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691A - 흉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브래지어 - Google Patents

흉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브래지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691A
KR20070046691A KR1020060001160A KR20060001160A KR20070046691A KR 20070046691 A KR20070046691 A KR 20070046691A KR 1020060001160 A KR1020060001160 A KR 1020060001160A KR 20060001160 A KR20060001160 A KR 20060001160A KR 20070046691 A KR20070046691 A KR 20070046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
pad
chest pad
water
foamed sty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스무 키쿠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노우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노우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노우라
Publication of KR20070046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41C3/144P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5/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물에 접촉하여도 흡수하지 않고 항상 가볍고, 또한 가슴 교정 기능과 보유 기능을 안정되게 발휘하는 흉부 패드를 제공한다.
여성용 의류의 흉부에 장착되는 흉부용 패드(1a)로서, 흉부의 형태에 대응한 완형상의 바탕재(2)를 발포 스티롤으로 형성하고, 상기 발포 스티롤의 적어도 한 면에는 포재(4)가 첩착되어 있다. 바탕재를 이루는 발포 스티롤은 가볍고, 방수성, 발수성이 좋은 소재이므로, 물에 접해도 흡수하지 않고 항상 가볍고, 가슴 교정 기능과 보유 기능을 안정되게 발휘하는 흉부 패드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 포재가 표면에 첩착되어 있음으로써 제조 공정에서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의류에 적용했을 때에 흉부용 패드의 위치 어긋남 방지도 가능하다.
흉부 패드, 발포 스티롤, 포재, 바탕재, 방수성, 발수성, 가공성

Description

흉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브래지어{BREAST PAD AND BRASSIERE PROVIDED WITH THE SAME}
도 1은 실시예 1과 관련되는 흉부 패드에 대해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한쪽 편의 패드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흉부 패드의 제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실시예 2와 관련되는 흉부 패드에 대해서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수영복용의 브래지어에 실시예 2의 흉부 패드를 적용할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a, 1b) 흉부 패드
2 바탕재(발포 스티롤)
3(3a, 3b) 접착제
4(4a, 4b) 포재(布材)
HL 관통공
BR 브래지어
<특허문헌 1> 특개평 9-157913호 공보
본 발명은 흉부(가슴) 형상을 정돈하기 위해서 여성용의 의류에 장착되는 흉부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의류」는 여성용의 수영복, 속옷 및 윗도리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여성용의 의류에는 가슴 위치를 안정화하기 위해서 혹은 가슴 형상을 아름답게 보이기 위해서 등의 목적으로 흉부 패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많이 있다. 특히 가슴에 직접 닿는 브래지어에 있어서는 흉부 패드를 구비한 구조가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좌우 각각의 컵이 외측 저부의 내측이 서서히 두꺼워지도록 하는 교정 두께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가슴을 아름답게 보일 수가 있고, 또 착용시에 가슴의 위치 어긋남 없이 정위치에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한 흉부 패드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서 제안하는 흉부 패드는 종래의 일반적인 흉부 패드의 경우와 같이 스펀지 형상의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한 것이다. 폴리우레탄 등의 스펀지 형상 소재는 경량이고 유연성이나 통기성이 좋기 때문에 흉부 패드용의 바탕재로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폴리우레탄 등의 소재는 흡수성도 크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하듯이 여성 수영복용의 흉부 패드로서 사용하면, 물과 접촉했을 때에 흡수하여 중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한 것과 같은 흉부 패드는 건조한 상태에서는 가슴 교정과 보유 기능이 발휘되지만, 한 번 물에 젖어버리면 흡수하여 무거워지므로 상기 기능이 상실되어 버린다. 예를 들면 여성이 수영장이나 바다에서 헤엄친 후 물로부터 나올 때 이러한 상태를 실감하게 된다. 이 때에는 흉부 패드는 물로 무거워져 외측으로 처지는 힘이 작용하여 브래지어의 가슴 교정과 보유 기능은 큰 폭으로 상실되어 버린다. 그 결과 수영복을 입고 있는 여성이 물로부터 나올 때 브래지어가 무거워 부담으로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지적한 종래의 흉부 패드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물과 접촉해도 흡수하지 않아 항상 가볍고, 또한 가슴 교정 기능이나 보유 기능을 안정되게 발휘하는 흉부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여성용의 의류의 흉부에 장착되는 흉부용 패드로서, 흉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완형상(椀形狀)의 바탕재를 발포 스티롤으로 형성하고, 상기 발포 스티롤의 적어도 한 면에는 포재를 첩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부용 패드에 의해 달성된다.
바탕재를 이루는 발포 스티롤(Styrol)은 가볍고, 방수성, 발수성이 좋은 소재이므로 물과 접촉해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항상 경량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슴 교정 기능과 보유 기능을 항상 발휘할 수 있는 흉부 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발포 스티롤의 표면에 포재를 첩착하여 둠으로써 제조 공정에서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또 의류에 적용했을 때에 흉부용 패드의 위치 어긋남 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흉부 패드가 내외를 연통하는 관통공을 더 복수 구비하고 있으면 통기성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흉부측이 되는 내면에 복수의 홈부(groove part)를 더 설치한 구조로 함으로써 통기성을 부여할 수가 있다.
상기 발포 스티롤으로서 가교(架橋) 고발포 폴리에틸렌을 채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에 기재의 흉부용 패드를 구비한 브래지어는 가볍고 항상 안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수영복용의 브래지어의 경우에는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장착하고 있는 여성의 부담이 가볍고, 가슴 교정 기능과 보유 기능이 항상 발휘되므로 가슴을 아름답게 보일 수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흉부 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과 관련되는 흉부 패드(1)에 대해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한쪽 편의 패드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로 나타내듯이, 실시예 1의 흉부 패드(1)는 종래의 일반적인 흉부 패드와 같이 좌우(1a, 1b)로 한 벌로 이루어져 브래지어 등의 의류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의류에의 장착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의류측에 설치된 수납부에 흉부 패드(1a, 1b)를 수납하여도 좋고, 의류측의 천에 직접 꿰매도록 하여도 좋다. 또, 의류측과 흉부 패드(1a, 1b) 측을 접속하는 접속 치구(훅(hook) 등)를 설치하여 의류에 대해서 흉부 패드(1a, 1b)를 착탈 자유롭게 하여도 좋다.
각 흉부 패드(1a, 1b)는 여성의 가슴의 형태에 대응하는 대략의 형상이 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한쪽 편의 패드(1a)를 후방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원 CR 내에 단면의 조직 구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 원 CR로 나타내듯이, 이 흉부 패드(1)는 중앙의 바탕재(2)의 표면 및 이면에 접착제(3a, 3b)를 통하여 포재(布材)(4a, 4b)가 첩착된 적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특히 바탕재(2)로서 발포 스티롤이 채용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발포 스티롤은 종래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던 스펀지 형상의 폴리우레탄 수지와는 달리 방수성 및 발수성을 구비한 수지 소재이다. 또, 발포 스티롤 수지는 단열성, 완충성이 좋고, 가볍고, 금형 등에 의해 성형할 수 있는 가공성이 좋은 소재이기도 하다.
발포 스티롤 자체는 종래부터 잘 알려진 소재이고 폴리에틸렌을 원료로서 제조되는 발포성 수지이다. 일반적으로 발포 스티롤은 경량으로 단열성이나 내충격성 등에 우수한 수지재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 점에 주목하여 포장재, 보호재, 완충재로서 사용되는 것이 많았다. 즉, 종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흉부 패드용 소재로서 사용되고 있던 폴리우레탄 수지보다 발포 스티롤은 많은 뛰어난 특성을 구비하고 있지만 흉부 패드용의 소재로서는 주목받고 있지 않았다.
또한 발포 스티롤 수지는 수소와 탄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수지이므로 완전 연소시키면 물과 이산화탄소밖에 생기지 않는 깨끗한 소재로서 알려져 있다. 또 , 폴리우레탄 수지는 시간 경과로 변화하여 노랗게 변색하는 현상(당업계에서는, 「황변」이라고 한다)이 알려져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당초부터 황색을 띄는 색으로 조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발포 스티롤은 이러한 황변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항상 청결감이 있는 흰색을 강조할 수 있다.
최근 여러 가지의 재질의 발포 스티롤이 제공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흉부 패드(1)의 바탕재(2)로 되는 발포 스티롤으로서는 예를 들면 가교 고발포 타입의 폴리에틸렌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교 고발포 폴리에틸렌은 일반적인 발포 합성수지와 같이 방수성, 발수성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적당한 탄력성도 구비하고 있어 흉부 패드용 소재로서 매우 적합한 소재이다. 예를 들면 세키스이화학공업(주)으로부터 소후트론(등록상표)으로 판매되고 있는 폴리에틸렌을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지적한 것처럼, 종래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던 폴리우레탄 수지는 흡수성이 있으므로, 물과 접촉하면 물을 흡수하여 중량이 증가한다. 이에 대해서 발포 스티롤은 방수성, 발수성이 좋기 때문에 물에 접해도 중량이 증가하지 않고 항상 경량이고 형상 안정성이 높다. 이와 같이 뛰어난 발포 스티롤을 흉부 패드용으로 사용한다고 하는 발상이 없었던 것은 물과 접촉했을 때에 폴리우레탄 수지가 흡수하여 무거워진다는 문제가 당업계에서 의식되고 있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즉, 앞서 지적한 종래에 있어서의 과제의 지적 자체가 본원 발명자에 의해 새롭게 제시된 것이다. 그리고 본원 발명자는 방수성, 발수성이 좋은 발포 스티롤을 흉부 패드에 채용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찾아낸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발포 스티롤 구성을 설명한다. 바탕재(2)의 양면에는 접착제(3a, 3b)를 통하여 포재(4a, 4b)가 첩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탕재(2) 표면에 포재(4a, 4b)를 설치해두면, 브래지어 측에 설치한 수납부에 흉부 패드(1)를 수납할 때에, 일정한 미끄러짐을 발생시켜 내부에서의 위치가 치우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표면에 포재를 구비함으로써 장착하는 의류(브래지어측의 천 등)에 봉제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바탕재(2)의 표면이 포재(4a, 4b)에 의해 피복하게 되므로 세탁했을 때 등에 바탕재(2)의 손상을 예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하는 포재(4a, 4b)는 발포 스티롤과 옷감의 질이 잘 접착제에 의해 접착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소재에 대해서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또한 본 실시예로 나타내고 있듯이, 바탕재(2)의 표면 이면의 양면에 포재를 첩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표면 및 이면의 어느 한쪽에만 포재를 첩착하여도 좋다. 또한 어느 한쪽에 포재를 첩착하는 경우에는 내면측(가슴측)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상기 흉부 패드(1)의 제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소재 메이커로부터 구입한 판 모양의 발포 스티롤 바탕재(12)의 표면 및 이면에 접착제(13a, 13b)를 도포하고, 그 표면에 포재(14a, 14b)를 실은 적층체(10)를 준비한다. 이 적층체(10)를 흉부 패드의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는 상하의 금형(21, 22)을 가열하면서 접근시켜 가압한다. 소정 시간 보유하여 금형(21, 22)을 떼어 놓으면, 두께가 압축되고 표면 및 이면에 포재가 첩착되어 있는 완형상의 발포 스티롤(15)이 얻어진다. 이 후 소정 위치에서 재단하면 상기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흉부 패드(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조에 사용하는 설비는 종래의 것을 유용할 수 있으므로 설비 에 대해서 비용 상승을 수반하지 않고, 본 실시예의 흉부 패드(1)를 제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1의 흉부 패드(1)는 바탕재로 발포 스티롤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물에 접하여도 흡수하지 않고 중량이 증가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 1의 흉부 패드(1)는 항상 가볍고 일정한 형상이 유지되므로 설계한 가슴 교정과 보유 기능을 안정되게 발휘한다.
<실시예 2>
도 4는 실시예 2와 관련되는 흉부 패드(5)에 대해서 나타낸 도이다. 본 실시예 2의 흉부 패드(5)는 기본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에서 나타낸 흉부 패드(1)와 같고, 외측과 내측을 연통하는 관통공 HL이 더 복수 설치되어 있다. (A)는 동일한 직경의 관통공 HL을 형성한 경우, (B)는 관통공 HL의 직경 크기에 변화를 준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발포 스티롤은 방수성 혹은 발수성이 좋기 때문에 항상 가볍고 보온성에도 우수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반면에 있어서 발포 스티롤으로 가슴 전체를 가리고 있으면 가슴에 부착한 수분이 증발하기 어려워 뜸들기 쉽게 된다. 이 점을 개선하여 통기성에 대해서 개선하고 있는 것이 본 실시예 2의 흉부 패드(5)이다.
실시예 2의 흉부 패드(5)는 내외를 관통하는 관통공 HL을 복수 설치함으로써 통기성이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와 관련되는 흉부 패드(5)는 상기의 뜸들기 쉽다고 하는 점에도 대처할 수 있다. 또한 관통공 HL은 적당하게 배치하고 구멍 직경도 적당하게 변경하면 좋다. 예를 들면 (B)에 나타내듯이 하측의 관통공 HL을 큰 직경 BHL로 하면 뜸들기 쉬운 부분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5는 수영복용의 브래지어 BR에 실시예 2의 흉부 패드(5)를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이 브래지어 BR은 수영한 후 물로부터 나올 때 등에 있어서, 바탕재 부분이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가볍고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장착하고 있는 여성의 부담이 가볍고 가슴 교정 기능이나 보유 기능이 안정되게 발휘되므로 가슴을 아름답게 보일 수가 있다.
상기 실시예 2에 나타낸 관통공 HL을 구비한 구조의 흉부 패드(5)는 도 3에 나타낸 가공전의 적층체(10)로 미리 펀치 가공을 실시하고 나서 금형 가공을 하여 제조하여도 좋고, 금형 가공 후에 펀치 가공을 실시하여 제조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실시예 2는 통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관통공 HL을 설치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흉부 패드에 통기성을 부여하기 위한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흉부 패드의 내면(가슴측의 면)에 복수의 홈부(길게 뻗어 있는 오목부)를 설치하고, 가슴과 패드 내면의 사이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홈 구조는 금형측(도 3의 경우는 상부 금형(22))의 표면에 복수의 긴 볼록부를 설치함으로써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의 관통공 HL을 구비한 흉부 패드(5)에 더 홈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러한 관통공과 홈부를 병설한 구조로 하면 충분한 통기성을 구비한 흉부 패드가 된다.
또한 도 5는 수영복용 브래지어에 실시예 2의 흉부 패드(5)를 적용한 경우를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관련되는 흉부 패드는 이러한 수영복용 의 브래지어의 사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속옷용 브래지어에 적용하여도 좋다. 흉부 패드에 관통공을 설치함으로써 통기성도 부여되므로, 항상 안정되게 가슴 교정 기능과 보유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속옷용 브래지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속옷용 브래지어의 경우에는 관통공을 설치하지 않는 구조 혹은 관통공의 수나 구멍 직경을 작게 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보온성을 높여 동계 사용에 적절한 방한용 브래지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흉부 패드는 상기와 같이 브래지어에 매우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물론 다른 의류에 적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흉부 패드 첨부의 스웨터 등의 의류에 본 발명의 흉부 패드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흉부 패드를 장착한 브래지어 등의 의류는 물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가슴 형상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뛰어난 제품이 된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흉부 패드는 발수성이 좋기 때문에 세탁을 했을 때에 종래의 흡수성 패드가 장착되어 있는 의류와 비교하여 건조가 빠르다고 하는 부차적인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관계되는 특정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과 접촉해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가볍고, 가슴 교정 기능과 보유 기능을 항상 발휘하는 흉부 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흉 부 패드를 구비하는 브래지어 등의 의류는 항상 가슴을 아름답게 보일 수가 있는 신뢰성이 높은 제품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여성용의 의류의 흉부에 장착되는 흉부용 패드로서,
    흉부의 형태에 대응한 완형상의 바탕재를 발포 스티롤로 형성하고,
    상기 발포 스티롤의 적어도 한 면에는 포재(布材)를 접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부용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또한 내외를 연통하는 관통공을 복수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부용 패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흉부측이 되는 내면에 복수의 홈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부용 패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스티롤이 가교(架橋) 고발포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의 흉부용 패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흉부용 패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브래지어.
KR1020060001160A 2005-10-31 2006-01-05 흉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브래지어 KR200700466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17729A JP2007119978A (ja) 2005-10-31 2005-10-31 胸部用パッド及びこれを備えたブラジャー
JPJP-P-2005-00317729 2005-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691A true KR20070046691A (ko) 2007-05-03

Family

ID=3806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160A KR20070046691A (ko) 2005-10-31 2006-01-05 흉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브래지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7119978A (ko)
KR (1) KR20070046691A (ko)
CN (1) CN19577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442718U (en) * 2012-07-18 2012-12-11 Top Want Electronic Co Ltd Gas-permeable breast pad
HK1185751A2 (en) * 2013-10-31 2014-02-21 Top Form Brassiere Mfg Co Ltd Air permeable pad for brassiere
CN106307640B (zh) * 2016-08-25 2018-08-31 宏杰内衣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珍珠棉内垫的文胸及其制备方法
KR102151946B1 (ko) * 2019-12-17 2020-09-04 송장섭 통기성이 우수한 브라컵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57781A (zh) 2007-05-09
JP2007119978A (ja) 200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5130C (zh) 具有成形支承物的胸罩
CA2612430C (en) Method for molding lofted material with laminated support layer and decorative panel and garment made
US7666059B2 (en) Method for molding lofted material with laminated support layer and garment made
CN109640720A (zh) 具有选定的拉伸区的服装
KR100817304B1 (ko) 여성용 셔츠
CN203841137U (zh) 无袖衣物
US20120156961A1 (en) Corsetry cup
GB2197617A (en) A waterproof, water-vapour-permable fabric construction
KR20070046691A (ko) 흉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브래지어
US20020092084A1 (en) Clothing waist portion structure
EP1626115B1 (en) Fabric of waterproof breathable microporous membrane
JP4606689B2 (ja) 装身用成形体
JP3686541B2 (ja) 装身用成形体
JP4866070B2 (ja) 装身用パ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58906A (ja) 女性用衣類
CN214294822U (zh) 一种织唛布标
KR200274783Y1 (ko) 브레지어컵
CN214962683U (zh) 一种运动模杯及运动文胸
KR200266977Y1 (ko) 브래지어 컵
KR200343319Y1 (ko) 양면 브래지어
JP5081282B2 (ja) ファンデーション等の衣料
CN220512234U (zh) 一种遇水不粘贴人体的衣物构造
KR100848827B1 (ko) 이중 브라컵을 갖는 기능성 브래지어
CN205922957U (zh) 透气t恤
KR200343300Y1 (ko) 브래지어용 어깨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