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7656A - 화상 구현 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구현 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7656A
KR20070047656A KR1020050104594A KR20050104594A KR20070047656A KR 20070047656 A KR20070047656 A KR 20070047656A KR 1020050104594 A KR1020050104594 A KR 1020050104594A KR 20050104594 A KR20050104594 A KR 20050104594A KR 20070047656 A KR20070047656 A KR 20070047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data
area
luminan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2064B1 (ko
Inventor
공남용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4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064B1/ko
Priority to US11/476,620 priority patent/US7804496B2/en
Priority to CN2006100911058A priority patent/CN1959802B/zh
Publication of KR20070047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6Determination of movement vectors or equivalent parameters within the im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윈도우 영역에 스팟 라이트를 적용하기 위한 화상 구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서 입력된 제 1화상데이터로부터 특정 화상을 표시하는 제 1영역을 검출하고, 그 제 1영역의 휘도를 변환시켜 제 2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처리부와, 상기 화상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제 2화상데이터에 따라 제 1영역을 그 외 영역에 비해 강조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화상, 윈도우, RGB, YUV, 엣지

Description

화상 구현 장치 및 그 구동방법{APPARATUS FOR PERFORMING IMAG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도1은 컴퓨터와 표시장치가 연결된 일반적인 화상 구현 장치를 보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구현 장치를 보인 도면.
도3은 도2의 화상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4a는 도3의 동화상 판단부의 동화상 검색 방법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4b는 도4a의 동작에 의해 검출된 제 1윈도우를 나타낸 예시도.
도5는 도3의 윈도우 검출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엣지 검색 방법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6은 도3의 데이터 변환부에 추가될 수 있는 샤프닝 처리에 대한 일 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0: 화상처리부 251: 제 1변환부
252: 동화상 판단부 253: 윈도우 검출부
254: 데이터 변환부 255: 제 2변환부
DATA100[R,G,B]: 제 1화상데이터
DATA200[R,G,B]: 제 2화상데이터
본 발명은 화상 구현 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데이터를 자체적으로 분석하여 설정된 영역에 스팟라이트(spotlight)를 적용할 수 있는 화상 구현 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를 시각으로 구현하는 표시장치는 현대 정보사회에서 중요한 정보 전달매체이다. 초기에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새로운 원리와 소자의 발명에 따라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등이 음극선관의 수요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표시장치는 자체적으로 정보의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전달받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화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외부 매체와 연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외부 매체로 대표적인 것은 널리 보급되어 있는 컴퓨터(computer)이다.
도1은 컴퓨터와 표시장치가 연결된 일반적인 화상 구현 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화상 구현 장치는 화상데이터(DATA10[R,G,B])와 윈도우(35)의 좌표데이터(DATA[X,Y])를 출력하는 컴퓨터(10)와, 상기 화상데이터 (DATA10[R,G,B])를 좌표데이터(DATA[X,Y])에 따라 윈도우(35) 영역의 휘도를 변환시킨 새로운 화상데이터(DATA20[R,G,B])를 출력하는 화상변환회로(20)와, 상기 화상변환회로(20)에서 제공된 화상데이터(DATA20[R,G,B])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30)로 구성된다.
통상, 표시장치(30)에는 여러 정보가 동시에 표시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컴퓨터 작업 중 화면에 별도의 윈도우를 띄워 다른 정보를 확인하기도 하는데, 이때, 윈도우의 휘도를 특히 높여주는 스팟라이트(spotlight) 기능을 적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스팟라이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 중 윈도우가 표시되는 정확한 좌표가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컴퓨터를 통해 임의로 지정하거나 컴퓨터에 의해 지정되는 정확한 위치를 담은 좌표데이터가 스팟라이트 구현을 위해 상기 화상변환회로(20)에 공급된다.
상기 화상변환회로(20)는 상기 좌표데이터(DATA[X,Y])를 인가받는 인터페이스IC(22)와, 상기 화상데이터(DATA10[R,G,B])를 인가받고, 상기 인터페이스IC(22)로부터 좌표데이터(DATA[X,Y])를 인가받아 상기 화상데이터(DATA10[R,G,B])를 좌표데이터(DATA[X,Y])에 따른 윈도우(35) 영역의 휘도를 변환시켜 새로운 화상데이터(DATA20[R,G,B])를 출력하는 화상변환IC(24)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장치(30)를 통해 표시되는 윈도우(35)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 더 높은 휘도로 표시된다.
상기 시스템에서 윈도우(35)의 좌표데이터(DATA[X,Y])를 얻기 위해서는 컴퓨 터(10)에 별도의 프로그램(program)이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화상변환회로(20)에는 좌표데이터(DATA[X,Y])를 전송받기 위한 별도의 통신 인터페이스IC(22)가 필요하다. 따라서, 윈도우(35) 영역의 스팟라이트 기능을 위해 추가적인 비용이 들어간다.
또한, 스팟라이트를 수행하기 위해 매번 컴퓨터(10)로부터 좌표데이터(DATA[X,Y])를 공급받으려면 지속적인 전력 소모가 발생되므로, 절전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이 창안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데이터로부터 자체적으로 윈도우를 검출하여 스팟라이트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동화상을 표시하는 윈도우 영역에 우선적으로 스팟라이트를 적용할 수 있는 화상 구현 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상 구현 장치는 외부에서 입력된 제 1화상데이터로부터 특정 화상을 표시하는 제 1영역을 검출하고, 그 제 1영역의 휘도를 변환시켜 제 2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처리부와, 상기 화상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제 2화상데이터에 따라 제 1영역을 그 외 영역에 비해 강조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구현 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화상 구현 장치는 제 1화상데이터(DATA100[R,G,B])를 출력 하는 컴퓨터(110)와, 상기 컴퓨터(110)로부터 제공받은 제 1화상데이터(DATA100[R,G,B])로부터 윈도우(135)를 검출하여 그 윈도우(135) 영역의 휘도를 높인 제 2화상데이터(DATA200[R,G,B])를 출력하는 화상처리부(150)와, 상기 화상처리부(150)의 제 2화상데이터(DATA200[R,G,B])에 따라 윈도우(135) 영역을 다른 영역보다 높은 휘도로 표시하는 표시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2에 도시된 컴퓨터(110)는 표시장치에 정보를 제공하는 많은 장치들 중 하나의 예로 제시된 것이다.
종래와는 다르게 상기 컴퓨터(110)는 제 1화상데이터(DATA100[R,G,B])만 상기 화상처리부(150)에 제공한다.
상기 화상처리부(150)는 상기 제 1화상데이터(DATA100[R,G,B])를 분석하여 자체적으로 윈도우(135)를 검출해내며, 그 윈도우(135) 영역에 표시될 화상정보를 변환시켜 윈도우(135) 영역의 휘도를 높인 제 2화상데이터(DATA200[R,G,B])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윈도우(135) 영역을 스팟라이트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상기 윈도우(135) 영역만을 밝게 해주는 방법, 상기 윈도우(135) 영역을 밝게 해주면서 다른 영역은 상대적으로 어둡게 해주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표시장치(130)는 상기 화상처리부(150)로부터 제 2화상데이터(DATA200[R,G,B])를 인가받아 상기 윈도우(135) 영역을 다른 영역보다 더 밝게 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윈도우(135)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좀 더 어둡게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표시장치(130)에서 윈도우(135) 영역은 특히 강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부(150)는 컴퓨터(110)로부터 인가받은 제 1화상데이터(DATA100[R,G,B])만으로 스팟라이트 기능을 제공한다.
최근, 기술의 발달에 따라 가정에서도 표시장치를 통해 다양한 동화상을 시청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와 같은 동화상을 표시장치 전화면으로 시청하는 경우도 있지만, 하나의 표시장치를 통해 여러 가지 작업을 병행하는 경우도 많이 있는데, 이때에는 보통 윈도우(135)에 동화상을 띄워놓고 시청하게 된다. 상기 표시장치에에는 하나의 윈도우(135)만 띄우는 경우도 있고, 여러 개의 윈도우(135)를 띄우는 경우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동화상을 현재 표시되는 정보 중 가장 중요한 정보로 간주하여 우선 순위를 두었다. 따라서, 우선 순위에 대한 설정은 임의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화상처리부(150)는 상기 제 1화상데이터(DATA100[R,G,B])의 휘도성분을 분석하여 동화상이 표시되는 윈도우(135)를 감지한 후 해당 윈도우(135) 영역의 휘도성분을 변환시킨다.
도3은 도2의 화상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화상처리부는 적색(R),녹색(G) 및 청색(B) 계조성분으로 구성된 RGB형태의 제 1화상데이터(DATA100[R,G,B])를 휘도(Y) 및 색차성분(U,V)으로 구성된 YUV형태의 화상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제 1변환부(251)와, 상기 휘도성분(Y)으로부터 동화상의 유무와 위치를 판단하는 동화상 판단부(252)와, 상기 동화상 판단부(252)에서 인가받은 동화상으로부터 윈도우를 검출하는 윈도우 검출부(253)와, 상기 윈도우 검출부(253)에서 인가된 윈도우 영역의 휘도성분(Y)을 변환시키는 데 이터 변환부(254)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254)에서 변환된 휘도성분(Y)을 포함하는 YUV형태의 화상데이터를 다시 RGB형태의 제 2화상데이터(DATA200[R,G,B])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 2변환부(2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화상 판단부(252)는 YUV형태의 화상데이터의 휘도성분(Y)을 이용하여 동화상을 판단한다. 동화상은 매 프레임마다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는 화상의 휘도가 변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연속적인 두 프레임의 휘도성분(Y)을 비교하여 동화상을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정지화상일 경우에는 연속하는 두 프레임의 휘도는 동일하게 유지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동화상 판단부(252)에서는 화상데이터의 휘도성분(Y)에 의해 동화상의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초기에 입력되는 RGB형태의 제 1화상데이터(DATA[R,G,B])는 상기 제 1변환부(251)를 통해 YUV형태의 화상데이터로 변환시켜야 한다.
상기 동화상 판단부(252)는 연속하는 두 프레임의 화상데이터의 휘도성분(Y)을 비교하여 화면의 특정 위치에서 동화상을 발견한 경우 그 동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인 제 1윈도우를 검출한다.
상기 윈도우 검출부(253)는 상기 동화상 판단부(252)로부터 제 1윈도우에 대한 데이터를 인가받고, 이 제 1윈도우 영역에서 엣지(edge)를 검색하여 동화상이 표시되는 실제 윈도우를 검출한다. 보통, 상기 제 1윈도우는 실제 윈도우와 일치할 수도 있지만, 보통 실제 동화상이 표시되는 영역보다 큰 영역을 갖는다. 상기 윈도우 검출부(253)에서 검출되는 윈도우를 상기 동화상 판단부(252)에서 검출한 제 1 윈도우와 구분하기 위하여 제 2윈도우라 부르도록 하겠다.
상기 윈도우 검출부(253)에서는 상기 제 2윈도우를 검출하기 위해 엣지 검색(edge detection)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윈도우 검출부(253)에서 검출된 제 2윈도우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변환부(254)에 인가되며, 상기 데이터변환부(254)는 상기 제 2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화상데이터의 휘도성분(Y)을 변환시켜 이전에 비해 높은 휘도를 갖도록 조작한다. 즉, YUV형태의 화상데이터에서 제 2윈도우 영역의 휘도성분(Y)만을 변환시킨다. 물론, 스팟라이트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해 제 2윈도우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성분(Y)도 변환시켜 이전에 비해 낮은 휘도를 갖도록 조작하는 방법을 병행할 수도 있다.
상기 동화상 판단부(252), 윈도우 검출부(253) 및 데이터변환부(254)에서는 화상데이터에서 휘도변환을 위해 YUV형태의 화상데이터를 사용하였으나, 최종적으로 표시장치를 통해 실제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다시 RGB형태의 화상데이터로 변환시켜야 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변환부(254)에서 휘도성분(Y)을 변환시킨 YUV형태의 화상데이터를 제 2변환부(255)를 통해 다시 RGB형태의 화상데이터로 변환시켜 제 2화상데이터(DATA200[R,G,B])로 출력한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제 2화상데이터(DATA200[R,G,B])를 입력받아 제 2윈도우 영역의 휘도가 특히 높은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하, 상기 동화상 판단부(252)에서 사용되는 동화상 검색 방법과 윈도우 검출부(253)에서 사용되는 엣지 검색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 도록 하겠다.
도4a는 도3의 동화상 판단부의 동화상 검색 방법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4b는 도4a의 동작에 의해 검출된 제 1윈도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동화상 판단부는 화면을 복수의 블럭(B1∼B9)으로 구분한다. 이와 같이, 화면을 복수의 블럭(B1∼B9)으로 나누는 것은 동화상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4a에서는 화면을 9개의 블럭(B1∼B9)으로 구분하였다.
상기 동화상 판단부는 분할한 블럭(B1∼B9)을 순차적으로 검색한다. 즉, 상기 동화상 판단부는 입력받은 YUV형태의 화상데이터 중 휘도성분(Y)을 블럭(B1∼B9) 단위로 분석하여 각 블럭(B1∼B9)에서 동화상의 존재 여부를 검색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각 블럭(B1∼B9)에 표시되는 연속하는 두 프레임의 휘도성분(Y)들을 비교하여 동화상의 존재와 그 위치를 알아낸다.
상기 블럭(B1∼B9)들을 하나씩 검색한 결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화상(M10)이 제 1블럭(B1), 제 2블럭(B2), 제 4블럭(B4) 및 제 5블럭(B5)에 걸쳐 존재함을 검색하였다. 이때, 상기 제 1블럭(B1), 제 2블럭(B2), 제 4블럭(B4) 및 제 5블럭(B5)을 포함한 영역이 제 1윈도우(WIN1)이다. 만일, 화면을 더욱 많은 블럭으로 구분하여 검색할 경우 상기 제 1윈도우(WIN1)를 더욱 정밀하게 얻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윈도우(WIN1)는 실제로 동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일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 1윈도우(WIN1)에 대한 데이터는 윈도우 검출부로 전달된다.
엣지는 화상의 휘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 엣지를 검색함으로써, 물체의 형태, 위치 및 크기 등을 알아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윈도우 검출부는 상기 제 1윈도우(WIN1) 영역 내부에 존재하는 엣지를 검색함으로써, 실제로 동화상이 표시되는 제 2윈도우를 검출할 수 있다.
도5는 도3의 윈도우 검출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엣지 검색 방법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엣지 검색 방법에는 유사연산자(homegeneity operator)를 이용한 엣지 검색 방법, 차연산에 의한 엣지 검색 방법 등 여러가지가 있으나, 미분에 의한 엣지 검색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5에서도 미분에 의한 엣지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원래 화상을 1차 미분(gradient) 및 2차 미분(laplacian)한 그래프를 도시하였다.
원래 화상에 있어서, 엣지는 휘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휘도 변화량을 통해 엣지를 용이하게 알아내기 위하여 미분을 적용한다.
원래 화상을 1차 미분한 그래프를 보면, 엣지 주위는 1차 미분값이 큰 피크값을 중심으로 하는 곡선형태로 나타난다. 여기에 일정한 임계치를 설정하여 여러 엣지를 비교하여 그 임계치 이상인 것만 엣지로 정의하여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1차 미분값에 의해 엣지를 검출할 경우 임계치를 적절히 설정해도 엣지가 두껍게 검출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1차 미분에 의한 엣지 검색을 보완하기 위하여 원래 화상의 1차 미분값을 다시 미분한 2차 미분에 의한 엣지 검색이 많이 이 용된다.
2차 미분을 이용할 경우 휘도가 점차적으로 변하는 부분은 엣지로 인식하지 않고, 급격하게 변하는 부분만 엣지로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엣지를 더욱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다.
원래 화상을 2차 미분한 그래프를 보면, 여러 차례 부호가 바뀌는 영교차점(zero crossing point, Z1∼Z5)이 나타난다. 화상의 엣지는 이 영교차점(Z1∼Z5)에 각각 대응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원래 화상에는 많은 리플(ripple)들이 발생되기 때문에 짧은 시간이지만 급격한 휘도변화가 일어나는 리플이 영교차점(Z1∼Z5)으로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플에 의해 만들어진 거짓 엣지들을 효과적으로 제외하고, 실제 엣지를 검출하기 위해 2차 미분값의 변화량이 작은 경우 거짓 엣지로 판단하며, 변화량이 클 경우 이때의 영교차점(Z1∼Z5)을 실제 엣지로 판단한다. 도면에서는 도면부호 Z5만 실제 엣지이다.
상기와 같은 엣지 검출 방법에 의해 상기 윈도우 검출부에서는 제 1윈도우로부터 제 2윈도우를 검출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검출부는 기본적으로 제 1윈도우로부터 제 2윈도우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검출된 제 2윈도우의 엣지를 더욱 돋보이게 하고, 다른 영역과 확연하게 구분하기 위해 엣지를 샤프닝(sharpening) 처리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
샤프닝 처리는 엣지 양측의 화상의 휘도를 가감하여 두 화상의 휘도차를 더욱 크게 조작함으로써, 엣지를 더욱 선명하게 드러내는 작업이다.
도6은 도3의 데이터 변환부에 추가될 수 있는 샤프닝 처리에 대한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6을 참조하면, 엣지부분을 갖는 원래 화상의 휘도를 2차 미분할 경우 그 엣지의 경계에 있는 화상의 휘도는 돌출된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2차 미분값을 반전시켜 원래 화상에 더하게 되면, 샤프닝 처리된 화상이 도출된다.
상기 반전된 2차 미분값은 원래 화상을 샤프닝 처리하기 위한 일종의 마스크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엣지 양측에 표시되는 화상 중 높은 휘도를 갖는 부분의 휘도를 더욱 높여주고, 낮은 휘도를 갖는 부분의 휘도를 더욱 낮춰주어 엣지 양측(S1,S2)의 휘도차가 원래보다 더 커진다. 따라서, 엣지는 더욱 선명하게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구현 장치는 우선 순위로 설정된 동화상을 표시하는 윈도우 영역에 대해 스팟 라이트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동화상을 강조할 수 있다. 특히, 스팟 라이트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화상처리부는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자체적으로 분석하여 동화상 판단, 엣지 검출 등의 과정을 거쳐 윈도우 영역을 찾아내므로, 종래와 같이,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 윈도우 영역에 대한 별도의 좌표데이터를 받을 필요가 없어진다.
외부로부터 별도의 좌표데이터를 받을 필요가 없다는 것은 외부와 화상 구현 장치 사이에 좌표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치가 불필요함을 의미하며, 좌표데이터 전송시마다 요구되는 전력 소모를 없앨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구현 장치 및 그 구동방법은 우선 순위에 따라 특정 윈도우 영역에 스팟 라이트를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스팟 라이트 적용시 화상데이터로부터 윈도우 영역을 자체적으로 찾아내어 적용하므로, 외부로부터 윈도우 영역의 좌표데이터를 받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불필요하며, 좌표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력 소모도 없앨 수 있다.

Claims (21)

  1. 외부에서 입력된 제 1화상데이터로부터 특정 화상을 표시하는 제 1영역을 검출하고, 그 제 1영역의 휘도를 변환시켜 제 2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처리부; 및
    상기 화상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제 2화상데이터에 따라 제 1영역을 그 외 영역에 비해 강조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화상데이터는 RGB형태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화상은 동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부는
    RGB형태의 제 1화상데이터를 휘도성분(Y) 및 색차성분(U,V)을 갖는 YUV형태의 화상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제 1변환부;
    상기 휘도성분(Y)을 분석하여 특정화상을 포함하는 제 2영역을 검출하는 동화상 판단부;
    상기 제 2영역의 엣지 검출에 의해 제 1영역을 검출하는 윈도우 검출부;
    상기 YUV형태의 화상데이터에서 상기 제 1영역의 휘도성분(Y)을 변환시키는 데이터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변환부의 YUV형태의 화상데이터를 다시 RGB형태의 제 2화상데이터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 2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판단부는 화면을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여 블럭단위로 휘도성분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영역은 상기 제 1영역과 일치하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변환부는 상기 YUV형태의 화상데이터에서상기 제 1영역의 휘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변환부는 상기 YUV형태의 화상데이터에서 상기 제 1영역의 휘도를 높이고, 상기 제 1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는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검출부는 상기 제 2영역의 휘도에 1차 미분 또는 2차 미분을 적용하여 엣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변환부는 제 1영역의 엣지 양측의 휘도차가 더 커지도록 변환시키는 샤프닝 처리 기능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 양측의 휘도 중 휘도가 높은 부분은 더욱 높게 변환되고, 낮은 부분은 더욱 낮게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12. 외부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터로부터 특정 화상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특정 화상의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영역의 휘도를 변환시킨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화상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구동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영역은 특정 화상의 영역과 일치하거나 그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구동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화상은 화상데이터를 변환시킨 YUV형태의 화상데이터로부터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구동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화상은 YUV형태의 화상데이터 중 휘도성분(Y)을 분석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구동방법.
  16. 외부에서 입력된 RGB형태의 화상데이터를 YUV형태의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YUV형태의 화상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화상을 포함하는 제 2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 2영역으로부터 특정 화상만의 제 1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YUV형태의 화상데이터에서 상기 제 1영역의 휘도를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변환된 YUV형태의 화상데이터를 RGB형태의 화상데이터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RGB형태의 화상데이터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구동방법.
  17. 제 12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화상은 동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구동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영역의 휘도를 변환시키는 단계에 상기 제 1영역의 엣지 양측의 휘도차를 크게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구동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영역은 화면을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여 그 블럭들을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특정 화상을 찾는 과정에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구동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영역은 상기 특정 화상이 위치하는 모든 블럭을 포함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구동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영역은 상기 제 2영역 중 특정 화상의 엣지를 검색함으로써,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구현 장치 구동방법.
KR1020050104594A 2005-11-02 2005-11-02 화상 구현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152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594A KR101152064B1 (ko) 2005-11-02 2005-11-02 화상 구현 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1/476,620 US7804496B2 (en) 2005-11-02 2006-06-29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2006100911058A CN1959802B (zh) 2005-11-02 2006-06-30 图像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594A KR101152064B1 (ko) 2005-11-02 2005-11-02 화상 구현 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656A true KR20070047656A (ko) 2007-05-07
KR101152064B1 KR101152064B1 (ko) 2012-06-11

Family

ID=37995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594A KR101152064B1 (ko) 2005-11-02 2005-11-02 화상 구현 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04496B2 (ko)
KR (1) KR101152064B1 (ko)
CN (1) CN195980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470B1 (ko) * 2007-06-18 2014-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470644B1 (ko) * 2008-09-11 2014-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200101472A (ko) * 2015-12-16 2020-08-27 그레이스노트, 인코포레이티드 동적 비디오 오버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0377A1 (en) * 2005-07-27 2009-02-12 Pioneer Corporatio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processing method
JP5119636B2 (ja) * 2006-09-27 2013-01-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
JP4618384B2 (ja) * 2008-06-09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示装置および情報提示方法
KR20100131232A (ko) * 2009-06-05 2010-12-1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2915172B (zh) * 2011-08-03 2017-0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管理显示屏的方法及装置
JP6015766B2 (ja) * 2012-10-25 2016-10-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2次元画像データ処理装置、2次元色彩輝度計、2次元画像データ処理方法及び2次元画像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CN103021348A (zh) * 2012-12-28 2013-04-03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和屏幕背光控制方法
EP3128506A4 (en) * 2014-03-31 2017-12-06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5379A (en) * 1993-07-29 1997-04-29 Cirrus Logic, Inc. Video process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5734362A (en) * 1995-06-07 1998-03-31 Cirrus Logic, Inc. Brightness control for liquid crystal displays
US5808630A (en) * 1995-11-03 1998-09-15 Si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Split video architecture for personal computers
US5784050A (en) * 1995-11-28 1998-07-21 Cirrus Logic,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video data between the RGB and YUV color spaces
US6043804A (en) * 1997-03-21 2000-03-28 Alliance Semiconductor Corp. Color pixel format conversion incorporating color look-up table and post look-up arithmetic operation
US6380945B1 (en) * 1998-11-09 2002-04-30 Broadcom Corporation Graphics display system with color look-up table loading mechanism
US6873341B1 (en) * 2002-11-04 2005-03-29 Silicon Image, Inc. Detection of video windows and graphics windows
KR100891593B1 (ko) * 2002-12-12 2009-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590529B1 (ko) * 2003-11-04 2006-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국부적 휘도 향상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JP2005340954A (ja) * 2004-05-24 2005-12-08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1151994B1 (ko) * 2005-06-28 2012-06-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구현장치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470B1 (ko) * 2007-06-18 2014-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470644B1 (ko) * 2008-09-11 2014-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200101472A (ko) * 2015-12-16 2020-08-27 그레이스노트, 인코포레이티드 동적 비디오 오버레이
KR20200135885A (ko) * 2015-12-16 2020-12-03 그레이스노트, 인코포레이티드 동적 비디오 오버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59802B (zh) 2011-05-11
US20070097153A1 (en) 2007-05-03
US7804496B2 (en) 2010-09-28
CN1959802A (zh) 2007-05-09
KR101152064B1 (ko) 2012-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064B1 (ko) 화상 구현 장치 및 그 구동방법
TWI752084B (zh) 顯示裝置
US803116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ethod and the appratus thereof
JP5334402B2 (ja) 映像のチラつきを改善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方法
US20110298839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6873341B1 (en) Detection of video windows and graphics windows
US7812888B2 (en) Video signal determination device, a video display device, a video signal determination method, and a video display method for determining the type of a video signal that contains a synchronizing signal
US8791952B2 (en) Method and system of immersive generation for two-dimension still image and factor dominating method, imag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scaling parameter prediction method for generating immersive sensation
JP5037311B2 (ja) カラー再現システム及び方法
CN105161064A (zh) 液晶显示亮度控制方法和装置以及液晶显示设备
CN103354935B (zh) 发光控制装置和方法、发光装置、图像显示装置
JPH11296338A (ja) 画面生成装置
CN103680403A (zh) 控制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的操作的方法和装置
TWI567707B (zh) 影像調整方法及其顯示器
US111890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9151431B (zh) 一种图像色偏补偿方法、装置及显示设备
US20080107335A1 (en) Methods for processing image signals and related apparatus
KR20190021757A (ko)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0434380B1 (ko) Osd의 컬러 스페이스 변환장치 및 방법
EP2056284A1 (en) A liquid crystal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10574958B2 (en) Display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CN112368763A (zh) 控制装置、显示装置以及控制方法
US11574607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JP5188272B2 (ja)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KR101151994B1 (ko) 영상 구현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