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509A - 고주파 스위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509A
KR20070049509A KR1020050106689A KR20050106689A KR20070049509A KR 20070049509 A KR20070049509 A KR 20070049509A KR 1020050106689 A KR1020050106689 A KR 1020050106689A KR 20050106689 A KR20050106689 A KR 20050106689A KR 20070049509 A KR20070049509 A KR 20070049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line
termination circuit
circuit
auxiliary open
open t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078B1 (ko
Inventor
김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050106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078B1/ko
Priority to CN2005800518626A priority patent/CN101292424B/zh
Priority to PCT/KR2005/004068 priority patent/WO2007055436A1/en
Priority to AT05819127T priority patent/ATE480907T1/de
Priority to DE602005023548T priority patent/DE602005023548D1/de
Priority to EP05819127A priority patent/EP1952534B1/en
Priority to JP2008539903A priority patent/JP4768821B2/ja
Publication of KR20070049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509A/ko
Priority to US12/151,681 priority patent/US760567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diodes
    • H03K17/76Switching arrangements with several input- or output-terminals, e.g. multiplexers, distribu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0Auxiliary devices for switching or interrupting
    • H01P1/15Auxiliary devices for switching or interrupting by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diodes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스위치에 있어서, 제1측 슬롯라인과 제2측 슬롯라인으로 양분되며 각 단부에 개방종단회로가 형성된 슬롯라인과, 제1측 슬롯라인과 신호를 전달하는 제1전송라인과, 제2측 슬롯라인과 신호를 전달하는 제2전송라인과, 제1측 슬롯라인 제2측 슬롯라인의 양분 지점에서 이와 신호를 전달하는 제3전송라인과, 외부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제1측 또는 제2측 슬롯라인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종단회로를 구비하는 가변 보조 개방종단회로부를 구비한다.
고주파, 스위치, TDD, 슬롯라인, 마이크로스트립라인

Description

고주파 스위치{RADIO FREQUENCY SWITCH}
도 1은 일반적인 티디디 시스템의 송수신 종단부의 일 예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티디디 시스템용 송수신 전환을 위한 고주파 스위치의 인쇄 회로 기판상에서의 회로 패턴 평면 구조도
도 3은 도 2의 인쇄 회로 기판의 회로 패턴 저면 구조도
도 4는 도 3 중 다이오드 접합 부분의 상세 구조도
도 5는 도 4의 등가 회로도
도 6은 도 2 중 마이크로스트립라인의 단락종단회로 구조를 나타낸 일부 절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티디디 시스템용 송수신 전환을 위한 고주파 스위치의 인쇄 회로 기판상에서의 회로 패턴 평면 구조도
도 8은 도 7의 인쇄 회로 기판의 회로 패턴 저면 구조도
본 발명은 고주파(RF)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분할 이중화(티디디 : TDD: 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의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단부의 송수신 신호 전환을 위한 스위치에 적용됨이 바람직한 RF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제2,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주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을 사용하였다. FDD 방식에 있어서 송신신호와 수신신호의 분리는 듀플렉서(Duplexer)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근 3.5세대, 4세대용 이동통신 시스템은 티디디(TDD) 방식을 주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티디디 방식을 비롯한 시분할 전송 방식은 송수신용으로 동일한 주파수를 시분할하여 송수신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1개의 프레임 내부를 송신용과 수신용으로 분할하여 1개의 주파수로 양방향 통신을 하는 방식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티디디 시스템의 송수신 종단부의 불록 구성이 도시되고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신호는 제1송신필터(30)를 통과하여 전력증폭기(40)에서 적절히 설정된 전력으로 증폭된 후, 제2송신필터(50)에서 다시 필터링된 다음, 송수신 전환 스위치(10)를 거쳐 안테나(60)를 통해 방사된다. 반대로 안테나(60)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는 송수신 전환 스위치(10)를 통과한 후, 수신필터(20)에서 수신대역만 통과된다. 이때의 전환 스위치(10)는 송신 및 수신 동작에 따라 제어부(미도시)에서 제공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티디디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정해진 시간 주기로 송신과 수신을 분리하기 때문에 고속의 송수신 전환용 RF 스위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상기 RF 스위치는 고속의 스위칭 동작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기계적 스위치(Mechanical Switch) 보다는 핀 다이오드(PIN Diode) 또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 등의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스위치를 사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스위치는 반도체의 대전력 취약성 때문에 하이파워용으로 사용하기가 어려웠다.
다시 말하면, 대전력이 인가될 경우 많은 열이 발생하고 충분한 방열이 보장되지 않으면 종국에는 스위치가 파괴된다. 이에 따라 대전력을 견딜 수 있도록 개발되는 RF 스위치는 별도의 냉각기 등을 구비하는 등 그 비용이 무척 고가이며 제작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군사용으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통상 티디디 시스템에서는 RF스위치 대신 서큘레이터를 이용하여 고정적으로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분리하는 방안을 채용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서큘레이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신 구간동안 송신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격리도(Isolation)를 충분하게 확보하기 어렵고 안테나에 문제가 발생하여 오픈상태가 되는 경우, 송신신호가 수신기에 유입되어 시스템에 장애를 발생시키거나 수신신호의 품질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송수신단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티디디 시스템용 송수신 전환용으로 채용되기에 바람직한 고주파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안테나 오픈시 등에 송신전력이 수신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하기 위한 티디디 시스템용 송수신 전환용으로 채용되기에 바람직한 고주파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되 충분한 방열조건을 확보하여 대전력에서도 안정정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고주파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MIC(Microwave Integrated Circuit) 형태로도 쉽게 제작하기 위한 고주파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5목적은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 뿐만 아니라 수 십 GHz 이상의 고주파 대역에서도 사용가능한 고주파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주파 스위치에 있어서, 제1측 슬롯라인과 제2측 슬롯라인으로 양분되며 각 단부에 개방종단회로가 형성된 슬롯라인과, 상기 제1측 슬롯라인과 신호를 전달하는 제1전송라인과, 상기 제2측 슬롯라인과 신호를 전달하는 제2전송라인과, 상기 제1측 슬롯라인 제2측 슬롯라인의 양분 지점에서 이와 신호를 전달하는 제3전송라인과, 외부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측 또는 제2측 슬롯라인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종단회로를 구비하는 가변 보조 개방종단회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티디디 시스템용 송수신 전환을 위한 고주파 스위치의 인쇄 회로 기판상에서의 회로 패턴의 일면(편의상 평면으로 칭하기로 함) 구조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인쇄 회로 기판의 회로 패턴의 다른 면(편의상 저면으로 칭하기로 함)의 구조로서, 각 부분의 크기 및 형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소 과장 또는 단순화하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스위치(10)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적절한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된 마이크로스트립라인 및 슬롯라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고주파 스위치(10)는 먼저, 제1측 슬롯라인(121)과 제2측 슬롯라인(122)으로 양분되며, 각 단부에 개방종단회로(121a, 122a)가 형성된 슬롯라인(121-122)을 유전체 기판(100)의 하측에 형성한다. 또한 유전체 기판(100)의 상측에는 상기 제1측 슬롯라인(121)과 제2측 슬롯라인(122)의 단부와 각각 교차되게 형성하여 이와 마이크로스트립-슬롯라인 커플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제2마이크로스트립라인(111, 112)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제1측 슬롯라인(121)과 제2측 슬롯라인(122)의 양분지점에서 이와 마이크로스트립-슬롯라인 커플링이 이루어지도록 제3 마이크로스트립라인(113)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주파 스위치(10)는 스위칭 제어신호(CTL)에 따라 상기 제1측 또는 제2측 슬롯라인(121, 122)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종단회로를 구비하는 가변 보조 개방종단회로부를 형성한다. 가변 보조 개방종단회로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 슬롯라인(121)과 연결되는 제1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1b)와, 제2측 슬롯라인(122)과 연결되는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2b)로 구성되는 보조 개방종단회로(121b-122b)를 구비하며, 또한 스위칭 제어신호(CTL)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1b, 122b)가 해당 제1측 또는 제2측 슬롯라인(121, 122)과의 연결되는 연결경로를 상호배타적으로 형성하는 스위칭 회로를 구비한다. 스위칭 회로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각 제1측 또는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1b, 122b)와 해당 제1측 또는 제2측 슬롯라인(121, 122)과의 연결부분의 갭을 선택적으로 단락시키는 형태로 장착되는 제1, 제2스위칭 소자, 즉 제1, 제2다이오드(D1, D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고주파 스위치(10)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마이크로스트립라인(111, 112, 113)은 고주파 스위치(10)의 제1 내지 제3포트(1, 2, 3)를 형성하며, 제1포트(1) 또는 제2포트(2)를 스위칭 제어신호(CTL)에 따라 제3포트(3)와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상기에서, 제1 내지 제3마이크로스트립라인(111, 112, 113)과 슬롯라인(121, 122)은 적절한 유전율을 가지는 유전체 기판(100)의 상하측에 형성한다. 유전체 기판(100)의 하측은 그라운드판(130a-130b)으로 되어 있고, 여기에 상기의 슬롯라인(121-122)을 형성한다. 슬롯라인(121-122)의 개방종단회로(121a, 122a) 및 제1,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1b, 122b)는 원형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는 제거시킨다. 이때 그라운드판(130a-130b)은 도 3에 도시된 바를 예로 들면, 제1그라운드판 (130a)과 제2그라운드판(130b)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마이크로스트립라인(111, 112, 113)의 종단 역시 개방 또는 단락종단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락종단회로(111a, 112a, 113a)를 구비하였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단락종단회로(111a, 112a, 113a)는 종단에 원형의 홀을 형성하고 그 내부를 적절한 전도성 도금제(115)로 도금처리함으로써, 저면의 그라운드판(130b 또는 130a)과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에서 제1 및 제2다이오드(D1, D2)는 각각 제1측 또는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1b, 122b)와 해당 제1측 또는 제2측 슬롯라인(121, 122)과의 연결부분의 갭을 선택적으로 가로질러 장착되며,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스위칭 제어신호(CTL) 즉,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 및 제2다이오드(D1, D2)의 온/오프 동작은 상호배타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제1, 제2다이오드(D1, D2)의 상호배타적인 온/오프 동작에 따라, 제1측 슬롯라인(121) 또는 제2측 슬롯라인(122)이 선택적으로 해당 보조 개방종단회로와 연결된다.
도 4는 도 3 중 다이오드 접합 부분의 상세 구조도이며, 도 5는 도 4의 등가 회로도로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제2다이오드(D1, D2)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 및 제1측 슬롯라인(121) 또는 제2측 슬롯라인(122)이 선택적으로 해당 보조 개방종단회로와 연결되는 것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제2다이오드(D1, D2)는 각각 제1측 슬롯라인(121) 또는 제2측 슬롯라인(122)이 제1측 또는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1b, 122b)와 연결되는 부위의 갭을 가로질러 제1그라운드판(130a)과 제2그라운드판(130b)을 단락시키도록 장착되며, 이때 서로 간의 극성이 반대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제1그라운드판(130a)으로 예를 들어 +5V 또는 -5V의 스위칭 제어신호(CTL)의 적절한 바이어스 전압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하여, 제1그라운드판(130a)과 0V의 제2그라운드판(130b)간에 연결되는 제1, 제2다이오드(D1, D2)가 각각 상호 배타적으로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 또는 제2다이오드(D1, D2)가 온 상태가 되면, 해당 제1측 슬롯라인(121) 또는 제2측 슬롯라인(122)이 해당 보조 개방종단회로와 연결되는 갭은 전기적으로 단락 상태가 된다. 해당 제1측 슬롯라인(121) 또는 제2측 슬롯라인(122)과의 연결 갭이 전기적으로 단락된 제1측 또는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1b, 122b)는 해당 제1측 슬롯라인(121) 또는 제2측 슬롯라인(122)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기 못하게 된다. 반면, 제1측 슬롯라인(121) 또는 제2측 슬롯라인(122)과의 연결 갭이 단락되지 않은 제1측 또는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1b, 122b)는 각각 해당 제1측 또는 제2측 슬롯라인(121, 122)의 개방종단회로를 형성하게 되어, 해당 제1측 또는 제2측 슬롯라인(121, 122)은 해당 제1측 또는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1b, 122b)와 연결되는 지점에서 개방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1측 또는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1b, 122b) 지점에서 개방상태가 되는 제1측 또는 제2측 슬롯라인(121, 122)과 관련된 제1 또는 제2마이크로스트립라인(111, 112)으로는 신호가 전이되지 않으므로, 결국 제1 또는 제2마이크로스트립라인(111, 112)의 신호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3마이크로스트립라인(113)과 연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고주파 스위치(10)에서 제1 내지 제3마이크로스트립라인(111, 112, 113)의 제1 내지 제3포트(1, 2, 3)를 각각 송신단(Tx), 수신단(Rx) 및 안테나단(ANT)과 연결하여 티디디 시스템용 송수신 전환을 위한 스위치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주파 스위치(10)의 티디디 시스템용 송수신 전환 스위치로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신시에는 제1다이오드(D1)는 온시키고 제2다이오드(D2)는 오프시킨다. 그러면 제1마이크로스트립라인(111)을 통해 송신신호가 전달되면 그 신호는 마이크로스트립-슬롯라인 커플링에 의해 제1측 슬롯라인(121)에 전이된다. 제1측 슬롯라인(121)에 전이된 신호는 이후 다시 마이크로스트립-슬롯라인 커플링에 의해 제3마이크로스트립라인(113)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3마이크로스트립라인(113)에 인가된 송신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방사된다.
이때, 상기 제1다이오드(D1)가 온상태이므로, 제1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1b)와 제1측 슬롯라인(121)간의 연결 갭은 단락상태가 되고, 제1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1b)는 제1측 슬롯라인(121)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기 않는다. 또한 상기에서, 송신신호는 제2마이크로스트립라인(112)으로는 전달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제2다이오드(D2)가 오프상태이기 때문에, 제2측 슬롯라인(122)과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2b)가 연결되며, 이에 따라 제2측 슬롯라인(122)은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2b)와 연결되는 지점에서 개방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수신시에는 제1다이오드(D1)는 오프시키고 제2다이오드(D2)는 온시킨다. 그러면 제3마이크로스트립라인(113)을 통해 전달된 수신신호는 제2측 슬롯라인(122)을 통해 제2마이크로스트립라인(112)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2마이크로스 트립라인(112)에 인가된 수신신호는 수신단으로 전달된다.
이때, 제2다이오드(D2)가 온상태이므로, 결국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2b)는 제2측 슬롯라인(122)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제1다이오드(D1)가 오프상태이므로, 결국 제1측 슬롯라인(121)은 제1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1b)와 연결되는 지점에서 개방 상태가 되어, 수신신호는 제1측 슬롯라인(121)을 통해 제1마이크로스트립라인(111)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송수신 신호 경로를 분리하기 위해 슬롯라인의 어느 한쪽을 접지시키기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그 구성으로 마이크로스트립라인-슬롯라인간 커플링 구조를 형성하고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스위치로서 접지상태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대전력인 송신신호가 반도체 소자인 다이오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안정적인 스위칭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티디디 시스템용 송수신 전환을 위한 고주파 스위치의 인쇄 회로 기판상에서의 회로 패턴 평면 구조도이며, 도 8은 도 7의 인쇄 회로 기판의 회로 패턴 저면 구조도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스위치(10')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스위치(10)와 대부분 동일한 구조를 가지나, 보조 개방종단회로(121b-122b)의 구조에서 차이가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스위치(10')의 보조 개방종단회로(121b-122b)는 제1실시예의 고주파 스위치(10)의 제1측 보조 개방종단회 로(121b)와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2b)의 위치를 서로 근접하게 하여 이들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하므로, 전체적으로 양자 공통으로 사용되는 하나의 타원형 형태의 개방종단회로로 형성된다. 또한, 제1실시예의 고주파 스위치(10)의 제1측 또는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121b, 122b)가 각각 제1측 또는 제2측 슬롯라인(121, 122)과 연결되는 연결부분들은 제3마이크로스트립라인(113)과의 대응 위치와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스위치(10')의 보조 개방종단회로(121b-122b)의 구조는 제3마이크로스트립라인(113)과 슬롯라인(121b-122b)과의 임피던스 매칭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스위치(10')는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다른 고주파 스위치(1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스위치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설명에서는 언급한 마이크로스트립라인은 이외에도, 스트립라인, 동축선로 및 CPW(Coplanar Waveguide) 등으로도 이의 대체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슬롯라인 대신에 CPS(Coplanar Strip)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위칭 소자로서 다이오드를 사용하였으나 스위칭 기능을 갖는 다른 반도체 소자(예를 들어 FET)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분할 전송 시스템의 송수신 전환 스위치 장치는 송수신패스간 아이솔레이션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안테나 오픈시에도 송신전력이 수신단으로 전반사되어 유입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충분한 그라운드판을 갖는 슬롯라인을 통해 송신신호가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여 고속의 스위칭이 가능하면서도 대전력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MIC형태로도 쉽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반도체 일반 공정상에서 동시에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수십 GHz 이상의 고주파 대역에서도 사용 가능하여 위성통신, 군사용 레이더 등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고주파 스위치에 있어서,
    제1측 슬롯라인과 제2측 슬롯라인으로 양분되며 각 단부에 개방종단회로가 형성된 슬롯라인과,
    상기 제1측 슬롯라인과 신호를 전달하는 제1전송라인과,
    상기 제2측 슬롯라인과 신호를 전달하는 제2전송라인과,
    상기 제1측 슬롯라인 제2측 슬롯라인의 양분 지점에서 이와 신호를 전달하는 제3전송라인과,
    외부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측 또는 제2측 슬롯라인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종단회로를 구비하는 가변 보조 개방종단회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보조 개방종단회로부는
    상기 제1측 슬롯라인과 연결되는 제1측 보조 개방종단회로와, 상기 제2측 슬롯라인과 연결되는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를 구비하는 보조 개방종단회로와,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가 상기 제1측 또는 제2측 슬롯라인과의 연결되는 연결경로를 상호배타적으로 형성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개방종단회로는
    상기 제1측 보조 개방종단회로와 상기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의 위치를 서로 근접하게 하여 이들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하므로, 전체적으로 양자 공통으로 사용되는 하나의 개방종단회로로 형성하며,
    상기 제1측 또는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가 상기 제1측 또는 제2측 슬롯라인과 연결되는 연결 부분은 상기 제3전송선로와 대응 위치와 근접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스위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측 또는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와 상기 제1측 또는 제2측 슬롯라인과의 연결 부분의 갭을 선택적으로 단락시키는 형태로 장착되는 제1, 제2스위칭 소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스위칭 소자는 다이오드 또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스위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전송라인은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스트립라인, 동축선로. CPW(Coplanar Waveguide)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을 하는 고주파 스위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전송라인은 종단이 개방 또는 단락종단회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스위치.
  8. 시분할 이중/다중화 시스템의 송수신 전환용 고주파 스위치에 있어서,
    제1측 슬롯라인과 제2측 슬롯라인으로 양분되며 각 단부에 개방종단회로가 형성된 슬롯라인과,
    송신단으로부터 송신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측 슬롯라인으로 전달하는 제1전송라인과,
    상기 제2측 슬롯라인으로부터 수신신호를 전달받아 수신단으로 전달하는 제2전송라인과,
    상기 제1측 슬롯라인 제2측 슬롯라인의 양분 지점에서 이와 상기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를 상호 전달하는 제3전송라인과,
    외부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측 또는 제2측 슬롯라인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종단회로를 구비하는 가변 보조 개방종단회로부를 포 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스위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보조 개방종단회로부는
    상기 제1측 슬롯라인과 연결되는 제1측 보조 개방종단회로와, 상기 제2측 슬롯라인과 연결되는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를 구비하는 보조 개방종단회로와,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가 상기 제1측 또는 제2측 슬롯라인과의 연결되는 연결경로를 상호배타적으로 형성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스위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개방종단회로는
    상기 제1측 보조 개방종단회로와 상기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의 위치를 서로 근접하게 하여 이들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하므로, 전체적으로 양자 공통으로 사용되는 하나의 개방종단회로로 형성하며,
    상기 제1측 또는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가 상기 제1측 또는 제2측 슬롯라인과 연결되는 연결 부분은 상기 제3전송선로와 대응 위치와 근접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스위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측 또는 제2측 보조 개방종단회로와 상기 제1측 또는 제2측 슬롯라인과의 연결 부분의 갭을 선택적으로 단락시키는 형태로 장착되는 제1, 제2스위칭 소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스위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스위칭 소자는 다이오드 또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스위치.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전송라인은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스트립라인, 동축선로. CPW(Coplanar Waveguide)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을 하는 고주파 스위치.
  14.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전송라인은 종단이 개방 또는 단락종단회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스위치.
KR1020050106689A 2005-11-08 2005-11-08 고주파 스위치 KR100864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689A KR100864078B1 (ko) 2005-11-08 2005-11-08 고주파 스위치
CN2005800518626A CN101292424B (zh) 2005-11-08 2005-11-30 射频开关
PCT/KR2005/004068 WO2007055436A1 (en) 2005-11-08 2005-11-30 Radio frequency switch
AT05819127T ATE480907T1 (de) 2005-11-08 2005-11-30 Hochfrequenzschalter
DE602005023548T DE602005023548D1 (de) 2005-11-08 2005-11-30 Hochfrequenzschalter
EP05819127A EP1952534B1 (en) 2005-11-08 2005-11-30 Radio frequency switch
JP2008539903A JP4768821B2 (ja) 2005-11-08 2005-11-30 高周波スイッチ
US12/151,681 US7605674B2 (en) 2005-11-08 2008-05-08 Radio frequency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689A KR100864078B1 (ko) 2005-11-08 2005-11-08 고주파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509A true KR20070049509A (ko) 2007-05-11
KR100864078B1 KR100864078B1 (ko) 2008-10-16

Family

ID=3802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689A KR100864078B1 (ko) 2005-11-08 2005-11-08 고주파 스위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05674B2 (ko)
EP (1) EP1952534B1 (ko)
JP (1) JP4768821B2 (ko)
KR (1) KR100864078B1 (ko)
CN (1) CN101292424B (ko)
AT (1) ATE480907T1 (ko)
DE (1) DE602005023548D1 (ko)
WO (1) WO20070554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412B1 (ko) * 2005-10-13 2007-11-2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고주파 스위치
KR100816811B1 (ko) * 2006-09-15 2008-03-2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중전극 이중연결 고주파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타워장착증폭장치
KR100780419B1 (ko) * 2006-09-27 2007-11-2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고주파 스위치
CN101662885B (zh) * 2008-08-28 2011-09-14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对Ku波段微带型开关电路印制电路板进行背金的方法
US8754722B2 (en) * 2010-05-12 2014-06-17 Sony Corporation Planar integrated switching device
CN105305057B (zh) * 2015-11-27 2018-10-09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空气集成波导的馈电结构
WO2023037944A1 (ja) * 2021-09-08 2023-03-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6339A (en) * 1974-11-29 1976-03-23 Hughes Aircraft Company Slot line/microstrip hybrid
US5047829A (en) * 1986-10-30 1991-09-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nolithic p-i-n diode limiter
US5257411A (en) * 1991-08-08 1993-10-26 Motorola, Inc. Radio frequency switching device
WO1996013101A1 (en) * 1994-10-24 1996-05-02 Motorola Inc. Multi-function radio frequency circuit
JPH08274545A (ja) * 1995-03-30 1996-10-18 Fujitsu Ltd 両平面マイクロ波回路
JP2964975B2 (ja) * 1997-02-26 1999-10-18 日本電気株式会社 高周波スイッチ回路
JPH10256937A (ja) * 1997-03-10 199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機の受信ゲイン切換回路
JP3405316B2 (ja) 2000-03-27 2003-05-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周波スイッチ
US6591086B1 (en) * 2000-04-24 2003-07-08 Telaxis Communications Corporation Enhanced time division duplexing (TDD) transceiver circuitry
JP2002164441A (ja) * 2000-11-27 2002-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スイッチ回路装置
KR20020044827A (ko) * 2000-12-06 2002-06-19 김동우 Cdma/tdd 이동통신시스템용 신호 센서에 의한 경로 스위칭광중계기
FR2826209A1 (fr) * 2001-06-15 2002-12-20 Thomson Licensing Sa Dispositif pour la reception et/ou l'emission de signaux electromagnetiques a diversite de rayonnement
KR20030049153A (ko) * 2001-12-14 2003-06-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스위치
KR100469500B1 (ko) * 2002-06-29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수신장치
KR100495217B1 (ko) * 2003-03-21 2005-06-14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주파 스위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39632B1 (ko) * 2003-05-30 2005-12-29 전자부품연구원 고주파 스위칭 회로
FR2857165A1 (fr) * 2003-07-02 2005-01-07 Thomson Licensing Sa Antenne bi-bande avec double acces
JP4513009B2 (ja) * 2005-03-10 2010-07-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SPST型高周波スイッチ回路,SPnT型高周波スイッチ回路,受信モジュール及び受信システム
KR100780412B1 (ko) * 2005-10-13 2007-11-2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고주파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90963A1 (en) 2008-11-27
EP1952534A4 (en) 2008-11-26
ATE480907T1 (de) 2010-09-15
CN101292424B (zh) 2010-09-29
EP1952534A1 (en) 2008-08-06
JP4768821B2 (ja) 2011-09-07
EP1952534B1 (en) 2010-09-08
KR100864078B1 (ko) 2008-10-16
CN101292424A (zh) 2008-10-22
WO2007055436A1 (en) 2007-05-18
DE602005023548D1 (de) 2010-10-21
US7605674B2 (en) 2009-10-20
JP2009515458A (ja)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078B1 (ko) 고주파 스위치
KR100780419B1 (ko) 고주파 스위치
KR100868690B1 (ko) 고주파 스위치
KR100780412B1 (ko) 고주파 스위치
KR100816811B1 (ko) 이중전극 이중연결 고주파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타워장착증폭장치
KR100780418B1 (ko) 이중전극 이중연결 고주파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중계기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