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899A -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899A
KR20070050899A KR1020070041015A KR20070041015A KR20070050899A KR 20070050899 A KR20070050899 A KR 20070050899A KR 1020070041015 A KR1020070041015 A KR 1020070041015A KR 20070041015 A KR20070041015 A KR 20070041015A KR 20070050899 A KR20070050899 A KR 20070050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gital
electronic note
video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5705B1 (ko
Inventor
이승걸
박재현
양대헌
강전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시스템
Priority to KR1020070041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705B1/ko
Publication of KR20070050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899A/ko
Priority to PCT/KR2008/001745 priority patent/WO200813341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06F3/0321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by optically sensing the absolute position with respect to a regularly patterned surface forming a passive digitiser, e.g. pen optically detecting position indicative tags printed on a paper she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1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by use of digital 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단위 셀 패턴을 갖는 디지털 페이퍼; 상기 디지털 페이퍼 상에서 상기 단위 셀 패턴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읽어 들이는 디지털 펜;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입력받아 영상/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음성 입력 장치; 및 탑재된 전자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부호를 입력받은 후 해당 데이터로 좌표값을 추출하고, 상기 좌표값을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와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결합하여 전자노트 컨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와 영상/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순서를 기준으로 시간 축 상에서 동기화시켜서 하나의 컨텐츠를 생성함으로써, 여행, 사고현장, 위문편지, 연애편지, 일기, 강의 및 회의 등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펜, 디지털 페이퍼, 전자노트, 프로그램

Description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Note Service by Using Digital Paper and Pen,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하여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하여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하여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노트 컨텐츠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의 구현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상에 단위 셀 패턴을 갖는 디지털 페이퍼의 일예 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셀 패턴의 X 좌표 부여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셀 패턴의 Y 좌표 부여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도 10과 도 14가 결합되어 생성된 표면상에 단위 셀 패턴을 갖는 디지털 페이퍼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방향성을 갖지 않는 방향키 구성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코디네이터 윈도우 상에 나타날 수 있는 방향키 셀 분포의 경우의 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셀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부호화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9의 각 선분들이 의미하는 값에 대응하는 X 좌표값 및 Y 좌표값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셀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셀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부호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셀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부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디지털 페이퍼 120: 디지털 펜
130: 사용자 단말기 140: 영상/음성 입력장치
150: 전자노트 프로그램
본 발명은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 셀 패턴을 갖는 다수개의 페이지로 구성된 디지털 페이퍼와 각각의 페이지 상에서 단위 셀 패턴을 인식하는 디지털 펜을 이용하여, 단위 셀 패턴 내의 부호를 수신하여 해당 데이터로 좌표값을 추출하고, 좌표값을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별도의 입력장치로부터 영상/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와 영상/음성 데이터를 결합한 전자노트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 노트 컨텐츠를 재성/편집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터넷, 디지털카메라 및 휴대전화 등 정보통신 분야가 발달함에 따라 전문가 집단이 아닌 일반인들도 기존의 미디어보다 빠르고 의미 있는 정보들을 생산해 내면서 전세계적으로 UCC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서, UCC(User Created Content, 이하 'UCC'로 칭함)란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컨텐츠로서, 사용자 가 상업적인 의도없이 제작한 컨텐츠를 온라인 상으로 나타낸 것으로,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UGC(User Generated Content)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서, 2006년 12월 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이 '2006 올해의 인물'로 '유(You)'를 선정하고 '블로그나 미디어 영역에서 영향력을 키워가는 평범한 당신이 바로 올해의 주인공'이라고 발표, 새로운 문화 트랜드로서 UCC가 전세계에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UCC는 종래에는 단순히 보고 즐기는 글과 사진 위주의 엔터테인먼트 컨텐츠(Entertainment UCC) 형태였다가 동영상 위주의 정보제공 컨텐츠(Information UCC) 위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UCC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동영상 포털 사이트로는 미국의 유튜브(YouTube)와 한국의 판도라 TV, 곰 TV, 아프리카, 아우라, 엠군, 엠엔케스트 및 프리챌큐 등이 있으며, 일예로 미국의 유튜브는 방송사가 제작하는 컨텐츠의 양을 앞지르고 있으며, 한국의 판도라 TV는 월 방문자 160여만 명 등을 기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사용자들은 점차 많은 컨텐츠들을 제작하고 있고 있으나, 종래의 대부분의 컨텐츠들은 사용자가 특정 툴을 이용하여 영상을 편집하고, 자막을 삽입하는 것만으로는 사용자의 개성을 살린 컨텐츠를 제작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쓴 글씨나 그림을 영상 또는 음성과 결합하여 하나의 컨텐츠로 제작하면 사용자의 개성을 살린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아직까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종래의 기술중 디지타이저(Digitizer) 기술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쓴 글씨나 그림을 모니터상에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타이저란 사전에 정해진 화면의 범위 내에서 좌표를 검출하여 그림, 글자 및 도형 정보 등을 디지털 데이터로 입력하는 장치를 말한다.
즉, 디지타이저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를 의미하는데 입력 원본의 좌표를 판독하여 컴퓨터에 설계도면이나 도형 등을 입력하는 데 사용되는 입력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서, X, Y 좌표의 위치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접촉 면에 대한 위치 좌표값 추출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사각형의 넓은 평면 모양의 전자 장치와 그 위에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펜 또는 버튼이 달린 커서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펜이나 커서를 움직이면 그 좌표 정보를 밑판이 읽어 자동으로 컴퓨터 시스템의 화면 기억장소로 전달하고, 특정 위치에서 펜을 누르거나 커서의 버튼을 누르면 그에 해당되는 명령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디지타이저는 사진의 영상이나 활자의 선 등을 전자 비트로 분해하여 컴퓨터에 기억/저장시키고 필요할 때 재생하여 본래의 영상을 재현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컴퓨터에 도형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그래픽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도형을 수정하는 경우 등에도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지타이저는 단순히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보정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영상과 결합된 하나의 컨텐츠를 제작하지 못하는 문제 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위 셀 패턴을 갖는 다수개의 페이지로 구성된 디지털 페이퍼와 각각의 페이지 상에서 단위 셀 패턴을 인식하는 디지털 펜을 이용하여, 단위 셀 패턴 내의 부호를 수신하여 해당 데이터로 좌표값을 추출하고, 좌표값을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별도의 입력장치로부터 영상/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와 영상/음성 데이터를 결합한 전자노트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 노트 컨텐츠를 재성/편집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단위 셀 패턴을 갖는 디지털 페이퍼; 상기 디지털 페이퍼 상에서 상기 단위 셀 패턴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읽어 들이는 디지털 펜;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입력받아 영상/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음성 입력 장치; 및 탑재된 전자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부호를 입력받은 후 해당 데이터로 좌표값을 추출하고, 상기 좌표값을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와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결합하여 전자노트 컨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가 디지털 페이퍼 및 디지털 펜을 이용하여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탑재된 전자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펜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페이퍼 상에 인쇄된 단위 셀 패턴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수신하는 단계; (b) 하나 이상의 상기 부호를 입력받은 후 해당 데이터로 좌표값을 추출하고, 상기 좌표값을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c) 영상/음성 입력장치로부터 영상/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와 상기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를 결합하여 전자노트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전자노트 프로그램에 있어서, 디지털 펜 및 영상/음성 입력장치와 연동하는 통신 모듈; 상기 전자노트 프로그램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모듈; 및 상기 전자노트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디지털 펜으로부터 디지털 페이퍼에 인쇄된 단위 셀 패턴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하나 이상 입력받고 해당 데이터로 좌표값을 추출하고, 상기 좌표값을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영상/음성 입력장치로부터 영상/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와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결 합하여 전자노트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하여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디지털 페이퍼(110), 디지털 펜(120), 사용자 단말기(130), 영상/음성 입력장치(140) 및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페이퍼(110)는 페이지에 단위 셀 패턴(710)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가 인쇄된 페이퍼이다. 여기서, 디지털 페이퍼(100)에 인쇄된 단위 셀 패턴(710)에 대해서는 아래 도 7 내지 도 23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디지털 페이퍼(110)는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페이지에는 단위 셀 패턴(710)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 는 데이터의 부호가 인쇄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실제 발명의 구현에 있어서 디지털 페이퍼(110)는 공책, 다이어리, 가계부 및 일기장 등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되어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120)은 디지털 페이퍼(120)에 인쇄된 단위 셀 패턴(710)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장치로서, 단위 셀 패턴(710)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인식하여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13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각종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통신 수단(132), 중앙처리장치(134), 표시수단(136) 및 저장수단(138)을 포함하는 단말기이다.
사용자 단말기(130)의 통신 수단(132)은 디지털 펜(120)과 영상/음성 입력장치(140)와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중앙처리장치(134)는 사용자 단말기(130)의 전반적인 기능을 동작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을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수단(136)은 중앙처리장치(134)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문자, 숫자 및 이미지 등의 형태로 출력하는 화면 표시 수단이다. 또한, 표시수단(136)은 중앙처리장치(134)의 제어에 따라 저장수단(138)에 저장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각종 메시지들을 표시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의 수행 중에 발생하는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저장수단(138)은 사용자 단말기(130)를 구동하기 위한 운영 프로그램 및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영상/음성 입력장치(140)는 사용자 단말기(130)의 내부 또는 위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는 PC 캠과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착되는 카메라 등이 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는 PC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되는 마이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은 중앙처리장치(134)의 제어에 따라 레코딩이 요청된 경우 디지털 펜(120)으로부터 단위 셀 패턴(710)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수신한 후 단위 셀 패턴(710) 내의 제 1 셀(701)들에 표시된 부호들을 해당 데이터로 복호화하고 조합하여 좌표값을 추출하고, 좌표값을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영상/음성에 대한 추가 레코딩 요청이 있는 경우 영상/음성 입력장치(140)로부터 영상/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며, 레코딩 종료 요청이 있는 경우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와 영상/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순서를 기준으로 시간 축 상에서 동기화시켜서 전자노트 컨텐츠를 생성한다.
즉,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은 디지털 펜(120)으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부호들을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좌표값을 추출하고, 추출한 좌표값을 디지털 형식의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를 변환하는 것이며,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은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를 판독하여 특정 글자, 이미지 및 도형 등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은 전자노트 컨텐츠 편집 모듈(152)을 포함한다. 전자노트 컨텐츠 편집 모듈(152)은 전자노트 컨텐츠를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자노트 컨텐츠 편집 모듈(152)은 라인 객체, 영상 객체(개별 화면 프레임), 음성 객체, 이미지 객체 및 텍스트 객체를 저장 시간의 순서로 연속적으로 나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특정 시간대의 포함되는 객체들을 일괄적으로 선택, 복사, 붙여넣기, 삭제, 이어 붙이기, 반복 등의 형태로 편집하거나 각각의 객체를 선택적으로 삭제, 복사 또는 붙여넣기 등의 편집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하여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은 정보 저장 모듈(210), 제어 모듈(220) 및 통신 모듈(230)을 포함한다.
정보 저장 모듈(210)은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 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 모듈(220)은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레코딩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통신 모듈(230)을 이용하여 디지털 펜(120)으로부터 디지털 페이퍼(110)의 특정 지점에 대한 단위 셀 패턴(710)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입력받고, 해당 데이터로 복호화하고 조합하여 좌표값을 추출하고, 추출한 좌표값을 디지털 형식인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로 변환하고,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를 판독한 결과를 출력하며, 영상/음성에 대한 추가 레코딩 요청이 있는 경우 영상/음성 입력장치(140)로부터 영상/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레코딩 종료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와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순서를 기준으로 시간 축 상에서 동기화시켜서 전자노트 컨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 모듈(230)은 디지털 펜(120) 및 영상/음성 입력장치(140)와 연동하는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하여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사용자 단말기(130)의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은 레코딩에 대한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10).
단계 S310의 확인결과, 레코딩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30)의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은 디지털 펜(120)으로부터 디지털 페이퍼(110)에 인쇄된 단위 셀 패턴(710)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 호를 수신한 후 단위 셀 패턴(710) 내의 제 1 셀(701)들에 표시된 부호들을 해당 데이터로 복호화하고 조합하여 좌표값을 추출하고, 좌표값을 디지털 형식인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로 변환하고,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를 판독한 결과를 출력한다(S320).
즉, 사용자가 디지털 페이퍼(110)에 상에 디지털 펜(120)을 이용하여 '가'라는 글자를 쓰게 되면, 디지털 펜(120)은 디지털 페이퍼(110)에 인쇄된 단위 셀 패턴(710)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인식하여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하게 되고, 사용자 단말기(130)의 전자노트 프로그램은 단위 셀 패턴(710) 내의 제 1 셀(701)들에 표시된 부호들을 해당 데이터로 복호화하고 조합하여 좌표값을 추출하고, 좌표값을 디지털 형식인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로 변환하고,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를 판독한 결과를 표시수단(136)에는 '가'라는 글자로 출력하는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130)의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은 영상/음성에 대한 레코딩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30).
단계 S330의 확인결과, 영상/음성에 대한 레코딩 요청이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30)의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은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를 판독한 결과만을 하나의 컨텐츠로 생성한다(S332).
즉,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은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가 입력되는 시간의 순서와 관계없는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이다.
한편, 단계 S330의 확인결과, 영상/음성에 대한 레코딩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30)의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은 영상/음성 입력장치(140)로부터 영상/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S340).
즉, 사용자가 디지털 페이퍼(110)에 디지털 펜(120)을 이용하여 '가'라고 쓴 후 영상/음성에 대한 추가 레코딩을 선택한 후 '가'라고 발음하여 읽으면, 영상/음성 입력장치(140)에 '가'라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30)의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130)의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은 영상/음성 데이터에 대한 종료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50).
단계 S350의 확인 결과, 영상/음성 데이터에 대한 종료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30)의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은 영상/음성 데이터를 수신을 종료한다(S360).
사용자 단말기(130)의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은 추가적인 영상/음성에 대한 레코딩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70).
단계 S370의 확인결과, 추가적인 영상/음성에 대한 레코딩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30)의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은 단계 S340 내지 단계 S360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한편, 단계 S370의 확인결과, 추가적인 영상/음성에 대한 레코딩 요청이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30)의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은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와 영상/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순서를 기준으로 시간 축 상에서 동기화시켜서 전자노트 컨텐츠를 생성한다(S380).
즉, 사용자가 디지털 페이퍼(110)에 디지털 펜(120)을 이용하여 '가'라고 쓴 후 '가'라고 발음하여 읽은 후 종료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30)의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은 '가'라는 영상을 출력하여 '가' 발음의 음성 데이터를 전자노트 컨텐츠로 생성하는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의 인터페이스는 전자노트 툴바(410), 트랙바(420), 표시 영상(430),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의 출력물(440), 음성 아이콘(450) 및 멀티 페이지 구별 화면(4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자노트 툴바(41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코딩을 시작, 일시정지 및 정지하는 버튼, 영상 및 음성 녹음의 온/오프 버튼, 음성 녹음의 온/오프 버튼, 전자노트 컨텐츠의 재생의 시작, 일시정지 및 정지하는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트랙바(42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 및 재생시 진행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영상(430)은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에서 영상/음성 입력장치(140)로부터 영상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노트 프로그램(150) 상에 출력한다. 도 4a에 도시된 표시 영상(430)은 영상/음성 입력장치(14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를 가정한 화면이며, 표시 영상(430)은 일반적인 윈도우와 같이 영역을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영상/음성 입력장치(14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도 4a와 같이 별도의 표시 영상(430)은 표시되지 않는다.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의 출력물(440)은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에서 디지털 펜(120)으로부터 디지털 페이퍼(110)에 인쇄된 단위 셀 패턴(710)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수신한 후 단위 셀 패턴(710) 내의 제 1 셀(701)들에 표시된 부호들을 해당 데이터로 복호화하고 조합하여 좌표값을 추출하고, 좌표값을 디지털 형식인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로 변환하고,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를 판독한 결과의 일예를 표시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디지털 페이퍼(110)에 상에 디지털 펜(120)을 이용하여 '안녕하세요'라는 글자를 쓰게 되면, 디지털 펜(120)은 디지털 페이퍼(110)에 인쇄된 단위 셀 패턴(710)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인식하여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하게 되고, 사용자 단말기(130)의 전자노트 프로그램은 단위 셀 패턴(710) 내의 제 1 셀(701)들에 표시된 부호들을 해당 데이터로 복호화하고 조합하여 좌표값을 추출하고, 좌표값을 디지털 형식인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로 변환하고,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를 판독한 결과를 표시수단(136)에 '안녕하세요'로 도 4a와 같이 출력하는 것이다.
음성 아이콘(450)은 음성 데이터가 삽입되는 것을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멀티 페이지 구별 화면(460)은 디지털 페이퍼(110)가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 각각의 페이지를 구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디지털 페이퍼(110)의 제1페이지에 디지털 펜(120)을 이용하여 '안녕하세요'라는 글자를 쓰게 되면, 디지털 펜(120)은 디지털 페이퍼(110)의 제1페이지에 인쇄된 단위 셀 패턴(710)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인식하여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하게 되고, 사용자 단말기(130)의 전자노트 프로그램은 단위 셀 패턴(710) 내의 제 1 셀(701)들에 표시된 부호들을 해당 데이터로 복호화하고 조합하여 좌표값을 추출하고, 좌표값을 디지털 형식인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로 변환하고,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를 판독한 결과를 표시수단(136)에 '안녕하세요'로 도 4a와 같이 출력되는 것이며, 사용자가 디지털 페이퍼(110)의 제2페이지 또는 제3페이지에 글자 또는 이미지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출력되는 것이며, 사용자는 멀티 페이지 구별 화면(460)에서 각 페이지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의도에 따라 디지털 페이퍼(110) 중 특정 페이지를 선택하여 글자 또는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으며, 각 페이지별로 입력된 글자 또는 이미지는 멀티 페이지 구별 화면(460)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노트 컨텐츠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전자노트 컨텐츠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 영역(510), 페이지별 객체 영역(520), 영상 영역(530) 및 음성 영역(540)으로 구분될 수 있다.
헤더 영역(510)은 기본이 되는 파일의 버전 및 크기 정보를 포함하며, 헤더 영역(51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아래 표 1과 같다.
Figure 112007031785791-PAT00001
페이지별 객체 영역(520)은 페이지별로 라인, 텍스트, 이미지, 영상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정보는 영상 뷰어의 시작 위치 정보 및 영상 파일명을 의미하며, 페이지별 객체 영역(52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아래 표 2와 같다.
Figure 112007031785791-PAT00002
또한, 표 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 표 3과 같다.
Figure 112007031785791-PAT00003
즉, 표 2 및 표 3의 페이지별 객체 영역은 디지털 펜(120)으로부터 단위 셀 패턴(710)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수신한 후 단위 셀 패턴(710) 내의 제 1 셀(701)들에 표시된 부호들을 해당 데이터로 복호화하고 조합하여 추출한 좌표값, 색상 및 두께 등으로 구성되는 라인 객체,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 객체,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 객체, 영상/음성 입력장치(14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객체 및 음성 객체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페이지별 객체 영역은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와 영상/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순서를 기준으로 시간 축 상에서 동기화된 전자노트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재생하기 위하여 각 객체별로 처음 녹화 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페이지별 객체 영역의 페이지별 바탕 이미지(스킨)는 사용자가 이미지 파일로 지정할 수 있으며, 페이지별 바탕 이미지를 각종 업무 양식, 강의 교재, 사진 파일, 각종 출판물의 페이지별 이미지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 페이퍼(110)를 사용하여 실제 양식, 교재, 사진, 출판물 등을 제작할 경우, 실제 양식, 교재, 사진, 출판물 등에 전자 펜(120)으로 작성한 내용(글씨 및 이미지)이 전자노트 컨텐츠에서도 동일한 위치에 출력되거나 재생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페이지별 객체 영역에 포함되는 라인 객체는 라인에 대한 시작시간과 종료시간뿐만 아니라, 해당 라인에 포함되는 각각의 입력 좌표값에 대해여 직전 좌표값과의 시간 차이값을 저장하여 전자노트 컨테츠를 보다 자연스럽게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영상 영역(530)은 영상 데이터의 크기, 파일 버전 등의 파일 정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영상의 실제 데이터를 추가로 포하며, 영상 영역(53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아래 표 4와 같다.
Figure 112007031785791-PAT00004
음성 영역(540)은 영상 데이터의 크기, 파일 버전 등의 파일 정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음성의 실제 데이터를 추가로 포함하며, 음성 영역(54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아래 표 5와 같다.
Figure 112007031785791-PAT00005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의 구현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의 구현 방법은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에서 전자펜(120)으로부터 디지털 페이퍼(110)에 인쇄된 부호를 수신한 후 복호화하고 조합하여 좌표값을 추출하고, 추출한 좌표값들의 상호 간의 거리가 너무 멀다고 판단된 경우,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의 출력물(440)을 보다 부드럽게 재생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에서 임의의 좌표(P0, P1)르 추출한 후 P0와 P1 사이의 거리가 5 픽셀 이상으로 판단한 경우,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의 출력물(440)을 보다 부드럽게 재생하기 위해 P0와 P1 중간에 P`0를 생성하는 것이며, 다시 P0와 P`0의 상호 간의 거리가 5 픽셀 이상인 경우 P0와 P`0 중간에 P`1을 생성하는 것이며, P`0와 P1의 상호 간의 거리가 5 픽셀 이상인 경우 P`0와 P1 중간에 P`1를 생성하는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은 전자펜(120)으로부터 디지털 페이퍼(110)에 인쇄된 부호를 수신한 후 복호화하고 조합하여 추출한 좌표값들이 상호 간에 5 픽셀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중간에 임의 좌표를 생성하여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의 출력물(440)을 재생하기 때문에 전자노트 프로그램(150)에서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의 출력물(440)의 재생이 부자연스럽게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0 ~ P`1을 A구간으로 정의하고, P1 ~ P`0을 B구간으로 정의하고, P`0 ~ P`2을 C구간으로 정의하고, P`2 ~ P1을 D구간으로 정의한 하면, A, B, C 및 D 구간의 시간의 정보를 아래 표 6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7031785791-PAT00006
여기서, 도 6은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의 구현 방법의 일예를 기술 사상을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제 구현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의 출력물(440)의 재생 방법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상에 단위 셀 패턴을 갖는 디지털 페이퍼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셀 패턴(710)은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가 표시된 제 1 셀(701)을 포함하며, 제 1 셀(701)과 구분되는 방식의 부호가 표시되거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제 2 셀(702)을 포함하며, 제 1 셀(701) 및 제 2 셀(702)이 일정 수 이상 모여 구성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셀(701)에는 X 좌표와 Y 좌표에 대한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정보가 (0,0), (0,1), (1,0) 또는 (1,1) 등과 같이 함께 표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각각의 제 1 셀(701)에 표시된 2진 데이터의 부호를 기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호의 가지 수에 따라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 즉, 3진수, 4진수 데이터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단위 셀 패턴(710)은 NxM(4x4) 크기의 제 1 셀(701)과 제 2 셀(702)의 모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감지수단으로서의 디지털 펜(120)이 한 번에 읽어 들여 독립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윈도우(Window)라 칭하기도 한다. 4x4 단위 셀 패턴(710)을 이루는 제 1 셀(701)의 수는 13개이고 제 2 셀(702)의 수는 3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단위 셀 패턴(710)은 상기 N과 M의 수가 같은 수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N과 M의 구성 수가 다를 수도 있을 것이다.
13개의 제 1 셀(701)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조합이 해당 단위 셀 패턴(710)의 X 좌표값 및 Y 좌표값(또는, 윈도우 값이라 칭함)을 나타낸다. 3개의 제 2 셀(702)은 단위 셀 패턴(710) 내의 특정 위치 즉, 우측 하단 모서리에 위치하여 그 제 2 셀(702)들 간을 연결하는 선분이 특정 형태 즉, ‘」’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단위 셀 패턴(710) 내에 특정 위치 및 특정 형태로 구비된 3개의 제 2 셀(702)의 모임을 방향키(Direction Flag)(703)라 칭하도록 한다. 방향키(703)의 특정 위치는 상기 단위 셀 패턴(710)이 이웃하는 다른 단위 셀 패턴들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하고, 특정 형태는 디지털 페이퍼(110)(즉, 종이 등)의 방향을 구별하여 디지털 페이퍼(110)의 회전의 정도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방향키(703)는 ‘」’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페이퍼(110)의 회전 상태를 알 수 있는 ‘┐’ 또는 ‘⊥’의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셀 패턴의 X 좌표값 및 Y 좌표값을 부여 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위 셀 패턴에서 X 좌표 부여 방법>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셀 패턴(710)들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각의 제 1 셀(701)에는 X 좌표값과 Y 좌표값에 대한 데이터가 동시에 들어있지만, 그 중에서 X 좌표값에 대한 데이터 부분만을 분리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셀 패턴(710)들의 X 좌표값에 대한 데이터는 X 방향(오른쪽)으로 갈수록 0000000000000 → 0000000000001 → 0000000000010 → 0000000000011과 같이 1씩 순차적으로 증가한다. X 좌표값에 대한 데이터는 단위 셀 패턴(710) 내의 13개의 제 1 셀(701)들에 대응하는 데이터들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3번 순으로 읽어 낮은 자리부터 높은 자리로 가도록 조합한 것이다. 이와 같이 단위 셀 패턴(710)들의 X 좌표에 대한 데이터가 X 방향(오른쪽)으로 갈수록 1씩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하면, 그 규칙성에 의하여 코디네이트 윈도우(Coordinate Window)가 실제 X 좌표값과 Y 좌표값을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실제 X 좌표값 및 Y 좌표값을 복원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코디네이트 윈도우란 실제로 좌표 감지 수단인 디지털 펜(120)이 읽어 들이는 N×M 크기의 셀의 모임을 지칭하는 것이다. 단, 실제로 적용시 좌표 감지 수단인 디지털 펜(120)이 관찰하는 영상은 코디네이트 윈도우보다 더 클 수도 있음을 유념토록 한다.
다음으로, 도 8과 같이 배열된 동일 행의 단위 셀 패턴들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Y 방향(위, 아래 방향)으로 반복 배열되어 복수의 행을 이루도록 한다.
도 11는 도 8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값(X 좌표값 및 Y 좌표값)이 반드시 0부터 시작할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값으로 시작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이를 읽고자 하는 디지털 펜(120)은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고 시작점으로부터 상대적인 X 좌표값 및 Y 좌표값을 알고자 할 때는 임의의 값을 현재 읽은 X 좌표값 및 Y 좌표값에서 차분하여 계산한다. 만약 모든 X 좌표값 및 Y 좌표값이 표시할 수 있는 최고값(Maximum Value)에 다다랐을 때는 다음 X 좌표값 및 Y 좌표값을 0으로 지정할 수 있다.
<단위 셀 패턴에서 Y 좌표 부여 방법>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셀 패턴(710)들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셀에는 X 좌표값과 Y 좌표값에 대한 데이터가 동시에 들어있지만, 그 중에서 Y 좌표값에 대한 데이터 부분만을 분리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셀 패턴(710)들의 Y 좌표값에 대한 데이터는 Y 방향(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0000000000000 → 0000000000001 → 0000000000010 → 0000000000011과 같이 1씩 순차적으로 증가한다. Y 좌표값에 대한 데이터는 단위 셀 패턴(710) 내의 13개의 제 1 셀(701)들에 대응하는 데이터들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3번 순으로 읽어 낮은 자리부터 높은 자리로 가도록 조합한 것이다. 이와 같이 단위 셀 패턴(710)들의 Y 좌표에 대한 데이터가 Y 방향(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1씩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하면, 그 규칙성에 의하여 코디네이트 윈도우(Coordinate Window)가 실제 X 좌표값과 Y 좌표값을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실제 X 좌표값 및 Y 좌표값을 복원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도 9는 각 셀에 X 좌표값을 부여하여 읽는 순서이고 도 13은 각각의 제 1 셀(701)에 Y 좌표를 부여하여 읽는 순서를 나타내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9 또는 도 10의 순서 중 어느 하나를 X 좌표값과 Y 좌표값에 공통 적용하거나, 도 9를 Y 좌표값에 도 13을 X 좌표값에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동일한 단위 셀 패턴(710) 내의 각각의 제 1 셀(701)들의 위치가 중심에서 나선형으로 돌아 나가면서 데이터의 자리수가 증가하도록 정할 수 있다.
다음, 도 12와 같이 배열된 동일 열의 단위 셀 패턴(710)들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방향(가로 방향)으로 반복 배열되어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한다.
도 15는 도 12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좌표값 및 Y 좌표값이 반드시 0부터 시작할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값으로 시작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이를 읽고자 하는 디지털 펜(120)은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고 시작점으로부터 상대적인 X 좌표값 및 Y 좌표값을 알고자 할 때는 임의의 X 좌표값 및 Y 좌표값을 현재 읽은 X 좌표값 및 Y 좌표값에서 차분하여 계산한다. 만약 모든 X 좌표값 및 Y 좌표값이 표시할 수 있는 최고값(Maximum Value)에 다다랐을 때는 다음 X 좌표값 및 Y 좌표값을 0으로 지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위 셀 패턴(710)을 이루는 각각의 제 1 셀(701)에 도 10과 같이 X 좌표값을 부여하고 도 14와 같이 Y의 좌표값을 부여한 후, 동일 위치의 셀이 서로 대응하도록 도 10의 X 좌표값과 도 14의 Y 좌표값을 서로 결합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셀 패턴(710)들이 구성된다.
도 7의 단위 셀 패턴과 도 16의 단위 셀 패턴을 비교하면, 서로 대응하는 셀에 부여된 데이터 값이 약간 다른 것을 알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차이는 도 9과 도 13 등을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위 셀 패턴(710) 내의 제 2 셀(702)들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부여/조합의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7의 단위 셀 패턴(710)은 도 13의 데이터 부여/조합 순서를 X 좌표값과 Y 좌표값에 공통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6의 단위 셀 패턴은 도 9의 이진 데이터 부여/조합 순서를 X 좌표값에 적용하고 도 13의 데이터 부여/조합 순서를 Y 좌표값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도 7의 방향키(703)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방향키(703)를 구성하는 제 2 셀(702)의 배치는 방향키 자체가 방향성(Directive Feature)을 갖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방향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3개 이상의 제 2 셀(702)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그 이하의 경우 방향키는 제 2 셀(702)을 어떻게 배치하여도 둘 이상의 방향성을 갖게 된다. 단, 방향키(703)를 회전 감지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단지 에러 보정용으로 사용할 경우는 2개 이상의 셀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방향키(703)를 단순히 인접한 단위 셀 패턴 끼리를 구분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면, 방향키를 하나의 제 2 셀(702)만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방향키(703)를 에러 보정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회전 감지용으로만 사용하는 경우, 제 2 셀(702)들은 아무런 정보도 포함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거나 또는 제 2 셀(702)들이 제 1 셀(701)들과 구분되는 방식의 부호가 표시된 정보를 포함하여 방향키(703)의 구성임을 알 수 있어야 한다.
방향키(703)를 회전 감지용으로만 사용하는 경우 아무런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3개의 제 2 셀(702)만을 사용하면 충분하며, 3개의 셀을 연결하는 선분이 ‘」’의 형태를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방향성을 갖지 못하는 몇몇 배열(또는 중심점을 갖지 않아 쓸모없는 배열)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셀이 직선의 배열을 이루는 것이므로, 이와 같은 배열은 배제토록 한다.
만약 ‘」’ 형태의 방향키를 사용한다고 하였을 때 단위 셀 패턴이 인쇄된 지면이 회전된 각도(90도, 180도, 270도)를 찾아내기 위하여 코디네이트 윈도우 상에서 고려할 수 있는 제 2 셀의 분포 형태는 도 16의 (a), (b) 및 (c)와 같은 세 가지의 경우의 수로 나눌 수 있다. 즉, 코디네이트 윈도우 상에서 모든 셀이 도 16의 (a)와 같이 붙어 있는 경우, 도 16의 (b)와 같이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 도 16의 (c)와 같이 세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가 그것이다.
도 18의 (a), (b) 또는 (c) 중 어느 경우라도, 우선 중심점이 되는 셀(c)을 찾고 그 셀(c)을 중심으로 떨어져 있는 다른 셀들을 중심점 반대편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면 회전된 모양의 방향키가 복원된다.
그런 뒤 복원된 방향키의 모양이 ‘┗’이면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것으로, ‘┏’이면 180도 회전된 것으로, ‘┓’이면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것으로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의 (a)의 방향키는 회전되지 않은 것이고, 도 18의 (b)의 방향키는 복원하면 ‘┗’ 의 형태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 18의 (c)의 방향키를 복원하면 ‘┏’ 의 형태로 180도 뒤집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하여 디지털 페이퍼(종이)의 회전 각도를 알 수 있으므로, 결국 코디네이트 윈도우상의 셀의 행렬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셀 패턴(710)의 에러 보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에러 보정을 위해서는 앞서의 단위 셀 패턴(710)을 구분하기 위한 방향키의 제 2 셀(702)에 2비트의 데이터를 제 1 셀(701)과는 다른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이 2비트의 값이 각각 X 좌표값과 Y 좌표값의 에러 보정 코드(Error Correcting Code)가 된다. X 좌표값을 위한 에러 보정 코드와 Y 좌표값을 위한 에러 보정 코드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므로, X 좌표값에 대해서만 설명키로 하고, Y 좌표값에 대해서는 X 좌표값과 동일한 방식이 적용되므로 그 설명할 생략토록 한다.
하나의 4×4 단위 셀 패턴(710)에는 X 좌표값의 정보 13비트가 포함되어있으나, 2비트 에러 보정을 위해서는 여분의 비트(Redundancy)가 적어도 4bit가 되어야한다. 블록 코드(Block Code)의 최적 알고리즘(Optimal Algorithm)인 RS(Reed-Solomon) 코드는 (
Figure 112007031785791-PAT00007
,
Figure 112007031785791-PAT00008
) 코드 형태를 가지므로, 즉,
Figure 112007031785791-PAT00009
비트의 데이터를
Figure 112007031785791-PAT00010
비트의 코드 워드(Code Word)로 재구성하며 2비트까지의 에러를 정정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112007031785791-PAT00011
는 에러 보정을 위한 코드 수이다.
Figure 112007031785791-PAT00012
일 때, 16개의 셀 중 12개의 셀은 데이터로, 4개의 셀은 에러 보정 코드로 사용한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방향키를 구성하는 제 2 셀의 수를 하나 더 늘려 4개로 구성해야 한다. 이때, 12개의 셀 중 11개의 셀만 에러 보정의 대상이 되고 나머지 한 셀에 대해서는 상위 계층에서 에러 처리를 수행한다.
상위 1비트를 제외한 나머지 비트들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방향키를 구성하는 제 2 셀(702)의 수가 4개가 되도록 재구성한다. 각 제 2 셀(702)에는 2비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도록 제 1 셀(701)과 다른 형태의 표현(Representation)을 사용하여 부호화한다. 제 2 셀(702)의 개수가 4개가 되더라도 패턴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은 앞서와 동일하다. 다만, 단위 셀 패턴(710) 내에서 제 1 셀(701)의 개수가 하나 줄어든다는 점만이 다를 뿐이다. 다음, 에러 정정 부호의 하나인 RS 코딩을 이용해 데이터 셀에 있는 전체 또는 일부 정보에 대한 에러정정 코드를 계산(인코딩)하고 이를 방향키 셀에 부호화하여 표시한다. 읽혀진 단위 셀 패턴(710)이 정확히 단위 셀 패턴(710)을 읽지 않고 빗겨서 읽는 경우, 에러 보정 코드는 제 기능을 다 발휘하지 못한다. 하지만, 원래의 위치 계산 방법대로 위치를 산정한 후 RS 디코딩을 수행해서 에러를 정정할 수 있다. 이는, 원래의 RS 인코딩된 코드 워드가 아닌 추정된 코드 워드에 대한 RS 디코딩이므로 정확히 복구해낼 수 없을 수도 있다.
하위 비트의 오류만 제한적으로 보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단위 셀 패턴(710)을 이루는 데이터의 높은 자리 수는 낮은 자리 수에 비해 그 변화가 많지 않으므로, 많이 변하는 낮은 비트 자리 수에 대해서만 에러 보정을 한다면, 방향키를 구성하는 제 2 셀(702)의 숫자를 줄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단위 셀 패턴(710)을 더 많이 구현할 수 있다. 방향키(703)를 구성하는 제 2 셀(702)의 개수가 줄어들게 되므로, 4개의 제 2 셀(702)을 한꺼번에 보지 못하는 확률에 비해 3개의 제 2 셀(702)을 한꺼번에 볼 수 없는 확률이 더 낮아지므로 에러 보정 기능이 제대로 실현될 기회가 많아진다.
위에서 단위 셀 패턴(710)의 에러 보정 시 RS 코딩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어, 제 1 셀(701) 및 제 2 셀(702)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부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셀(701)에 표시되는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도시한 것으로서, (a)와 같이 셀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X와 Y축 라인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X축 상에 있는 제 1 선분, (b)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가상의 X와 Y축 라인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Y축 상에 있는 제 2 선분, (c)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가상의 X와 Y축 라인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1/3 사분면 사이에 걸쳐져 있는 제 3 선분, 및 (d)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가상의 X와 Y축 라인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2/4 사분면 사이에 걸쳐져 있는 제 4 선분 중 하나로 표시된다.
도 20은 도 19의 각 선분들이 의미하는 값에 대응하는 X 좌표값 및 Y 좌표값을 나타내는 표로서, 도 19(a)의 제 1 선분은 의미값이 0이고 이에 대응하는 X 좌표와 Y 좌표값이 (1,1)이고, 도 19(b)의 제 2 선분은 의미값이 1이고 이에 대응하는 X 좌표값과 Y 좌표값이 (0,1)이고, 도 19(c)의 제 3 선분은 의미값이 2이고 이에 대응하는 X 좌표값과 Y 좌표값이 (1,0)인 것을 나타내고, 도 19(d)의 제 4 선분은 의미값이 3이고 이에 대응하는 X 좌표값과 Y 좌표값이 (0,0)인 것을 나타낸다. 한편, 도 20과 같은 방식은 하나의 예이며 의미값과 X 좌표값과 Y 좌표값을 다르게 매칭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셀에 표시되는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 셀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X와 Y축 라인을 기준으로, (a)와 같이 X축에 평행하되 1/2 사분면에 걸쳐져 있는 제 1 선분, (b)와 같이 X축에 평행하되 3/4사분면에 걸쳐져 있는 제 2 선분, (c)와 같이 Y축에 평행하되 2/3 사분면에 걸쳐져 있는 제 3 선분, 및 (d)와 같이 Y축에 평행하되 1/4 사분면에 걸쳐져 있는 제 4 선분 중의 하나로 표시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21(a)의 제 1 선분은 의미값이 0이므로 이에 대응하는 X 좌표값과 Y 좌표값은 (1,1)이고, 도 21(b)의 제 2 선분은 의미값이 1이므로 이에 대응하는 X 좌표값과 Y 좌표값이 (0,1)이고, 도 19(c)의 제 3 선분은 의미값이 2이므로 이에 대응하는 X 좌표값과 Y 좌표값이 (1,0)인 것을 나타내고, 도 19(d)의 제 4 선분은 의미값이 3이므로 이에 대응하는 X 좌표값과 Y 좌표값이 (0,0)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셀에 표시되는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의 다른 예로 도 19(a)-(d)에 도시된 상기 제 1 셀의 상기 제 1-4 선분들과 동일한 방식의 선분들로 표시하되 그 길이를 다르게 하여 상기 제 1 셀의 선분들과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셀에 표시되는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의 또 다른 예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셀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X와 Y축 라인의 교차점을 시작으로 (a) 1 사분면에 있는 제 1 선분, (b) 2 사분면에 있는 제 2 선분, (c) 3 사분면에 있는 제 3 선분, 및 (d) 4 사분면에 있는 제 4 선분 중의 하나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선분들은 X 좌표값과 Y 좌표값이 (0,0), (0,1), (1,0) 및 (1,1) 중의 하나인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셀에 표시되는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의 또 다른 예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와 같이 각 셀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X와 Y축 라인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양의 X와 Y축 상에 걸쳐져 있는 제 1 선분, (b)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가상의 X와 Y축 라인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음의 X축과 양의 Y축 상에 걸쳐져 있는 제 2 선분, (c)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가상의 X와 Y축 라인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음의 X와 Y축 상에 걸쳐져 있는 제 3 선분, 및 (d)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가상의 X와 Y축 라인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양의 X축과 음의 Y축 상에 걸쳐져 있는 제 4 선분 중 하나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선분들은 X 좌표값과 Y 좌표값이 (0,0), (0,1), (1,0) 및 (1,1) 중의 하나인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또는 제 2 셀에 표시되는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수단으로 여러 가지 방식의 선분들이 상기에서 설명되었는데, 각 선분은 일정 길이의 선으로 표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한 직선을 이루는 복수개의 점들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해당 셀에 있는 점과 인접한 셀에 있는 점들이 선분을 이루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하나의 선분을 나타내는 점들 사이의 최대 간격은 해당 셀에 있는 점과 인접한 셀에 있는 다른 점과의 간격보다는 항상 짧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 셀에 부호화되어 표시된 데이터로서 이진 데이터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호의 가지 수에 따라 2진 데이터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 즉, 3진수, 4진수 데이터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 셀 패턴을 갖는 디지털 페이퍼와 디지털 페이퍼 상에서 단위 셀 패턴을 인식하는 디지털 펜을 이용하여, 단위 셀 패턴 내의 부호를 수신하여 해당 데이터로 좌표값을 추출하고, 좌표값을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별도의 입력장치로부터 영상/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와 영상/음성 데이터를 결합한 하나의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와 영상/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순서를 기준으로 시간 축 상에서 동기화시켜서 하나의 컨텐츠를 생성함으로써, 여행, 사고현장, 위문편지, 연애편지, 일기, 강의 및 회의 등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단위 셀 패턴을 갖는 디지털 페이퍼;
    상기 디지털 페이퍼 상에서 상기 단위 셀 패턴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읽어 들이는 디지털 펜;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입력받아 영상/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음성 입력 장치; 및
    탑재된 전자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부호를 입력받은 후 해당 데이터로 좌표값을 추출하고, 상기 좌표값을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와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결합하여 전자노트 컨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와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순서를 기준으로 시간 축 상에서 동기화시켜서 상기 전자노트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페이퍼는
    다수개의 페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다수개의 페이지에 따른 상기 전자노트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노트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는 전자노트 툴바, 트랙바, 표시 영상 , 상기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의 출력물, 음성 아이콘 및 멀티 페이지 구별 화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노트 툴바는
    레코딩의 시작, 일시정지 및 정지하는 버튼, 영상 및 음성의 녹음의 온/오프 버튼, 음성 녹음의 온/오프 버튼, 전자노트 컨텐츠의 재생시간, 일시정지 및 정지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바는,
    시계열적으로 녹화 진행 상태를 표시하거나 상기 전자노트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진행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은,
    상기 영상/음성 입력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노트 컨텐츠는,
    헤더 영역, 페이지별 객체 영역, 영상 영역 및 음성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영역은,
    상기 전자노트 컨텐츠의 기본적인 파일 버전 및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별 객체 영역은,
    라인 객체, 텍스트 객체, 이미지 객체, 영상 객체 및 음성 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영역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크기 및 파일 버전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영상의 실제 데이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영역은,
    상기 음성 데이터의 크기 및 파일 버전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음성의 실제 데이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노트 프로그램은,
    추출한 하나 이상의 상기 좌표값들의 상호 간의 거리가 5 픽셀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상기 좌표값들의 중간에 임의의 좌표값을 생성하여 상기 전자노트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페이퍼는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가 표시된 제 1 셀;
    상기 제 1 셀과 구분되는 방식의 부호가 표시되거나 상기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제 2 셀; 및
    상기 제 1 셀 및 상기 제 2 셀이 일정 수 이상 모여 이루어진 상기 단위 셀 패턴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위 셀 패턴 내의 상기 제 1 셀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의 조합이 해당 단위 셀 패턴의 X 좌표값 및 Y 좌표값을 나타내고, 상기 단위 셀 패턴은 그 단위 셀 패턴 내의 상기 제 2 셀에 의해 이웃하는 다른 단위 셀 패턴들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5. 사용자 단말기가 디지털 페이퍼 및 디지털 펜을 이용하여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탑재된 전자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펜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페이퍼 상에 인쇄된 단위 셀 패턴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수신하는 단계;
    (b) 하나 이상의 상기 부호를 입력받은 후 해당 데이터로 좌표값을 추출하고, 상기 좌표값을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c) 영상/음성 입력장치로부터 영상/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와 상기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를 결합하여 전자노트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와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순서를 기준으로 시간 축 상에서 동기화시켜서 상기 전자노트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 이후에,
    (e) 추출한 하나 이상의 상기 좌표값들의 상호 간의 거리가 5 픽셀 이상 차이가 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단계 (e)의 확인 결과, 5 픽셀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상기 좌표값들의 중간에 임의의 좌표값을 생성하여 상기 전자노트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8. 전자노트 프로그램에 있어서,
    디지털 펜 및 영상/음성 입력장치와 연동하는 통신 모듈;
    상기 전자노트 프로그램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모듈; 및
    상기 전자노트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디지털 펜으로부터 디지털 페이퍼에 인쇄된 단위 셀 패턴 내의 2진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부호를 하나 이상 입력받고 해당 데이터로 좌표값을 추출하고, 상기 좌표값을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영상/음성 입력장치로부터 영상/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와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를 결합하여 전자노트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페이지별 필기 궤적 데이터와 상기 영상/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순서를 기준으로 시간 축 상에서 동기화시켜서 상기 전자노트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라인 객체, 영상 객체, 음성 객체, 이미지 객체 및 텍스트 객체 중 하나 이상의 객체를 저장 시간의 순서로 연속적으로 나열하는 전자노트 컨텐츠 편집 모듈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 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노트 컨텐츠 편집 모듈은
    특정 시간대의 포함되는 상기 라인 객체, 상기 영상 객체, 상기 음성 객체, 상기 이미지 객체 또는 상기 텍스트 객체를 일괄적으로 선택, 복사, 붙여넣기, 삭제, 이어 붙이기 및 반복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70041015A 2007-04-26 2007-04-26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905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015A KR100905705B1 (ko) 2007-04-26 2007-04-26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CT/KR2008/001745 WO2008133411A1 (en) 2007-04-26 2008-03-28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note service by using digital paper and pe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015A KR100905705B1 (ko) 2007-04-26 2007-04-26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899A true KR20070050899A (ko) 2007-05-16
KR100905705B1 KR100905705B1 (ko) 2009-07-01

Family

ID=3827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015A KR100905705B1 (ko) 2007-04-26 2007-04-26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5705B1 (ko)
WO (1) WO2008133411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9964A2 (en) * 2007-11-30 2009-06-04 Pen Laboratory Inc. Product having object code pattern on a surface thereof and method for generating object code pattern
KR100921441B1 (ko) * 2007-11-01 2009-10-13 주식회사 지팡이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를 생성하고 재생할 수 있는 지능형광학펜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03901A (ko) * 2016-12-30 2017-01-10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전자펜 관련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장치
KR20180004623A (ko) * 2016-07-04 2018-01-12 김철회 전자펜을 이용하여 음성을 메모하는 점착성 메모지
WO2019132248A1 (ko) * 2017-12-28 2019-07-04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구동방법 및 데이터 기록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590B1 (ko) 2008-12-15 2012-0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전원 전자노트 및 이를 이용한 무전원 무선전송시스템
KR100997438B1 (ko) 2010-07-07 2010-12-01 주식회사 삼색오디 표면 스캔 방식을 이용한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594106B1 (ko) * 2017-12-28 2023-10-25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데이터 기록 어플리케이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6067B2 (ja) * 1993-03-15 2004-05-10 株式会社東芝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SE519820C2 (sv) * 2000-09-07 2003-04-15 Anoto Ab System innefattande visitkort med positionskodningsmönster
KR20030062032A (ko) * 2002-01-16 2003-07-23 조용호 디지털 펜 장치
KR100628463B1 (ko) * 2004-12-13 2006-09-26 핑거시스템 주식회사 절대좌표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73005B1 (ko) * 2005-02-18 2007-02-28 핑거시스템 주식회사 복합좌표 인식 입력장치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441B1 (ko) * 2007-11-01 2009-10-13 주식회사 지팡이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를 생성하고 재생할 수 있는 지능형광학펜 및 그 동작방법
WO2009069964A2 (en) * 2007-11-30 2009-06-04 Pen Laboratory Inc. Product having object code pattern on a surface thereof and method for generating object code pattern
KR100904171B1 (ko) * 2007-11-30 2009-06-23 (주)아이엘에스커뮤니케이션 표면상 객체 인식용 코드 패턴을 갖는 제조물과 그 객체인식용 코드 패턴의 형성 방법
WO2009069964A3 (en) * 2007-11-30 2009-08-20 Pen Lab Inc Product having object code pattern on a surface thereof and method for generating object code pattern
KR20180004623A (ko) * 2016-07-04 2018-01-12 김철회 전자펜을 이용하여 음성을 메모하는 점착성 메모지
KR20170003901A (ko) * 2016-12-30 2017-01-10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전자펜 관련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장치
WO2019132248A1 (ko) * 2017-12-28 2019-07-04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구동방법 및 데이터 기록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US11853544B2 (en) 2017-12-28 2023-12-26 Neolab Convergence Inc.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driv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recording 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33411A1 (en) 2008-11-06
KR100905705B1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705B1 (ko) 디지털 펜과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전자노트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5489118B2 (ja) 入出力装置、情報入出力システム
CN1609846B (zh) 用于识别,锚定和回流数字墨水注释的数字墨水注释方法
WO2011027853A1 (ja) 情報入出力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入出力システム、印刷媒体および情報入出力方法
CN101533317A (zh) 具备手写识别功能的快速记录装置和方法
JP2007506185A (ja) リアルタイム可変デジタル・ペーパー
WO2007105819A1 (ja) 情報処理装置への入力処理システム
WO2001071475A1 (en) Processing of documents
US20080203175A1 (en) Paper based meeting service management tool
JP2009003952A (ja) Gamプログラム、gam端末、gamサーバおよびgamシステム
US8418052B2 (en) Processing of documents
WO2017010469A1 (ja) 手書き装置および音声・手書き通信システム
CN107742145A (zh) 数据嵌入方法、数据读取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208834516U (zh) 一种方便使用的点读系统
JP2006244055A (ja) 書類管理システムおよび書類管理方法
Pearson et al. Exploring low-cost, Internet-free information access for resource-constrained communities
JP5489122B2 (ja) 情報入出力装置、情報処理装置、印刷媒体および情報入出力方法
KR100294434B1 (ko) 텍스트처리시스템
CN104157183A (zh) 一种盲人书籍及其印刷方法
Long et al. Cambridge International AS and A Level IT Coursebook with CD-ROM
KR101133567B1 (ko) 사용자 요구형 학습지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서버
JP2018061071A (ja) コンテンツ作成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テンツ作成及び再生システム
JP4250983B2 (ja) 連続データへのユーザデータ関連付け装置
Zhou et al. An information real-time synchronisation system across different media based on position encoding for mobile computing
US8180155B2 (en) Decoding method for a two dimensional dot c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