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094A -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094A
KR20070055094A KR1020050113420A KR20050113420A KR20070055094A KR 20070055094 A KR20070055094 A KR 20070055094A KR 1020050113420 A KR1020050113420 A KR 1020050113420A KR 20050113420 A KR20050113420 A KR 20050113420A KR 20070055094 A KR20070055094 A KR 20070055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op plate
support
reinforcing material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환
박성하
강헌성
배문성
이충화
장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50113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5094A/ko
Publication of KR20070055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강도가 효과적으로 향상된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은 판상 부재와 상기 판상 부재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상판을 구비한다. 상기 보강재는 "ㄷ"자 또는 "ㄴ"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한쌍 또는 두쌍이 상판의 모서리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보강재는 스틸(steel), 알루미늄의 금속계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판은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 설치된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 볼트 및 상기 지지 볼트와 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 고무를 포함하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다.
상판, 보강재, 모서리, 처짐량, 강도

Description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UPPER BOARD AND RAISED ACCESS FLOORS SYSTEM WITH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의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한 처짐량을 시뮬레이션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한 처짐량을 시뮬레이션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상판을 구비한 이중 바닥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이중 바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도가 향상된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부 공간 활용의 장점으로 인해 오래 전부터 전산실과 같은 상업용에 적용되고 있는 이중 바닥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지지대는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볼트와, 지지 볼트의 저부에 설치되는 지지대 고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은 파티클 보드(PB: Particle Board), 합판(Plywood),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HDF(High Density Fiberboard), OSB(Oriented Standard Board) 등의 목질계, 목모(木毛)시멘트판, 콘크리트 시멘트판 등의 무기질계, 합성수지계, 스틸계, 알루미늄계 등의 단일재료 또는 목질과 알루미늄 등의 2가지 이상의 재료를 동시에 사용하는 복합재료 등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판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그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지지판(110)에 의해 지지대에 지지되는데, 상기 지지판(110)은 2개의 이웃하는 상판(120)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설치되므로, 상판(120)과 지지판(110) 간의 접촉 면적이 매우 작은 편이다.
따라서, 상판(120)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상판(120)의 처짐이 발생되는데, 이때 지지판(110)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에서는 처짐량이 최소값으로 나타나고, 상판(120)의 중간부분에서는 처짐량이 최대값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처짐량이 최소값을 나타내는 부분에서는 전단력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판(120)의 처짐이 발생되면 보행시 바닥의 울렁거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보행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판의 강도를 향상시켜야 하는데, 상기 상판은 판의 두께와 강도가 비례하여 증감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강도 향상을 위해 두께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하부 공간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고, 하부 공간을 증 가시키기 위해 두께를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하부 공간을 축소시키지 않으면서도 강도가 향상된 상판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강도가 향상된 상판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상판을 구비함으로써 보행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바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의 상판으로서,
판상 부재; 및
상기 판상 부재의 모서리부에 부착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상판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ㄷ"자 또는 "ㄴ"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한쌍 또는 두쌍이 상판의 모서리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보강재는 스틸(steel), 알루미늄의 금속계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두께는 5 내지 10㎜의 범위 내에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상 부재는 파티클 보드(PB)로 형성하거나, 상부판과 하부판 및 이 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판은 상기 보강재에 의해 강도가 향상되므로, 안정적인 보행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은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욱 포함하는데, 상기 지지대는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 설치된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 볼트 및 상기 지지 볼트와 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 고무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한 처짐량을 시뮬레이션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상판을 구비한 이중 바닥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100)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대(10)와, 슬라브(30)와의 사이에 하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지지대(10)에 의해 지지되는 상판(20)을 포함한다.
상기한 이중 바닥 시스템(100)에서 사용하는 지지대(10)는 크게 지지판(12), 지지 볼트(14) 및 지지대 고무(16)로 구성된다.
지지 볼트(14)의 일단부는 지지판(12)에 설치된 너트(12')에 나사 결합되며, 지지 볼트(14)의 다른 단부에 구비된 볼트 헤드(미도시함)는 지지대 고무(16)에 착탈 가능하게,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 볼트(14)는 지지판(12)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나사선의 조밀도와 재질이 중요하다. 나사선의 조밀도는 조밀할수록 정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지만 시공 속도가 느리고, 나사선의 불량 발생 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으므로, 일정한 규격의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지지 볼트(14)로는 직경이 5 내지 20㎜이고, 길이는 20 내지 200㎜인 KS B1002 규격의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2)은 상판(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지지판(12)의 중심부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는 너트(12')가 삽입되며, 지지판(12)의 상부면에는 상판(20)과의 접착을 위한 접착 테이프(미도시함)가 부착된다.
상기 지지판(12)은 금속, 플라스틱, 무기질, 나무 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판(20)과의 일체화를 위한 못박음 고정이 가능하도록 판상형 목재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너트(12')가 삽입되는 위치의 지지판(12) 상면에는 도포된 접착제를 수용하는 접착제 수용홈(12")이 구비된다.
한편, 지지 볼트(14)의 너트쪽 단부에는 회전 공구용 계합부(미도시함), 즉 일자 또는 십자형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공구, 예컨대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지지 볼트(14)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지지판(12)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 다.
그리고, 상기 지지 볼트(14)의 너트(12')쪽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예를 들어 지지 볼트(14)의 길이방향 전체에는 한 개 이상의 키홈(미도시함)이 형성된다. 상기 키홈은 지지판(12)의 접착제 수용홈에 수용된 접착제가 지지대 고무(16)에 공급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키홈의 개수와 깊이는 사용하고자 하는 접착제의 유동성을 감안하여 설계한다.
물론, 키홈을 구비하는 지지 볼트 대신에 중공형의 지지 볼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착제로는 흘러내리기 용이하도록 유동성이 좋으며, 1시간 내지 24시간 이내의 경화 속도를 갖는 에폭시, 비닐, 수용성 계통의 접착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별도로 개발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2)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20)은 판상 부재(22)를 구비한다.
상기 판상 부재(22)는 파티클 보드(PB: Particle Board), 합판(Plywood),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HDF(High Density Fiberboard), OSB(Oriented Standard Board) 등의 목질계, 목모(木毛)시멘트판, 콘크리트 시멘트판 등의 무기질계, 합성수지계, 스틸계, 알루미늄계 등의 단일재료 또는 목질과 알루미늄 등의 2가지 이상의 재료를 동시에 사용하는 복합재료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가격 대비 강성 및 가공 용이성을 고려하면 목질계가 바람직한데, 특히 바람직한 판상 부재로는 파티클 보드, 합판, MDF, OSB, 무기질 보드 등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파티클 보드를 사용한다.
도 2에는 파티클 보드를 판상 부재(22)로 사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파티클 보드는 목재 및 기타 식물 섬유질의 소편(particle) 즉 절삭편 또는 파쇄편 등에 합성수지 접착제를 첨가하여 성형, 열압시킨 것으로 500∼900㎏/m3의 밀도를 갖는 판상 제품을 말한다.
이러한 파티클 보드는 소편의 형상에 따라 소편의 형상과 크기가 두께 전체에 걸쳐 동일한 단층 보드, 위 아래층 그리고 가운데 층의 소편의 형상과 크기가 상이한 3층 보드, 가운데 층으로부터 위 아래 층으로 점차 소편의 크기와 형상이 작아지는 다층 보드 등이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상기 파티클 보드 중 어떠한 형태의 것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판상 부재(22)를 구비하는 상판(20)에 있어서, 판상 부재(22)의 모서리에는 보강재(24)가 부착된다.
상기 보강재(24)는 상판 모서리 부분의 상면과 하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스틸(steel), 알루미늄의 금속계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상기한 단면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보강재(2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변쪽에 한쌍이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보강재(24)는 판상 부재(22)의 단변쪽 모서리에 한쌍이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장변 및 단변쪽 모서리에 두쌍이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6㎜ 두께의 "ㄷ"자형 보강재를 구비한 상판에 하중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 처짐량을 시뮬레이션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은 도 1의 상판에 비해 처짐량이 대략 9 내지 20% 정도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가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판(20')의 판상 부재(22')가 샌드위치 구조로 이루어지며, 보강재(24')가 "ㄴ"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도 4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샌드위치 구조의 판상 부재(22')는 판상 부재(22')가 상부판(22'a)과 하부판(22'b) 및 이 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리브(22'c)로 이루어지는 판상 부재를 말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ㄷ"자형 보강재(24)를 판상 부재(22)에 적용하고, "ㄴ"자형 보강재(24')를 판상 부재(22')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ㄷ"자형 보강재(24)를 판상 부재(22')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ㄴ"자형 보강재(24')를 판상 부재(22)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은 모서리를 감싸는 보강재에 의해 강도가 향상되므로, 하부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의 상판을 이용하면 보행시 울러거림을 줄일 수 있어 안정적인 보행감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의 상판으로서,
    판상 부재; 및
    상기 판상 부재의 모서리부에 부착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상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ㄴ"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가 판상 부재의 양쪽 모서리에 설치되는 상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가 판상 부재의 네쪽 모서리에 설치되는 상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스틸(steel), 알루미늄의 금속계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 되는 상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는 파티클 보드, 합판, MDF, HDF, OSB와 같은 목질계 판상재, 또는 목모(木毛)시멘트판 또는 콘크리트 시멘트판재와 같은 무기질계 판상재 또는 플라스틱계중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는 상부판과 하부판 및 이 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구조로 형성되는 상판.
  9.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판; 및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설치된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 볼트; 및
    상기 지지 볼트와 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 고무
    를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1020050113420A 2005-11-25 2005-11-25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20070055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420A KR20070055094A (ko) 2005-11-25 2005-11-25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420A KR20070055094A (ko) 2005-11-25 2005-11-25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094A true KR20070055094A (ko) 2007-05-30

Family

ID=3827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420A KR20070055094A (ko) 2005-11-25 2005-11-25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50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5544B1 (en) Composite wood panels having tongue and groove edges
EP1898025B1 (de) Paneel mit Trittschall- und mit Raumschall-Dämmung, Belag aus Paneelen, schallmindernde Beschichtung,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orrichtung hierzu
US76734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corner bench in a tiled shower
RU2011147221A (ru) Напольная панель
CA2481838A1 (en) Floorboards for floorings
EP1846232A1 (de) Paneel mit dekorativer schicht
US20130241103A1 (en) Method for producing a flooring or wall element
KR20070054313A (ko)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WO2020078549A1 (en) Panel element
PL202330B1 (pl) Płyta wiórowa, zwłaszcza szalunkowa
KR100868697B1 (ko) 마루판 지지장치
KR20070055094A (ko)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200440952Y1 (ko)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JP2007509258A (ja) 剛性が補強された二重フロアシステム用床板
JP2008267035A (ja) 床用緩衝体、床構造、及び、補強床敷設方法
KR200440950Y1 (ko)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20070053875A (ko)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20070053491A (ko)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JPH079950Y2 (ja) 木質床材
KR100722754B1 (ko) 보강구조를 이용한 이중바닥시스템 상판용 고강성 패널
JP6813412B2 (ja) 土間用床材
JP3211903U (ja) 複合ボードおよび床構造
JPH0546584Y2 (ko)
JP2005226329A (ja) 床パネル構造
KR20070072096A (ko) 외장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