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8890A - 통신 핸드오버 방법,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들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핸드오버 방법,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들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8890A
KR20070018890A KR1020067018749A KR20067018749A KR20070018890A KR 20070018890 A KR20070018890 A KR 20070018890A KR 1020067018749 A KR1020067018749 A KR 1020067018749A KR 20067018749 A KR20067018749 A KR 20067018749A KR 20070018890 A KR20070018890 A KR 20070018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net
information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요키 우에
다카코 호리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8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8890A/ko
Publication of KR20070018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9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adapted for mobile IP [M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후에도, 핸드오버전에 받았던 부가적 서비스(예로서, QoS 보증)를 신속하게 또한 계속적으로 받을 수 있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이 기술에 의하면 이동 단말(MN(10))은,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서브넷 간의 핸드오버를 실행할 것을 결정하고, NCoA를 생성하는 동시에, MN(10)의 QoS 경로상에서 인접하는 mQNE(QoS 경로의 변경이 가능한 노드)(41)에 관한 정보(인접 mQNE 정보: 예로서, mQNE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그리고, MN은 FBU 메시지의 송신과 함께, oAR(21)에 대하여, 인접 mQNE 정보를 송신한다. oAR은 MN으로부터 수신한 인접 mQNE 정보를, HI 메시지의 송신과 함께, nAR(31)에 대하여 전송하고, nAR은 이 인접 mQNE 정보에 따라서, mQNE와의 사이에 MN을 위한 (C) QoS 경로를 확립한다.

Description

통신 핸드오버 방법,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들 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HANDOVER METHOD, COMMUNICATION MESS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SE METHODS, AND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이동 단말(모바일 노드(mobile node))의 핸드오버에 관한 통신 핸드오버 방법과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들 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인 모바일 IPv6(Mobile Internet Protocol version 6) 프로토콜 및 FMIP(Fast Mobile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모바일 노드에 있어서의 핸드오버에 관한 통신 핸드오버 방법과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들 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이동하면서도 연속적으로 통신 네트워크의 접속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로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인 모바일 IPv6을 이용한 것이 보급되어 있다. 이 모바일 IPv6을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모바일 IPv6의 기술에 관해서는, 예로서, 하기의 비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인터넷 등의 IP 네트워크(통신 네트워크)(15), IP 네트워크(15)에 접속하는 복수의 서브넷(subnet)(서브네트워크(subnetwork)라고도 부른다)(20, 30), 이러한 복수의 서브넷(20, 30)의 어느 하나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 단말(MN: Mobile Node)(1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는, 복수의 서브넷(20, 30)으로서, 2개의 서브넷(20, 30)이 도시되어 있다.
서브넷(20)은, IP 패킷(패킷 데이터)에 대한 라우팅(routing)을 실행하는 액세스 라우터(AR: Access Router; oAR이라고 기재한다)(21), 고유한 무선 커버 영역(통신 가능 영역)(24, 25)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22, 23)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AP(22, 23)는, 각각 oAR(21)에 접속되어 있고, oAR(21)은, IP 네트워크(1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는, 복수의 AP(22, 23)로서, 2개의 AP(22, 23)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서브넷(30)에 대해서도, AR(nAR이라고 기재한다)(31) 및 복수의 AP(32, 33)에 의해서, 상기의 서브넷(20)과 동일한 접속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서브넷(20)의 구성 요소인 oAR(21)과, 서브넷(30)의 구성 요소인 nAR(31)은, IP 네트워크(15)를 통하여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서브넷(20)과 서브넷(30)은, IP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MN(10)이, 무선 커버 영역(25) 내에서 AP(23)와의 무선통신을 개시한 것으로 한다. 이때, MN(10)에 할당되어 있는 IPv6 어드레스가, 서브넷(20)의 IP 어드레스 체계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무선 커 버 영역(25) 내에 존재하는 MN(10)은, AP(23)와의 사이에서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서브넷(20)에 적합한 IPv6 어드레스, 즉, 전교(轉交) 어드레스(CoA: Care of Address; 어드레스의 전교)를 취득한다.
또한, MN(10)이 CoA를 취득하는 방법에는, DHCPv6 등의 방법으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서버로부터 상태 기반으로(in a stateful fashion) 할당받는 방법과, 서브넷(20)의 네트워크 프리픽스(prefix) 및 프리픽스 렝스(prefix length)를 oAR(21)로부터 취득하고, MN(10)에서, oAR(21)로부터 취득한 네트워크 프리픽스 및 프리픽스 렝스와, MN(10)의 링크 층(링크 층) 어드레스 등을 조합하여, 무상태로(in a stateless fashion) CoA를 자동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MN(10)은, 취득한 CoA를 자체의 홈 네트워크상의 라우터(홈 에이전트)나 특정한 통신 상대(Correspondent Node: CN)에 대하여 등록(Binding Update: BU)함으로써, 서브넷(20) 내에서, 패킷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소정의 통신 상대로부터 MN(10)에 대하여 송신된 패킷 데이터는, MN(10)의 CoA에 따라서, oAR(21) 및 AP(23)를 통하여, MN(10)에 전송되는 한편, MN(10)이 원하는 통신 상대에 대하여 송신한 패킷 데이터는, AP(23) 및 oAR(21)을 통하여 상기 원하는 통신 상대에 전송된다. 또한, MN(10)을 수신처로 하여 홈 네트워크에 송신되어 온 패킷 데이터도, 홈 에이전트에 등록된 MN(10)의 CoA에 따라서 서브넷(20)의 oAR(21)에 보내어져서, AP(23)를 통하여 MN(10)에 전송된 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1에 나타내는 모바일 IPv6을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은, MN(10)이 어느 서브넷으로부터 다른 서브넷에 핸드오버를 실행한 경우에도, CoA를 이용하여, MN(10)에서의 무선통신이 계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핸드오버 처리를 고속화하기 위한 기술로서는, 예로서, 하기의 비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고속 핸드오버(fast handover)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이 고속 핸드오버 기술(FMIP라고도 부른다)에서는, MN(10)이 L2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전에, MN(10)은, 서브넷(30)에서 사용하는 새로운(New) CoA(이후, NCoA라고 부른다)를 미리 취득하여, 이 NCoA를 oAR(21)에 통지함으로써, oAR(21)과 nAR(31)과의 사이에 터널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MN(10)이 L2 핸드오버를 실행하여 AP(23)로부터 AP(32)로 접속을 전환하고나서, 서브넷(30)에 이동하여, 미리 취득한 NCoA를 정식으로 등록(BU)할 때까지의 사이에도, 서브넷(20)에서 사용하였던 MN(10)의 이전의(Previous) CoA(이후, PCoA라고 부른다)를 수신처로 하여 전송된 패킷 데이터는, 상기의 터널을 경유하여 nAR(31) 및 AP(32)를 통해서 MN(10)에 전송되는 동시에, MN(10)으로부터 송신되는 패킷 데이터도, AP(32) 및 nAR(31)을 통하여 터널을 경유하여 oAR(21)에 도달하여, oAR(21)로부터 통신 상대에 전송된다.
여기서, 종래의 FMIP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또한, FMIP에는, MN(10)이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링크(핸드오버전의 링크)에서, FBAck 메시지를 수신할 것인가 아닌가에 따라서, 2개의 동작 모드가 있지만, 여기서는, MN(10)이 핸드오버전의 링크로써 FBU 메시지를 송신한 경우(전자(前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종래의 기술에서의 MN(10)이 핸드오버전의 링크로써 FBU 메시지를 송신한 경우의 FMIP의 동작 모드의 개요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예로서, MN(10)이 oAR(21)의 영역(AP(23)의 무선 커버 영역(25))으로부터 nAR(31)의 영역(AP(32)의 무선 커버 영역(34))에의 이동을 개시한 경우, 레이어(layer)(2)에 의하여 그 이동이 검출되고, 그것을 기점으로 하여 레이어(3)에서의 핸드오버가 개시된다. 이 핸드오버의 개시 결정은, 예로서, 중복 영역(26)에서의 AP(23)로부터의 수신 전계 강도와 AP(32)로부터의 수신 전계 강도와의 비교 등에 의해서 실행된다.
MN(10)은, 이동처가 되는 AP(32)의 AP-ID(각각의 AP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레이어(2)로부터 통지된 경우, 우선, 현재 접속하고 있는 oAR(21)에 대하여, AP(32)의 AP-ID를 포함하는 RtSolPr(Router Solicitation for Proxy)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401). 이 RtSolPr 메시지를 수신한 oAR(21)은 MN(10)으로부터 통지된 AP(32)의 AP-ID에 따라서, 부근에 존재하는 액세스 라우터를 검색하여 nAR(31)의 정보를 취득하거나, 또는 이미 검색 완료된 정보(oAR(2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nAR(31)의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oAR(21)은, nAR(31)의 정보(예로서, nAR(31)이 구성하는 서브넷(30)의 네트워크 프리픽스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PrRtAdv(Proxy Rout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RtSolPr 메시지의 응답으로서, MN(10)에 송신한다(단계 S403). PrRtAdv 메시지를 수신한 MN(10)은, PrRtAdv 메시지에 포함되는 서브넷(30) 의 네트워크 프리픽스와, MN(10) 자체의 링크 층(link layer) 어드레스 등을 이용하여, 서브넷(30)에 적합한 어드레스인 NCoA(New Care of Address)를 생성하고, 이 NCoA를 포함하는 FBU(Fast Binding Update) 메시지를 oAR(21)에 송신한다(단계 S405).
FBU 메시지를 수신한 oAR(21)은, MN(10)에서 생성된 NCoA가 서브넷(30)에서 사용 가능한 어드레스인가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 NCoA를 포함하는 HI(Handover Initiate) 메시지를 nAR(31)에 송신한다(단계 S407). nAR(31)은, HI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 HI 메시지에 포함되는 NCoA가 유효한 것인가 아닌가를 검증하고, NCoA가 유효한 경우는, 그 결과를 나타내는 스테이터스(status)를 지정한 HAck(Handover Acknowledge) 메시지를 oAR(21)에 송신한다(단계 S409). oAR(21)은, HAck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그 결과를 통지하는 FBAck(Fast Binding Acknowledgement) 메시지를 MN(10) 및 nAR(31)에 송신하는(단계 S411, S413) 동시에, MN(10)을 수신처로 하는 패킷을 nAR(31)에 전송한다(단계 S415). nAR(31)은, oAR(21)로부터 MN(10)을 수신처로 하는 패킷이 전송되어 온 경우에는, 패킷의 버퍼링(buffering)을 실행한다.
그 후, MN(10)은, 서브넷(30)에의 실제의 이동을 개시하여, 예로서, AP(23)로부터 AP(32)에의 L2 핸드오버 등을 실행하고(단계 S417), nAR(31)에의 접속 절환 직후에, nAR(31)에의 접속의 통지 및 버퍼링되어 있는 패킷의 송신 요구를 실행하기 위한 FNA(Fast Neighbor Advertisement) 메시지를, nAR(31)에 대하여 송신한다(단계 S419). nAR(31)은, 이 FNA 메시지를 수신하여, 버퍼링되어 있는 MN(10)을 수 신처로 하는 패킷을 MN(10)에 송신한다(단계 S421).
한편,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는, QoS(Quality of Service; 서비스 품질) 보증을 비롯한 서비스(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서비스를 부가적 서비스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가 존재하고, 이러한 부가적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통신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통신 프로토콜 중에서, QoS 보증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예로서, RSVP(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자원 예약 프로토콜)을 들 수 있다(예로서, 하기의 비특허문헌 3 참조). RSVP는, 데이터의 송신을 실행하는 송신측 통신 단말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을 실행하는 수신측 통신 단말에의 경로(흐름)상에 있어서의 대역(帶域) 예약을 실행함으로써, 송신측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측 통신 단말에, 데이터가 원활하게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서브넷(20, 30) 간의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MN(10)에 대해서는, 핸드오버전에 받았던 QoS 보증을 비롯한 부가적 서비스를, 핸드오버후에도 계속해서 받고 싶다는 요청이 있지만, 상기한 RSVP는, 특히 하기의 점에 있어서 상기의 요청을 만족시킬 수 없어서, MN(10)의 이동에 대응 불가능하다. 도 13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RSVP가 MN의 이동에 대응 불가능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RSVP에서는, MN(10)의 통신 상대 단말(CN:Correspondent Node)(51)로부터 MN(10)에의 2점간 경로(end-to-end path; 단말간 경로)에 QoS 경로가 설정되고, MN(10) 및 CN(51)의 어드레스에 따라서, 2점간 경로의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중계 노드(52)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 실행된다. 따라서, 예로서, MN(10)이 서브넷(20, 30) 사이에 핸드오버를 실행하여, MN(10)의 CoA가 변경된 경우에는, QoS 경 로에 있어서, 흐름(flow)의 변경 이외에 어드레스 변경에 관한 처리가 실행될 필요가 있지만, RSVP는, 이러한 변경에 대응할 수 없어서, 결과적으로 QoS 보증이 파탄(破綻)된다(제1문제점: QoS 경로의 변경이 곤란). 또한, 새롭게 QoS 경로가 설정된 경우에도, 핸드오버 전후에 QoS 경로가 중복하는 부분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 중복 부분에 2중의 자원(resource) 예약(double reservation)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제2문제점: 2중 자원 예약).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인터넷 기술 실무 위원회)에서, NSIS(Next Step in Signaling)라고 하는 새로운 프로토콜을 표준화하기 위한 의론이 실행되고 있다(하기의 비특허문헌 4 참조). 이 NSIS는, 모바일 환경에 있어서, QoS 보증을 비롯한 여러 가지 부가적 서비스에 특히 유효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NSIS에 있어서 QoS 보증이나 이동성 지원(mobility support)을 실현하기 위한 요건이나 실현 방법 등이 기재된 문헌도 존재한다(예로서, 하기의 비특허문헌 5∼7 참조). 또한, NSIS는, 모바일 환경뿐만 아니라 통상의 정적(靜的)인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기능도 망라하는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NSIS의 기능의 하나인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의 확립을 실현하는 기능에 착안하여, NSIS의 실장에 의해서,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의 확립이 실현되는 것으로 한다.
비특허문헌 1: D. Johnson, C. Perkins and J. Arkko, "Mobility Support in IPv6", draft-ietf-mobileip-ipv6-24, June 2003.
비특허문헌 2: Rajeev Koodli "Fast Handovers for Mobile IPv6", draft- ietf-mobileip-fast-mipv6-08, October 2003.
비특허문헌 3: R. Braden, L. Zhang, S. Berson, S. Herzog and S. Jamin,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Version 1 Functional Specification", RFC 2205, September 1997.
비특허문헌 4: NSIS WG(http://www.ietf.org/html.charters/nsis-charter.html)
비특허문헌 5: H. Chaskar, Ed, "Requirements of a Quality of Service (QoS) Solution for Mobile IP", RFC3583, September 2003.
비특허문헌 6: Sven Van den Bosch, Georgios Karagiannis and Andrew McDonald "NSLP for Quality-of-Service signaling", draft-ietf-nsis-qos-nslp-01.txt, October 2003.
비특허문헌 7: X. Fu, H. Schulzrinne, H. Tschofenig, "Mobility issues in Next Step signaling", draft-fu-nsis-mobility-01.txt, October 2003.
예로서,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서브넷(20)에서 QoS 보증을 받고 있는 MN(10)이, 서브넷(30)에의 핸드오버를 실행하여, 핸드오버후에 접속하는 서브넷(30)에서, 핸드오버전에 받았던 QoS 보증을 계속해서 받는 것을 생각해 본다.
이 경우, MN(10)이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서브넷(20)과의 핸드오프(handoff; 통화 채널 전환)를 실행하고나서, 핸드오버후에 접속하는 서브넷(30)에서 QoS 보증을 받은 상태가 될 때까지의 시간은, MN(10)이 QoS 보증을 받을 수 없는 시간으로 되어서, MN(10)은 QoS 보증을 전혀 받을 수 없거나, 또는, 디폴트(default)의 QoS 전송 처리가 실행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후의 MN(10)에 대해서는, 부가적 서비스가 신속하게 제공될 필요가 있지만, IETF에서의 NSIS에 관한 현재의 의론에는, 핸드오버후의 부가적 서비스의 개시 타이밍(예로서, QoS 경로를 재구축하는 타이밍)에 관한 구체적인 제안은 되어 있지 않다. 또한, 비특허문헌 5에는, 핸드오버시에 디폴트의 QoS 전송을 받게 되는 패킷의 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취지는 기재되어 있지만, 구체적인 해결 수단에 관해서는 일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예로서, NSIS 등의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 실현 기능을 실장하고 있는 AR과 실장하고 있지 않은 AR이, 네트워크 내에 혼재하는 상황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내에 있어서, 예로서, NSIS 등의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 실현 기능을 실장하고 있지 않은 AR에 대하여, NSIS 등의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 실현 기능을 실장하고 있는 AR만이 이해 가능한 메시지를 송신하는 등의 불필요한 통신 트래픽의 증가는, 가능한 한 방지하도록 고려할 필요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후에도, 핸드오버전에 받았던 부가적 서비스를 신속하게 또한 계속적으로 받을 수 있게 하는 통신 핸드오버 방법,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들 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신 핸드오버 방법은, 각각이 서브넷을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고유한 통신 가능 영역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의 각각에 최소한 1개 이상 접속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가능 영역 내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서브넷에의 접속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 단말에서의 통신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현재 통신중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통신의 절환을 실행할 것을 결정하는 핸드오버 결정 단계와,
상기 핸드오버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제어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서브넷에 있어서, 적합 가능한 어드레스를 작성하는 어드레스 작성 단계와,
현재의 서브넷 접속에 의해서 확립된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는 노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단계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대하여, 상기 어드레스 작성 단계에서 작성된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송신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이동 단말(MN)이, 핸드오버후에도, 핸드오버전에 받았던 부가적 서비스를 신속하게 또한 계속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는 노드(mQNE)에 관한 정보를, 액세스 라우터(oAR)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핸드오버 방법은, 상기 정보 송신 단계에서,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삽입하고,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 및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1개의 메시지로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각각 상이한 메시지로서 송신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이동 단말(MN)은, 핸드오버후의 서브넷에 적용되는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함께 노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송신 타이밍과 동시에 노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핸드오버 방법은, 상기 정보 송신 단계에서의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로서, FMIP에 관한 FBU 메시지를 사용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이동 단말(MN)은, FMIP에 관한 FBU 메시지의 송신을 이용하여, 노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핸드오버 방법은, 상기 정보 취득 단계에서,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로서, NSIS를 실장하고, 또한 상기 경로상에서 상기 이동 단말과 인접하는 노드에 관한 정보를 사용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이동 단말(MN)은, 이 노드(mQNE)를 확실하게 파악하는 동시에, 노드에 관한 정보를 확실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핸드오버 방법은,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노드의 IP 어드레스를 사용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이 노드(mQNE)의 IP 어드레스로써, 노드의 위치를 확실하게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통신 핸드오버 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통신 핸드오버용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은, 각각이 서브넷을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고유한 통신 가능 영역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의 각각에 최소한 1개 이상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서브넷에의 접속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 중 최소한 1개의 액세스 라우터에서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으로서,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서브넷으로부터 다른 서브넷에의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다른 서브넷에 있어서 적합 가능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함께, 현재의 이동 단말에 대하여 확립되어 있는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는 노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다른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대하여, 상기 정보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정보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송신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이동 단말(MN)이, 핸드오버후에도, 핸드오버전에 받았던 부가적 서비스를 신속하게 또한 계속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는 노드(mQNE)에 관한 정보를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라우터(oAR)는, 이 노드에 관한 정보를,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후에 접속하는 액세스 라우터(nAR)에 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은, 상기 정보 수신 단계에서,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 및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1개의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각각 별개로 수신하고,
상기 정보 송신 단계에서,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삽입하고,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 및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1개의 메시지로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각각 상이한 메시지로서 송신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이동 단말(MN) 및 액세스 라우터(oAR)는, 핸드오버후의 서브넷에 있어서 적용되는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함께 노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송신 타이밍과 동시에 노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은, 상기 정보 수신 단계에서의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로서, FMIP에 관한 FBU 메시지를 사용하고, 상기 정보 송신 단계에서의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로서, FMIP에 관한 HI 메시지를 사용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이동 단말(MN)은, FMIP에 관한 FBU 메시지의 송신을 이용하여, 노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액세스 라우터(oAR)는, FMIP에 관한 HI 메시지의 송신을 이용하여, 노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은, 각각이 서브넷을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고유한 통신 가능 영역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의 각각에 최소한 1개 이상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서브넷에의 접속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 중 최소한 1개의 액세스 라우터에서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으로서,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서브넷으로부터 다른 서브넷에의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다른 서브넷에 있어서 적합 가능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단계와,
현재의 서브넷 접속에 의해서 확립된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는 노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다른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대하여, 상기 정보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정보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송신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이동 단말(MN)이, 핸드오버후에도, 핸드오버전에 받았던 부가적 서비스를 신속하게 또한 계속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핸드오버에 관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라우터(oAR)는,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이동 단말을 위한 경로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는 노드(mQNE)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여, 이 노드에 관한 정보를,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후에 접속하는 액세스 라우터(nAR)에 대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은, 상기 정보 송신 단계에서,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삽입하고,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 및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1개의 메시지로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각각 상이한 메시지로서 송신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액세스 라우터(oAR)는, 핸드오버후의 서브넷에 있어서 적용되는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함께 노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송신 타이밍과 동시에 노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은, 상기 정보 송신 단계에서의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로서, FMIP에 관한 HI 메시지를 사용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액세스 라우터(oAR)는, FMIP에 관한 HI 메시지의 송신을 이용하여, 노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은, 각각이 서브넷을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고유한 통신 가능 영역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의 각각에 최소한 1개 이상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서브넷에의 접속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 중 최소한 1개의 액세스 라우터에서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으로서,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서브넷으로부터 다른 서브넷에의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다른 서브넷에 있어서 적합 가능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단계와,
현재의 서브넷 접속에 의해서 확립된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의 확립을 실행하는 기능을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비하고, 상기 경로의 확립을 실행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다른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대하여 상기 경로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다른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에,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새로운 경로를 확립하는 경로 확립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이동 단말(MN)이, 핸드오버후에도, 핸드오버전에 받았던 부가적 서비스를 신속하게 또한 계속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핸드오버에 관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라우터(oAR)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후에 접속하는 액세스 라우터(nAR)와의 사이에, 이동 단말을 위한 새로운 경로를 확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은, 이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상기의 다른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의 패킷 전송을 위한 터널(tunnel)을 확립하는 터널 확립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확립 단계에 있어서, 상기 터널 확립 단계에서 확립된 상기 터널을 이용하여, 이 액세스 라우터와 다른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의 상기 새로운 경로를 확립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예로서, 종래의 FMIP에 의해서 설정되는 액세스 라우터 간의 터널(oAR-nAR 터널)을 이용하여, 새로운 경로를 확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은, 각각이 서브넷을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고유한 통신 가능 영역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의 각각에 최소한 1개 이상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서브넷에의 접속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 중 최소한 1개의 액세스 라우터에서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으로서,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서브넷에 대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다른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이 서브넷에 있어서 적합 가능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함께, 현재의 이동 단말에 대하여 확립되어 있는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는 노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단계와,
현재의 서브넷 접속에 의해서 확립된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의 확립을 실행하는 기능을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비하고,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노드에 대하여 이 액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에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새로운 경로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노드와의 사이에 상기 새로운 경로를 확립하는 경로 확립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액세스 라우터(nAR)는,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이동 단말을 위한 경로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는 노드(mQNE)에 관한 정보를 액세스 라우터(oAR)로부터 수신하여, 이 노드와의 사이에, 이동 단말을 위한 새로운 경로를 확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은, 각각이 서브넷을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고유한 통신 가능 영역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의 각각에 최소한 1개 이상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서브넷에의 접속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 중 최소한 1개의 액세스 라우터에서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으로서,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를 확립하는 기능을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비하고,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서브넷에 대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다른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상기 액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에 상기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새로운 경로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 단계와,
상기 요구 수신 단계에서, 상기 새로운 경로의 확립 요구 메시지를 받아서, 상기 새로운 경로를 확립하는 경로 확립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액세스 라우터(nAR)는,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이동 단말을 위한 경로의 변경을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한 액세스 라우터(oAR)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이 액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에, 이동 단말을 위한 새로운 경로를 확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실행하여,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서브넷에 접속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과의 사이에 상기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를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후에 접속하는 액세스 라우터(nAR)와, 이동 단말과의 사이에,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가 확립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이,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서브넷에 접속한 후, 상기 새로운 경로와는 상이한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새로운 경로와는 상이한 경로를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핸드오버후의 이동 단말에 대하여,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최적의 경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통신 메시지 처리용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각각이 서브넷을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고유한 통신 가능 영역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의 각각에 최소한 1개 이상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서브넷에의 접속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 또는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가,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의 변경을 실행하는 노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단말, 또는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후에 접속하는 서브넷을 구성하는 액세스 라우터에 대하여, FMIP에 관한 메시지와 함께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가 송신되고,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후에 접속하는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와 상기 노드와의 사이에, 핸드오버전의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하여 확립되어 있었던 상기 경로를 대신하는 새로운 경로가 확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액세스 라우터(nAR)는,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이동 단말을 위한 경로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는 노드(mQNE)에 관한 정보를 액세스 라우터(oAR)로부터 수신하여, 이 노드와의 사이에, 이동 단말을 위한 새로운 경로를 확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각각이 서브넷을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고유한 통신 가능 영역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의 각각에 최소한 1개 이상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서브넷에의 접속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가,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의 확립을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대하여, FMIP에 관한 메시지가 송신된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와,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후에 접속하는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에, 핸드오버전의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하여 확립되어 있었던 상기 경로를 대신하는 새로운 경로가 확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액세스 라우터(nAR)는,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이동 단말을 위한 경로의 변경을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한 액세스 라우터(oAR)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이 액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에, 이동 단말을 위한 새로운 경로를 확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을 갖는 통신 핸드오버 방법,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들 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고,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후에도, 핸드오버전에 받았던 부가적 서비스를 신속하게 또한 계속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MN의 제1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nAR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mQNE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oAR의 제1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oAR의 제2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MN으로부터 oAR에 대하여 인접 mQNE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인접 mQNE 정보를 포함하는 FBU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MN으로부터 oAR에 대하여 인접 mQNE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FBU 메시지 및 인접 mQNE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oAR로부터 nAR에 대하여 인접 mQNE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인접 mQNE 정보를 포함하는 HI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oAR로부터 nAR에 대하여 인접 mQNE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HI 메시지 및 인접 mQNE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인접 mQNE 정보의 유무와 oAR의 기능에 의해서 분류된 본 발명의 실현 가능/불가능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종래의 기술에 공통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2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MN이 핸드오버전의 링크로부터 FBU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의 FMIP의 동작 모드의 개요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
도 13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RSVP가 MN의 이동에 대응 불가능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통신 시스템은, 인터넷 등의 IP 네트워크(통신 네트워크)(15), IP 네트워크(15)에 접속하는 복수의 서브넷(20, 30), 이들 복수의 서브넷(20, 30)의 어느 하나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 단말(MN; Mobile Node)(1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는, MN(10)이 이동하여, 서브넷(20)으로부터 서브넷(30)에의 접속 절환(핸드오버)을 실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각의 서브넷(20, 30)은,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22, 32)를 제어하는 oAR(21), nAR(3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MN(10)이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서브넷(20)의 액세스 라우터를 oAR(old Access Router)(21)이라고 부르고, 핸드오버후에 접속하는 서브넷(30)의 액세스 라우터를 nAR(new Access Router)(31)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MN(10)이 FMIP를 이용한 핸드오버를 실행할 때에, 핸드오버후에도, 핸드오버전에 받았던 부가적 서비스(예로서, QoS)를 신속하게 또한 계속적으로 받을 수 있 도록 하는 것이다.
예로서, MN(10)이 서브넷(20)에 접속하고 있는 핸드오버전에, MN(10)과 CN(51)과의 사이에 QoS 경로가 확립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N(10)과 CN(51)과의 사이에는, 이후에 설명하는 mQNE(41)를 경유한 (A) QoS 경로 및 (B) QoS 경로가 확립되어 있고, QoS 보증이 실행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A) QoS 경로에서는, mQNE(41)-CN(51)에서, MN(10)에의 패킷에 관한 QoS 보증이 실행되고, (B) QoS 경로에서는, MN(10)-mQNE(41)에서, MN(10)에의 패킷에 관한 QoS 보증이 실행된다.
한편, MN(10)이 FMIP를 이용하여 서브넷(30)에의 핸드오버를 실행한 경우에는, (A) QoS 경로를 남기고, 또한 (B) QoS 경로를 (C) QoS 경로 및 (D) QoS 경로로 변경함으로써, 서브넷(30)에 접속한 MN(10)에 대하여, 핸드오버전과 마찬가지의 QoS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C) QoS 경로에서는, mQNE(41)-nAR(31)에서, MN(10)에의 패킷에 관한 QoS 보증이 실행되고, (D) QoS 경로에서는, MN(10)-nAR(31)에서, MN(10)에의 패킷에 관한 QoS 보증이 실행된다. 또한, 이때, FMIP에 있어서의 패킷 전송을 위하여 확립되는 oAR(21)-nAR(31) 터널(61)을 이용하여, (C) QoS 경로를 확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FMIP에서는, oAR(21)이나 nAR(31)의 처리는, MN(10)에 의한 L2 핸드오버전에 개시 가능하고, (C) QoS 경로는, MN(10)이 새로운 서브넷(30)에의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전에 확립할 수 있다. 또한, (D) QoS 경로에 관해서도, nAR(31)은, MN(10)이 새롭게 접속해 오기 전에, 확립을 위한 준비를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 라서, MN(10)이 서브넷(30)에 핸드오버하여 온 직후에, (C) QoS 경로 및 (D) QoS 경로가 확립되고, MN(10)과 CN(51)과의 사이에, (A) QoS 경로+(C) QoS 경로+(D) QoS 경로가 신속하게 확립되어서, QoS가 보증된다.
또한, MN(10)과 CN(51)과의 사이의 (A) QoS 경로+(C) QoS 경로+(D) QoS 경로는, 영속적으로 사용될 필요는 없고, 이후에, 더욱 적절한 QoS 경로(예로서, oAR(21)을 경유하지 않는 nAR(31)과 CN(51)과의 사이의 (E) QoS 경로)를 탐색하여 QoS 경로의 변경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어서, MN(10)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MN의 제1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2에는, MN(10)이 갖는 각 기능이 블록으로써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각 기능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써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주요한 처리(예로서, 이후에 설명하는 도 7에 나타내는 각각의 단계의 처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MN(10)은, 핸드오버 결정 수단(1001), 무선 수신 수단(1002), 무선 송신 수단(1003), 메시지 처리 수단(1004), NCoA 생성 수단(1005), 메시지 생성 수단(1006), 인접 mQNE 정보 취득 수단(1007)을 구비하고 있다.
핸드오버 결정 수단(1001)은, 예로서, 상이한 복수의 AP로부터의 전파 강도의 비교를 실행하여, 가장 전파 강도가 높은 AP에의 L2 핸드오버(통신 상대의 AP의 접속 절환)를 실행하는 등, 임의의 조건에 따라서 L2 핸드오버의 개시 결정을 실행하는 수단이다.
또한, 무선 수신 수단(1002) 및 무선 송신 수단(1003)은, 각각 무선통신에 의한 데이터 수신 및 데이터 송신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이고, 이것들에는,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데에 필요한 여러 가지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메시지 처리 수단(1004)은, FMIP에 관한 수신 메시지(PrRtAdv 메시지나 FBAck 메시지 등)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NCoA 생성 수단(1005)은, 수신한 PrRtAdv 메시지 내에 포함되는 정보(예로서, 서브넷의 네트워크 프리픽스 등의 정보)에 따라서, L2 핸드오버 수취처(handover destination)의 AP의 상위에 존재하는 AR에 의해서 구성된 서브넷에 적합한 NCoA를 무상태로(statelessly) 생성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MN(10)이, 예로서, 미리 핸드오버 수취처의 AR이 구성하는 서브넷의 네트워크 프리픽스 등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이 저장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NCoA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메시지 생성 수단(1006)은, FMIP에 관한 송신 메시지(RtSolPr 메시지나 FBU 메시지 등)의 생성 처리나, 인접 mQNE 정보 취득 수단(1007)에 의해서 취득된 인접 mQNE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의 생성 처리 등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인접 mQNE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는, 도 8A 및 도 8B의 어느 한쪽의 포맷을 이용하여, FBU 메시지의 송신시에 oAR(21)에 대하여 송신된다. 즉, MN(10)은, 인접 mQNE 정보를 포함하는 FBU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방법(도 8A 참조)과, FBU 메시지와는 별개로, 인접 mQNE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FBU 메시지와 동시에 송신하는 방법(도 8B 참조)의 어느 한쪽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인접 mQNE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FBU 메시지와는 별개로 생성하여 송신하는 경우에 는, 인접 mQNE 정보 내에 FBU 메시지와의 관련을 나타내는 정보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 mQNE 정보 취득 수단(1007)은, QoS 경로상에서 MN(10)에 인접한 mQNE(41)에 관한 정보(인접 mQNE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수단이다. MN(10)은, 예로서, 상기의 NSIS 등을 실장(實裝)함으로써, 인접 mQNE 정보 취득 수단(1007)을 실현할 수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써, 인접 mQNE 정보를 취득해도 좋다. 또한, 인접 mQNE 정보는, mQNE(41)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고, mQNE(41)의 IP 어드레스를 일례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QoS 경로상에서 MN(10)에 인접한 mQNE(41)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지만, 반드시, MN(10)에 인접할 필요는 없고, QoS 경로상의 임의의 노드로서, mQNE(41)와 마찬가지로, 예로서, NSIS 등의 QoS 확립 기능을 실장하고 있는 노드에 관한 정보를 인접 mQNE 정보로서 이용해도 좋다. 그리고, 또한, QoS 경로상에 존재하지 않아도, MN(10)에 대하여 확립되어 있는 QoS 경로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임의의 노드에 관한 정보를, 인접 mQNE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2에 나타내는 MN(10)은, 인접 mQNE 정보를 FBU 메시지와 동시에 송신할 수 있도록 확장된 FMIP를 실장하고 있는 모바일 노드이다.
이어서, MN(10)이 핸드오버후에 접속하는 서브넷(30)을 구성하는 nAR(31)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nAR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MN(10)과 마찬가지로, 도 3에 나타내는 nAR(31)이 갖는 각 기능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써 실현할 수 있다. 특 히, 본 발명의 주요한 처리(예로서, 이후에 설명하는 도 7에 나타내는 각각의 단계의 처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nAR(31)은, 수신 수단(3101), 송신 수단(3102), 메시지 처리 수단(3103), QoS 경로 확립 수단(3104)을 구비하고 있다. 수신 수단(3101) 및 송신 수단(3102)은 nAR(31)의 제어하에 있는 AP(32)나, 외부 네트워크인 IP 네트워크(15)에 접속되어 있고, 데이터 수신 및 데이터 송신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메시지 처리 수단(3103)은, 수신 수단(3101)이 FMIP에 관한 메시지(예로서, HI 메시지)를 oAR(21)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이 메시지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메시지 처리 수단(3103)에 의해서 실행되는 구체적인 처리로서는, 예로서, 이 메시지에 포함되는 NCoA의 유효성의 체크(nAR(31)이 구성하는 서브넷(30)에서 사용 가능한가 아닌가의 체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NCoA의 유효성이 확인되고, 또한, 예로서, HI 메시지에 인접 mQNE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9A 참조)나 HI 메시지에 관련된 인접 mQNE 정보를 수신한 경우(도 9B 참조)에는, 메시지 처리 수단(3103)은 QoS 경로 확립 수단(3104)에 대하여, 서브넷(30)에 이동해 올 것으로 예상되는 MN(10)에 관한 QoS 경로의 확립 요구를 실행한다. 또한, nAR(31)은, 메시지 처리 수단(3103)에 대응하는 메시지 생성 수단도 구비하고 있지만,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QoS 경로 확립 수단(3104)은, 메시지 처리 수단(3103)으로부터 MN(10)에 관한 QoS 경로의 확립 요구를 수신하여, 어떠한 방법(예로서, NSIS에 의해서 규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방법)으로써, MN(10)의 QoS 경로의 변경을 실행하기 위한 처 리를 개시하거나, nAR(31)과 다른 노드와의 사이의 QoS 경로를 확립할 수 있는 수단이다. 또한, 이 QoS 경로 확립 수단(3104)은, 예로서, NSIS를 실장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 QoS 경로 확립 수단(3104)으로써, 예로서, 인접 mQNE 정보에 의해서 특정되는 mQNE(41)에 대하여, MN(10)에 관한 QoS 경로의 변경을 통지하는 동시에, mQNE(41)와 nAR(31)과의 사이에 새로운 QoS 경로(예로서, 도 1에 나타내는 (C) QoS 경로)를 확립하기 위한 요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nAR(31)이, 부가적 서비스의 하나인 QoS 보증을 실행할 수 있는 QoS 경로 확립 수단(3104)을 구비한 경우를 일례로서 들었지만, 이 QoS 경로 확립 수단(3104)은, 예로서, NSIS에 의해서 지원되는 임의의 부가적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QoS 경로 확립 수단(3104)은, MN(10)의 QoS 경로의 변경 처리를 개시할 수 있는 수단이고, 반드시, QoS 경로 확립 수단(3104) 자체가 MN(10)의 QoS 경로의 변경 처리를 실행할 필요는 없다. 즉, MN(10)에 관한 QoS 경로의 확립 요구를 메시지 처리 수단(3103)으로부터 받은 경우, QoS 경로 확립 수단(3104)은, MN(10)의 QoS 경로의 변경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 다른 노드에 대하여, MN(10)의 QoS 경로의 변경 처리의 개시를 요구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도 3에 나타내는 nAR(31)은, 종래의 FMIP를 실장하고 있고, 또한, oAR(21)로부터의 HI 메시지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MN(10)에 관한 QoS 경로의 변경 처리를 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액세스 라우터이다.
이어서, MN(10)과 CN(51)과의 사이의 QoS 경로상에서 MN(10)에 인접한 mQNE(41)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mQNE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MN(10)과 마찬가지로, 도 4에 나타내는 mQNE(41)가 갖는 각 기능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써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주요한 처리(예로서, 이후에 설명하는 도 7에 나타내는 각각의 단계의 처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mQNE(41)는 수신 수단(4101), 송신 수단(4102), QoS 경로 확립 수단(4103)을 구비하고 있다. 수신 수단(4101) 및 송신 수단(4102)은, oAR(21)이나 IP 네트워크(15)에 접속되어 있고, 데이터 수신 및 데이터 송신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QoS 경로 확립 수단(4103)은, 상기의 도 3에 나타내는 QoS 경로 확립 수단(3104)과 동일한 기능을 구비하고, MN(10)과의 사이의 QoS 경로(도 1에 나타내는 (B) QoS 경로)를 nAR(31)과의 사이의 QoS 경로(도 1에 나타내는 (C) QoS 경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 QoS 경로 확립 수단(4103)은, 예로서, NSIS 등의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 실현 기능을 실장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mQNE(mobile QoS NSIS Entity)라고 하는 명칭도, 모바일 QoS에 대응하는 NSIS를 실장하고 있는 엔티티인 것을 나타내지만, 반드시, NSIS를 실장할 필요는 없고, mQNE(41)는 NSIS의 기능에 준하는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의 실현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이상과 같이, 도 4에 나타내는 mQNE(41)는, 예로서, NSIS 등의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 실현 기능을 실장하는 노드로서, MN(10)과 CN(51)과의 사이의 QoS 경로상에서 MN(10)에 인접하는 노드이다.
이어서, MN(10)이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서브넷(20)을 구성하는 oAR(21)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oAR의 제1 및 제2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MN(10)과 마찬가지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oAR(21)이 갖는 각 기능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써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주요한 처리(예로서, 이후에 설명하는 도 7에 나타내는 각각의 단계의 처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oAR(21)은, 수신 수단(2101), 송신 수단(2102), 메시지 처리 수단(2103), QoS 경로 확립 수단(2104), 메시지 생성 수단(2105)을 구비하고 있다. 수신 수단(2101) 및 송신 수단(2102)은, oAR(21)의 제어하에 있는 AP(22), mQNE(41), 외부 네트워크인 IP 네트워크(15) 등에 접속되어 있고, 데이터 수신 및 데이터 송신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메시지 처리 수단(2103)은, 수신 수단(2101)이 FMIP에 관한 메시지(예로서, RtSolPr 메시지, FBU 메시지, HAck 메시지 등)를 MN(10)이나 nAR(31)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이들 메시지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메시지 생성 수단(2105)은, MN(10)이나 nAR(31)에 대하여 송신하는 FMIP에 관한 메시지(예로서, PrRtAdv 메시지, HI 메시지 등)의 생성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QoS 경로 확립 수단(2104)은, 메시지 처리 수단(2103)으로부터, MN(10)에 관한 QoS 경로의 확립 요구를 수신하여, 어떠한 방법(예로서, NSIS에 의해서 규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방법)으로써, MN(10)의 QoS 경로의 변경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를 개시하거나, nAR(31)과 다른 노드와의 사이의 QoS 경로를 확립할 수 있는 수단이다. 또한, 이 QoS 경로 확립 수단(2104)은, 예로서, NSIS를 실장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mQNE(41)의 구성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5에 나타내는 oAR(21)은, 도 4에 나타내는 mQNE(41)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즉, oAR(21)은, QoS 경로상에서 MN(10)에 인접하는 mQNE(41)가 된다.
이상과 같이, 도 5에 나타내는 oAR(21)은, FMIP를 실장하고 있으며, 또한, 예로서 NSIS 등의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 실현 기능을 구비한 액세스 라우터이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oAR(21)은, 상기한 바와 같이, mQNE(41)이기도 하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oAR(21)은, 수신 수단(2111), 송신 수단(2112), 메시지 처리 수단(2113), 인접 mQNE 정보 취득 수단(2114), 메시지 생성 수단(2115)을 구비하고 있다. 수신 수단(2111) 및 송신 수단(2112)은 도 5에 나타내는 수신 수단(2101) 및 송신 수단(2102)과 동일하다.
또한, 메시지 처리 수단(2113)은, 수신 수단(2111)이 FMIP에 관한 메시지(예로서, RtSolPr 메시지, FBU 메시지, HAck 메시지 등)을 MN(10)이나 nAR(31)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이들 메시지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메시지 생성 수단(2115)은, MN(10)이나 nAR(31)에 대하여 송신하는 FMIP에 관한 메시지(예로서, PrRtAdv 메시지, HI 메시지 등)의 생성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메시지 처리 수단(2113)은 도 8A에 나타내는 인접 mQNE 정보를 포함하는 FBU 메시지나 도 8B에 나타내는 FBU 메시지와 관련된 인접 mQNE 정보에 관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메시지 생성 수단(2115)은, 도 9A에 나타내는 인접 mQNE 정보를 포함하는 HI 메시지나 도 9B에 나타내는 HI 메시지와 관련된 인접 mQNE 정보의 생성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확장되어 있다.
또한, 인접 mQNE 정보 취득 수단(2114)은, 도 2에 나타내는 인접 mQNE 정보 취득 수단(1007)과 마찬가지로, QoS 경로상에서 MN(10)에 인접한 mQNE(41)에 관한 인접 mQNE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이 인접 mQNE 정보 취득 수단(2114)은, 예로서, CARD(Candidate Access Router Discovery) 기술을 이용하여 실현할 수도 있고, 또한 주변의 mQNE에 관한 정보를 oAR(21)에 미리 입력해 두고, 입력된 mQNE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원하는 mQNE(41)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도 6에 나타내는 oAR(21)은, 최소한 인접 mQNE 정보를 HI 메시지와 동시에 송신할 수 있도록 확장된 FMIP를 실장하고 있으며, 또한, 예로서, CARD나 기타의 방법으로써, MN(10)에 관한 QoS 경로상에서의 MN(10)에 인접한 mQNE(41)의 정보(인접 mQNE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갖는 액세스 라우터이다.
이어서, 도 7의 시퀀스 차트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는 MN(10)이 서브넷(20)으로부터 서브넷(30)에의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경우의 MN(10), oAR(21), mQNE(41), AP(32), nAR(31)의 각 처리를 시간축을 따라서 나타내는 것이다.
우선, MN(10)이, 서브넷(20)에 접속하고 있고, 또한 CN(51)과의 사이에 QoS 경로가 확립되어서 QoS 보증이 실행되어 있는 경우를 초기 상태로 한다. MN(10)은, 서브넷(20)으로부터 서브넷(30)을 향하여 이동한 경우, 현재 통신중인 AP(22)(서브넷(20)에 속하는 AP)로부터의 전파가 약해지면, 다른 통신 가능한 AP를 탐색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AP(32)로부터의 전파(무선 신호)를 들을 수 있게 되며(단계 S101: 무선 신호의 수신), 즉, AP(32)(서브넷(30)에 속하는 AP)를 발견한다.
그리고, 예로서, MN(10)의 핸드오버 결정 수단(1001)이, AP(22)로부터의 전파 강도와 AP(32)로부터의 전파 강도와의 비교를 실행하고, AP(32)로부터의 전파가 강한 것을 알아낸 경우에, 통신 상대의 AP의 접속 절환(L2 핸드오버)을 실행할 것을 결정한다(단계 S103: AP(32)에 대하여 L2 핸드오버를 실행할 것을 결정).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L2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것을 결정하는 조건으로서, 핸드오버 결정 수단(1001)에 의한 전파 강도의 비교 결과를 이용한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의 조건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조건에 따라서 L2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것을 결정해도 좋다.
핸드오버 결정 수단(1001)에 의해서 L2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MN(10)은, 예로서, AP(32)로부터의 비컨(beacon)의 수신 등으로써 취득한 AP(32)의 링크 층 어드레스에 따라서, RtSolPr 메시지를 생성하여 oAR(21)에 송신한다(단계 S105: RtSolPr의 송신). MN(10)으로부터 RtSolPr 메시지를 수신한 oAR(21)은, 어떠한 방법(특히 규정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취득한 서브넷(30)의 네트워크 프리픽스나 그 프리픽스 렝스를 포함하는 PrRtAdv 메시지를 생성하여 MN(10)에 회신한다(단계 S107: PrRtAdv 메시지의 수신).
그리고, MN(10)은, 수신한 PrRtAdv 메시지 내의 네트워크 프리픽스 및 프리픽스 렝스와, MN(10)의 링크 층 어드레스 등을 조합하여, nAR(31)이 구성하는 서브넷(30)에 적합할 수 있는 NCoA를 생성한다(단계 S109: NCoA를 자동 생성). 또한, 여기까지의 처리는, 종래의 FMIP에서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다.
이어서, MN(10)은, CN(51)과의 사이에 확립되어 있는 QoS 경로상에서 인접하는 mQNE(41)에 관한 정보(인접 mQNE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111: 인접 mQNE의 정보를 취득).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인접 mQNE 정보는, 예로서, mQNE(41)의 IP 어드레스이다. 그리고, MN(10)은, 도 8A 또는 도 8B에 나타내는 포맷에 따라서, FBU 메시지 및 인접 mQNE 정보를 생성하고(단계 S113: FBU 메시지+인접 mQNE 정보를 생성), FBU 메시지의 송신과 함께, oAR(21)에 대하여 인접 mQNE 정보를 송신한다(단계 S115: FBU 메시지+인접 mQNE 정보를 송신).
MN(10)으로부터 FBU 메시지를 수신한 oAR(21)은, 종래의 FMIP의 규정에 따라서, nAR(31)에 대하여 HI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oAR(21)은, 도 8A 또는 도 8B에 나타내는 포맷에 따라서, FBU 메시지와 함께 MN(10)으로부터 수신한 인접 mQNE 정보를, HI 메시지의 송신과 함께 nAR(31)에 송신한다(단계 S117: HI 메시지+인접 mQNE 정보를 송신). nAR(31)은, 종래의 FMIP의 규정에 따라서, HI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MN(10)에 의해서 생성된 NCoA의 유효성을 체크한다(단계 S119: NCoA가 유효한가 아닌가를 체크). 이때, nAR(31)은, HI 메시지의 응답인 HAck 메시지로써, NCoA 체크 결과의 통지를 실행하거나, NCoA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MN(10)에 대하여 할당 가능한 NCoA의 후보 등의 송신을 실행하거나 하지만, 이 HAck 메시지 의 송신 처리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는, 단계 S119에서, NCoA의 유효성이 확인된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MN(10)의 NCoA의 유효성이 확인된 후, 종래의 FMIP에 있어서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oAR(21)로부터 nAR(31)에 대하여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터널이 확립된다(단계 S121: oAR(21)-nAR(31) 터널(61)의 확립). 또한, nAR(31)은, 인접 mQNE 정보로부터, MN(10)의 QoS 경로 변경에 관련되는 mQNE(41)의 식별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mQNE(41)에 대하여, nAR(31)과 mQNE(41)와의 사이에서의 MN(10)을 위한 QoS 경로의 확립 개시 요구를 실행한다(단계 S123: QoS 경로의 확립 개시 요구).
mQNE(41)는, 이 QoS 경로의 확립 개시 요구를 수신하여, nAR(31)과의 사이에, oAR(21)-nAR(31) 터널(61)을 이용한 QoS 경로를 확립한다(단계 S125: oAR(21)-nAR(31) 터널(61)을 이용한 QoS 경로의 확립). 또한, 여기서는, oAR(21)-nAR(31) 터널(61)을 이용하여 QoS 경로를 확립하고 있지만, 반드시 oAR(21)-nAR(31) 터널(61)을 이용할 필요는 없다. 또한, mQNE(41)는, nAR(31)과의 사이에 MN(10)을 위한 QoS 경로(도 1에 나타내는 (C) QoS 경로)를 확립하는 것과 동시에, 서브넷(20)에 접속하고 있는 MN(10)과의 사이의 QoS 경로(도 1에 나타내는 (B) QoS 경로)를 무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서, MN(10)이 FMIP를 이용한 고속 핸드오버를 실행했을 때에, mQNE(41)를 기점으로 한 QoS 경로의 변경이 실행되어서, 핸드오버후에 접속하는 서브넷(30)을 형성하는 nAR(31)과 CN(51)과의 사이에, MN(10)의 QoS 경로(도 1에 나타내는 (A) QoS 경로+(C) QoS 경로)가 확립된다. MN(10)은, 이 QoS 경로의 확립 처리와는 독립적으로, L2 핸드오버를 실행하여(단계 S127: L2 핸드오버), 새로운 서브넷(30)에의 접속을 실행한다(단계 S129: 접속(MN(10)-nAR(31))). 그리고, MN(10)이 서브넷(30)에의 접속을 실행한 후, MN(10)과 nAR(31)과의 사이에 QoS 경로(도 1에 나타내는 (D) QoS 경로)가 확립되어서, 서브넷(30)에의 핸드오버후의 MN(10)과 CN(51)과의 사이에, QoS 경로(도 1에 나타내는 (A) QoS 경로+(C) QoS 경로+(D) QoS 경로)가 확립된다(단계 S131: 새로운 QoS 경로(nAR(31)을 경유하는 QoS 경로)의 확립).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그 후, oAR(21)이나 mQNE(41)를 경유하지 않는 최적의 QoS 경로(도 1에 나타내는 (E) QoS 경로)가, 새롭게 확립되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7에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에 의하면, MN(10) 이, FBU 메시지 또는 FBU 메시지의 송신 타이밍을 이용하여, 인접 mQNE 정보를 oAR(21)에 대하여 송신하고, oAR(21)이, HI 메시지 또는 HI 메시지의 송신 타이밍을 이용하여, MN(10)으로부터 수신한 인접 mQNE 정보를 nAR(31)에 대하여 전송함으로써, nAR(31)이, MN(10)의 QoS 경로의 기점이 되는 mQNE(41)의 식별 정보를 파악하여, mQNE(41)와의 사이에 MN(10)의 QoS 경로를 신속하게 확립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의 도 7에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를 참조하면서, MN(10), oAR(21), nAR(31)이 구비할 필요가 있는 구성과, FBU 메시지 및/또는 HI 메시지의 송신과 동시에 송신되는 인접 mQNE 정보의 유무와의 조합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0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대응 관계를 간략화한 도면(인접 mQNE 정보의 유무와 oAR의 기능에 의해서 분류된 본 발명의 실현 가능/불가능을 나타내는 도면)을 나타낸다.
<oAR(21)이 mQNE(41)인 경우>
예로서, oAR(21)이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oAR(21)과 mQNE(41)는 동일한 것이 된다. 이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내는 oAR(21)이 MN(10)으로부터 수신한 인접 mQNE 정보를 nAR(31)에 대하여 전송하는 형태(도 10의 원으로 둘러싼 숫자 1의 난) 이외에도,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예로서, MN(10)으로부터 종래의 FMIP에 규정되어 있는 FBU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에, oAR(21)이, MN(10)이 다음에 이동하는 서브넷(30)의 nAR(31)에 대하여, QoS 경로의 확립 개시 요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현이 가능하게 된다(도 10의 원으로 둘러싼 숫자 2 및 원으로 둘러싼 숫자 4의 난). 또한, 이 경우에는, 도 7의 MN(10)에 있어서의 단계 S111의 처리는 필요없게 되어서, MN(10)은, 단계 S115에서 종래의 FBU 메시지를 송신하면 좋다. 또한, oAR(21)은, 단계 S117에서, nAR(31)에 대하여, HI 메시지와 동시에, 인접 mQNE 정보를 송신해도, 또는,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oAR(21)이 종래의 HI 메시지를 송신한 경우에는, 단계 S123에서의 QoS 경로의 확립 개시 요구는 oAR(21)(=mQNE(41))로부터 nAR(31)에 대하여 실행될 필요가 있고, 예로서, HI 메시지에 QoS 경로의 확립 개시 요구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켜서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oAR(21)이 HI 메시지+인접 mQNE 정보를 송신한 경우에는, 단계 S123에서의 QoS 경로의 확립 개시 요구는, oAR(21) 또는 nAR(31)의 어느 쪽으로부터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MN(10)으로부터 FBU 메시지+인접 mQNE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에, nAR(31)에의 인접 mQNE 정보의 전송을 실행하지 않아도, 본 발명의 실현은 가능하다(도 10의 원으로 둘러싼 숫자 3의 난). 이 경우도, 상기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예로서, MN(10)으로부터 FBU 메시지+인접 mQNE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에, oAR(21)이, MN(10)이 다음에 이동하는 서브넷(30)의 nAR(31)에 대하여, QoS 경로의 확립 개시 요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oAR(21)이 mQNE(41)인 경우에는, MN(10)으로부터의 인접 mQNE 정보의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경우에 본 발명의 실현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예로서, oAR(21)이, FBU 메시지와 동시에, 본 발명에 의한 핸드오버후의 QoS 경로의 신속한 확립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예로서, FBU 메시지 내의 소정의 플래그)를 수신한 경우에만, oAR(21)이, 본 발명에 의한 처리를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oAR(21)이 인접 mQNE 정보의 취득 기능을 갖는 경우>
또한, 예로서, oAR(21)이 도 6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oAR(21)은, MN(10)에 관한 QoS 경로상에서의 MN(10)에 인접한 mQNE(41)의 정보(인접 mQNE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도 7에 나타내는 oAR(21)이 MN(10)으로부터 수신한 인접 mQNE 정보를 nAR(31)에 대하여 전송하는 형태(도 10의 원으로 둘러싼 숫자 5의 난) 이외에도,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예로서, MN(10)으로부터 종래의 FMIP에 규정되어 있는 FBU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에, oAR(21)이, 인접 mQNE 정보를 스스로 취득하여, nAR(31)에 대하여, HI 메시지+인접 mQNE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현이 가능하게 된다(도 10의 원으로 둘러싼 숫자 6의 난). 또한, 이 경우에는, 도 7의 oAR(21)에 있어서의 단계 S117 이전에, oAR(21)은, 예로서, CARD 등을 이용하여, 인접 mQNE 정보를 취득하고, 이렇게 하여 취득한 인접 mQNE 정보를 nAR(31)에 송신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로서, oAR(21)이 인접 mQNE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또한 인접 mQNE 정보에 의해서 특정되는 mQNE(41)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nAR(31)과의 사이에 MN(10)의 QoS 경로를 확립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FBU 메시지나 HI 메시지의 인접 mQNE 정보의 유무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실현이 가능하다.
<oAR(21)이 인접 mQNE 정보의 취득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
한편, oAR(21)이 mQNE도 아니고, 또한 인접 mQNE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내는 oAR(21)이 MN(10)으로부터 수신한 인접 mQNE 정보를 nAR(31)에 대하여 전송하는 형태(도 10의 원으로 둘러싼 숫자 7의 난)에서만, 본 발명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 핸드오버 방법,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들 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통신 시스템은,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후에도, 핸드오버전에 받았던 부가적 서비스를 신속하게 또한 계속적으로 받을 수 있게 하고,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에 관한 기술 분야에 적용되며, 특히,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인 모바일 IPv6(Mobile Internet Protocol version 6) 프로토콜 및 FMIP(Fast Mobile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에 관한 기술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7)

  1. 각각이 서브넷을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고유한 통신 가능 영역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의 각각에 최소한 1개 이상 접속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가능 영역 내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서브넷에의 접속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 단말에서의 통신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현재 통신중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통신의 절환을 실행할 것을 결정하는 핸드오버 결정 단계와,
    상기 핸드오버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제어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서브넷에 있어서, 적합 가능한 어드레스를 작성하는 어드레스 작성 단계와,
    현재의 서브넷 접속에 의해서 확립된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는 노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단계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대하여, 상기 어드레스 작성 단계에서 작성된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핸드오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 단계에서,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 지에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삽입하고,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 및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1개의 메시지로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각각 상이한 메시지로서 송신하는 통신 핸드오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 단계에서의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로서, FMIP에 관한 FBU 메시지를 사용하는 통신 핸드오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 단계에서,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로서, NSIS를 실장하고, 또한 상기 경로상에서 상기 이동 단말과 인접하는 노드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는 통신 핸드오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노드의 IP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통신 핸드오버 방법.
  6. 제1항에 기재된 통신 핸드오버 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통신 핸드오버용 프로그램.
  7. 각각이 서브넷을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고유한 통신 가능 영역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의 각각에 최소한 1개 이상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서브넷에의 접속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 중 최소한 1개의 액세스 라우터에서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으로서,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서브넷으로부터 다른 서브넷에의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다른 서브넷에 있어서 적합 가능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함께, 현재의 이동 단말에 대하여 확립되어 있는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는 노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다른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대하여, 상기 정보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정보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단계에서,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 및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1개의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각각 별개로 수신하고,
    상기 정보 송신 단계에서,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삽입하고,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 및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1개의 메시지로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각각 상이한 메시지로서 송신하는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단계에서의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로서, FMIP에 관한 FBU 메시지를 사용하고, 상기 정보 송신 단계에서의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로서, FMIP에 관한 HI 메시지를 사용하는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10. 각각이 서브넷을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고유한 통신 가능 영역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의 각각에 최소한 1개 이상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서브넷에의 접속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 중 최소한 1개의 액세스 라우터에서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으로서,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서브넷으로부터 다른 서브넷에의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다른 서브넷에 있어서 적합 가능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단계와,
    현재의 서브넷 접속에 의해서 확립된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는 노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다른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대하여, 상기 정보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정보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 단계에서,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삽입하고,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 및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1개의 메시지로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를 각각 상이한 메시지로서 송신하는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 단계에서의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로서, FMIP에 관한 HI 메시지를 사용하는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13. 각각이 서브넷을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고유한 통신 가능 영역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의 각각에 최소한 1개 이상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서브넷에의 접 속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 중 최소한 1개의 액세스 라우터에서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으로서,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서브넷으로부터 다른 서브넷에의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다른 서브넷에 있어서 적합 가능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단계와,
    현재의 서브넷 접속에 의해서 확립된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의 확립을 실행하는 기능을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비하고, 상기 경로의 확립을 실행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다른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대하여 상기 경로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다른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에,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새로운 경로를 확립하는 경로 확립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이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상기의 다른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의 패킷 전송을 위한 터널(tunnel)을 확립하는 터널 확립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확립 단계에 있어서, 상기 터널 확립 단계에서 확립된 상기 터널을 이용하여, 이 액세스 라우터와 다른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의 상기 새로운 경로를 확립하는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15. 각각이 서브넷을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고유한 통신 가능 영역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의 각각에 최소한 1개 이상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서브넷에의 접속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 중 최소한 1개의 액세스 라우터에서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으로서,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서브넷에 대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다른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이 서브넷에 있어서 적합 가능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시지와 함께, 현재의 이동 단말에 대하여 확립되어 있는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는 노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단계와,
    현재의 서브넷 접속에 의해서 확립된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의 확립을 실행하는 기능을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비하고, 상기 노드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노드에 대하여 이 액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에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새로운 경로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노드와의 사이에 상기 새로운 경로를 확립하는 경로 확립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실행하여,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서브넷에 접속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과의 사이에 상기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를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서브넷에 접속한 후, 상기 새로운 경로와는 상이한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새로운 경로와는 상이한 경로를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18. 각각이 서브넷을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고유한 통신 가능 영역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의 각각에 최소한 1개 이상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서브넷에의 접속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 중 최소한 1개의 액세스 라우터에서의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으로서,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를 확립하는 기능을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비하고,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서브넷에 대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다른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상기 액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에 상기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 비스에 관한 새로운 경로의 확립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 단계와,
    상기 요구 수신 단계에서, 상기 새로운 경로의 확립 요구 메시지를 받아서, 상기 새로운 경로를 확립하는 경로 확립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실행하여,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서브넷에 접속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과의 사이에 상기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를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이 액세스 라우터가 구성하는 서브넷에 접속한 후, 상기 새로운 경로와는 상이한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새로운 경로와는 상이한 경로를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21. 제7항에 기재된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통신 메시지 처리용 프로그램.
  22. 제10항에 기재된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통신 메시지 처리용 프로그램.
  23. 제13항에 기재된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통신 메시지 처리용 프로그램.
  24. 제15항에 기재된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통신 메시지 처리용 프로그램.
  25. 제18항에 기재된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통신 메시지 처리용 프로그램.
  26. 각각이 서브넷을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고유한 통신 가능 영역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의 각각에 최소한 1개 이상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서브넷에의 접속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 또는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가,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의 변경을 실행하는 노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단말, 또는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후에 접속하는 서브넷을 구성하는 액세스 라우터에 대하여, FMIP에 관한 메시지와 함께 상기 노드에 관 한 정보가 송신되고,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후에 접속하는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와 상기 노드와의 사이에, 핸드오버전의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하여 확립되어 있었던 상기 경로를 대신하는 새로운 경로가 확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
  27. 각각이 서브넷을 구성하는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고유한 통신 가능 영역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복수의 액세스 라우터의 각각에 최소한 1개 이상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신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서브넷에의 접속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가, 이동성이 지원된 부가적 서비스에 관한 경로의 확립을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에 대하여, FMIP에 관한 메시지가 송신된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전에 접속한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와,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후에 접속하는 서브넷을 구성하는 상기 액세스 라우터와의 사이에, 핸드오버전의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하여 확립되어 있었던 상기 경로를 대신하는 새로운 경로가 확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
KR1020067018749A 2004-02-25 2005-02-24 통신 핸드오버 방법,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들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통신 시스템 KR20070018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8749A KR20070018890A (ko) 2004-02-25 2005-02-24 통신 핸드오버 방법,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들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50365 2004-02-25
KR1020067018749A KR20070018890A (ko) 2004-02-25 2005-02-24 통신 핸드오버 방법,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들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890A true KR20070018890A (ko) 2007-02-14

Family

ID=4365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749A KR20070018890A (ko) 2004-02-25 2005-02-24 통신 핸드오버 방법,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들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88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874B1 (ko) * 2007-05-04 2014-06-1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이종망간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874B1 (ko) * 2007-05-04 2014-06-1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이종망간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0363A1 (en) Communication handover method, communication mess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se methods,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958775B1 (ko) 핸드오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imopoulou et al. Fast handover support in a WLAN environment: challenges and perspectives
JP3923886B2 (ja) 遅延の少ない移動機起動トンネリングハンドオフ
JP4543041B2 (ja) 新規経路設定方法及び移動端末並びに経路管理装置
US8064427B2 (en) Commun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and access router
KR100921767B1 (ko) 다중 모드 단말의 시스템간 핸드오버 방법
US20070223420A1 (en) Communication Handover Method, Communication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Executing These Methods by use of a Computer
US89828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mobility and quality of service in a wireless network
US76931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fast handoff in mobile network
JP2010521908A (ja) プロキシ・モバイルipルーティング
Dias et al. Seamless horizontal and vertical mobility in VANET
JP4563940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並びにアクセスルータ
US20090022106A1 (en) Crossover node detection method and crossover node detection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KR20060120140A (ko) 통신 핸드 오버 방법, 통신 메시지 처리방법 및 이들방법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통신시스템
WO2008044775A1 (fr) Procédé de traitement de transfert et point d'accès et terminal mobile pour une utilisation dans le procédé
KR100813987B1 (ko) 더 신속한 L2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기 위해FMIPv6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US8077660B2 (en) Base station apparatus, access gateway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070018890A (ko) 통신 핸드오버 방법,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들방법을 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통신 시스템
WO2008089671A1 (fr) Procédé, système et terminal pour réduire le temps de transfert
KR100919054B1 (ko)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를 이용한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