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054B1 -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를 이용한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를 이용한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054B1
KR100919054B1 KR1020070122792A KR20070122792A KR100919054B1 KR 100919054 B1 KR100919054 B1 KR 100919054B1 KR 1020070122792 A KR1020070122792 A KR 1020070122792A KR 20070122792 A KR20070122792 A KR 20070122792A KR 100919054 B1 KR100919054 B1 KR 100919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handover
access
network
ro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916A (ko
Inventor
윤미영
이상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22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054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etwork Access Identifier) 정보를 이용하여 이종망간 고속으로 핸드오버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동노드가 제1액세스 라우터를 통해 이종망의 제2액세스 라우터로 고속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고속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해 액세스 라우터들과 주고 받도록 정의된 메시지중 단말 식별자 정보 삽입이 요구되는 메시지에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 정보를 삽입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 정보 삽입된 서로 다른 속성의 메시지를 정의된 순서에 따라 PAR(Previous Access Router) 혹은 NAR(New Access Router)중 어느 하나로 선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인 링크 계층 어드레스(LLA)를 이용하지 않고 모든 망에서 동일하게 구분 가능한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 정보를 단말 식별자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종망간 핸드오버에서도 고속 핸드오버를 구현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종망, 핸드오버,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

Description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를 이용한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 방법{THE FAST VERTICAL HANDOVER METHOD FOR UTILIZING THE NETWORK ACCESS IDENTIFIER}
본 발명은 이동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etwork Access Identifier)를 이용하여 이종망간 고속으로 핸드오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관리번호 : 2005-S-404-33, 과제명: 3G Evolution 단말 기술 개발].
고속 핸드오프 기술에 따르면 핸드오버 이전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라우터를 이전 액세스 라우터(Previous Access Router: 이하 'PAR'라고 정의함)라 칭하고, 핸드오버 이후에 단말이 접속하는 새로운 액세스 라우터(New Access Router)를 'NAR'로 칭하고 있다.
고속 핸드오프의 메시지 흐름은 링크 계층의 핸드오버 절차와 함께 순차적으로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링크의 상태에 따라서 메시지 흐름도를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PAR에서 NAR로 미리 핸드오버 요구를 전달하고 응 답을 받는 경우와, 미리 핸드오버 요구를 전달하였으나 응답을 받지 못해 NAR를 통해 다시 핸드오버 요구를 해야 하는 경우, 그리고 핸드오버 요구를 전송하지 못한 경우이다. 두 번째와 세 번째의 경우는 링크 계층에서 빠른 핸드오버가 이루어져, 고속 핸드오버 메시지 처리가 순차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메시지 파라미터는 설명될 도 1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이동 네트워크에서 일반적인 고속 핸드오버 메시지 전송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단말(Mobile Node:MN이라고도 함)은 핸드오버 할 주변을 탐색(scanning)하고, 탐색한 무선 액세스 식별정보 리스트(AP ID LIST)와 단말 식별정보인 링크계층주소(Link Layer Address:이하 LLA)를 포함하는 라우터 요청 프록시(Router Solicitation for Proxy: 이하 'RtSolPr'로 칭하기로 함) 메시지를 PAR로 송신(100단계)한다. 이 RtSolPr 메시지를 수신하면, PAR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무선 액세스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해당 액세스 라우터들의 정보 즉 NAR의 네트워크 프리픽스(Prefix) 정보, NAR의 아이피 주소, NAR의 링크 계층 주소 등의 정보 및 단말 링크 계층 주소를 포함하는 프록시 라우터 광고(Proxy Router Advertisement: 이하 'PrRtAdv'로 칭하기로 함) 메시지를 RtSolPr 메시지의 응답으로서 단말에게 전달(102단계)한다.
단말이 PrRtAdv 메시지를 수신하면 주변 AR(Access Router)들의 서브넷 IP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핸드오버해야 함을 결정하면 IP 주소 자동 구성 절차에 따라 핸드오버 할 서브넷 IP 주소에 상응하는 IP 주소를 획득한다. 핸드오버 하고자 하는 망이 결정되면, 단말은 해당 NAR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 후 사용할 새로운 주소(New care of Address (NCoA))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말은 NCoA와 터널 Lifetime 및 단말이 생성한 메시지임을 인증할 수 있는 BADF(Binding Authorization Data for FMIPv6)를 포함하는 고속 바인딩 업데이트(Fast Binding Update:이하 'FBU'로 칭함) 메시지를 PAR에 송신(104단계)한다.
FBU 메시지를 수신한 PAR는 단말에서 생성된 NCoA에 관련된 NAR를 선정하고, 해당 NAR가 NCoA 주소 확인 및 패킷 버퍼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NAR에게 핸드오버 개시(Handover Initiate:이하 'HI'라 함) 메시지를 NAR에게 송신(106단계)한다. HI 메시지(106)에는 단말 식별자인 LLA, 단말의 이전주소인 PCoA(Previous care of Address) 및 NCoA(New Care of Address)가 포함되어 있다. NAR는 HI 메시지에 포함된 NCoA의 유효성을 검증하며, 그 결과를 핸드오버 응답(Handover Acknowledge:이하 'Hack'라 함) 메시지를 통해 PAR에 전달(108단계)한다. 이에 PAR는 상기 Hack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및 NAR로)에게 고속 바인딩 응답(Fast Binding Acknowledgement:이하 'FBAc'이라 함) 메시지를 통해 결과를 전달(110단계)한다. 이때, PCoA와 NCoA간 터널이 단말과 PAR에 생성(112단계)된다.
참고적으로 MN은 MIP 등록시 해당 터널을 삭제하고, PAR는 수 초 동안 유지하다가 터널을 삭제한다. PCoA로 전송되는 패킷들은 PAR에서 NCoA로 터널링되어 NAR에게 전달되며, NCoA로 전송되는 패킷들은 단말에서 UNA(Unsolicited Neighbor Advertisement) 메시지가 올 때까지 NAR에서 버퍼링된다. 단말은 새로운 링크 설정을 종료하는 즉시, NAR로 UNA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고, NAR는 이를 통해 단말이 자 신에게 접속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을 구분하는 구분자가 링크 계층 주소(LLA)이다. UNA에 포함된 링크 계층주소(LLA)가 HI에 포함된 LLA와 일치하면 버퍼링 되어 있는 패킷들을 단말에게 포워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고속 핸드오버 기술에서 PAR는 단말 구분자로써 단말의 링크계층주소(LLA)를 포함하고 있다. PAR는 단말의 링크계층주소(LLA)를 RtSolPr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고, NAR는 PAR로부터 수신하는 HI 메시지를 통해 단말 구분자를 수신한다. NAR에서 수신한 단말 구분자는 해당 단말의 접속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UNA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구분자와 HI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구분자의 비교를 통해 해당 단말이 접속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서로 다른 링크 계층을 사용하는 이종망간 핸드오버에 상술한 일반 고속 핸드오버 기술을 적용할 수는 없다. 이는 망에 따라 다른 링크 계층 구분자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속 핸드오버 기술을 이종망간 핸드오버 기술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단말 구분자들에 대한 관리와 처리 방법이 새로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망간 핸드오버에서도 고속 핸드오버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를 새로이 정의하고, 정의된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종만간 고속 핸드오버를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동노드가 제1액세스 라우터를 통해 이종망의 제2액세스 라우터로 고속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속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액세스 라우터들과 주고 받도록 정의된 메시지중 단말 식별자 정보 삽입이 요구되는 메시지에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 정보 삽입된 서로 다른 속성의 메시지를 정의된 순서에 따라 상기 액세스 라우터중 어느 하나로 선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은,
탐색된 무선 액세스 식별정보 리스트와 단말 식별자인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가 포함된 라우터 요청 프록시 메시지를 상기 제1액세스 라우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프록시 라우터 광고 메시지를 상기 제1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가 포함된 고속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를 상기 제1액세스 라우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액세스 라우터로부터 고속 바인딩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들을 참조하여 새로운 링크를 설정하고,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 정보를 포함하는 UNA(Unsolicited Neighbo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상기 제2액세스 라우터로 전송하여 고속 핸드오버 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고속 핸드오버 구현을 위해 주고 받도록 정의된 메시지중 라우터 요청 프록시 메시지(RtSolPr)와 고속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FBU) 각각에 단말 식별자 정보로서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이동노드(MN)와;
상기 이동노드(MN)로부터 고속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FBU)를 수신하고 그 메시지에 포함된 이동노드의 새로운 주소정보(NCoA)와 관련된 액세스 라우터를 선정하여 핸드오버 개시 메시지(HI)를 전송하되, 그 메시지(HI)에 상기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제1액세스 라우터(PAR)와;
상기 이동노드(MN)로부터 요청하지 않은 인접 광고(Unsolicited Neighbor Advertisement)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메시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를 상기 핸드오버 개시 메시지(HI)에 포함된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 정보와 비교하여 이동노드 인증하는 제2액세스 라우터(NAR);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인 링크 계층 어드레스(LLA)를 이용하지 않고 모든 망에서 동일하게 구분 가능한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etwork Access Identifier) 정보를 단말 식별자로 사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종망간 핸드오버에서도 고속 핸드오버를 지원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 구현이 가능해짐으로써 핸드오버 지연에 따른 패킷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부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 시스템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노드(Mobile Node)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이 접속 가능한 망은 크게 3가지 예를 들어서, 3GPP 접속망(201), 3GPP 접속 기반 무선랜 접속망(202), 그리고 무선랜 접속망(203)이 있다. 3GPP 접속망(201)에서 이동노드(204)는 무선 접속을 담당하는 E-NodeB(205)와 라우터 역할을 담당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AGW)(206)를 통해 접속하여 3GP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3GPP 접속 기반 무선랜망(202)에서 이동노드 단말(204)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207)를 이용해 무선 접속을 하고, 3GPP 접속 라우터인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Packet Data Gateway:PDG)(208)를 통해 접속하여 3GP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무선랜 망(203)에서 이동노드 단말(204)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209)를 이용해 무선 접속을 하고 액세스 라우터(Access Router:AR)(110)를 통해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각 액세스 망의 AGW(206), PDG(208) 및 라우터(210)는 고속 핸 드오프 기술에서 정의된 액세스 라우터(AR)의 역할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예시 시스템에서 이동노드 단말(204)은 고속 핸드오버 구현을 위해 주고 받도록 정의된 메시지중 라우터 요청 프록시 메시지(RtSolPr)와 고속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FBU), 요청하지 않은 인접 광고(Unsolicited Neighbor Advertisement:UNA) 메시지 각각에 단말 식별자 정보로서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상기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 정보는 이종망간 핸드오버시에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 식별자 정보로서, 모든 망에서 동일하게 구분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이러한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를 단말 식별자 정보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 핸드오버 관련 메시지의 옵션코드(option code)필드에 이종망간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새로운 코드정보를 할당해야 한다.
참고적으로 현재 고속 핸드오버 메시지에서 LLA를 위해 정의된 옵션 포맷을 보면 도 3의 (a)와 같다. 메시지 정의에 따르면, 타입값은 1바이트 길이이며 값은 19로 정의되고, Length필드는 1바이트로 정의된다. LLA 옵션의 타입, 길이, 옵션 코드를 포함하는 8바이트를 1로 표시한다. 옵션코드 필드에는 각 사용용도에 따른 코드가 정의되어 있는데 현재 1-7번까지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8번 이후 어느 하나를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 식별자 정보로 새롭게 정의하고, 도 3의 (b)에서와 같이 옵션코드 필드 후위에 단말 식별자 정보인 실제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 정보를 할당하면 링크 계층이 서로 다른 망간의 핸드오버시에도 동일하게 단말 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각 액세스 망에서 라우터 역할을 하는 액세스 라우터(206, 208, 210)가 핸드오버 이전에 이동노드(204)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라우터(PAR)라면, 그 액세스 라우터는 상기 이동노드(204)로부터 고속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FBU)를 수신하고 그 메시지에 포함된 이동노드의 새로운 주소정보(NCoA)와 관련된 액세스 라우터를 선정하여 핸드오버 개시 메시지(HI)를 전송하되, 그 메시지(HI)에 상기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반면, 각 액세스 망에서 라우터 역할을 하는 액세스 라우터(206, 208, 210)가 핸드오버 이후에 이동노드(204)와 접속하는 액세스 라우터(NAR)라면, 그 액세스 라우터는 이동노드(204)로부터 요청하지 않은 인접 광고(Unsolicited Neighbor Advertisement)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그 메시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 정보를 핸드오버 개시 메시지(HI)에 포함된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 정보와 비교하여 이동노드 인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상기 시스템에 예시한 각각의 액세스 라우터들은 필요에 따라 PAR가 될 수도 있으며 NAR가 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을 참조하여 상술한 예시 시스템에서 이동노드(204)와 각 액세스 라우터가 고속 핸드오버를 위해 정의된 메시지를 주고 받아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가 구현되는 과정을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설명에 앞서 고속 핸드오버의 메시지 흐름은 링크 계층의 핸드오버 절차와 함께 순차적으로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링크 상태에 따라서 메시지 흐름을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그 첫 번째는 PAR에서 NAR로 미리 핸드오버 요구를 전달하고 응답을 받는 경우이며, 두 번째는 미리 핸드오버 요구를 하였으나 응답을 받지 못해 NAR를 통해 다시 핸드오버 요구를 하는 경우이다. 마지막으로는 핸드오버 요구를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이 모든 경우에 있어서 메시지 파라미터 정의는 모두 동일하므로 하기에서는 첫 번째 경우를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3GPP 접속망의 이동노드(204)는 핸드오버 할 주변을 탐색(scanning)하고, 탐색한 무선 액세스 식별 정보 리스트(AP ID List)와 단말 식별정보인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를 라우터 요청 프록시 메시지(RtSolPr)에 포함시켜 현재 접속중인 PAR(206)로 전송(402단계)한다. 라우터 요청 프록시 메시지(RtSolPr)를 수신하면, PAR(206)는 이동노드(204)로부터 수신한 무선 액세스 식별자를 관리하는 액세스 라우터들의 정보 즉 NAR의 네트워크 프리픽스 정보, NAR의 아이피 주소, NAR의 링크 계층 주소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프록시 라우터 광고 메시지(RtAdv)를 상기 라우터 요청 프록시 메시지(RtSolPr)의 응답으로서 이동노드(204)에게 전달(404단계)한다.
프록시 라우터 광고 메시지(PrRtAdv)를 수신한 이동노드(204)는 이후 핸드오버하고자 하는 망이 결정되면 해당 NAR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 후 사용할 새로운 주소(NCoA)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동노드(204)는 NCoA와 터널 Lifetime, 단말 식별자인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 정보 및 단말이 생성한 메시지임을 인증 할 수 있는 BADF를 포함하는 고속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FBU)를 PAR(206)측으로 송신(406단계)한다.
상기 고속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FBU)를 수신한 PAR(206)는 이후 이동노드(204)서 생성된 NCoA에 관련된 NAR(예를 들면 무선랜 접속망의 액세스 라우터(210))를 선정하고, 해당 NAR(210)가 NCoA주소 확인 및 패킷 버퍼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핸드오버 개시 메시지(HI)를 NAR(210)측으로 송신(408단계)한다. 상기 핸드오버 개시 메시지(HI)에는 단말 식별자인 NAI, 단말의 이전주소인 PCoA및 NCoA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무선랜 접속망의 액세스 라우터인 NAR(210)는 HI 메시지에 포함된 NCoA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그 결과를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HAck)를 통해 3GPP 접속망의 액세스 라우터인 PAR(206)측으로 전달(410단계)한다.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Hack)를 수신한 PAR(206)는 이동노드 단말(204)에게 고속 바인딩 응답 메시지(FBAck)를 통해 그 결과를 전달(412단계)한다. 이때, PCoA와 NCoA간 터널이 이동단말(204) PAR(206)에 생성(414단계)된다. 생성된 터널은 이동노드(204)측에서 MIP 등록시 삭제되고, PAR(206)측에서는 수초동안 유지되다가 삭제된다. 참고적으로 PCoA로 전송되는 패킷들은 PAR(206)에서 NCoA로 터널링되어 NAR(210)에게 전달되며, NCoA로 전송되는 패킷들은 이동노드(204)로부터 UNA메시지가 전송될 때까지 NAR(206)에서 버퍼링 된다.
한편 이동노드(204)는 수신된 메시지들(PrRtAdv, FBAck)에 포함된 정보를 참조하여 새로운 링크 설정을 한후, NAR(210)측으로 UNA 메시지를 전송(416단계)한다. 이에 NAR(210)측에서는 상기 UNA 메시지를 통해 이동노드(204)가 자신에게 접 속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을 인증하는 구분자가 링크 계층 주소(LLA)이다. 따라서 NAR(210)에서는 UNA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계층주소가 핸드오버 개시 메시지(HI)에 포함된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와 일치하면 버퍼링 되어 있는 패킷들을 해당 이동단말(204)에게 포워딩한다.
따라서 이동노드(204)는 3GPP 접속 망에서 무선랜 접속망으로 고속 핸드오버한 결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처럼 본 발명은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인 링크 계층 어드레스(LLA)를 이용하지 않고 모든 망에서 동일하게 구분 가능한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NAI) 정보를 단말 식별자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종망간 핸드오버에서도 고속 핸드오버를 구현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고속 핸드오버 메시지 전송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 시스템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관련 메시지 포맷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핸드오버 메시지 전송 흐름도.

Claims (5)

  1. 이동노드가 제1액세스 라우터를 통해 이종망의 제2액세스 라우터로 고속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고속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액세스 라우터들과 주고 받도록 정의된 메시지중 단말 식별자 정보 삽입이 요구되는 메시지에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 정보 삽입된 서로 다른 속성의 메시지를 정의된 순서에 따라 상기 액세스 라우터중 어느 하나로 선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들의 옵션코드필드 각각에는 이종망간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코드정보가 삽입되고, 그 옵션코드 필드 구간 후위에 상기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 정보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는 라우터 요청 프록시 메시지, 고속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 인접광고(Unsolicited Neighbor Advertisement)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 방법.
  4. 이동노드가 제1액세스 라우터를 통해 이종망의 제2액세스 라우터로 고속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탐색된 무선 액세스 식별정보 리스트와 단말 식별자인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가 포함된 라우터 요청 프록시 메시지를 상기 제1액세스 라우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프록시 라우터 광고 메시지를 상기 제1액세스 라우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가 포함된 고속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를 상기 제1액세스 라우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액세스 라우터로부터 고속 바인딩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들을 참조하여 새로운 링크를 설정하고,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인접 광고(Unsolicited Neighbo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상기 제2액세스 라우터로 전송하여 고속 핸드오버 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들의 옵션코드필드 각각에는 이종망간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코드정보가 포함되고, 그 옵션코드 필드 구간 후위에 상기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 방법.
KR1020070122792A 2007-11-29 2007-11-29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를 이용한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방법 KR100919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792A KR100919054B1 (ko) 2007-11-29 2007-11-29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를 이용한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792A KR100919054B1 (ko) 2007-11-29 2007-11-29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를 이용한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916A KR20090055916A (ko) 2009-06-03
KR100919054B1 true KR100919054B1 (ko) 2009-09-24

Family

ID=4098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792A KR100919054B1 (ko) 2007-11-29 2007-11-29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를 이용한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841B1 (ko) * 2015-12-21 2017-02-07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종 망 간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 및 통신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188A (ko) * 2002-12-05 2004-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망간의 연동방법
KR20060040270A (ko) * 2004-11-05 2006-05-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인터넷망에서 nai 정보를 이용한 ip 주소 할당방법 및 시스템
KR20080010990A (ko) * 2006-07-28 200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록시 이동 아이피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아이피를 지원하는 이동 노드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26379A (ko) * 2007-09-10 2009-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단말의 위치 등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188A (ko) * 2002-12-05 2004-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망간의 연동방법
KR20060040270A (ko) * 2004-11-05 2006-05-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인터넷망에서 nai 정보를 이용한 ip 주소 할당방법 및 시스템
KR20080010990A (ko) * 2006-07-28 200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록시 이동 아이피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아이피를 지원하는 이동 노드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26379A (ko) * 2007-09-10 2009-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단말의 위치 등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916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0510B2 (en) Minimized IP connectivity establishment procedures
KR10122161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id 프리픽스와 함께 고속이동성 ip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050232B2 (en) Handover optimisation in a WLAN radio access network
US7440757B2 (en) Handover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519363B2 (en) Roaming method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cellular network
US8780856B2 (en) Inter-system handoffs in multi-access environments
JP5524863B2 (ja) 非3gppネットワークから3gppネットワークへのハンドオーバの最適化
US7944888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handover
US7599330B2 (en) Handover method in WLAN and mobile node device performing handover in WLAN
JP4177370B2 (ja) 移動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ソースノードのハンドオフに従う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US8442006B2 (en) Wireless LAN mobility
US20030104814A1 (en) Low latency mobile initiated tunneling handoff
KR100710530B1 (ko) 연결 중심 무선 링크를 가지는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아이피 주소 구성 및 등록 방법
US8064427B2 (en) Commun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and access router
AU2005241850B2 (en) Minimized IP connectivity establishment procedures
US8400980B2 (en) Fast handover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08069630A1 (en) Fast handover method and system using network-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
US8089931B2 (en) Fast handover method using candidate CoAs
Emmelmann et al. Moving toward seamless mobility: state of the art and emerging aspects in standardization bodies
KR100934086B1 (ko) 무선접속 시스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게이트웨이
KR100919054B1 (ko) 네트워크 접근 식별자를 이용한 이종망간 고속 핸드오버방법
CN108347723B (zh) 一种切换方法和装置
KR100943515B1 (ko) 이종망간 핸드오프를 위한 주소 관리 방법
KR20090020877A (ko) 네트워크 기반 이동성 관리 방법
KR101125207B1 (ko) 이종망간 이동 단말의 로밍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