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7771A -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7771A
KR20070047771A KR1020077002731A KR20077002731A KR20070047771A KR 20070047771 A KR20070047771 A KR 20070047771A KR 1020077002731 A KR1020077002731 A KR 1020077002731A KR 20077002731 A KR20077002731 A KR 20077002731A KR 20070047771 A KR20070047771 A KR 20070047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eans
modification
perform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알. 하우브
윌리암 피. 알베르스
티모시 피. 프로에링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47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통신 장치(100)는 제1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1 통신 수단(140)과, 제2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2 통신 수단(110, 130)과, 제1 통신 수단(140) 및 제2 통신 수단(110, 130) 간에 결합된 동작 제어 매니저(150)를 포함한다. 동작 제어 매니저(150)는 제2 통신 수단(110, 130)에서의 성능 영향을 검출하고, 제1 통신 수단(140)을 수정하여 성능 영향을 저감하는데 적합하다.
통신 장치, 대체 동작 모드, 품질 손상, 성능 영향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중 모드에서 동시에 동작가능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전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및 통신 기능을 갖는 다른 휴대용 전자 장치는 지난 수년간 일상 생활 용품으로 되었다. 이러한 장치들이 서서히 발전함에 따라, 장치 가격 및 크기가 계속해서 저감되는 한편 이 장치들의 성능은 확장되었다. 현재, 이러한 장치들을 많은 장소에서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개시할 수 있으며, 전자 메일(이메일) 및 다른 메시징 기능뿐만 아니라 인터넷, 경기 게임에 무선 접속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장치들의 성능이 계속해서 확장되고 가격은 계속해서 떨어져서 이러한 장치들을 사람들의 일상 생활의 영구적인 부분으로 이용하게 된다는 진다는 것을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오늘날의 많은 통신 장치들은, 예를 들어, 다중 동작 모드들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통신용 대역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위치 추적용 위치 네트워크 상에서, 및 랜 통신용 단파 네트워크 상에서,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동시 동작의 한 가지 단점이라면 다중 동작 모드들 간의 잠재 적인 간섭이며 이것은 다시 전체 장치 성능의 열화를 야기한다.
저감된 장치 크기도 전체 성능에 대하여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가 작을수록 더욱 작은 통신 모듈이 필요하다. 이것은 송신기 잡음 및 간섭을 저감하는데 사용되는 필터의 성능을 저감한다. 더욱 작은 크기의 장치도 다양한 통신 안테나들 간의 이용가능한 분리를 저감한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모드에서의 동작으로 인해 대체 동작 모드들에서 성능의 일부 손실을 겪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랜 통신 모드에서 동작할 때 무선 주파수 통신 성능 및/또는 위치 추적 성능의 열화를 겪을 수 있다.
통신 장치들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하나의 동작 모드는 블루투스(Bluetooth)이다. 블루투스는, 컴퓨터, 셀룰러 전화 내지 키보드, 헤드폰에 이르는 전자 장비가 유선, 케이블,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다른 직접적인 액션 없이 자신의 고유 접속을 행할 수 있게 하는 표준이다. 통신 장치 내에서 다른 동작 모드들에 대하여 블루투스 간섭을 저감하는 한 가지 방법은 블루투스 표준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파수 호핑을 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주파수 호핑은, 예를 들어, 광역 무선 주파수 통신 및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내의 동작용으로, ISM 대역으로부터의 큰 오프셋에서 대역 잡음을 저감하지 않는다(블루투스는 산업-과학-의료(ISM)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특정된다). 큰 오프셋으로, 블루투스 송신기로 인한 잡음 스펙트럼은 본래 일정하고 따라서 ISM 대역내의 주파수 변동은 소용이 없다.
개별 도면들 전체에 걸쳐 유사 참조 번호가 동일하거나 기능상 유사한 소자 들을 가리키는 첨부 도면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며,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들을 추가 예시하고 다양한 원리들 및 이점들을 모두 설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은 통신 장치를 예시하는 전자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통신 장치의 동작의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블루투스 시스템의 성능을 수정하여 통신 장치의 다른 모드들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한다. 이 동작 방법과 관련된 알고리즘을 통신 장치 내에서 주기적으로 실행하여 보편적인 신호 상태들에 기초하여 블루투스 모드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장치(100)를 예시하는 전자 블록도이다. 통신 장치(100)는, 예를 들어,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종래의 셀룰러 무선 송수신기 회로부를 구비한 셀룰러 무선전화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편의상 본 명세서에 나타내지 않는다. 다른 방법으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메시징 장치, 통신 기능을 갖춘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개인용 컴퓨터, 이동 무선 핸드셋, 무선 전화 등과 같은 다른 통신 장치들에 적용된다.
통신 장치(100)는, 컴팩트한 하우징내에 집적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종래의 장치 하드웨어(이것도 편의상 나타내지 않음)를 포함한다. 특정한 통신 장치 각각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통신 장치(100)는 무선 주파수(RF) 안테나(105), RF 송수신기(110), GPS 안테나(125), GPS 수신기(130), 단거리 안테나(135), 단거리 송수신기(140), 컨트롤러(120), 메모리(160), 및 경보기(alert) 모듈(165)을 포함한다.
RF 안테나(105)는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 네트워크들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을 간섭하고 그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 네트워크들에 신호들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RF 안테나(105) 및 RF 송수신기(110)는 개인 휴대 통신(PCS) 대역 상에서 1.9GHz로 동작할 수 있다. RF 안테나(105)는 RF 송수신기(110)에 결합되고, 이 RF 송수신기는 무선 주파수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복조 기술을 이용한다. RF 송수신기(110)는 콘트롤러(120)에 결합되며 콘트롤러(120)로부터의 코맨드에 응답한다. RF 송수신기(110)가 콘트롤러(120)로부터 코맨드를 수신할 때, RF 송수신기(110)는 RF 안테나(105)를 통해 신호를 하나 이상의 RF 통신 시스템으로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신 장치(100)가 RF 안테나(105) 및 RF 송수신기(110)를 이용하여 무선 주파수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도시하지 않음)에서, 통신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RF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안테나 및 수신기, 및 하나 이상의 RF 통신 시스템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안테나 및 송신기를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동일한 형태이거나 다른 형태의 다른 유사한 전자 블록도를 통신 장치(100)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RF 안테나(105) 및 RF 송수신기(110)가 여러 표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준에 따라 다양한 RF 통신 시스템 내에서 통신하는데 적합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표준들로는, 앰프스 이동 전화 방식(AMPS), 개량된 협대역 이동 전화 시스템(NAMPS),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SM), IS-136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 IS-95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 CDMA 2000 시스템, 와이드밴드 CDMA (W-CDMA) 시스템, 개인 휴대 통신(PCS), 3 세대(3G)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및 이 프로토콜들의 변형판 및 개량판 등의 아날로그, 디지털 또는 듀얼 모드 통신 시스템 프로토콜이 있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의 설명에서, "RF 통신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상술한 시스템들 중 임의의 시스템 또는 그 등가물을 가리킨다. 또한, RF 통신 시스템이 피코 네트워크를 비롯한 무선 랜 등을 포함할 수 있다고 예상된다.
콘트롤러(120)는, RF 송수신기(110)에 결합되며, 수신한 메시지들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신호 처리 기술을 이용한다. 당업자라면 필요시 추가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콘트롤러(120)의 처리 요구 사항을 다룰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콘트롤러(120)는 수신한 메시지 및/또는 음성 통신의 복조된 데이터에서 식별자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식별자를 메모리(16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식별자와 비교하며, 매칭된다고 검출한 경우 수신한 메시지 및/또는 음성 통신의 나머지 부분을 처리하도록 진행한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식별자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내에 할당된 고유한 선택 호 어드레스, 전자 메일 어드레스,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 또는 다른 임의의 유사한 식별자일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GPS 수신기(130)에 결합된 GPS 안테나(125)를 더 포함한다.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은 위성군(24) 및 이들의 지상국들로 형성된 월드와이드 무선 항법 시스템이다. GPS 수신기는 이러한 위성들을 기준점들로서 이용하여 미터 정밀도로 위치들을 계산한다. GPS 수신기(130)는 GPS 안테나(125)를 통하여 GPS 시스템으로부터 방송된 신호들을 수신한다. GPS 수신기(130)는 콘트롤러(120)에 결합되고, 이 콘트롤러는 수신된 GPS 신호들을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처리하여 통신 장치(100)의 위치를 계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신 장치(100)가 GPS 안테나(125) 및 GPS 수신기(130)를 이용하여 위치 추적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게 된다.
GPS 수신기(130)는 콘트롤러(120)에 결합된다. 콘트롤러(120)는, GPS 수신기(130)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코맨드의 수신에 응답하여, 현재 위치를, 바람직하게 위도 및 경도의 형태로 메모리(160)에 저장한다.
단거리 안테나(135)는 하나 이상의 단거리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을 인터셉트하고 신호들을 그 하나 이상의 단거리 네트워크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단거리 안테나(135) 및 단거리 송수신기(140)는 블루투스 대역 상에서 2.4GHz로 동작할 수 있다. 단거리 안테나(135)는 단거리 송수신기(140)에 결합되며, 이 단거리 송수신기는 단거리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복조 기술을 이용한다. 단거리 송수신기(140)는 콘트롤러(120)에 결합되며 콘트롤러(120)로부터의 코맨드에 응답한다. RF 송수신기(110)가 콘트롤러(120)로부터 코맨드를 수신할 때, 단거리 송수신기(140)는 단거리 안테나(135)를 통해 신호를 하나 이상의 단거리 통신 시스템으로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신 장치(100)가 단거리 안테나(135) 및 단거리 송수신기(140)를 이용하여 단거리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게 된다.
단거리 송수신기(140)는 통신용 단거리 송신 전력(145)을 이용하여 동작한다. 단거리 송신 전력(145)은 바람직하게 시그널링 상태 및/또는 통신 요구 사항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도시하지 않음)에서, 통신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단거리 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단거리 수신 안테나 및 수신기, 및 하나 이상의 단거리 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단거리 송신 안테나 및 송신기를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동일한 타입이거나 다른 타입의 유사한 전자 블록 도식을 통신 장치(100)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콘트롤러(120)는, 예시한 바와 같이, 경보기(165)에 결합된다. 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 및 처리할 때, 콘트롤러(120)는, 경보기(165)에의 코맨드 신호를, 바람직하게 그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며 저장되었음을 나타내거나 호가 응답을 기다리고 있음을 나타내는 통지로서 생성한다. 유사하게 경보기(165)를, 알람 시계, 달력 이벤트 경보, 통신 호가 단절되었거나 통신 호에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경보 통지, 등과 같은 다른 경보 통지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경보기(165)는, 멜로디 및 다른 가청 경보를 재생할 수 있는 관련된 스피커 구동 회로부를 갖춘 스피커(도시하지 않음), 물리적 진동을 생성할 수 있는 관련된 진동기 구동 회로부를 갖춘 진동기(도시하지 않음), 또는 가시 경보를 생성할 수 있는 관련된 LED 구동 회로부를 갖춘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가청, 진동, 및 가시 경보 출력의 임의의 조합뿐만 아니라 다른 유사한 경보 수단을 경보기(165)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통신 장치(100)의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려면, 콘트롤러(120)는 메모리(160)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메모리는 램(RAM), 롬(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밍가능 롬(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16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수신하거나 송신한 메시지들,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하나 이상의 위치 데이터 등의 저장용 메모리 위치를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메모리(160)가 통신 장치(100)내에 집적될 수 있으며,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메모리 저장 장치와 같은 외부 메모리 내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 메모리 저장 장치는, 예를 들어, 가입자 식별 모듈(SIM) 카드일 수 있다. SIM 카드는 전형적으로 작고 유연성있는 플라스틱 카드 내에 인캡슐레이션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이다. SIM 카드는 통신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터페이스의 일부 형태를 더 포함한다. SIM 카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통신 장치(100) 및 임의의 다른 호환가능한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거리 송신 전력 룩업 테이블(170)을 포함한다. 단거리 송신 전력 룩업 테이블(170)은 다양한 동시 동작 모드 전력 레벨들(175) 및 관련된 소정의 단거리 송신 전력 레벨들(180)을 저장한다. 동시 동작 모드는, 예를 들어, RF 통신 모드, 및/또는 GPS 통신 모드 등일 수 있다.
콘트롤러(120)는 바람직하게 동작 제어 매니저(150)를 포함한다. 다른 방법으로, 동작 제어 매니저(150)를 콘트롤러(120)에 별도의 모듈로서 결합할 수 있다. 동작 제어 매니저(150)는 제조시 통신 장치(100)내로 하드 코딩되거나 프로그래밍될 수 있으며, 고객 가입시 전파를 통해(over the air) 프로그래밍될 수 있고, 또는 다운로드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당업자라면 동작 제어 매니저(150)가 통신 장치(100) 내의 하드웨어 회로부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동작 제어 매니저(150)는, 다양한 액티브 동작 모드들의 현재의 성능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다양한 동작 모드들에 의해 이용될 다양한 파라미터를 판정한다.
도 2는 도 1의 통신 장치의 동작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특히, 도 2는 동작 제어 매니저(150)의 동작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예시한 바와 같이, 동작은 통신 장치(100)가 대기 모드에 있는 단계(200)에서 시작한다. 대기 모드에서는 통신 장치(100)가 최소한의 전력으로 동작하여 배터리 수명을 유지한다. 다음으로, 단계(205)에서, 동작 제어 매니저(150)는 제1 통신 모드가 액티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동작 제어 매니저(150)는 (블루투스 동작 모드와 같은) 단거리 통신 모드가 액티브라고 판정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드가 액티브가 아닌 경우, 동작은 다시 대기 모드로 되며(단계(200)), 이후 액티브 제1 통신 모드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체크한다(단계(205)). 통신 장치(100)가 단계(205)에서 단거리 동작 모드와 같은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고 있을 때, 처리를 단계(210)로 진행하여 동작 제어 매니저(150)는 임계 신호 레벨들에 대한 모든 대체 액티브 동작 모드를 체크한다. 예를 들어, 단계(210)에서, 동작 제어 매니저(150)는, 무선 주파수 통신 동작 모드 및/또는 GPS 동작 모드가 비슷한 감도를 가져오는지 여부, 즉, 성능의 일부 손실이 예상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210)에서 임계값에 근접하는 대체 액티브 동작 모드가 없는 경우, 처리는 단계(215)로 진행하여 동작 제어 매니저(150)는 대체 액티브 동작 모드 내에 다른 임의의 품질 손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동작 제어 매니저(150)는 무선 통신 모드 성능 및/또는 GPS 성능을 하나 이상의 소정의 품질 메트릭(metrics)과 비교한다. 단계(215)에서 품질 손상이 없는 것으로 검출되면, 처리는 단계(220)로 진행하여 제1 통신 모드의 동작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모드가 단거리 통신 모드이면, 단거리 송신 전력을 최대 프리셋(preset) 레벨로 유지한다. 이후, 처리는 단계(200)의 대기 모드로 복귀한다.
단계(210)에서 하나 이상의 대체 액티브 동작 모드가 임계 성능 근처이거나 단계(215)에서 품질 손상이 하나 이상의 대체 액티브 동작 모드에서 검출되는 경우, 처리는 단계(225)로 진행하여 동작 제어 매니저(150)는 영향을 받은 대체 액티브 동작 모드 성능이 제1 통신 모드 동작 성능에 비하여 선호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영향을 받은 대체 액티브 동작 모드 성능이 선호되지 않으면, 영향을 받은 대체 액티브 동작 모드의 저감된 성능을 허용하고 처리는 단계(220)로 진행하여 제1 통신 모드 동작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모드가 단거리 통신 동작 모드인 경우, 단거리 송신 전력을 최대 프리셋 레벨로 유지한다.
단계(225)에서 영향을 받은 대체 동작 모드 성능이 선호되는 경우, 처리는 단계(230)로 진행하여 동작 제어 매니저(150)는 제1 통신 수단의 저감된 동작을 판정한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수단이 단거리 통신 수단인 경우, 동작 제어 매니저는 저감된 단거리 송신 전력을 판정할 수 있다. 액티브 대체 동작 모드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단거리 통신 수단의 신호 레벨에서 필요로 하는 저감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으로 동작 제어 매니저(150)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 계산은 공식에 기초할 수 있거나 다른 방법으로 룩업 테이블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제어 매니저(150)는 메모리(160)에서의 단거리 송신 전력 룩업 테이블(170)에 액세스함으로써 관련된 단거리 송신 전력을 판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235)에서, 동작 제어 매니저(150)는 새로운 단거리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관련된 단거리 성능(즉, 감도)을 계산한다. 다음으로, 단계(240)에서, 동작 제어 매니저(150)는 새로운 제1 통신 수단의 성능이 허용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계산된 단거리 성능을 단거리 동작 모드용으로 미리 프로그래밍된 감도 타겟과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미리 프로그래밍된 감도 타겟은 동작 모드의 타입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음성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거리 통신 모드가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경우, 이 비교는 블루투스 송신 전력의 저감을 허용하도록 블루투스 링크에 충분한 링크 마진이 존재함을 가리킬 수 있다.
계산된 제1 통신 수단의 성능이 허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단거리 송신 전력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처리는 단계(250)로 진행하여 사용자는 성능에서의 일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보를 받는다. 예를 들어, 동작 제어 매니저(150)는 경보기(165)에 신호를 송신하여 단거리 송신 전력이 저감되기 전에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후, 처리는 선택 사항으로서 단계(260)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제1 통신 수단의 동작 모드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블루투스 링크의 범위를 저감할 수 있다.
단거리 성능이 단계(240)에서 허용가능할 때 그리고 사용자가 단계(260)에서 제1 통신 수단의 동작 모드를 수정한 후에, 처리는 단계(245)로 진행하여 그 수정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단거리 통신 수단의 송신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단거리 송신 전력을 저감함으로써, 대체 동작 모드 블록에 삽입된 잡음을 최소화한다. 이후, 처리는 대기 모드 단계(200)로 복귀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하나 이상의 대체 동작 모드의 필요로 하는 성능을 유지하도록 통신 장치가 제1 동작 모드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방법은 통신 장치가 블루투스 동작 상태, 특히, 송신 전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셀룰러 통신 모드나 GPS 위치 모드와 같은 다른 동작 모드들에서의 성능의 손실을 저감한다. 저감된 단거리 송신 전력을 이용함으로써 멀리 떨어져 있는 일정한 잡음 스펙트럼의 유해한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은 전력 제어 판정을 행하여 다중 모드로 동시에 동작하는 통신 장치의 성능을 개선한다.
본 명세서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 및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본 발명자에 의해 소유되는 방식으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최상의 모드를 포함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많은 등가물이 존재하며 수정 및 변경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인식할 수 있으며, 이것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의 모든 등가물 및 본 출원의 계류중에 이루어지는 임의의 보정 내용을 포함하여,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또한, 제1, 제2, 위, 아래 등과 같은 관련 용어들은 엔티티, 항목, 또는 액션 간에 임의의 관계나 순서를 암시하거나 요구하지 않으며 이러한 엔티티, 항목, 또는 액션을 서로 구별하도록 이용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의 상당 부분 및 본 발명의 원리의 상당 부분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이용하거나, 혹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명령 내에서 잘 구현된다. 당업자라면, 예를 들어, 이용가능 시간, 현재 기술, 및 경제적 고려 사항에 의해 동기 부여되는 상당한 노력 및 많은 설계 선택이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원리 및 개념의 도움으로, 이러한 소프트웨어 명령 및 프로그램을 최소한의 경험으로 쉽게 생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추가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원리 및 개념을 모호하게 할 위험성을 최소화하면서 그 추가 설명이 간결하도록 제한할 것이다.

Claims (10)

  1.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동작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대체 동작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동작 모드로부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체 동작 모드에서의 성능 영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동작 모드를 수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체 동작 모드에서의 품질 손상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손상에는, 임계 레벨에 근접하는 신호 레벨을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체 동작 모드가 포함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단계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체 동작 모드를 바람직한 동작 모드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단거리 통신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정 단계는 상기 단거리 통신 모드의 송신 전력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단계 전에,
    제1 동작 모드 수정을 식별하는 단계와,
    식별된 제1 동작 모드 수정을 이용하여 제1 동작 모드 성능을 판정하는 단계와,
    판정된 제1 동작 모드 성능을 허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정 단계는 상기 제1 동작 모드 수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동작 모드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단계 전에,
    제1 동작 모드 수정을 식별하는 단계와,
    식별된 제1 동작 모드 수정을 이용하여 제1 동작 모드 성능을 판정하는 단계와,
    판정된 제1 동작 모드 성능의 사용자를 변경하는 단계와,
    대체 제1 동작 모드 수정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정 단계는 상기 대체 제1 동작 모드 수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동작 모드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통신 장치로서,
    제1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1 통신 수단과,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동시에 제2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2 통신 수단과,
    상기 제1 통신 수단과 상기 제2 통신 수단 간에 결합된 동작 제어 매니저
    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 매니저는, 상기 제2 통신 수단에서의 성능 영향을 검출하고, 상기 제1 통신 수단을 수정하여 상기 성능 영향을 저감하는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수단은 단거리 송수신기인 통신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수단은,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및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수신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통신 장치.
KR1020077002731A 2004-08-05 2005-08-02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0700477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12,459 US20060030356A1 (en) 2004-08-05 2004-08-05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e
US10/912,459 2004-08-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771A true KR20070047771A (ko) 2007-05-07

Family

ID=35758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731A KR20070047771A (ko) 2004-08-05 2005-08-02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030356A1 (ko)
EP (1) EP1776790A2 (ko)
KR (1) KR20070047771A (ko)
CN (1) CN101002414A (ko)
BR (1) BRPI0514065A (ko)
WO (1) WO200601742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771B1 (ko) * 2011-01-13 2014-10-08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멀티모드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의 상호 변조 왜곡 감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425401D0 (en) * 2004-11-18 2004-12-2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deriving position information
CA2643254C (en) * 2006-03-14 2014-02-11 Jamie Hackett Long-range radio frequency receiver-controller module and wireless control system comprising same
JP4628293B2 (ja) * 2006-03-30 2011-02-09 京セラ株式会社 マルチバンド無線通信方法およびマルチバンド無線通信装置
US20070281614A1 (en) * 2006-06-01 2007-12-0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mode communications
US20080146269A1 (en) * 2006-12-14 2008-06-19 Pirzada Fahd B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resource management in non-harmonized RF spectrum
KR100819882B1 (ko) * 2007-01-23 2008-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모드 듀얼 밴드 단말기의 대기 통화 방사 전력 제어방법 및 장치
US8594695B2 (en) * 2007-02-16 2013-11-26 Intel Corporation Using location information to set radio transmitt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ory compliance
US8930458B2 (en) 2007-04-04 2015-01-06 Pathfinders International, Llc GPS pathfinder cell phone and method
US9002944B2 (en) 2007-04-04 2015-04-07 Pathfinders International, Llc Virtual badge, device and method
US8154440B2 (en) * 2007-04-04 2012-04-10 Pathfinders International, Llc GPS pathfinder cell phone and method
US8274957B2 (en) * 2007-07-20 2012-09-25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setting up and tearing down connections in mesh networks
US8929805B2 (en) 2007-10-30 2015-01-06 Nationz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CN100573568C (zh) 2007-10-30 2009-12-23 国民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移动设备的射频ic卡装置
US8045592B2 (en) * 2009-03-04 2011-10-25 Laird Technologies, Inc. Multiple antenna multiplexers, demultiplexers and antenna assemblies
US10827735B2 (en) 2015-09-19 2020-11-10 Vulture Systems, LLC Remotely detectable transportable game and fishing alarm system
US11252466B2 (en) * 2020-06-02 2022-02-15 T-Mobile Usa, Inc. Content synchronization between proximate display devices
US11212577B1 (en) 2020-06-02 2021-12-28 T-Mobile Usa, Inc. Content synchronization between display devices
US11736774B2 (en) 2021-02-24 2023-08-22 T-Mobile Usa, Inc. Seamless content transition between proximate user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5119A (en) * 1989-11-07 1993-11-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CDMA cellular mobile telephone system
US5649303A (en) * 1994-09-02 1997-07-1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ference among communication systems
DE69914351T2 (de) * 1998-04-17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Funkkommunikationsgerät und Verfahren zur Einstellung der Übertragungsrate
US6898445B2 (en) * 2000-09-07 2005-05-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liteness zon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7099649B2 (en) * 2000-10-24 2006-08-29 Geberit Technik Ag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data exchange between an appliance and a handheld device
GB2373887A (en) * 2001-03-28 2002-10-02 Hewlett Packard Co Context dependent operation, including power management, of a mobile computer
GB2376848A (en) * 2001-06-22 2002-12-24 Immarsat Ltd Communication channel mode selection
US20030060206A1 (en) * 2001-09-27 2003-03-27 Erkka Sointula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mutual interference when co-locating mobile station and bluetooth systems
US6650691B2 (en) * 2002-02-12 2003-11-18 Motorola, Inc. Power control i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s
US6718166B2 (en) * 2002-05-17 2004-04-06 Illinois Superconductor Corporation, Inc. Multiple carrier adaptive notch filter
US7292589B2 (en) * 2002-08-13 2007-11-06 Narendra Kumar Dhara Flow based dynamic load balancing for cost effective switching systems
US6978121B1 (en) * 2002-11-05 2005-12-20 Rfmd Wp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dual-mode radi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103314B2 (en) * 2002-12-27 2006-09-05 Atheros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forming wireless devices to worldwide regulations
US20050033515A1 (en) * 2003-08-07 2005-02-10 Motorola, Inc. Wireless personal tracking and navigation system
US7197291B2 (en) * 2003-10-03 2007-03-27 Motorola, Inc. Multimode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ignal interference
US20050215284A1 (en) * 2004-03-26 2005-09-29 Broadcom Corporation Collaborative coexistence with dynamic prioritization of wireless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771B1 (ko) * 2011-01-13 2014-10-08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멀티모드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의 상호 변조 왜곡 감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17424A2 (en) 2006-02-16
EP1776790A2 (en) 2007-04-25
WO2006017424B1 (en) 2006-08-24
WO2006017424A3 (en) 2006-05-04
BRPI0514065A (pt) 2008-05-27
CN101002414A (zh) 2007-07-18
US20060030356A1 (en)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7771A (ko)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626999B1 (ko) 무선 통신 장치에서 속도 감지 동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7577442B2 (en) Mobile location devices and methods
KR20010108462A (ko) 무선 단말기의 위치에 근거한 제어 신호 발생 방법
US20060014569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daptive audible user notification
CN106304037B (zh) 虚拟sim卡的管理方法和装置
CA2636164A1 (en) Method of associating groups of classified source addresses with vibration patterns
EP1590987A2 (en) Priority e911 call back during access class restrictions
CN112840695B (zh) 波束失败检测bfd资源的确定方法、装置及通信设备
CN1312954C (zh) 移动通信终端
US6993363B1 (en) Wireless monitor tool for a mobile station
CN104796860A (zh) 终端定位方法及装置
EP1041847A1 (en) Protecting a predetermined area from disturbing usage of mobile terminals by means of a location updating answer message
CN106535305B (zh) 一种休眠控制方法及终端
US6125262A (en) Selective call radio for selectively decoding prioritized messages and method therefor
US7929956B2 (en) Call reject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18183471A1 (en) User-defined sequence of events for executing actions on amobile device
CN105338193A (zh) 移动终端的报时方法及装置
JP2007104418A (ja) 移動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0539872B1 (ko)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CN106408926B (zh) 红外遥控功能的禁用装置和方法
JPH11339170A (ja) 自動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JP5011571B2 (ja) 着信確認システム、着信確認方法及び着信認識装置
JP2006180409A (ja) 無線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無線制御装置、無線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無線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2004072313A (ja) 移動携帯端末およびその着信報知手段切替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