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848A -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영상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영상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848A
KR20070053848A KR1020050111571A KR20050111571A KR20070053848A KR 20070053848 A KR20070053848 A KR 20070053848A KR 1020050111571 A KR1020050111571 A KR 1020050111571A KR 20050111571 A KR20050111571 A KR 20050111571A KR 20070053848 A KR20070053848 A KR 20070053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video
mobile communication
sig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6898B1 (ko
Inventor
문현구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111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898B1/ko
Publication of KR20070053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카메라 중 사용자가 영상 획득을 원하는 곳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며, 카메라의 제어를 통해 좀더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영상의 획득 및 제공이 가능한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전송 서비스의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은 원격지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영상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영상 요청 신호가 작성되고, 영상신호를 변환한 단말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영상 요청 신호에 따라 카메라에 영상신호를 요청하고,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 가능한 단말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기 위한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 원격 조정, 영상 전송

Description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전송 서비스 제공방법{Video Transmiss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mote Control Camera Service And Video Transmission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이동통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도시한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c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카메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서비스를 시작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카메라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b는 이를 다른 형태로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도 5a의 제 1 단계를 나타낸 상세 흐름도.
도 7은 도 5a의 제 3 단계를 도시한 상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 이동통신 단말기 2 :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3 : 베이스 이동통신 시스템 4 : 영상처리 서버
5 : 제어신호 처리 서버 6, 13 : 카메라
7 : 전송로 10 : 기지국
11 : 기지국 제어기 12 : 이동 교환국
14 : 키패드 버튼 15 : 렌즈부
17 : 출력장치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에 설치된 카메라 중 사용자가 영상 획득을 원하는 곳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며, 카메라의 제어를 통해 좀더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영상의 획득 및 제공이 가능한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전송 서비스의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성능의 한계를 가늠할 수 없을 만큼 급속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얼마 전까지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을 먼거리에 있는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었지만, 현재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전용 데이터 통신 선로에 버금가는 데이터 통신 환경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고속/대용량의 데이터 통신 환경은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밑바탕이 되고 있다. 한 예로, 유선 데이터 통신에서도 실현하기 쉽지 않은 실시간 동영상 전송 서비스와, 화상 대화 서비스 등이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들에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상 대화 서비스와 동영상 전송 서비스는 다편적인 기능만을 제공하는 한계를 가진다. 즉, 동영상 전송 서비스의 경우, 방송 프로그램, 영화, 게임 중계, 스포츠의 관전을 위해서 VOD 서버 등과 접속하여 일방적으로 제공받는 형태이다. 또한, 화상 대화 서비스의 경우는 화상 대화가 가능한 유/무선 단말기를 상대편이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원격지의 영상을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는 기능 또는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한편, 인터넷을 통해서는 집안, 자녀의 학교 또는 학원, 농장 등의 환경을 감시하기 위한 카메라 시스템이 개발된 바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영상 확인을 원하는 지역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이를 컴퓨터 또는 인터넷과 직접 연결하여 원격지의 컴퓨터 단말에서 제어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곳마다 카 메라를 설치해야 하며, 카메라와 연결되는 유/무선 인터넷 선로, 영상 신호 및 제어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컴퓨터 단말, 원격지에서 카메라 영상을 수신하고,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단말이 필요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즉, 이러한 종래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기존에 설치된 카메라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곳의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카메라의 제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의 영상을 획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설치된 카메라 중 사용자가 영상 획득을 원하는 곳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며, 카메라의 제어를 통해 좀더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영상의 획득 및 제공이 가능한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전송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좌우, 줌과 같은 카메라의 동작제어를 위한 동작 제어신호와, 영상신호의 해상도, 흑백/칼라 서택, 정지/동영상 선택, 초당 프레임 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영상 요청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직접 선택하여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전송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를 위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의 리스트와 리스트에 포함된 카메라의 정보를 관리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카메라에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고 빠르게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전송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은 원격지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영상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영상 요청 신호가 작성되고, 영상신호를 변환한 단말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영상 요청 신호에 따라 카메라에 영상신호를 요청하고,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 가능한 단말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기 위한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카메라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원격지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영상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영상 요청 신호가 작성되고, 영상신호를 변환한 단말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영상 요청 신호에 따라 카메라에 영상신호를 요청하고,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이동통신 단말 기에서 출력 가능한 단말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카메라 서비스의 제공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영상 요청 신호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제 1 단계와, 영상 요청 신호가 제어신호 처리 서버에 의해 카메라로 중계되는 제 2 단계와, 카메라로부터 영상신호가 전송되는 제 3 단계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제 4 단계 및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가 기동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작용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이동통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2) 및 카메라(6)를 구비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는 카메라(6)에 영상신호(Video Data : VD)의 전송을 요청하는 영상 요청 신호(Video Data Request : VDR)가 작성되고,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2)으로부터의 단말 영상신호(Transfer VD : TVD)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는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의 획득을 위해 원격지의 카메라(6)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신호(Motion Control Signal : MCS)를 작성하여 영 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2)에 전송한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는 사용자의 영상 요청, 동작 제어 등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장치, 단말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장치, 단말 영상신호의 처리를 위한 영상신호 처리 장치,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통신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영상 요청 신호(VDR)는 사용자가 실제로 수신하게 되는 단말 영상신호의 해상도, 흑백 또는 칼라 영상의 선택, 정지 또는 동영상의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스펙 정보(Specification Data : SD)가 포함된다. 즉, 사용자가 영상의 요청시 영상 요청 신호(VDR)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중 필요로 하는 영상의 종류를 선택하고, 영상의 화질을 결정하여 전송하면,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2)이 영상신호를 스펙 정보에 따라 단말 영상신호(TVD)로 변환하여 전송하게 된다.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2)은 이동통신 단말기(1)로부터의 영상 요청 신호(VDR)를 수신하여, 카메라(6)에 영상신호(VD)의 전송을 요청하고, 카메라(6)로부터의 영상신호(VD)를 이동통신 단말기(1)에서 출력 가능한 단말 영상신호(TVD)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또한,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2)은 이동통신 단말기(1)로부터의 동작 제어신호(MCS)를 수신하고, 이를 카메라(6)에 전송하여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2)은 베이스 이동통신 시스템(3), 영상처리 서버(4) 및 제어신호 처리 서버(5)를 구비한다. 이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2)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카메라(6)는 원격지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작성하고, 작성한 영상신호를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2)으로 전송한다. 또한, 카메라(6)는 영상전송 이 동통신 시스템(2)을 통해 제공되는 동작 제어신호(MCS)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하는 일련의 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VD)를 작성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6)는 유/무선 통신장치와 선로(7)에 의해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2)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카메라(6)를 통제하는 통제국 즉, 카메라(6)를 설치 운용하는 업체, 기업 등의 서버장치 군의 중계에 의해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2)과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은 베이스 이동통신 시스템(3), 영상처리 서버(4) 및 제어신호 처리 서버(5)로 구성된다.
베이스 이동통신 시스템(3)은 이동통신 단말기(1)와 이동통신의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영상 요청 신호(VDR), 동작 제어 신호(MCS)를 수신하고, 단말 영상신호(TVD)을 이동통신 단말기(1)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 이동통신 시스템(3)은 기지국(Base Station : BS, 10), 기지국 제어기(BS Controller : BSC, 11),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 MSC, 12)로 구성되며, SMSC, 빌링 시스템(Billing System),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신호 처리 서버(5)는 베이스 이동통신 시스템(3)을 통해 전달되는 영상 요청 신호(VDR), 동작 제어 신호(MCS)를 통해, 카메라(6)에 영상신호(VD)를 요청함과 아울러, 카메라(6)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신호 처리 서버(6)는 카메라(6)로부터 영상신호(VD)가 제공됨에 따라 영상처리 서버(4)에 영상 요청 신호(VDR)를 전송하여, 영상처리 서버(4)로 하여금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단말 영상신호(TVD)을 작성하게끔 한다. 즉, 제어신호 처리 서버(5)는 영상 요청 신호(VDR)에 포함된 스펙정보(SD)를 영상처리 서버(4)에 제공하고, 영상처리 서버(4)는 스펙정보(SD)에 기록된 정보에 맞게 영상신호(VD)를 가공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신호 처리 서버(6)에는 카메라 정보 리스트(Camera Data List : CDL)와 동작 명령 내역(Motion Control Order List : MCL)이 저장된다. 여기서, 카메라 정보 리스트(CDL)는 사용자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카메라 설치 장소, 지역, 이용시간과 같은 이용 가능한 카메라 및 관련 정보가 기록된 리스트이다. 또한, 동작 명령 내역(MCL)은 카메라 정보 리스트(CDL)에 기록된 카메라의 제어가능 명령 목록이 저장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카메라는 설치 목적에 따라 각기 다른 기능과 성능을 가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카메라의 목적과 성능을 상회하는 영상을 요구하는 경우, 카메라가 수용할 수 없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가 카메라를 선택했을 때, 해당 카메라가 제공할 수 있는 영상의 수준 또는 사용자가 제어 가능한 카메라의 기능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동작 명령 내역(MCL)에는 상술한, 카메라의 성능, 기능, 사용자에게 허용된 명령어 리스트들이 기재된다. 아울러, 제어신호 처리 서버(5)는 거의 동시 혹은 하나의 명령을 수행하는 동일한 카메라(6)에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동작 제어 신호(MCS)가 접수되면, 이를 선별처리하게 된다. 즉, 제어신호 처리 서버(5)는 하나의 명령을 수행하는 기간에 다른 사용자로부터 동작 제어 신호(MCS)가 접수되면, 사용자가 현재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거나, 잠시 대기할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동일한 카메라(6)에 각기 다른 동작 제어 신 호(MCS)가 전송되는 경우, 카메라(6)가 동작 제어 신호(MCS) 중 가장 많은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 제어 신호(MCS)를 선별하여 전송한다.
영상처리 서버(4)는 카메라(6)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VD)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의 단말 영상신호(TVD)로 변환한다. 즉, 카메라(6)로부터 바로 공급되는 영상신호(VD)는 이동통신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하기에 많은 데이터 크기와 양을 가지며, 전송이 된다고 해도 이동통신 단말기(1)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영상처리 서버(4)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가 출력 가능한 영상신호(VD)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하고, 영상신호를 파악한 종류와 특성에 맞게 가공하여 단말 영상신호(TVD)를 작성하게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현재까지 사용되는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최대 QVGA(Quad Video Graphic Array)급의 화상을 제공한다. 반면에, 카메라(6)에서 작성되는 영상신호(VD)는 아날로그형, 디지털형이 혼재되어 있으며, 디지털형이라고 할지라도 해상도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카메라(6)에서 공급되는 영상신호(VD)의 해상도, 프레임, 색정보를 조절할 필요성이 생기며, 영상처리 서버(4)에서 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영상처리 서버(4)는 제어신호 처리 서버(5)로부터 영상 요청 신호(VDR) 특히, 영상 요청 신호(VDR)에 포함된 스펙 정보(SD)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영상처리 서버(4)는 제공받은 스펙 정보(SD)를 이용하여 영상신호(VD)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단말 영상신호(TVD)로 변환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스펙 정보(SD)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영상처리 서버(4)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에서 출력가능한 형태의 기본적인 단말 영상신호(TVD)를 작성한다. 반면에, 스펙 정보(SD)가 공급되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이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단말 영상신호(TVD)를 작성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색, 해상도, 정지/동영상 등이 선택되고, 이데 맞추어 영상처리 서버(4)가 단말 영상신호(TVD)를 작성하여 공급하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및 중계 시스템을 생략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1)와 카메라(13)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카메라(13)와 이동통신 단말기(11)가 통신채널을 통해 연결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1)는 카메라(13)로부터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카메라(13)가 촬영 초점을 사용자가 변경하고 싶은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의 키패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편리한 방법이 된다. 즉, 도 13a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1)의 키패드 버튼 중 상/하 버튼(14a)을 누르게 되면, 원격지의 카메라(13a)가 상/하로 기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초점을 맞추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3b와 같이 좌우 버튼(14b)을 누그게 되면, 카메라(13b)의 초점이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3a와 도 3b와 같이 상하좌우로 카메라(13a, 13b)의 초점을 이동하여 사용자는 본인이 원하는 영상을 얻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13)를 통해 카메라(13)가 촬영하는 영상을 확대하여 보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키패드 버튼 중 확대 버튼(14c)을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13c)의 렌즈부(15)가 회전하여 확대/축소된 영상신호를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카메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서비스를 시작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a와 같이, 사용자가 원격 카메라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을 선택하라는 내용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17a)를 통해 출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지역을 구체적인 부분까지 선택하면, 도 4b와 같이, 해당 지역에 설치된 카메라의 설치 정보가 표시(17b)된다. 도 4b에서는 카메라 번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자주 이용했던 카메라 정보를 제공하거나, 카메라 영상을 섬 네일(thumb nail) 형태로 카메라의 정지영상을 제공하여 보고 싶은 지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카메라를 선택하면, 도 4c와 같이 스펙정보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어신호 처리 서버가 정보를 교환하여, 선택한 카메라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먼저 인지하도록 하면, 효과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얻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4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해상도 선택과 정지/동영상의 선택 외에, 카메라가 흑백촬영 영상만을 제공할 수 있을 때 이를 선택하는 부분은 사용자가 지정하지 못하도록 하며, 이와 같은 기능을 줌, 상화좌우 이동 부분에도 적용하여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원하는 영상을 얻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카메라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b는 이를 다른 형태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카메라 서비스의 제공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영상 요청 신호(VDR)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제 1 단계(S1), 영상 요청 신호(VDR)가 제어신호 처리 서버에 의해 카메라로 중계되는 제 2 단계(S2), 카메라로부터 영상신호(VD)가 전송되는 제 3 단계(S3),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신호(MCS)가 작성되어 전송되는 제 4 단계(S4) 및 동작 제어 신호(S4)에 따라 카메라가 기동하는 제 5 단계(S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단계(S1)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영상 요청 명령이 입력되어 영상 요청 신호(VDR)가 작성되어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단계이다. 즉, 사용자가 확인하길 원하는 지역에 설치된 카메라를 선택하고, 선택한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제공받는 단계이다. 이 제 1 단계(S1)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제 2 단계(S2)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영상 요청 신호(VDR)가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요청 신호(VDR)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베이스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된 뒤, 베이스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어신호 처리 서버로 전달된다. 제어신호 처리 서버는 영상 요청 신호(VDR)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카메라를 확인하고, 확인한 카메라에 영상신호(VD)를 요청하게 된다.
제 3 단계(S3)는 제어신호 처리 서버로부터 영상 요청 신호(VDR)을 전달받은 카메라가 동작하여, 촬영 데이터를 이용, 영상 신호(VD)를 작성하고 이를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을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를 단 말 영상신호(TVD)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공급하게 된다.
제 4 단계(S4)는 단말 영상신호(TVD)을 제공받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출력된 단말 영상신호(TVD)을 확인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얻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게 된다.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의 기동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신호(MCS)를 작성하여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달하게 된다. 이 동작 제어 신호(MCS)도 영상 요청 신호(VDR)과 유사하게 베이스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어신호 처리 서버로 전달되고, 제어신호 처리 서버는 동작 제어 신호(MCS)를 영상신호를 제공하고 있는 카메라에 중계한다.
마지막으로, 제 5 단계(S5)는 동작 제어 신호(MCS)를 수신한 카메라는 동작 제어 신호(MCS)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기동 즉, 상, 하, 좌, 우 및 줌 기능을 구동하여 사용자가 바라는 영상이 담긴 영상신호(VD) 작성하여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종료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제 3 단계(S3) 내지 제 5 단계(S5)를 반복하여 사용자의 이용이 끝날 때까지 영상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도 6은 도 5a의 제 1 단계를 나타낸 상세 흐름도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제 1 단계(S1)는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원격 카메라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 제 1 부단계(S10), 입력된 이용명령에 따라 카메라를 선택하는 제 2 부단계(S20) 및 영상신호의 종류, 해상도 또는 영상 크기 등과 같은 스펙 정보가 작성된 제 3 부단계(S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부단계(S20)와 제 3 부단계(S30)의 사이에 제어신호 처리 서버로부터 동작 명령 내역(MCL)이 포함된 카메라 정보(CD)를 제공받는 제 4 부단계(S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부단계(S1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명령이 입력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기능이 선택되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되거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게 된다. 그리고, 기능을 구동하거나 접속한 사용자가 원격 카메라 서비스의 이용을 시작하게 된다.
제 2 부단계(S20)에서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은 카메라 선택 및 단말 영상신호(TVD)의 품위 선택이 이어진다. 상술한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지역 선택 및 번호 선택을 이용해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예를 들었지만, 섬 네일 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 또는 그룹에 속한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 중 대표적이 영상을 정지영상으로 작성하여 작은 아이콘으로 표현하고, 아이콘 형태의 정지영상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선택하게 된다.
제 3 부단계(S30)은 사용자에 의해 스펙 정보가 작성되는 단계이다. 전술한 도 4c와 같이 제 3 부단계(S3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단말 영상신호(TVD)의 품위가 선택된다. 즉, 사용자가 단말 영상신호(TVD)의 해상도, 흑백/칼라, 정지/동영상, 초당 프레임 수와 같은 정보를 기재하여 스펙정보(SD)를 작성하게 된다. 그리고, 후에 영상신호 처리 서버에서 스펙정보(SD)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형 태를 가지는 단말 영상신호(TVD)을 작성하여 제공하게 되낟.
이러한 제 3 부단계(S30)를 더욱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제 4 부단계(S25)가 추가되어 진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 2 부단계(S20)를 통해 카메라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신호 처리 서버가 이를 인지하고, 미리 저장된 카메라 정보 리스트(CDL)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카메라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신호 처리 서버는 추출된 카메라 정보(CD)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제 4 부단계(S40)에서 사용자가 스펙 정보(SD) 작성시 선택할 수 있는 기능과 선택하지 못하는 기능을 구분하여, 더욱 정확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영상 요청 신호 또는 동작 제어 신호는 제어신호 처리 서버에 의해 중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카메라 각각에 IP 주소와 같이 확연하게 구분되는 주소 정보가 기재되는 경우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직접 전달될 수 있다. 하지만, 주소 정보 또는 구분 정보가 없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영상 요청 신호 또는 동작 제어 신호는 제어신호 처리 서버에 저장된 카메라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화된 방법으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카메라가 다른 시스템의 하부 장치인 경우, 연결방법이 카메라 정보 리스트(CDL)에 미리 기록되었다가 사용자의 선택시, 해당 정보를 통해 최적의 연결 조건을 찾아내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장치를 대기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5a의 제 3 단계를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제 3 단계(S3)는 카 메라에 의해 작성된 영상신호(VD)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되는 단계이다. 이 제 3 단계(S3)는 카메라에서 영상신호(VD)가 작성되는 제 5 부단계(S100)와, 영상 처리 서버로 영상 요청 신호(VDR)이 전달되는 제 6 부단계(S110)와, 영상신호(VD)와 영상 요청 신호(VDR)를 수신한 영상 처리 서버가 영상신호(VD)를 단말 영상신호(TVD)로 변환하는 제 7 부단계(S120) 및 작성된 단말 영상신호(TVD)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8 부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6 부단계(S110) 이후, 영상 요청 신호(VDR)에 포함된 스펙정보(SD)를 추출 및 판독하는 제 9 부단계(S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5 부단계(S100)는 영상 신호 요청(VDR)에 따라, 카메라에서 영상신호(VD)가 작성되어, 영상 처리 서버에 전달된다.
또한, 제 6 부단계(S110)에서 제어신호 처리 서버로 전달된 영상 요청 신호(VDR)이 영상 처리 서버에 전달된다.
제 7 부단계(S120)에서, 영상 요청 신호(VDR)와 영상신호(VD)를 수신한 영상 처리 서버는 영상 요청 신호(VDR)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양 즉, 해상도, 처리 속도, 데이터 통신 속도 등을 파악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 서버는 파악한 결과에 따라 영상신호(VD)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한 품위를 가지는 단말 영상신호(TVD)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 8 부단계(S130)에서, 단말 영상신호(TVD)는 베이스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된다.
한편, 제 6 부단계(S110)와 제 7 부단계(S120)의 사이에 스펙 정보를 판독하 는 제 9 부단계(S11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요청 신호(VDR)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의 해상도, 정지/동영상, 칼라/흑백, 프레임 수 등의 정보가 기록된 스펙 정보(SD)로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처리 서버는 영상 요청 신호(VDR)에 포함된 스펙 정보(SD)를 제 9 부단계(S115)를 통해 판독하고, 이를 변환과정에 반영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단말 영상신호(TVD)를 작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전송 서비스의 제공방법은 기존에 설치된 카메라 중 사용자가 영상 획득을 원하는 곳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며, 카메라의 제어를 통해 좀더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영상의 획득 및 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전송 서비스의 제공방법은 상하좌우, 줌과 같은 카메라의 동작제어를 위한 동작 제어신호와, 영상신호의 해상도, 흑백/칼라 서택, 정지/동영상 선택, 초당 프레임 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영상 요청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직접 선택하여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전송 서비스의 제공방법은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를 위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의 리스트와 리스트에 포함된 카메라의 정보를 관리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카메라에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고 빠르게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6)

  1. 원격지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상기 영상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영상 요청 신호가 작성되고, 상기 영상신호를 변환한 단말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영상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상기 영상신호를 요청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 가능한 단말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기 위한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신호를 작성하여, 상기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카메라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요청 신호는,
    상기 영상신호의 해상도, 흑백/칼라 선택 정보 또는 정지/동영상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스펙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신호는,
    상기 카메라의 상하좌우 동작 명령 또는 확대/축소 명령을 포함하는 동작 명령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5.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영상 요청 신호, 상기 동작 제어신호 및 상기 영상신호의 전송을 위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베이스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영상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상기 영상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어신호 처리 서버와,
    상기 영상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단말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영상처리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처리 서버는,
    상기 영상신호의 제공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상기 카메라 정보 리스트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정보 리스트는,
    상기 카메라별 적용 가능한 상기 동작 명령 내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8.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 서버는,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스펙정보에 의해 상기 단말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9. 원격지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상기 영상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영상 요청 신호가 작성되고, 상기 영상신호를 변환한 단말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영상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상기 영상신호를 요청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 가능한 단말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카메라 서비스의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영상 요청 신호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영상 요청 신호가 상기 제어신호 처리 서버에 의해 상기 카메라로 중계되는 제 2 단계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영상신호가 전송되는 제 3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가 기동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카메라 서 비스의 제공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원격 카메라 서비스 이용명령이 입력되는 제 1 부단계와,
    상기 이용명령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선택하는 제 2 부단계와,
    상기 영상신호의 종류, 해상도 또는 영상 크기를 포함하는 스펙 정보가 작성되는 제 3 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카메라 서비스의 제공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단계 또는 상기 제 3 부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영상처리 서버로부터 선택가능한 상기 카메라 정보를 수신하는 제 4 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카메라 서비스의 제공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상기 카메라를 섬 네일 방식으로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카메라 서비스의 제공방법.
  13.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요청 신호는,
    상기 제어신호 처리 서버에 의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카메라 서비스의 제공방법.
  14.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영상신호를 작성하는 제 5 부단계와,
    상기 영상처리 서버가 상기 제어신호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 요청 신호를 전달받는 제 6 부단계와,
    상기 영상처리 서버가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제 7 부단계와,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베이스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8 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카메라 서비스의 제공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부단계 또는 상기 제 7 부단계는,
    상기 영상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스펙정보를 판독하는 제 9 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 서버는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스펙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카메라 서비스의 제공방법.
  16.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신호는,
    상기 카메라의 상화좌우 기동 또는 줌 기능을 포함하는 동작 명령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카메라 서비스의 제공방법.
KR1020050111571A 2005-11-22 2005-11-22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영상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KR100736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571A KR100736898B1 (ko) 2005-11-22 2005-11-22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영상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571A KR100736898B1 (ko) 2005-11-22 2005-11-22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영상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848A true KR20070053848A (ko) 2007-05-28
KR100736898B1 KR100736898B1 (ko) 2007-07-06

Family

ID=3827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571A KR100736898B1 (ko) 2005-11-22 2005-11-22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영상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8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109B1 (ko) * 2008-08-27 2009-08-13 왕상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송신하는 장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중계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02887B1 (ko) * 2007-09-22 2015-03-1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를 이용한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101523838B1 (ko) * 2013-08-06 2015-05-2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긴급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디어 이동 방법 및 시스템
KR102121371B1 (ko) * 2019-03-19 2020-06-10 주식회사 팬라인 생활영상정보 실시간 공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5582A1 (en) * 2009-03-25 2010-09-30 Syclips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remote surveillance and application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520B1 (ko) * 2001-05-29 2007-11-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경비 서비스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887B1 (ko) * 2007-09-22 2015-03-1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를 이용한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100912109B1 (ko) * 2008-08-27 2009-08-13 왕상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송신하는 장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중계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024592A2 (en) * 2008-08-27 2010-03-04 Sang-Ju Wa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contents, and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multimedia contents
WO2010024592A3 (en) * 2008-08-27 2010-06-24 Sang-Ju Wa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contents, and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multimedia contents
KR101523838B1 (ko) * 2013-08-06 2015-05-2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긴급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디어 이동 방법 및 시스템
KR102121371B1 (ko) * 2019-03-19 2020-06-10 주식회사 팬라인 생활영상정보 실시간 공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898B1 (ko) 200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9505B2 (en) Terminal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9131139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8429703B2 (en) Video distribution apparatus, viewer apparatus, video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these apparatuses, control method for the video distribu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viewer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apparatuses
JP4645956B2 (ja) 映像配信遠隔制御装置、映像配信システムおよび映像配信方法
JP4742394B2 (ja) 遠隔制御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JPH07135594A (ja) 撮像制御装置
US20020191080A1 (en) Image capturing system
EP1955536A1 (en) Remote control of an image captioning device
JP2007259329A (ja) 遠隔制御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11308515A (ja) カメラ操作装置およびカメラサーバ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それらの動作処理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09021880A (ja) 遠隔撮影システム
CN113064684B (zh) 一种虚拟现实设备及vr场景截屏方法
KR100736898B1 (ko)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영상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EP2866434A1 (en) Imaging apparatus
CN113411621A (zh) 音频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030078765A (ko) 화상배신방법
CN111246224A (zh) 一种视频直播方法及视频直播系统
EP274149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for the same
JP738067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撮像装置
US201102858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eb camera service in a portable terminal
JP2006245823A (ja) 画像配信システム
JP743559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撮像装置
JP2013255171A (ja) 画像配信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3197740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CN113014848A (zh) 视频通话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