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2587A - 가변 방사각을 갖는 광원 패키지 - Google Patents

가변 방사각을 갖는 광원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2587A
KR20070052587A KR1020050110388A KR20050110388A KR20070052587A KR 20070052587 A KR20070052587 A KR 20070052587A KR 1020050110388 A KR1020050110388 A KR 1020050110388A KR 20050110388 A KR20050110388 A KR 20050110388A KR 20070052587 A KR20070052587 A KR 20070052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fluid
light
source package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1817B1 (ko
Inventor
김주호
이경호
정기호
윤미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0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817B1/ko
Publication of KR20070052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02B26/00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based on electrowe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전기 습윤 원리를 이용하여 가변 방사각을 갖는 박형으로 제작가능한 광원 패키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전기 습윤 원리를 적용한 광원 패키지에 있어서, 광원; 상기 광원이 위치되고, 절연막을 형성하며 전극이 연결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의 제1 유체; 상기 제1 유체 상의 제2 유체; 및 상기 제1 및 제2 유체들을 밀봉으로 에워싸고 전극이 연결되며 광 투과성의 커버;를 포함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광원의 방사각을 가변함으로써 조명 범위가 조절 가능한 개선된 효과를 얻는다.
전기 습윤, 방사각 조절, 가변 렌즈 표면, 광원 패키지, 전도성 유체

Description

가변 방사각을 갖는 광원 패키지{Light Source Package with Variable Emission Angle}
제 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전기 습윤의 기본 원리를 나타낸 설명도.
제 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액체 렌즈를 도시한 단면도.
제 3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액체 렌즈를 이용한 전기 광학 판독기를 도시한 단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사각을 갖는 광원 패키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a)도는 하나의 광원으로 광원 패키지가 이루어진 구성도, b)도는 다수 개의 광원으로 광원 패키지가 이루어진 구성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에서 광원에 포위체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에서 광원에 포위체가 형성되고, 방수층이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에서 커버가 2차 렌즈의 기능을 하도록 볼록 또는 오목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제 8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의 작동 설명 도로서,
a)도는 광을 집광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b)도는 광을 확대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
10... 광원 20.... 베이스
20a... 상부 면 22... 절연막
25a.... 전극 25b.... 전극
26a,26b... 전극 단자 50.... 제1 유체
60.... 제2 유체 70.... 커버
80.... 포위체 82.... 방수층
200,300.... 종래의 액체 렌즈 210.... 절연체
212,222... 전극 220.... 전해액
225.... 기체(공기) 230.... 전극
310a,310b... 투명 기판 310.... 절연체
330... 비전도성 유체 332,352... 전극
350.... 전도성 유체 400.... 전기 광학 판독기
410.... 레이저 다이오드 420a,420b.... 액체렌즈
430... 스캐너 θ.... 계면각
본 발명은 가변 가능한 방사각을 갖는 광원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내부의 전도성 액체가 인가되는 전압의 조절에 의하여 가변 가능한 방사각을 제공하여 조명범위가 조절 가능한 광원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용 소형 카메라에는 줌 기능, 오토 포커스 기능을 갖는 고기능의 카메라 모듈이 적용되는 데, 여기에서는 조명을 위한 플래시가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플래시에는 LED 칩등이 광원으로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소형 카메라는 보통 박형의 구조를 갖추어 경량화 및 소형화를 이루는 추세이고, 그에 따라서 광원도 소형의 박형 구조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카메라의 플래시용 광원이 카메라의 피사체 거리에 따라서 플래시의 방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면 우수한 카메라 조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카메라 플래시는 피사체의 거리에 따른 발광량, 발광 각도, 방사각 등에 대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렌즈 이동기구를 구비한 것이고, 이러한 렌즈 이동기구는 카메라의 구조를 크게 한다.
한편, 도 1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액체 렌즈(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액체 렌즈(200)는 절연체(210)의 상부에 전해액(220)이 배치되고, 상기 절연체(210)의 하부에는 전극(230)이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전극(230)과 전해액(220)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절연체(210) 상의 전해액(220)의 계면각(θ)이 변하게 된다.
즉, 절연체(210)의 표면 중에 전해액(220) 방울이 있는 경우, 절연체(210)와 전해액(220), 전해액(220)과 기체(225), 절연체(210)와 기체(225) 사이의 계면이 형성되며, 이 중에서 전해액(220)과 절연체(210)사이의 계면각(θ)은 영 식(Young's equation)에 의해서 결정된다.
γSL - γSG = γLG ·COSθ : Young's equation
여기서 S : 절연체, L : 전해액, G : 기체를 나타내고, γ는 각 재질들에 의한 표면장력 계수(Surface tension coefficient)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전해액(220)의 재질을 전도성 유체로 하고, 접촉하는 절연체(210)를 절연막(Insulator)으로 하여 구성한 후, 상기 전해액(220) 및 절연체(210) 뒤에 형성된 전극(Electrode)(212)(222)에 전압을 가하면 표면장력 계수가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표면 장력 계수는 리프만 수식(Lippmann's equation)을 따르게 된다.
γ = γ0 - (1/2)cV2 : Lippmann's equation
상기와 같이 인가 전압(V)과 절연막의 유전율(c)에 따라 표면장력 계수가 변화하게 되고, 전압에 의하여 이와 같이 변화된 절연체(210)와 전해액(220) 사이의 표면장력 계수 γSL 에 의하여 계면각(θ)이 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구성한 액체 렌즈(300)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투명한 기판(310a)(310b) 내부에 밀도가 대략적으로 동일한 비전도성 유체(330)인 오일과 전도성 유체(350)인 전해액을 충전하고, 상기 기판(310a)(310b)의 외측으로 절연체(310)와 전극(332)(352)을 형성하여 상기 전도성 유체(350)에 전압을 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액체 렌즈(300)는 투과성 메탈 전극을 통하여 전도성 유체(350)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면 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310)와 전도성 유체(350)의 계면각(θ)이 변화하여 그에 따라서 전도성 유체(350)인 물과 비전도성 유체(330)인 오일 사이의 계면 형상이 바뀌도록 하여 이를 통과하는 광의 초점 거리가 변화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액체 렌즈의 원리를 적용한 전기 광학 판독기(400)가 도 3에 도 시되어 있다. 이는 미국 특허공개 US2005/0199720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일측에는 레이저 다이오드(410)가 배치되고, 레이저 다이오드(410)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액체 렌즈(420a)(420b)들이 배치되며, 이 액체 렌즈(420a)(420b)의 전방 측으로는 스캐너(430)가 배치된 전기 광학 판독기이다.
이와 같은 전기 광학 판독기(400)는 복수의 액체 렌즈(420a)(420b)로 가해지는 전원의 전압을 가변시킴으로써 액체 렌즈(420a)(420b)의 초점거리를 변화시키고, 그에 따라서 레이저 빔의 주사 범위와 레이저 빔의 단면 크기를 조절하도록 된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체 렌즈를 적용한 전기 광학 판독기(400)는 레이저 다이오드(410)가 액체 렌즈(420a)(420b)로부터 분리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들을 하나로 조합하기 위한 별도의 조립 기구 또는 하우징(미 도시)들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박형의 소형 구조를 이루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광원에서 방사하는 빛의 방사각을 가변시켜 조명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소형의 박형 구조를 이룰 수 있음으로써 전체적으로 전자 기기의 경량화 및 박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목적으로서, 광원의 배광 패턴을 변화시켜 다양한 발광량, 발광 각도, 방사각등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 가능한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체 렌즈를 이용한 광원 패키지에 있어서,
광원;
상기 광원이 위치되고, 절연막을 형성하며 전극이 연결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의 제1 유체;
상기 제1 유체 상의 제2 유체; 및
상기 제1 및 제2 유체들을 밀봉으로 에워싸고 전극이 연결되며 광 투과성 재료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유체는 비전도성 유체이고, 제2 유체는 전도성 유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유체는 전도성 유체이고, 제2 유체는 비전도성 유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광원은 적어도 1개 이상의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광원 칩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비전도성 유체와 전도성 유체는 광 투과성 재질이며,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짐으로써 두 유체 사이의 계면이 가변 렌즈 역할을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광원에는 이를 에워싸는 투명 포위체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광원 또는 투명 포위체에는 방수층이 코팅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비전도성 유체 또는 전도성 유체 내에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광 산란 입자들은 형광체(Phosphor)로 이루어져 광 산란효과와 광 파장 효과를 동시에 얻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의 상부 면에 반사 층이 형성되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반사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포위체와 인접하는 비전도성 유체 또는 전도성 유체의 굴절율이 포위체의 굴절율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의 전극은 광 투과성 전극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절연막은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져 반사층을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상에는 절연막에 의해서 베이스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된 전도성 유체가 위치되고, 상기 전도성 유체의 상부에는 비전도성 유체가 위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0)을 갖는다.
상기 광원(10)은 통상적인 LED 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10)은 적어도 1개 이상의 파장의 빛을 방출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광원 칩들일 수 있다.
즉 백색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적색, 녹색, 청색의 LED 칩들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 개의 LED 칩들이 구비된 광원(10)은 백색광을 포함한 다양한 색상의 광을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광원(10)이 위치되고, 절연막(22)을 형성하며 음극 전극이 연결된 베이스(20)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20)는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부에는 상기 광원(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단자(26a)(26b)들을 수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광원(10)이 중앙에 배치된 오목한 상부 면(20a)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오목한 상부 면(20a)에는 절연막(22)이 코팅으로 형성되며, 전도성 액체와 전극(25a)이 상기 절연막(22)에 의해서 절연되도록 전극(25a)이 형성되어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20)의 상부 면(20a)에 반사 층이 형성되어 광원(10)으로부터의 광을 반사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반사 층은 광원(10)을 이루는 LED 칩을 제외한 부분에 모두 형성되고, 상기 절연막(22) 표면 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르게는 상기 절연막(22)이 반사율 높은 재료로 이루어져서 반사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연 막 이외의 반사층과 상호 협력하여 광원(10)으로부터의 광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발광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20) 상에 제1 유체(50)를 구비하는 바, 상기 제1 유체(50)는 비전도성 유체이거나 전도성 유체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50)가 비전도성 유체인 경우, 전도성 유체에 혼합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도4에서는 절연막이 전극과 동일한 범위로 코팅되어 있지만, 상기 절연막은 전극을 충분히 덮을 수 있을 정도로 전극보다 더 넓게 코팅되면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유체(50) 상부에 제2 유체(6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유체(60)는 전도성 유체이거나 또는 비전도성 유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체(50)가 비전도성 유체인 경우, 제2 유체(60)는 전도성 유체이고, 상기 제1 유체(50)가 전도성 유체인 경우, 제2 유체(60)는 비전도성 유체이다. 상기 제1 유체(50)와 제2 유체(60)는 거의 동일한 밀도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유체(50)와 제2 유체(60)는 광 투과성 재질이며,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갖고, 서로 혼합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유체(50) 또는 제2 유체(60)의 내부에는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광 산란 입자들은 광 산란 효과 외에 입사된 광의 파장을 다른 파장으로 여기시키는 형광체(Phosphor)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 유체(50)와 제2 유체(60)들을 밀봉으로 에워싸도록 커버(70)를 장착하는바, 상기 커버(70)는 광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양극 전극(25b)이 형성되어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커버(70)는 베이스(20)에 의 상부면에 밀봉 접합되어 그 내부에서 상기 제1 유체(50)와 제2 유체(60)들을 밀봉으로 에워 싸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70)는 그 외면이 각진 구조이거나 둥근 호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커버(70)의 전극(25b)은 광 투과성 전극으로 이루어져 광원(10)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이를 투과하여 외부로 발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10)에 이를 에워싸는 포위체(80)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포위체(80)는 투명한 광 투과성 실리콘이나 에폭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형광체 또는 미세입자들이 포함되어 광원칩과 다른 색상 파장이나 또는 산란된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포위체(80)는 LED 칩에서 발현되는 파장과는 다른 파장의 색을 내기 위한 형광막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 또는 투명 포위체(80)에 방수층(82)이 코팅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수층(82)은 제1 유체(50) 또는 제2 유체(60)들이 광원(10)인 LED 칩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런트(Sealant)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포위체와 인접하는 제1 유체(50) 또는 제2 유체(60)의 굴절율이 상기 포위체(80)의 굴절율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위체와 인접한 제1 유체(50) 또는 제2 유체(60)의 굴절율이 포위체(80)의 굴절율과 대략적으로 동일하다면, 상기 포위체(80)의 표면이 균일하지 않게 형성됨으로써, 유체와 포위체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불규칙한 광 굴절 효과를 억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20) 상에는 절연막(22)에 의해서 베이스(20)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된 제2 유체(60)가 위치되고, 상기 제2 유체(60)의 상부에는 제1 유체(50)가 위치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상기 베이스(20)의 오목한 상부 면(20a) 상에 절연막(22)이 형성되고, 그 위에 제2 유체(60)가 위치되며, 그 상부 측으로 제1 유체(50)가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20)에 연결된 전극(25a)의 전원이 제2 유체(6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막(22)은 상기 제2 유체(60)와 베이스(20)의 경계 면을 정확하게 절연시켜야 한다.
미 설명 부호(90)는 음극 전극(25a)과 양극 전극(25b)에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 크기와 형상을 조절하기 위한 전압조절 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1)는 베이스(20)에 형성된 단자(26a)(26b)들을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적어도 1개 이상의 LED 칩으로 이루어진 광원(10)은 발광하여 광을 발산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베이스(20)에 마련된 음극 전극(25a)과 상기 커버(70)에 마련된 전극(25b)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제2 유체(60)와 절연막(22)간의 계면각(θ)이 결정되고, 이 계면각을 유지하면서 표면에너지를 최소화하는 형상으로 제1 유체(50)와 제2 유체(60) 간의 계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인가되는 전압 크기에 따라서 형성되는 제1 유체(50)와 제2 유체(60) 사이의 가변적인 계면 형상은 이를 투과하는 광의 방사각을 변화시켜 광원(10)인 LED 칩들의 발광중에 자유로운 방사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사 패턴의 변형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체(50)와 제2 유체(60) 사이의 계면 형상이 광 투사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면, 이는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좁게 집광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와는 반대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체(50)와 제2 유체(60) 사이의 계면 형상이 광 투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면, 이는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넓게 확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원(10)의 전방측으로 제1 유체(50)와 제2 유체(60)를 채우고, 제2 유체(60)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제1 유체(50)와 제2 유체(60) 사이의 계면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배광 패턴을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은 광원(10)이 장착되는 베이스(20) 상에 직접 제1 유체(50)와 제2 유체(60)를 배치하고, 이를 커버(70)로 밀봉시키기 때문에 광원(10)을 베이스(20)에 일체화하여 소형의 두께가 얇은 구조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베이스(20)의 상부 면(20a)에 직접 반사 층을 형성하여 직접 제1 유체(50)와 제2 유체(60) 측으로 출사시키기 때문에 더욱더 배광 효과를 높일 수 있고, 구조적인 간단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에서 방사하는 빛의 방사각을 전도성 유 체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가변시킬 수 있음으로써 우수한 조명효과를 얻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소형의 박형 구조를 이룰 수 있음으로써 전체적으로 전자 기기의 경량화 및 박형화를 이룰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의 배광 패턴을 변화시켜 다양한 발광량, 발광 각도, 방사각 등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 가능하고,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제작 및 양산 성이 우수한 효과를 얻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이며,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 구조로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4)

  1. 액체 렌즈를 이용한 광원 패키지에 있어서,
    광원;
    상기 광원이 위치되고, 절연막을 형성하며 전극이 연결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의 제1 유체;
    상기 제1 유체 상의 제2 유체; 및
    상기 제1 및 제2 유체들을 밀봉으로 에워싸고 전극이 연결되며 광 투과성 재료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는 비전도성 유체이고, 제2 유체는 전도성 유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는 전도성 유체이고, 제2 유체는 비전도성 유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적어도 1개 이상의 파장의 빛을 방출시키는 적 어도 1개 이상의 광원 칩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유체와 전도성 유체는 광 투과성 재질이며, 서로 혼합되지 않으며,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이를 에워싸는 투명 포위체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또는 투명 포위체는 그 표면에 방수층이 코팅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유체 또는 전도성 유체는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 산란 입자들은 광의 파장을 다른 파장으로 여기시키는 형광체(Phosphor)의 효과와 광 산란효과를 동시에 얻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그 상부 면에 반사 층이 형성되어 광원으로부터의 광 반사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위체의 굴절율과 이에 인접한 비전도성 유체의 굴절율은 대략 동일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전극은 광 투과성 전극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져 반사층을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에는 절연막에 의해서 베이스와는 전기적으로 차단된 전도성 유체가 위치되고, 상기 전도성 유체의 상부에는 비전도성 유체가 위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렌즈 표면을 갖는 광원 패키지.
KR1020050110388A 2005-11-17 2005-11-17 가변 방사각을 갖는 광원 패키지 KR100771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388A KR100771817B1 (ko) 2005-11-17 2005-11-17 가변 방사각을 갖는 광원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388A KR100771817B1 (ko) 2005-11-17 2005-11-17 가변 방사각을 갖는 광원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587A true KR20070052587A (ko) 2007-05-22
KR100771817B1 KR100771817B1 (ko) 2007-10-30

Family

ID=3827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388A KR100771817B1 (ko) 2005-11-17 2005-11-17 가변 방사각을 갖는 광원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8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721A (ko) * 2016-10-18 2018-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CN115128794A (zh) * 2021-03-25 2022-09-30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匀光元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534B1 (ko) * 2018-06-22 2023-05-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7410A (ja) * 2001-08-21 2003-02-26 Canon Inc 光学素子および光学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721A (ko) * 2016-10-18 2018-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CN115128794A (zh) * 2021-03-25 2022-09-30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匀光元件
US11899196B2 (en) 2021-03-25 2024-02-13 Coretronic Corporation Light homogenizing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1817B1 (ko) 200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2523B1 (ko) 카메라를 위한 얇은 led 플래시
US6856087B2 (en) Full-color display device
US7066626B2 (en) LED lamp
CN102194980B (zh) 发光器件封装和包括发光器件封装的照明系统
US9111777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unit using the same
CN105378952A (zh) 发光器件封装件及其制造方法以及包含该发光器件封装件的车灯和背光单元
US11268659B2 (en) Lighting apparatus
KR20100061686A (ko) 낮은 프로파일의 측면 방출 led에 연결된 광학 요소
CN104040382A (zh) 光学片以及具有该光学片的显示装置和发光装置
US9810382B2 (en) Light emitting module having lens
JP5374332B2 (ja) 照明装置
JPWO2004055427A1 (ja) 半導体発光装置及びその製法並びに線状光源
JP4938255B2 (ja)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光源および発光装置
KR100771817B1 (ko) 가변 방사각을 갖는 광원 패키지
CN110440149B (zh) 发光装置
KR20130003835A (ko) 카메라 플래시 모듈
US10141476B2 (en) Light emitting diode chip scale packaging structure
KR101666844B1 (ko) 광학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US9681502B2 (en) Lighting device
US10312408B2 (en) Light emitting diode chip scale packaging structure and direct type backlight module
KR101273364B1 (ko) Led 모듈 제조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led 모듈, 그리고 그 led 모듈 제조방법
KR20110126431A (ko) 발광 소자
KR100634302B1 (ko) 발광 다이오드
TW201705549A (zh) 發光裝置
KR102119762B1 (ko) 발광소자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