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084A - Lens driv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ens driv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45084A KR20070045084A KR1020060028965A KR20060028965A KR20070045084A KR 20070045084 A KR20070045084 A KR 20070045084A KR 1020060028965 A KR1020060028965 A KR 1020060028965A KR 20060028965 A KR20060028965 A KR 20060028965A KR 20070045084 A KR20070045084 A KR 200700450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lens holder
- coil
- magnet
- guid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 전력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렌즈를 광축 방향의 일정 위치에서 보유(保有)할 수 있는 동시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렌즈홀더에 흔들림이나 움직임이 생기기 어렵고, 내충격성이 뛰어난 렌즈 구동장치를 얻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ens driving device capable of retaining the len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hile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at the same time hardly causing shaking or movement in the lens holder due to external impact, and having an excellent impact resistance will be.
본 발명의 렌즈 구동장치(1)는 렌즈(15, 16)와, 렌즈(15, 16)를 보유하는 렌즈홀더(3, 5)와, 렌즈홀더(3, 5)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13)와, 렌즈홀더(3, 5)에 설치한 피안내부(33)와, 코일(23)과, 렌즈홀더(3, 5)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설치한 마그넷(19)을 구비하고, 코일(23)에 통전해서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으며, 렌즈홀더(3, 5)는 위치 보유용 자성체(27)를 구비하고, 이 자성체(27)가 마그넷(19)의 자력에 끌어 당겨져서, 피안내부(33)와 안내부재(13)가 압접(壓接)해 있고, 렌즈홀더(3, 5)가 정지하면, 피안내부(33)와 안내부재(13)와의 사이의 마찰력으로 렌즈홀더(3, 5)가 일정한 위치에 보유된다.The lens drive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ens 15, 16, a lens holder 3, 5 holding the lens 15, 16, and a guide member for guiding movement of the lens holder 3, 5; (13), the guide part 33 provided in the lens holders 3 and 5, the coil 23, and the magnet 19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ens holders 3 and 5, The coil 23 is energized to move the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lens holders 3 and 5 are provided with a magnetic body 27 for position retention, and the magnetic body 27 is attracted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19. When the guided portion 33 and the guide member 13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and the lens holders 3 and 5 stop, the lens is subjected to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guided portion 33 and the guide member 13. Holders 3 and 5 are held in a constant position.
Description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구동장치의 세로단면도.1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2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구동장치의 횡단면도이며, 1점 쇄선으로 뽑아내서 나타내는 도면은 피안내부의 내주면에 안내부재가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Fig. 2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lens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drawing taken out by a dashed-dotted line shows a state where the guid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렌즈 구동장치를 A-A선 단면에서 절단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lens driving device shown in FIG. 2;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렌즈 구동장치의 렌즈홀더를 뽑아내서 나타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ns holder of the lens driving device shown in FIG.
도 5는 제2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구동장치의 횡단면도.Fig. 5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lens driv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렌즈 구동장치를 B-B선 단면에서 절단한 사시도.FIG. 6 is a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the lens driving device shown in FIG. 5; FIG.
도 7은 제3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구동장치의 횡단면도.Fig. 7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lens drive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렌즈 구동장치를 C-C선 단면에서 절단한 사시도.FIG. 8 is a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the lens driving device shown in FIG. 7;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렌즈 구동장치 3: 제1렌즈홀더(렌즈홀더)1: Lens drive device 3: First lens holder (lens holder)
5: 제2렌즈홀더(렌즈홀더) 13: 안내부재5: second lens holder (lens holder) 13: guide member
15: 광학 줌용 렌즈 16: 포커스용 렌즈15: Lens for optical zoom 16: Lens for focus
17: 요크 19: 마그넷17: York 19: Magnet
23: 코일 25a: 한쪽 측벽부23:
25b: 다른쪽 측벽부 25c: 중간벽부25b: other
27: 자성체(위치 보유용 자성체) 33: 피안내부27: magnetic substance (positional magnetic substance) 33: guided por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전화 등에 내장되는 휴대형 소형 카메라 등에 있어서 이용하는 렌즈를 구동시키기 위한 렌즈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를 전자력에 의해 리니어로 이동시킬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코일에 흘려보내는 전류와 마그넷이 형성하는 자계(磁界)에 의하여 야기(惹起)되는 전자력에 의해, 렌즈를 리니어로 구동시키는 렌즈 구동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2-23037호의 공개특허공보에는, 카메라 등에 있어서 이용되는 렌즈를 자기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렌즈 구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lens driving apparatus for driving a lens linearly is known by an electric force caused by a current flowing through a coil and a magnetic field formed by a magnet.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23037 discloses a lens driving apparatus for magnetically driving a lens used in a camera or the like.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공보에 기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켜서 일정한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그 위치에서 렌즈를 보유(保有)하기 위해서는, 코일에 전류를 계속해서 흘려보낼 필요가 있어, 소비 전력이 낭비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예를 들면 카메라의 휴대 시에 있어서 흔들림이나 충격이 생겼을 경우에도 렌즈의 홀더에 흔들림이나 움직임이 발생하기 쉬워서, 내충격성(耐衝擊性)이 뛰어난 렌즈 구동장치가 요망되고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publication, when the lens is drive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reach a certain position, in order to retain the lens at that posi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flow a current through the coil. There was a problem that power consumption was wasted. Further, for example, when a camera shakes or impacts when carrying a camera, shakes or movements are likely to occur in the holder of the lens, and a lens driving device excellent in impact resistance is desired.
본 발명은 소비 전력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렌즈를 광축 방향의 일정 위치에서 보유할 수 있는 동시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렌즈홀더에 흔들림이나 움직임이 생기기 어렵고, 내충격성이 뛰어난 렌즈 구동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 lens drive device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while being able to hold a len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hile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less likely to cause shake or movement in the lens holder due to external impact. do.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렌즈와, 렌즈를 보유하는 렌즈홀더와, 렌즈홀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렌즈홀더에 설치한 피안내부(被案內部)와, 렌즈홀더에 설치한 코일과, 렌즈홀더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설치한 마그넷을 구비하고, 코일에 통전하여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장치로서, 렌즈홀더는 위치 보유용 자성체를 구비하고, 위치 보유용 자성체가 마그넷의 자력에 끌려 당겨짐으로, 피안내부와 안내부재가 압접되어 있고, 렌즈홀더가 정지하면, 피안내부와 안내부재와의 사이의 마찰력으로 렌즈홀더가 일정 위치에 보유(保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요크는 렌즈홀더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평행으로 설치한 한쪽 측벽부와 다른쪽 측벽부와, 한쪽 측벽부와 다른쪽 측벽부와의 사이에 설치한 중간벽부를 구비하고, 한쪽 측벽부와 다른쪽 측벽부에는 각각의 중간벽부 측면에 마그넷이 설치되어 있고, 각 마그넷은 중간벽부쪽에 동일한 자극(磁極)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으며, 코일은 고리 모양을 이루고, 고리의 내주쪽을 중간벽부에 삽통해서 한쪽 측벽부와 다른쪽 측벽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피안내부는 횡단면이 다각형 모양이며, 안내부재는 원호(圓弧) 모양의 횡단면을 가지며, 안내부재의 외주면의 적어도 2점이 피안내부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위치 보유용 자성체는 코일과 렌즈홀더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위치 보유용 자성체는 엷은 판(薄板)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구동장치의 세로단면도, 도 2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구동장치의 횡단면도이며, 1점 쇄선으로 뽑아내서 나타내는 도면은 피안내부의 내주면에 안내부재가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렌즈 구동장치를 A-A선 단면에서 절단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렌즈 구동장치의 렌즈홀더를 뽑아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an accompanying drawin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lens driv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nd Fig. 2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lens driv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The drawing taken out by a dashed-dotted line shows the guide member abutting agains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driving device shown in FIG. 2 taken along the line AA,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ns holder of the lens driving device shown in FIG.
제1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구동장치(1)는 휴대전화에 조립되는 광학 줌 부착 오토 포커스 카메라의 것이다. 렌즈 구동장치(1)는 제1렌즈홀더(렌즈홀더)(3)를 구동하는 제1구동기구(7)와, 제2렌즈홀더(렌즈홀더)(5)를 구동하는 제2구동기구(9)를 구비하고 있다.The
제1구동기구(7)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더구나 제1구동기구(7)와 제2구동기구(9)는 거의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2구동기구(9)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구동 기구(7)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그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The structure of the
제1구동기구(7)는 요크(17)와, 마그넷(19)과, 코일(23)로 구성되어 있다. 요크(17)는 상자체(11)에 고정되어 있고, 제1렌즈홀더(3)에 코일(23)을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제1렌즈홀더(3) 및 제2렌즈홀더(5)가 요크(17)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The
요크(17)는 단면이 거의 구형을 이루고 자계(磁界)를 폐쇄하고 있어, 렌즈홀더(3, 5)의 이동 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설치된 한쪽 측벽부(25a)와 다른쪽 측벽부(25b)와, 한쪽 측벽부(25a)와 다른쪽 측벽부(25b)와의 사이에 설치한 중간벽부(25c)를 가지며, 각 벽부(25a, 25b, 25c)는 각각 거의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쪽 측벽부(25a)의 중간벽부(25c)에 마주 대하는 면에는 한쪽의 마그넷(19a)이 붙어 있고, 다른쪽 측벽부(25b)에도 중간벽부(25c)에 마주 대하는 면에 다른쪽의 마그넷(19b)이 붙어 있다. 또, 각 벽부(25a, 25b, 25c)의 광축 방향의 양 단부에는 폐쇄벽부(25d)가 설치되어 있어, 자속(磁束)의 누설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The
한쪽 및 다른쪽의 마그넷(19a, 19b)은 각각 중간벽부(25c)쪽을 N극으로 하고, 그 반대쪽을 S극으로 하고 있어, 중간벽부(25c)로부터 한쪽 측벽부(25a)를 향해서 N→S 방향의 자계를 형성하고, 또 중간벽부(25c)로부터 다른쪽 측벽부(25b)를 향해서 N→S 방향의 자계를 형성하고 있다.The
코일(23)은 각통(角筒) 모양이고, 또한 횡단면이 고리(環) 모양이며, 고리의 내주쪽에 중간벽부(25c)가 삽통하도록 되어 있다.The
다음에 제1렌즈홀더(3)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1렌즈홀더(3)와 제2렌즈홀더(5)는 거의 같은 구성이므로, 제2렌즈홀더(5)의 구성에 대하여는 제1렌즈홀더(3)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그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제1렌즈홀더(3)는 수지(樹脂)제이며, 줌용 렌즈(렌즈)(15)가 부착되는 렌즈 개구 구멍(29)과, 코일(23)이 부착되는 코일 부착면(31)과, 안내부재(13)가 삽통하는 피안내부(33)와, 요크(17)의 중간벽부(25c)가 삽통하는 벽부 삽통 구멍(35)과, 제2렌즈홀더(5)의 안내부재(13)에 걸어 맞추는 맞물림부(37)를 구비하고 있다. 제1렌즈홀더(3)는 안내부재(13)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되어 있다.The
코일 부착면(31)은 요크(17)의 각 벽부(25a, 25b, 25c)와 거의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코일 부착면(31)에는 엷은 판 모양의 자성체(위치 보유용 자성체)(27)가 붙어 있으며, 코일(23)의 외주쪽과 코일 부착면(31)과의 사이에 자성체(27)가 협지되어 있다. 자성체(27)는 한쪽 마그넷(19a)의 자계 범위 내에 있고, 자성체(27)가 한쪽 마그넷(19a)의 자력에 끌어 당겨져, 피안내부(33)가 안내부재(13)의 외주면에 강압(强壓)되어 있다. 또한 자성체(27)로 두께가 약 50μm, 크기가 약 3mm×5mm의 스테인리스 합금을 이용하고 있다.The
피안내부(33)는 횡단면이 거의 사각형 모양이며, 안내부재(13)는 횡단면이 원형 모양으로 되어 있고, 안내부재(13)의 외주면의 2점(13a, 13b)이 피안내부(33)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다.The
제2렌즈홀더(5)는 렌즈 개구 구멍(29)에 포커스용 렌즈(렌즈)(16)를 보유하고 있으며, 안내부재(13)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줌용 렌즈(15)와 포커스용 렌즈(16)는 광축을 동일하게 하고 있다.The
다음에, 제1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구동장치(1)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렌즈 구동장치(1)를 탑재한 휴대전화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할 때, 광학 줌을 사용할 경우에는, 코일(23)에 전류를 흘려보내고, 제1구동기구(7)를 구동한다. 제1구동기구(7)의 구동에 의해 제1렌즈홀더(3)는 자성체(27)가 한쪽 마그넷(19a)의 자력에 끌어 당겨져, 피안내부(33)가 안내부재(13)의 외주면에 강압되면서 도 1에 나타낸 실선 위치로부터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에 제1렌즈홀더(3)가 도달하면, 코일(23)로의 통전을 정지한다.Next, the effect of the
제1렌즈홀더(3)가 정지하면, 한쪽 마그넷(19a)의 자력으로 자성체(27)가 끌어 당겨져 생기는 피안내부(33)와 안내부재(13)와의 사이의 마찰력으로 제1렌즈홀더(3)는 그 위치에서 보유된다.When the
또한, 포커스용 렌즈(16)를 조립해 넣은 제2렌즈홀더(5)도, 상기 제1렌즈홀더(3)와 동일한 구동 동작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실선 위치로부터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이동한다.Also, the
제1실시형태에서는, 렌즈홀더(3, 5)가 정지하면, 한쪽 마그넷(19a)의 자력으로 자성체(27)가 끌어 당겨져 생기는 피안내부(33)와 안내부재(13)와의 사이의 마찰력으로 렌즈홀더(3, 5)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렌즈홀더(3, 5)를 보유하기 위해서 코일(23)에 전류를 계속해서 흘려보낼 필요가 없고, 소비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코일(23)로의 비통전 시에 있어서, 자성체(27)가 한쪽 마그넷(19a)의 자력으로 끌어 당겨져 피안내부(33)와 안내부재(13)와의 사이의 마찰력으로 렌즈홀더(3, 5)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예컨대 카메라의 휴대 시에 있어서의 흔들림이나 충격이 생겼을 경우에도 렌즈홀더(3, 5)에 흔들림이나 움직임이 생기기 어렵고, 내충격성이 뛰어나다.In the non-energization of the
또, 중간벽부(25c)에 삽통해 있는 코일(23)은 중간벽부(25c)의 주위에 고리 모양으로 감겨 있고, 요크(17)의 한쪽 측벽부(25a)와 중간벽부(25c)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자계와, 다른쪽 측벽부(25b)와 중간벽부(25c)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자계와의 사이에 있는 코일 부분에는 서로 역방향의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하여, 코일(23)에는 제1자계와 제2자계에서 각각 같은 방향의 추진력이 작용하므로, 2개의 추진력을 합계한 값의 합산 추진력을 얻음으로써, 높은 추진력으로 제1렌즈홀더(3) 및 제2렌즈홀더(5)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높은 추진력으로 렌즈홀더(3, 5)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자성체(27)의 사이즈 등을 크게 해서 한쪽 마그넷(19a)에 대한 흡인력을 크게 하더라도, 렌즈홀더(3, 5)의 이동에 필요한 추진력을 확보할 수 있고, 그 결과 큰 흡인력에 의해, 코일(23)로의 통전을 정지했을 때의 일정 위치에서의 렌즈홀더(3, 5)의 보유력을 크게 할 수 있다.Since the
안내부재(13)의 외주면의 2점이 피안내부(33)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으므로, 1점으로 맞닿아 있을 경우에 비해서 렌즈홀더(3, 5)의 가로 방향의 움직임을 막을 수 있어, 렌즈홀더(3, 5)에 흔들림이나 움직임이 한층 생기기 어려워진다.Since two point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안내부재(13)의 외주면의 적어도 2점이 피안내부(33)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으므로, 피안내부(33)와 안내부재(13)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작게 할 수 있고, 렌즈홀더(3, 5)의 시동 시에 있어서의 코일(23)의 통전량을 작게 할 수 있다.Since at least two point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자성체(27)를 코일(23)의 외주쪽과 코일 부착면(31)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성체(27)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별도 필요로 하지 않아서 구성이 간단한 동시에, 자성체(27)를 부착하는 스페이스(공간)도 별도 필요로 하지 않아서 공간 절약화를 꾀할 수 있으며, 렌즈 구동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Since the
자성체(27)는 엷은 판 모양이므로 가공이 용이하고, 판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마그넷의 자력에 끌어 당겨지는 흡인력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 자성체(27)로 스테인리스 합금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합금의 철 함유량을 변경하는 것으로, 마그넷의 자력에 끌어 당겨지는 흡인력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홀더(3, 5)의 이동시에 안내부재(13)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렌즈홀더(3, 5)의 이동 속도의 조정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Since the
다음에, 제2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그 부분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한다. 또한 도 5는 제2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구동장치의 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렌즈 구동장치를 B-B선 단면에서 절단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Next, although 2nd Embodiment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art which shows the effect similar to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is attached | subjected with the same code | symbol,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art is abbreviate |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fference from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is mainly demonstrated. 5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lens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the lens drive device shown in FIG. 5.
제2실시형태는, 오토 포커스의 렌즈 구동장치(1)를 나타내고, 포커스용 렌즈를 보유하는 렌즈홀더(5)의 2개소에 안내부재(13)가 삽통하는 피안내부(33)를 형성하고 있어, 각각의 피안내부(33)를 연결하는 직선이 마그넷(19)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하고 있다. 또 피안내부(33)는 횡단면을 원형 모양으로 하고 있다. 렌즈홀더(5)의 코일 부착면(31)에 부착한 코일(23)은 거의 각통(角筒) 모양이고 또한 종단면이 고리 모양이다. 그리고 고리의 내주쪽 위치에 자성체(27)를 배치하고 있다.2nd Embodiment shows the autofocus
또 상자체(11)의 한쪽 측면을 절개한 부분에 요크(17)가 배치되어 있고, 요크(17)의 내주쪽에 마그넷(19)이 배치되어 있다. 마그넷(19)은 광축 방향의 일단(一端)쪽에 배치한 한쪽의 마그넷(19a)과, 광축 방향의 타단(他端)쪽에 배치한 다른쪽 마그넷(19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쪽의 마그넷(19a)은 안쪽(코일쪽)을 N극, 바깥쪽(요크쪽)을 S극으로 하고 있다. 다른쪽 마그넷(19b)은 안쪽(코일쪽)을 S극, 바깥쪽(요크쪽)을 N극으로 하고 있다.Moreover, the
제1실시형태에서는, 코일 부착면(31)에 있어서의 코일(23)의 고리의 내주쪽 위치에 자성체(27)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코일 부착면(31)과 마그넷(19)과의 사이의 스페이스를 이용해서 자성체(27)를 배치할 수 있어, 자성체(27)의 두께와, 자성체(17)와 마그넷(19)과의 사이의 거리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마그넷(19)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2개의 피안내부(33)를 설치하였으므로, 피안내부(33)는 횡단면을 원형 모양으로 하더라도, 마그넷(19)의 흡인력으로 피안내부(33)가 안내부재(13)의 외주면에 강압되었을 때에 렌즈홀더(5)를 안정적으로 보유할 수 있다.Since the two
다음에 제3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7은 제3실시형태에 관한 렌즈 구동장치의 횡단면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렌즈 구동장치를 C-C선 단면으로 절단한 사시도이다.Next, 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ns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the lens drive device shown in FIG. 7.
제3실시형태에서는, 상자체(11)의 한쪽 측면부에 종단면 コ자 모양의 요크(17)가 배치되어 있고, 바깥쪽 요크(17b)의 안쪽에 마그넷(19)을 배치하여, 횡단면이 고리 모양의 코일(23)의 내주쪽을 안쪽 요크(17a)에 삽통하고 있다. 또 코일(23)의 내주쪽 면에 따라서 고리 모양의 자성체(27)를 배치하고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longitudinal
재1실시형태에서는, 코일(23)의 내주쪽 면에 따라서 고리 모양으로 자성체(27)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자성체(27)의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마그넷(19)에 끌어 당겨지는 흡인력을 크게 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됨이 없이,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mbodiment mentioned above, Needless to say that it can implement in various ways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상술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피안내부는 횡단면을 사각 모양이라고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횡단면을 삼각 모양, 육각 모양으로 하여도 무방하다.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guide portion is referred to as a cross section, but the cross sec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ross section may be triangular or hexagonal.
렌즈 구동장치(1)는 휴대전화에 관계된 카메라에 한정하지 않고, 디지털 카메라에 이용하는 것이라도 좋다.The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렌즈홀더의 이동이 정지하면, 마그넷의 자력으로 위치 보유용 자성체가 끌어 당겨져 피안내부와 안내부재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으로 렌즈홀더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렌즈홀더를 보유하기 위해서 코일에 전류를 계속해서 흘려보낼 필요가 없고, 소비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코일로의 비통전 시에 있어서, 위치 보유용 자성체가 마그넷의 자력으로 끌어 당겨져 피안내부와 안내부재와의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력으로 렌즈홀더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예컨데 카메라의 휴대 시에 있어서의 흔들림이나 충격이 생겼을 경우에도 렌즈홀더에 흔들림이나 움직임이 생기기 어렵고, 내충격성이 뛰어나다.In the case of non-energization of the coil, the position retaining magnetic material is attract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nd holds the lens holder with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guided portion and the guide member. Even in this case, the lens holder is less likely to shake or move, and is excellent in impact resistance.
또한 코일에 통전해서 렌즈홀더를 이동할 때에는, 피안내부와 안내부재와의 사이의 마찰력보다 큰 구동력으로 이동한다.In addition, when the lens holder is energized by moving the coil, the lens holder moves with a driving force larger than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guide portion and the guide member.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요크의 한쪽 측벽부와 중간벽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자계와, 다른쪽 측벽부와 중간벽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자계와의 사이에 있는 코일 부분에는 서로 역방향의 전류가 흐른다. 그러므로,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하여, 코일에는 제1자계와 제2자계에서 각각 동일 방향의 추진력이 작용하므로, 2개의 추진력을 합계한 값의 합산 추진력에 의해, 높은 추진력으로 렌즈홀더를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the first magnetic field formed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wall portion of the yoke, the other side wall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wall portion, Currents in opposite directions flow through the coil portion between the second magnetic field formed between the two and the second magnetic field. Therefore, according to Fleming's left-hand rule, the propulsion force in the same direction is applied to the coil in the first magnetic field and the second magnetic field, respectively, so that the lens holder can be moved with a high propulsion force by the sum of the two propulsion forces. have.
이와 같이, 높은 추진력으로 렌즈홀더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자성체의 사이즈를 크게 해서 마그넷에 끌어 당겨지는 힘(흡인력)을 크게 하더라도, 렌즈홀더의 이동에 필요한 추진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그 결과 큰 흡인력에 의해, 코일에의 통전을 정지했을 때의 렌즈홀더의 보유력을 크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lens holder can be moved with a high propulsion force. Therefore, even if the size of the magnetic body is increased and the force (suction force) attracted to the magnet is increased, the propulsion force necessary for the movement of the lens holder can be sufficiently secured. By the suction force, the holding force of the lens holder when the energization to the coil is stopped can be increased.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과 같은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안내부재의 외주면의 적어도 2점이 피안내부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으므로, 1점으로 맞닿아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렌즈홀더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보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안내부재의 외주면의 적어도 2점이 피안내부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으므로, 피안내부와 안내부재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작게 할 수 있고, 렌즈홀더의 시동 시에 있어서의 코일의 통전량을 작게 할 수 있다.Since at least two point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d portio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guided portion and the guide member can be reduced, and the amount of energization of the coil at the start of the lens holder can be reduced. .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과 같은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위치 보유용 자성체를 코일과 렌즈홀더와의 사이에 설치해 있으므로, 자성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별도 필요로 하지 않아서 구성이 간단한 동시에, 자성체를 부착할 스페이스도 별도 필요로 하지 않아서 스페이스의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the same effect as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과 같은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위치 보유용 자성체는 엷은 판 모양이므로 가공이 용이하고, 판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마그넷의 자력에 끌어 당겨지는 흡인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set forth in
Claims (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311532A JP2007121547A (en) | 2005-10-26 | 2005-10-26 | Lens drive device |
JPJP-P-2005-00311532 | 2005-10-2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5084A true KR20070045084A (en) | 2007-05-02 |
Family
ID=38145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8965A KR20070045084A (en) | 2005-10-26 | 2006-03-30 | Lens driv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07121547A (en) |
KR (1) | KR20070045084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04325B2 (en) * | 2006-12-18 | 2011-11-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Lens barrel |
KR101026195B1 (en) | 2009-07-22 | 2011-03-31 | 주식회사 하이소닉 | Compact camera module |
JP2011118259A (en) * | 2009-12-07 | 2011-06-16 | Canon Inc | Lens barrel unit and imaging apparatus |
JP5834523B2 (en) * | 2011-06-20 | 2015-12-24 | 株式会社ニコン | Actuator,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
KR101906910B1 (en) * | 2011-11-30 | 2018-10-1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Spring-less voice coil motor |
US11112681B2 (en) | 2018-10-12 | 2021-09-07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Lens barrel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99448B2 (en) * | 2004-03-04 | 2010-07-07 | シコー株式会社 | Lens drive device |
-
2005
- 2005-10-26 JP JP2005311532A patent/JP2007121547A/en not_active Ceased
-
2006
- 2006-03-30 KR KR1020060028965A patent/KR20070045084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7121547A (en) | 2007-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732713B (en) | Lens driving device | |
JP5672592B2 (en) | Actuator mechanism and shutter mechanism | |
JP4250409B2 (en) | Lens drive device | |
JP2007128072A (en) | Optical device | |
KR20100108259A (en) | Lens driving apparatus | |
KR20070045084A (en) | Lens driving apparatus | |
US20160018625A1 (en) | Electromagnetic actuator | |
TW201222053A (en) | Lens driving device | |
JP2009265617A (en) | Lens driving apparatus | |
US7881602B2 (en) | Driving device, optical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 |
JP6811026B2 (en) | Lens drive and lens unit | |
JP2007148354A (en) | Lens drive unit | |
KR100681607B1 (en) | Lens driving apparatus | |
JP2009237192A (en) | Lens driving device | |
JP2010014920A (en) | Lens drive device | |
JP4219221B2 (en) | Solid-state imaging device | |
KR20070078032A (en) | Lens driv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process for coil units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 |
JP4499448B2 (en) | Lens drive device | |
US7940482B2 (en) | Lens drive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lens drive apparatus | |
KR20050042722A (en) | Apparatus for adjusting the focus of a digital camera for a mobile phone | |
KR100684037B1 (en) | Lens Actuator | |
JP2019086656A (en) | Drive device,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and lens barrel | |
KR100621682B1 (en) | Lens actuator for camera module | |
JP2011075674A (en) |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 |
JP7533629B2 (en) | Voice coil motor and lens barr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