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776A - 포장 용도를 위한 불투명 필름 - Google Patents

포장 용도를 위한 불투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776A
KR20070053776A KR1020077006534A KR20077006534A KR20070053776A KR 20070053776 A KR20070053776 A KR 20070053776A KR 1020077006534 A KR1020077006534 A KR 1020077006534A KR 20077006534 A KR20077006534 A KR 20077006534A KR 20070053776 A KR20070053776 A KR 20070053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film
biaxially oriented
oriented polymer
opaqu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안 호세 아기레
마크 비 밀러
Original Assignee
피나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나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나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53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2With component specified as adhesive or bonding agent
    • Y10T428/249983As outermost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7With nonvoid component of specified composition
    • Y10T428/249991Synthetic resin or natural rubbers
    • Y10T428/249992Linear or thermoplastic
    • Y10T428/249993Hydrocarbo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8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과 미세공극 형성 충전제를 혼화하고, 시트를 형성하도록 압출한 후, 이를 2축으로 신장시켜 불투명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불투명 중합체 필름이 제조된다. 이러한 필름의 최종 용도로는 음료수 병, 캔디 포장지 및 합성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포장 용도를 위한 불투명 필름{OPAQUE FILMS FOR USE IN PACKAGING}
본 발명은 중합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포장 적용에 유용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필름은 주로 포장 재료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재료로서의 적용은, 샴푸 및 청량 음료수 병과 같은 플라스틱 용기, 및 캔디 및 기타 식품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백(bag) 및 포장지를 위한 라벨로서의 용도를 포함한다.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제조된 라벨은 깨끗하고, 매우 얇은 필름이어서, 훨씬 낮은 비용으로 표면에 실크-스크리닝 (silk-screening) 과 유사한 외관을 제공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라벨은 플라스틱 병에 깨끗하고, 라벨 같지 않은 외견을 부여한다. 이러한 적용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필름은 약 1.1 내지 3.2 mil (27.9 내지 81.3 ㎛) 의 두께를 가지고,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종종, 이는 하나 이상의 기재와 함께 사용된다.
폴리올레핀 필름은 단지 투명 필름뿐 아니라 불투명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적용시 이러한 포장 필름에 있어서 불투명성은 요구되는 특성이다. 불투명성은 재료가 빛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 장된 식품은 빛, 특히 파장이 약 450 nm 이하인 빛에 노출됨으로써 품질저하될 수 있다. 필름에 어느 정도의 불투명성이 존재하더라도, 필름이 너무 많은 양의 빛을 통과시킨다면 손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목적상 불투명성이 높은 필름이 가장 요구된다.
불투명 필름의 또 다른 장점은 투명한 라벨의 바탕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불투명 필름이 항상 인쇄용 표면으로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투명 필름 위에 라벨을 프린트하고 적층하여, 또는 그 필름을 불투명 필름과 함께 공압출하여, 불투명 바탕 위에 라벨이 디스플레이되는 식품 포장을 제조하는 것이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불투명 중합체성 포장 필름은, 하나 이상의 스킨층을 그 위에 가지는 불투명하고, 열가소성플라스틱 중합체성 중심층을 포함하는 다중층 필름이다. 스킨층은, 열 밀봉성, 개선된 외관, 프린트성 또는 증강된 기계 조작성 등과 같은, 포장 필름에 요구되는 다양한 특성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개요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이다.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은 고(高)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되며, 여기서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은 1.25 mil (32 ㎛) 미만의 두께를 가진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된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을 사용하여 만든 라벨이고,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은 1.25 mil (32 ㎛) 미만의 두께를 가진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된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을 사용하여 만든 포장 재료이고,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은 1.25 mil (32 ㎛) 미만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된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이고, 여기서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은 0.55 g/cm3 미만의 밀도를 가진다.
본 발명에 대한 자세한 이해와 더 나은 평가를 위해, 하기 본 발명의 자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구현예를, 수반되는 도면과 함께 참고해야 할 것이며, 여기서
도 1 은 통상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한 불투명 필름 단면의 주사전자현미경 (SEM) 사진이고;
도 2 는 임팩트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한 불투명 필름 단면의 SEM 사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불투명 필름 단면의 SEM 사진이고;
도 4 는 도 3 에서와 동일한 필름의 고해상도 SEM 사진이다.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은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의 이소택틱 배열이고, 종종 "i-PP." 라는 용어로 지칭된다. 결정화도는 최종 생산물의 구조와 기계적 강도, 광학적 및 열적 특성 사이의 관계를 수립하는데, 및 또한 품질 제어 및 생산물 세목 (specification) 에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고체 상태 NMR 은 폴리프로필렌에서 결정성 인덱스의 절대 측정에 널리 행하여지는 방법으로 남아있다. 여기서 이소택틱 펜타드의 백분율을 측정할 수 있고, 결정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결정성 정도, 평균 결정자 크기 및 결정 격자 무질서 정도를, 광각 (wide angle) x-선 회절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결정성 상관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수지의 자일렌 가용성 함량을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유용한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을 주요 단량체 단위로 포함하는 결정질 중합체이다. 이러한 군에 포함되는 것은 기핵제를 포함 또는 미포함하는 결정질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이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은 지글러-나타 또는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의 결정성 정도 측정 방법에 상관없이 중합체는 특정한 특성을 지닐 것이며, 이의 존재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사용될 수 없는 중합체와 사용될 수 있는 중합체를 구별 짓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수득된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되는 구현예에 있어서,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은 약 155 ℃ 내지 약 170 ℃ 의 융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및 본원의 이러한 범위 및 임의의 다른 범위에 있어서, 상기 범위 중 임의의 수치쌍이 명백히 포함된다. 예를 들어 약 156 ℃ 내지 약 169 ℃ 범위는 본 발명에 명백히 포함된다.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은 100 J/g 이상의 융해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은 115 J/g 이상의 융해열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은 120 J/g 이상의 융해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은 125 J/g 이상의 융해열을 가질 수 있다.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은 약 105 ℃ 내지 약 125 ℃ 의 재결정화 온도를 가진다. 이러한 특성은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예를 들어 융해열 특성은 ASTM D-3417-99 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의 융점 및 재결정화 범위는 DSC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여기서 5 내지 10 mg 샘플은 10 ℃/분의 속도로 가열 및 냉각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임의의 지글러-나타 유도된 폴리프로필렌은 본 발명의 목적상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이다.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이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수득되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은 약 145 ℃ 이상의 융점을 가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메탈로센 유도된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은 70 J/g 이상의 융해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메탈로센 유도된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은 약 100 ℃ 내지 약 115 ℃ 의 재결정화 온도를 가진다. 이러한 특성 또한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임의의 메탈로센 유도된 폴리프로필렌은 본 발명의 목적상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의 예로는, ATOFINA 3270 폴리프로필렌, ATOFINA EOD01-30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 Amoco 9117, Korea Petrochemical Ind, Co, Ltd, 의 Yuhwa Polypro HF5003, 및 또한 Chisso Chemical Co. Ltd., Tokyo, Japan 의 Chisso HF 5010 및 Chisso XF 2805 가 포함된다. 메탈로센, 지글러-나타 또는 기타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인지와는 상관없이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은 또한 97 % 이상의 이소택틱 인덱스를 가질 것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중합체 필름은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이다. 2축 배향된 필름은 일반적으로 중합체의 시트를 취하여, 이를 두 방향으로 신장 (stretch) 시켜 제조된다. 이를 수행하는 방법은 중합체 필름 제조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그 전체가 본원에 포함되어 있는 Forrest, Jr., 등의 미국 특허 제 4,679,283 호는 2축 신장 필름을 위한 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법은, 중합체가 신장될 정도로 충분히 부드럽지만, 중합체가 모든 구조적 온전함을 잃을 정도로 부드럽지는 않은 온도로 중합체 시트를 유지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장치는 중합체 시트를 히터를 통해 공급하고, 가속시켜, 이후 중합체 시트가 앞으로 움직이면서, 중합체 시트가 앞으로 움직여지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시트를 동시에 신장시키도록 작동된다. 중합체 필름을 유용하게 제조하는,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중합체 필름을 2축 배향시키는 임의의 방법이 본 발명의 필름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불투명하다. 본 발명의 목적상, 불투명 필름이라는 용어는 미세공극 (microvoid) 의 존재에 의해서 ASTM D1003-00 에 따라 시험한 필름의 빛 투과도가 50 % 미만임을 의미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미세 공극의 존재에 의해서 빛 투과도는 70 % 미만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미세 공극의 존재에 의해서 본 발명의 필름의 빛 투과도는 80 % 미만이다.
당업자에게 유용한 본 발명의 필름의 미세공극은 불투명 중합체 필름 제조하는 임의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혼입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구현예에서, 미세공극 유도 충전제 (filler) 를 먼저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내로 직접 복합시킨다. 다른 구현예에서, 미세공극 유도 충전제를 먼저 소량의 중합체와 복합시켜 마스터 배치 (master batch) 를 형성한 후, 이를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와 복합시키는데 사용하여, 본 발명의 필름을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수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임의의 방법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혼화불가능하고, 더 높은 융점을 가지는 임의의 재료를 미세공극 유도 충전제로서 사용하여 본 발명의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혼화불가능이라는 용어는 재료 또는 중합체가 필름 내에서 개별적 입자 또는 개별적 상 형태임을 의미한다. 신장 후, 불투명성을 만드는 부피 및 형상을 가지는 공극을 생성하기 위해서 충전제는 약 0.5 내지 약 10 ㎛ 의 입자 크기를 가진다. 다른 구현예에서, 충전제는 약 1.0 내지 약 7 ㎛ 의 입자 크기를 가진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충전제는 약 1.5 내지 약 5 ㎛ 의 입자 크기를 가진다.
한 구현예에서, 미세공극 유도 충전제는 무기 고체이다. 무기 고체 충전제는 알루미늄 옥사이드, 알루미늄 설페이트, 바륨 설페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실리케이트 예컨대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카올린 클레이) 및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탈크), 규소 디옥사이드, 티타늄 디옥사이드 및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는 미세공극 유도 충전제로서 칼슘 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제조한 필름이 포함된다.
미세공극 유도 충전제는, 필름 제조에 사용되는 중합체 시트 주조용 수지를 제조하는 당업자에게 유용한 임의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혼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제는 폴리프로필렌 펠렛과 조합한 후, 펠렛으로 재압출시킬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충전제는 폴리프로필렌 플러프 (fluff) 와 조합한 후, 펠렛으로 추가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불투명 중합체 필름은 상업적으로 유용한 여러 특성을 지닐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불투명 중합체 필름은 기타 유형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제조된 필름보다 낮은 밀도를 가진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중합체 필름은 약 0.44 g/cm3 내지 약 0.60 g/cm3 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중합체 필름은 약 0.48 g/cm3 내지 약 0.52 g/cm3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밀도는 유사한 비-결정질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제조된 필름보다 현저하게 낮은 것이다. 낮은 밀도는 필름 제조에 고가의 수지를 덜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필름의 재료비를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필름의 다른 우수한 특성은 강성 (toughness) 이다. 본 발명의 불투명 중합체 필름은 약 10 내지 약 14 mPa 의 겉보기 강성를 가질 수 있다. 인장 강성 (tensile toughness) 의 계산은 응력-변형률 (stress-strain) 곡선 아래의 면적을 기초로 한다. 이것은 통상의 인장 강성의 정의와 상이한데, 이는 통상 보고되는 수치는 파단 인장 강성이기 때문이다. Karo Ⅳ 인장 강성 수치는, 샘플이 파단 또는 신장되는지에 상관없이 시험 말단에서의 인장 강성이다. 이러한 특성은 포장의 부분으로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불투명 필름에 적용할 때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이 아닌 통상적으로 제조된 유사한 필름과 비교하여, 부가적인 강성은 포장의 찢어짐, 구멍 뚫림을 막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불투명 필름은 필름내에 존재하는 미세공극의 양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정도의 차단 (barrier) 특성을 보유한다. 본 발명의 불투명 중합체 필름은 원래 증기 차단 재료는 아니지만 일부 적용시 그와 같이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필름은 통상적인 폴리프로필렌과 거의 동일한 수증기 투과율을 가진다.
본 발명의 불투명 중합체 필름은 부가적인 색소와 함께 제조되어, 그 광학적 밀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미적인 목적으로 그 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색소가 본 발명의 불투명 중합체 필름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iO2 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불투명 중합체 필름의 제조에 사용된다. 임의 색의 색소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색소 이외에 다른 첨가제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통상의 적합한 첨가제에는, 예를 들어 항산화제, 배향 응력 개질제, 난연제, 정전기 방지제, 블록 방지제, 흐림 방지제, 및 미끄럼 방지제가 포함된다. 이러한 첨가제의 혼합물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통상 칼슘 카보네이트가 그러하듯 공극 형성에 기여하지 않는데, 이는 그 입자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 필름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재료와 조합으로 사용되어 라벨 및 포장 재료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2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라벨로서, 여기서 첫 번째 층은 그 위에 프린트가 되어 있는 투명한 층이고, 두 번째 층은 본 발명의 불투명 중합체 필름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2 개 이상의 층을 가지는 포장 재료로서, 여기서 하나의 층은 본 발명의 불투명 중합체 필름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최종 용도, 예컨대 음료수 병 및 식품 포장지 예컨대 캔디 포장지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하기 실시예를 제시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의도가 아니며, 그렇게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달리 지시하지 않는 이상 양은 중량부 또는 중량% 이다.
실시예 1
상품명 ATOFINA 3270 로 판매되는 7 부의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을 60 % CaCO3; 10 % TiO2; 및 30 % 비결정질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3 부의 마스터 배치와 혼화하여 1000 마이크론 주조 (cast) 시트를 제조한다. 생성된 수지의 미세공극 형성 첨가제의 농도는 20 % 였다. 10 인치 (25.4 cm) 금형을 사용한 1¼ 인치 (3.2 cm) Welex ® 압출기를 통해 수지를 주입하여 주조 시트를 형성한다.
생성된 주조 시트는 이후 BRUCKNER Karo Ⅳ 실험용 배향기를 사용하여 2축 배향시켜 불투명 필름을 형성한다. 시트를 150 ℃ 에서 5 × 8 로 신장시킨다. 이후 불투명 필름을 특정 물성에 대해서 시험하고, 시험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Ⅰ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 대신에, 상품명 ATOFINA 3371 으로 판매되는 통상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불투명 필름을 제조하고, 필름을 145 ℃ 에서 배향시킨다.
비교예 Ⅱ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 대신에, 상품명 ATOFINA 4320 로 판매되는 임팩트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불투명 필름을 제조하고, 필름을 145 ℃ 에서 배향시킨다.
실시예에 대한 설명
상기 실시예에서 보여지듯이, 본 발명의 필름은, 미세공극 형성 첨가제의 동일한 적재량에서 현저하게 더 불투명하고, 더 큰 겉보기 강성을 가진다. 필름의 단면 사진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의 필름의 미세공극의 깊이와 너비가 더 큼을 보인다. 본 발명의 불투명 필름은 도 1 ~ 도 4 에 보여지듯이, 통상의 프로필렌 또는 임팩트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보다 실질적으로 더 많은 미세공극을 가질 수 있다.
[표]
Figure 112007022648799-PCT00001

Claims (24)

  1. 고(高)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된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고, 여기서 필름이 1.25 mil (32 ㎛)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이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100 J/g 이상의 융해열을 가지거나, 또는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70 J/g 이상의 융해열을 가지는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이 약 155 ℃ 내지 약 170 ℃ 의 융점을 가지는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ASTM D1003-00 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미세 공극의 존재에 의해서 80 % 미만의 빛 투과도를 가지는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ASTM D1003-00 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미세 공극의 존재에 의해서 70 % 미만의 빛 투과도를 가지는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
  6. 제 5 항에 있어서, ASTM D1003-00 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미세 공극의 존재 에 의해서 50 % 미만의 빛 투과도를 가지는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미세공극 제조 충전제 (filler) 에 의해서 생성된 미세공극으로 인해 필름의 불투명성이 야기되는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
  8. 제 7 항에 있어서, 미세공극 제조 충전제가 무기 고체인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
  9. 제 8 항에 있어서, 무기 고체가 알루미늄 옥사이드, 알루미늄 설페이트, 바륨 설페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카올린 클레이),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탈크), 규소 디옥사이드, 티타늄 디옥사이드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
  10. 제 9 항에 있어서, 무기 고체가 CaCO3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
  11. 제 7 항에 있어서, 미세공극 생성 충전제가 유기 고체인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
  12. 제 1 항에 있어서,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이 약 105 ℃ 내지 약 125 ℃ 의 재결정화 온도를 가지는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
  13.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필름이 부가적으로 색소를 포함하는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색소가 TiO2 인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
  15.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필름이 항산화제, 배향 응력 개질제, 난연제, 정전기 방지제, 블록 방지제, 흐림 방지제, 미끄럼 방지제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통상의 첨가제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
  16. 제 1 항에 있어서, 약 0.44 내지 약 0.55 g/cm3 의 밀도를 가지는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
  17. 라벨이 제 1 항에 따른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인 라벨.
  18. 제 17 항에 있어서, 위에 프린트된 투명 필름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라벨.
  19. 제 1 항의 불투명 2축 배향된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 재료.
  20. 제 19 항에 있어서, 음료수 병인 포장 재료.
  21. 제 19 항에 있어서, 식품 포장지인 포장 재료.
  22. 제 21 항에 있어서, 식품 포장지가 캔디 포장지인 포장 재료.
  23. 고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고, 필름이 0.55 g/cm3 미만의 밀도를 가지는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
  24. 제 23 항에 있어서, 필름이 합성지인 불투명 2축 배향된 중합체 필름.
KR1020077006534A 2004-09-23 2005-09-12 포장 용도를 위한 불투명 필름 KR200700537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49,659 2004-09-23
US10/949,659 US20060062951A1 (en) 2004-09-23 2004-09-23 Opaque films for use in packag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776A true KR20070053776A (ko) 2007-05-25

Family

ID=3607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534A KR20070053776A (ko) 2004-09-23 2005-09-12 포장 용도를 위한 불투명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60062951A1 (ko)
EP (1) EP1791689A2 (ko)
KR (1) KR20070053776A (ko)
CN (1) CN101060973A (ko)
TW (1) TW200617027A (ko)
WO (1) WO200603651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5357A1 (en) * 2004-09-24 2006-03-30 Curwood,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packaging laminate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EP1880844B1 (en) * 2005-05-13 2011-07-13 Tohcello Co., Ltd. Biaxially stretched multilayer polypropylene film and use thereof
US20100247887A1 (en) * 2009-03-26 2010-09-30 Fina Technology, Inc. Polyolefin films for in-mold labels
WO2020199160A1 (en) * 2019-04-03 2020-10-08 Avery Dennison Corporation Logistic label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4657A (en) * 1979-07-30 1981-04-28 Custom Made Packaging Inc. Foam based structure #1
DE19543679A1 (de) * 1995-11-23 1997-05-28 Hoechst Trespaphan Gmbh Niedrig siegelnde, biaxial orientierte Polyolefin-Mehrschicht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6228316B1 (en) * 1998-04-24 2001-05-08 Moseley, Iii Ben P. P. Polypropylene film suitable for use in in-mold labeling process
GB9818560D0 (en) * 1998-08-27 1998-10-21 Hoechst Trespaphan Gmbh Polymeric films
US6750284B1 (en) * 1999-05-13 2004-06-1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Thermoplastic filled membranes of propylene copolymers
US6844078B2 (en) * 2002-02-06 2005-01-18 Toray Plastics (America) Inc. Polyolefin oil resistant film using high isotactic content polypropylene
WO2004046214A2 (en) * 2002-10-15 2004-06-0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ultiple catalyst system for olefin polymerization and polymers produced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1689A2 (en) 2007-06-06
WO2006036515A3 (en) 2007-03-01
US20060062951A1 (en) 2006-03-23
CN101060973A (zh) 2007-10-24
US20100003494A1 (en) 2010-01-07
WO2006036515A2 (en) 2006-04-06
US8075986B2 (en) 2011-12-13
TW200617027A (en)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8019B2 (en) Thermoplastic film
EP0589033B1 (en) Improved thermoformable polypropylene-based sheet,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ir use
KR100253970B1 (ko)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US5128183A (en) Modified polyolefin film with stable twist retention, dead fold properties and barrier characteristics
AU752568B2 (en) Bioriented polyethylene film with a high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AU763905B2 (en) Bioriented polyethylene film with a high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KR101380101B1 (ko) 열수축성 폴리올레핀계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NZ235859A (en) Biaxially oriented polyolefin film containing glassy amorphous resin
KR20070053776A (ko) 포장 용도를 위한 불투명 필름
AU2003233478B8 (en) Thermoplastic film based on polypropylene
JP5151017B2 (ja) 積層ポリプロピレンフイルム
US20040241407A1 (en) Methods of making thick, highly oriented, opaque, low-density, microporous polyolefin films and the films made thereby
EP1877250A2 (en) Permeable polypropylene film
JP3579701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一軸延伸フィルム
JP3808929B2 (ja) 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631165B (zh) 含空洞聚丙烯膜
JPH0885192A (ja) 積層シート
JP2007021814A (ja) 容器のフタ材用積層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イルム
US20220204751A1 (en) Heat shrinkable film, and container with film
JP3534531B2 (ja) 積層シート
WO2024023851A1 (en) A synthetic paper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thereof
CA2027027C (en) Modified polyolefin film with stable twist retention, dead fold properties and barrier characteristics
JP2004155482A (ja) ポリプロピレン系熱収縮性フィルム
JP2000168005A (ja) 積層一軸延伸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23798A (ja) 積層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