009-10-15
AU2005285412A1 (en) 2006-03-23
JP2008513260A (ja) 2008-05-01
WO2006031338A1 (en) 2006-03-23
EP1791727B1 (en) 2009-09-23
KR101162799B1 (ko) 2012-07-09
DE602005016821D1 (de)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799B1 (ko) 에너지 흡수재, 범퍼 시스템 및 범퍼 조립체
US7278667B2 (en) Bumper assembly with energy absorber
US7163242B2 (en) Bumper system with energy absorber
US7296833B2 (en) Bumper system with integrated energy absorber underbar
US6669251B2 (en) Bumper beam and bumper assembly including a bumper beam
US7086690B2 (en) Bumper assembly including twin energy absorbers
US6866313B2 (en) Bumper assembly including and energy absorber
US6938936B2 (en) Energy absorber with crash cans
KR100805511B1 (ko) 범퍼 조립체 및 에너지 흡수체
KR100812054B1 (ko) 범퍼 시스템, 자동차용 범퍼 조립체 및 자동차 범퍼 시스템용 에너지 흡수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