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1635A -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1635A
KR20070051635A KR1020060027436A KR20060027436A KR20070051635A KR 20070051635 A KR20070051635 A KR 20070051635A KR 1020060027436 A KR1020060027436 A KR 1020060027436A KR 20060027436 A KR20060027436 A KR 20060027436A KR 20070051635 A KR20070051635 A KR 20070051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pipe
oil
gas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900B1 (ko
Inventor
타카시 카네코
미치요시 쿠사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51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2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6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25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3Pressures of the compressor
    • F25B2700/1932Oil pres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기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 안정되게 실외 유닛 간의 냉동기유의 균등화를 꾀하는 압축기 균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압축기 균유장치는 각 실외기마다 마련되어 있다. 각 압축기 균유장치는 압축기에 접속된 기액분리수단과, 기액분리수단의 제 1유출단과 그 압축기의 흡입 분기관을 연결하는 오일 귀환관과 기액분리수단의 제 2유출단에 접속된 균유관을 가지며, 균유관은 토출 배관에 접속되어 있다.
압축기, 기액분리수단, 균유관, 캐필러리 튜브

Description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Compressor Distribut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동기 및 압축기 균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액분리수단의 용적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압축기 균유장치의 기액분리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압축기 균유장치의 기액분리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냉동기 2, 3, 4: 실외기
5: 집합 가스관 6: 집합 액관
7: 실외기 10: 제 1압축기
11: 제 2압축기 23: 흡입 배관
27:고압 용기 30: 제 3압축기
31:제 4압축기 40: 제 5압축기
41: 제 6압축기 52, 53, 54: 압축기 균유장치
63: 기액분리수단 63B: 제 1유출단
63C: 제 2유출단 65: 캐필러리 튜브(제 1감압 수단)
66: 균유관 67: 캐필러리 튜브(제 2감압 수단)
본 발명은 복수 실외기의 압축기 사이에서 냉동기유를 균등하게 하는 압축기 균유장치, 압축기 균유장치를 가지는 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냉동기에 있어서, 복수의 압축기를 이용해 냉매를 순환시키면, 각 압축기 간에 냉동기유가 불균일해져 특정 압축기의 냉동기유가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냉동기유가 불균일한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본 특개 2000-220892호 공보의 냉동기에는 압축기 간의 냉동기유를 밸런스화하는 장치가 설치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냉동기에서는 압축기 내의 냉동기유의 유면을 검출하는 유면 검출기를 갖추고, 유면 검출기가 냉동기유의 부족을 검출하면 그 압축기를 정지시켜 냉동기유 저류부의 압력을 낮춘다. 게다가, 유면 검출기가 냉동기유를 여분으로 저류하고 있는 압축기를 검출해, 그 압축기를 운전시켜 저류부의 압력을 증대시킨다. 복수 압축기의 저류부끼리 접속하는 연결관의 개폐변을 개폐, 제어하여 압력이 높은 압축기로부터 압력이 낮은 압축기로 냉동기유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압력이 높은 압축기의 냉동기유가 감소하고, 그 양만큼 압력이 낮은 압축기의 냉동기유가 증가한다.
또한, 일본 특개평 6-280768호 공보에는 압축기에 균유관이나 유면 검출기를 만드는 대신에, 압축기 로터에 냉동기유를 비산시키는 로터 날개를 설치한 것이 있 다. 로터 날개는 윤활유가 소정의 저류 위치에 달하면, 윤활유를 비산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윤활류가 로터 날개에서 비산됨으로써, 압축기의 토출 배관에서 냉매와 함께 토출되는 윤활유의 양이 늘어나므로 그 압축기의 윤활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다른 압축기의 윤활류가 증가한다.
일본 특개 2000-22089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냉동기에서는 유면 검출기를 모든 압축기에 만들고 유면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근거해 개폐변의 제어를 하는 구성이므로 고가였다. 또한, 냉동기유의 이동에는 복수의 압축기 저류부 사이의 차압을 이용하지만, 이 차압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냉동기유가 부족한 압축기를 정지시켜야만 했다. 그러나, 균유를 위해 압축기를 정지시키면 그 시간동안 냉방 능력이나 난방 능력이 저하해 버린다. 게다가, 복수의 실외기를 연결하도록 연결관을 접속해야만 하는데 이 작업은 현지에서 시공해야만 했다.
또한, 일본 특개평 6-28076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압축기는 특수한 구성을 가지므로 범용성이 높은 구성의 압축기로 균유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안정적으로 실외 유닛간의 냉동기유의 균등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실외기와 실내기와의 사이를 가스관 및 액관으로 접속시키고, 실외기에 탑재된 압축기에 흡입 배관을 통해 냉매 를 흡입시켜 가압한 후 토출함으로써 냉매를 순환 시키는 냉동기에 사용되며, 상기 압축기 사이에서 냉동기유를 균등하게 유지하는 압축기 균유장치이며, 상기 압축기의 고압 용기에 접속되는 기액분리수단을 가지며, 상기 기액분리수단에는 주로 냉동기유를 유출하는 제 1유출단과, 주로 기체를 유출해 상기 기액분리수단이 냉동기유로 가득찬 경우에는 냉동기유를 유출하는 제 2유출단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유출단은 제 1감압 수단을 통해 상기 흡입 배관에 있어서 그 압축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제 2유출단은 균유관을 사이에 두고 그 압축기의 상기 토출 배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균유장치이다.
상기 압축기 균유장치에서는 기액분리수단의 유입단에 접속되는 배관의 접속 높이보다도, 그 압축기의 냉동기유의 유면이 낮은 경우에는 냉동기유의 미스트가 혼입된 냉매가 기액분리수단에 유입하고, 냉동기유의 미스트가 기액분리수단으로 냉매에서 분리되어 원래 압축기에 되돌아간다. 한편, 그 압축기의 냉동기유 유면이 배관 접속 높이 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냉동기유가 기액분리수단에 유입되어 냉동기유가 균유관으로도 유출된다. 균유관으로 유출된 냉동기유는 토출 배관으로 흡입되어 고압 가스 냉매와 함께 순환하여 복수의 압축기로 분배된다.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실시 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동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냉동기(1)는 3대의 실외기(2~4)가 집합 가스관(5)(가스관) 및 집합 액관(6)(액관)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집합 가스관(5) 및 집합 액관(6)에는 옥내에서 사용되는 실내기(7)가 복수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냉동기(1)는 실외 멀티 공조기라고 불리기도 한다. 또한, 실외기(2~4)의 수 및 실내기(7)의 수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외기(2)에는 제 1압축기(10)과 제 2압축기(11)가 탑재되어 있다. 제 1, 제 2압축기(10, 11)는 고압 쉘형의 압축기이며, 각각의 토출구에는 토출 배관(14)의 제 1배관(14A)과 제 2배관(14B)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토출 배관(14)은 제 1배관(14A)과 제 2배관(14B)이 하나로 합류한 후에 유분리기(15)를 사이에 두고 사방변(16)의 제 1포트(16A)에 접속되어 있다. 사방변(16)은 4개의 포트를 가지며 제 1포트(16A)와 제 2포트(16B)를 접속했을 때에는 제 3포트(16C)와 제 4포트(16D)가 접속되고, 제 1포트(16A)와 제 4포트(16D)를 접속했을 때에는 제 2포트(16B)와 제 3포트(16C)가 접속되도록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사방변(16)의 제 2포트(16B)는 실외 열교환기(17)을 사이에 두고 액관(6A)에 접속되어 있다. 액관(6A)은 집합 액관(6)에 접속되어 있고, 그 관로 중에는 실외측 감압 장치(18)가 마련되어 있다.
집합액관(6)은 각 실외기(2~3)에서의 액관(6A)에 접속됨과 동시에 실내기(7) 측에서 3개의 액관(6B)에 분기되고 있으며, 이들 액관(6B)은 3개의 실내기(7) 내에 하나씩 인입되어 각 실내기(7)의 실내측 감압 장치(20)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실내기(7)는 실내측 감압 장치(20)와 실내 열교환기(21)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실내 열교환기(21)에는 집합 가스관(5)의 가스관(5B)이 접속되어 있다.
가스관(5B)은 집합 가스관(5)에 접속되어 있다. 집합 가스관(5)은 실외기(2)측에서 3개의 가스관(5A)로 분기되어 있으며, 이들 가스관(5A)들이 하나씩 실외기 (2~4) 내로 인입되어 사방변(16)의 제 4포트(16D)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사방변(16)의 제 3포트(16C)에는 흡입 배관(23)이 접속되어 있다. 흡입 배관(23)은 열교환 후에 제 1, 제 2압축기(10, 11)에 흡입되는 냉매가 통과하는 배관으로, 유분리기(15)에서 오일 귀환관(24)이 합류한 후에, 제 1, 제 2압축기(10, 11)에 대해 2개의 흡입 분기관(23A, 23B)으로 분기되어 있다. 또한, 오일 귀환관(24)에는 그 관로 상에 캐필러리 튜브 등의 감압 수단(25)이 마련되어 있다.
흡입 배관(23)의 각 흡입 분기관(23A)은 제 1, 제 2압축기(10, 11)의 고압 용기(27)에 접속되어 있다. 각 흡입 분기관(23A)에는 대응하는 1개의 압축기(10, 11)에 흡입되는 냉매만이 통류한다. 제 1, 제 2압축기(10, 11) 각각의 고압 용기(27) 내에는 소정량의 냉동기유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실외기(3)는 고압 쉘형의 압축기인 제 3압축기(30) 및 제 4압축기(31)를 가지고, 실외기(2)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실외기(4)는 고압 쉘형의 압축기인 제 5압축기(40) 및 제 6압축기(41)를 가지고 실외기(2)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냉동기(1)에는 실외기(2~4)마다 압축기 균유장치(52~54)가 내장되어 있다.
압축기 균유장치(52)는 제 1압축기(10)의 고압 용기(27)의 바닥부에서 소정의 높이로 접속된 접속관(62)을 가지고 있다. 이 접속관(62)은 기액분리수단(63)의 유입단에 접속되어 있다. 기액분리수단(63)은 예를 들면 원심력을 이용해 기액이 혼합한 유체를 기체와 액체로 분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액분리수단(63)에 있어서, 주로 액체가 유출하는 제 1유출단에는 오일 귀환관(64)이 접속되어 있다. 오일 귀환관(64)은 그 관로 중에 감압 수단인 캐필러리 튜브(65)가 설치된 후 흡입 분기관(23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흡입 분기관(23A)은 제 1압축기(10)에 흡입되는 냉매만이 통류하는 배관이다. 도 1에서는 흡입 분기관(23A)의 배관 상에 설치된 어큐뮬레이터(28)에 접속되어 있지만, 어큐뮬레이터(28) 이외의 배관 부분에 접속되어도 좋다. 한편, 기액분리수단(63)에 있어서, 주로 기체가 유출하는 제 2유출단에는 균유관(66)이 접속되어 있다. 균유관(66)은 토출 배관(14)의 제 1배관(14A)에 접속되어 있다.
제 2압축기(11)에는 고압 용기(27)의 바닥부에서 소정의 높이에 접속관(62)가 접속되어 있고, 이 접속관(62)은 기액분리수단(63)의 유입단에 접속되어 있다.
기액분리수단(63)의 제 1유출단에는 오일 귀환관(64)가 접속되어 있다. 오일 귀환관(64)에는 캐필러리 튜브(65)가 마련되어 있고, 제 2압축기(11)로만 흡입되는 냉매가 지나하는 흡입 분기관(23B)의 어큐뮬레이터(28)에 접속되어 있다. 기액분리수단(63)의 제 2유출단에는 균유관(66)이 접속되어 있다. 이 균유관(66)은 토출 배관(14)의 제 2배관(14B)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압축기 균유장치(53)는 제 3압축기(30)의 고압 용기(27)의 바닥부에서 소정 높이에 접속관(62)에 접속된 기액분리수단(63)을 가지고 있다. 기액분리수단(63)의 제 1유출단 측의 오일 귀환관(64)은 캐필러리 튜브(65)가 마련된 후에 제 3압축기(30)의 흡입 분기관(23A)에 접속되어 있다. 기액분리수단(63)의 제 2유출단측 균유관(66)은 토출 배관(14)의 제 1배관(14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4압축기(31)측도 마찬가지로 접속관(62)에서 제 4압축기(31)에 접속된 기액분리수 단(63)과 오일 귀환관(64)와 균유관(66)과 캐필러리 튜브(65)를 가지고 있다. 오일 귀환관(64)은 제 4압축기(31)의 흡입 분기관(23B)에 접속되어 있다. 균유관(66)은 토출 배관(14)의 제 2배관(14B)에 접속되어 있다.
압축기 균유장치(54)는 제 5압축기(40)에 접속관(62)에 접속된 기액분리수단(63)과 오일 귀환관(64)과 균유관(66)과 캐필러리 튜브(65, 67)를 가지고 있다. 오일 귀환관(64)은 제 5압축기(40)의 흡입 분기관(23A)에 접속되어 있다. 기액분리수단(63)의 제 2유출단 측의 균유관(66)은 토출 배관(14)의 제 1배관(14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6압축기(41)에 접속관(62)으로 접속된 기액분리수단(63)과 오일 귀환관(64)과 균유관(66)과 캐필러리 튜브(65)를 가지고 있다. 오일 귀환관(64)은 제 6압축기(41)의 흡입 분기관(23B)에 접속되어 있다. 균유관(66)은 토출 배관(14)의 제 2배관(14B)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캐필러리 튜브(65)는 냉매나 냉동기유의 압력이 각 압축기(10, 11, 30, 31, 40, 41)의 고압 용기(27)의 내압 및 기액분리수단(63)의 내압보다도 낮아지도록 감압하는 한편, 냉매나 냉동기유의 압력이 흡입 배관(23), 흡입 분기관(23A, 23B)의 내압보다는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캐필러리 튜브(65)는 실내, 실외 열교환기(17, 21)를 통하는 메인 회로를 흐르는 냉매 유량에 대해, 각 압축기 균유 장치(52, 53, 54) 각각을 흐르는 냉매 유량이 소정의 비율 이하가 되도록 유로 저항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캐필러리 튜브(65)는 오일 귀환관(64)를 통과하는 냉동기유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기액분리수단(63)의 용적은 각 압축기(10, 11, 30, 31, 40, 41)의 필 요 최저 유량에 대해 소정의 용적 이하가 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기액분리수단 용적 범위(R1) 사이가 되고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 기액분리수단 용적 범위(R1)의 하한값은 냉동기유의 5%에 상당하는 용적이다. 또한, 기액분리수단 용적 범위(R1)의 상한값은 냉동기유의 20%에 상당하는 용적이다. 기액분리수단(63)의 용적이 하한값을 하회하면 액체와 기체의 분리 성능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기액분리수단(63)의 용적이 상한값을 상회하면 기액분리수단(63)에 잉여 냉동기유가 체류하고, 각 압축기(10, 11, 30, 31, 40, 41)의 운전에 필요한 냉동기유가 부족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으로 본 실시 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3개의 실외기(2~4)를 동시에 운전해 냉방 운전, 난방 운전을 할 때의 냉매 흐름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한편, 1개 또는 2개의 실외기(2~4)를 정지시키거나, 실외기(2~4) 중 어느 하나의 압축기(10, 11, 30, 31, 40, 41)만을 정지시키면서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냉방 운전 시에는 각 실외기(2~4)의 사방변(16)을 전환해 제 1포트(16A)와 제 2포트(16B)를 접속하고, 제 3포트(16C)와 제 4포트(16D)를 접속한다. 각 압축기(10, 11, 30, 31, 40, 41)에서 제 1, 제 2의 배관(14A, 14B)으로 토출되는 고압의 가스 냉매는 유분리기(15)에서 가스 냉매 중에 혼입한 냉동기유를 분리한 후에 사방변(16)에서 실외 열교환기(17)로 안내된다. 실외 열교환기(17)에서는 열교환에 의해 가스 냉매가 액화해 고압의 액 냉매가 형성된다. 액 냉매는 집합 액관(6)에서 합류하여 운전 중인 실내기(7)로 안내된다. 실내기(7) 내에서 액 냉매는 실내측 감 압 장치(20)에서 감압된 후 실내 열교환기(21)에 유입한다. 실내 열교환기(21)에서는 열교환에 의해 저압 액 냉매가 기화해 저압 가스 냉매가 형성되며, 이 때 주위 공기로부터 기화열을 빼앗음으로써 실내가 냉방 된다. 저압 가스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21)에서 집합 가스관(5)을 통과해 각 실외기(2~4)에 분기하면서 회수된다. 각 실외기(2) 내에서는 사방변(16)을 통해 흡입 배관(23)으로 안내되고 흡입 분기관(23A, 23B)을 통해 각 압축기(10, 11, 30, 31, 40, 41)로 흡입된다. 그리고, 다시 가압되어 토출 배관(14)에 토출된다.
냉동기(1)에서 난방 운전할 때에는 각 실외기(2~4)의 사방변(16)을 전환해 제 1포트(16A)와 제 4포트(16D)를 접속하고, 제 2포트(16B)와 제 3포트(16C)를 접속한다. 각 압축기(10, 11, 30, 31, 40, 41)에서 제 1, 제 2배관(14A, 14B)으로 토출되는 고압 가스 냉매는 사방변(16)에서 집합 가스관(5)에 합류하고, 운전 중인 실내기(7)의 실내 열교환기(21)로 안내된다. 실내 열교환기(21)에서는 가스 냉매가 액화해 액 냉매가 형성되며, 이 때 방출되는 응축열로 실내가 난방된다. 액 냉매는 실내측 감압 장치(20)에서 감압되어 중간압 액 냉매로서 집합 액관(6)으로 흐르고, 각 실외기(2~4)로 분기되어 회수되며, 실외측 감압 장치(18) 및 실외 열교환기(17)를 통과해 저압 가스 냉매가 된다. 가스 냉매는 사방변(16)에서 흡입 배관(23)을 통과해 흡입 분기관(23A, 23B)에서 압축기(10, 11, 30, 31, 40, 41)로 흡입된다.
그리고, 다시 가압되어 토출 배관(14)에 토출된다.
이와 같이 냉매를 순환시키면서 냉동기(1)가 운전하는 사이 각 압축기(10, 11, 30, 31, 40, 41)의 가동 상태를 유지한 채로 압축기 균유장치(52~54)에 의해 각 압축기(10, 11, 30, 31, 40, 41)의 냉동기유의 균등화가 실현된다.
예를 들어 제 1압축기(10)의 고압 용기(27) 내의 냉동기유가 많고, 그 유면이 접속관(62)의 접속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이하, 이와 같은 상태를 "냉동기유가 잉여"라고 칭함)에는 냉동기유만이 접속관(62)에서 기액 분리 수단(63)의 유입단(63A)으로 유입한다. 이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압축기(10)의 고압 용기(27)에서 유출한 냉동기유로 기액분리수단(63)이 가득차고, 제 1유출단(63B) 및 제 2유출단(63C)에서 각각 오일 귀환관(64) 및 균유관(66)으로 냉동기유가 유출된다. 오일 귀환관(64)에 유출한 냉동기유는 원래 압축기인 제 1압축기(10)로만 되돌아간다. 균유관(66)은 토출 배관(14)의 제 1배관(14)에 접속되어 있고, 제 1배관(14A)에는 고압의 가스 냉매가 고속으로 흐르고 있으므로, 균유관(66) 내의 냉동기유가 제 1배관(14A)에 흡입된다. 제 1배관(14A)에 흡입된 냉동기유는 미스트상이 되어 가스 냉매와 함께 사방변(16)에서 집합 가스관(5)이나, 집합 액관(6), 실내기(7), 실외 열교환기(17)를 순환해 각 실외기(2~4)로 분배된다. 이 때, 냉매에 혼입된 냉동기유도 각 실외기(2~4)에 거의 균등하게 분배된다. 이 냉동기유는 가스 냉매와 함께 흡입 배관(23)에서 각 흡입 분기관(23A, 23B)을 지나 각 압축기(10, 11, 30, 31, 40, 41)에 흡입된다. 그 결과 냉동기유가 잉여하는 압축기(이 경우에는 제 1압축기(10))의 냉동기유는 서서히 감소하고, 다른 압축기의 냉동기유는 서서히 증가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 1압축기(10)의 고압 용기(27) 내의 냉동기유가 적어, 그 유면이 접속관(62)의 접속 위치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이하, 이 상태를 "냉동기유가 소정량 이하"라고 함)에는, 가스 냉매와 가스 냉매 중에 혼입한 냉동기유의 오일 미스트가 접속관(62)을 통해 기액분리수단(63)으로 유입된다. 기액분리수단(63)은 오일 미스트와 가스 냉매를 분리한다. 오일 미스트는 제 1유출단(63B)에서 오일 귀환관(64)에 유출하고, 오일 귀환관(64)를 통과해 흡입 분기관(23A)에서 원래 압축기인 제 1압축기(10)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제 1압축기(10) 중에서 가스 냉매에 혼입해 있던 냉동기유가 제 1압축기(10) 자신에게로 회수된다. 이에 의해, 제 1압축기(10)에서 냉동기유의 유출은 저지되고, 고압 용기(27) 내의 유면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기액분리수단(63)에서 분리된 냉매는 제 2유출단(63C)에서 균유관(66)을 통과해 제 1배관(14A)에 흡입되고, 제 1압축기(10)에서 토출된 고압의 가스 냉매와 함께 냉동기(1)를 순환한다.
다른 압축기(11, 30, 31, 40, 4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냉동기유가 소정량 보다 많은 즉, 냉동기유가 잉여인 경우에는 기액분리수단(63)에 유출된 냉동기유가 균유관(66)을 통과해 토출 배관(14)(제1 배관(14A) 또는 제2 배관(14B))에 흡수되며 실내기(7)를 통과해 각 압축기(10, 11, 30, 31, 40, 41)에 분배된다. 한편, 냉동기유가 소정량 이하인 경우에는 오일 귀환관(64)을 통과해 원래 압축기로만 환류된다. 따라서, 냉동기(1)를 운전하는 과정에서 각 압축기(11, 30, 31, 40, 41)의 냉동기유가 균등화된다. 또한, 토출 배관(14)에는 유분리기(15)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일부의 냉동기유는 유분리기(15)에 의해 압축기(11, 20, 21, 30, 31)로 환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실외기(2~3)를 가지는 구성에 있어서, 압축기 균유 장치(52~54)를 가지고, 토출 배관(14)에서 집합 가스관(5), 집합 액관(6), 실내기(7)을 통과해 잉여 냉동기유를 다른 압축기(10, 11, 30, 31, 40, 41)로 이동 시키도록 했으므로, 특수한 운전 제어를 하는 게 아니라 각 압축기(10, 11, 30, 31, 40, 41)의 냉동기유를 균등화할 수 있다. 압축기(10, 11, 30, 31, 40, 41)에 특수한 구성이 불필요하므로, 범용성 높게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압축기 균유장치(52~54)를 위해 실외기(2~4) 간에 걸치는 배관을 새롭게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냉동기(1)를 설치할 때 시공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 수의 변화나, 레이아웃의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널릴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균유관(66)은 토출 배관(14)이 합류하는 부분에 접속해도 된다.
실외기(2~4)마다의 압축기(10, 11, 30, 31, 40, 41)는 각 2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1개라도 좋고, 3개 이상이라도 좋다. 실외기(2~4)는 1개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같은 실외기에 탑재된 복수 압축기의 냉동기유가 실내기(7)을 통과해 균등화된다.
기액분리수단(63)의 용량은 그 냉동기에 따라 최적의 용적을 선택하는 게 가능하고, 압축기의 운전에 필요한 최저 유량 이하라면 상기 기액분리수단 용적 범위(R1) 이외라도 좋다.
제 1, 제 2감압 수단은 캐필러리 튜브(65, 67) 대신에 팽창변이나 개폐변, 기타 감압 수단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기유가 적은 압축기에서는 냉동기유가 유출되지 않고, 냉동기유가 많은 압축기에서는 다른 실외기를 포함한 다른 압축기로 냉동기유가 유출되어 분배되므로, 복수의 실외기를 가지는 냉동기에 있어 압축기의 냉동기 유량을 소정량으로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종래와 같은 특별한 운전 제어를 하지 않아도 복수 압축기의 냉동기 유량을 소정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항상 안정된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압축기를 특수한 형상으로 하지 않고도 균유화를 이룰 수 있다. 가스관 및 액관을 실외기에 접속하는 것 만으로 냉동기유를 균등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실외기를 염가로 할 수 있으며, 설치 작업도 용이해진다. 레이아웃 변경이나 실외기 수의 변경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Claims (3)

  1. 복수의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를 가스관 및 액관으로 접속하고, 실외기에 탑재된 압축기에 흡입 배관을 통해 냉매를 흡입시켜 가압한 후 토출 배관에 토출함으로써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동기에 이용되어 상기 압축기 간에 냉동기유를 균등하게 유지하는 압축기 균유장치로서,
    상기 압축기의 고압 용기에 접속되는 기액분리수단을 가지고, 상기 기액분리수단에는 주로 냉동기유를 유출하는 제 1유출단과, 주로 기체를 유출해 상기 기액분리수단이 냉동기유로 가득찬 경우에는 냉동기유를 유출하는 제 2유출단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1유출단은 제 1감압 수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흡입 배관에 있어서 그 압축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제 2유출단은 균유관을 사이에 두고 그 압축기의 상기 토출 배관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균유장치.
  2. 제 1항에 기재된 압축기 균유장치가 접속된 상기 압축기를 1대의 상기 실외기에 복수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
  3. 제 1항에 기재된 압축기 균유장치가 접속된 상기 압축기를 탑재한 상기 실외기를 복수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
KR1020060027436A 2005-11-15 2006-03-27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 KR101085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29876 2005-11-15
JP2005329876A JP4113221B2 (ja) 2005-11-15 2005-11-15 圧縮機均油装置及び冷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635A true KR20070051635A (ko) 2007-05-18
KR101085900B1 KR101085900B1 (ko) 2011-11-23

Family

ID=38202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436A KR101085900B1 (ko) 2005-11-15 2006-03-27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113221B2 (ko)
KR (1) KR1010859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4722A (zh) * 2014-12-08 2015-04-22 刘雄 空调制冷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0681B2 (ja) * 2014-02-06 2018-06-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凍回路
JP2016166719A (ja) * 2015-03-10 2016-09-1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9890B2 (ja) * 2000-01-21 2010-06-23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マルチ形空気調和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4722A (zh) * 2014-12-08 2015-04-22 刘雄 空调制冷设备
CN104534722B (zh) * 2014-12-08 2017-10-20 刘雄 空调制冷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13221B2 (ja) 2008-07-09
JP2007139216A (ja) 2007-06-07
KR101085900B1 (ko)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80680B (zh) 一种回油控制装置、空调系统及其回油控制方法
AU749518B2 (en) Refrigerating device
EP2863161B1 (en)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 method
JP5655014B2 (ja) 空気調和機
CN110831796B (zh) 包括具有热交换器的制冷剂回路的用于车辆的制冷设备以及用于这种制冷设备的热交换器
CN108644983A (zh) 多联机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US11112157B2 (en) Suction conduit flow control for lubricant management
CN106574812A (zh) 室外机以及制冷循环装置
CN104854410B (zh) 低压冷却器
KR101176454B1 (ko)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
KR101085900B1 (ko)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
KR101085493B1 (ko)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
CN112648754A (zh) 一种空调循环系统及其循环方法
KR101270536B1 (ko)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
WO2020255187A1 (ja) 空気調和機
KR20060067793A (ko) 공기조화기
CN112762641B (zh) 回热器及具有其的制冷系统
US111254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lubricant separation and return control
EP2126476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509575B1 (ko) 오일분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JP2004301461A (ja) 空気調和装置
JP2006038290A (ja) 空気調和装置
KR100819583B1 (ko) 공기조화기용 어큐뮬레이터의 구조
CN219037157U (zh) 冷媒循环系统、制冷设备
CN203586613U (zh) 多联机系统的室外机模块及具有其的多联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