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4290A - 자동폐쇄장치용 이동부재 - Google Patents

자동폐쇄장치용 이동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4290A
KR20070054290A KR1020050112127A KR20050112127A KR20070054290A KR 20070054290 A KR20070054290 A KR 20070054290A KR 1020050112127 A KR1020050112127 A KR 1020050112127A KR 20050112127 A KR20050112127 A KR 20050112127A KR 20070054290 A KR20070054290 A KR 20070054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oving pin
groove
protrusion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0902B1 (ko
Inventor
박윤식
Original Assignee
박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식 filed Critical 박윤식
Priority to KR1020050112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902B1/ko
Publication of KR20070054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47B88/46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self-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47B88/938Means for connecting rails or rods to dra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의 자동폐쇄장치에 사용되는 이동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쌍의 스프링;상기 스프링의 일측이 결합하는 스프링 결합부와 이동부재 활주부가 양 측부에 형성되고 직선 가이드부와 곡선 가이드부로 구성되는 이동핀 가이드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부재;그 중심부분에 홈이 형성되는 판상부 ,판상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 활주부에 결합하는 활주홈,및 활주홈의 양측에 형성되며 스프링의 다른 일측이 결합하는 스프링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이동부재 활주부를 따라 왕복운동하는 이동부재;이동부재의 상기 홈에 삽입되어 이동부재와 일체로 고정부재의 이동핀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핀;및 상기 이동핀과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이동핀 안내홈을 갖는 이동핀 가이드로 구성되는 자동폐쇄장치에 적용된다.이때,이동부재는 이동부재 판상부에 형성되는 홈의 일측에 돌기부가 형성되어서 이동핀의 좌,우 방향 이동을 제한한다.또한,상기 돌기부 하측의 이동부재 판상부에 탄성변형 수용공이 형성되어서 이동핀이 상기 돌기부를 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 돌기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폐쇄장치,이동핀,고정부재,이동부재,이동핀 가이드

Description

자동폐쇄장치용 이동부재{Moving member for self closing means}
도1은 공지의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3부재 슬라이드의 사시도.
도2는 공지의 자동폐쇄장치의 사시도.
도3은 공지의 자동폐쇄장치에 사용되는 이동핀의 사시도.
도4는 공지의 자동폐쇄장치에 사용되는 고정부재의 전면도.
도5는 공지의 자동폐쇄장치에 사용되는 이동부재의 사시도.
도6은 도5의 이동부재를 도5의 B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7은 공지의 자동폐쇄장치에 사용되는 이동핀 가이드의 사시도.
도8~도9는 공지의 자동폐쇄장치의 작동상태 설명도.
도10은 공지의 자동폐쇄장치의 이상상태 설명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의 사시도.
도12~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를 사용하는 자동폐쇄장치의 작동상태 설명도.
본 발명은 슬라이드의 자동폐쇄장치에 사용되는 이동부재에 관한 것이다.
책상,옷장 등의 본체에 대해 서랍을 미닫이 방식으로 밀폐위치와 개방위치로 인입,인출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슬라이드가 사용된다.이때,사용자가 서랍을 완전 인입시키지 않아도 자동으로 서랍을 완전 인입시키는 자동폐쇄장치를 슬라이드에 부착시키면 매우 편리하다.
본 출원인은 신규하고 편리한 자동폐쇄장치에 대한 기술을 개발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0047588호와 국제출원 제KR2004/003489호로 출원하였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자동폐쇄장치(20)는 슬라이드(10)의 일측에 부착된다.도시된 슬라이드(10)는 고정레일(외측부재)(800),고정레일(800) 내를 활주이동하는 중간이동레일(중간부재)(900),중간 이동레일(900) 내를 활주이동하는 내측 이동레일(내측부재)(700),및 각 레일사이에 위치하는 볼리테이너(950)로 구성되어 3단으로 접철된다(상기 자동폐쇄장치는 고정레일과 하나의 이동레일로 구성되는 2단 접철식 슬라이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정레일(800)이 본체의 적당한 위치에 부착됨으로써 슬라이드(10)가 설치되고,서랍(960)은 결착홈(720)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내측 이동레일(700)에 결착되어서 서랍(960)의 이동은 내측 이동레일(700) 및/또는 중간이동레일(900)의 활주이동을 초래한다.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20)는 고정레일(800)의 최후단 단부에 설치되며 ,중간 이동레일(900)의 최후단 단부에는 자동폐쇄장치(20)의 일부분이 길이방향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레일홈(910)이 형성된다.
도2는 상기 자동폐쇄장치(20)의 사시도로서,이 장치(20)는 이동핀(400),이동부재(200),고정부재(100) 및 한쌍의 스프링(500)을 포함한다.상기 이동핀(400), 및 고정부재(100)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이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며,보다 자세한 내용은 상기 특허출원들을 참조하여야 할 것이다.
이동핀(400)은 일측에 안내돌기(410),타측에 지지기둥(430)을 가지며 그 중간 부분에 지지판(420)을 갖는다(도3 참조).
고정부재(100)의 양 측부에는,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스프링(500)의 일측이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111)가 형성되며,내부에는 직선 가이드부(124)와 곡선 가이드부(125)로 구성되는 이동핀 가이드부(123)가 종방향으로 형성된다.또한 고정부재(100) 동체 두께보다는 얇으나 후술될 이동부재(200)의 활주홈(222) 크기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져서 이동부재(200)의 활주홈(222)이 삽입되는 이동부재 활주부(121)가 형성된다.
이동부재(200)는,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대략적으로 사각형 형태의 판상부(210),이 판상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활주부 기둥(220),및 판상부(210) 양 측부에 형성되는 스프링 결합부(212)로 구성된다.판상부(210)에는 이동핀(400)이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홈(211)이 형성된다.또한 판상부(210)의 일측에는 다른 부재와 충돌시 이동부재(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는 충격 완충부(213)가 형성된다.활주부 기둥(220)에는 돌출부(221)와 U자 형상의 활주홈(222)이 형성되며,이 활주홈(222)은 고정부재(100)의 이동부재 활주부(121)와 결합하게 된다.
자동폐쇄장치(20)는,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내측 이동레일(700)의 내측 바 닥에 결착되며,이동핀(400)과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이동핀 가이드(300)를 또한 포함한다.이동핀 가이드(300)에는 이동핀 안내홈(350)과 슬라이드의 내측 이동레일 (700)의 결착돌기(710)(도8 참조)에 삽입되는 홈(330)이 형성된다.또한 이동핀 가이드(300)에는 이동핀 가이드(300)가 슬라이드의 내측 이동레일(700)에 삽입될 때 탄성적인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 기둥(340)이 양 측부에 형성된다.
자동폐쇄장치(20)는 먼저,이동핀(400)의 안내돌기(410)를 이동핀 가이드부 (123)에 밀어넣어 이동핀(400)을 고정부재(100)의 이동핀 가이드부(123)에 결착시킨 후,이동부재(200)의 활주홈(222)이 고정부재(100)의 이동부재 활주부(121)에 삽입되며 동시에 이동핀(400)이 이동부재(200)의 홈(211)에 삽입되도록 하여 이동부재(200)를 고정부재(100)에 결착시키고,스프링(500)의 일측은 고정부재(100)의 스프링 결합부(111)에 결착시키고 스프링(500)의 다른 일측은 이동부재(200)의 스프링 결합부(212)에 결착시켜서 완성된다(도2 참조).이와 같은 결합상태에서는 이동부재(200)가 고정부재의 이동부재 활주부(121)를 따라 활주하고 동시에 이동핀 (400)은 이동부재와 일체로 되어 고정부재(100)의 이동핀 가이드부(123)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자동폐쇄장치의 작동은 도8~도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도8~도9에 있어서 ,도시된 슬라이드는 두개의 이동레일(중간이동레일과 내측이동레일)과 하나의 고정레일을 갖는 3부재 슬라이드이나,간략화를 위해 내측 이동레일(700)과 고정레일 (800) 사이에 있는 중간이동레일은 도시하지 않았으며,편의상 서랍,본체 벽부를 생략하고 슬라이드만을 도시하여 설명하며,또한 고정부재(100)는 고정레일(800)에 고정되고,이동핀 가이드(300)는 고정부재(100)와 마주보도록 내측 이동레일(700)의 내측 바닥에 고정되어서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으나,여기서는 편의상 이동핀 가이드 (300)를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도8은 고정부재(100)가 슬라이드의 고정레일(800)에 리벳(112,131)결착되고,이동핀 가이드(300)가 슬라이드의 내측 이동레일(700)의 결착돌기(710)에 결착된 상태로 상호 분리된 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준다.즉 서랍을 개방위치에서 밀폐위치로 밀어 넣게 되면 슬라이드의 내측 이동레일(700)이 인출위치에서 인입 위치로 오는 상태로서, 이동부재(200)의 홈(211)에 삽입되어 이동부재(200)와 일체로 움직이는 이동핀(400)은 고정부재(100)의 이동핀 가이드부(123)의 곡선 가이드부(125)에 걸려 있는 상태이고 스프링(500)은 최대로 인장된 상태이다.
내측 이동레일(700)의 인입 위치로 계속 이동시 이동핀(400)이 이동핀 가이드(300)의 이동핀 안내홈(350)에 의해 고정부재(100)의 이동핀 가이드부(123)의 곡선 가이드부(125)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해제되고,동시에 스프링(500)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이동핀(400)이 이동핀 안내홈(350)의 걸림홈(328)에 걸려진 채로 직선 가이드부(124)를 따라 이동하여서 내측 이동레일(700)은 완전 인입위치로 자동 이동하게 된다.
도9는 이동핀 가이드(300)가 이동핀(400)과 결합하여 스프링(500)에 의한 힘으로 슬라이드의 완전 인입위치(즉 서랍이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자동폐쇄장치(20)는 사용자가 서랍을 완전 인입시키지 않 아도 자동으로 서랍을 완전 인입시키는 역할을 하여 매우 편리하다.그러나 사용중 이동핀 가이드(300)가 인입위치로 오게 될 때,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이동핀(400)이 곡선 가이드부(125)에 걸려 있는 상태(도8 상태)가 아니라 완전 인입위치, 즉 직선 가이드부(124)를 따라 이동을 완료한 상태(도9 상태)에 있을 수 있다.이는 슬라이드가 인출위치에 있을 때,외부 충격 등으로 이동핀(400)이 곡선 가이드부(125)에 걸려 있는 상태로부터 해제되는 경우가 발생하며,이와 같은 비정상적인 작동상태의 경우 자동폐쇄장치는 서랍을 자동으로 완전 인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종래 자동폐쇄장치에 사용되는 이동부재를 개선하여 슬라이드가 인출위치에 있을 때,외부 충격 등으로 이동핀이 곡선 가이드부에 걸려 있는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자동폐쇄장치가 비정상적인 작동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한쌍의 스프링;상기 스프링의 일측이 결합하는 스프링 결합부와 이동부재 활주부가 양 측부에 형성되고 직선 가이드부와 곡선 가이드부로 구성되는 이동핀 가이드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부재;그 중심부분에 홈이 형성되는 판상부,판상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 활주부에 결합하는 활주홈,및 활주홈의 양측에 형성되며 스프링의 다른 일측이 결합하는 스프링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이동부재 활주부를 따라 왕복운동하는 이동부재;이동부재의 상기 홈에 삽입되어 이동부재와 일체로 고정부재의 이동핀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핀;및 상기 이동핀과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이동핀 안내홈을 갖는 이동핀 가이드로 구성되며;이동핀 가이드는 슬라이드의 내측 이동레일의 결착돌기에 고정되어 내측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고,고정부재는 리벳에 의해 상기 이동핀 가이드에 대응하도록 슬라이드의 고정레일의 일단부에 고정되어서 사용자가 서랍을 완전 인입시키지 않아도 자동으로 서랍을 완전 인입시키는 자동폐쇄장치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부재는 이동부재 판상부에 형성되는 홈의 일측에 돌기부가 형성되어서 이동핀의 좌,우 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이때,상기 돌기부 하측의 이동부재 판상부에 탄성변형 수용공이 형성되어서 이동핀이 상기 돌기부를 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 돌기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200')의 사시도로서,이동부재(200')의 기본적인 구성이나 작용은 전술한 종래의 이동부재(200)와 동일하다.도11에 도시된 이동부재 (200')와 도5와 도6에 도시된 공지의 이동부재(200)에서 동일 참조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므로,여기서는 이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200')에서는 종래의 이동부재(200)와 달리 판상부 (210)에 형성되는 홈(210)의 일측에 돌기부(250)가 형성된다.이 돌기부(250)는 이 동부재(200')의 충격완충부(213) 방향쪽에 형성되되 홈(210)의 좌,우 방향 길이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다.상기 돌기부(250)는 이동핀(400)의 좌,우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또한 돌기부(250) 하측의 이동부재(200')의 판상부(210),즉 돌기부(250)와 충격완충부(213) 사이의 판상부(210),에는 탄성변형 수용공(260)이 형성된다.이 탄성변형 수용공(260)은 이동핀(400)이 상기 돌기부(250)를 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 돌기부(250)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공지의 이동부재(200)를 포함한 자동폐쇄장치(20)는 적당한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며,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200') 역시 동일한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이동핀 (400)이 돌기부(250)를 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 돌기부(250)에 가해지는 압력은 돌기부(250)와 충격완충부(213) 사이의 판상부(210)가 지지하며,일부는 탄성변형 수용공(260)에 탄성변형을 일으키며 수용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200')를 사용한 자동폐쇄장치의 작동상태는 도12~도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도12~도14에서도,전술한 바와 같이,도시된 슬라이드는 3부재 슬라이드이나,간략화를 위해 내측 이동레일(700)과 고정레일(800) 사이에 있는 중간이동레일은 도시하지 않았으며,서랍,본체 벽부를 생략하고 슬라이드만을 도시하여 설명하며,또한 이동핀 가이드(300)는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으나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도12는 서랍을 개방위치에서 밀폐위치로 밀어 넣게 되면 슬라이드의 내측 이동레일(700)이 인출위치에서 인입 위치로 오는 상태로서,이동부재(200')의 홈(211) 에 삽입되어 이동부재(200')와 일체로 움직이는 이동핀(400)은 고정부재(100)의 이동핀 가이드부(123)의 곡선 가이드부(125)에 걸려 있는 상태이고 스프링(500)은 최대로 인장된 상태이다.이때,슬라이드의 인입,인출 방향 이동에 따라 이동부재 (200')의 홈(211)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핀(400)은 상기 홈(211)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250)에 의해 좌,우 방향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따라서 도12와 같은 상태에 있을 때,외부에서 충격 등이 가해지더라도 이동핀(400)이 곡선 가이드부(125)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해제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내측 이동레일(700)이 인입 위치로 계속 이동시 이동핀(400)이 이동핀 가이드(300)의 이동핀 안내홈(350)에 의해 고정부재(100)의 이동핀 가이드부(123)의 곡선 가이드부(125)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해제된다(도13 참조).즉 이동핀 안내홈 (350)은 곡선 가이드부(125)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이동핀(400)은 안내홈(350)의 측벽에 의해 도면상에서 좌측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되며, 내측 이동레일 (700)의 인입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결국에는 이동핀(400)이 상기 이동부재(200')의 홈(211)에 형성된 돌기부(250)를 타고 넘어서 곡선 가이드부(125)로부터 해제되게 될 것이다.
자동폐쇄장치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상기 돌기부(250)는 이동핀(400)이 외부 충격 등에 의해서는 곡선 가이드부(125)로부터는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으나,이동핀 가이드(300)의 이동핀 안내홈(350)에 의해서는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높이를 가져야 할 것이다.이때,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변형 수용공(260)은 이동핀 (400)이 돌기부(250)를 넘어 좌측방향으로 이동시 돌기부(250)에 가해지는 압력을 탄성변형에 의해 수용하게 되며,이는 이동핀(400)이 외부 충격 등에 의해서는 곡선 가이드부(125)로부터는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으나,이동핀 가이드(300)의 이동핀 안내홈(350)에 의해서는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데 큰 도움을 주게 된다.
이동핀(400)이 일단 곡선 가이드부(125)로부터 해제되자마자 스프링(500)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이동핀(400)이 이동핀 안내홈(350)의 걸림홈(328)에 걸려진 채로 직선 가이드부(124)를 따라 이동하여서,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이동레일(700)은 완전 인입위치 (즉 서랍이 완전히 닫혀진 상태)로 자동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드의 인출,즉 서랍의 인출은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일어나게 된다.즉 서랍의 인출시 도14 상태에서 이동핀(400)이 이동핀 안내홈(350)의 걸림홈(328)에 걸려진 채로 직선 가이드부(124)를 따라 인출 위치로 이동하며,이번에는 이동핀 (400)이 이동핀 안내홈(350)으로부터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받으므로 돌기부(250)를 타고 넘어서 곡선 가이드부(125)에 걸려지게 되며(도13 상태),서랍의 계속적인 인출시 이동핀 가이드(300)는 이동핀(400)과 분리되어 도12 상태로 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슬라이드가 인출위치에 있을 때,외부 충격 등으로 이동핀(400)이 곡선 가이드부(125)에 걸려 있는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비정상적인 작동상태로 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자동폐쇄장치의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2)

  1. 한쌍의 스프링(500);
    상기 스프링(500)의 일측이 결합하는 스프링 결합부(111)와 이동부재 활주부(121)가 양 측부에 형성되고 직선 가이드부(124)와 곡선 가이드부(125)로 구성되는 이동핀 가이드부(123)가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부재(100);
    그 중심부분에 홈(210)이 형성되는 판상부(210),판상부(210)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 활주부(121)에 결합하는 활주홈(222),및 활주홈(222)의 양측에 형성되며 스프링(500)의 다른 일측이 결합하는 스프링 결합부(212)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100)의 이동부재 활주부(121)를 따라 왕복운동하는 이동부재;
    이동부재의 상기 홈(210)에 삽입되어 이동부재(200)와 일체로 고정부재 (100)의 이동핀 가이드부(123)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핀(400);및
    상기 이동핀(400)과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이동핀 안내홈(350)을 갖는 이동핀 가이드(300)로 구성되며;
    이동핀 가이드(300)는 슬라이드의 내측 이동레일(700)의 결착돌기(710)에 고정되어 내측 이동레일(700)을 따라 이동하고,고정부재(100)는 리벳(112,131)에 의해 상기 이동핀 가이드에 대응하도록 슬라이드의 고정레일(800)의 일단부에 고정되어서 사용자가 서랍을 완전 인입시키지 않아도 자동으로 서랍을 완전 인입시키는 자동폐쇄장치(20)에 사용되는 이동부재에 있어서,
    이동부재(200')의 판상부(210)에 형성되는 홈(210)의 일측에 돌기부(250)가 형성되어서 이동핀(400)의 좌,우 방향 이동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용 이동부재.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돌기부(250) 하측의 이동부재(200') 판상부(210)에 탄성변형 수용공(260)이 형성되어서 이동핀(400)이 상기 돌기부(250)를 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 돌기부(250)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하는 역할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용 이동부재.
KR1020050112127A 2005-11-23 2005-11-23 자동폐쇄장치용 이동부재 KR100890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127A KR100890902B1 (ko) 2005-11-23 2005-11-23 자동폐쇄장치용 이동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127A KR100890902B1 (ko) 2005-11-23 2005-11-23 자동폐쇄장치용 이동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290A true KR20070054290A (ko) 2007-05-29
KR100890902B1 KR100890902B1 (ko) 2009-04-03

Family

ID=3827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127A KR100890902B1 (ko) 2005-11-23 2005-11-23 자동폐쇄장치용 이동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9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44Y1 (ko) * 2011-04-08 2013-10-07 (주)캠퍼스라인 안전가이드가 구비된 접철식 테이블 다리
WO2015008980A1 (ko) * 2013-07-18 2015-01-22 (주)세고스 누름 개폐형 슬라이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907Y1 (ko) * 2004-12-24 2005-03-16 박윤식 슬라이더용 자동밀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44Y1 (ko) * 2011-04-08 2013-10-07 (주)캠퍼스라인 안전가이드가 구비된 접철식 테이블 다리
WO2015008980A1 (ko) * 2013-07-18 2015-01-22 (주)세고스 누름 개폐형 슬라이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902B1 (ko) 200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4257B2 (ja) スライド用自動閉鎖装置及び該装置が取り付けられたスライド
KR100573084B1 (ko)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
KR100537017B1 (ko)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TWI629956B (zh) 滑軌總成
JP3152028U (ja) ひきだしに用いる回帰装置
KR101406781B1 (ko) 서랍용 슬라이드 탈착장치
US10499737B2 (en) Slide device
JP5140736B2 (ja) レール組立体
US9961998B2 (en) Driving mechanism and guide fitting for slide rail assembly
KR20110083625A (ko) 특히 이동 가구 부재용 자동 개폐장치
KR100890902B1 (ko) 자동폐쇄장치용 이동부재
WO2007139364A1 (en) Self closing device for a slide
JP6945021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
KR20100006176A (ko)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KR101056922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자동폐쇄장치
KR101129569B1 (ko) 우연적인 해제가 방지되는 이동핀을 갖는 자동폐쇄장치
KR200440800Y1 (ko) 슬라이드레일
CN211354578U (zh) 一种展开状态下自动锁止的滑轨
KR20090011658A (ko) 자동폐쇄장치
KR20070054298A (ko) 자동폐쇄장치용 이동핀 가이드
KR101704586B1 (ko) 슬라이딩 도어 정위치장치
JP3154197U (ja) 家具用可動部材の自動移動装置
KR20070054294A (ko) 자동폐쇄장치용 이동핀
KR101584318B1 (ko) 여닫이문 고정 장치
KR20210004644A (ko) 슬라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