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101A - 무선 기지국,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이동 통신 시스템 및이동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기지국,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이동 통신 시스템 및이동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101A
KR20070050101A KR1020077008747A KR20077008747A KR20070050101A KR 20070050101 A KR20070050101 A KR 20070050101A KR 1020077008747 A KR1020077008747 A KR 1020077008747A KR 20077008747 A KR20077008747 A KR 20077008747A KR 20070050101 A KR20070050101 A KR 20070050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band signal
signal
dpdch
transmiss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후미 우스다
아닐 우메시
다케히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70050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ther detection of signalling, e.g. detection of TFCI explicit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using multiple or variable r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7Efficiency-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무선 기지국은, 수신한 오버 샘플링된 기저대역 신호를 저장하는 신호 저장부,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형식을 판정하는 형식 판정부, 및 형식 판정부에 의한 판정 후에, 신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저대역 신호를 형식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전송 형식에 따라 역확산하는 역확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무선 기지국,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방법{RADIO BASE STATION, RADIO LINE CONTROL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무선 기지국,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접속)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통신용의 업링크에서, 무음시에, 유음시에 비해 적은 비트 수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 또는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저감시켜, 무선 채널 용량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 통신용의 업링크에서도, 이동국의 송신 데이터가 적은 경우, 해당 송신 데이터만을 송신하는 것, 또는 데이터 송신이 행해지지 않고 있는 구간에서 제어 비트나 파일럿 비트 이외의 송신을 오프로 하는 것에 의하여, 간섭을 저감시켜, 무선 채널 용량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전용 채널에서의 전송 형식이 여러 개 규정되어 있다.
종래의 무선 기지국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DPDCH 복호부(225)의 DPDCH #1 역확산부(2271)~DPDCH #n 역확산부(227n)가 각각 기저 대역 신호 수신의 초기 단계에서, DPDCH(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상위 계층에 의해 설정된 전송 형식(TF: Transport Format) 세트(TFS: Transpoort Format Set)에서의 최소의 확산율을 사용하여 역확산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DPDCH #1 역확산부(2271)~DPDCH #n 역확산부(227n)는, 역확산 후의 데이터를, 버퍼(226)에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버퍼(226)의 용량은, DPDCH마다 할당되어 있다.
그 후, DPCCH 복호부(221)에 의해, DPCCH(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에 매핑되어 있는 TFCI(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가 복호된 시점에서, 복호된 TFCI가 나타내는 TF가 최소의 확산율이 아닌 경우에는, DPDCH #1 재-역확산부(2241)~DPDCH #n 재-역확산부(224n)가, TFCI가 나타내는 TF의 확산율을 사용하여 재-역확산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DPDCH #1 레이크(RAKE) 합성부(2281)~DPDCH #n 레이크(RAKE) 합성부(228n)가 재-역확산 후의 신호를 레이크(RAKE)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사용자 데이터 복호부(229)가 합성 후의 신호를 복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제2004-179990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무선 기지국은, 재-역확산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복잡한 장치 구성이나 복잡한 제어가 필요하다.
또한, 최소의 확산율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역확산 신호의 심볼 수는, TFS에서의 최소의 확산율이 낮을수록 많게 되어, 필요로 하는 버퍼의 용량이 많아지게 된다. 또한, 최대 전송 속도가 고속의 TF를 사용하는 DPDCH가 많아지는 만큼, 필요로 하는 버퍼의 용량이 커지게 된다.
그러나, 버퍼의 용량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최대 전송 속도를 고속으로 한 경우에는, 무선 기지국에 접속가능한 이동국의 수가 제한되어 버린다. 반대로, 이동국의 접속 수를 늘린 경우에는, 최대 전송 속도를 작게 할 필요가 생긴다.
용량이 큰 버퍼를 설치하면, 이동국의 접속 수 및 최대 전송 속도의 양쪽을 크게 할 수 있지만, 그렇게 되면 장치 규모가 커지게 된다.
또한, 최초에 최대 전송 속도가 비교적 낮은 TFS를 전용 채널에 할당하고, 그 후, 사용되는 TF가 최대 전송 속도로 되는 시간이 긴 전용 채널에 대하여 TFS의 갱신을 행하여, 최대 전송 속도를 고속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TFS의 갱신에 대하여 무선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절충을 할 필요가 생기고, 무선 기지국이나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이 버퍼 용량의 할당에 관한 복잡한 관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새로운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치 구성이나 제어의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고, 이동국의 접속 수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기지국,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무선 기지국으로서, 수신한 오버 샘플링된 기저대역 신호를 저장하는 신호 저장부,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형식을 판정하는 형식 판정부, 및 형식 판정부에 의한 판정 후에, 신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저대역 신호를, 형식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전송 형식에 따라 역확산하는 역확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이, 판정된 전송 형식에 기초하여,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속도의 합계값을 계산하고, 전송 속도의 합계값에 따라 역확산을 행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선택하는 신호 선택부를 구비하며, 역확산부는 신호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기저대역 신호를 역확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신호 선택부는, 전송 속도의 합계값이 임계 합계값 미만인 경우, 모든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역확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전송 속도의 합계값에 기초하여, 전송 속도의 변경을 이동국에 지시하는 전송 속도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으로서, 수신한 오버 샘플링된 기저대역 신호를 저장하는, 무선 기지국이 구비하는 신호 저장부의 축적량을 사용하지 않고, 무선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간섭량에 기초하여, 이동국에 관한 호의 접수 또는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수신한 오버 샘플링된 기저대역 신호를 저장하는 신호 저장부를 구비하고,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형식을 판정하며, 이러한 판정 후에, 신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저대역 신호를, 판정된 전송 형식에 따라 역확산하는 무선 기지국과, 신호 저장부의 축적량을 사용하지 않고, 무선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간섭량에 기초하여, 이동국에 관한 호의 접수 또는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이동 통신 방법으로서, 신호 저장부에, 수신한 오버 샘플링된 기저대역 신호를 저장하고,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형식을 판정하며, 판정 후에, 신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저대역 신호를, 판정된 전송 형식에 따라 역확산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송수신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의 (a) 내지 도 5의 (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송수신부에서의 신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DPCCH 및 DPDCH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TFS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의 처리 단계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의 호의 접수 제어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의 전송 속도 제어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이동국(10a, 10b, 10c), 무선 기지국(20),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 및 교환기망(40)을 구비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100)은 이동국(10a~10c)과 무선 기지국(20) 사이의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접속)를 사용한다.
이동국(10a~10c)은, 각각 무선 채널(50a~50c)을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20)과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무선 채널에는, 이동국(10a~10c)으로부터 무선 기지국(2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업링크 채널과, 무선 기지국(20)으로부터 이동국(10a~10c)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다운링크 채널이 있다. 또한, 무선 채널에는, 각 이동국(10a~10c)에 개별의 전용 채널과 복수 개의 이동국(10a~10c)에 공통되는 공통 채널이 있다.
무선 기지국(20)은 이동국(10a~10c)과 무선 통신을 행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은 이동국(10a~10c)과 무선 기지국(20) 사이의 무선 통신을 제어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은 무선 기지국(20)의 상위에 위치한다. 교환기망(40)은 교환기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이다.
다음에, 무선 기지국(2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20)은 HWY 인터페이스(20a),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20b), 제어부(20c), 송수신부(20d), 증폭부(20e), 및 송수신 안테나(20f)를 구비한다.
HWY 인터페이스(20a)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과의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스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HWY 인터페이스(20a)는 이동국(10a~10c)에 송신하는 사용자 데이터 또는 무선 기지국(20)에 대한 제어 신호를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HWY 인터페이스(20a)는,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를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20b)에 입력하고, 수신한 제어 신호를 제어부(20c)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HWY 인터페이스(20a)는, 이동국(10a~10c)으로부터 무선 기지국(20)에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를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20b)로부터 취득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HWY 인터페이스(20a)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제어부(20c)로부터 취득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2Oc)는 호 제어나 전송 속도 제어 등의 각종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어부(2Oc)는, 이동국(10a~10c)에 송신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20b)에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20c)는, HWY 인터페이스(20a)를 통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과의 사이에서 제어 신호의 교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20c)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으로부터의 전송 속도 또는 호 처리에 관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동국(10a~10c)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20c)는, 무선 기지국(20)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20b)나 송수신부(20d)의 상태 관리, 또는 계층-3에 의한 하드웨어의 리소스 할당 등을 수행하 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20b)는, 이동국(10a~10c)에 송신하는 사용자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에 대한 신호 처리, 또는 이동국(10a~10c)으로부터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20b)는, 이동국(10a~10c)에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예를 들면 에러 정정 부호화, 데이터 변조, 확산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20b)는, 이동국(10a~10c)으로부터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역확산, 레이크(RAKE) 합성, 에러 정정 복호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20b)에 의해 행해지는 신호 처리는 계층-1에서의 신호 처리이다.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20b)는, HWY 인터페이스(20a)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취득하고, 제어부(20c)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취득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며, 신호 처리 후의 기저대역 신호를 송수신부(20d)에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20b)는, 송수신부(20d)로부터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를 취득하고, 신호 처리 후의 사용자 데이터를 HWY 인터페이스(20a)에 제공하며, 신호 처리 후의 제어 데이터를 제어부(20c)에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수신부(20d)는, 이동국(10a~10c)과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부(20d)는,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20b)로부터 이동국(10a~10c)에 송신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취득하여, 무선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부(20d)는, 변환 후의 신호를 증폭부(20e)에 제공하고, 증폭부(20e) 및 송수신 안테나(20f)를 통하여 이동국(10a~10c)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부(20d)는, 송수신 안테나(20f) 및 증폭부(20e)를 통하여, 이동국(10a~10c)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부(20d)는, 수신한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20b)에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부(20d)는, 이동국(10a~10c)과의 사이에서의 무선 채널(50a~ 50c)의 간섭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송수신부(20d)는, 간섭량으로서, 예컨대 간섭 전력, CIR(Carrier to Interference Ratio), SIR(Signal to Interference Ratio), 또는 SN(Signal to Noise)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부(20d)는 간섭량의 측정값을 제어부(20c)에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증폭부(20e)는, 송수신부(20d)로부터 이동국(10a~10c)으로의 신호를 취득하여 증폭하고, 증폭한 신호를 송수신 안테나(20f)를 통하여 이동국(10a~10c)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증폭부(20e)는, 송수신 안테나(20f)가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여, 송수 신부(20d)에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송수신부(20d)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수신부(20d)는, 주파수 변환부(20d1), 대역 통과 필터(20d2), 주파수 변환부(20d3), 및 표본화 양자화부(20d4)를 구비하고 있다.
주파수 변환부(20d1)는, 안테나(20f) 및 증폭부(20e)로부터 수신한 RF 신호 A[도 5의 (a) 참조]에 대해서, 무선 주파수대에서 중간 주파수대로 하향 변환(down convert)을 행하여, IF 신호 B[도 5의 (b) 참조]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역 통과 필터(20d2)는, IF 신호 B로부터, 원하는 신호가 중첩되어 있는 주파수의 신호만을 추출하여, IF 신호 C[도 5의 (c) 참조]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파수 변환부(20d3)는, IF 신호 C를, 연속적인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인 IF 신호 D(연속 값)[도 5의 (d) 및 도 5의 (e) 참조]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표본화 양자화부(20d4)는, IF 신호 D(연속 값)를, 이산적인 디지털의 기저대역 신호인 BB 신호 E(이산 값)[도 5의 (f) 참조]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송수신부(2Od)는, 오버 샘플링된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여,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20b)의 버퍼(26)에 저장한다.
다음에,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20b)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20b)에서의 수신 기능 부분을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 와 같이,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20b)는, DPCCH 복호부(21)와 DPDCH 복호부(25)를 구비한다.
DPCCH 복호부(21)는, DPCCH(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에 의해 수신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PDCH 복호부(25)는, DPDCH(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에 의해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PCCH 및 DPDCH는, 이동국(10a~10c)마다 개별로 사용하는 전용 채널로서, 업링크 채널이다. 도 7에, DPDCH(1) 및 DPCCH(2)의 구성을 나타낸다(3GPP TS 25.211 V5.5.0 참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무선 프레임(Tf= 10ms)은 15개의 슬롯 #0~#14(Tslot = 2560 칩, 10 비트)로 분할되어 있다.
DPCCH(2)는 제어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DPCCH(2)에는, 제어 데이터로서, 파일럿 심볼(Pilot), TFCI(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피드백 정보(FBI), 또는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TPC) 등이 매핑된다.
DPDCH(1)는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된다. DPDCH(1)에는 사용자 데이터가 매핑된다.
여기서, TFCI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형식(TF: Transport Format)을 나타내는 전송 형식 식별자이다.
도 8에, 전송 형식(TF)의 세트(TFS: Transport Format Set)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최대 전송 속도가 40kbps인 TFS를 나타낸다.
또한, 도 8의 예에서는, 3GPP로 표준화되어 있는 W-CDMA와 마찬가지로, 칩 레이트를 3.84Mbps로 하고, 에러 정정 부호화 비율을 1/3로 하며, 변조 방식을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으로 하고, 에러 정정 부호화 단위(프레임)를 10ms로 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TFS는 5종류의 전송 형식(TF)을 가진다. "TFCI: TF #0"은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이 없는 경우를 나타낸다. 전송 형식(TF)은, 확산율(SF: Spreading Factor), 하나의 무선 프레임당 심볼 수(심볼/프레임), 및 전송 속도로 규정되어 있다. 각 전송 형식(TF)에는 TFCI가 부여되어 있다.
전송 형식(TF)은, 이동국(10a~10c)에 의해, 이동국(10a~10c)의 송신 버퍼에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면, 송신 버퍼에 사용자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TFCI: TF #0"이 선택된다. 송신 버퍼에 대량의 사용자 데이터(예를 들면, 1M 비트)가 축적되어 있으려면, 최대 전송 속도가 40kbps로 되는 "TFCI: TF #4"가 선택된다.
이동국(10a~10c)은, DPCCH(2)에 의해, 사용한 전송 형식(TF)을 나타내는 TFCI를 아웃 밴드(out-band)로 송신한다.
도 6에 나타내는 DPCCH 복호부(21)에는, 송수신부(20d)가 DPCCH에 의해 수신한 오버 샘플링된 역확산 이전의 기저대역 신호가 입력된다.
DPDCH 복호부(25)에는, 송수신부(20d)가 DPDCH에 의해 수신한 오버 샘플링된 역확산 이전의 기저대역 신호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기저대역 신호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DPDCH와 제어 데이 터를 포함하는 DPCCH로 분기되어, 각각 처리가 행해진다.
DPCCH 복호부(21)는 DPCCH #1 역확산부(221)~DPCCH #n 역확산부(22n), DPCCH #1 레이크(RAKE) 합성부(231)~DPCCH #n 레이크(RAKE) 합성부(23n), 및 DPCCH #1 제어 데이터 복호부(241)~DPCCH #n 제어 데이터 복호부(24n)를 구비한다.
DPCCH #1 역확산부(221)~DPCCH #n 역확산부(22n), DPCCH #1 레이크(RAKE) 합성부(231)~DPCCH #n 레이크(RAKE) 합성부(23n), 및 DPCCH #1 제어 데이터 복호부(241)~DPCCH #n 제어 데이터 복호부(24n)는, DPCCH #1~DPCCH #n마다 설치된다.
DPCCH #1 역확산부(221)~DPCCH #n 역확산부(22n)는, 각각 DPCCH #1~DPCCH #n에 의해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를 역확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DPCCH #1 역확산부(221)~DPCCH #n 역확산부(22n)는, 역확산에 의해 얻어진 복수 개의 심볼을 각각 DPCCH #1 레이크(RAKE) 합성부(231)~DPCCH #n 레이크(RAKE) 합성부(23n)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PCCH #1 레이크(RAKE) 합성부(231)~DPCCH #n 레이크(RAKE) 합성부(23n)는, 각각 DPCCH #1 역확산부(221)~DPCCH #n 역확산부(22n)로부터 입력된 심볼을 레이크(RAKE)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PCCH #1 레이크(RAKE) 합성부(231)~DPCCH #n 레이크(RAKE) 합성부(23n)는, 각각 합성 후의 제어 신호를, DPCCH #1 제어 데이터 복호부(241)~DPCCH #n 제어 데이터 복호부(24n)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PCCH #1 제어 데이터 복호부(241)~DPCCH #n 제어 데이터 복호부(24n)는, 각각 DPCCH #1 레이크(RAKE) 합성부(231)~DPCCH #n 레이크(RAKE) 합성부(23n)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를 복호하여, 제어 데이터를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무선 기지국(20)이 접속되어 있는 각 DPCCH #1~DPCCH #n의 TF CI #1~TFCI #n이 복호된다.
이와 같이 하여, DPCCH 복호부(21)는, DPCCH에 의해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전송 형식(TF)을 나타내는 TFCI를 얻는 것에 의하여, 전송 형식(TF)을 판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DPCCH 복호부(21)는, 송수신부(20d)가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형식(TF)을 판정하는 형식 판정부로서 기능한다.
DPCCH #1 제어 데이터 복호부(241)~DPCCH #n 제어 데이터 복호부(24n)는, TFCI #1~TFCI #n을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DPDCH 복호부(25)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PDCH 복호부(25)는, 버퍼(26), 신호 선택부(26a),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 DPDCH #1 레이크(RAKE) 합성부(281)~DPDCH #n 레이크(RAKE) 합성부(28n), 및 사용자 데이터 복호부(29)를 구비한다.
버퍼(26)는 송수신부(20d)가 DPDCH에 의해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가 저장되는 신호 저장부이다. 그리고, 송수신부(20d)는, DPDCH에 의해 수신한 오버 샘플링된 역확산 이전의 기저대역 신호를 버퍼(26)에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버퍼(26)는, DPDCH의 TTI(Transmit Timing Interval) 이상의 기간 동안, 기저대역 신호를 유지(버퍼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TTI는 송신 블록의 시간 길이이다.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 및 DPDCH #1 레이크(RAKE) 합성부(281)~DPDCH #n 레이크(RAKE) 합성부(28n)는, DPDCH #1~DPDCH #n마다 설치된다.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 및 DPDCH #1 레이크(RAKE) 합성부(281)~DPDCH #n 레이크(RAKE) 합성부(28n)는, 각각 DPCCH 복호부(21)로부터 DPDCH #1~DPDCH #n에 대응하는 DPCCH #1~DPCCH #n의 제어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 DPDCH #1 레이크(RAKE) 합성부(281)~DPDCH #n 레이크(RAKE) 합성부(28n), 및 사용자 데이터 복호부(29)는, DPCCH 복호부(21)로부터 복호 후의 제어 데이터를 취득하면, 취득한 제어 데이터를 사용하여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어 데이터로서 TFCI가 판정된 후에, 역확산 처리 레이크(RAKE) 합성 처리 및 에러 정정 복호 처리가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 DPDCH #1 레이크(RAKE) 합성부(281)~DPDCH #n 레이크(RAKE) 합성부(28n), 사용자 데이터 복호부(29), 및 신호 선택부(26a)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TFS에 관한 정보를 미리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 DPDCH #1 레이크(RAKE) 합성부(281)~DPDCH #n 레이크(RAKE) 합성부(28n), 사용자 데이터 복호부(29), 및 신호 선택부(26a)는, 유지하는 TFS를 참조함으로써, TFCI #1~TFCI #n가 나타내는 구체적인 전송 형식(TF)의 내용을 구할 수 있다.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는, 각각 DPDCH #1~DPDCH #n에 의해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를 역확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는, 각각 DPCCH 복호부(21)로부터 취득한 DPCCH #1~DPCCH #n의 제어 데이터에 포함되는 TFCI #1~TFCI #n을 사용하여 역확산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는, TFCI #1~TFCI #n가 나타내는 전송 형식(TF)의 확산율(SF)을 사용하여 역확산을 행한다.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는, 각각 DPCCH 복호부(21)로부터 TFCI #1~TFCI #n을 취득하면, 버퍼(26)로부터 DPDCH #1~DPDCH #n에 의해 수 신한 기저대역 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는, 각각 TFCI #1~TFCI #n이 나타내는 전송 형식(TF)에 따라, 샘플링 데이터를 추출하여 역확산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는, DPCCH 복호부(21)에 의한 전송 형식(TF)의 판정 후에, 버퍼(26)에 저장되어 있는 기저대역 신호를, DPCCH 복호부(21)에 의해 판정된 TFCI가 나타내는 전송 형식(TF)에 따라 역확산하는 역확산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는, 역확산에 의해 얻어진 복수 개의 심볼을, 각각 DPDCH #1 레이크(RAKE) 합성부(281)~DPDCH #n 레이크(RAKE) 합성부(28n)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PDCH #1 레이크(RAKE) 합성부(281)~DPDCH #n 레이크(RAKE) 합성부(28n)는, 각각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로부터 입력된 심볼을 레이크(RAKE)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PDCH #1 레이크(RAKE) 합성부(281)~DPDCH #n 레이크(RAKE) 합성부(28n)는, 각각 DPCCH 복호부(21)로부터 취득한 TFCI #1~TFCI #n이 나타내는 전송 형식(TF)에 따라, 레이크(RAKE) 합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PDCH #1 레이크(RAKE) 합성부(281)~DPDCH #n 레이크(RAKE) 합성부(28n)는, 합성 후의 사용자 데이터 신호를 사용자 데이터 복호부(29)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 데이터 복호부(29)는, DPDCH #1 레이크(RAKE) 합성부(281)~DPDCH #n 레이크(RAKE) 합성부(28n)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 신호의 에러 정정 복호를 행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데이터 복호부(29)는, DPCCH 복호부(21)로부터 취득한 TFCI #1~TFCI #n이 나타내는 전송 형식(TF)에 따라, 각 DPDCH의 사용자 데이터 신호의 에러 정정 복호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복호부(29)는, 복호 후의 사용자 데이터를 HWY 인터페이스(20a)에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는 상위 계층 기능부에 전송된다.
이 경우, 신호 선택부(26a)는 DPCCH 복호부(21)로부터 DPDCH #1~DPDCH #n에 대응하는 TFCI #1~TFCI #n을 취득해도 된다.
또한, 신호 선택부(26a)는, 판정된 전송 형식(TF)에 기초하여,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속도의 합계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호 선택부(26a)는, 전송 속도의 합계값에 따라 역확산을 행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호 선택부(26a)는, 취득한 TFCI #1~TFCI #n에 기초하여, TFCI #1~TFCI #n이 나타내는 전송 형식(TF)의 전송 속도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신호 선택부(26a)는, 송수신부(20d)가 각 DPDCH #1~DPDCH #n에 의해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속도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선택부(26a)는,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속도의 합계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신호 선택부(26a)는, 각 DPDCH #1~DPDCH #n에 의해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의 합계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호 선택부(26a)는, DPDCH #1~DPDCH #n에 의해 수신한 모든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전송 속도의 합계값의 임계값(이하 "임계 합계값"이라고 함)을 미리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송 속도의 임계 합계값은,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 DPDCH #1 레이크(RAKE) 합성부(281)~DPDCH #n 레이크(RAKE) 합성부(28n), 또는 사용자 데이터 복호부(29)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 능력 등에 기초하여 규정할 수 있다.
신호 선택부(26a)는, 전송 속도의 합계값과 임계 합계값을 비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신호 선택부(26a)는, 전송 속도의 합계값이 임계 합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DPDCH #1~DPDCH #n에 의해 수신한 모든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모든 기저대역 신호를, 역확산을 행하는 기저대역 신호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호 선택부(26a)는, 전송 속도의 합계값이 임계 합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DPDCH #1~DPDCH #n에 의해 수신한 모든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몇 개의 DPDCH에 의한 기저대역 신호를, 역확산을 행하는 기저대역 신호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호 선택부(26a)는, 역확산을 행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무작위로 선택해도 되고, 미리 규정된 DPDCH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선택해도 되며, 미리 규정된 DPDCH의 선택 순서에 기초하여 순서대로 선택해도 된다.
신호 선택부(26a)는, 선택 결과에 기초하여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선택부(26a)는, 선택된 DPDCH의 기저대역 신호의 처리를 행하는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에, 역확산을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이 경우,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는, 신호 선택부(26a)로부터 지시를 받았을 경우에만 역확산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는, 신호 선택부(26a)에 의해 선택된 기저대역 신호를 역확산한다. 그리고, 역확산을 행한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만, 역확산 후의 심볼을, DPDCH #1 레이크(RAKE) 합성부(281)~DPDCH #n 레이크(RAKE) 합성부(28n)에 입력한다.
그러므로, DPDCH #1 레이크(RAKE) 합성부(281)~DPDCH #n 레이크(RAKE) 합성부(28n)도, 신호 선택부(26a)에 의해 선택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해서만 레이크(RAKE) 합성을 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데이터 복호부(29)도, 신호 선택부(26a)에 의해 선택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해서만 에러 정정 복호를 행한다.
그리고, 전송 속도의 임계 합계값은,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 DPDCH #1 레이크(RAKE) 합성부(281)~DPDCH #n 레이크(RAKE) 합성부(28n), 사용자 데이터 복호부(29)의 처리 능력에 기초하여, DPDCH 복호부(25)가 처리가능한 데이터량의 최대값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신호 선택부(26a)는, 역확산 처리 레이크(RAKE) 합성 처리 및 에러 정정 복호 처리를, 모든 DPDCH에 의해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행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역확산해야 할 DPDCH에 의한 기저대역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한 DPDCH에 의해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해서만, 역확산 처리, 레이크(RAKE) 합성 처리, 에러 정정 복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신호 선택부(26a)는, DPDCH 복호부(25)가 최대한 처리가능한 만큼 기저대역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기지국(20)은, 자신이 구비하는 하드웨어 리소스를 최대한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복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신호 선택부(26a)에 의해 선택되지 않았던 기저대역 신호는 복호 되지 않고, 그 사용자 데이터는 손실되지만, 그와 같은 사용자 데이터의 손실을 무선 기지국(20)은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송 속도의 합계값이 임계 합계값 이상인 상황에서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는, 간섭량(노이즈라이즈)이 높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에러 정정 복호가 성공할 확률이 통상적인 경우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사용자 데이터의 다소의 손실은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선택부(26a)는, 전송 속도의 합계값과 임계 합계값의 비교에 의해, 전송 속도의 합계값이 임계 합계값 이상인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즉, 신호 선택부(26a)는, DPDCH #1~DPDCH #n에 의해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속도의 합계값이, 무선 기지국(20)이 구비하는 역확산 처리 능력, 레이크(RAKE) 합성 처리 능력, 및 에러 정정 복호 처리 능력을 초과하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신호 선택부(26a)는, 전송 속도의 합계값이 임계 합계값 이상인 횟수나 시간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이 미리 규정한 횟수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신호 선택부(26a)가, 전송 속도의 합계값이 임계 합계값 이상인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부(20c)에 그 판단 결과를 입력하여 통지한다.
제어부(20c)는, 신호 선택부(26a)로부터, 전송 속도의 합계값이 임계 합계값 이상인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는 통지를 받으면, 이동국(10a~10c)에 대하여 사용하는 전송 형식(TF)을 변경하도록 지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c)는 사용하는 TFS를 변경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의하여, 제어부(20c)는, 각 DPDCH #1~DPDCH #n이 사용하는 전송 형식(TF)을 변경하고,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0c)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송 형식(TF)보다 전송 속도가 높은 전송 형식(TF)을 사용하도록 지시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20c)는, 신호 선택부(26a)로부터의 전송 속도의 합계값이 임계 합계값 이상인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는 통지에 기초하여, 전송 형식(TF)의 변경을 지시함으로써, 전송 속도의 합계값에 기초하여, 전송 속도의 변경을 이동국에 지시하는 전송 속도 제어부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간섭량(노이즈라이즈)이 허용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무선 네트워크 제어 기능에 의해 각 DPDCH에 의해 송신되는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형식(TF)을 변경하고, 전송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간섭량이 허용값 이하인 경우에는, 역확산 처리, 레이크(RAKE) 합성 처리, 에러 정정 복호 처리의 리소스가 부족하게 되는 상황이 되지 않도록, DPDCH #1 역확산부(271)~DPDCH #n 역확산부(27n), DPDCH #1 레이크(RAKE) 합성부(281)~ DPDCH #n 레이크(RAKE) 합성부(28n), 사용자 데이터 복호부(29)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확보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20b)의 각 구성은, 하드웨어로서 분할되어도 되고, 프로세서상의 프로그램에 의해 소프트웨어나 프로세스로서 분할되어도 된다.
다음에,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은 인터페이스(30a), 제어부(30b), 및 인터페이스(30c)를 구비한다.
인터페이스(30a)는 무선 기지국(20)과의 인터페이스이다. 인터페이스(30a)는, 무선 기지국(20)과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터페이스(30c)는 교환기망(40)과의 인터페이스이다. 인터페이스(30c)는, 교환기망(40)과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0b)는, 무선 기지국(20)이 구비하는 버퍼(26)의 축적량을 사용하지 않고, 무선 기지국(20)과 이동국(10a~10c) 사이의 간섭량에 기초하여, 이동국(10a~10c)에 관한 호의 접수 또는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0b)는, 예를 들면 업링크 채널에서의 간섭량(업링크 간섭량)에 기초하여 호의 접수나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0b)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이 관할하는 영역 내에 재권(在圈)하는 이동국(10a~10c)으로부터의 호 발신이 무선 기지국(20)으로부터 통지된 경우, 또는 이동국(10a~10c)으로의 호 착신이 교환기망(40)으로부터 통지된 경우에, 이러한 호 발신이나 호 착신의 접수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0b)는, 호의 접수를 허가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간섭량의 임계값(이하, "접수 임계값"이라고 함)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간섭량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에는, 예를 들면 간섭 전력, CIR, SIR, SN비 등이 있다.
제어부(30b)는, 무선 기지국(20)으로부터 간섭량의 측정값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20)에서는, 송수신부(20d)가 간섭량을 측정하고, 제어부(20c)가 간섭량의 측정값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에 송신한다.
제어부(30b)는, 간섭량의 측정값과 접수 임계값을 비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b)는, 간섭량의 측정값이 접수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호 발신이나 호 착신의 접수를 허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30b)는, 간섭량의 측정값이 접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호 발신이나 호 착신의 접수를 거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
제어부(30b)는, 호의 접수의 허가나 거부 등과 같은 호의 접수 제어에 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인터페이스(30a 및 30c)를 통하여, 무선 기지국(20)이나 교환기망(4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0b)는, 호의 접수를 허가하는 경우에는, DPDCH 또는 DPCCH를 설정하도록 무선 기지국(20)에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0b)는, 전송 속도를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간섭량의 임계값(이하, "변경 임계값"이라고 함)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Ob)는, 간섭량의 측정값과 변경 임계값을 비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b)는, 간섭량의 측정값이 변경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전송 속도를 변경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30b)는, 간섭량의 측정값이 변경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전송 속도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0b)는, 전송 속도의 변경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인터페이스(30a)를 통하여 무선 기지국(2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0b)는, 전송 속도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전송 형식(TF)의 변경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b)는, TFS의 변경을 지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 통신 방법〕
다음에, 이동 통신 방법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무선 기지국(20)의 처리 단계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101에서, 무선 기지국(20)은, 이동국(10a~10c)으로부터, DPCCH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이동국(10a~10c)으로부터, DPDCH를 통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S102에서, 무선 기지국(20)은, DPDCH에 의해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를 버퍼(26)에 저장한다.
단계 S103에서, 무선 기지국(20)은, DPCCH에 의해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TFCI를 복호하고,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형식(TF)을 판정한다.
단계 S104에서, 무선 기지국(20)은, 판정된 전송 형식에 기초하여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속도의 합계값을 계산한다.
단계 S105에서, 무선 기지국(20)은, 전송 속도의 합계값에 따라 역확산을 행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선택한다.
단계 S106에서, 무선 기지국(20)은, DPDCH에 의해 수신하고, 버퍼(26)에 저장되어 있는 기저대역 신호 중에서, 선택된 기저대역 신호를, 판정된 전송 형식(TF)에 따라 역확산한다.
무선 기지국(20)은, 단계 S107에서, 역확산 이후의 심볼을 레이크(RAKE) 합성하고, 단계 S108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복호한다.
도 11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O)이 행하는 호의 접수 제어 과정을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201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이 관할하는 영역 내에 재권하는 이동국(10a~10c)으로부터의 호 발신이나 이동국(10a~10c)에의 호 착신에 관한 통지를 받는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은, 단계 S202에서, 무선 기지국(20)으로부터 간섭량의 측정값을 취득하고, 단계 S203에서, 간섭량의 측정값과 접수 임계값을 비교한다.
간섭량의 측정값이 접수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 S204에서, 무선 네트 워크 제어국(30)은, 호 발신이나 호 착신의 접수를 허가하고, DPDCH 또는 DPCCH를 설정하도록 무선 기지국(20)에 지시한다.
한편, 간섭량의 측정값이 접수 임계값 이상인 경우, 단계 S205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은 호 발신이나 호 착신의 접수를 거부한다.
도 12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이 행하는 전송 속도 제어 과정을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301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은, 무선 기지국(20)으로부터 간섭량의 측정값을 취득한다.
단계 S302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은, 간섭량의 측정값과 변경 임계값을 비교한다(S302).
간섭량의 측정값이 변경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 S303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이 TFS의 변경과 같은 전송 속도의 변경을 행하지 않는다. 한편, 간섭량의 측정값이 변경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S304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이, TFS의 변경을 행하여, 전송 속도를 변경하도록 무선 기지국(20)에 지시한다.
〔발명의 효과〕
이와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100), 무선 기지국(20),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 및 이동 통신 방법에 의하면,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를, 역확산 이전의 오버 샘플링 레벨로 버퍼(26)에 저장해 둘 수 있다.
그리고, 무선 기지국(20)은, 전송 형식(TF)의 판정 후에, 판정된 전송 형 식(TF)에 따라, 축적한 기저대역 신호의 샘플링 데이터를 추출하여, 역확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무선 기지국(20)은, 종래 필요로 했던 재-역확산을 행할 필요나, 역확산 이후의 심볼을 축적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DPDCH마다의 하드웨어 리소스[도 1에 나타낸 버퍼(226)]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하드웨어 리소스 확보의 제어 단계도 불필요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기지국(20)은, 장치 구성이나 제어의 복잡화, 장치 규모의 증대를 방지하여, 장치의 간소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장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의 접속 횟수의 향상, 즉 이동 통신 시스템(10O)의 통신 용량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무선 기지국(20)은, 접속하는 이동국의 수를 많게 할 수 있으므로, 버스트가 적어지면, 전송 속도가 비교적 높은 전송 형식(TF)을 할당함으로써, 무선 채널 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무선 기지국(20)은, 판정된 전송 형식에 기초하여,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속도의 합계값을 계산하고, 그 전송 속도의 합계값에 따라 역확산을 행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저대역 신호를 역확산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무선 기지국(2O)은,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속도의 합계값을 고려하여 역확산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선택할 수 있고, 기저대역 신호의 역확산 처리를 전혀 행하지 않고 파기하는 경우에 비해,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기지국(20)은, 전송 속도의 합계값에 기초하여, 전송 속도의 변경을 이동국에 지시하는 전송 속도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 하면, 간섭량이 허용값을 초과하는 등의 경우에,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은, 무선 기지국(20)의 버퍼(26)의 용량을 채널마다 확보하는 제어(하드웨어 리소스의 관리)가 불필요해지므로, 간섭량을 고려한 호의 접수 제어나 전송 속도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30)은, 장치 구성이나 제어의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고, 이동국의 접속 수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은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수정 및 변경 태양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아무런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 구성이나 제어의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고, 이동국의 접속 수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기지국,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7)

  1. 수신한 오버 샘플링된 기저대역 신호를 저장하는 신호 저장부;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형식을 판정하는 형식 판정부; 및
    상기 형식 판정부에 의한 판정 후에, 상기 신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상기 형식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전송 형식에 따라 역확산하는 역확산부
    를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판정된 전송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속도의 합계값을 계산하고, 상기 전송 속도의 합계값에 따라 상기 역확산을 행할 기저대역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 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역확산부는, 상기 신호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역확산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택부는, 상기 전송 속도의 합계값이 임계 합계값 미만인 경우, 모든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역확산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속도의 합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속도의 변경을 이동국에 지시하는 전송 속도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
  5. 수신한 오버 샘플링된 기저대역 신호를 저장하는, 무선 기지국에 구비된 신호 저장부의 축적량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무선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간섭량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에 관한 호의 접수 또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6. 수신한 오버 샘플링된 기저대역 신호를 저장하는 신호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형식을 판정하고, 상기 판정 후에, 상기 신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판정된 상기 전송 형식에 따라 역확산하는 무선 기지국; 및
    상기 신호 저장부의 축적량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무선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간섭량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에 관한 호의 접수 또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7. 수신한 오버 샘플링된 기저대역 신호를 신호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전송 형식을 판정하고,
    상기 판정 후에, 상기 신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판정된 상기 전송 형식에 따라 역확산하는,
    이동 통신 방법.
KR1020077008747A 2004-10-15 2005-10-14 무선 기지국,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이동 통신 시스템 및이동 통신 방법 KR200700501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02184 2004-10-15
JP2004302184 2004-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101A true KR20070050101A (ko) 2007-05-14

Family

ID=3614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747A KR20070050101A (ko) 2004-10-15 2005-10-14 무선 기지국,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이동 통신 시스템 및이동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089447A1 (ko)
EP (2) EP2093894A1 (ko)
JP (1) JPWO2006041164A1 (ko)
KR (1) KR20070050101A (ko)
CN (1) CN101040456A (ko)
TW (2) TW200625982A (ko)
WO (1) WO20060411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17305B (zh) * 2008-01-02 2011-05-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专用物理数据信道数据的处理方法和装置
US7733945B2 (en) * 2008-03-18 2010-06-08 On-Ramp Wireless, Inc. Spread spectrum with doppler optimization
US8477830B2 (en) 2008-03-18 2013-07-02 On-Ramp Wireless, Inc. Light monitoring system using a random phase multiple access system
US7593383B1 (en) 2008-03-18 2009-09-22 On-Ramp Wireless, Inc. Uplink transmitter in a random phase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7773664B2 (en) * 2008-03-18 2010-08-10 On-Ramp Wireless, Inc. Random phase multiple access system with meshing
US8520721B2 (en) 2008-03-18 2013-08-27 On-Ramp Wireless, Inc. RSSI measurement mechanism in the presence of pulsed jammers
US8958460B2 (en) 2008-03-18 2015-02-17 On-Ramp Wireless, Inc. Forward error correction media access control system
US20090239550A1 (en) * 2008-03-18 2009-09-24 Myers Theodore J Random phase multiple access system with location tracking
US7639726B1 (en) 2009-03-20 2009-12-29 On-Ramp Wireless, Inc. Downlink communication
US8363699B2 (en) 2009-03-20 2013-01-29 On-Ramp Wireless, Inc. Random timing offset determination
US7702290B1 (en) 2009-04-08 2010-04-20 On-Ramp Wirless, Inc. Dynamic energy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19C (zh) * 1998-10-27 2004-01-07 罗克马诺尔研究有限公司 一种用于在码分多址系统中改进提取的方法
EP1006692A1 (de) * 1998-11-30 2000-06-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Kommunikationssystem zur Übertragung einer Kombination mehrerer Dienste über gemeinsam genutzte physikalische Kanäle
EP1033849A1 (en) 1999-03-01 2000-09-06 Alcatel Process for controlling access to radio resource for uplink packe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E60129111T2 (de) * 2001-05-29 2008-02-28 Lucent Technologies Inc. Kanalschätzung in einem CDMA-System mit codierten Steuersymbolen als zusätzlichen Pilotsymbolen
JP3742055B2 (ja) 2002-11-27 2006-02-01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tfci復号特性を利用する復号装置とその復号方法
JP4340171B2 (ja) * 2004-02-13 2009-10-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tfc選択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6041164A1 (ja) 2008-05-22
WO2006041164A1 (ja) 2006-04-20
CN101040456A (zh) 2007-09-19
TW200625982A (en) 2006-07-16
TW200849853A (en) 2008-12-16
EP1811680A4 (en) 2008-09-03
EP1811680A1 (en) 2007-07-25
EP2093894A1 (en) 2009-08-26
US20080089447A1 (en) 200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0101A (ko) 무선 기지국,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이동 통신 시스템 및이동 통신 방법
EP07028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ncoding rat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139260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mobile telephone system
RU223354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скорости передачи пакетных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KR100752085B1 (ko) 고속 무선 통신 네트워크내의 폐쇄 루프 자원 할당
US6577617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6636497B1 (en) Air interface capacity scheduling method
US6353638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signal transmission
EP1526670B1 (en) Radio device
TWI267258B (en) Common control channel uplink power control for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techniques
KR20060113740A (ko) 고속 패킷 데이터 트랜스미션에 대한 전력 제어
EP1104127A1 (en) Communication device
US68319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use of communication resources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US20020021673A1 (en) Method of taking account of traffic processing capacity, for traffic load control in a mobile radio network
US20080132266A1 (en) Maximum Allowable Transmission Rate Deciding Method, Mobile Station And Wireless Base Station
KR20070053808A (ko)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제어국, 무선 기지국, 이동국 및이동 통신 방법
JP4186212B2 (ja) 高速送信レート時の可変レート通信方法および装置
JP2002164838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95734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력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30893B1 (ko)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
JP2001094472A (ja) 無線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