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870B1 -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이용한 비상용 랜턴 - Google Patents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이용한 비상용 랜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6870B1 KR102486870B1 KR1020200145893A KR20200145893A KR102486870B1 KR 102486870 B1 KR102486870 B1 KR 102486870B1 KR 1020200145893 A KR1020200145893 A KR 1020200145893A KR 20200145893 A KR20200145893 A KR 20200145893A KR 102486870 B1 KR102486870 B1 KR 1024868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ircuit board
- battery
- connector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커넥터와 이들을 상호 연결하면서 일체형 이루는 중계부재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 커넥터의 각 상단부가 나선형 구조를 이루는 단자 접속체로 이루어진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이 구비되고, 이러한 단자 접속 유닛을 적용하여 비상용 랜턴의 기판과 배터리 간의 전기적 접속을 구현함으로써, C형 또는 D형 배터리에 적합하면서 전기적 접촉력이 우수하고 화재나 지진 등의 비상 발생 시 랜턴에 내장된 배터리와 기판 간의 전기적 접촉이 외부 진동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할 때에 항시 조명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이용한 비상용 랜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극 및 음극 단자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C형 또는 D형 배터리에 적합한 단자 접속 유닛으로써, 특히 기판과의 커넥터와 배터리의 음극 단자와의 커넥터 각각이 나선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통전(通電)이 가능하도록 일체형 구조를 이루는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이용한 비상용 랜턴에 관한 기술이다.
화재나 지진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 또는 정전이 되었을 때, 신속하게 탈출이나 대피할 수 있도록 어두워진 실내를 밝히게 위해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하는 비상용 랜턴 및 이의 접촉단자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32787호 (2001.05.21.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랜턴의 접촉단자 조립구조』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1은 전지수용부 내측의 중앙부에 형성된 나사공과 접촉단자가 고정 결합된 고정캡에 통공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개폐뚜껑에 돌설된 나사부가 통공을 관통하여 나사공에 체결되도록 하며, 체결 시 고정캡과 나사부에 소정의 유격이 형성되도록 하되, 전지수용부 내측으로 소정 폭의 돌기부가 내측으로 융기형성하여 돌기부의 양측면으로 고정캡의 스토퍼가 삽입됨으로써, 전원전지를 전지수용부 내측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개폐뚜껑을 폐쇄하더라도 접촉단자가 회전되지 않아 접촉단자가 전원전지나 전지수용부 내측의 부설부품에 접촉되어 구부러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랜턴의 접촉단자 조립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77428호 (2015.06.02.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건전지용 단자조립체』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2는 단자함의 내부에 한 쌍의 고정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슬릿에 단자체가 각각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건전지용 단자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자체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코일이 권취되어 일측으로 평평한 형태의 평단자부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일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스프링 단자부를 구성하고, 상기 평단자부와 상기 스프링 단자부의 사이에는 직선의 중앙 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중앙 연결부는 상기 평단자부와 상기 스프링 단자부의 중심선에서 연장한 가상선 상에 형성됨으로써, 조립 공정 시 작업효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건전지용 단자조립체에 관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41512호 (2007.07.13.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방수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이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3은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격판을 포함하는 하부캡과, 상기 격판의 중앙부에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1돌기부와, 상기 격판의 중앙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돌기부와, 상기 제1돌기부의 후단부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동 노브와, 상기 제1돌기부의 선단부에 고정된 절연판과, 상기 절연판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원추형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선단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이 이루어지고, 자유단이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동 전원단자와, 상기 제2돌기부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동 노브의 선단부를 선회시켜서 가동 전원단자의 자유단을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분리시키는 구동 노브로 구성되는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하부캡의 내/외부에 배치된 한 쌍의 자석을 이용하여 완전 방수를 실현하면서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C형 또는 D형 배터리에 적합하고 기판과 배터리의 음극 단자 각각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전기적 접촉이 항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C형 또는 D형 배터리가 내장되는 비상용 랜턴에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통해 회로기판으로의 전원을 인가하는 구조를 구현하고, 손잡이용 스트링의 인출이 용이한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이용한 비상용 랜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은,
회로기판의 음극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커넥터;
상부 양극단자와 하부 음극단자를 갖는 배터리의 양극단자가 상기 회로기판의 양극접속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음극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커넥터; 및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를 상호 연결하는 중계부재;
를 포함하는 단자 접속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의 각 상단부는 나선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이용한 비상용 랜턴은,
내부 공간부 및 전방 개구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공간부 상부 측에 배치되되 상기 양극접속부와 상기 음극접속부 각각이 상부면에 형성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면 중앙 영역에 실장되는 메인램프;
상기 본체의 공간부 하부 측에 배치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회로기판에 공급하기 위한 단자 접속체(50); 및
상기 회로기판에 상기 양극접속부가 한 쌍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각 양극접속부에 접속되는 한 쌍의 탑터미널과, 상기 회로기판의 하부면에 지지되어 상기 배터리의 양극단자에 접속되는 바텀터미널과, 상기 각 탑터미널과 상기 바텀터미널을 상호 연결하는 중계터미널을 갖는 터미널부재;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이용한 비상용 랜턴은,
C형 또는 D형 배터리에 적합하면서 전기적 접촉력이 우수하고 비상용 랜턴에 적용함으로써, 화재나 지진 등의 비상 발생 시 랜턴에 내장된 배터리와 기판 간의 전기적 접촉이 외부 진동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할 때에 항시 조명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또 손잡이용 스트링 인출 시 간섭 요소를 없애 손쉽게 인출이 가능하여 외부로 빠져나온 중단부를 잡아당기는 동작이 용이하여 인출은 물론, 수납 또한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에서 탄성부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랜턴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랜턴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6은 탑 및 바텀 리세스, 가압돌기부, 서포트 등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단면 구성도,
도 7은 회로기판, 단자 접속체의 제1커넥터 및 터미널부재를 나타낸 분해 입체 구성도,
도 8은 도 7의 결합 입체 구성도,
도 9는 도 8의 측면 구성도,
도 10은 손잡이용 스트링의 수납 및 인출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단면 구성도,
도 11은 격벽 및 라운딩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저면에서 바라본 일부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에서 탄성부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랜턴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랜턴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6은 탑 및 바텀 리세스, 가압돌기부, 서포트 등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단면 구성도,
도 7은 회로기판, 단자 접속체의 제1커넥터 및 터미널부재를 나타낸 분해 입체 구성도,
도 8은 도 7의 결합 입체 구성도,
도 9는 도 8의 측면 구성도,
도 10은 손잡이용 스트링의 수납 및 인출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단면 구성도,
도 11은 격벽 및 라운딩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저면에서 바라본 일부 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를 기준으로 메인램프 측을 상부 또는 상방, 배터리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은,
크게 제1커넥터(51), 제2커넥터(52) 및 중계부재(53)를 포함하는 단자 접속체(5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제1커넥터(51)는
통전(通電)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회로기판(20)의 음극접속부(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제1커넥터(51)의 상단부는 나선형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탄성력을 갖도록 하면서 후술할 본체(10)에 장착 시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51)의 나선형 단부는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20)의 음극접속부(22)에 고정 결합된다.
특히,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제1커넥터(51)는 3~4 피치(pitch)의 나선형 구조를 갖는데, 이때 최하단의 1피치 영역은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수평 형태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최하단의 1피치 영역 전체가 상기 회로기판(20)의 음극접속부(22)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전기 접점 불량을 최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커넥터(52)는
통전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부 양극단자(41)와 하부 음극단자(42)를 갖는 배터리(40)의 양극단자(41)가 상기 회로기판(20)의 양극접속부(21)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40)의 음극단자(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제2커넥터(52)의 상단부는 상기 제1커넥터(51)와 마찬가지로 나선형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탄성력을 갖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40)의 음극단자(42)와의 접속을 항시 유지하도록 하고, 또 상기 배터리(40)의 양극단자(41)와 상기 회로기판(20)의 양극접속부(21) 간의 접속을 항시 유지하도록 하며, 또 상기 배터리(40)에 대한 고정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중계부재(53)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통전이 가능한 금속 재질이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51, 52)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커넥터(51)의 하단부에서 하방 연장되는 제1로드(531),
상기 제1로드(531)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2로드(532), 그리고
상기 제2로드(532)의 전단부에서 우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2커넥터(52)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3로드(53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중계부재(53)는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51, 52)와 상호 일체형 구조로 이룬다.
특히 도 2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중계부재(53)에는 상기 제1로드(531)의 하단부에 C자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부(534)가 더 구비되거나, 또는 도 2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제1로드(531)의 중단부에 C자 형태로 둘 이상의 탄성부(534)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탄성부(534)는 지진 등의 진동이나 휴대 시 흔들림 등의 외력에 의해 후술할 회로기판(20)의 음극접속부(22)와 이에 접속된 상기 제1커넥터(51) 간의 전기적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결국 상기 탄성부(534)가 상기 제1로드(531)를 상하 길이방향으로 탄성 발휘함에 따라 항시 상기 제1커넥터(51)가 회로기판(20)의 음극접속부(22)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이용한 비상용 랜턴은,
크게 본체(10), 회로기판(20), 메인램프(30), 배터리(40), 단자 접속체(50) 및 터미널부재(6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본체(10)는
도 4 내지 도 6,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부(11), 그리고
전방에 상기 공간부(11)와 상호 연통되는 개구부(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전후로 나누어져 볼트 등에 의해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두 분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 상부 측에는 상기 회로기판(20)에 접속된 상기 제1커넥터(51)가 수용되되 가압 수용되게 하는 탑리세스(13)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탑리세스(13) 내에 상기 제1커넥터(51)의 나선형 구조가 압축된 상태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제1커넥터(5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회로기판(20)의 음극접속부(22)에 항시 접속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후술할 터미널부재(60)의 각 탑터미널(61)과 바텀터미널(62) 각각에는 둘 이상의 절곡부(64)가 형성되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 상부 측에는 상기 각 탑터미널(61)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부(14)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각 탑터미널(61)과 바텀터미널(62)은 후술할 회로기판(20)이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에 배치된 상태에서 후술할 배터리(40)가 장착됨에 따라 배터리(40)의 양극단자(41)가 상기 바텀터미널(62)을 가압하고 또 상기 제2커넥터(52)가 압축되면서 이로 인한 탄성력에 의해 회로기판(20)이 상방으로 밀리게 되며, 이때 상기 각 탑터미널(61)이 상기 가압돌기부(14)에 접촉되면서 가압됨으로써 상기 각 탑터미널(61)과 회로기판(20)의 각 양극접속부(21)가 항시 접속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 하부 측에는 상기 배터리(40)의 음극단자(42)에 접속된 상기 제2커넥터(52)의 일부가 수용되되 가압 수용되게 하는 바텀리세스(15)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바텀리세스(15) 내에 상기 제2커넥터(52)의 나선형 구조가 압축된 상태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제2커넥터(52)에 대한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에는 상기 단자 접속체(50)의 제1로드(531)를 지지하는 둘 이상의 서포트(16)가 형성되는데, 상기 서포트(16)는 상기 중계부재(53)의 제1로드(531)가 사이에 끼이도록 좌우에 한 쌍씩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좌우 서포트(16) 사이 간격은 상기 제1로드(531)의 직경과 상응하거나 다소 큰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서포트(16)는 상기 중계부재(53)의 제1로드(531)가 사이에 끼이도록 좌우에 한 쌍씩 배치되되 이들 사이 공간이 U자형의 홈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1로드(531)가 U자형의 홈에 안착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결국 상기 제1로드(531)는 상기 서포트(16)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하로의 이동은 가능하면서 측방향으로의 변형(예 : 휨, 뒤틀림 등)이 방지된다.
이어서 도 4, 도 5,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공간부(11) 하부 측에 사각의 수납공간(171)을 이루도록 세워지는 격벽들(17)과, 상기 수납공간(171) 하부 측에서 외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인출홀(18)과, 상기 각 인출홀(18)로 삽입된 각 단부를 잡아맨 매듭부(191) 및 상기 각 인출홀(18)의 외부 측에 배치되는 그립부(192)를 갖는 손잡이용 스트링(19)과, 상기 격벽들(17) 중 좌우측 단부에 배치된 두 격벽(17)의 상단에 형성되는 라운딩부(19A)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공간(171)에 수납된 상기 스트링(19)의 매듭부(191) 또는 이의 주변 영역을 잡고 당길 때에 상기 격벽들(17)과 상기 라운딩부(19A)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171)으로부터 간섭 없이 상기 스트링(19)의 인출이 용이한 것이다.
이어서 상기 본체(10)의 후면에는 상기 배터리(40)의 출입을 위한 배터리커버(103)가 구비되고, 상기 스트링(19)은 중단에 해당하는 상기 그립부(192)가 상기 본체(10)의 하부 측, 즉 상기 각 인출홀(18)을 통해 빠져나와 노출됨으로써, 노출된 중단을 잡고 잡아당기게 되면 일정 길이만큼 빠져나오게 된다. 반대로 빠져나온 상기 그립부(192)는 상기 공간부(11) 측에 배치된 상기 매듭부(191) 측을 반대로 잡아당겨 은닉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배터리커버(103)는 상기 배터리(40)가 위치한 공간부(11) 뿐만 아니라 상기 스트링(19)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71)까지 커버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상기 개구부(12) 측에 배치되는 집광렌즈(101) 및 이를 보호하는 렌즈커버(102)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집광렌즈(101)는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2) 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지지체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커버(102)는 상기 본체(10)를 이루는 두 분체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두 분체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정 구조는 일예이고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2) 측에 상기 집광렌즈(101)와 상기 렌즈커버(102)를 고정시키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에는 상기 단자 접속체(50)의 제1 및 제2 커넥터(51, 52) 사이에 배치되도록 세워지는 펜스(104)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51, 52)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20)은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 상부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전기 회로가 편성되어 있는 통상의 회로기판으로서,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 상부 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2)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집광렌즈(101)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데,
상부면 우측에 양극접속부(21)와 상부면 좌측에 한 쌍의 음극접속부(22)가 형성되는 단면 회로 기판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램프(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20)의 상부면 중앙 영역에 실장되는 엘이디(LED) 등의 램프로서, 상기 회로기판(20)에서 상기 집광렌즈(101)의 중심과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상용 랜턴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메인램프(30)의 점멸을 제어하는 별도의 스위칭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 하부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부 양극단자(41)와 하부 음극단자(42)를 갖는 리튬이온이나 리튬폴리머 등의 재료로 만든 C형 또는 D형의 배터리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배터리(40)의 전원은 상기 단자 접속체(50) 및 후술할 터미널부재(60)에 의해서 상기 회로기판(20)에 공급된다.
상기 터미널부재(60)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20)에 상기 양극접속부(21)가 한 쌍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각 양극접속부(21)에 접속되는 한 쌍의 탑터미널(61),
상기 회로기판(20)의 하부면에 지지되어 상기 배터리(40)의 양극단자(41)에 접속되는 바텀터미널(62), 그리고
상기 각 탑터미널(61)과 상기 바텀터미널(62)을 상호 연결하는 중계터미널(6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 탑터미널(61)과 바텀터미널(62) 각각에는 둘 이상의 절곡부(64)가 형성된다.
상기 각 탑터미널(61)과 상기 바텀터미널(62) 간의 간격은 상기 회로기판(20) 보다 작음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20)에 억지 끼움 되는 형태로 삽입 장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이용한 비상용 랜턴"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공간부
12 : 개구부
13 : 탑리세스
14 : 가압돌기부
15 : 바텀리세스
16 : 서포트
17 : 격벽
171 : 수납공간
18 : 인출홀
19 : 스트링
191 : 매듭부
192 : 그립부
19A : 라운딩부
101 : 집광렌즈
102 : 렌즈커버
103 : 배터리커버
104 : 펜스
20 : 회로기판
21 : 양극접속부
22 : 음극접속부
30 : 메인램프
40 : 배터리
41 : 양극단자
42 : 음극단자
50 : 단자 접속체
51 : 제1커넥터
52 : 제2커넥터
53 : 중계부재
531 : 제1로드
532 : 제2로드
533 : 제3로드
534 : 탄성부
60 : 터미널부재
61 : 탑터미널
62 : 바텀터미널
63 : 중계터미널
64 : 절곡부
11 : 공간부
12 : 개구부
13 : 탑리세스
14 : 가압돌기부
15 : 바텀리세스
16 : 서포트
17 : 격벽
171 : 수납공간
18 : 인출홀
19 : 스트링
191 : 매듭부
192 : 그립부
19A : 라운딩부
101 : 집광렌즈
102 : 렌즈커버
103 : 배터리커버
104 : 펜스
20 : 회로기판
21 : 양극접속부
22 : 음극접속부
30 : 메인램프
40 : 배터리
41 : 양극단자
42 : 음극단자
50 : 단자 접속체
51 : 제1커넥터
52 : 제2커넥터
53 : 중계부재
531 : 제1로드
532 : 제2로드
533 : 제3로드
534 : 탄성부
60 : 터미널부재
61 : 탑터미널
62 : 바텀터미널
63 : 중계터미널
64 : 절곡부
Claims (7)
- 삭제
- 삭제
- 삭제
- 내부 공간부(11) 및 전방 개구부(12)를 갖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 상부 측에 배치되되 양극접속부(21)와 음극접속부(22) 각각이 상부면에 형성되는 회로기판(20);
상기 회로기판(20)의 상부면 중앙 영역에 실장되는 메인램프(30);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 하부 측에 배치되는 배터리(40);
상기 배터리(40)의 전원을 상기 회로기판(20)에 공급하기 위한 단자 접속체(50); 및
상기 회로기판(20)에 상기 양극접속부(21)가 한 쌍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각 양극접속부(21)에 접속되는 한 쌍의 탑터미널(61)과, 상기 회로기판(20)의 하부면에 지지되어 상기 배터리(40)의 양극단자(41)에 접속되는 바텀터미널(62)과, 상기 각 탑터미널(61)과 상기 바텀터미널(62)을 상호 연결하는 중계터미널(63)을 갖는 터미널부재(60);
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접속체(50)는 상기 회로기판(20)의 음극접속부(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커넥터(51)와, 상부 양극단자(41)와 하부 음극단자(42)를 갖는 상기 배터리(40)의 양극단자(41)가 상기 회로기판(20)의 양극접속부(21)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40)의 음극단자(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커넥터(52)와,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51, 52)를 상호 연결하는 중계부재(5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51, 52)의 각 상단부는 나선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계부재(53)는 상기 제1커넥터(51)의 하단부에서 하방 연장되는 제1로드(531)와, 상기 제1로드(531)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2로드(532)와, 상기 제2로드(532)의 전단부에서 우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2커넥터(52)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3로드(5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계부재(53)에는 상기 제1로드(531)의 중단부에 C자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부(534)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이용한 비상용 랜턴.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 상부 측에는 상기 회로기판(20)에 접속된 상기 제1커넥터(51)가 수용되되 가압 수용되게 하는 탑리세스(13)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부재(60)의 각 탑터미널(61)과 바텀터미널(62) 각각에는 둘 이상의 절곡부(64)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 상부 측에는 상기 각 탑터미널(61)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부(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이용한 비상용 랜턴.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 하부 측에는 상기 배터리(40)의 음극단자(42)에 접속된 상기 제2커넥터(52)의 일부가 수용되되 가압 수용되게 하는 바텀리세스(15)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에는 상기 단자 접속체(50)의 제1로드(531)를 지지하는 둘 이상의 서포트(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이용한 비상용 랜턴.
-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공간부(11) 하부 측에 사각의 수납공간(171)을 이루도록 세워지는 격벽들(17)과, 상기 수납공간(171) 하부 측에서 외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인출홀(18)과, 상기 각 인출홀(18)로 삽입된 각 단부를 잡아맨 매듭부(191) 및 상기 각 인출홀(18)의 외부 측에 배치되는 그립부(192)를 갖는 손잡이용 스트링(19)과, 상기 격벽들(17) 중 좌우측 단부에 배치된 두 격벽(17)의 상단에 형성되는 라운딩부(19A)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171)에 수납된 상기 스트링(19)의 매듭부(191) 또는 이의 주변 영역을 잡고 당길 때에 상기 격벽들(17)과 상기 라운딩부(19A)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171)으로부터 상기 스트링(19)의 인출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이용한 비상용 랜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5893A KR102486870B1 (ko) | 2020-11-04 | 2020-11-04 |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이용한 비상용 랜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5893A KR102486870B1 (ko) | 2020-11-04 | 2020-11-04 |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이용한 비상용 랜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0193A KR20220060193A (ko) | 2022-05-11 |
KR102486870B1 true KR102486870B1 (ko) | 2023-01-10 |
Family
ID=8160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5893A KR102486870B1 (ko) | 2020-11-04 | 2020-11-04 |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이용한 비상용 랜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6870B1 (ko)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0017Y1 (ko) * | 1989-10-20 | 1992-01-15 | 석찬복 | 회중전등의 회로부재 |
KR200232787Y1 (ko) | 2001-02-23 | 2001-09-28 | 서울삼강조명공업주식회사 | 랜턴의 접촉단자 조립구조 |
KR20040061194A (ko) * | 2002-12-30 | 2004-07-07 | 박성용 | 2미터 전방에서 20센치미터 초점간에 그림자 없는 휴대용비상 조명등 |
KR100741512B1 (ko) | 2005-11-10 | 2007-07-20 | 윤한선 | 방수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 |
KR20100077831A (ko) * | 2008-12-29 | 2010-07-08 | 세원정밀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스프링 |
KR200477428Y1 (ko) | 2013-08-12 | 2015-06-09 | 주식회사 아이레보 | 건전지용 단자조립체 |
-
2020
- 2020-11-04 KR KR1020200145893A patent/KR102486870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0193A (ko) | 2022-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20880B1 (en) | Electric outlets | |
US3843854A (en) | Switch-incorporating plug socket | |
KR102486870B1 (ko) | 더블형 단자 접속 유닛을 이용한 비상용 랜턴 | |
CN207852540U (zh) | 一种带灯防水翘板开关 | |
CN214849440U (zh) | 适配器和轨道插座 | |
CN110649195B (zh) | 一种新型多面接触、低阻抗接插式电池盒 | |
CN107994752B (zh) | 一种自发电装置及具有该发电装置的无线开关 | |
EP1304751A3 (de) | Elektrischer Akkumulator | |
CN210517204U (zh) | 安全插头 | |
CN219937217U (zh) | 电池盒 | |
US2745950A (en) | Keyless three way light socket | |
CN215771833U (zh) | 电流转换器 | |
CN214176962U (zh) | 一种供电连接结构及供电装置 | |
CN217788921U (zh) | 一种连接器 | |
CN205878089U (zh) | 一种无线开关固定器 | |
CN218101032U (zh) | 一种一位单极开关 | |
CN214071753U (zh) | 一种气溶胶发生器的供电装置及气溶胶发生器 | |
CN216847892U (zh) | 智能低压分路监测终端 | |
CN220155687U (zh) | 一种usb接口电池盒 | |
KR200382283Y1 (ko) | 2극 스위치가 부착된 멀티콘센트 | |
CN219955245U (zh) | 一种双重接电的磁吸灯结构 | |
CN215578134U (zh) | 一种互感器 | |
CN212848247U (zh) | 高稳定安全小型断路器 | |
CN2353062Y (zh) | 旋钮式开关灯头 | |
CN215496484U (zh) | 一种多位带灯自锁按键开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