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888A -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의 물탱크 - Google Patents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의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888A
KR20070050888A KR1020070037754A KR20070037754A KR20070050888A KR 20070050888 A KR20070050888 A KR 20070050888A KR 1020070037754 A KR1020070037754 A KR 1020070037754A KR 20070037754 A KR20070037754 A KR 20070037754A KR 20070050888 A KR20070050888 A KR 20070050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ot water
water tank
water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8146B1 (ko
Inventor
김삼수
Original Assignee
김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삼수 filed Critical 김삼수
Priority to KR1020070037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146B1/ko
Publication of KR20070050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1Construction of th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온수호스가 설치되고 그 온수호스로 온수가 순환되어 따뜻하게 난방을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의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탱크가 설치된 온수보일러가 정위치에 바로 놓이면 물탱크 내에서 물이 가열될 때 발생되는 증기가 통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물탱크가 설치된 온수보일러가 넘어지는 경우에는 증기배출마개의 내부에 설치된 개폐구가 증기가 배출되던 통기공을 막아서 물탱크내의 뜨거운 물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1)의 내부에 증기배출마개(12)가 나사식으로 체결된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마개(12)는 증기배출구(8)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숫나사관부(13)의 상측 머리부(14)에는 숫나사관부(13)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측공간부(16)와 통하는 증기배출공(15)이 형성된 마개본체(17)가 구비되고, 상기 마개본체(17)의 숫나사관부(13)의 내측 하부에는 중앙부에 통기공(18)을 형성한 통기관부(19)가 중앙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단부 내외측에 내외부걸림단턱(20,21)을 형성한 내부캡(22)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 내부캡(22)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내부걸림단턱(20)에는 중앙에 중앙통공(23)이 형성되고, 중앙통공(23)의 외주연 사방에 중앙통공(23)과 간격을 둔 상태로 외부통공(24)을 형성한 하부조립구(25)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내부캡(22) 내측의 통기관부(19)와 하부조립구(25)의 사이에는 중앙통공(23)과 외부통공(24) 사이의 직경만큼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관부 (26)의 내측 중앙에 수평격판(27)을 수평으로 형성한 개폐구(28)가 상하로 흔들릴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수매트, 온수호스, 온수순환펌프, 물탱크, 증기배출마개, 증기배출구, 역류, 개폐구

Description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의 물탱크{Water tank of boiler for a hot-water heating mat}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된 온수매트용 보일러의 종단면도.
도 2는 온수매트용 보일러에서 상부케이스를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의 (가)(나)는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A"부를 발췌하여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증기배출마개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증기배출마개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조립구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수보일러 2 : 케이스 3 : 온수순환펌프
4 : 유입관부 5 : 배수관부 6 : 물탱크
7 : 상부커버 8 : 증기배출구 9 : 히터
10 : 유입구 11 : 배출구 12 : 증기배출마개
13 : 숫나사관부 14 : 머리부 15 : 증기배출공
16 : 내측공간부 17 : 마개본체 18 : 통기공
19 : 통기관부 20 : 내부걸림단턱 21 : 외부걸림단턱
22 : 내부캡 23 : 중앙통공 24 : 외부통공
25 : 하부조립구 26 : 원통관부 27 : 수평격판
28 : 개폐구
본 발명은 내부에 온수호스가 설치되고 그 온수호스로 온수가 순환되어 따뜻하게 난방을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의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탱크가 설치된 온수보일러가 정위치에 바로 놓이면 물탱크 내에서 물이 가열될 때 발생되는 증기가 통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물탱크가 설치된 온수보일러가 넘어지는 경우에는 증기배출마개의 내부에 설치된 개폐구가 증기가 배출되던 통기공을 막아서 물탱크내의 뜨거운 물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온수매트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보일러의 물탱크에는 물탱크 내에 설치된 히터가 발열되면서 물이 가열될 때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온수보일러용 물탱크에 마련된 증기배출구에는 증기배출구멍이 관통되게 형성된 증기배출마개를 설치하여서 물탱크 내의 물이 가열되면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게 되나, 물탱크가 넘어지면 그 증기배출구 멍으로 물탱크내의 뜨거운 물이 흘러나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탱크의 증기배출구에 체결되는 증기배출마개의 내부에 평상시에는 증기가 배출되고, 온수보일러가 넘어지면 물탱크 내의 물이 외부로 새나가지 못하게 하는 개폐수단을 설치함으로서, 온수보일러가 정위치에 바로 놓이면 물탱크 내에서 물이 가열될 때 발생되는 증기가 통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물탱크가 설치된 온수보일러가 넘어지는 경우에는 증기배출마개의 내부에 설치된 개폐구가 증기가 배출되던 통기공을 막아서 물탱크내의 뜨거운 물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의 내부에 증기배출마개가 나사식으로 체결된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마개는 증기배출구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숫나사관부의 상측 머리부에는 숫나사관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측공간부와 통하는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마개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마개본체의 숫나사관부 내측 하부에는 중앙부에 통기공을 형성한 통기관부가 중앙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단부 내외측에 내외부걸림단턱을 형성한 내부캡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 내부캡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내부걸림단턱에는 중앙에 중앙통공이 형성되고, 중앙통공의 외주연 사방에 중앙통공과 간격을 둔 상태로 외부통공을 형성한 하부조립구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내부캡 내측의 통기관부와 하부조립구의 사이에는 중앙통공과 외부통공 사이의 직경만큼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관부의 내측 중앙에 수평격판을 수평으로 형성한 개폐구가 상하로 흔들릴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의 물탱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설치되는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부케이스(2a,2b)로 분리 결합되는 케이스(2)의 내부에 물탱크(6)와 온수순환펌프(3)가 함께 설치된다.
상기 물탱크(6)는 물이 담겨지는 물탱크본체(6a)의 하부에 물이 출입하는 유입구(10)와 배출구(11)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물탱크본체(6a)의 상부에는 상부커버(7)가 나사로서 착탈 자유롭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커버(7)에는 물탱크본체(6a)에 담겨진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9)가 하향 설치되고 일측 상부에 히터(9)에 의해 물이 가열될 때,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구(8)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 증기배출구(8)에는 상부케이스(2a)에 형성된 통공(2c)을 통하여 증기배출마개(12)가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있다.
상기 증기배출마개(12)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증기배출구(8)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숫나사관부(13)의 상측 머리부(14)에는 숫나사관부(13)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측공간부(16)와 통하는 증기배출공(15)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마개본체(17)가 구비된다.
상기 마개본체(17)의 숫나사관부(13)의 내측 하부에는 캡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통기공(18)을 형성한 통기관부(19)가 중앙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단부 내외측에 내외부걸림단턱(20,21)을 형성한 내부캡(22)이 삽입 설치된다.
이때, 통기공(18)측이 내측공간부(16)의 상측을 향하고 외측으로 돌출된 외부걸림단턱(21)은 숫나사관부(13)의 하단부에 걸리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캡(22)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내부걸림단턱(20)에는 중앙에 중앙통공(23)이 형성되고, 중앙통공(23)의 외주연 사방에 중앙통공(23)과 간격을 둔 상태로 외부통공(24)을 형성한 판형태의 하부조립구(25)가 억지끼움 또는, 접착에 의해 삽입 설치된다.
또한, 상기 내부캡(22) 내측의 통기관부(19)와 하부조립구(25)의 사이에는 중앙통공(23)과 외부통공(24) 사이의 직경만큼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관부(26)의 내측 중앙에 수평격판(27)을 수평으로 형성한 개폐구(28)를 상하로 흔들릴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여 설치한다.
이때, 상기 내부캡(22)의 통기관부(19)가 개폐구(28)의 상부공간에 헐렁하게 삽입된 상태로서 원통관부(26)의 내경이 통기관부(19)의 외경보다 크며, 통기관부(19)의 하단부와 수평격판(27)의 상면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야 한다.
도 2는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1)의 상부케이스를 분리시킨 상태로 하부케이스(2b)에 물탱크(6)와 온수순환펌프(3)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상기 물탱크(6)의 배출구(11)와 온수순환펌프(3)의 유입관부(4) 사이에는 물탱크(6)에서 가열된 온수를 온수순환펌프(3)측으로 유입되게 하는 연결호스(29)가 연결 설치되 고, 물탱크(6) 타측의 유입구(10)에는 온수매트의 온수호스를 순환하여 식어진 물이 회수하여 물탱크(6)로 회수되게 하는 회수호스(30)가 연결되며, 온수순환펌프(3)의 배수관부(5)에는 연결호스(29)를 통하여 온수순환펌프(3)로 유입된 온수를 온수매트(31)의 온수호스(32)로 공급하는 급수호스(33)가 연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온수매트(31)의 온수호스(32)와 온수매트용 보일러측의 회수호스(30) 및 급수호스(33)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온수보일러(1)의 상측에 설치된 상부케이스의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히터(9)가 발열되면서 물탱크(6) 내의 물을 가열하고, 온수순환펌프(3)가 동작하게 되면 물탱크(6) 내의 온수는 온수순환펌프 내의 임팰러의 회전으로 물탱크(6)내의 온수를 온수매트의 온수호스로 공급하고, 열전달이 이루어져 열기가 식은 물은 물탱크(6)로 회수되는 동작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물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탱크(6)의 내측에 담겨진 물이 히터(9)에 의해 가열되면서 증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발생하는 증기는 도 3의 (가)에서 보는 바와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배출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증기가 정상적으로 배출되는 것은, 본 발명의 물탱크(6)가 설치된 온수보일러(1)가 도 1과 같이 정상적으로 안전하게 놓여진 상태이며, 이 상태는 도 3의 (가)와 같이 개폐구(28)가 자중에 의해 하부조립구(25)의 중앙통공(23)을 막고 있는 상태이다.
이 개폐구(28)의 원통관부(26)은 외경은 하부조립구(25)의 외부통공(24)과 외부통공(24)의 사이에 얹혀질 만큼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도 3의 (가)와 같이 중앙통공(23)의 상부를 개폐구(28)가 막아서 중앙통공(23)으로는 증기가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그런데, 중앙통공(23)의 외측 사방에 호형으로 길게 형성된 외부통공(24)은 개방되어 있고, 내부캡(22)의 내부공간과 통하며, 통기관부(19)의 하부와 개폐구(28)의 상부가 접촉하지 않고 틈새를 두고 있음에 따라 그 틈새를 통하여 화살표방향으로 증기가 올라가면서 내부캡(22)의 통기공(18)을 통과하며, 뒤이어 통기공(18)과 통하는 마개본체(17)의 내측공간부(16)와 머리부(14)의 중앙에 형성된 증기배출공(15)을 통하여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물탱크(6)의 내부에서 히터(9)에 의해 물이 계속적으로 끓는 경우라도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물이 끓어 넘치거나 물탱크(6)가 손상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을 사용하다가 부주의로 인하여 물탱크(6)가 설치된 온수보일러(1)가 넘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도 3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탱크(6) 내의 물이 외부통공(24) 보다 큰 중앙통공(23)으로 급격하게 통과하면서 중앙통공(23)의 상측에 헐렁하게 위치하던 개폐구(28)를 통기관부(19) 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위와 같이 통기관부(19) 측으로 밀려나는 개폐구(28)는 그 형상이 원통관형태로 원통관부(26)를 형성하면서 그 내측 중앙에 수평격판(27)이 수평하게 형성된 형상임에 따라 수평격판(27)의 하측으로 유입된 물의 압력에 의해 쉽게 통기관부 (19)측으로 밀려나면서 수평격판(27)의 상부가 내부캡(22)의 통기관부(19)를 막아서 온수보일러(1)가 넘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물탱크(6) 내의 물이 외부로 새어 나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구(28)의 상부 원통관부(26)의 내부에 통기관부(19)의 하단부가 헐렁하게 삽입된 상태임에 따라 물탱크(6)에 물을 주입하기 전에 온수보일러(1)를 뒤집거나 마구 흔드는 경우라도 통기관부(19)의 하단부에 개폐구(28)의 상측 원통관부(26)가 삽입되어서 개폐구(28)가 내부캡(22)의 내부에서 정상적인 위치를 절대로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의 물탱크는, 물탱크의 증기배출구에 체결되는 증기배출마개의 내부에 평상시에는 증기가 배출되고, 온수보일러가 넘어지면 물탱크 내의 물이 외부로 새나가지 못하게 하는 개폐수단을 설치함으로서, 온수보일러가 정위치에 바로 놓이면 물탱크내에서 물이 가열될 때 발생되는 증기가 통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물탱크가 설치된 온수보일러가 넘어지는 경우에는 증기배출마개의 내부에 설치된 개폐구가 증기가 배출되던 통기공을 막아서 물탱크내의 뜨거운 물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1)의 케이스(2) 내부에는 물탱크(6)와 온수순환펌프(3)가 함께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6)는 물이 담겨지는 물탱크본체(6a)의 하부에 물이 출입하는 유입구(10)와 배출구(11)가 각각 형성되며, 이 물탱크본체(6a)의 상부에는 히터(9)가 하향 설치되고 일측 상부에 증기배출구(8)가 형성되며, 이 증기배출구(8)에는 상부케이스(2a)에 형성된 통공(2c)을 통하여 증기배출마개(12)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마개(12)는 증기배출구(8)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숫나사관부(13)의 상측 머리부(14)에는 숫나사관부(13)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측공간부(16)와 통하는 증기배출공(15)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마개본체(17)가 구비되고,
    상기 마개본체(17)의 숫나사관부(13)의 내측 하부에는 중앙부에 통기공(18)을 형성한 통기관부(19)가 중앙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단부 내외측에 내외부걸림단턱(20,21)을 형성한 내부캡(22)을 삽입 설치하되, 통기공(18)측이 내측공간부(16)의 상측을 향하고 외측으로 돌출된 외부걸림단턱(21)은 숫나사관부(13)의 하단부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내부캡(22)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내부걸림단턱(20)에는 중앙에 중앙통공(23)이 형성되고, 중앙통공(23)의 외주연 사방에 중앙통공(23)과 간격을 둔 상태로 외부통공(24)을 형성한 하부조립구(25)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내부캡(22) 내측의 통기관부(19)와 하부조립구(25)의 사이에는 중앙통 공(23)과 외부통공(24) 사이의 직경만큼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관부(26)의 내측 중앙에 수평격판(27)을 수평으로 형성한 개폐구(28)를 상하로 흔들릴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여 설치하되,
    상기 내부캡(22)의 통기관부(19)가 개폐구(28)의 상부공간에 헐렁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원통관부(26)의 내경이 통기관부(19)의 외경보다 크며, 통기관부(19)의 하단부와 수평격판(27)의 상면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의 물탱크.
KR1020070037754A 2007-04-16 2007-04-16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의 물탱크 KR100878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754A KR100878146B1 (ko) 2007-04-16 2007-04-16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의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754A KR100878146B1 (ko) 2007-04-16 2007-04-16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의 물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888A true KR20070050888A (ko) 2007-05-16
KR100878146B1 KR100878146B1 (ko) 2009-01-13

Family

ID=3827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754A KR100878146B1 (ko) 2007-04-16 2007-04-16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의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1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510B1 (ko) * 2013-04-30 2013-08-09 주식회사 동양이지텍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온수 매트의 온수보일러용 워터 탱크
CN107702193A (zh) * 2017-11-24 2018-02-16 许兴燕 一种节能环保电暖器
CN110926015A (zh) * 2019-11-12 2020-03-27 深圳市博远贵金属科技有限公司 循环加热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263B1 (ko) * 2014-09-06 2016-10-05 주식회사 임호산업 냉온 침구시스템의 순환수의 스케일 제거 및 기포배출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0749U (ko) 1975-12-11 1977-06-16
KR200297329Y1 (ko) 2002-07-26 2002-12-12 김영욱 급속 공기배출식 에어벤트
KR100526791B1 (ko) 2003-10-15 2005-11-08 씨엔텍 코퍼레이션 온수 자동순환장치
US7152619B2 (en) 2004-07-20 2006-12-26 Mike Hwang Air tap assembly
US7163027B2 (en) 2004-07-20 2007-01-16 Mike Hwang Air tap assembly
KR200412342Y1 (ko) 2005-12-26 2006-03-27 정병조 매트용 온수순환보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510B1 (ko) * 2013-04-30 2013-08-09 주식회사 동양이지텍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온수 매트의 온수보일러용 워터 탱크
CN107702193A (zh) * 2017-11-24 2018-02-16 许兴燕 一种节能环保电暖器
CN110926015A (zh) * 2019-11-12 2020-03-27 深圳市博远贵金属科技有限公司 循环加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146B1 (ko) 2009-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8947B1 (ko)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KR100878146B1 (ko)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의 물탱크
US9091497B2 (en) Humidifier with scale collection features
CN105716061A (zh) 蒸汽发生器、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CN105737125A (zh) 蒸汽发生器、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KR100627017B1 (ko) 가습기 겸용 난방장치.
US20060208370A1 (en) Fluid mixing device for tub and bath fluid mixing apparatus
JP2007315731A (ja) 加湿器
JP5758319B2 (ja) 中和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給湯装置
US20180038585A1 (en) Steam generator system, control method and household appliance
KR20170096939A (ko) 증기 발생기, 증기 발생기 시스템 및 가전제품
KR101006860B1 (ko) 냉온 정수기
KR100425916B1 (ko)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KR20070100475A (ko) 응축수 배수관용 스팀 트랩
CN106871451A (zh) 冷凝式燃气暖浴两用炉用冷凝水收集装置
US3508571A (en) Fluid flow system
KR101274498B1 (ko) 온수매트용 체크 밸브
KR101212361B1 (ko) 콘덴싱 보일러의 중화기 일체형 시스턴
CN205351269U (zh) 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JP6038101B2 (ja) 配管接続具
CN205279037U (zh) 蒸汽发生器、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JP5061702B2 (ja) コーヒーメーカー
KR102256970B1 (ko) 전기온수보일러용 물탱크 조립체
JP5819208B2 (ja) 中和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給湯装置
KR200475547Y1 (ko) 체크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