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899A - 신규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동 단말 및 경로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신규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동 단말 및 경로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899A
KR20070046899A KR20077004755A KR20077004755A KR20070046899A KR 20070046899 A KR20070046899 A KR 20070046899A KR 20077004755 A KR20077004755 A KR 20077004755A KR 20077004755 A KR20077004755 A KR 20077004755A KR 20070046899 A KR20070046899 A KR 20070046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message
access router
qne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7004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쥰 히라노
다카코 호리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6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4Interdomain routing, e.g. hierarchical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302Route determination based on requested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2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reservation actions during connection setup
    • H04L47/724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reservation actions during connection setup at intermediate nodes, e.g.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RSV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6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dynamic resource allocation, e.g. in-call renegotiation requested by the user or requested by the network in response to changing network conditions
    • H04L47/765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dynamic resource allocation, e.g. in-call renegotiation requested by the user or requested by the network in response to changing network conditions triggered by the end-points
    • H04L47/767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dynamic resource allocation, e.g. in-call renegotiation requested by the user or requested by the network in response to changing network conditions triggered by the end-points after changing the attachment point, e.g. afte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4Applicable to portable or mobi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2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location or mo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04W40/36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due to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8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for reactive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오버를 하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 후에 있어서도, 핸드오버 전에 받고 있었던 부가적 서비스를 신속하고 계속해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그 기술에 따르면, MN(이동 단말)(10)이, 핸드오버 전의 AR(액세스 라우터)(21)과의 접속 상태에서, QNE(프록시)(68)를 향해 경로(24)의 세션 식별자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로(34) 상의 QNE(62, 63)는, 경로(24) 상에 존재하고 있으며, 메시지에 자신의 인터페이스 어드레스를 부가한다. 한편, QNE(67)는, 경로(24) 상에 존재하고 있지 않고, 메시지를 그대로 전송한다. 그 결과, QNE(프록시)(68)는, QNE(63)를 크로스오버 노드로서 결정하여, QNE(63)로부터 상류의 경로를 동일 경로로 하는 한편, 하류의 경로가 변경된 경로(35)를 MN이 핸드오버 후에 사용하는 경로로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신규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동 단말 및 경로 관리 장치{NEW PATH SETT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PATH MANAGING DEVICE}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이동 단말(모바일 노드)의 핸드오버 시에, 모바일 노드가 사용하고 있는 경로(예컨대, QoS 경로)의 설정을 하기 위한 신규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동 단말 및 경로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인 모바일 IPv6(Mobile Internet Protocol version 6) 프로토콜을 이용한 무선 통신을 하는 모바일 노드의 핸드오버 시에, 모바일 노드가 사용하고 있는 경로(예컨대, QoS 경로)의 설정을 하기 위한 신규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동 단말 및 경로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이동하면서도 심리스(seamless)로 통신 네트워크의 접속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로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인 모바일 IPv6을 이용한 것이 보급되고 있다. 이 모바일 IPv6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모바일 IPv6의 기술에 관해서는, 예컨 대, 하기의 비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인터넷 등의 IP 네트워크(통신 네트워크)(15), IP 네트워크(15)에 접속하는 복수의 서브네트(서브네트워크라고도 불림)(20, 30), 이들의 복수의 서브네트(20, 30)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MN: Mobile Node)(10)을 포함하고 있다. 또, 도 5에서는, 복수의 서브네트(20, 30)로서, 2개의 서브네트(20, 30)가 도시되어 있다.
서브네트(20)는, IP 패킷(패킷 데이터)에 대한 라우팅(routing)을 하는 액세스 라우터(AR: Access Router)(21), 고유의 무선 커버 에리어(통신 가능 영역)(28, 29)를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22, 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AP(22, 23)는, 각각 AR(21)에 접속되어 있으며, AR(21)은, IP 네트워크(15)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 5에서는, 복수의 AP(22, 23)로서, 2개의 AP(22, 23)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서브네트(30)에 관해서도, AR(31) 및 복수의 AP(32, 33)에 의해, 전술한 서브네트(20)와 동일한 접속 형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서브네트(20)의 구성 요소인 AR(21)과, 서브네트(30)의 구성 요소인 AR(31)은, IP 네트워크(15)를 통하여 통신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즉, 서브네트(20)와 서브네트(30)는, IP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MN(10)이, 무선 커버 에리어(29) 내에서 AP(23)와의 무선 통신을 개시한 것으로 한다. 이때, MN(10)에 할당되어 있는 IPv6 어드레스가, 서브네트(20)의 IP 어드레스 체계에 적합하지 않은 경 우, 무선 커버 에리어(29) 내에 존재하는 MN(10)은, AP(23)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을 거쳐서, 서브네트(20)에 적합한 IPv6 어드레스, 즉 케어 오브 어드레스(CoA:Care of Address)를 취득한다.
또, MN(10)이 CoA를 취득하는 방법에는, DHCPv6(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for Pv6) 등의 방법에 의해 DHCP 서버로부터 스테이트풀(stateful) 할당을 받는 방법과, 서브네트(20)의 네트워크 프리픽스(network prefix) 및 프리픽스 길이(prefix length)를 AR(21)로부터 취득하여, MN(10)에 있어서 AR(21)로부터 취득한 네트워크 프리픽스 및 프리픽스 길이와, MN(10)의 링크 레이어 어드레스 등을 조합하여, 스테이트리스(stateless) CoA를 자동 생성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그리고 MN(10)은, 취득한 CoA를 자신의 홈 네트워크상의 라우터(홈 에이전트)나 특정한 통신 상대(Correspondent Node: CN)에 대하여 등록(Binding Update: BU)하는 것에 의해, 서브네트(20) 내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소정의 통신 상대로부터 MN(10)에 대하여 송신된 패킷 데이터는, MN(10)의 CoA에 근거하여, AR(21) 및 AP(23)를 거쳐서, MN(10)에 전달되는 한편, MN(10)이 소망하는 통신 상대에 대하여 송신한 패킷 데이터는, AP(23) 및 AR(21)을 거쳐서 상기 소망하는 통신 상대에게 전달된다. 또한, MN(10)에게 홈 네트워크로 송신되어 온 패킷 데이터도, 홈 에이전트에 등록된 MN(10)의 CoA에 근거하여 서브네트(20)의 AR(21)로 보내지고, AP(23)를 거쳐서 MN(10)에 전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에 나타내는 모바일 IPv6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은, MN(10)이 어느 서브네트로부터 다른 서브네트로 핸드오버를 한 경우에도, CoA를 이용하여, MN(10)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이 계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핸드오버 처리를 고속화하기 위한 기술로서는, 예컨대, 하기의 비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패스트 핸드오버(fast handover)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패스트 핸드오버 기술에서는, MN(10)이 L2 핸드오버를 하기 전에, MN(10)은, 서브네트(30)에서 사용하는 새로운(New) CoA(이하, NCoA라고 칭함)를 미리 취득하여, 이 NCoA를 AR(21)에 통지함으로써, AR(21)과 AR(31) 사이에 터널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MN(10)이 L2 핸드오버를 실시하여 AP(23)로부터 AP(32)로 접속을 전환하고 나서, 서브네트(30)로 이동하여, 미리 취득한 NCoA를 정식으로 등록(BU)하기까지의 동안에도, 서브네트(20)에서 사용하고 있던 MN(10)의 이전(Previous) CoA(이후, PCoA라고 칭함) 앞으로 보내진 패킷 데이터는, 터널 경유로 AR(31) 및 AP(32)를 거쳐서 MN(10)으로 전송되게 되는 동시에, MN(10)으로부터 송신되는 패킷 데이터도, AP(32) 및 AR(31)을 거쳐서 터널 경유로 AR(21)에 도달하여, AR(21)로부터 통신 상대에게 보내지게 된다.
한편,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는, QoS(Quality of Service) 보증을 비롯한 서비스(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서비스를 부가적 서비스라고 부르기로 함)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가적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통신 프로토콜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통신 프로토콜 중, QoS 보증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예컨대, RSVP(Resource Reservation Protocol)를 들 수 있다(예컨대, 하기의 비특허 문헌 3 참조). RSVP는, 데이터의 송신을 하는 송신측 통신 단말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을 하는 수신측 통신 단말로의 경로(플로우) 상에 있어서의 대역 예약을 함으로써, 송신측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측 통신 단말로 데이터가 순조롭게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서브네트(20, 30) 간의 핸드오버를 하는 MN(10)에 관해서는, 핸드오버 전에 받고 있었던 QoS 보증을 비롯한 부가적 서비스를, 핸드오버 후에 있어서도 계속해서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하는 요청이 있지만, 전술한 RSVP는, 특히 하기의 점에 있어서 상기 요청을 만족시킬 수가 없어, MN(10)의 이동에 대응이 불가능하다. 도 6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RSVP가 MN의 이동에 대응 불가능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RSVP에서는, MN(10)의 통신 상대 단말(CN: Correspondent Node)(60)로부터 MN(10)으로의 2점간 경로(end-to-end Path)에 있어서 QoS 경로가 설정되고, MN(10) 및 CN(60)의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2점간 경로 사이를 잇는 복수의 중계 노드(61)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진다. 따라서, 예컨대, MN(10)이 서브네트(20, 30) 사이에서 핸드오버를 하여, MN(10)의 CoA가 변경된 경우에는, QoS 경로에 있어서, 플로우의 변경에 부가하여 어드레스 변경에 따른 처리가 행해질 필요가 있지만, RSVP는, 이러한 변경에 대응할 수 없어, 결과적으로 QoS 보증이 파탄되게 된다(제 1 문제점: QoS 경로의 변경이 곤란). 또한, 새롭게 QoS 경로가 설정된 경우에도, 핸드오버 전후에 있어서 QoS 경로가 중복되는 부분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 중복되는 부분에 있어서 이중의 리소스 예약(double reservation)이 일어나게 될 가능성도 있다(제 2 문제점: 이중 리소스 예약).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 있어서, NSIS(Next Step in Signaling)라고 불리는 새로운 프로토콜을 표준화하기 위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NSIS는, 모바일 환경에 있어서, QoS 보증을 비롯한 여러 가지 부가적 서비스에 특히 유효하다고 기대되고 있으며, NSIS에 있어서 QoS 보증이나 모빌리티 서포트를 실현하기 위한 요건이나 실현 방법 등이 기재된 문헌도 존재한다(예컨대, 하기의 비특허 문헌 4∼8 참조). 이하에, 현재 IETF의 NSIS 워킹 그룹에 의해 드래프트 사양으로 되어 있는 NSIS의 개요와, QoS 경로 확립의 방법을 설명한다(비특허 문헌 5 및 비특허 문헌 8 참조).
도 7에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NSIS의 프로토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NSIS 및 그 하위층의 프로토콜 스택이 도시되어 있다. NSIS 프로토콜 층은 IP 및 하위층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또한, NSIS 프로토콜 층은, 각각의 부가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 생성, 및 그 처리를 하는 프로토콜인 NSLP(NSIS Signaling Layer Protocol)와, NSLP의 시그널링 메시지의 라우팅을 하는 NTLP(NSIS Transport Layer Protocol)의 2층으로 이루어진다. NSLP에는, QoS를 위한 NSLP(QoS NSLP)나, 그 밖의 어떤 부가적 서비스(서비스 A나 서비스 B)를 위한 NSLP(서비스 A의 NSLP, 서비스 B의 NSLP) 등, 여러 가지 NSLP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도 8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NSIS의 노드인 NE나 QNE가 「서로 인접한다」라고 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NSIS 기능을 가진 모든 노드(NE: NSIS Entity)에는, 적어도 NTLP가 실장되어 있다. 이 NTLP 위에는, NSLP가 반드시 존재하지 않아도 좋고, 또한, 1개 이상의 NSLP가 존재하더라도 좋다. 또, 여기서는, 특히, QoS를 위한 NSLP를 가진 NE를 QNE(QoS NSIS Entity)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 NE가 될 수 있는 것은 단말이나 라우터이다. 또, 서로 인접하는 NE 사이에는, NE가 아닌 복수의 라우터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하는 QNE의 사이에는, NE가 아닌 라우터 및 QoS NSLP를 갖지 않는 NE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다음에, 종래의 QoS 경로 확립 방법의 일례를,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서브네트(20)에서 AR(21)에 접속되어 있는 MN(10)은, 어떤 목적(세션(세션))을 위해, CN(6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예정이거나, 혹은 수신하고 있는(수신 중인) 것으로 한다. MN(10)은, QoS 경로의 확립을 하는 경우에는, QoS 경로 확립을 위한 RESERVE 메시지를 CN(60)을 향해 송신한다. RESERVE 메시지에는, CN(60)으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을 위해 요망되는 QoS의 정보(Qspec)가 포함되어 있다. 송신된 RESERVE 메시지는 AR(21)과 QNE(62) 및 그 밖의 NSIS 기능을 갖지 않은 라우터(도시하지 않음)를 경유하여, QNE(63)에 도착한다. QNE(63)의 NSLP는, RESERVE 메시지 중에 포함되는 Qspec에 기재되어 있는 QoS 리소스를, 이 세션을 위해 예약한다. QNE(63)를 통과한 RESERVE 메시지는, 또한, NE(64)나 그 밖의 NSIS의 기능을 갖지 않은 라우터(도시하지 않음)를 경유하여, QNE(65)에 도착한다. QNE(65)에 있어서도, QNE(63)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지고, QoS 리소스의 예약이 이루어진다. 이 조작이 반복되어, 최종적으로 RESERVE 메시지가 CN(60)에 보내지는 것에 의해, MN(10)과 CN(60) 사이에 있어서, QoS 경로가 확립된다.
또한, 리소스 예약을 식별하기 위하여, 플로우 식별자(flow identifier) 및 세션 식별자(session identifier)가 사용된다. 플로우 식별자는 MN(10)의 CoA나 CN(60)의 IP 어드레스에 의존하는 것으로, 각 QNE(63, 65)는 각 데이터 패킷의 송신원·송신처의 IP 어드레스를 확인함으로써, 이 데이터 패킷에 대한 리소스 예약의 유무를 알 수 있다. 또, MN(10)이 다른 서브네트로 이동하여 CoA가 변하는 경우에는, MN(10)의 CoA의 변경에 따라서, 플로우 식별자도 변한다. 한편, 세션 식별자는, 세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전송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플로우 식별자와 같이 단말의 이동에 수반하여 변화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경로에 대하여 QoS 리소스의 입수 가능성 등을 조사하는 방법으로서, QUERY라는 방법이 존재한다. 이 방법은, 예컨대, MN(10)으로부터 CN(60)에 대하여 QoS 경로의 확립이 이루어질 때에, 소망하는 Qspec가 각 QNE에 의해 예약 가능한지 여부를 미리 조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소망하는 Qspec가 각 QNE에 의해 예약 가능한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QUERY 메시지가 송신되고, 이 QUERY 메시지의 응답인 RESPONSE 메시지에 의해서, 그 결과를 수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QUERY 및 RESPONSE 메시지에 의해, 현재의 리소스 예약의 상태가 변하는 것은 일절 없다. 또한, QNE가 다른 QNE에 대하여 어떠한 통지를 하기 위해서는, NOTIFY 메시지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 NOTIFY 메시지는, 예컨대, 에러 통지 등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한 RESERVE, QUERY, RESPONSE 및 NOTIFY 메시지는, 모두 QoS 보증을 위한 NSLP의 메시지이며, 비특허 문헌 5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QUERY는, QoS 리소스의 입수 가능성을 조사하는 것뿐만 아니라, 리소 스 예약을 하는 경로를 미리 조사하는 것에도 사용된다. 즉, 리소스 예약을 하기 전에, 데이터의 송신 측으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측을 향해 QUERY 메시지를 흘려보내는 것에 의해, 데이터가 지날 수 있는 경로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리소스 예약은, 이 QUERY에 의해 특정된 경로 상의 QNE에 대하여 행해지게 된다.
그러나 실제의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데이터 경로가 리소스 예약을 한 경로를 벗어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을 피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현재 거의 논의되고 있지 않지만, 예컨대, 하기의 비특허 문헌 8에는, 경로 고정(route pinning) 등의, 데이터가 지나는 경로를 미리 고정해 두는 방법이, 해결책의 하나로서 거론되고 있다.
다음에,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MN(10)이 서브네트(20)로부터 서브네트(30)로 이동했을 때의, 이중의 리소스 예약을 피하는 방법을,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MN(10)이 CN(6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중이고, QoS 경로(경로(124))가 확립되어 있을 때, QNE(63), QNE(65) 및 QNE(66)에는, 각각 MN(10)이 소망한 QoS 리소스가 예약되어 있다. 이때의 플로우 식별자와 세션 식별자를 각각 X, Y로 한다. 실제, 플로우 식별자 X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MN(10)의 현재의 IP 어드레스와, CN(60)의 IP 어드레스가 포함되고, 또한, 세션 식별자 Y에는, 충분히 큰 임의의 수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MN(10)이 서브네트(30)로 이동한 후, 새로운 QoS 경로를 확립하기 위하여 CN(60)에 RESERVE 메시지를 보낸다. 또, 이전 경로(경로(124))는, MN(10)의 이동 후 곧바로 해방(release)되는 일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MN(10)의 이동에 수반하여 플로우 식별자는 변하기 때문 에, 경로(124)에 있어서의 플로우 식별자 X와, 경로(134)에 있어서의 플로우 식별자(이 경로(134)에 있어서의 플로우 식별자를 Z로 함)는, 서로 다른 것으로 된다. QNE(67)는 어느 인터페이스에도 세션 식별자 Y에 대한 리소스 예약이 없기 때문에, 신규의 경로 확립인 것으로 판단하여, 플로우 식별자 Z 및 세션 식별자 Y에 대한 리소스 예약을 한다. 한편, QNE(65) 및 QNE(66)에는, 세션 식별자 Y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존재하고 있다. QNE(65)나 QNE(66)는, 여기서 2개의 플로우 식별자 X와 플로우 식별자 Z를 비교하여, 플로우 식별자가 X에서 Z로 변경되어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MN(10)의 이동에 수반되는 새로운 경로 확립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중의 리소스 예약을 피하기 위해, 새롭게 리소스를 예약하는 일 없이, 이전 예약을 갱신하는 등의 수단을 취한다. 이 이전 경로와 새로운 경로가 교차하기 시작하는 QNE는, CRN(crossover node: 크로스오버 노드)이라고 불리고 있다. 또, CRN이란, 실제로 경로가 교차하기 시작하는 라우터(도 10에서는 NE(64))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지만, QoS 경로의 논의를 하는 경우에는, 이전 경로(경로(124))와 새로운 경로(경로(134))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QNE의 한 쪽(도 10에서는 QNE(66))은 동일하지만, 서로 인접하는 QNE의 다른 한 쪽(도 10에서는 QNE(63)과 QNE(67))은 다르게 되어 있는 QNE(도 10에서는 QNE(65))를 가리킨다.
또한, 비특허 문헌 5나 비특허 문헌 8에 따르면, 이러한 RESERVE 메시지, QUERY 메시지, NOTIFY 메시지에 관해서는, 데이터 패킷의 송신처나 송신원인 말단의 단말(MN(10)이나 CN(60))뿐만 아니라, 임의의 QNE가 송신원으로 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NSIS는, 모바일 환경뿐만 아니라 통상의 정적인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기능도 망라하는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NSIS의 기능 중 하나인 모빌리티 서포트된 부가적 서비스의 확립을 실현하는 기능에 주목하여, NSIS의 실장에 의해, 모빌리티 서포트된 부가적 서비스의 확립이 실현되는 것으로 한다.
[비특허 문헌 1] D.Johnson, C.Perkins and J.Arkko, "Mobility Support in IPv6", draft-ietf-mobileip-ipv6-24, June 2003
[비특허 문헌 2] Rajeev Koodli "Fast Handovers for Mobile Pv6", draft-ietf-mobileip-fast-mipv6-08, October 2003
[비특허 문헌 3] R.Braden, L.Zhang, S.Berson, S.Herzog and S.Jamin,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Version 1 Functional Specification", RFC 2205, September 1997.
[비특허 문헌 4] H.Chaskar, Ed, "Requirements of a Quality of Service(QoS) Solution for Mobile IP", RFC3583, September 2003
[비특허 문헌 5] Sven Van den Bosch, Georgios Karagiannis and Andrew McDonald "NSLP for Quality-of Service signalling", draft-ietf-nsis-qos-nslp-01.txt, October 2003
[비특허 문헌 6] X.Fu, H.Schulzrinne, H.Tschofenig, "Mobility issues in Next Step signaling", draft-fu-nsis-mobility-01.txt, October 2003
[비특허 문헌 7] Roland Bless, et. Al., "Mobility and Internet Signaling Protocol", draft-manyfolks-signaling-protocol-mobility-00.txt, January 2004
[비특허 문헌 8] R.Hancock(editor), "Next Steps in Signaling:Framework", draft-ietf-nsis-fw-05.txt, October 2003
[비특허 문헌 9] 미타 다카코 외, "모빌리티를 서포트한 시임리스 QoS 경로 확립 방법에 관한 제안", 전자 정보 통신 학회 모바일 멀티미디어 통신(MoMuC) 연구회, 2004년 5월
도 10에 있어서, 예컨대, 핸드오버 전에 접속하고 있는 서브네트(20)에 있어서 QoS 보증을 받고 있는 MN(10)이, 서브네트(30)로의 핸드오버를 하여, 핸드오버 후에 접속하는 서브네트(30)에 있어서, 핸드오버 전에 받고 있었던 QoS 보증을 계속해서 받는 것을 생각해 본다.
이 경우, MN(10)이 핸드오버 전에 접속하고 있는 서브네트(20)와의 핸드오프를 하고 나서, 핸드오버 후에 접속하는 서브네트(30)에 있어서 부가적 서비스(여기서는 QoS 보증)를 받은 상태로 되기까지의 시간은, MN(10)이 QoS 보증을 받을 수 없는 시간이 되어, MN(10)은 QoS 보증을 전혀 받을 수 없거나, 혹은, 디폴트(default)의 QoS 전송 처리가 행해져 버리게 되어, QoS의 파탄이 일어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 후의 MN(10)에 대해서는, QoS 보증이 신속히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IETF에 있어서의 NSIS에 관한 현재의 논의(예컨대, 비특허 문헌 6)에서는, 예컨대 MN(10)이 핸드오버를 하기 전, 또는 끝내기 전에, 새로운 QoS 경로를 확립하기 위한 어떠한 준비를 하는 것, 또는 새로운 QoS 경로의 확립을 미리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는 취지의 제안 이 있다. 이것에 관하여, 예컨대 비특허 문헌 9에 있어서, MN(10)이 핸드오버를 하기 전에, 이동처 서브네트 내 또는 근방에 있는 프록시(proxy)가, CN(60)과 시그널링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미리 QoS 경로 확립을 위한 준비를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MN(10)이, 떨어진 장소에 존재하는 CN(60)과 통신하고 있는 경우, 시그널링 메시지의 왕복 시간(round trip)이, 매끄러운 핸드오버를 방해한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핸드오버를 하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 후에 있어서도, 핸드오버 전에 받고 있었던 부가적 서비스를 신속하고 계속해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신규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동 단말 및 경로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신규 경로 설정 방법은, 각각이 서브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단말과의 사이에서 설정되어 있는 제 1 경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제 2 액세스 라우터로 핸드오버를 하여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로 된 상기 이동 단말과의 사이의 제 2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신규 경로 설정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에 대하여, 상기 제 1 경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가 송신되고, 상기 메시지가 경유하는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까지의 경로와, 상기 제 1 경로와의 중복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경로로부터 상기 제 2 경로로 경로 변경을 할 때의, 상기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의 크로스오버 노드가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핸드오버를 하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 후에 있어서도, 핸드오버 전에 받고 있었던 부가적 서비스를 신속하고 계속해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 경로 설정 방법은, 각각이 서브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단말과의 사이에서 설정되어 있는 제 1 경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제 2 액세스 라우터로 핸드오버를 하여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로 된 상기 이동 단말과의 사이의 제 2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신규 경로 설정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에 대하여, 상기 제 1 경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메시지에 부가하여,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상기 메시지에 부가된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경로로부터 상기 제 2 경로로 경로 변경을 할 때의, 상기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의 크로스오버 노드를 인식하는 단계를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핸드오버를 하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 후에 있어서도, 핸드오버 전에 받고 있었던 부가적 서비스를 신속하고 계속해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 경로 설정 방법은,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경로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제 1 경로에 관한 플로우 및/또는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예컨대, QoS 보증되어 있는 경로를 확실하게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 경로 설정 방법은,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할 때에, 상기 메시지를 최종적으로 수신하는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가 상기 메시지를 참조한 경우에, 최후에 부가된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메시지가 최종적인 수신자가, 수신한 메시지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크로스오버 노드로서 기능할 수 있는 네트워크 노드를 용이하게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 경로 설정 방법은,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메시지에 부가하는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 제 1 경로에 이용되어 있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인터페이스 어드레스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크로스오버 노드로서 기능할 수 있는 네트워크 노드가 용이하게 특정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그 네트워크 노드의 인터페이스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 경로 설정 방법은,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가,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에 대하여, 리소스 예약을 하기 위한 리소스 예약용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크로스오버 노드로서 결정된 노드까지의 경로에 관한 리소스 예약을 하는 동시에, 이 노드에 대하여, 크로스오버 노드라는 취지를 통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 경로 설정 방법은,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리소스 예약용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가,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까지의 상기 제 1 경로의 일부분에 있어서의 경로 상태(path state)를 해방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를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크로스오버 노드로서 결정된 노드가, 그 하류(downstream region)(이동 단말 측)의 이전 경로(이동 단말이 핸드오버 전에 사용하고 있었던 경로)의 설정을 해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 경로 설정 방법은,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리소스 예약용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가,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로부터 상기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까지의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의 중복 부분에 있어서의 경로 상태를 갱신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를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크로스오버 노드로서 결정된 노드가, 그 상류(upstream region)(통신 상대 단말 측)에 있어서의 이전 경로의 경로 상태를, 새로운 경로용으로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 경로 설정 방법은,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가,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에 대하여, 리소스 예약을 의뢰하기 위한 리소스 예약 의뢰용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크로스오버 노드로서 결정된 노드에 대하여, 리소스 예약을 하도록 의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 경로 설정 방법은,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리소스 예약 의뢰용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가,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까지의 상기 제 1 경로의 일부분에 있어서의 경로 상태를 해방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를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크로스오버 노드로서 결정된 노드가, 그 하류(이동 단말 측)의 이전 경로(이동 단말이 핸드오버 전에 사용하고 있었던 경로)의 설정을 해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 경로 설정 방법은,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리소스 예약 의뢰용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가,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로부터 상기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까지의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의 중복 부분에 있어서의 경로 상태를 갱신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를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크로스오버 노드로서 결정된 노드가, 그 상류(통신 상대 단말 측)에 있어서의 이전 경로의 경로 상태를, 새로운 경로용으로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 경로 설정 방법은,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리소스 예약 의뢰용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가,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까지의 리소스를 예약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를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크로스오버 노드로서 결정된 노드가, 그 하류(이동 단말 측)에 새로운 경로(이동 단말이 핸드오버 후에 사용 가능한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 단말은, 각각이 서브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단말과의 사이에서 설정되어 있는 제 1 경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제 2 액세스 라우터로 핸드오버를 하여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로 된 상기 이동 단말과의 사이의 제 2 경로가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 단말로서,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어드레스 취득 수단과,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에 대하여, 상기 제 1 경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 수단을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핸드오버를 하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 후에 있어서도, 핸드오버 전에 받고 있었던 부가적 서비스를 신속하고 계속해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로 관리 장치는, 각각이 서브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단말과의 사이에서 설정되어 있는 제 1 경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제 2 액세스 라우터로 핸드오버를 하여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로 된 상기 이동 단말과의 사이의 제 2 경로가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에 대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1 경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노드 내의 경로 관리 장치로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 수단과,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메시지에 부가하는 정보 부가 수단과,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 수단을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핸드오버를 하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 후에 있어서도, 핸드오버 전에 받고 있었던 부가적 서비스를 신속하고 계속해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로 관리 장치는, 각각이 서브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단말과의 사이에서 설정되어 있는 제 1 경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제 2 액세스 라우터로 핸드오버를 하여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로 된 상기 이동 단말과의 사이의 제 2 경로가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의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경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로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메시지에 부가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에 있어서의 경로 관리 장치로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 수단과,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상기 메시지에 부가된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경로로부터 상기 제 2 경로로 경로 변경을 할 때의, 상기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의 크로스오버 노드를 결정하는 크로스오버 노드 결정 수단을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핸드오버를 하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 후에 있어서도, 핸드오버 전에 받고 있었던 부가적 서비스를 신속하고 계속해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핸드오버를 하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 후에 있어서도, 핸드오버 전에 받고 있었던 부가적 서비스를 신속하고 계속해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MN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록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QNE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 및 종래의 기술에 공통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RSVP가 MN의 이동에 대응 불가능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NSIS의 프로토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8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NSIS의 노드인 NE나 QNE가 「서로 인접한다」라고 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9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NSIS에서, 어떻게 QoS 리소스 예약이 이루어지는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NSIS에 있어서, 어떻게 이중 리소스 예약을 피하는가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MN 내에 저장되는 프록시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의 송신 방향이 CN에서 MN인 경우, MN이 핸드오버할 때에, 프록시에 가(假; provisional) 크로스오버 노드를 특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보내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를 특정하고, 특정된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를 경유하는 QoS 경로를 배치하여, 그 경로 상 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 메시지로서, 종래의 NSIS에서 사용되는 QUERY 및 RESERVE 메시지를 이용한 경우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의 송신 방향이 MN에서 CN인 경우, MN이 핸드오버할 때에, 프록시에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를 특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보내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를 특정하고, 특정된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를 경유하는 QoS 경로를 배치하여, 그 경로 상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 메시지로서, 종래의 NSIS에서 사용되는 QUERY 및 RESERVE 메시지를 이용한 경우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MN 내에 저장되는 AP-AR 대응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는, MN(10)이, 핸드오버 전에 서브네트(20)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CN(60)과의 사이에서 확립되어 있는 QoS 경로(경로(24))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로(24) 상에는, MN(10)으로부터 CN(60)을 향하여 AR(21), QNE(62), QNE(63), NE(64), QNE(65), QNE(66)가 존재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MN(10)이 서브네트(30)로 핸드오버할 것을 결정 한 후, MN(10)은 프록시(QNE(68))에 대하여 메시지(후술하는 메시지 A)를 송신한다. 이 메시지 A가 통과하는 경로(경로(34))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로(34) 상에는, MN(10)으로부터 QNE(프록시)(68)를 향하여 AR(21), QNE(62), QNE(63), QNE(67)가 존재한다. 또한, 이동 후의 새로운 경로(경로(35))는, 도 1에 있어서, 굵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로(35) 상에는 AR(31)로부터 CN(60)을 향하여, QNE(프록시)(68), QNE(67), QNE(63), NE(64), QNE(65), QNE(66)가 존재한다. 또, 여기서, MN(10)과 CN(6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미리 준비된 QoS 경로를 정확히 지나도록, 경로가 고정(route pinning)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경로(35)는, 핸드오버 후에 AR(31)에 접속된 MN(10)까지, 임의의 방법으로 연장되는 것에 의해, MN(10)과 CN(60) 사이의 경로로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MN(10)이 서브네트(20)에 접속한 상태(MN(10)의 핸드오버 전의 상태)에 있어서, MN(10)과 CN(60) 사이의 QoS 경로로서 사용되고 있었던 경로(24)를, MN(10)이 서브네트(30)로 핸드오버한다고 하는 취지를 결정한 직후에, 사용될 수 있는 경로(35)로, 신속히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에, MN(10)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MN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 도 2에서는, MN(10)이 갖는 각 기능이 블럭에 따라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의 각 기능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현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주요 처리(후술하는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각 단계의 처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행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내는 MN(10)은, 핸드오버 목적지(handover destination) 후보 결 정 수단(101), 무선 수신 수단(102), 무선 송신 수단(103), 프록시 결정 수단(104), 메시지 생성 수단(105), NCoA 생성 수단(106)을 갖고 있다. 또한, MN(10)은, 프록시 정보 저장 수단(107)을 구비하여도 좋다.
핸드오버 목적지 후보 결정 수단(101)은, 예컨대, 서로 다른 복수의 AP로부터의 시그널(signal)을 수신하여, L2 핸드오버 가능한 AP 일람을 찾는 수단이다. 또, MN(10)은, 핸드오버 목적지 후보 결정 수단(101)에 의한 L2 핸드오버 목적지 후보 결정을 하지 않고, 직접, 후술하는 프록시 결정 수단(104)에 의한 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무선 수신 수단(102) 및 무선 송신 수단(103)은, 각각 무선 통신에 의한 데이터 수신 및 데이터 송신을 하기 위한 수단이며, 이들에는,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여러 가지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프록시 결정 수단(104)은, 프록시를 발견하는 수단이다. 프록시 결정 수단(104)에 의해 발견되는 프록시란, MN(10)의 대리(代理)가 되어, MN(10)이 핸드오버 후에 부가적 서비스(여기서는 QoS라고 함)를 인터럽트(interrupt)되는 일없이 받을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할 수 있는, QoS 제공 기능을 가진 NSIS 노드(QNE)로서, MN(10)이 핸드오버했을 때에 배치될 예정인 QoS 경로 상에 존재한다.
이 프록시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핸드오버 목적지 후보 결정 수단(101)에 의해서 취득된 AP 일람의 정보를 기초로, MN(10) 내에 로컬로 축적되어 있는 프록시 정보(40)(프록시 정보 저장 수단(107)에 저장되어 있는 프록시 정보(40))를 참조하여, AP가 접속되어 있는 서브네트워크상에서, CN(60)과 통신하기 위해 적합한 프록시 정보(40)를 검색하여 결정하는 방법 이나, 이 AP 일람의 정보를 IP 네트워크(15) 상에 존재하는 서버(프록시 검색 서버라고 함) 등에 송신하여, 전술한 가장 적합한 프록시에 관한 정보를 돌려받는 방법, 또는, 프록시 정보(40)에 축적되어 있는, 모든 프록시를 선택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핸드오버 목적지 후보의 AR 그 자체가 QNE이고, 프록시가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프록시의 발견 방법은,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프록시의 발견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에는, 프록시 정보(40)의 내용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프록시 정보(40)는, 도 5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구성을 참조하여 작성된 일례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프록시 정보(40)는, MN(10)이 각 AP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프록시로서 선택 가능한 노드의 IP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MN(10)은, 이 프록시 정보(40)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프록시의 선택 및 특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프록시로서는, 각 AP를 지배하에 갖는 AR의 근처(네트워크 구성상의 AR 근방)에 존재하는 QNE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시지 생성 수단(105)은, 프록시에 있어서, MN(10)이 핸드오버 후에 QoS를 인터럽트되는 일없이 받을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예컨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세션 식별자의 정보나, 데이터의 흐름의 방향(MN(10)으로부터 CN(60)(업링크: uplink) 방향인지, CN(60)으로부터 MN(10)(다운링크:downlink) 방향인지)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 이 메시지에, 플로우 식별자를 더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메시지는, 현재 서로 인접하고 있는 QNE(QNE(62))를 반드시 통하여 송신되도록 생성된다. 또, 메시지 생성 수단(105)에 의해서 생성되는 상기 메시지를 메시지 A라로 한다. 또한, 이 메시지 A로서, 예컨대, 후술한 바와 같이, NSIS의 QoS NSLP에 있어서 정의되어 있는 QUERY 메시지를 확장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MN(10)은 이동처(destination)를 특정하고, 거기서 사용하는 NCoA를 생성하여, 그것을 이동처의 프록시에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이 NCoA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이 NCoA 생성 수단(106)이며, 생성된 NCoA는 메시지 생성 수단(105)에 있어서, 플로우 식별자 등과 함께 메시지 A 내에 저장된 상태로 보내지더라도 좋다. NCoA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예컨대, MN(10)이 도 14(도 11과 마찬가지로, 도 5를 참조하여 작성된 일례)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AP-AR 대응 정보(41)를 로컬로 갖고, 핸드오버 목적지 후보 결정 수단(101)에 의해서 얻어진 AP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이 AP-AR 대응 정보(41)를 검색해서, AP가 연결되어 있는 목적지의 AR의 정보(예컨대, AR의 링크 레이어 어드레스, AR이 속하는 서브네트의 네트워크 프리픽스나 프리픽스 길이 등)를 얻는 것에 의해, NCoA를 스테이트리스로 자동 생성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는, NCoA는 스테이트리스로 자동 생성된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이 NCoA가 핸드오버 목적지의 서브네트로 사용 가능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핸드오버 목적지로서, AR 그 자체가 프록시로 될 수 있는 서브네트를 선택하여, 이 AR에 NCoA를 포함한 메시지 A를 보냄으로써, 이 프록시 기능을 가진 AR에, NCoA의 타당성을 조사하 게 하면 된다. 또한, 다른 NCoA 획득 방법으로서, 현재 통신 중인 AR(핸드오버 전의 서브네트(20)에 속하는 AR(21))이, 인근의 서브네트워크의 DHCP 서버로부터, 사용 가능한 CoA의 일부를 미리 수취하여, MN(10)이 다른 AR(핸드오버 후의 서브네트(30)에 속하는 AR(31))로 이동을 하기 전에, 그 서브네트의 DHCP 서버로부터 받은 CoA 중의 1개를 MN(10)에 할당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 이 경우에는, CoA는 스테이트풀로 할당되기 때문에, CoA에 관한 타당성의 체크가 행해질 필요는 없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록시 기능을 가진 AR을 선택한다고 하는 제한은 없어진다. 또한, 메시지 A에는 이 이외의 정보도 포함시킬 수 있다.
다음에, MN(10)으로부터 메시지 A를 수취하는 프록시(QNE(68))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여기서, MN(10)은 프록시의 하나로서, 도 1 중의 QNE(68)를 선택한 경우를 생각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록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MN(10)과 마찬가지로, 도 3에 나타내는 프록시(68)가 갖는 각 기능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주요 처리(후술하는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각 단계의 처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내는 프록시(68)는, 수신 수단(681), 송신 수단(682), 메시지 처리 수단(683), 메시지 생성 수단(684, 685)을 갖고 있다. 또한, 프록시(68)는, 경로 정보 저장 수단(686)을 구비하여도 좋다.
수신 수단(681) 및 송신 수단(682)은, 데이터 수신 및 데이터 송신을 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메시지 처리 수단(683)은, 도 2에 나타내는 MN(10)의 메시 지 생성 수단(105)에서 생성되어, 무선 송신 수단(103)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메시지 A)를 수신,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컨대, 메시지 A 중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흐름의 정보를 확인하여, 어떠한 형태로 QoS 경로를 확립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판단한다. 또, 이 판단 결과에 따라, 메시지 생성 수단(684) 및 메시지 생성 수단(685) 중 어느 쪽에 대하여, 메시지의 생성 지시를 할 것인지가 정해진다.
또한, 메시지 A에는, MN(10)으로부터 당해 프록시(68)에 도달할 때까지 통과한 QNE(예컨대, 경로(34) 상의 QNE)에 의해 정보가 부가되는데, 메시지 처리 수단(683)은, 이 메시지 A에 부가된 정보에 근거하여, 경로(24)와 경로(34)의 분기점이 되는 포인트의 QNE(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는, 경로(24)와 경로(34)의 분기점이 되는 포인트에 지나지 않으며, 반드시, 새롭게 설정되게 되는 경로(35)를 최적의 경로로 하기 위한 경유 포인트(최적 크로스오버 노드)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이로부터, 본 명세서에서 탐색되는 크로스오버 노드를, 최적의 경로(35)를 실현하는 최적 크로스오버 노드에 대하여, 어디까지나 신속한 경로 변경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 특정된 QNE가, 이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여기서는 QNE(63))의 정보를 기초로, 프록시(68)는, MN(10)의 핸드오버 후의 QoS 경로를 신속히 확립하기 위한 처리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이 정보를 경로 정보 저장 수단(686)에 전달하여, MN(10)이 핸드오버해 온 시점에서, QoS 경로의 설정에 관한 임의의 처리를 하더라도 좋고, 또한, MN(10)의 NCoA의 정보가 미리 취득되어 있었던 경우(예컨대, 메시지 A의 수신과 거의 동시에 NCoA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 등)에는, 정보를 경로 정보 저장 수단(686)에 전달하지 않고서, 즉시 리소스 예약의 처리를 하여도 좋다.
또한, 메시지 생성 수단(684)은, 리소스 예약을 위한 메시지(이하, 메시지 B라고 함)를 생성한다. 또, 이 메시지 B로서, 예컨대, 후술하는 바와 같이, NSIS의 QoS NSLP에 있어서 정의되어 있는 RESERVE 메시지를 확장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MN(10)의 NCoA의 정보를 수취한 후, 메시지 생성 수단(684)에서는, 리소스 예약을 위한 메시지 B가 생성되고, 메시지 A에 부가된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되는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QNE(63))에 대하여, 메시지 B가 송신된다. 이 메시지 B에는, MN(10)이 핸드오버 시에 인터럽트되는 일없이 QoS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예컨대, MN(10)이 핸드오버 전에 사용하고 있었던 세션 식별자나, MN(10)의 NCoA를 기초로 만들어진 플로우 식별자의 정보 등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메시지 B에는, 메시지 B가 QNE(63)에 도착했을 때, QNE(63)가 CN(60)을 향해 경로(24)를 갱신하는 메시지(후술하는 메시지 D)를 보내어, 새로운 경로(경로(35))의 일부로 하기 위한 지시나, QNE(63)가 경로(24)와 경로(34)의 중복 부분(도 1의 QNE(63)∼QNE(62)∼AR(21)의 부분)의 경로를 해방하는 메시지(후술하는 메시지 E)를 보내기 위한 지시가 포함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메시지 생성 수단(685)은, 프록시(68)가 MN(10)의 NCoA의 정보를 수취한 후에,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QNE(63))로부터, QNE(68)를 향하여 리소스 예약을 하는 의뢰를 하기 위한 메시지(메시지 C)를 생성한다. 또, 이 메시지 C로서, 예컨대, NSIS의 QoS NSLP에 있어서 정의되어 있는 QUERY 메시지를 확장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메시지 B와 마찬가지로, 이 메시지 C에도, MN(10)이 핸드오버 시에 인터럽트되는 일없이 QoS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예컨대 MN(10)이 핸드오버 전에 사용하고 있었던 세션 식별자나, MN(10)의 NCoA를 기초로 만들어진 플로우 식별자의 정보 등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메시지 C에는, 메시지 C가 QNE(63)에 도착했을 때, QNE(63)가 CN(60)을 향해 경로(24)를 갱신하는 메시지(후술하는 메시지 D)를 보내어, 새로운 경로(경로(35))의 일부로 하기 위한 지시나, QNE(63)가 경로(24)와 경로(34)의 중복 부분(QNE(63)∼QNE(62)∼AR(21))의 경로를 해방하는 메시지(후술하는 메시지 E)를 보내기 위한 지시가 포함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프록시로서 기능하는 QNE(68)는, MN(10)으로부터 메시지 A를 수신하여, 그 메시지 A의 내용에 따라서, 메시지 생성 수단(684)에 의한 메시지 B(리소스 예약을 하기 위한 메시지)의 생성 처리, 또는, 메시지 생성 수단(685)에 의한 메시지 C(리소스 예약을 하는 의뢰를 하기 위한 메시지)의 생성 처리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경로(34) 상의 중간의 QNE의 기능에 대하여, QNE(63)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로(34) 상의 QNE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MN(10)과 마찬가지로, 도 4에 나타내는 QNE(63)가 갖는 각 기능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주요 처리(후술하는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각 단계의 처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행 가능하다.
도 4에 나타내는 QNE(63)는, 수신 수단(631), 송신 수단(632), 메시지 처리 수단(633, 634, 635), 메시지 생성 수단(636, 637, 638, 639)을 갖고 있다. 수신 수단(631), 송신 수단(632)은, 도 3에 나타내는 프록시(68)의 수신 수단(681), 송신 수단(682)과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있다.
메시지 처리 수단(633)은, 전술한 메시지 A를 수취했을 때,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세션 식별자에 대하여, QNE(63) 내에 리소스 예약이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는 수단이다. 메시지 A에 포함되는 세션 식별자에 관한 리소스 예약이 없었던 경우에는, 메시지 처리 수단(633)에서는 아무것도 행해지지 않고서, 송신 수단(632)을 경유하여 다음 QNE에 메시지 A가 전송된다. 한편, 리소스 예약이 있었던 경우에는, 메시지 생성 수단(636)에 있어서, 그 인터페이스의 IP 어드레스가, 수신한 메시지 A 내에 저장되고, 메시지 생성 수단(636)에서 생성된 새로운 메시지 A(인터페이스의 IP 어드레스가 저장된 메시지 A)가, 송신 수단(632)을 경유하여 다음 QNE(QNE(63)의 경우에는, QNE(67))로 송신된다. 또, 이미 전단(前段)의 QNE에 있어서 인터페이스의 IP 어드레스가 메시지 A에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전단의 QNE의 인터페이스의 IP 어드레스로 오버라이팅하는 방법으로, 새롭게 자신의 인터페이스의 IP 어드레스를 부가하여도 좋고, 또한, 부가 수순을 명확히 하여, 전단의 QNE의 인터페이스의 IP 어드레스를 남겨두면서, 자신의 인터페이스의 IP 어드레스를 부가하더라도 좋다.
또한, 메시지 처리 수단(634)은, 전술한 메시지 B를 수취했을 때, CN(60)을 향해 경로(24)를 갱신하는 메시지(메시지 D)를 보낼지, 또는 경로(24)와 경로(34)의 중복 부분(QNE(63)∼QNE(62)∼AR(21))의 경로를 해방하는 메시지(메시지 E)를 보낼 지의 판단을 한다. 이 판단에는, 이 메시지를 언제 송신할 것인가 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또, 이 판단은, 메시지 B에 포함되는 지시에 근거하여 행하여도 좋고, 메시지 처리 수단(634) 내에서 판단하여도 좋다. 또한, 메시지 D는, 메시지 생성 수단(637)에서 생성되고, 메시지 E는, 메시지 생성 수단(638)에서 생성된다. 또, 이 메시지 D나 메시지 E로서, 예컨대, 후술하는 바와 같이, QoS NSLP에 있어서 정의되어 있는 RESERVE 메시지를 확장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메시지 처리 수단(635)은, 전술한 메시지 C를 수취했을 때, 이 메시지 C에 포함되는 정보를 메시지 생성 수단(639)에 전달한다. 메시지 생성 수단(639)은, 전술한 메시지 B(리소스 예약을 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메시지 B는, 송신 수단(632)을 경유하여 QNE(68)를 향해 송신된다. 또, 메시지 C에 포함되는 지시 내용에 따라서는, 생성된 메시지 B는, 이동한 MN(10) 앞으로 보내져도 좋다.
또한, 메시지 처리 수단(635)은, CN(60)을 향해 경로(24)를 갱신하는 메시지(메시지 D)를 보낼지, 또는 경로(24)와 경로(34)의 중복 부분(QNE(63)∼QNE(62)∼AR(21))의 경로를 해방하는 메시지(메시지 E)를 보낼 지의 판단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판단에는, 이 메시지를 언제 송신할 것인가 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또, 이 판단은, 메시지 B에 포함되는 지시에 근거하여 행하여도 좋고, 메시지 처리 수단(635) 내에서 판단하더라도 좋다. 또한, 메시지 D는, 메시지 생성 수 단(637)에서 생성되고, 메시지 E는, 메시지 생성 수단(638)에서 생성된다.
다음에, MN(10)이 핸드오버할 때, MN(10)으로부터 QNE(68)로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를 특정하기 위한 메시지 A를 보내는 것에 의해, QNE(68)가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를 특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를 경유하는 QoS 경로를 배치하기까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MN(10)이 프록시(68)에 식별자(세션 식별자)의 정보를 보내, 프록시(68)가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QNE(63))를 특정하고,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 경유로 다운링크용의 새로운 QoS 경로를 확립하는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MN(10)이 프록시(68)에 식별자(세션 식별자)의 정보를 보내, 프록시(68)가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QNE(63))를 특정하고,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 경유로 업링크용의 새로운 QoS 경로를 확립하는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또,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는, 도 1에 나타내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MN(10)에 의해서, 프록시(68)가 프록시로서 선택되어 있는 경우의 것이다.
또한, 여기서는, 전술한 메시지 A, 메시지 B, 메시지 C, 메시지 D, 메시지 E의 구체예로서, 각각 NSIS의 QoS NSLP에 있어서 정의되어 있는 메시지인, QUERY 메시지나 RESERVE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메시지 A는 QUERY 메시지, 메시지 B는 RESERVE 메시지(리소스 예약용), 메시지 C는 QUERY 메시지, 메시지 D에는 RESERVE 메시지(경로 상태 갱신용), 메시지 E는 RESERVE 메시지(경로 상태 해방용)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우선, 다운링크 방향의 새로운 QoS 경로를 확립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인근의 L2 시그널 도달 가능한 AP로부터 L2 정보를 수취한 MN(10)은, 우선, 그 정보에 근거하여, 핸드오버를 할 수 있는 서브네트워크를 결정하고(단계 S501: 핸드오버 목적지 후보를 결정), 그 후, AP의 L2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핸드오버 후보 목적지의 프록시를 결정한다(단계 S503:QNE(68)를 프록시의 하나(프록시(68))로서 결정). 프록시를 결정한 MN(10)은, 경로(24)에서의 다운링크용 세션 식별자를 QUERY 메시지에 세팅하는 동시에, 다운링크라고 하는 정보도 QUERY 메시지에 세팅하고(단계 S505:경로(24)에서의 세션 식별자, 및 데이터의 흐름 방향을 세팅), 선택한 프록시(여기서는 QNE(68))에 QUERY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507).
경로(34)에 속하는 QNE인 QNE(62)는, 단계 S507에서 보내진 QUERY 메시지를 일단 수취하여, 이 단계 S505에서 세팅된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현재 QNE(62)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그리고 이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QNE(62)는, 그 예약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어드레스를, 이 QUERY 메시지에 추가하고(단계 S509: 세션 식별자에 대한 등록이 있는 인터페이스 어드레스를 파라미터로서 추가), 또한, 통상의 QUERY 처리를 하여, 이 QUERY 메시지를 송신처(QNE(68))를 향해 송신한다(단계 S511). 또, 여기서는, 전제로 하는 네트워크 구성(도 1 참조)에 있어서, 이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QNE(62)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가령, 이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QNE(62)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QNE(62)는, 통상의 QUERY 처리만을 하고, 이 QUERY 메시지를 송신처(QNE(68))를 향해 송신하게 된다.
경로(34)에 속하는 다음 QNE인 QNE(63)는, 마찬가지로 단계 S511에서 보내진 QUERY 메시지를 일단 수취하여, 단계 S505에서 QUERY 메시지 내에 세팅된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현재 QNE(63)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그리고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QNE(63)는, 그 예약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어드레스를, 이 QUERY 메시지에 추가하고(단계 S513: 세션 식별자에 대한 등록이 있는 인터페이스 어드레스를 파라미터로서 추가), 또한, 통상의 QUERY 처리를 하여, 이 QUERY 메시지를 송신처(QNE(68))를 향해 송신한다(단계 S515). 또, 전술한 QNE(6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제로 하는 네트워크 구성(도 1 참조)에 있어서, 이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QNE(63)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가령, 이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QNE(63)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QNE(63)는, 통상의 QUERY 처리만을 하여, 이 QUERY 메시지를 송신처(QNE(68))를 향해 송신하게 된다.
경로(34)에 속하는 다음 QNE인 QNE(67)는, 마찬가지로 단계 S515에서 보내진 QUERY 메시지를 일단 수취하여, 단계 S505에서 QUERY 메시지 내에 세팅된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현재 QNE(67)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전제로 하는 네트워크 구성(도 1 참조)에 있어서, 이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QNE(67) 내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QNE(67)는, 통상의 QUERY 처리만을 하여, 이 QUERY 메시지를 송신처(QNE(68))를 향해 송신한다(단계 S517). 또, 가령, 이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QNE(67)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QNE(67)는, 통상의 QUERY 처리와 함께, 그 예약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어드레스를, 이 QUERY 메시지에 추가하는 처리를 하게 된다.
QNE(프록시)(68)는, MN(10)으로부터 경로(34) 상의 QNE(62, 63, 67)를 통해 수취한 QUERY 메시지 내의 정보로부터,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를 특정한다(단계 S519:가(假) 크로스오버 노드(QNE(63))의 특정). 예컨대, QNE(68)는, 이 QUERY 메시지 내에 추가된 QNE(62, 63)의 인터페이스의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가장 새롭게(즉, 최후에) 인터페이스의 어드레스를 추가한 QNE(여기서는, QNE(63))가, 경로(24)와 경로(34)의 분기가 되는 QNE이며, 즉,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로 될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또, QNE(63)는, 이 QUERY 메시지에 관한 전송 처리를 하기 위하여 라우팅 테이블 등을 참조했을 때, 경로(24)와 경로(34)가 서로 다른 링크로 향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는 경우도 있으며, 또한 서로 인접하는 QNE의 상태(state)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다음에 QUERY 메시지를 수취하는 인접의 QNE가 QNE(65)로부터 QNE(67)로 바뀐 것을 파악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QNE(63) 자신이, 자기가 경로(24)와 경로(34)의 분기가 되는 QNE인 것을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QNE(68)는, MN(10)의 NCoA의 정보를 취득하면(단계 S521: MN의 신규 IP 어드레스 정보 취득), QNE(68)로부터 QNE(63)를 향해 경로(35)(QNE(63)와 QNE(68) 사이의 경로(34)와 동일 경로) 상에 신규 리소스 예약을 하기 위한 RESERVE 메시지(리소스 예약용의 RESERVE 메시지: 도 12에서는 RESERVE라고 기재)를 생성하고, QNE(63)를 향해 송신한다(단계 S523). 또, 단계 S521에 있어서 QNE(68)가 취득하는 MN(10)의 NCoA의 정보는, 예컨대, QNE(68)가 수신한 QUERY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MN(10)가 AR(31) 지배하의 네트워크로 이동하여, NCoA를 취득했을 때에 QNE(68)에 통지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경로(35)에 속하는 QNE인 QNE(67)는, 단계 S523에서 보내진 RESERVE 메시지를 일단 수취하여, 통상의 RESERVE 처리를 해서, 이 RESERVE 메시지를 송신처(QNE(63))를 향해 송신한다(단계 S525).
QNE(63)는, QNE(68)로부터 보내진 RESERVE 메시지를 수취하는 것에 의해, 예컨대, 이 RESERVE 메시지의 종점 어드레스에 자신(QNE(63))의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참조하여, 자신이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라고 하는 것을 인식하고(단계 S527:가(假) 크로스오버 노드인 것을 인식), CN(60)을 향해, 경로(24)의 스테이트 정보를 경로(35)의 스테이트 정보로 변경하기 위한 갱신을 지시하는 RESERVE 메시지(경로 상태 갱신용의 RESERVE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529). 또, 경로(24)의 일부(QNE(63)와 CN(60) 사이의 경로)와, 경로(35)의 일부(QNE(63)와 CN(60) 사이의 경로)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술한 종점 어드레스를 참조하는 방법 이외에, 예컨대, QNE(68)로부터 보내진 RESERVE 메시지에, QNE(63)가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라고 하는 정보가 명시적으로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QNE(68)가, 자신이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인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RESERVE 메시지에는,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가, 그 후 어떠한 처리를 할 것인가(예컨대, CN(60) 방향으로, 경로(24)를 따른 갱신을 하기 위한 RESERVE를 적용하러 가는 처리 등)의 지시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로(24)에 속하는 QNE인 QNE(65)는, QNE(63)로부터 보내진 RESERVE 메시지를 일단 수취하여, 통상의 RESERVE(update) 처리를 하고, 이 RESERVE 메시지를 송신처(CN(60))를 향해 송신한다(단계 S531).
경로(24)에 속하는 QNE인 QNE(66)는, QNE(65)와 마찬가지로, QNE(63)로부터 보내진 RESERVE 메시지를 일단 수취하여, 통상의 RESERVE(update) 처리를 하고, 이 RESERVE 메시지를 송신처(CN(60))를 향해 송신한다(단계 S533). 이 RESERVE 메시지가 CN(60)에 도착함으로써, QNE(63)와 CN(60) 사이의 경로(24)에 관한 스테이트 정보는, QNE(63)와 CN(60) 사이의 경로(35)에 관한 스테이트 정보로 갱신되고, 경로(35)에 대한 리소스 예약이 완료한다. 또, 이 다음에 CN(60)으로부터 MN(10)을 향해 보내지는 데이터는, 경로(35)를 정확히 지나도록, 경로 고정(route pinning)되어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QNE(63)는, 단계 S527에 있어서 RESERVE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과 동시, 또는 잠시 후에, 이전 경로(경로(24)와 경로(34)의 중복 부분)에 대하여, 스테이트의 해방을 하기 위하여, 경로 상태 해방용의 RESERVE 메시지(도 12에서는 RESERVE(release)라고 기재)를 MN(10)이 이전 CoA를 향해 송신하는(단계 S535) 것도 가능하며, 이에 따라, MN(10)의 이동에 수반하여 불필요하게 된 리소스 예약을 신속히 해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경로(24)와 경로(34)의 중복 부분에 속하는 QNE인 QNE(62)는, QNE(63)로부터 보내진 RESERVE 메시지를 일단 수취하여, 통상의 RESERVE(release) 처리를 하고, 이 RESERVE 메시지를 송신처(MN(10)의 이전 CoA)에 대하여 송신한다(단계 S537). 단, QNE(62)가, MN(10)이 이동했다고 하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던 경우에는, 스테이트의 해방 처리만을 하고, RESERVE 메시지의 송신(단계 S537)은 실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업링크 방향의 새로운 QoS 경로를 확립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는, 전술한 다운링크의 경우와 동일한 QNE나 경로가 이용되지만, 경로가 다운링크와는 다른 경우에도, 동일한 수단에 의해 동일한 결론이 얻어진다.
단계 S551에서 단계 S571까지의 처리에 관해서는, 도 12의 단계 S501에서 단계 S521과 각각 마찬가지이다. 즉, 인근의 L2 시그널 도달 가능한 AP로부터 L2 정보를 수취한 MN(10)은, 우선, 그 정보에 근거하여, 핸드오버를 할 수 있는 서브네트워크를 결정하고(단계 S551: 핸드오버 목적지 후보를 결정), 그 후, AP의 L2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핸드오버 후보 목적지의 프록시를 결정한다(단계 S553:QNE(68)를 프록시의 하나(프록시(68))로서 결정). 프록시를 결정한 MN(10)은, 경로(24)에서의 업링크용 세션 식별자를 QUERY 메시지에 세팅하는 동시에, 업링크라고 하는 정보도 QUERY 메시지에 세팅하고(단계 S555:경로(24)에서의 세션 식별자, 및 데이터의 흐름 방향을 세팅), 선택한 프록시(여기서는, QNE(68))에 QUERY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557).
경로(34)에 속하는 QNE인 QNE(62)는, 단계 S557에서 보내진 QUERY 메시지를 일단 수취하여, 단계 S555에서 QUERY 메시지 내에 세팅된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현재 QNE(62)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그리고 세션 식별자 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예약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어드레스를, 이 QUERY 메시지에 추가하고(단계 S559: 세션 식별자에 대한 등록이 있는 인터페이스 어드레스를 파라미터로서 추가), 또한, 통상의 QUERY 처리를 하여, 이 QUERY 메시지를 송신처(QNE(68))를 향해 송신한다(단계 S561). 또, 전제로 하는 네트워크 구성(도 1 참조)에 있어서, 이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QNE(62)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가령, 이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QNE(62)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QNE(62)는, 통상의 QUERY 처리만을 하여, 이 QUERY 메시지를 송신처(QNE(68))를 향해 송신하게 된다.
경로(34)에 속하는 다음 QNE인 QNE(63)는, 마찬가지로 단계 S561에서 보내진 QUERY 메시지를 일단 수취하여, 단계 S555에서 QUERY 메시지 내에 세팅된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현재 QNE(63)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그리고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예약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어드레스를, 이 QUERY 메시지에 추가하고(단계 S563: 세션 식별자에 대한 등록이 있는 인터페이스 어드레스를 파라미터로서 추가), 또한, 통상의 QUERY 처리를 하여, 이 QUERY 메시지를 송신처(QNE(68))를 향해 송신한다(단계 S565). 또, 전술한 QNE(6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제로 하는 네트워크 구성(도 1 참조)에 있어서, 이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QNE(63)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가령, 이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QNE(63)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QNE(63)는, 통상의 QUERY 처리만을 하여, 이 QUERY 메시지를 송신처(QNE(68))를 향해 송신하게 된다.
경로(34)에 속하는 다음 QNE인 QNE(67)는, 마찬가지로 단계 S565에서 보내진 QUERY 메시지를 일단 수취하여, 단계 S555에서 QUERY 메시지 내에 세팅된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현재 QNE(67)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전제로 하는 네트워크 구성(도 1 참조)에 있어서, 이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QNE(67) 내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의 QUERY 처리만을 하여, 이 QUERY 메시지를 송신처(QNE(68))를 향해 송신한다(단계 S567). 또, 가령, 이 세션 식별자에 대한 리소스의 예약이 QNE(67)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QNE(67)은, 통상의 QUERY 처리와 함께, 그 예약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어드레스를, 이 QUERY 메시지에 추가하는 처리를 하게 된다.
QNE(프록시)(68)에서는, 전술한 다운링크 방향의 새로운 QoS 경로를 확립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MN(10)으로부터 경로(34) 상의 QNE(62, 63, 67)를 통해 수취한 QUERY 메시지 내의 정보로부터,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를 특정한다(단계 S569:가(假) 크로스오버 노드(QNE(63))의 특정). 그리고, QNE(68)는, MN(10)의 NCoA의 정보를 취득하면(단계 S571: MN의 신규 IP 어드레스 정보 취득), QNE(63)로부터 QNE(68)를 향해 경로(35)(QNE(63)와 QNE(68) 사이의 경로(34)와 동일 경로) 상에 신규 리소스 예약을 하기 위한 RESERVE 메시지(리소스 예약용의 RESERVE 메시지: 도 13에서는 RESERVE(update)라고 기재)의 송신을 의뢰하기 위해 QUERY 메시지를 생성하여, QNE(63)를 향해 송신한다(단계 S573). 또, 단계 S571에 있어서 QNE(68)가 취득하는 MN(10)의 NCoA의 정보는, 예컨대, QNE(68)가 수신한 QUERY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MN(10)이 AR(31) 지배하의 네트워크로 이동하 여, NCoA를 취득했을 때에 QNE(68)에 통지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경로(35)에 속하는 QNE인 QNE(67)는, 단계 S573에서 보내진 QUERY 메시지를 일단 수취하여, 통상의 QUERY 처리를 하고, 이 QUERY 메시지를 송신처(QNE(63))를 향해 송신한다(단계 S575).
QNE(63)는, QNE(68)로부터 보내진 QUERY 메시지를 수취하는 것에 의해, 자신이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라고 하는 것을 인식하고(단계 S577:가(假) 크로스오버 노드인 것을 인식), CN(60)을 향해, 경로(24)의 스테이트 정보를 경로(35)의 스테이트 정보로 변경하기 위한 갱신을 지시하는 RESERVE 메시지(경로 상태 갱신용의 RESERVE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579). 또, 경로(24)의 일부(QNE(63)와 CN(60) 사이의 경로)와, 경로(35)의 일부(QNE(63)와 CN(60) 사이의 경로)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경로(24)에 속하는 QNE인 QNE(65)는, QNE(63)로부터 보내진 RESERVE 메시지를 일단 수취하여, 통상의 RESERVE(update) 처리를 하고, 이 RESERVE 메시지를 송신처(CN(60))를 향해 송신한다(단계 S581).
경로(24)에 속하는 QNE인 QNE(66)는, QNE(65)와 마찬가지로 QNE(63)로부터 보내진 RESERVE 메시지를 일단 수취하여, 통상의 RESERVE(update) 처리를 하고, 이 RESERVE 메시지를 송신처(CN(60))를 향해 송신한다(단계 S583). 이 RESERVE 메시지가 CN(60)에 도착함으로써, QNE(63)와 CN(60) 사이의 경로(24)에 관한 스테이트 정보는, QNE(63)과 CN(60) 사이의 경로(35)에 관한 스테이트 정보로 갱신되고, 경로(35)에 대한 리소스 예약이 완료한다. 또, 이 다음에 CN(60)으로부터 MN(10)을 향해 보내지는 데이터는, 경로(35)를 정확히 지나도록, 경로 고정(route pinning)되어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QNE(63)는, 단계 S579에 있어서 RESERVE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시에, QNE(68)를 향해 경로(34) 상에 QoS 리소스를 예약하기 위한 RESERVE 메시지를 작성하여, 이 RESERVE 메시지(도 13에서는 RESERVE(update)라고 기재)를 QNE(68)를 향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단계 S585). 또, 이미 MN(10)가 AR(31) 지배하에 이동해 있었던 경우에는, MN(10)을 향해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경로(35)에 속하는 QNE인 QNE(67)는, 단계 S585에서 보내진 RESERVE 메시지를 일단 수취하여, 통상의 RESERVE 처리를 하고, 이 RESERVE 메시지를 송신처(QNE(68))를 향해 송신한다(단계 S587). 이 RESERVE 메시지가 QNE(68)에 도착함으로써, 경로(35)에 대한, 리소스 예약이 완료한다. 이 다음에 MN(10)으로부터 CN(60)을 향해 보내지는 데이터는, 경로(35)를 정확히 지나도록, 경로 고정(route pinning)되어 송신된다.
또한, QNE(63)는, 단계 S579나 단계 S585의 RESERVE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과 동시, 또는 잠시 후에, 이전 경로(경로(24)와 경로(34)의 중복 부분)에 대하여, 스테이트의 해방을 하기 위해, RESERVE 메시지(도 13에서는 RESERVE(release)라고 기재)를 MN(10)의 이전 CoA를 향해 송신하는(단계 S589) 것도 가능하며, 이에 따라, MN(10)의 이동에 수반하여 불필요하게 된 리소스 예약을 신속히 해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경로(24)와 경로(34)의 중복 부분에 속하는 QNE인 QNE(62)는, QNE(63) 로부터 보내진 RESERVE 메시지를 일단 수취하여, 통상의 RESERVE(update) 처리를 하고, 이 RESERVE 메시지를 송신처(MN(10)의 이전 CoA)에 대하여 송신한다(단계 S591). 단, QNE(62)가, MN(10)이 이동했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던 경우에는, 스테이트의 해방 처리만을 하고, RESERVE 메시지의 송신(단계 S591)은 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MN(10)이 핸드오버할 때, MN(10)이 소정의 프록시에 대하여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를 특정하고, 이 가(假) 크로스오버 노드를 경유하는 QoS 경로를 배치하여, 그 경로 상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시그널링 메시지의 쓸데없는 왕복 시간을 피할 수 있어, 신속히 QoS 경로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세션 식별자에 묶여져 있는 흐름이 복수 있었던 경우에도, 이 복수의 흐름에 대하여, 한번에 신속하게 QoS 경로를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MN(10)이 핸드오버를 하기 전에 MN(10)과 CN(60)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QoS 경로가 1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MN(10)과 CN(60) 사이에 복수의 QoS 경로가 설정되어 있거나, MN(10)과 각각 다른 복수의 CN(60)과의 사이에 QoS 경로가 설정되어 있거나 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와 같이, MN(10)이 복수의 QoS 경로를 갖고 있고, 이들의 복수의 QoS 경로에 있어서, MN(10)의 인접 QNE(예컨대, 도 1에 있어서의 QNE(62))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MN(10)은, 각 인접 QNE를 경유하여, 각 인접 QNE의 각각을 경유하는 QoS 경로에 대응한 QoS 경로를 핸드오버 후에 설정하는 준비를 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즉, 전술한 메시지 A에 포함되는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복수의 인접 QNE가 존재하는 경우에, MN(10)으로부터 각 인접 QNE에 대하여, 각 인접 QNE를 지나는 QoS 경로에 대응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A가 송신되어, 각 QoS 경로에 관해, 각각 전술한 경로 전환 설정 동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송신처라는 표현(예컨대, CN(60) 앞으로 송신한다고 하는 표현)은, 반드시 IP 헤더의 송신처 어드레스에 CN(60)의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송신한다고 하는 의미가 아니라, 최종적으로 메시지를 수취하는 상대방이 CN(60)이라고 하는 의미이다.
또,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용한 각 기능 블럭은,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서 실현된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원칩화되어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원칩화되어도 좋다. 또, 여기서는, LSI로 하였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Integrated Circuit), 시스템 LSI, 수퍼 LSI, 울트라 LSI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방법은 LSI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편성할 수 있는 리컨피규러블·프로세서(reconfigurable processor)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로 치환되는 집 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럭의 집적화를 수행하여도 좋다. 예컨대,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동 단말 및 경로 관리 장치는, 핸드오버를 하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 후에 있어서도, 핸드오버 전에 받고 있었던 부가적 서비스를 신속하고 계속해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고 하는 효과가 있으며, 무선 통신을 하는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시에, 새로운 경로의 설정을 하기 위한 기술 분야에 적용되어, 특히,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인 모바일 IPv6 프로토콜을 이용한 무선 통신을 하는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시에, 새로운 경로의 설정을 하기 위한 기술 분야나, NSIS를 이용한 QoS 보증에 관한 기술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15)

  1. 각각이 서브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단말 사이에서 설정되어 있는 제 1 경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제 2 액세스 라우터로 핸드오버를 하여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로 된 상기 이동 단말과의 사이의 제 2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신규 경로 설정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에 대하여, 상기 제 1 경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가 송신되고, 상기 메시지가 경유하는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까지의 경로와, 상기 제 1 경로와의 중복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경로로부터 상기 제 2 경로로 경로 변경을 할 때의, 상기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의 크로스오버 노드가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신규 경로 설정 방법.
  2. 각각이 서브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단말과의 사이에서 설정되어 있는 제 1 경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제 2 액세스 라우터로 핸드오버를 하여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로 된 상기 이동 단말과의 사이의 제 2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신규 경로 설정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에 대하여, 상기 제 1 경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메시지에 부가하여,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상기 메시지에 부가된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경로로부터 상기 제 2 경로로 경로 변경을 할 때의, 상기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의 크로스오버 노드를 인식하는 단계
    를 갖는 신규 경로 설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경로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제 1 경로에 관한 흐름 및/또는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도록 구성되어 있는 신규 경로 설정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할 때에, 상기 메시지를 최종적으로 수신하는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가 상기 메시지를 참조한 경우에, 최후에 부가된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신규 경로 설정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메시지에 부가하는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 제 1 경로에 이용되어 있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인터페이스 어드레스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신규 경로 설정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가,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에 대하여, 리소스 예약을 하기 위한 리소스 예약용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갖는 신규 경로 설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예약용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가,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까지의 상기 제 1 경로의 일부분에 있어서의 경로 상태를 해방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를 갖는 신규 경로 설정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예약용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가,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로부터 상기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까지의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의 중복 부분에 있어서의 경로 상태를 갱신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를 갖는 신규 경로 설정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가,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에 대하여, 리소스 예약을 의뢰하기 위한 리소스 예약 의뢰용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갖는 신규 경로 설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예약 의뢰용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가,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까지의 상기 제 1 경로의 일부분에 있어서의 경로 상태를 해방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를 갖는 신규 경로 설정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예약 의뢰용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가,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로부터 상기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까지의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의 중복 부분에 있어서의 경로 상태를 갱신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를 갖는 신규 경로 설정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예약 의뢰용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가, 상기 크로스오버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까지의 리소스를 예약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를 갖는 신규 경로 설정 방법.
  13. 각각이 서브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단말과의 사이에서 설정되어 있는 제 1 경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제 2 액세스 라우터로 핸드오버를 하여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로 된 상기 이동 단말과의 사이의 제 2 경로가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 단말로서,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어드레스 취득 수단과,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에 대하여, 상기 제 1 경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 수단
    을 갖는 이동 단말.
  14. 각각이 서브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단말과의 사이에서 설정되어 있는 제 1 경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제 2 액세스 라우터로 핸드오버를 하여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로 된 상기 이동 단말과의 사이의 제 2 경로가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 또는 이것에 인접한 소정의 노드에 대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 1 경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노드 내의 경로 관리 장치로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 수단과,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메시지에 부가하는 정보 부가 수단과,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 수단
    을 갖는 경로 관리 장치.
  15. 각각이 서브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단말과의 사이에서 설정되어 있는 제 1 경로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통신 상대 단말과,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제 2 액세스 라우터로 핸드오버를 하여 상기 제 2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로 된 상기 이동 단말과의 사이의 제 2 경로가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세스 라우터에 접속된 상태의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경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로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메시지에 부가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에 있어서의 경로 관리 장치로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 수단과,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상기 메시지에 부가된 상기 제 1 경로의 경유 포인트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경로로부터 상기 제 2 경로로 경로 변경을 할 때의, 상기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의 크로스오버 노드를 결정하는 크로스오버 노드 결정 수단
    을 갖는 경로 관리 장치.
KR20077004755A 2004-07-30 2005-07-28 신규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동 단말 및 경로 관리 장치 KR200700468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24656 2004-07-30
JP2004224656 2004-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899A true KR20070046899A (ko) 2007-05-03

Family

ID=3578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04755A KR20070046899A (ko) 2004-07-30 2005-07-28 신규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동 단말 및 경로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57344B2 (ko)
EP (1) EP1773006A1 (ko)
JP (1) JP4543041B2 (ko)
KR (1) KR20070046899A (ko)
CN (1) CN1993941B (ko)
BR (1) BRPI0513976A (ko)
RU (1) RU2007107386A (ko)
WO (1) WO20060115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055B1 (ko) 2006-12-08 2008-04-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IPv6 네트워크에서 플로우 기반 QoS 보장을위한 3 계층 핸드오버 경로 설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8901B2 (en) 2005-11-29 2010-1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cing thermal data via performance monitoring
CN101444126B (zh) * 2006-05-09 2011-08-31 日本电气株式会社 移动无线通信系统和系统中执行切换的方法
KR101090189B1 (ko) * 2006-09-06 2011-12-0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루터 및 그의 통신 방법
US8750248B2 (en) 2007-03-21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F handoff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457064B2 (en) 2007-03-21 2013-06-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F handoff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737350B2 (en) 2007-03-21 2014-05-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F handoff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737353B2 (en) 2007-03-21 2014-05-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F handoff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948757B2 (en) * 2007-03-21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F handoff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8565799B2 (en) 2007-04-04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low data acquisition in a multi-frequency network
US7724707B2 (en) * 2007-06-26 2010-05-25 Motorola, Inc. Network for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US8619569B2 (en) * 2007-07-23 2013-12-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 adaption in a packet switched network
WO2009025075A1 (ja) * 2007-08-22 2009-02-26 Panasonic Corporation QoSリソース予約方法及びその方法で用いられるホームエージェントと移動端末
JPWO2009037843A1 (ja) * 2007-09-21 2011-01-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QoSリソース予約方法及びその方法で用いられる移動端末
US8570939B2 (en) 2008-03-07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choosing cyclic delays in multiple antenna OFDM systems
JP6507572B2 (ja) * 2014-10-31 2019-05-08 富士通株式会社 管理サーバの経路制御方法、および管理サーバ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3083B (fi) * 1997-01-20 1999-04-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Pakettiradioverkko ja menetelmä reititysalueen päivittämiseksi
US6643279B1 (en) * 1998-09-01 2003-11-04 Nec Corporation Handoff control for point to multipoint connections in mobile ATM networks
EP0996304B1 (en) * 1998-10-19 2007-03-14 Nortel Matra Cellular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a connection to a target base station in a cellular or cordless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TE324726T1 (de) * 1999-07-19 2006-05-15 British Telecomm Telekommunikationsrouting
DE60142750D1 (de) * 2000-10-26 2010-09-16 British Telecomm Optimale routenplanung in handover-szenarien
JP3526032B2 (ja) * 2000-11-08 2004-05-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モバイルネットワーク及びipパケットの転送方法
JP4572476B2 (ja) * 2001-03-13 2010-11-0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処理システム、通信処理方法、および通信端末装置、データ転送制御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WO2003071749A1 (fr) * 2002-02-20 2003-08-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seau d'elements mobiles
JP3844702B2 (ja) * 2002-02-28 2006-11-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通信端末装置、関門交換装置、ルータ、通信方法
JP3924480B2 (ja) * 2002-03-06 2007-06-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ハンドオーバ制御装置、中継ルータ、ゲートウェイ装置、アクセスルータ、基地局、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JP2004015143A (ja) * 2002-06-04 2004-01-15 Fujitsu Ltd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方法、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使用されるルータ装置
US7453851B2 (en) * 2002-06-20 2008-11-18 Spyder Navigations L.L.C. QoS signaling for mobile IP
CN1223122C (zh) * 2002-09-23 2005-10-12 华为技术有限公司 宽带码分多址网络中的软切换方法
KR100645432B1 (ko) * 2004-11-04 2006-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IP 기반 이동망 환경에서 액세스 망간 핸드오버시QoS 시그널링 방법
JPWO2006073084A1 (ja) * 2005-01-07 2008-06-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リソース管理装置、リソース管理方法、通信管理装置並びに通信管理方法
EP1890435A1 (en) * 2005-06-09 2008-02-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oute setting method and route management device
US20090207782A1 (en) * 2005-10-07 2009-08-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ggregation management system, aggregate node, and deaggregate no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055B1 (ko) 2006-12-08 2008-04-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IPv6 네트워크에서 플로우 기반 QoS 보장을위한 3 계층 핸드오버 경로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7107386A (ru) 2008-09-10
EP1773006A1 (en) 2007-04-11
CN1993941A (zh) 2007-07-04
CN1993941B (zh) 2010-06-23
JP4543041B2 (ja) 2010-09-15
US7957344B2 (en) 2011-06-07
US20080101289A1 (en) 2008-05-01
JPWO2006011567A1 (ja) 2008-05-01
WO2006011567A1 (ja) 2006-02-02
BRPI0513976A (pt) 200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3041B2 (ja) 新規経路設定方法及び移動端末並びに経路管理装置
US20070223420A1 (en) Communication Handover Method, Communication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Executing These Methods by use of a Computer
US20080137625A1 (en) Communication System Resource Management Device Resource Management Method Communication Management Device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US20070217363A1 (en) Communication handover method, communication mess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se methods, and communication system
US8345678B2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mess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for executing these methods on computer
US20090022106A1 (en) Crossover node detection method and crossover node detection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JPWO2007119598A1 (ja) 高速QoSハンドオーバ方法及びその方法で用いられる処理ノード
EP1677466A1 (en) Communication handover method, communication mess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for executing these methods by use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090190551A1 (en) Route Setting Method and Route Management Device
US7751413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node
US20100157939A1 (en) Crossover node detection pre-processing method, crossover node detection pre-processing program for executing this method by computer, and mobile terminal used in this method
JP4750115B2 (ja) クロスオーバノード検出方法、こ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行するためのクロスオーバノード検出用プログラム、クロスオーバノード検出方法で用いられる移動端末及び中継装置
KR101075235B1 (ko) 차세대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전송 서비스 품질 보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18890A (ko) 통신 핸드오버 방법,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들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