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4945A -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4945A
KR20070044945A KR1020050101289A KR20050101289A KR20070044945A KR 20070044945 A KR20070044945 A KR 20070044945A KR 1020050101289 A KR1020050101289 A KR 1020050101289A KR 20050101289 A KR20050101289 A KR 20050101289A KR 20070044945 A KR20070044945 A KR 20070044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ood
refrigerator
irradiated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정
황연이
민들레
임석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1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4945A/ko
Priority to US11/585,347 priority patent/US7685934B2/en
Publication of KR20070044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7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using an UV-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의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시키고, 식품에 포함된 영양성분의 감소를 억제하는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 내에 구비되어,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 그리고, 상기 보관실에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며,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發光色)은 시간에 따라 전환되는 조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의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고, 식품에 포함된 영양성분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냉장고, 조사장치, 색(色)

Description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Refrigerator and Method for keeping food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식품 보관용기가 구비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관용기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방식의 냉장고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식품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식품 보관용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Ⅰ-Ⅰ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상부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6은 식품 보관용기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부패널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식품 보관용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Ⅰ-Ⅰ선 단면도;
도 8는 도 3의 선택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냉장고 200: 식품 보관용기
210a, 210b, 210c: 보관실 230a, 230b, 230c: 조사장치
231a, 231b, 231c: 발광소자 231aR: 적색 발광 다이오드
231aG: 녹색 발광 다이오드 231aW: 백색 발광 다이오드
233a, 233b, 233c: 기판 237a, 237b, 237c: 보호커버
250a, 250b, 250c: 선택장치 251a: 오프(off) 버튼
253a: 적색 선택버튼 255a: 녹색 선택버튼
257a: 전환모드 선택버튼 270a, 270b, 270c: 상부 패널
280: 온도 조절장치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시키고, 식품에 포함된 영양성분의 감소를 억제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냉장실의 어느 일측에는 채소류와 과실류(이하 총칭하여 "채소류"이라고 한다.)를 보다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습도를 맞추어 주는 야채실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내의 야채실은 식품 보관용기의 일예가 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식품 보관용기가 구비된 냉장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여러 가지 종류의 냉장고 중 냉동실이 상부에 위치하고, 냉장실이 상기 냉동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탑마운트 방식의 냉장고를 도시하고 있다.
채소류의 신선도 저하의 영향인자는 온도, 습도, 환경 가스, 미생물, 빛 등 으로 알려져 있다. 채소류는 계속해서 호흡과 증산 작용이 행해지기 때문에, 채소류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호흡과 증산적용의 억제가 필수적이다. 구체적으로, 저온에서 장애를 일으키는 일부의 채소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채소류는 저온에서 호흡이 억제되고, 높은 습도에서 증산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일반적인 가정용 냉장고는 채소류를 오랫동안 신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냉장고의 냉장실과는 독립적인 공간으로서 채소류를 보관하는 전용공간인 식품 보관용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식품 보관용기는 채소류를 적정한 저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과 함께, 채소류로부터 증산되는 수분에 의해 습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식품 보관용기에 의해 채소류는 오랫동안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온도와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시켜 채소류의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시킴과 함께, 최근에는 신선도의 또 다른 영향인자인 빛을 이용하여 채소류의 신선도를 유지시키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강한 빛은 식품의 색 변화와 증산작용을 촉진하는 악영향을 미치는 반면, 상대적으로 약한 빛은 채소류의 신선도 유지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약광(弱光)은 특히 녹색 엽채류에 있어서 엽록소(chlorophyll)의 분해가 억제되고, 비타민C의 유지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는 특개평9-28363호에 개시된 바에 따른 것으로서, 상기 냉장고(10)의 하측에 구비된 식품 보관용기(20)에 약광을 조사하는 조사장치(23)를 구비하여, 특히 녹색 엽채류의 엽록소(chlorophyll)의 농도가 저하되는 것 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엽채류의 품질저하를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서랍식 식품 보관용기가 열려있을 때에서는 보관실(21) 내부의 물체를 사용자가 시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램프(29)가 작동하고, 상기 서랍식 식품 보관용기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조사장치(23)을 작동시켜 상술한 바와 같이 빛에 의한 녹색 엽채류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특개평11-159953호는 상기 조사장치(23)를 가시광선 영역에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조사장치(23)에 의한 발열을 최소화하여, 상기 보관실(21) 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조사장치에 비해 높은 효율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특개2005-49093호는 녹색 엽채류에 약 660 nm의 파장을 갖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적용한 형태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특개2005-65622호는 식품 보관용기를 복수 개의 보관실로 구분하여, 채소류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조사장치를 제안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적색, 청색, 녹색의 3색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사용하여 채소류의 종류에 따라 발광색을 조합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조사장치는 종래의 조사장치는 3색의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광색을 조합하여 선택할 수 있지만, 선택된 발광색이 일률적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식품 종류별로 효과적인 발광색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식품이 보관실 에 보관되는 경우 모든 식품이 골고루 신선도가 유지되지 못하였다.
둘째, 종래의 조사장치에는 3색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의한 발광색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수단이 구비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식품에 적합한 빛의 발광색을 알 수 없어서 발광색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이 갖는 실효성이 높지 않았다.
설사 실험에 의해 구체적으로 식품의 종류에 따라 효과적인 빛의 발광색이 밝혀진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이러한 정보를 일일이 기억하여 발광색을 선택하거나, 이와 관련된 정보를 찾아 조사되는 빛의 발광색을 선택하는 것이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관되는 식품이 고르게 식품의 신선도와 영양성분을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 내에 구비되어,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 그리고, 상기 보관실에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며,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은 시간에 따라 전환되는 조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조사장치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사장치는,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이 주기적으로 전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관실에 보관되는 식품의 색(色)을 선택하고, 선택된 식품의 색에 대응하여 상기 조사장치가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을 전환하는 선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사장치가 조사하는 빛은, 적색, 녹색 및 백색을 포함하는 빛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사장치가 조사하는 빛은, 적색, 녹색, 남색, 황색 및 백색을 포함하는 빛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은,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단계; 상기 보관되는 식품에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조사단계; 그리고, 상기 식품에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을 시간에 따라 전환시키는 전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환단계는, 상기 식품에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이 주기적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사장치가 조사하는 빛은, 적색, 녹색 및 백색을 포함하는 빛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사장치가 조사하는 빛은, 적색, 녹색, 남색, 황색 및 백색을 포함하는 빛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 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1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의 냉장고 중에서 냉장실과 냉동실이 우측과 좌측으로 구분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의 냉장고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 냉장실과 냉동실이 냉장고 본체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냉장고 본체 내의 냉장실 하부에는 식품 보관용기(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식품 보관용기(200)는 복수 개의 보관실(210a,b,c), 조사장치(230a,b,c), 선택장치(250a,b,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보관실(210a,b,c)은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으로서, 바닥면과 좌우 측벽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관실(210a,b,c)은 사용자가 식품을 용이하게 넣거나 꺼낼 수 있게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보관실(210a,b,c)의 개폐방식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관실(210a,b,c)의 상부에 힌지(hinge) 구조로 이루어진 도어를 구비하여 상부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관실(210a,b,c)은 습도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되는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관실(210a,b,c)을 밀폐되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식품에서 증산되는 수분에 의해 보관실(210a,b,c) 내의 습도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관실(210a,b,c)에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하나의 단일 보관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보관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품 보관용기(200)가 상하 방향으로 구획된 총 3개의 보관실(210a,b,c)로 이루어진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보관실(210a,b,c) 중 하나 이상은 육류 또는 채소류의 보관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보관실(210a,b,c)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 장치(2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사장치(230a,b,c)는 보관실(210a,b,c)에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참고로, 가시광선은 사람의 눈에 보이는 범위의 파장을 가지고 있는 광선을 말하며, 사람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파장의 범위는 380∼770 ㎚이다. 가시광선 내에서는 파장에 따른 성질의 변화가 각각의 색깔로 나타나며 빨간색으로부터 보라색으로 갈수록 파장이 짧아진다. 예를 들어, 단색광인 경우 700∼610 ㎚는 빨간색, 610∼590 ㎚는 주황색, 590∼570 ㎚는 노란색, 570∼500 ㎚는 녹색, 500∼450 ㎚는 파란색, 450∼400 ㎚는 보라색으로 나타난다.
파장이 770 nm보다 긴 적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보관실(210a,b,c) 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과 함께, 보관되는 식품의 표면 온도를 상승시키고 식품 표면을 변색시켜 식품의 신선도 유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기 조사장치(230a,b,c)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다만, 빨간색 계열의 가시광선 영역과 적외선 영역 및 보라색 계열의 가시광선 영역과 자외선 영역은 정확하게 구분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시광선 영역은 가시광선 영역과 인접한 파장 범위에 있는 일부 적외선 영역과 자외선 영역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조사장치(230a,b,c)는 기판(233a,b,c), 상기 기판(233a,b,c) 상에 설치되는 발광소자(231a,b,c), 상기 발광소자(231a,b,c)에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게 하여 발광소자(231a,b,c)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커버(237a,b,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광소자(231a,b,c)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다른 발광소자(231a,b,c)에 비해 발열이 적고,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상기 식품 보관용기(200)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실시예는 상기 발광소자(231a,b,c)를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함으로써, 조사장치(230a,b,c)에 의한 발열을 최소화하여 상기 발광소자(231a,b,c)에 의한 온도 상승을 최소화하고, 다른 조사장치(230a,b,c)에 비해 저전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자는 실험에 의해 보관되는 식품에 가장 효과적인 빛의 발광색은 보관되는 식품의 색에 따라 정하여 지고, 보관되는 식품의 색이 적색 계열인 경우에는 적색계열의 빛을 조사하고, 녹색 계열인 경우에는 녹색계열의 빛을 조사하는 것 이 식품의 신선도와 영향성분 유지에 가장 효과적이다는 것을 밝혀냈다.
특히, 본 발명자는 녹색계열 색의 식품에 대하여, 녹색의 빛을 단독으로 조사하는 것보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녹색과 백색의 빛을 조합하여 조사하는 것이 신선도 유지와 엽록소 농도저하 방지에 더 효과적이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밝혀냈다.
참고적으로, 상기 식품 보관용기(200)에 보관되는 식품은 주로 채소류와 과실류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소류는 보다 구체적으로 이용부분에 따라, 잎이나 줄기를 이용하는 경엽채류(莖葉菜類), 뿌리나 땅속줄기를 이용하는 근채류(根菜類), 열매를 이용하는 과채류(果菜類)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채소류와 과실류를 색에 따라 분류할 때, 적색계열의 식품의 예로는 딸기, 토마토, 자두 등이 들 수 있고, 녹색 계열의 식품의 예로는 시금치, 청경채, 양배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식품을 적색계열과 녹색계열로 구분하여, 적색계열로 분류된 식품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로 조사하고, 녹색계열로 분류된 식품에 녹색과 백색의 발광 다이오드를 조합하여 조사하여, 일정 기간 후 상기 보관된 식품의 신선도 변화추이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일률적으로 가시광선 계열의 백색 발광 다이오드로 조사하는 경우보다 녹색계열의 식품은 식품의 변색이 확연히 감소하고 건조현상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적색계열의 식품은 곰팡이가 생기지 않고 무름 현상이 거의 생기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보관실에 단일 색계열의 식품이 보관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한 발광색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보관실 내에 적색계열과 녹색계열의 식품이 함께 보관되는 경우에는 모든 식품의 신선도를 고르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제3보관실(210c)에서와 같이, 적색계열 색에 해당하는 딸기와 녹색계열 색에 해당하는 청경채를 하나의 보관실에 같이 보관하였을 때, 적색계열에 색에 대응하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로 빛을 조사하게 되면, 딸기의 신신도 유지에는 효과적이지만 청경채에 있어서는 신선도 유지의 효과가 크지 않은 문제점이 생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보관되는 식품들이 고르게 신선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조사장치(230a,b,c)는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이 시간에 따라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적색, 백색, 녹색의 온, 오프 시간을 조절하여,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이 시간에 따라 전환되도록 구성하였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장치(250a,b,c)는 제1보관실(211a)에서 적색 발광다이오드(231aR)에서 녹색과 백색의 발광 다이오드(231aG,231aW)가 조합하여 조사되도록 전환되고, 다시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역으로 녹색과 백색의 발광 다이오드(231aG,231aW)의 조합에서 적색 발광다이오드(231aR)가 조사되도록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사장치(230a,b,c)가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은 주기적으로 전환 되도록 구성하고 적절한 주기로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식품들이 모두 신선도가 오래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사장치가 조사하는 빛은, 적색, 녹색, 남색, 황색 및 백색을 포함하는 빛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험을 통해, 본 발명자는 식품의 색이 적색 계열인 경우에는 적색의 빛, 식품의 색이 녹색 계열인 경우에는 녹색의 빛과 백색의 빛을 조합, 식품의 색이 황색 계열인 경우에는 백색의 빛, 식품의 색이 백색 계열인 경우에 상기 조사장치는 황색의 빛과 백색의 빛을 조합, 식품의 색이 보라색 계열인 경우에 상기 조사장치는 황색의 빛과 백색의 빛을 조합하여 조사하는 것이 효과가 크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색을 가진 식품이 고르게 신선도가 유지되도록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을 전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사장치(230a,b,c)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즉, 상기 보관실(210a,b,c)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관실(210a,b,c)의 외부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사장치(230a,b,c)가 상기 보관실(210a,b,c)의 상측에 구비된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선택장치(250a,b,c)는 상기 보관실(210a,b,c)에 보관되는 식품의 색을 선택하고, 선택된 식품의 색에 대응하여 상기 조사장치(230a,b,c)가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을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선택장치(250a,b,c)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식품 보관용기(200)는 상기 보관실 (210a,b,c)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센서를 통해 상기 보관실(210a,b,c)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보관실이 닫혀있는 경우에는 조사장치(230a,b,c)에 의해 빛이 조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여, 냉장고의 제1실시예의 발광소자 배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광소자(231a,b,c)의 위치와 배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보관되는 식품에 골고루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발광소자(231a,b,c)의 위치와 배치에 대한 일예로서, 총 3칸의 보관실(210a,b,c) 중 제1보관실(230a)에 대한 조사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관실(210a)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 패널(270a)의 중심부에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231aR), 녹색 발광 다이오드(231aG), 백색 발광 다이오드(231aW)가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심부가 이루는 원을 동일 각도로 구획하고, 각각의 구획된 부채꼴 형상의 공간에 적색 및 녹색과 백색의 발광 다이오드(231aR,231aG,231aW)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녹색과 백색의 발광 다이오드(231aG,231aW)는 녹색 계열의 식품에 함께 조사되도록 구성되므로, 각각의 구획된 부채꼴 형상의 공간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는 보관되는 식품에 빛으로 골고루 조사할 수 있도록 빛의 조사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조사장치가 적색, 녹색 및 백색의 발광소자로 이루어진 형태를 예시하고 있지만, 기타 남색이나 황색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조사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편의상, 가장 상부에 위치하는 제1보관실(210a)에 대한 상부 패널(370a)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사장치(230a)는 상기 상부 패널(370a)의 중심부에 집중되어 배치되지 않고, 상기 상부 패널(370a)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식품에 골고루 빛이 조사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보관실(210a)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 패널(370a) 전체에 걸쳐 적색 발광 다이오드(331aR)와 녹색 및 백색 발광 다이오드(331aG, 331aW)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한편, 본실시예도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녹색과 백색의 발광 다이오드(331aG,331aW)는 녹색 계열의 식품에 서로 조합되어 조사되므로, 각각의 구획된 부채꼴 형상의 공간에 함께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 2실시예와 달리, 조사장치(430a,b,c)가 상측이 아닌 상기 보관실(210a,b,c)의 외측 후방에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조사장치(430a,b,c)는 상기 보관실의 외측 후방에 냉장고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사장치(430a,b,c)에서 조사되는 빛은 보관실(210a,b,c)을 형성하는 측벽을 통과하여 보관실(210a,b,c) 내로 조사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관실(210a,b,c)을 형성하는 측벽은 빛을 투과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사장치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하로 구획된 보관실(210a,b,c) 각각에 빛을 조사하도록 기판(433a,b,c), 상기 기판(433a,b,c) 상에 설치되는 발광소자(431a,b,c), 상기 발광소자(431a,b,c)에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게 하여 발광소자(431a,b,c)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커버(437a,b,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사장치(430a,b,c)는 발광소자(431a,b,c)가 외측 후방의 일측에 집중적으로 배치된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상술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외측 후방에서 넓은 범위에 걸쳐 가로 세로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택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장치(250a,b,c)는 상기 상부 패널(270a,b,c) 각각의 전방에 구비된다. 도 8은 상기 선택장치(250a,b,c) 중 제1보관실(210a)에 해당하는 선택장치(250a)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장치(250a)는 총 4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오프 버튼(251a), 적색 선택버튼(253a), 녹색 선택버튼(255a), 전환모드 선택버튼(257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프 버튼(251a)은 상기 조사장치를 오프하는 동작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조사장치(230a,b,c)에 작동을 중지시킬 때 선택하게 된다.
상기 적색 선택버튼(253a)은 적색계열 색을 가진 식품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식별성을 높이기 위해 적색계열에 해당하는 식품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적색 선택버튼(253a)의 색도 적색으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녹색 선택버튼(255a)은 녹색계열 색을 가진 식품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적색 선택버튼(253a)와 유사하게 사용자의 식별성을 높이기 위해 녹색계열에 해당하는 식품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녹색 선택버튼(255a)의 색도 녹색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환모드 선택버튼(257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라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이 전환되는 모드를 선택하는 버튼이다.
도 8은 선택장치가 버튼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선택레버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기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선택장치(250a,b,c)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식품의 색을 선택하여 발광색이 전환되거나, 전환모드를 선택하여 시간에 따라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이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관용기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의 냉장고에 적용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상부에 냉동실을 구비하고 하부에 냉장실을 구비한 탑마운트 방식의 냉장고에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식품을 보관하고, 보관되는 식품에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한다. 이때, 식품에 조사되는 빛은 적색, 녹색, 남색, 황색, 백색을 포함하는 빛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식품에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을 시간에 따라 전환시킴으로써, 보관된 식품이 고르게 신선도가 유지될 수 있다.
지금까지 주로 채소류를 대상으로, 상기 식품 보관용기를 냉장고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육류, 곡류, 김치, 주류 등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대상으로 하며, 냉장고 이외에 김치냉장고, 쌀통, 와인(wine) 저장고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관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은 시간에 따라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식품이 보관실에 보관되는 경우 모든 식품이 골고루 신선도가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식품의 색에 따라 분리하여 보관하고, 해당 식품의 색에 가장 적합한 빛의 발광색을 조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사장치에 의한 식품의 신선도 유지와 엽록소 농도저하 방지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이점이 있다.
셋째, 사용자가 보관되는 식품의 색을 선택할 수 있게 하여, 필요에 따라 보관되는 식품에 적합한 빛의 발광색을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조사되는 빛의 발광색을 선택하는 명확하고 직관적인 기준을 마련하여, 사용자가 쉽게 발광색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조사장치에 대한 신뢰를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 내에 구비되어,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실; 그리고,
    상기 보관실에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며,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發光色)은 시간에 따라 전환되는 조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장치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장치는,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이 주기적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실에 보관되는 식품의 색(色)을 선택하고, 선택된 식품의 색에 대응하여 상기 조사장치가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을 전환하는 선택장치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장치가 조사하는 빛은,
    적색, 녹색 및 백색을 포함하는 빛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장치가 조사하는 빛은,
    적색, 녹색, 남색, 황색 및 백색을 포함하는 빛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식품을 보관하는 보관단계;
    상기 보관되는 식품에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조사단계; 그리고,
    상기 식품에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을 시간에 따라 전환시키는 전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단계는,
    상기 식품에 조사하는 빛의 발광색이 주기적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단계에서 조사하는 빛은,
    적색, 녹색 및 백색을 포함하는 빛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단계에서 조사하는 빛은,
    적색, 녹색, 남색, 황색 및 백색을 포함하는 빛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
KR1020050101289A 2005-10-25 2005-10-26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 KR20070044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289A KR20070044945A (ko) 2005-10-26 2005-10-26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
US11/585,347 US7685934B2 (en) 2005-10-25 2006-10-24 Refrigerator and method for keeping fo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289A KR20070044945A (ko) 2005-10-26 2005-10-26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945A true KR20070044945A (ko) 2007-05-02

Family

ID=3827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289A KR20070044945A (ko) 2005-10-25 2005-10-26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49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5934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keeping food using the same
KR20070045482A (ko) 냉장고 및 식품 보관방법
JP4433958B2 (ja) 冷蔵庫
JP4903485B2 (ja) 冷蔵庫
EP1949010B1 (en) Refrigerator
KR100826202B1 (ko) 김치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100170278A1 (en) Refrigerator
CN101487620B (zh) 冰箱
JP4501294B2 (ja) 冷蔵庫
KR20070044943A (ko)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
CN101085651A (zh) 食品保存容器和具有该食品保存容器的冰箱及食品保存方法
CN1987311B (zh) 冷藏柜以及利用冷藏柜储存食品的方法
JP3718215B2 (ja) 冷蔵庫
KR100820833B1 (ko) 냉장고
CN1987310B (zh) 电冰箱以及利用电冰箱的食品储存方法
JP3914952B2 (ja) 冷蔵庫
KR20070044945A (ko)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
KR20070044944A (ko)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
CN101086411A (zh) 冰箱和采用这种冰箱的食品保存方法
CN101086410A (zh) 冰箱及采用这种冰箱的食品保存方法
KR20070044946A (ko)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식품 보관방법
JP2018054281A (ja) 冷蔵庫、冷蔵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873133B1 (ko) 냉장고와 이의 제어방법
CN101085652A (zh) 食品保存容器和具有该食品保存容器的冰箱及食品保存方法
KR10073569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