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491A -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491A
KR20070053491A KR1020050111328A KR20050111328A KR20070053491A KR 20070053491 A KR20070053491 A KR 20070053491A KR 1020050111328 A KR1020050111328 A KR 1020050111328A KR 20050111328 A KR20050111328 A KR 20050111328A KR 20070053491 A KR20070053491 A KR 20070053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op plate
support
attached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찬
이충화
정명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50111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3491A/ko
Publication of KR20070053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강도, 내수성 및 제진성이 향상되고 두께가 감소된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은 판상 부재와 상기 판상 부재에 부착되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상판을 구비한다. 상기 보강판은 수지를 함침시킨 크라프트지(kraft paper)를 고압 라미네이트(HPL) 공정으로 처리하여 형성하거나, 태고(TEGO) 합판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보강판에는 제진 시트를 부착하거나 제진 도료를 코팅하여 제진성을 향상시키거나, 내수성 향상을 위해 비닐 시트를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판은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 설치된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레벨링 볼트 및 상기 레벨링 볼트와 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 고무를 포함하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다.
상판, 태고 합판, 라미네이트, HPL, 강도, 내수성, 제진성,

Description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UPPER BOARD AND RAISED ACCESS FLOORS SYSTEM WITH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판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판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이중 바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도, 내수성 및 제진성이 향상되고 두께가 감소된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부 공간 활용의 장점으로 인해 오래 전부터 전산실과 같은 상업용에 적용되고 있는 이중 바닥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지지대는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상판을 레벨링하는 레벨링 볼트와, 레벨링 볼트의 저부에 설치되는 지지대 고무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중 바닥 시스템은 층간 소음(경량 바닥 충격음 및/또는 중량 바닥 충격음) 저감 성능과 온돌 난방층에서 발생하는 고하중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아직까지는 상기한 이중 바닥 시스템이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즉 주거용으로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상기한 이중 바닥 시스템을 공동주택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강도가 우수한 상판의 개발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상판은 충분한 하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두께가 최소화되는 것도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판의 두께와 강도는 비례하여 증감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강도 향상을 위해 두께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하부 공간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고, 하부 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두께를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은 습식 난방 구조에서 방출되는 습기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내수성이 우수해야 한다. 이는 상기 상판이 목질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 흡수된 습기 또는 수분으로 인해 상판의 강도가 저하되므로 바닥 균열 또는 함몰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한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상판의 표면에 방수 시트를 부착하거나 모체 침투성 방수제를 도포하거나 방수 코팅막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상판의 내수성만 향상시킬 수 있을 뿐으로, 강도 향상 및 두께 축소 측면에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중 바닥 시스템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즉 주거용으로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강도, 내수성 및 제진성이 향상되고 두께가 감소된 상판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상판을 구비함으로써 공동주택에 적용이 가능한 이중 바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의 상판으로서,
판상 부재; 및
상기 판상 부재에 부착되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상판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수지(멜라민, 페놀, TiO2 등)를 함침시킨 크라프트지(kraft paper)를 고압 라미네이트(HPL) 공정으로 처리하여 형성하거나, 태고(TEGO) 합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판에는 제진 시트를 부착하거나 제진 도료를 코팅하여 제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내수성 향상을 위해 비닐 시트를 부착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진 시트(또는 제진 도료)와 비닐 시트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의 상판을 구성함에 있어서, 판상 부재는 파티클 보드(PB)로 형성하거나, 상부판과 하부판 및 이 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보강판은 판상 부재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판은 상기 보강판에 의해 강도가 증가되므로, 판상 부재의 두께를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보강판에 제진 시트(또는 제진 도료) 및/또는 비닐 시트를 부착하는 것에 따라 제진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은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욱 포함하는데, 상기 지지대는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 설치된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레벨링 볼트 및 상기 레벨링 볼트와 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 고무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판을 구비한 이중 바닥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100)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대(10)와, 슬라브(30)와의 사이에 하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지지대(10)에 의해 지지되는 상판(20)을 포함한다.
상기한 이중 바닥 시스템(100)에서 사용하는 지지대(10)는 크게 지지판(12), 레벨링 볼트(14) 및 지지대 고무(16)로 구성된다.
레벨링 볼트(14)의 일단부는 지지판(12)에 설치된 너트(12')에 나사 결합되며, 레벨링 볼트(14)의 다른 단부에 구비된 볼트 헤드(미도시함)는 지지대 고무(16)에 착탈 가능하게,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레벨링 볼트(14)는 지지판(12)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나사선의 조밀도와 재질이 중요하다. 나사선의 조밀도는 조밀할수록 정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지만 시공 속도가 느리고, 나사선의 불량 발생 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으므로, 일정한 규격의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레벨링 볼트(14)로는 직경이 5 내지 20㎜이고, 길이는 20 내지 200㎜인 KS B1002 규격의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2)은 상판(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지지판(12)의 중심부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는 너트(12')가 삽입되며, 지지판(12)의 상부면에는 상판(20)과의 접착을 위한 접착 테이프(미도시함)가 부착된다.
상기 지지판(12)은 금속, 플라스틱, 무기질, 나무 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판(20)과의 일체화를 위한 못박음 고정이 가능하도록 판상형 목재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너트(12')가 삽입되는 위치의 지지판(12) 상면에는 도포된 접착제를 수용하는 접착제 수용홈(12")이 구비된다.
한편, 레벨링 볼트(14)의 너트쪽 단부에는 회전 공구용 계합부(미도시함), 즉 일자 또는 십자형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공구, 예컨대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레벨링 볼트(14)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지지판(12)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벨링 볼트(14)의 너트(12')쪽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예를 들어 레벨링 볼트(14)의 길이방향 전체에는 한 개 이상의 키홈(미도시함)이 형성된다. 상기 키홈은 지지판(12)의 접착제 수용홈에 수용된 접착제가 지지대 고무(16)에 공급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키홈의 개수와 깊이는 사용하고자 하는 접착제의 유동성을 감안하여 설계한다.
물론, 키홈을 구비하는 레벨링 볼트 대신에 중공형의 레벨링 볼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착제로는 흘러내리기 용이하도록 유동성이 좋으며, 1시간 내지 24시간 이내의 경화 속도를 갖는 에폭시, 비닐, 수용성 계통의 접착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별도로 개발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2)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20)은 판상 부재(22)를 구비한다.
상기 판상 부재(22)는 파티클 보드(PB: Particle Board), 합판(Plywood),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HDF(High Density Fiberboard), OSB(Oriented Standard Board) 등의 목질계, 목모(木毛)시멘트판, 콘크리트 시멘트판 등의 무기질계, 합성수지계, 스틸계, 알루미늄계 등의 단일재료 또는 목질과 알루미늄 등의 2가지 이상의 재료를 동시에 사용하는 복합재료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가격 대비 강성 및 가공 용이성을 고려하면 목질계가 바람직한데, 특히 바람직한 판상 부재로는 파티클 보드, 합판, MDF, OSB, 무기질 보드 등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파티클 보드를 사용한다.
도 1에는 파티클 보드를 판상 부재(22)로 사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파티클 보드는 목재 및 기타 식물 섬유질의 소편(particle) 즉 절삭편 또는 파쇄편 등에 합성수지 접착제를 첨가하여 성형, 열압시킨 것으로 500∼900㎏/m3의 밀도를 갖는 판상 제품을 말한다.
이러한 파티클 보드는 소편의 형상에 따라 소편의 형상과 크기가 두께 전체에 걸쳐 동일한 단층 보드, 위 아래층 그리고 가운데 층의 소편의 형상과 크기가 상이한 3층 보드, 가운데 층으로부터 위 아래 층으로 점차 소편의 크기와 형상이 작아지는 다층 보드 등이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상기 파티클 보드 중 어떠한 형태의 것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판상 부재(22)를 구비하는 상판(20)에 있어서, 판상 부재(22)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보강판(24)이 부착된다.
상기 보강판(24)은 수지가 함침되어 있는 크라프트지(kraft paper)를 고압 라미네이팅(HPL: High Pressure Laminating) 공정을 이용하여 판상 부재(22)에 접 착한 것이다. 여기에서, 크라프트지는 화학 펄프의 일종인 미표백 크라프트 펄프를 주원료로 하는 포장 용지를 말하며, 상기 수지로는 멜라민, 페놀, TiO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크라프트지는 내수성 또한 우수하다.
따라서, 크라프트지를 이용하여 형성한 보강판(24)이 파티클 보드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접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은 파티클 보드로만 이루어는 종래의 상판에 비해 여러 가지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인의 실험에 의하면, 국부 집중 하중 실험(일정 직경의 가압자를 일정한 힘으로 제품에 가하여 처짐 변위를 측정하는 실험) 결과, 종래의 상판은 2.6㎜의 처짐량이 발생되었지만, 본 실시예의 상판은 1.73㎜의 처짐량만 발생되었다.
그리고, 등분포 하중 실험(일정 무게의 모래자루 주머니를 실제 제품에 등분포로 적재하고 처짐 변위를 측정하는 실험) 결과, 종래의 상판은 1.73㎜의 처짐량이 발생되었지만, 본 실시예의 상판은 0.91㎜의 처짐량만 발생되었다.
그리고, 내수성 실험(제품 표면에 물을 부은 다음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의 두께 변화율을 측정하는 실험) 결과, 종래의 상판은 10%의 두께 변화율이 발생되었지만, 본 실시예의 상판은 1.4%의 두께 변화율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충격 하중 실험(일정 무게의 모래자루 주머니를 일정 높이에서 제품에 낙하시켜 파손 여부를 판정하는 실험) 결과, 종래의 상판은 파괴되었지만 본 실시예의 상판은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또한, 파괴 강도 실험(제품에 점차적으로 하중을 가하여 제품이 파괴될 때의 하중을 측정하는 실험) 결과, 종래의 상판은 164.3㎏의 하중에서 파괴되었지만 본 실시예의 상판은 176.87㎏의 하중에서 파괴되었다.
상기 실험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른 상판은 국부 집중 하중, 등분포 하중, 충격 하중, 파괴 강도 및 내수성이 종래의 상판에 비해 모두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은 판상 부재(22)의 양면에 보강판(24)을 부착하고 있지만, 상기 보강판(24)은 판상 부재(22)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에서 어느 한 면에만 부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강도 향상을 위해서는 판상 부재(22)의 양면에 보강판(24)을 부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24)의 표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진 시트(26)를 부착하거나, 제진 도료를 코팅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판(24)의 표면에 내수성 향상을 위한 비닐 시트(28)를 부착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비닐 시트(28) 대신에 상기 보강판(24)을 방수 코팅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진 시트(26)와 비닐 시트(28)를 함께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진 시트(26) 및 비닐 시트(28) 외에도 보강판(24)의 표면에는 다양한 종류의 오버레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수지에 함침된 크라프트지를 고압 라미네이팅하여 보강판(24)을 형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보강판(24)은 강도 보강 및 내수성이 우수한 태고(TEGO) 합판 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태고 합판은 정식 명칭이 Phenolic Film Faced Shuttering Plywood로서, 내수합판의 표면에 열경화성 석탄산 수지가 함침된 태고 필름을 열압으로 접착시켜 만든 합판을 말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판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가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판(20')의 판상 부재(22')가 샌드위치 구조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도 4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샌드위치 구조의 판상 부재(22')는 판상 부재(22')가 상부판(22'a)과 하부판(22'b) 및 이 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재(22'c)로 이루어지는 판상 부재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판상 부재(22'c)에는 상부판(22'a)의 상부면과 하부판(22'b)의 하부면에 보강판(24)을 부착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부판(22'a)의 상부면 및 하부면과 하부판(22'b)의 상부면 및 하부면 모두에 상기한 보강판(24)을 부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보강판(24)은 수지에 함침된 크라프트지를 고압 라미네이팅하여 형성하거나, 태고 합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보강판(24)의 표면에는 제진 시트 및/또는 비닐 시트 등의 오버레이층을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은 보강판에 의해 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되고, 제진 시트(또는 제진 도료)에 의해 제진성이 향상되며, 또한 비닐 시트에 의해 내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대비 판상 부재의 두께를 축소하면서도 강도, 내수성 및 제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판의 하부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의 상판을 이용하면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의 배치 간격을 종래보다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 속도 향상과 아울러 지지대 사용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의 상판으로서,
    판상 부재; 및
    상기 판상 부재에 부착되는 보강판
    을 포함하는 상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수지를 함침시킨 크라프트지(kraft paper)를 고압 라미네이트(HPL) 공정으로 처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로는 멜라민, 페놀, TiO2 중에서 선택된 한 개 이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태고(TEGO) 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에는 제진 시트가 부착되거나, 제진 도료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6.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에는 비닐 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7.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는 파티클 보드(P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8.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는 상부판, 하부판 및 이 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9. 판상 부재 및 상기 판상 부재에 부착되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설치된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레벨링 볼트; 및
    상기 레벨링 볼트와 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 고무
    를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수지를 함침시킨 크라프트지(kraft paper)를 고압 라미네이트(HPL) 공정으로 처리하여 형성하거나, 태고 합판을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에는 제진 시트가 부착되거나, 제진 도료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에는 비닐 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KR1020050111328A 2005-11-21 2005-11-21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20070053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328A KR20070053491A (ko) 2005-11-21 2005-11-21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328A KR20070053491A (ko) 2005-11-21 2005-11-21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905U Division KR200440950Y1 (ko) 2008-04-14 2008-04-14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491A true KR20070053491A (ko) 2007-05-25

Family

ID=3827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328A KR20070053491A (ko) 2005-11-21 2005-11-21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34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24217A1 (en) Wood fibre based panel with a surface layer
US8234829B2 (en) Floor panel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10828881B2 (en) Veneered element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a veneered element
US20170211281A1 (en) Panel with footfall and ambient sound deadening, covering composed of panels, sound-reducing coating,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apparatus for this purpose
RU2340742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KR20070054313A (ko)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JP2003027731A (ja) 床 材
KR200440950Y1 (ko)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20070053491A (ko)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JP2995528B2 (ja) 床 材
KR200440952Y1 (ko)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20070053875A (ko)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102404593B1 (ko)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
JP2001159208A (ja) 集合住宅等における二重床構造
JP2004237575A (ja) 集成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520081B2 (ja) 防湿性を有する内装材
JPH03233072A (ja) 直貼り防音床板
JP2909734B1 (ja) 建築用板
KR20070055094A (ko)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WO2020144112A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floor covering
KR20230076467A (ko) 층간소음방지기능을 가지는 강화마루
KR101452037B1 (ko) 이중바닥재용 고강성 상판
JP2521408Y2 (ja) 積層板
CN201232329Y (zh) 一种浸渍纸层压木质地板
JP2002067224A (ja) 積層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