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399A - 유도가열 접착형 건축내장 판재 - Google Patents
유도가열 접착형 건축내장 판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45399A KR20070045399A KR1020050101627A KR20050101627A KR20070045399A KR 20070045399 A KR20070045399 A KR 20070045399A KR 1020050101627 A KR1020050101627 A KR 1020050101627A KR 20050101627 A KR20050101627 A KR 20050101627A KR 20070045399 A KR20070045399 A KR 200700453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interior
- construction
- main body
-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uperposed elements which overlap each other and of which the flat outer surface includes an acute angle with the surface to cov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2—Flooring consisting of parquetry tiles on a non-rollable sub-layer of other material, e.g. board, concrete, c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가열 접착형 건축내장 판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축내장 판재의 시공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시공시간을 최대한 단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접착형 건축내장 판재는, 사각판재 형상의 외형을 갖춘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일측 2변을 중심한 양측으로 적어도 2mm이상 돌출되도록 일측면에 배치되는 받침재와;
상기 받침재의 양면에 도포된 접착층과;
상기 본체의 중심에 마련된 완충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본체의 하부일측 2변으로 돌출된 받침재의 상측에 차례차례 본체의 타측을 얹어서 시공한 다음, 전자유도 가열기를 통해 순간적으로 접착층을 가열, 접착시키므로서 건축내장 판재의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시간은 최대한 단축하였으며, 중심에 마련된 완충재에 의해 충격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한 이점이 있다.
유도가열접착형 건축내장 판재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건축내장 판재의 시공을 보인 공정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판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접착형 건축내장 판재의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유도가열접착형 건축내장 판재 100;본체
200;받침재 300;접착층
400;완충재
본 발명은 건축내장 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형상의 비전도체시트재로 이루어진 본체와, 그 본체 하부일측 2변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전도체의 받침재와, 그 받침재의 양면에 도포된 접착층과, 상기 본체의 일면 중심에 배 치된 완충재로 이루어진 유도가열접착형 건축내장 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벽 또는 바닥에 건축내장 판재(이하, "판재"라 칭한다.)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알려져 오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판재(PL)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바닥 또는 내벽면을 청소하는 청소단계(CS)와, 그 청소단계(CS)에서 청소가 완료된 소지면에 본드(BD)를 도포하는 접착준비단계(SS)와, 그 접착준비단계(SS)에서 도포된 본드(BD) 상부에 판재(PL)를 시공하는 판재설치단계(PS)가 이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판재(PL)의 시공이 완료되고, 상기한 본드(BD)가 상온(常溫)에서 경화되도록 하며, 창문을 열어 본드 냄새가 빠져 나가도록 환기를 시켜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판재를 시공하기 위한 본드는 도포 후, 최소 5시간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여야만 완전한 경화가 이루어지므로, 작업완료가 되기까지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접착제인 본드의 경화가 완료되어도 그 악취는 오랫동안 실내에 머물기 때문에 장시간의 환기가 필요하고, 나아가, 실내에 있는 사람에게 새집증후군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공이 완료되고 나서, 남아 있는 본드, 롤러, 붓등은 재 사용이 불가하여 폐기할 때,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본드 접착중 국부적으로 판재가 들뜬곳은 재접착이 어려워 시공불량이 다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다수의 판재가 격자형으로 시공되도록 각 테두리를 맞 대어놓고 접착하므로서, 이 판재의 각 경계부위가 들뜨는 현상이 다발하여 판재가 시공된 바닥 또는 내벽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면과 판재가 바로 접착되기 때문에 아랫층에 소음이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판재의 시공을 최단시간에 악취발생없이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경오염없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판재 시공중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들뜬 부분은 바로 재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불량이 거의 없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판재의 시공시 경계부위에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판재가 시공된 바닥 또는 내벽의 수명을 연장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랫층에 소음 전달을 최소화한 판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유도가열 접착형 건축내장 판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건축내장 판재는;
사각판재 형상의 외형을 갖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 2변을 중심한 하부양측으로 적어도 2mm이상 돌출되도록 일측면에 배치되는 받침재와;
상기 받침재의 양면에 도포된 접착층과;
상기 본체의 중심에 설치된 완충재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조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접착형 건축내장 판재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판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접착형 건축내장 판재의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것이다.(이하,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명칭을 붙여 설명하되, 부호만 달리 붙여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접착형 건축내장 판재(10)(이하, "판재"라 칭한다.)는 본체(100)와 받침재(200)와 접착층(300)과 완충재(400)로 대별된다.
본체(100)는 목재 또는 코르크, 합성수지, 타일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비전도체(非傳導體) 시트(Sheet)재로서, 그 외형은 평면에서 바라볼 때,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본체(100)의 하부에 받침재(200)가 장착되어 있다.
받침재(200)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동(銅)판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박판 금속재의 전도체(傳導體)로서, 상기한 본체(100)의 2변을 중심으로 한 양측 길이방향으로 내열성본드에 의해 배치되는데, 이 받침재(200)의 돌출된 길이("L"표시부위)는 적어도 2mm이상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는 후술하는 시공에서 다른 판재(10)의 타단이 얹혀져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받침재(200)의 단부("L1"표시부위)는 상기한 돌출된 길이("L"표시부위)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후술하는 시공에서 접착부가 직각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받침재(200)의 양면에는 접착층(300)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층(300)은 핫멜트(Hot Melt)로서 받침재(200)의 양면에 도포시킨 후, 상기한 본체(100)에 장착시켜 건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접착층(300)이 도포된 받침재(200)는 전도체이기 때문에 후술하는 작용에서 전자유도 가열장치(미도시)의 자기작용에 의해 상기한 접착층(300)이 순간적으로 용해되며 다른 판재(10)의 타단과 접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받침재(200)의 일측, 다시 말해서, 본체(100)의 중심에는 완충재(400)가 배치되어 있다.
완충재(400)는 고무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코르크로 이루어져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완충재(400)도 상기한 본체(100)와 내열성본드에 의해 장착된다.
계속해서,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시공방법(5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판재(10)는 벽면(1)과 바닥면(2)에 모두 시공할 수 있으나, 설명 편의상 바닥(2)에 시공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시공방법(500)은 시공면 청소단계(510)와 내장재 설치단계(530)와 마감단계(550)와 테두리 마감단계(570)와 접착단계(590)로 이루어진다.
시공면 청소단계(510)는 후술하는 접착단계(570)에서 원활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시공면, 즉 바닥면(2)을 빗자루 또는 진공청소기로 청소하여 청결한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공면 청소단계(510)가 완료되면, 내장재 설치단계(530)가 이어지는데, 이 내장재 설치단계(530)는 1, 2차 설치단계(531)(533)로 이루어진다.
도 5과 도 6을 참조하면, 1차 설치단계(531)는 상기한 시공면 청소단계(510)에서 청소된 시공면의 어느 한 모서리에서 부터 일측 또는 타측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판재(10)를 정렬하여, 2변으로 돌출된 받침재(200)가 1열로 나란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타측방향으로 다수열의 판재(10)를 설치하는 2차 설치단계(533)가 이어진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2차 설치단계(533)가 완료되면, 수직, 수평방향으로 공간(빗금표시부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빗금표시부위)은 대체적으로 본 발명의 판재(10)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판재(10)를 공간(빗금표시부위)의 너비에 맞게 절단하여, 상기한 1, 2차 설치단계(531)(533)에서 설치가 완료된 판재(10)의 돌출된 받침재(200) 상부에 상기한 공간(빗금부위)에 맞도록 재단된 판재(10)의 다단을 올려 놓고 설치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감단계(550)가 완료되며, 각 판재(10)의 테두리는 받침재(200)와 접착층(300)이 배치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접착층(300)이 배치되지 않은 판재(10)의 테두리를 견실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테두리 마감단계(570)가 이어진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 마감단계(570)는 각 4면의 벽체(1)와 바닥면, 즉, 본 발명에 따른 판재(10)의 각 테두리에 마감몰딩(575)을 설치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감몰딩(575)의 일측면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도체인 받침재와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마감몰딩(575)을 각 면의 벽체(1) 하단에 접착시키면, 각 판재(10)의 테두리를 견실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에 퍼즐식으로 설치된 각 판재(10)의 상면, 다시 말해서, 접착층(300)이 마련된 각 판재(10)의 테두리를 접착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판재(10)와 마감몰딩(575)의 접착은 본 출원인에 의해 2005년 03월 17일자로 출원된 특허 제 2005-0022321호의 전자(電磁)유도 가열을 이용한 접착기(600)(이하, "접착기"라 칭한다.)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이 접착기(60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기(600)는 AC 220V 단상(單相)전원으로서, 전원콘센 트(601)와 전원공급선(602), 전자유도접착기 전원공급장치(603), 자재종류별 선택 스위치(604), 연결선(605), 핸들쪽으로 공급되는 고주파선(606), 핸들부(607), 작동 스위치(608), 전도체 감지센서(609), 유도 코일부(61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접착기(600)는 유도전자(誘導電磁)를 이용한 것으로, 유도 코일부(610)에 고주파를 공급하면, 유도 코일부(610)에서 발생한 자력선이 비전도체인 본 발명 판재(10)의 본체(100)를 투과해 전도성 금속재인 받침재(200)에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이 때, 전도성 금속재인 받침재(200)에 유도 전류가 흘러 주울(JULE)열이 발생하고, 이 열은 받침재(200) 양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층(300)의 열가소성 핫멜트를 용해시킨다.
열가소성의 특징을 가진 핫멜트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접착층(300)은 열을 받으면 용해되었다가 열을 제거하면 급속히 냉각되며 고체화되어 순간적으로 경화되며, 상술한 바닥면(2)과 면접한 받침재(200)와, 상기 받침재(200)의 상부에 얹혀진 비전도체인 본체(100)의 접착이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접착기(600)를 다리미처럼 누르면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판재(10)가 전체적으로 견실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판재(10)는 노후되어 교체할 때에도 판재(10)의 각 접착부위를 접착기(600)를 이용하여 재가열하면, 접착층(300)이 용해되어 쉽게 떼어내어 교체가 가능하며, 그 떼어낸 부위에 다른 접착물을 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 판재(10)에 의하면, 판재(10)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되, 누구나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하다.
나아가, 핫멜트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용해하여 접착하므로, 본드등과 같이, 악취가 발생하지 않고도 판재(10)를 견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숙련된 작업자가 아닌 일반 작업자들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생산성이 향상되며, 그에 따라, 사용자들에게 신뢰를 얻었다.
또한, 판재의 중심에 마련된 완충재의 흡음, 완충작용에 의해 아랫층 또는 옆방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최소화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발명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접착형 건축내장 판재에 따르면, 건축내장용 판재의 시공을 최단시간에 악취발생없이 완료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도가열접착기에 의해 순간적으로 접착할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없는 건축내장용 판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한 효과가 있다.
또한, 건축내장용 판재 시공중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들뜬 부분은 바로 재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불량이 거의 없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건축내장용 판재의 시공시 경계부위에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판재가 들뜨지 않아 시공된 바닥 또는 내벽의 수명을 연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건축내장용 판재의 중심에 마련된 완충재의 흡음, 완충작용에 의해 아랫층 또는 옆방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최소화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 건축물 실내의 내벽과 바닥에 설치되는 건축내장 판재에 있어서,상기 건축내장 판재는;사각판재 형상의 외형을 갖춘 본체와;상기 본체의 일측 2변을 중심한 하부양측으로 적어도 2mm이상 돌출되도록 일측면에 배치되는 받침재와;상기 받침재의 양면에 도포된 접착층과;상기 본체의 중심에 마련된 완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접착형 건축내장 판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는 목재 또는 코르크, 합성수지, 타일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비전도체(非傳導體)이고, 상기 받침재는 박판 금속재로서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동판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전도체(傳導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접착형 건축내장 판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접착층은 핫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접착형 건축내장 판재.
- 건축물 실내의 내벽과 바닥에 설치되는 건축내장 판재의 시공방법에 있어서,상기 건축내장 판재 시공방법은;상기 건축내장 판재가 시공될 부위를 청소하는 시공면 청소단계와;상기 시공면 청소단계에서 청소된 시공면의 어느 일측 구석에서 부터 타측 구석으로 정렬하여 돌출된 받침재가 나란하도록 배치하는 1차 설치단계와, 상기 1차 설치단계에서 포설된 상기 받침재의 상측에 다른 건축내장 판재의 일측이 얹혀지도록 배치하는 2차 설치단계로 이루어진 내장재 설치단계와;상기 내장재 설치단계의 마지막 시공부위 너비에 맞도록 건축내장 판재를 절단하여 일렬로 배치하는 내장재 마감단계와;상기 내장재 마감단계와 내장재 설치단계에서 설치된 각 판재의 테두리가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벽체와 바닥면 테두리에 마감몰딩을 설치하는 테두리 마감단계와;내장재 포설단계와 내장재 마감단계에서 배치된 내장재 상부에 전자유도 가열 접착기를 일측에서 타측 점진적으로 이동하며 접착하는 접착단계와;상기 접착단계에서 접착이 완료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접착형 건축내장 판재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1627A KR20070045399A (ko) | 2005-10-27 | 2005-10-27 | 유도가열 접착형 건축내장 판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1627A KR20070045399A (ko) | 2005-10-27 | 2005-10-27 | 유도가열 접착형 건축내장 판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5399A true KR20070045399A (ko) | 2007-05-02 |
Family
ID=3827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1627A KR20070045399A (ko) | 2005-10-27 | 2005-10-27 | 유도가열 접착형 건축내장 판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45399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9440B1 (ko) * | 2005-11-07 | 2009-01-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인쇄무늬와 재단무늬가 일치하는 타일 타입 바닥장식재 및이의 제조방법 |
JP2019190164A (ja) * | 2018-04-26 | 2019-10-31 | 凸版印刷株式会社 | 床材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2005
- 2005-10-27 KR KR1020050101627A patent/KR2007004539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9440B1 (ko) * | 2005-11-07 | 2009-01-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인쇄무늬와 재단무늬가 일치하는 타일 타입 바닥장식재 및이의 제조방법 |
JP2019190164A (ja) * | 2018-04-26 | 2019-10-31 | 凸版印刷株式会社 | 床材およびその施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96831B2 (ja) | 施工、撤去及び維持補修が容易な非接着式底密着型組立式床板及びこれを利用した床板の密着施工方法 | |
KR20070045399A (ko) | 유도가열 접착형 건축내장 판재 | |
KR20070045393A (ko) | 유도가열 접착형 건축내장용 판재 | |
EE200100265A (et) | Seade kihtühenduse pressimiseks, meetod põrandapaneelide valmistamiseks ning selle meetodi järgi valmistatud paneel | |
JP4161795B2 (ja) | フローリングの施工方法 | |
KR101450109B1 (ko) | 통기로를 구비한 코너대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공법 | |
JPH11172895A (ja) | 床材施工方法及びその床材 | |
KR200169804Y1 (ko) | 주택건물의 실내바닥 공사용 조인트 필러 테이프 | |
JP2003097020A (ja) | 既存外壁の改修方法 | |
JP7207581B2 (ja) | 床材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JP2000104392A (ja) | 床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 |
RU164822U1 (ru) | Облицовочная панель | |
JP5653668B2 (ja) | 防水構造、及び防水構造の改修方法 | |
JP5343931B2 (ja) | タイル貼着構造、タイル貼着方法、及び壁下地のシーリング目地補修方法 | |
JPH08302844A (ja) | ユニット工法建物の乾式目地構造 | |
JP2004044140A (ja) | ユニットルームの壁パネルの取付構造 | |
JP2023117125A (ja) | 建材パネルの施工方法 | |
JP3946497B2 (ja) | 電気式床暖房構造とその施工方法 | |
KR200356197Y1 (ko) | 석판 프레임과 이 석판 프레임을 이용한 침대 | |
JP2007023604A (ja) | 化粧板の施工方法 | |
WO2005058568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tile, tile, and methods for laying and removing a tile floor | |
JP5353765B2 (ja) | タイル貼着構造、タイル貼着方法、及び下地パネルのシーリング目地補修方法 | |
KR20080002353A (ko) | 철도차량 바닥재 | |
JP2019190164A (ja) | 床材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JP2008095336A (ja) | 床部材とその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