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174A - 방수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 - Google Patents

방수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174A
KR20070050174A KR1020050107425A KR20050107425A KR20070050174A KR 20070050174 A KR20070050174 A KR 20070050174A KR 1020050107425 A KR1020050107425 A KR 1020050107425A KR 20050107425 A KR20050107425 A KR 20050107425A KR 20070050174 A KR20070050174 A KR 20070050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ap
waterproof
knob
cylindrical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1512B1 (ko
Inventor
윤한선
Original Assignee
윤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한선 filed Critical 윤한선
Priority to KR1020050107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512B1/ko
Publication of KR20070050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캡의 내/외부에 배치된 한쌍의 자석을 이용하여 완전 방수를 실현하면서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수 스위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격판을 포함하는 하부캡과, 상기 격판의 중앙부에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1돌기부와, 상기 격판의 중앙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돌기부와, 상기 제1돌기부의 후단부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동 노브와, 상기 제1돌기부의 선단부에 고정된 절연판과, 상기 절연판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원추형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선단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이 이루어지고, 자유단이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동 전원단자와, 상기 제2돌기부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동 노브의 선단부를 선회시켜서 가동 전원단자의 자유단을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분리시키는 구동 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수 랜턴, 방수 스위치, 전원 제어, 자기 방식

Description

방수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Switch Having Waterproof Function and Waterproof Lantern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갖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랜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하부캡의 외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각각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피동 노브 및 구동 노브의 평면도 및 구동 노브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3: O-링 11: 원통형 몸체
12: 상부캡 13: 하부캡
13a: 격판 13b,13c: 돌기부
13f: 원통부 14a-14c: 배터리
15a: (+)단자 15b: (-)단자
21: LED 22: 집속렌즈
24: LED의 일측 단자 25: 방수용 투명 유리
26: 방열부재 31,310: 피동 노브
32,320: 가동 노브 33: 절연판
34: 스프링 35: 가동 전원단자
311,321: 자석
본 발명은 방수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에 관한 것으로, 하부캡의 내/외부에 배치된 한쌍의 자석을 이용하여 완전 방수를 실현하면서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탐조등은 고휘도의 크세논 전구와 대용량의 배터리를 구비하여 야간에 선박, 항공기 등을 탐색하거나 또는 농어촌에서 야간 작업시에 이용하고 있다.
최근 들어 탐조등 또는 휴대용 플래시라이트(랜턴)에서는 전구 대신에 전기 소모량이 작고 수명이 긴 고휘도의 발광다이오드(LED)를 광원으로 채용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수의 LED를 집적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전원으로는 배터리 대신에 충전용 배터리와 충전회로를 내장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제품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용 랜턴은 수분이 많은 어선이나, 비오는 날에 야외 작업에 사용하거나, 물에 빠트렸을 경우에도 기능을 잃지 않는 완벽한 방수 구조를 갖고 있지 못하거나, 가격이 매우 고가이며, 복잡한 방수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랜턴에서 일반적으로 몸통과 상부 및 하부 캡 사이의 결합은 고무로 이루어진 실링용 오링을 사용함에 따라 쉽게 방수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나 기타 각종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버튼에서 완전 방수 구조를 갖고 있지 못하였다.
종래의 방수 구조를 갖는 누름버튼 구조가 실용신안등록 제380392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 구조는 탄성적으로 지지된 작동버튼의 외부를 신축캡으로 둘러싸고 신축캡의 하단부를 체결캡으로 누르면서 수용홀에 나사체결시킨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누름버튼 구조는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작동버튼에 의해 동작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있어 고비용 구조이고, 소형의 원통형 랜턴에 적용시에는 심플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누름버튼을 다수회 사용하는 경우 작동버튼을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거나 고무로된 신축캡이 파손되어 완전 방수 기능은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380395호에는 탐조등 본체의 외부에 제1자석이 내착된 슬라이딩 작동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에 대향한 탐조등 내부에 슬라이딩 작동부의 위치선택에 따라 슬라이딩 작동부의 제1자석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제2자석을 가동편의 선단부에 배치하여, 제2자석이 척력에 의해 하강할 때 누름버튼을 눌러서 마이크로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방수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스위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스위치는 제1 및 제2 자석을 흡인하기 위한 제3자석과 마이크로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있어 비용이 상승되는 요인을 제공하고 있고, 소형의 원통형 랜턴에 적용시에는 심플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욱이, 공개특허공보 제2004-107641호에는 본체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 합된 회전부재에 제1자석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에 대응하는 본체의 내부에는 제1자석과 반대극성을 갖는 제2자석이 부착되어 있는 원통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원통부재가 회전할 때 제2자석이 배터리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램프기판의 통전단자를 상호 연결하여 램프에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방수 스위치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생산성과 조립성이 나쁘고, 배터리의 양극에 케이블을 용접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배터리 교체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제361721호에는 고압방전램프를 이용한 수중 라이트가 제안되어 있으며, 이 수중 라이트는 라이트 본체의 외부에 소형 자석을 내장한 회전식스위치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그의 내부에는 회전식스위치의 회전 위치를 자기방식으로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홀센서를 구비하여 회전식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주광원, 보조광원 및 오프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방수 스위치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기방식 위치검출방식은 고가의 홀센서와 홀센서로부터 검출된 자기신호를 신호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부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보급형의 랜턴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부캡의 내/외부에 배치된 한쌍의 자석을 이용하여 완전 방수를 실현하면서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랜턴용 방수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수 스위치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완전 방수를 실현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 가능한 방수 랜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수 스위치를 하부캡에 구현하여 전체적으로 외관이 심플하게 디자인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랜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가 수납되는 원통형 몸체에 선단부가 실링 구조로 나사 결합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격판을 포함하는 하부캡과, 상기 격판의 중앙부에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힌지축 역할을 하며 단차 구조를 갖는 제1돌기부와, 상기 격판의 중앙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힌지축 역할을 하는 제2돌기부와, 상기 제1돌기부의 후단부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피동 노브와, 상기 제1돌기부의 선단부에 고정된 절연판과, 상기 절연판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원추형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선단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이 이루어지고, 자유단이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체로서 정상 상태일 때 자유단이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가동 전원단자와, 상기 제2돌기부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단부의 위치 선택에 따라 피동 노브의 선단부를 선회시켜서 가동 전원단자의 자유단을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분리시키는 구동 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용 방수 스위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가동 전원단자는 탄성력을 갖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몸체와 하부캡은 비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 및 피동 노브가 제1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가동 전원단자의 자유단은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가동 및 피동 노브가 제2위치에 설정되는 경우, 가동 전원단자의 자유단은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과 접촉된 상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구동 노브와 피동 노브는 서로 반대 극성을 갖는 제1및 제2 자석을 적어도 일부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구동 노브와 피동 노브는 서로 반대 극성을 가지며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및 제2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격판의 외부면에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구동 노브가 제1 및 제2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 설정되도록 선회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한쌍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랜턴은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가 수납되며 비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몸체와, 상기 배터리의 (+)단자와 상기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되는 원통형 몸체에 양 단자가 접촉되며 통전시에 빛을 발생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원통형 몸체의 선단부에 후단부가 실링 구조로 나사 결합되며 비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상부캡과,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된 빛을 집속시키기 위한 집속렌즈와, 상기 집속렌즈의 외주부와 상부캡 사이를 방수 실링시키기 위한 방수수단과, 상기 원통형 몸체에 선단부가 실링 구조로 나사 결합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격판을 포함하며 비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단자를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분리시키는 방식으로 배터리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 한 방수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방수 스위치는 상기 격판의 중앙부에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힌지축 역할을 하며 단차 구조를 갖는 제1돌기부와, 상기 격판의 중앙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힌지축 역할을 하는 제2돌기부와, 상기 제1돌기부의 후단부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피동 노브와, 상기 제1돌기부의 선단부에 고정된 절연판과, 상기 절연판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원추형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선단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이 이루어지고, 자유단이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체로서 정상 상태일 때 자유단이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가동 전원단자와, 상기 제2돌기부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단부의 위치 선택에 따라 피동 노브의 선단부를 선회시켜서 가동 전원단자의 자유단을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분리시키는 구동 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 스위치는 일단이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이 이루어지고, 자유단이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체로서 정상 상태일 때 자유단이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가동 전원단자와, 상기 하부캡이 원통형 몸체에 결합될 때 가동 전원단자의 일단이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과, 상기 격판의 내측면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동 노브와, 상기 격판의 외측면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단부의 위치 선택에 따라 피동 노브의 선단부를 자기 흡인력에 의해 선회시켜서 가동 전원단자의 자유단을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분리시키기 위 한 구동 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부캡의 내/외부에 배치된 한쌍의 자석을 이용하여 완전 방수를 실현하면서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랜턴용 방수 스위치를 구현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하여 방수 랜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 스위치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완전 방수를 실현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 가능하며, 방수 스위치를 하부캡에 구현하여 전체적으로 외관이 심플하게 디자인될 수 있게 한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기능을 갖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랜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하부캡의 외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랜턴은 예를들어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비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몸체(11)와, 원통형 몸체(11)의 선단부(11a)에 후단부가 나사결합되는 상부캡(12)과, 원통형 몸체(11)의 후단부(11b)에 선단부가 나사결합되는 하부캡(13)으로 케이스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몸체(11)와 상부캡(12)은 양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하부캡(13)은 일측만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원통형 몸체(11)의 내부에는 선단부에 배치되는 고휘도 발광다이오드(LED)(21)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동작전원(3.5V)을 공급하기 위해 3개의 배터리 (14a~14c)가 직렬연결방식으로 내장되어 있고, 배터리(14a)의 (+)단자(15a)에는 LED(21)의 일측 단자(24)가 접촉되도록 돌출되어 있으며 LED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Al과 같이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진 원통형 방열부재(2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방열부재(26)의 상부면에는 고휘도 발광다이오드(LED)(21)가 실장되어 있고, LED(21)의 타측 단자(23)는 원통형 몸체(11)의 선단부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LED(21)는 원추형 집속렌즈(22)의 후단부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어 있으며, 집속렌즈(22)는 LED(21)로부터 발생된 광을 시야각 6도 또는 30도로 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집속렌즈(22)의 앞단과 상부캡(12)의 선단 돌출부(12a) 사이에는 방수용 투명유리(25)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몸체(11)와 상부캡(12) 및 하부캡(13) 사이의 나사결합부와, 투명유리(25)와 상부캡(12)의 선단부 사이에는 각각 방수를 위해 고무로 이루어진 O-링(1,2,3)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O-링(1,2,3)은 상기 몸체(11)와 상부캡(12) 및 하부캡(13)이 나사결합되어 압착될 때 케이스 내부를 완전 방수 구조로 만든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스위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수 스위치에서 상기 하부캡(13)은 선단부(13d)가 몸체(11)의 후단부(11b)에 나사 결합되는 원통부(13f)와, 원통부(13f)의 중간부분에 원형 격판(13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격판(13a)의 중앙부에는 내측과 외측으로 각각 힌지축 역할을 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돌기부(13b,13c)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부(13f)의 후단부(13e)는 제2돌기부(13c)에 설치되는 구동 노브(후술함)를 보호 하도록 제2돌기부(13c) 보다 더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돌기부(13b)는 직경이 다른 단차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단부에는 일측에 결합구멍(31a)이 형성된 바(bar) 형상의 제1자석으로 이루어진 피동 노브(31)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의 선단부에는 절연판(33)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격판(13a)의 외부로 돌출된 제2돌기(13c)에는 도 2와 같이 제1자석과 동일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반대 극성을 갖는 제2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결합구멍(32a)이 형성된 구동 노브(32)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격판(13a)의 외부면에는 구동 노브(32)가 선회되어 턴온(ON) 및 턴오프(OFF)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설정되도록 한쌍의 스토퍼(36a,36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연판(33)에는 원추형 스프링(34)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스프링(34)의 선단부에는 일단이 배터리(14c)의 (-)단자(15b)와 접촉이 이루어지고, 타단이 하부캡(13)의 벽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가동 전원단자(35)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동 전원단자(35)는 탄성력을 갖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며 정상적인 상태 즉, 피동 노브(31)가 OFF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하부캡(13)의 벽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피동 노브(31)가 선회하여 ON 위치로 설정되는 경우는 가동 전원단자(35)의 자유단은 하부캡(13)의 벽면과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의 동작을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원통형 몸체(11)에 하부캡(13)을 나사결합하여 체결하고 3개의 배터리(14a-14c)를 몸체(11) 내부에 직렬연결방식으로 수납한다. 이어서, 상부캡(12) 내부에 방수용 투명유리(25)와, 집속렌즈(22)의 요홈에 LED(21)가 결합된 원통형 방열부재(26)를 순차적으로 조립한 상태에서 상부캡(12)의 후단부를 몸체(11)의 선단부(11a)에 나사결합하여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몸체(11)에 상부캡(12) 및 하부캡(13)이 결합되는 경우 방수 실링용 O-링(1,2,3)이 압착되면서 케이스 내부는 방수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1)에 상부캡(12)이 결합되어 조립이 완료되는 경우 LED(21)의 일측 단자(24)는 방열부재(26)를 통하여 배터리(14a)의 (+)단자(15a)에 접촉된 상태로 되고, LED(21)의 타측 단자(23)는 몸체(11)의 선단부와 접촉된 상태를 이루며, 배터리(14c)의 (-)단자(15b)는 가동 전원단자(35)와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랜턴의 하부캡(13)의 외부에 위치된 가동 노브(32)의 선단부를 오프(OFF) 위치에서 온(ON) 위치로 선회하면, 가동 노브(32)의 제2자석과 반대 극성의 제1자석으로 이루어진 피동 노브(31)도 제1 및 제2 자석 사이의 흡인력에 의해 온(ON) 위치로 이동하면서 가동 전원단자(35)의 자유단을 하부캡(13)의 벽면과 접촉된 상태를 이루도록 밀게 된다. 이에 따라 LED(21)에는 배터리(14c)의 (-)단자(15b)로부터 가동 전원단자(35), 하부캡(13) 및 몸체(11)를 통하여 LED(21)의 타측 단자(23)로 통전로가 형성되어 LED(21)의 점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금속체로 이루어진 하부캡(13) 및 몸체(11)(상부캡 포함) 대신에 종 래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케이스를 형성하고, 몸체(11)의 상부로부터 가동 전원단자(35)의 자유단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위치까지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편이나, 양단에 금속편이 연결된 케이블 등을 내장한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방수 성능의 측면에서 보면 Al 등의 비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케이스가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케이스에 비하여 우수한 방수성능을 나타낸다.
상기 피동 노브(31)는 제1 및 제2 자석 사이에 흡인력이 계속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 노브(32)가 온(ON)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가동 전원단자(35)의 자유단을 하부캡(13)의 벽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가동 노브(32)의 선단부는 오프(OFF) 위치 및 온(ON)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하부캡(13)의 내주부가 소정두께 만큼 돌출되어 스냅결합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좋다.
그후, 랜턴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려고 하는 경우는 가동 노브(32)의 선단부를 오프(OFF) 위치로 선회시키게 되면, 피동 노브(31)도 가동 노브(32)를 따라 오프(OFF) 위치의 대향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가동 전원단자(35)의 자유단은 복원력에 의해 하부캡(13)의 벽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배터리(14a-14c)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므로 LED(21)는 OFF 상태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BAT)로부터 LED(21)에 대한 전원 공급 제어가 완전 방수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 랜턴에 있어서 방수에 가장 취약한 부분을 완전 방수가 가능하도록 구현함에 의해 랜턴 전체의 방수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전원으로 원통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원통형 배터리 이외에 사각형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의 전원 공급 제어 스위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발광수단으로 고휘도 LED를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주지된 각종 관형 램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케이스가 원통형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설명에서는 피동 노브(31)와 가동 노브(32) 전체가 각각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음과 같이 부분적으로 자석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도 3a 및 도 3b에는 각각 도 1의 스위치에서 구동 노브 및 피동 노브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c는 도 3b의 X-X선 단면도이다.
제1변형예에 따른 피동 노브(310)는 도 3a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바(bar) 형상의 노브 몸체(312)의 선단부에 인서트 몰딩에 의해 제1자석(311)이 위치되고 타단부에 제1돌기부(13b)에 결합되는 결합구멍(31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노브(32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석(311)과 서로 반대 극성을 갖는 제2자석(321)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바(bar) 형상의 노브 몸체(322)의 선단부에 인서트 몰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돌기부(13c)에 결합되는 결합구멍(3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자석(321)은 도 3c와 같이 노브 몸체(322) 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어 있어 구동 노브(320)의 선회 이동시에 핸들 역할을 한다.
상기한 제1변형예의 피동 노브(310) 및 가동 노브(320)는 각각 제1 및 제2 자석(311,321)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온(ON) 위치와 오프(OFF) 위치로 가동 노브(320)를 선회시키면 이에 따라 피동 노브(310)가 선회하므로 배터리(14a-14c)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피동 노브와 가동 노브가 선회방식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피동 노브와 가동 노브가 선형 레일을 따라 이동함에 의해 가동 전원단자(35)의 자유단을 위치 이동시켜서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도록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부캡의 내/외부에 배치된 한쌍의 자석을 이용하여 완전 방수를 실현하면서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랜턴용 방수 스위치를 구현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하여 방수 랜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 스위치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완전 방수를 실현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 가능하며, 방수 스위치를 하부캡에 구현하여 전체적으로 외관이 심플하게 디자인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1)

  1. 배터리가 수납되는 원통형 몸체에 선단부가 실링 구조로 나사 결합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격판을 포함하는 하부캡과,
    상기 격판의 중앙부에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힌지축 역할을 하며 단차 구조를 갖는 제1돌기부와,
    상기 격판의 중앙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힌지축 역할을 하는 제2돌기부와,
    상기 제1돌기부의 후단부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피동 노브와,
    상기 제1돌기부의 선단부에 고정된 절연판과,
    상기 절연판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원추형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선단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이 이루어지고, 자유단이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체로서 정상 상태일 때 자유단이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가동 전원단자와,
    상기 제2돌기부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단부의 위치 선택에 따라 피동 노브의 선단부를 선회시켜서 가동 전원단자의 자유단을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분리시키는 구동 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용 방수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전원단자는 탄성력을 갖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몸체와 하부캡은 비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 및 피동 노브가 제1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가동 전원단자의 자유단은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가동 및 피동 노브가 제2위치에 설정되는 경우, 가동 전원단자의 자유단은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과 접촉된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용 방수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노브와 피동 노브는 서로 반대 극성을 갖는 제1및 제2 자석을 적어도 일부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용 방수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노브와 피동 노브는 서로 반대 극성을 가지며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및 제2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용 방수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의 외부면에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구동 노브가 제1 및 제2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 설정되도록 선회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한쌍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용 방수 스위치.
  6.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가 수납되며 비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몸체와,
    상기 배터리의 (+)단자와 상기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되는 원통형 몸체에 양 단자가 접촉되며 통전시에 빛을 발생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원통형 몸체의 선단부에 후단부가 실링 구조로 나사 결합되며 비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상부캡과,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된 빛을 집속시키기 위한 집속렌즈와,
    상기 집속렌즈의 외주부와 상부캡 사이를 방수 실링시키기 위한 방수수단과,
    상기 원통형 몸체에 선단부가 실링 구조로 나사 결합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격판을 포함하며 비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단자를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분리시키는 방식으로 배터리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방수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랜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스위치는
    상기 격판의 중앙부에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힌지축 역할을 하며 단차 구조를 갖는 제1돌기부와,
    상기 격판의 중앙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힌지축 역할을 하는 제2돌기부와,
    상기 제1돌기부의 후단부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bar) 형상으 로 이루어지는 피동 노브와,
    상기 제1돌기부의 선단부에 고정된 절연판과,
    상기 절연판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원추형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선단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이 이루어지고, 자유단이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체로서 정상 상태일 때 자유단이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가동 전원단자와,
    상기 제2돌기부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단부의 위치 선택에 따라 피동 노브의 선단부를 선회시켜서 가동 전원단자의 자유단을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분리시키는 구동 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랜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전원단자는 탄성력을 갖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 및 피동 노브가 턴오프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가동 전원단자의 자유단은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가동 및 피동 노브가 턴온 위치에 설정되는 경우, 가동 전원단자의 자유단은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과 접촉된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랜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노브와 피동 노브는 서로 반대 극성을 갖는 제1및 제2 자석을 적어도 일부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랜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노브와 피동 노브는 서로 반대 극성을 가지며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및 제2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랜턴.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스위치는
    일단이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이 이루어지고, 자유단이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체로서 정상 상태일 때 자유단이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가동 전원단자와,
    상기 하부캡이 원통형 몸체에 결합될 때 가동 전원단자의 일단이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과,
    상기 격판의 내측면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동 노브와,
    상기 격판의 외측면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단부의 위치 선택에 따라 피동 노브의 선단부를 자기 흡인력에 의해 선회시켜서 가동 전원단자의 자유단을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분리시키기 위한 구동 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랜턴.
KR1020050107425A 2005-11-10 2005-11-10 방수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 KR100741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425A KR100741512B1 (ko) 2005-11-10 2005-11-10 방수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425A KR100741512B1 (ko) 2005-11-10 2005-11-10 방수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174A true KR20070050174A (ko) 2007-05-15
KR100741512B1 KR100741512B1 (ko) 2007-07-20

Family

ID=38273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425A KR100741512B1 (ko) 2005-11-10 2005-11-10 방수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5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81Y1 (ko) 2017-01-31 2018-03-30 김지업 생활형 방수랜턴
CN108495513A (zh) * 2018-03-14 2018-09-04 陈茂清 智能数控led防水驱动电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620B1 (ko) * 2013-06-11 2014-07-22 (주)우리그린피스 배터리의 장시간 보관이 가능한 led 플래쉬라이트
KR102203207B1 (ko) * 2019-06-13 2021-01-15 주식회사 자니타스코리아 회전 손전등
KR102486870B1 (ko) 2020-11-04 2023-01-10 우용성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이용한 비상용 랜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940Y1 (ko) 2002-09-18 2003-01-06 최종대 완전 방수되는 손전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81Y1 (ko) 2017-01-31 2018-03-30 김지업 생활형 방수랜턴
CN108495513A (zh) * 2018-03-14 2018-09-04 陈茂清 智能数控led防水驱动电源
CN108495513B (zh) * 2018-03-14 2020-03-31 深圳市巨能伟业技术有限公司 智能数控led防水驱动电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1512B1 (ko) 200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9766B2 (en) Light including an electro-optical “photonic” selector switch
US7402961B2 (en) Circuit for illuminating multiple light emitting devices
US7718906B2 (en) Hand-held devices with touch sensing on/off operation
US7281820B2 (en) Lighting module assembly and method for a compact lighting device
US6158451A (en) Lamp means detachably securable on umbrella top
US8456319B2 (en) Switch arrangement for a lighting device
US20070159816A1 (en) Combination task lamp and flash light
US8485683B2 (en) Flashlight with light focusing system
WO2008008677A3 (en) Multi-switch flashlight
KR100741512B1 (ko) 방수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
US20090290333A1 (en) Battery operated rechargeable light
US7448769B1 (en) Extremely portable LED light
JPH088001B2 (ja) 信号灯付き懐中電灯
JP2009266630A (ja) 小型ライト
US6126291A (en) Umbrella having detachable illuminative grip
US10184620B2 (en) Battery life extender for portable lighting
JP2006210029A (ja) 水中ライト
US6933453B1 (en) Switch capable of showing a circle of light thereon
CN214404057U (zh) 一种可照明的新型折叠风扇
US20040080933A1 (en) Torch and a method of operating a torch
KR101484853B1 (ko) 자석을 이용한 소형 엘이디 램프
US20100172142A1 (en) Lighting device for tools and toolboxes
CN210986544U (zh) 一种安全警示灯
JPH07201201A (ja) 照明器
JP2003346544A (ja) 防水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