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4134A -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4134A
KR20070054134A KR1020060115961A KR20060115961A KR20070054134A KR 20070054134 A KR20070054134 A KR 20070054134A KR 1020060115961 A KR1020060115961 A KR 1020060115961A KR 20060115961 A KR20060115961 A KR 20060115961A KR 20070054134 A KR20070054134 A KR 20070054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planar heating
nonwoven fabric
silver nano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태석
Original Assignee
서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태석 filed Critical 서태석
Publication of KR20070054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1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4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6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being mounted on a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9Heaters using conductive material in contact with opposing surfaces of the resistive element or resistive layer
    • H05B2203/01Heaters comprising a particular structure with multiple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4Heating means manufactured by using nano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나노를 이용하여 발열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은 은나노부직포, 제1절연물질 및 도전체로 이루어진 발열부의 하부를 덮는 하지와 발열부의 상부를 덮는 상지를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면상발열체, 은나노, 부직포, 폴리올레핀계 수지

Description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METHOD FOR FABRICATING PLATE HEATER}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b는 미싱과정과 도전체의 액상적층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은나노 부직포
12 : 제1절연물질(면사 또는 부직포)
13 : 도전체
14 : 접착물질(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2액형 접착제)
15 : 제2절연물질(면사, 부직포 또는 필름)
본 발명은 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면상 발열체(Plate Heater)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가 인가되어 발열하는 통상의 면상발열체는,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아 위 생적일 뿐만 아니라 그 온도조절이 용이하고 소음이 없기 때문에 발열을 요하는 매트나 패드, 침대 매트리스, 보온 이불이나 담요, 아파트나 일반주택 등의 주거용 난방장치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무실이나 상점 등 상업용 건물의 난방장치, 작업장이나 창고, 막사 등의 산업용 난방장치와 각종 산업용 가열장치, 비닐 하우스와 농산물 건조시스템과 같은 농업용 설비, 도로나 주차장의 눈을 녹이거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각종 동결방지장치를 비롯하여 레저용, 방한용, 가전제품, 거울이나 유리의 김서림 방지장치, 건강보조용, 축산용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상발열체는 PET 필름이나 PP 필름에 먼저 실크인쇄방식으로 발열소재를 사다리꼴 형식으로 도포한 후 그 위에 도전성 접착제를 칠한 구리 또는 은 판막을 붙여서 통전선으로 사용해왔다.
그리고, 전면 면상 발열체에서는 상지와 하지로 작업을 분리하여 어느 한 면 또는 양면에 발열소재를 도포한 후 충분하게 건조가 이루어지면 상지와 하지를 합지하는 과정에서, 구리 또는 은판막이나 편조선이라 칭하는 구리철사를 순수 압출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통전선으로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작업공정은 주로 발열소재를 먼저 작업한 후 합지로 완성하는 최종작업의 직전에 통전선 작업을 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선상발열체에서 사용하는 방식인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식은 접착제의 탄화현상으로 인하여 기능성이 떨어지며, 고객이 이에 필요한 열을 얻기 위하여 점점 높게 가열하므로 화재의 우려가 많다.
그리고, 전면 면상발열체에서 사용하는 압출코팅방식에 의한 편조선 고정 방법은 사람이 밟는다거나 지속적인 외부충격에 의하여 접촉면과 유격이 생길 수 있고, 이로인한 편조선 부근에서의 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통전선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전면 면상발열체나 선상발열체 모두는 겉표지를 가급적 딱딱한 재질인 PET 또는 OPP 필름 등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면(선)상 발열체는 고정된 설치장소에만 제한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람과 가장 가까운 침구, 매트 등에는 사용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그리고, 탄소 섬유에 별도의 탄소실과 구리선을 꼬아놓은 방식은 사용시 일반 전기선과 그 편조선과의 접착불량으로 빈번한 화재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은나노를 이용하여 발열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은 소정 폭으로 재단된 은나노 부직포를 포함하는 발열부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발열부의 하부를 덮는 하지와 상기 발열부의 상부를 덮는 상지를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열부를 준비하는 단계는 소정폭으로 재단된 은나노 부직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은나노 부직포의 일측면 상에 제1절연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절연물질 상에 도전체를 액상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은나노 부직포의 일측면 상에 제1절연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는 미싱방식 또는 페이스트도포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전체는 카본(Carbon)이며, 상기 소정 폭으로 재단된 은나노 부직포를 준비하는 단계는 부직포에 은나노를 디핑처리한 후 건조시킨 은나노 부직포를 소정 폭으로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b는 미싱 과정과 도전체의 액상적층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부직포에 은나노를 디핑(Dipping) 처리한 후 건조(dry)하여, 20mm의 폭으로 재단(slitting)한다. 이하, 재단된 부직포를 은나노 부직포(11)라고 한다.
이어서, 은나노 부직포(11)의 일측면(바람직하게는 앞면) 상에 면사 또는 부직포 중에서 선택된 제1절연물질(12)을 미싱(Sew by a machine)한다(도 1b 참조). 즉 소정 폭으로 재단된 은나노 부직포(11)와 면사 또는 부직포를 미싱한다.
이어서, 제1절연물질(12)의 표면 상에 도전체(13)를 액상적층한다. 이때, 도전체는 카본(Carbon)이다.
위와 같이, 은나노 부직포(11)의 일측면 상에는 면사 또는 부직포 중에서 선택된 제1절연물질(12), 도전체(13)가 차례로 형성된 구조가 된다. 이를 발열부(100)라 한다.
이어서, 발열부(100)의 하부에 하지(101)를 형성함과 동시에 발열부(100)의 상부에 상지(102)를 형성한다.
여기서, 하지(101)과 상지(102)는 절연물질이며, 공통으로 접착물질(14)과 제2절연물질(15)을 포함한다.
먼저, 접착물질(14)은 폴리올레핀(Polyolefine, PO)계 수지 또는 2액형 접착제 중에서 선택된다.
그리고, 제2절연물질(15)은 면사, 부직포 또는 필름 중에서 선택되는데, 특히 제2절연물질(15)은 외부충격 및 고온으로부터 발열부(100)를 보호할 수 있는 강도 및 내열성이 있는(80℃의 고온에서도 변형이 없는)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한다.
결국,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면상발열체는, 은나노 부직포(11), 제1절연물질(12) 및 도전체(13)로 이루어진 발열부(10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하지(101)와 상지(10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지(102) 및 하지(101)는 발열부를 덮고 있는 피복물질을 의미한다.
상술한 실시예의 면상발열체는 침대 등의 매트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은나노 부직포(11)의 일측면(바람직하게는 앞면) 상에 면사 또는 부직포 중에서 선택된 제1절연물질(12)을 미싱(Sew by a machine)하는 방법 외에 페이스트(paste)를 도포(coating)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은나노를 발열물질로 이용하므로써 발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은나노를 적용하므로써 사람의 침구나 매트리스 등에도 사용상 아무 문제가 없다. 또한, 탄화현상이나 외부충격에 의한 트러블의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은나노를 적용하므로써 사람의 침구나 매트리스 등에도 사용상 아무 문제가 없다. 또한, 탄화현상이나 외부충격에 의한 트러블의 우려가 없다.
전기적으로 가장 안전한 매트, 전기적으로 가장 안전한 면상발열체의 실현이 가능한 것이다.
전기용량이나 열량조절은 제작시 자유자재로 조절이 가능하며 도전체로 사용 된 카본의 농도에 의한 원적외선의 방사량도 조절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소정 폭으로 재단된 은나노 부직포를 포함하는 발열부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발열부의 하부를 덮는 하지와 상기 발열부의 상부를 덮는 상지를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를 준비하는 단계는,
    소정폭으로 재단된 은나노 부직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은나노 부직포의 일측면 상에 제1절연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절연물질 상에 도전체를 액상적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은나노 부직포의 일측면 상에 제1절연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는,
    미싱방식 또는 페이스트도포방식을 사용하는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카본(Carbon)인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물질은, 면사 또는 부직포인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폭으로 재단된 은나노 부직포를 준비하는 단계는,
    부직포에 은나노를 디핑처리한 후 건조시킨 은나노 부직포를 소정 폭으로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와 상지는, 각각
    접착물질과 제2절연물질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물질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2액형 접착제인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물질은,
    면사, 부직포 또는 필름 중에서 선택되는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물질은,
    강도 및 내열성이 있는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하는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
KR1020060115961A 2005-11-22 2006-11-22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 KR200700541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1755 2005-11-22
KR1020050111755 2005-1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134A true KR20070054134A (ko) 2007-05-28

Family

ID=3827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961A KR20070054134A (ko) 2005-11-22 2006-11-22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41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8469A (ko) 2022-04-15 2023-10-25 주식회사 비티나노텍 면상 발열체의 온도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8469A (ko) 2022-04-15 2023-10-25 주식회사 비티나노텍 면상 발열체의 온도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8477B1 (ko) 전기전도성저항가열시스템
EP1907759B1 (en) A plate-type heater and a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KR101813685B1 (ko) 면상발열체의 제조방법
KR100491225B1 (ko) 탄소섬유사 발열직물과 이를 이용한 원적외선 방사면상발열체
CN100536625C (zh) 一种活性碳素纤维软体电热制品及其制作方法
KR20100087907A (ko) 안정성이 향상된 면상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50092A (ko) 면상발열체 및 그 제조 방법
CN208035537U (zh) 一种可实现温度精确控制的远红外石墨烯面料
KR100498620B1 (ko) 탄소섬유사 발열선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사 면상발열체
KR20070054134A (ko)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
KR100485132B1 (ko) 탄소코팅섬유의 제조방법
KR100958101B1 (ko) 카본온열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51778Y1 (ko) 안정성이 향상된 면상발열체
KR100813928B1 (ko)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
KR101636783B1 (ko) 전자파 상쇄 면상 발열체
WO2008063173A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ate-type heater
CN109435394A (zh) 一种具有温度实时监测功能的柔性石墨烯加热面料
JP3048034U (ja) 面状発熱体及び面状発熱体を用いた発熱装置
KR101766581B1 (ko) 원적외선 방사파 전열 매트
KR101171470B1 (ko) 저전압 면상 발열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면상 발열 시트
KR200339129Y1 (ko)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차량 및 거실 쇼파용 온열시트
CN216721609U (zh) 一种电热毯
JP3119584U (ja) 発熱、保温体
WO2005034688A1 (en) Heated wool textile
WO2014123501A1 (ru) Листовой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резистивный элемент,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обогреватель из нег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