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8252A - Hvac 시스템의 입출구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Hvac 시스템의 입출구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8252A
KR20070048252A KR1020077006516A KR20077006516A KR20070048252A KR 20070048252 A KR20070048252 A KR 20070048252A KR 1020077006516 A KR1020077006516 A KR 1020077006516A KR 20077006516 A KR20077006516 A KR 20077006516A KR 20070048252 A KR20070048252 A KR 20070048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air
temperature
refrigerant
relative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6024B1 (ko
Inventor
팽주 강
모센 파자드
앨런 핀
페이맨 사데그
슬라벤 스트리세빅
Original Assignee
캐리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리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캐리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48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compressors within refrigeration or heat pump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9Calculation of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3Pressures of the compressor
    • F25B2700/1931Discharge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3Pressures of the compressor
    • F25B2700/1933Suction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1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at the suction side of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2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at the discharge side of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25B2700/21171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fluid cooled by the evaporator
    • F25B2700/21172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fluid cooled by the evaporator at the in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25B2700/21174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refrigerant at the inlet of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25B2700/21175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증발기로 유입 및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는 증기 압축 시스템에 현존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와, 공기의 포화 온도와, 바이패스 계수를 검출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다음, 증발기로 유입 및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는 습공기 선도를 이용하여 예측된다.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증발기로 유입 및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를 결정하기 위해 현존하는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증기 압축 시스템의 부하 요구조건은 추가의 센서를 채용하지 않으면서 계산될 수 있다. 증기 압축 시스템의 시스템 용량은 부하 요구조건에 부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전력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증발기, 증기 압축 시스템, 센서, 온도, 상대 습도

Description

HVAC 시스템의 입출구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METHOD FOR ESTIMATING INLET AND OUTLET AIR CONDITIONS OF AN HVAC SYSTEM}
본 발명은 시스템의 부하 요구조건을 결정하도록 HVAC 시스템의 입출구 공기 조건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HVAC 시스템에 의해 대기로 방출되는 온실 가스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전력은 HVAC 시스템의 부하 요구조건에 시스템 용량을 부합하는 용량 제어를 채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용량 제어는 HVAC 시스템의 부하 요구조건을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냉매 및 공기 조건을 이용한다. 센서는 압축기로 유입 및 방출되는 냉매의 압력 및 온도와, 증발기로 유입 및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부하 요구조건이 파악되면, 압축기는 시스템 용량이 부하 요구조건과 부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증발기로 유입 및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도 용량 제어를 채용하기 위해 검출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증발기로 유입 및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추가의 센서가 설치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습도 센서, 건구 센서 및 습구 온도 센서가 이들 조건 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증기 압축 시스템에 추가되었다.
HVAC 시스템에 추가의 센서를 설치함에 있어 여러 단점이 있다. 하나는 추가 센서를 채용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일부 센서에 의해 제공된 측정치는 열역학 시스템의 복잡한 역학으로 인해 신뢰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센서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채용되면, 팬에 의해 생성된 출구 공기의 난류는 온도 판독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증발기로 유입 및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는 추가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결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스템에 대해 추가 비용 없이 용량 제어를 위해 필요한 증발기의 입출구 공기 조건의 정확한 예측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존의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또한 종래 기술의 다른 단점 및 결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HVAC 시스템의 진단/예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증기 압축 시스템은 냉각 모드 작동시에 영역에 냉각 공기를 제공한다. 냉매는 압축기에서 고압으로 압축되고 응축기에서 냉각된다. 냉각된 냉매는 팽창 장치에서 저압으로 팽창된다. 팽창 후에, 냉매는 증발기를 통해 유동하면서 공기로부터 열을 수용하여, 공기를 냉각시킨다. 냉매는 이어서 압축기로 복귀하여 주기를 완료한다.
증기 압축 시스템의 여러 냉각 및 공기 특성은 증기 압축 시스템의 부하 요구를 계산하기 위해 검출된다. 증기 압축 시스템은 압축기 흡입 온도와, 압축기 배출 온도와, 압축기 흡입 압력과, 압축기 배출 압력과,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입구 온도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출구 온도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는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값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는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검출된 입구 온도와, (냉매 포화 온도와 대략 같은) 공기의 포화 온도와, 증발기의 바이패스 계수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다음, 증발기로 유입 및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가 계산될 수 있다. 습공기 선도에서, 건구 온도는 수평축에 있고, 습도비는 수직축에 있다. 제1 지점은 냉매의 포화 온도로부터 연장하는 수직 선과 포화 선의 교점에 플롯된다.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는 거의 포화상태이고,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는 포화 선의 대략 95%이다. 따라서,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습도 선을 알 수 있다. 제2 지점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로부터 연장하는 수직 선과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 선의 교점에 형성된다.
제1 지점과 제2 지점을 연결한 선은 선이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입구 온도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수직 선과 제3 지점에서 교차할 때까지 연장된다. 제3 지점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를 나타낸다.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증발기로 유입 및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를 결정하기 위해 기존의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증기 압축 시스템의 부하 요구조건은 추가 센서를 채용하지 않으면서 계산될 수 있다. 부하 요구조건을 알게 되면, 시스템 용량이 부하 요구조건에 부합될 수 있어서, 증기 압축 시스템의 전력의 효율적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들은 이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 및 장점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을 수반한 도면이 이하 간략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1은 증기 압축 시스템을 통해 유동하는 냉매 및 공기의 조건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2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부하 요구조건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감지된 값을 보여주는 증기 압축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3은 공기가 증발기를 통해 이동할 때 증발기에 걸쳐 유동하는 공기의 온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4는 증발기에 대한 데이터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5는 증발기로 유입 및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를 예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습공기 선도를 도시한다.
도1은 압축기(22), 응축기(24), 팽창 장치(26) 및 증발기(28)를 포함하는 증 기 압축 시스템(20)을 도시한다. 냉매는 폐쇄 회로형 증기 압축 시스템(20)을 통해 순환한다.
증기 압축 시스템(20)이 냉각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냉매는 압축기(22)로부터 고압 및 고 엔탈피로 방출되어 응축기(24)를 통해 유동한다. 응축기(24)에서, 냉매는 물 또는 공기와 같은 유체 매체에 열을 빼앗기고 액체로 응축된 다음, 저 엔탈피 및 고압으로 응축기(24)로부터 방출된다. 유체 매체가 공기인 경우에는, 팬(30)이 응축기(24)에 걸쳐 유체 매체를 향하도록 채용된다. 다음, 냉각된 냉매는 팽창 장치(26)를 통과하고, 냉매의 압력은 강하된다. 팽창 후에, 냉매는 증발기(28)를 통해 유동한다. 증발기(28)에서, 냉매는 공기로부터 열을 수용하고, 고 엔탈피 및 저압으로 증발기(28)로부터 방출된다. 팬(32)은 증발기(28)에 걸쳐 공기를 송풍하고, 이어서 냉각된 공기는 영역(52)을 냉각시키는데 사용된다.
증기 압축 시스템(20)이 가열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냉매의 유동은 (도시되지 않은) 4방향 밸브를 이용하여 역전된다. 가열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응축기(24)는 증발기로서 작동하고, 증발기(28)는 응축기로서 작동한다.
용량 제어는 증기 압축 시스템(20)의 시스템 용량이 증기 압축 시스템(20)의 부하 요구조건과 부합되도록 이용되고, 이에 따라 전력이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부하 요구조건은 증발기(28)에서 일어나는 필요 열 교환이다. 부하 요구조건을 알게 되면, 압축기(22)는 증기 압축 시스템(20)의 부하 요구조건이 충족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용량 제어 작업의 일체형 부품과 같은 부하 요구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여러 변수가 필요하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수는 1) 압축기 흡입 온도(Tsuc), 2) 압축기 배출 온도(Tdis), 3) 압축기 흡입 압력(Psuc), 4) 압축기 배출 압력(Pdis), 5)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입구 온도(T2in), 6)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출구 온도(T2out), 7)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입구 온도(T1in), 8)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T1out), 9)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RH1), 10)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RH2)이다.
팬(32)에 의해 생성된 난기류의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증발기(T1out)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가 어렵다. 증발기(28)로 유입 및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RH1, RH2)를 각각 측정하는 것(습구 온도)은 비용이 많이 들고 부정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압축기 흡입 온도(Tsuc)와, 압축기 배출 온도(Tdis)와, 압축기 흡입 압력(Psuc)과, 압축기 배출 압력(Pdis)과,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입구 온도(T2in)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출구 온도(T2out)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입구 온도(T1in)를 측정하는 센서만이 증기 압축 시스템(2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T1out)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RH1)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RH2)는 설치된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값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도1을 참조하면, 증기 압축 시스템(20)은 압축기 흡입 온도(Tsuc)를 검출하는 센서(34)와, 압축기 배출 온도(Tdis)를 검출하는 센서(36)와, 압축기 흡입 압력(Psuc)을 검출하는 센서(38)와, 압축기 배출 압력(Pdis)을 검출하는 센서(40)와,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입구 온도(T2in)를 검출하는 센서(42)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출구 온도(T2out)를 검출하는 센서(44)와, 증발기로 유동하는 공기의 입구 온도(T1in)를 검출하는 센서(46)를 포함한다. 센서(34, 36, 38, 40, 42, 44, 46)는 모두 제어부(48)와 연통한다.
증기 압축 시스템(20)에 통상 설치되는 센서(34, 36, 38, 40, 42, 44, 46)를 채용함으로써,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T1out)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RH1)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RH2)는 추가 센서의 채용 없이 계산될 수 있다.
증발기(28)의 바이패스 계수(BPF)는 증발기(28)의 코일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면서 바이패스되는 공기량을 나타낸다. 바이패스 계수(BPF)는 코일의 단위 길이(코일 핀의 피치)에서의 핀의 개수와, 기류 방향으로의 코일 열의 개수와, 공기의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코일의 바이패스 계수(BPF)는 핀 간격이 감소되고 열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된다. 바이패스 계수(BPF)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증발기(28)가 냉각 코일일 때,
Figure 112007022601800-PCT00001
(수식1)
증발기(28)가 가열 코일일 때,
Figure 112007022601800-PCT00002
(수식2)
공기의 포화 온도는 Ts로 나타낸다. 공기의 포화 온도(Ts)는 냉매의 포화 온도와 대략 같다. 냉매의 포화 온도는 압축기 흡입 압력(Psuc)과, 냉매 특성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냉매 특성은 사용된 냉매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공지된 값이다. 통상, 바이패스 계수(BPF)는 0.2 이하이다.
도3은 증발기(28)의 코일에 걸쳐 공기가 통과할 때의 공기의 온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증발기(28)의 코일의 길이를 따라 그리고 이에 걸쳐 이동할 때,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T1out)는 거의 공기의 포화 온도(Ts)로 감소된다.
증발기(28)의 열 전달률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7022601800-PCT00003
(수식3)
열 전달률은 변수 Q(W)로 나타낸다. 변수 U는 총 열 전달 계수(W/m2K)를 나타내고, 변수 A는 증발기(28)의 코일의 표면적을 나타내며, 변수 LMTD는 대수평균 온도차를 나타낸다.
변수인 대수 평균 온도차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7022601800-PCT00004
(수식4)
수식1을 수식4에 대입하면, 변수인 대수 평균 온도차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7022601800-PCT00005
(수식5)
열 전달률(Q)은 이하의 수식을 이용하여 공기 측 (부하 요구)로부터 계산될 수도 있다.
Figure 112007022601800-PCT00006
(수식6)
수식에서, m1 은 공기의 질량 유동률(kg/s)을 나타내고, cp1 은 건조 공기의 비열(J/KgK)을 나타내며, SHR은 현열비(sensible heat ratio)를 나타낸다. 증발기로 유동하는 공기의 입구 온도(T1in)와, 증발기로부터 유동하는 공기의 출구 온도(T1out)는 섭씨 온도(℃)이다.
수식3과 수식6을 결합하면, 이하의 수식이 얻어진다.
Figure 112007022601800-PCT00007
(수식7)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two phase) 냉매 유동을 갖는 증발기(28)의 코일에서, 값(UA)은 현열비(SHR)와 공기의 질량 유동률(m1)의 함수이다. 증발기(28)는 30HP 열펌프 시스템에 사용된다. 값(UA)은 현열비(SHR)에 반비례하고, 공기의 유동률 변화와 선형 관계를 이룬다. 결과적으로, 값(UA)은 이하의 수식을 사용하여 대략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22601800-PCT00008
(수식8)
수식8에서, 변수(a, b)는 모두 일정하고, 변수(b)는 상대적으로 작은 값이다. 수식8을 수식7에 대입하면, 바이패스 계수(BPF)가 일정함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7022601800-PCT00009
(수식9)
바이패스 계수(BPF)가 증발기(28)의 소정 코일에 대해 일정하기 때문에, 이의 값은 실험 또는 설계 모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공지된 바이패스 계수(BPF) 및 수식1을 이용하면,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T1out)는 이하 수식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22601800-PCT00010
(수식10)
Figure 112007022601800-PCT00011
(수식11)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T1out)를 계산한 후에,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RH1)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RH2)가 예측될 수 있다.
도5는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RH1)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RH2)를 예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습공기 선도를 도시한다. 건구 온도는 수평축에 있고, 습도비는 수직축에 있다. 공기의 포화 온도(Ts)와, 증발기 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입구 온도(T1in)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T1out)를 나타내는 지점들은 수평축을 따라 플롯된다. 포화 선(RHS)도 도시되어 있다.
공기의 포화 온도(Ts)로부터 연장하는 수직 선은 지점(3)에서 포화 선(RHS)과 교차한다. 증발기(28)의 코일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가 거의 포화 상태이고,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RH2)가 포화 선(RHS)의 대략 95%가 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상대 습도 선(RH2)이 공지되고, 이는 포화 선(RHS)의 95%로 가정한다.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T1out)는 바이패스 계수(BPF)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입구 온도(T1in)를 사용하여 미리 계산되었다. 따라서, 지점(2)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T1out)로부터 연장하는 수직 선과 상대 습도 선(RH2)과의 교점임을 습공기 선도에서 알 수 있다.
지점(2)과 지점(3)을 연결하는 선은, 이 선이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입구 온도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수직 선과 지점(1)에서 교차할 때까지 연장된다. 지점(1)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RH1)를 나타낸다. 이어서, 상대 습도 선(RH1)은 이 선이 지점(1)을 통과할 때 결정될 수 있다.
증기 압축 시스템(20)이 가열 모드에서 작동하면, 상대 습도(RH1) 및 상대 습도(RH2)는 변화하지 않으며, 전술된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T1out)만이 증기 압축 시스템(20)의 부하 요구조건을 결정하도록 계산되는데 필요하다.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T1out)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RH1)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RH2)를 결정하기 위해, 증기 압축 시스템(20)에 기존의 센서(34, 36, 38, 40, 42, 44, 46)를 사용함으로써, 이들 값을 결정하기 위해 증기 압축 시스템(20)에 추가 센서가 추가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비용 절감 및 정확도 향상을 가져온다. 기존의 센서(34, 36, 38, 40, 42, 44, 46)를 이용하여 이들 값을 결정함으로써, 증기 압축 시스템(20)의 부하 요구조건이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증기 압축 시스템(20)의 시스템 용량은 압축기(22)를 제어함으로써 부하 요구조건과 부합될 수 있고, 이는 추가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일 뿐이다.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전술한 교시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이 개시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임의 변경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후속의 청구범위 내에서, 특정하여 기술된 바와는 다르게 본 발명이 실시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이유로, 이하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결정하기 위해 검토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증기 압축 시스템의 조건을 검출하는 단계와,
    증기 압축 시스템의 부하 요구조건을 계산하기 위한 위하여, 조건에 기초하여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압축기에서 고압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단계와,
    냉매를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단계와,
    증발기에서 냉매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조건을 검출하는 단계는,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흡입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흡입 압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압축기로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배출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압축기로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배출 압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출구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증발기의 바이패스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바이패스 계수는 증발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면서 바이패스되는 공기량을 나타내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계수는 증발기의 다수의 핀과, 증발기의 다수의 열과, 공기의 속도에 의해 달라지고, 바이패스 계수는 일정한 값인 증기 압축 시스템의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는,
    T10ut = BPF (T1in - Ts) + Ts으로 정의되며,
    BPF는 바이패스 계수이고, T1out는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이고, T1in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입구 온도이고, Ts는 공기의 포화 온도인 증기 압축 시스템의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공기의 포화 온도는 냉매의 포화 온도와 실질적으로 같은 증기 압축 시스템의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는 공기의 포화 온도에서 공기의 상대 습도의 대략 95%인 증기 압축 시스템의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입구 온도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와, 냉매의 포화 온도에 기초하여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냉매의 포화 온도를 나타내는 수직 선과 포화 곡선이 교차하는 제1 지점을 결정하는 단계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를 나타내는 수직 선과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를 나타내는 곡선이 교차하는 제2 지점을 결정하는 단계와,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 연장 선을 연결하는 단계와,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입구 온도를 나타내는 수직 선이 제3 지점에서 교 차하도록 선을 연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3 지점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를 지시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증기 압축 시스템의 시스템 용량을 부하 요구조건에 부합되도록 압축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12.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입구 온도에 기초하여 증기 압축 시스템의 부하 요구조건을 계산하기 위해,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는,
    T1out = BPF (T1in- Ts) + Ts으로 정의되며,
    BPF는 증발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면서 바이패스되는 공기량을 나타내는 증발기의 바이패스 계수이고, T1out는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이고, T1in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입구 온도이고, Ts는 공기의 포화 온도이며, 공기의 포화 온도는 증발기에서 공기와 열 교환하는 냉매의 포화 온도와 실질적으로 같 은 증기 압축 시스템의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는 공기의 포화 온도에서 공기의 상대 습도의 대략 95%인 증기 압축 시스템의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와, 냉매의 포화 온도에 기초하여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냉매의 포화 온도를 나타내는 수직 선과 포화 곡선이 교차하는 제1 지점을 결정하는 단계와,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출구 온도를 나타내는 수직 선과 증발기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를 나타내는 곡선이 교차하는 제2 지점을 결정하는 단계와,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 연장 선을 연결하는 단계와,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입구 온도를 나타내는 수직 선이 제3 지점에서 교차하도록 선을 연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3 지점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 의 상대 습도를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증기 압축 시스템의 시스템 용량을 부하 요구조건에 부합되도록 압축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KR1020077006516A 2004-10-25 2005-10-11 Hvac 시스템의 입출구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KR100876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73,009 US7219506B2 (en) 2004-10-25 2004-10-25 Method for estimating inlet and outlet air conditions of an HVAC system
US10/973,009 2004-10-25
PCT/US2005/036277 WO2006047072A2 (en) 2004-10-25 2005-10-11 Method for estimating inlet and outlet air conditions of an hvac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252A true KR20070048252A (ko) 2007-05-08
KR100876024B1 KR100876024B1 (ko) 2008-12-26

Family

ID=3620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516A KR100876024B1 (ko) 2004-10-25 2005-10-11 Hvac 시스템의 입출구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19506B2 (ko)
EP (1) EP1805466A4 (ko)
JP (1) JP2008525747A (ko)
KR (1) KR100876024B1 (ko)
CN (1) CN100549584C (ko)
WO (1) WO200604707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1654A (ko) * 2010-07-29 201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811B1 (ko) * 2004-03-31 2007-05-21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시스템
JP4120676B2 (ja) * 2005-12-16 2008-07-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7685882B1 (en) 2006-05-08 2010-03-30 Diversitech Corporation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ervice gauge
US7437941B1 (en) * 2006-05-08 2008-10-21 Diversitech Corporation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ervice gauge
KR101419970B1 (ko) * 2007-05-15 2014-07-15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조습장치, 환경시험장치 및 조온조습장치
US20100281914A1 (en) * 2009-05-07 2010-11-11 Dew Point Control, Llc Chilled water skid for natural gas processing
TWI394936B (zh) * 2009-11-25 2013-05-01 China Steel Corp Measurement Method of Air Volume at Cooling Tower
WO2011106011A1 (en) * 2010-02-26 2011-09-01 Diversitech Corporation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ervice gauge
US9977409B2 (en) 2011-03-02 2018-05-22 Carrier Corporation SPC fault detection and diagnostics algorithm
CN104321599B (zh) * 2012-04-17 2016-12-28 丹佛斯公司 用于蒸气压缩系统的控制器和用于控制蒸气压缩系统的方法
CN105091407B (zh) * 2014-05-08 2019-05-17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热泵装置
JP6576468B2 (ja) * 2015-12-24 2019-09-1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7034250B2 (ja) * 2018-03-02 2022-03-1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11076495B (zh) * 2019-12-25 2020-1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制冷设备的湿度确定方法、装置、存储介质、系统和冰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8834A (ja) * 1982-03-31 1983-10-05 Mitsubishi Heavy Ind Ltd 空調機用湿度検出装置
US5435146A (en) * 1994-09-23 1995-07-25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lative humid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1654A (ko) * 2010-07-29 201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25747A (ja) 2008-07-17
WO2006047072A3 (en) 2006-11-30
EP1805466A2 (en) 2007-07-11
KR100876024B1 (ko) 2008-12-26
US20060086111A1 (en) 2006-04-27
CN100549584C (zh) 2009-10-14
US7219506B2 (en) 2007-05-22
WO2006047072A2 (en) 2006-05-04
EP1805466A4 (en) 2010-10-06
CN101048627A (zh) 200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024B1 (ko) Hvac 시스템의 입출구 공기 조건을 예측하는 방법
US7494536B2 (en) Method for detecting a fault in an HVAC system
CN101842646B (zh) 基于排放时制冷剂状况的吸入过热控制
Li et al. Decoupling features and virtual sensors for diagnosis of faults in vapor compression air conditioners
US76315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frigerant charge level
US20040144106A1 (en) Estimating evaporator airflow in vapor compression cycle cooling equipment
JP4864110B2 (ja) 冷凍空調装置
US7380404B2 (en) Method and control for determining low refrigerant charge
CN104964496A (zh) 用于监测压缩机过热的系统和方法
CN109983286A (zh) 用于在蒸气压缩系统中进行故障缓解的方法
JPS58120054A (ja) 空気調和装置
Li et al. Virtual refrigerant pressure sensors for use in monitoring and fault diagnosis of vapor-compression equipment
JP6869370B2 (ja) 空調機
JP3985092B2 (ja) 空気調和機
JP5989534B2 (ja) 冷凍システム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CN115485513B (zh) 用于监测蒸气压缩系统中的制冷剂充注量的方法
JP2011196599A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100489560B1 (ko) 공냉식 열펌프의 현장 성능 분석방법 및 성능 분석장치
CN116263263A (zh) 改变热泵的除霜触发的方法
JP2022069305A (ja) 空気調和機
JP2022025509A (ja) 空気調和機
KR100779537B1 (ko) 공기조화기의 냉매 부족 검출방법
JPH0610571B2 (ja) 適正冷媒充填量検出装置
KR20090085892A (ko) 공기조화기의 센서의 고장 진단 방법
Shen et al. Modeling Improvements for Air-Source Heat Pumps Using Different Expansion Devices at Varied Charge Levels--Part 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