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4484A - 압축 래치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압축 래치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4484A
KR20070044484A KR1020077005272A KR20077005272A KR20070044484A KR 20070044484 A KR20070044484 A KR 20070044484A KR 1020077005272 A KR1020077005272 A KR 1020077005272A KR 20077005272 A KR20077005272 A KR 20077005272A KR 20070044484 A KR20070044484 A KR 20070044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andle
rod
doo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차드 이 쉬랙
프레드릭 에이치 스틸웰
대일 디 터너
데이비드 씨 밀른
제프리 엘 안토누치
Original Assignee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44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92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or only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2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56Locks with adjustable or exchangeable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3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crank pins and connecting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8Details of fastening means or of fixed retaining means for the ends of bars
    • E05C9/1825Fastening means
    • E05C9/1833Fastening means performing sliding movements
    • E05C9/185Fastening means performing sliding movements parallel with actuating b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31Lever operator, flu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76Double acting
    • Y10T292/0878Sliding
    • Y10T292/0879Rol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82Kno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 Y10T70/5761Retractable or flush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의 폐쇄를 선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접이식 핸들을 구비한 압축 래치가 개시된다. 래치는 접힘 위치에서 핸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컵부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함으로써 접힘 위치에서 도어의 외부 면 위로 래치 핸들이 돌출하는 것이 최소화된다. 핸들은, 폴이 래치 위치와 비래치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회전 및 직선 운동의 조합으로 폴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Figure 112007018207199-PCT00001
압축 래치, 접이식 핸들, 킥스탠드, 베어링 플레이트, 래치 위치, 접힘 위치

Description

압축 래치 메커니즘{COMPRESSION LATCH MECHANISM}
본 발명은 패널 또는 도어를 도어 프레임 등에 대하여 폐쇄위치에 선택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압축 래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도어 또는 패널 및 도어 프레임 사이에 압축력을 발생시키는 동안에, 패널 또는 도어를 도어 프레임 등에 대하여 폐쇄위치에 선택적으로 유지시킬 필요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어가 폐쇄될 때 도어 및 도어 프레임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스킷이 사용되는 경우에, 도어가 폐쇄되도록 유지하는 래치가 도어 및 도어 프레임 사이의 틈 또는 이음매(seam)를 효과적으로 밀폐하기 위하여 도어 및 도어 프레임 사이에 개스킷을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 및 도어 프레임 사이에서 이러한 종류의 압축력을 발생시키는 래치는 압축 래치로 알려져 있다. 공지된 압축 래치의 일례가 미국 특허 제4,763,935호(1988.08.16, Robert H. Bisbing)에 알려져 있다.
미국 특허 제4,763,935호에는 도어와 도어 프레임 사이의 압축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스프링 가압하에 중간 위치로 초기에 밀려나오는(kick out) 핸들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도어와 도어 프레임 사이의 압축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스프링 가압하에 중간 위치로 초기에 밀려나오는 핸들을 구비한 압축 래치에 대한 요구가 당업계에서 지속되어 왔다.
본 발명은 도어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기 위한 접이식 핸들을 구비한 압축 래치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래치 메커니즘은, 접힘 위치(folded-down position)에 있을 때 도어의 외부 표면 위로 래치 핸들이 돌출하는 부분을 최소화하도록 핸들을 접힘 위치에서 수용하기 위한 용기부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래치 메커니즘은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는 폴(pawl)을 포함한다. 폴이 래치 위치(latched position)와 비래치 위치(unlatch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될 때 샤프트와 폴은 회전 및 직선 운동의 조합으로 함께 이동한다. 폴은 비래치 위치로부터 래치 위치로 이동할 때 도어 및 도어 프레임 사이의 압축력을 발생시킨다. 래치 메커니즘 핸들은, 도어 및 도어 프레임 사이에서의 압축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쉽게 붙잡을 수 있도록, 스프링 가압하에서 중간 위치로 초기에 밀려나온다(즉, 튀어나온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지점에서 래칭이 가능한 압축 래치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지점 래칭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절 가능한 그립(grip)을 구비한 로드(rod)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이 래치 배치에 있는 것 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이 비래치 배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샤프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킥스탠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베어링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0 내지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핸들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6 내지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부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3 내지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9 내지 도 5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핸들 로트 메커니즘 커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6 내지 도 5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설치 브래킷을 나 타내는 도이다.
도 60 내지 도 6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핸들 유지 클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6 내지 도 7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드록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걸쇠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2 내지 도 7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로 캐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8 내지 도 8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 잠금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1 내지 도 8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9 내지 도 9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원격 래칭 로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2 내지 도 9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로드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5 내지 도 9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로드 단부 스탬핑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0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의 원격 래칭 구 성요소 및 설치 브래킷에 관한 확대도이다.
도 101 및 도 10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가 래치 배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3 내지 도 10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가 래치 배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주변도이다.
도 108 및 도 109는 핸들이 중간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보여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0 내지 도 114는 핸들이 중간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보여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변도이다.
도 115 및 도 116은 핸들이 제 1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보여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7 내지 도 121은 핸들이 제 1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보여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변도이다.
도 122 내지 도 12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가 비래치 배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주변도이다.
도 127 내지 도 129는 패드록 걸쇠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0 내지 도 13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6 내지 도 14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의 샤프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1 내지 도 14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의 베어링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8 내지 도 15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의 핸들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4 내지 도 15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의 부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0 내지 도 165는 본 발명에 따른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의 핸들 잠금 메커니즘 커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6 내지 도 17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의 설치 브래킷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2 내지 도 17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의 핸들 유지 클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8 내지 도 18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의 원격 래칭 로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1 내지 도 18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의 로드 단부 스탬핑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5 내지 도 19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의 로드 액추에이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1 내지 도 19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의 액추에이터 허브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7은 볼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의 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8 내지 도 20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의 액추에이터 허브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제 1 부재를 제 2 부재에 대하여 폐쇄 위치에 선택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래치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 1 부재는 도어가 될 수 있고 제 2 부재는 도어 프레임 또는 도어 프레임에 부착된 키퍼(keeper)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8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압축 래치 메커니즘(100)은 하우징(102), 샤프트(104), 킥스탠드(kickstand)(106), 베어링 플레이트(108), 핸들(110), 제 1 가압수단(112), 제 2 가압수단(114), 및 캐치(catch)수단(116)을 포함하고 있다. 압축 래치 메커니즘(100)은 도어(101) 등의 제 1 부재를 도어 프레임(103) 등의 제 2 부재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하우징(102)은 제 1 부재, 즉 도어(101)에 부착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은 접힘 위치에서 핸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용기부(118)을 구비함으로써, 접힘 위치에서 도어(101)의 외부 표면 위로 래치 핸들(110)이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시킨다. 래치 하우징(102)은 도어(101)의 개구부에 설치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어서, 래치 하우징이 도어에 설치되었을 때 래치 하우징(102)이 도어(101)의 외 부 표면 위로 작은 높이로만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작은 높이는 래치 하우징(102)의 용기부(118)의 개방된 상부를 둘러싸는 플랜지, 즉 베젤(bezel)(120)의 두께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래치 핸들(110)이 접힘 위치에 있을 때 래치 핸들(110)은 래치 하우징(102)의 용기부(118)의 플랜지, 즉 베젤(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다. 래치 하우징(102)의 용기부(118)는 대체로 트로프(trough)의 형상이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래치 핸들(110)의 외형에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폴(122)이 폴(122)의 래치 위치(latched position)에 상응하는 회전 위치에 있을 때 핸들(110)은 용기부(118)에 수용되도록 접혀질 수 있을 뿐이다. 폴(122)이 폴(122)의 래치 위치에 상응하는 회전 위치에 있지 않을 때 래치 핸들(110)을 접으려는 시도는 실패할 것인데, 이는 래치 핸들(110)의 일부분이 래치 하우징(102)의 용기부(118)의 개방된 상부와 정렬되어 있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며, 따라서 래치 핸들(110)은 래치 하우징(102)의 용기부(118) 안으로 접힐 수 없다.
하우징(102)은 샤프트(104)가 통과하는 슬리브(124)를 구비하고 있고, 슬리브(124)는 샤프트(104)의 제 2 단부(128)에 가장 근접한 슬리브(124)의 단부에서 한 쌍의 슬롯(126)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2)은 또한, 제 1 베어링 면(13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2)은 슬리브(124)를 직접 둘러싸고 있는 용기부(118)의 부분과 용기부(118)의 나머지 부분을 구분하는 구분 벽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구분 벽부(132)의 상부면은 제 1 베어링 면(130)을 형성한다.
샤프트(104)는 길이방향 축선, 제 1 단부(134) 및 제 2 단부(128)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104)는 그 길이방향 축선 주위를 회전운동하고 그 길이방향 축선 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기 위하여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104)는 압축 래치 메커니즘(100)이 래치 배치(latched configuration) 및 비래치 배치(unlatched configuration) 사이에서 작동될 때 래치 위치(latched position) 및 비래치 위치(unlatch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한다. 래치 배치로부터 비래치 배치로 작동하고 그 후에 래치 배치로의 복귀하는 압축 래치 메커니즘(100)의 작동은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작동 사이클을 구성한다.
킥스탠드(106)는 샤프트(104)의 제 1 단부(134) 부근에서 샤프트(104)에 피벗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킥스탠드(106)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링 면(136) 및 적어도 하나의 릴리프(relief) 노치(138)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베이링 면(136) 및 한 쌍의 릴리프 노치(138)가 제공되어, 샤프트(104)의 각 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킥스탠드(106)는 서로 정렬되어 킥스탠드(106)를 샤프트(104)에 피벗운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한 쌍의 홀(140)을 구비하고 있다. 킥스탠드(106)는,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작동 사이클의 적어도 일부 동안에 샤프트(104)에 대하여 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피벗 축선 주위로 샤프트(104)에 대하여 피벗운동가능하게 움직인다. 상기 피벗 축선은 제 1 단부(134) 부근에서 샤프트(104)를 통과하는 홀(144); 및 킥스탠드(106)를 샤프트(104)에 피벗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홀(140);을 통과하는 피벗 축(142)에 의하여 형성된다.
베어링 플레이트(108)는 샤프트(104)의 제 1 단부(134) 및 샤프트(104)의 제 2 단부(128) 사이에 배치된다. 베어링 플레이트(108)는 하우징(102)에 의해, 특히 슬리브(124)를 직접 둘러싸는 용기부(118)의 부분에 의해 지지된다. 베어링 플레 이트(108)는 상승된 베어링 면(146) 및 낮은 베어링 면(148)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어링 플레이트(108)는 슬리브(124)의 보어와 일치하는 중심 홀(150)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110)은 샤프트(104)의 제 1 단부(134) 부근에서 샤프트(104)에 피벗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핸들(110)은 서로에 대하여 정렬되어 있고 핸들(110)과 샤프트(104) 사이에 피벗식 결합을 구성하기 위하여 핸들(110)을 샤프트(104)에 피벗운동가능하게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한 쌍의 홀(152)을 구비하고 있다. 홀(144) 및 홀(140)을 통과하는 전술한 피벗 핀(142)이 킥스탠드(106), 핸들(110) 및 샤프트(104)를 동일한 공통의 피벗 축선 주위로 서로에 대하여 피벗운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홀(152)도 통과한다. 핸들(110)이 접힘 위치 및 제 1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핸들(110)은 피벗 핀(142)에 의해 형성된 피벗 축선 주위로 샤프트(104)에 대하여 피벗운동가능하게 이동한다. 핸들(110)은 킥스탠드 접촉 면(154)을 구비하고 있다. 킥스탠드(106)과 핸들(110)은, 피벗 핀(142)의 일측 상에 킥스탠드 접촉 면(154)에 의해 한정되어 있는 소정의 피벗 운동 범위에 걸쳐 서로에 대하여 피벗식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핸들(1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상승 위치로 회전될 수 있어서, 압축 래치 메커니즘(100)을 비래치 배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핸들(110)은 하측부(156) 및 손잡이부(158)를 구비하고 있다.
도 12 내지 도 16에 잘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샤프트(104)는 나사부(188) 및 나사부(188)의 일측 상에 편평한 측면(190)이 개재되어 있는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나사부(188)는 샤프트(104)의 제 2 단부(128)를 포함하고 있다. 샤프트(104)에는, 샤프트(104)의 제 1 단부(134) 부근 위치에서 샤프트(104)의 길이방향 축선을 가로질러 샤프트(104)를 관통하는 홀(144)이 구비되어 있다. 샤프트(104)에는 C-클립(178)에 의해 맞물림되기 위한 환형 그루브(180)이 구비되어 있다. 환형 그루브(180)는 샤프트(104)의 나사부(188)의 상단부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폴(122)이 도어 프레임(103)에 맞물리기 위하여 제공되어 도어(101)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고 샤프트(104)가 비래치 위치에서 래치 위치로 이동될 때 도어 및 도어 프레임 사이에 압축력을 가한다. 폴(122)은 샤프트(104)의 제 2 단부 및 하우징(102) 중간에 샤프트(104)에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폴(122)은 샤프트(104)의 나사부(188)를 따라 샤프트(104)에 설치된다. 압축 래치 메커니즘이 도어(101)에 설치되어 샤프트(104)가 래치 위치(도 82 참조) 및 중간 확장 위치(도 86 참조) 중 어느 하나에 있을 때, 폴(122)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어 프레임(103)을 형성하거나 도어 프레임(103)에 고정되는 구조 뒤에 배치되도록 폴(122)이 샤프트에 설치된다. 폴(122)은 샤프트(104)의 래치 위치 및 비래치 위치에 각각 상응하는 래치 위치(도 2 및 도 3) 및 비래치 위치(도 4 및 도 5) 사이에서 이동한다. 폴(122)은 샤프트(104)와 일체로 이동한다.
제 1 가압수단(112)은 압축 코일 스프링의 형태이고, 제 1 가압수단(112)에 의해 샤프트(104)에 전달되는 가압 하에서 샤프트(104)의 제 2 단부(128)가 하우징(102)으로부터, 특히 슬리브(124)로부터 큰 간격으로 돌출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도록 샤프트(104)를 가압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샤프트(104)는 슬리브(124)의 보어(162)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샤프트(104)는 샤프트(104)의 제 1 단부(134)가 하우징(102)의 용기부(118)에 위치될 수 있도록 슬리브(124)의 상부 개구부(164)를 통하여 뻗어있다. 제 1 단부(134) 및 홀(144)을 포함하는 샤프트(104)의 부분은, 전술한 것처럼 킥스탠드(106), 핸들(110) 및 샤프트(104) 사이에 피벗식 연결이 이루어지는 슬리브(124)를 직접 둘러싸는 용기부(118)의 부분에 위치된다. 또한, 베어링 플레이트(108)의 낮은 베어링 면(148)이 용기부(118)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슬리브(124)의 상단부와 핀(142)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샤프트(104)는 베어링 플레이트(108)의 중심 홀(150)을 통과한다. 베어링 플레이트(108)의 낮은 베어링 면(148)은, 핸들(110)이 선택적으로 접히고 상승될 때 핸들(110)의 캠 로브(166)가 지탱할 수 있는 베이링 면을 제공함으로써 하우징(102) 상의 마모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베어링 플레이트(108)에 의하여 낮은 가격의 재료로 하우징(102)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또한 베어링 플레이트(108)가 하우징(102)과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슬리브(124)의 상부 개구부(164)의 직경은 슬리브(124)의 보어(162)의 직경보다 작으며, 따라서 환형 숄더(168)를 형성한다. O-링(170)이 숄더(168)에 기대어 보어(162)에 위치된다. 와셔(172)는 O-링(170)에 인접하여 보어(162)에 위치된다. O-링(170)과 와셔(172) 모두는 샤프트(104)를 둘러싼다. O-링(170)이 슬리브(124)의 상부 개구부(164) 및 샤프트(104)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동시에, 와 셔(172)는 스프링(112)의 일단이 지탱할 수 있는 보호 면을 제공한다. 스프링(112)은 또한 하우징(102)의 슬리브(124)의 보어(162) 내에 실질적으로 위치되고, 그 코일은 샤프트(104)를 둘러싼다. 부싱(174)은 스프링(112)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스프링(112)의 하단부가 부싱(174) 내부에서 숄더(176)에 대하여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부싱(174)은 샤프트(104)를 둘러싸고, 하우징(102)의 슬리브(124)의 보어(162)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여있다. C-클립(178)이 부싱(174)을 샤프트(104) 주위에 제자리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환형 그루브(180)를 맞물고 있다.
각주형 돌출부(182)(본 실시예에서 측면 돌출부로서 지칭되기도 한다)가 샤프트(104)에 의해 지지되는 부싱(174)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하우징(102)의 슬리브(124)에는, 하우징(102)의 용기부(118)에서부터 선단인 슬리브(124)의 단부에 한 쌍의 노치 또는 슬롯(184)가 구비되어 있다. 폴(122)이 폴(122)의 래치 위치에 상응하는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측면 돌출부(182)는 한 쌍의 슬롯(184)과 맞추어진다. 즉, 핸들(110)이 제 1 상승 위치 및 접힘 위치에 있거나 그 사이에 있을 때에만 측면 돌출부(182)가 한 쌍의 슬롯(184)과 맞추어진다. 핸들(110)이 폴(122)을 그 래치 위치에 상응하는 회전 위치에서 벗어나게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되면, 돌출부(182)는 슬롯(184)과의 정렬이 어긋나게 될 것이다. 돌출부(182)가 이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182)는 슬리브(124)의 선단부의 테두리에 매우 근접하여 위치된다. 핸들(110)은 핸들 캠 면(186)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캠 로브(166)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캠 로브(166)가 킥스탠드(106)의 양측에 제공된다. 핸들(110)이 제 1 상승 위치 또는 제 2 상승 위치에 있거나 그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있을 때, 핸들 캠 면(186)은 베어링 플레이트(108)의 낮은 베어링 면(148)에 접하여 있고 핸들(110)을 접으려는 시도가 있을 경우에 샤프트(104)의 제 1 단부(134)를 베어링 플레이트(108)로부터 들어올리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시도는 돌출부(182)가 슬리브(124)의 선단부의 테두리와 간섭을 일으키도록 하고, 이에 따라 폴(122)과 핸들(110)이 래치 위치에 상응하는 회전 위치에 있지 않을 때에 더 이상 핸들(110)이 접히지 않도록 방지된다. 따라서, 돌출부(182)가 슬롯(184)과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핸들(110)이 접히려는 경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측면 돌출부(182)가 한 쌍의 슬롯(184)과 맞추어 지는 위치, 즉 핸들(110)이 제 1 상승 위치 및 접힘 위치에 있거나 그 사이의 위치에 있는 것에 상응하는 위치에 있을 때, 접힘 위치를 향하는 핸들(110)의 이동에 응하여 폴(122)과 샤프트(104)의 직선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대안적 구성으로서, 샤프트(104)의 제 2 단부(128)에 가장 근접하여 있는 스프링(112)의 단부가 샤프트(104) 주위에 위치된 환형 칼라에 대하여 지탱할 수 있으며, 칼라가 샤프트(104)를 통과하는 핀 및 스프링(112)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핀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핀의 단부는 핀이 충분히 길다면 돌출부(182)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대안적 구성으로서, 전술한 대안적 구성에서 설명한 칼라에는 샤프트(104)의 홀과 맞추어지는 직경방향으로 정렬된 홀이 제공될 수 있다. 유지 핀은 스프링(112)을 샤프트(104) 주위에 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샤프트(104)와 칼라를 모두 통과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유지 핀의 단부는 핀이 충분히 길다면 돌 출부(182)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스프링(112)은 압축하에 있으며, 샤프트(104)의 나사부(188)를 하우징(10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경향이 있는 가압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스프링(112)의 가압력은 부싱(174)과 C-클립(178)을 통하여 샤프트(104)에 가해진다.
제 2 가압수단(114)은 핸들(110)을 접힘 위치로부터 접힘 위치와 제 1 상승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를 향하여 가압하고, 킥스탠드(106)를 래치 위치로 가압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제 2 가압수단(114)는 피벗 핀(142)의 일측 상에서 핸들(110)과 킥스탠드(106) 사이에 제공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114)의 형태이다. 스프링(114)은 핸들(110)의 킥스탠드 접촉 면(154)에 대향하는 피벗 핀(142)의 일측 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스프링(114)은 핀(142)의 일측 상에서 떨어져 핸들(110)과 킥스탠드(106)를 밀어내는 경향이 있고, 스프링(114)은 핸들(110)의 킥스탠드 접촉 면(154)을 킥스탠드(106)과 접촉하도록 밀어내는 경향이 있다. 스프링(114)의 일부는 그 일단부에서, 핸들(110)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캐비티(cavity)(192)에 수용된다. 스프링(114)의 타단은 킥스탠드(106)과 접촉하여 있다. 킥스탠드(106)에는, 킥스탠드(106)과 접촉하여 있는 스프링(114)의 단부 부근에서 스프링(114)의 하나 이상의 코일을 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94)가 구비되어 있다. 캐비티(192)와 돌출부(194)는 협동하여 스프링(114)을 적절한 위치에 있도록 유지시킨다.
캐치 수단(116)은 핸들(110)을 접힘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핸들(110)을 하우징(102)의 용기부(118) 내부에서 접힌 상태로 유지하 는 것은 래치 메커니즘(100)의 파손에 대한 취약성을 감소시킨다. 캐치 수단(116)은 맞물림 위치(engaged position) 및 비맞물림 위치(disengaged position) 사이에서의 직선 이동을 위하여 하우징(102)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이딩 클로(claw)(196)를 포함하고 있다. 캐치 수단(116)은 클로(196)를 맞물림 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스프링(198)을 더 포함하고 있다. 클로(196)는 핸들(110)의 손잡이부 아래에 위치되어 있고, 핸들(110)이 접힘 위치에 있을 때 완전히 숨겨진다. 클로(196)는 경사진 면(202)과 캐치 면(204)을 구비하고 있는 경사진 돌출부(200)를 구비하고 있다. 비맞물림 위치에서 클로(196)는 핸들(110)의 손잡이부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캐비티(206)와 맞추어진다. 계단부(208)는 캐비티(206) 및 횡단 보어(개구부)(210)가 교차함으로써 캐비티(206)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캐치 면(204)은 핸들(110)을 접힘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계단부(208)에 맞물린다. 경사진 면(202)은 클로(196)를 비맞물림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캐비티(206)의 가장자리와 상호작용하여, 이에 따라 핸들(110)이 접힘 위치로 이동되고 있을 때 클로(196)가 캐비티(206) 내부로 이동하도록 한다. 핸들(110)이 접힘 위치에 있으면, 핸들(110)을 접힘 위치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캐치 면(204)은 스프링(198)에 의해 가해지는 힘 하에서 계단부(208)와 맞물림되도록 이동한다.
래치 메커니즘(100)은 하우징(102)에 의해 지지되는 잠금 실린더(212)를 더 포함하고 있다. 잠금 실린더(212)는 종래 방식대로 키에 의해 작동된다. 키가 잠금 실린더(212)에 삽입되면, 잠금 실린더(212)는 키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하여 잠금 실린더 자체의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키가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 실린더(212)는 잠금 위치(locked position) 및 비잠금 위치(unlocked position)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캠 돌출부(214)가 잠금 실린더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서 잠금 실린더(212)의 내부 단부에 제공된다. 잠금 실린더(212)가 비잠금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캠 돌출부(214)가 클로(196)를 비맞물림 위치로 밀어냄으로써 핸들(110)을 접힘 위치로부터 해제시킨다. 잠금 실린더(212)는 키를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잠금 위치로 회전된다. 키가 제거되면, 잠금 실린더(212)는 회전할 수 없고 잠금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잠금 실린더(212)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클로(196)는, 핸들을 접힘 위치에 다시 한번 유지시키기 위하여 클로(196)가 접힘 위치로 되돌아 올 때, 클로(196)가 핸들(110)에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 위치로 되돌아 오는 것이 자유롭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잠금 위치 및 비잠금 위치 사이에서의 회전을 위하여 잠금 실린더(212)는 하우징(10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러그(216)로 대체된다. 플러그(216)는 플러그(216)을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육각형 소켓을 구비하고 있는 도구와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육각형 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물론 플러그(216)는 적절한 도구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무수히 많은 대안적인 헤드 형태 중 임의의 하나를 구비할 수도 있는데, 예컨대 대안적인 헤드 형태 중에서 슬롯형, Phillips형, Allen형 헤드가 있다. 또한, 플러그(216)에는 캠 돌출부(214)와 같은 기능을 하는 편심 캠 돌출부(218)가 제공된다. 임의의 접근을 막지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패드록(padlock)을 사용한다. 따라서, 하우징(102)에 의해 지지되는 패드록 걸쇠(hasp)(220)가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걸쇠(220)는 후퇴가능하 고 후퇴 위치 및 돌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패드록 걸쇠(shackle)의 맞물림을 위하여 걸쇠(220)에 있는 홀(222)은 걸쇠(220)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부분적으로 덮여있다. 패드록 걸쇠(220)는, 패드록 걸쇠가 후퇴 위치 및 돌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패드록 걸쇠와 직선으로 이동하는 클로 캐치(224)에 부착되어 있다. 걸쇠(220)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클로 캐치(224)는 비맞물림 위치에 있다. 클로 캐치(224)는 클로(196)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고, 클로 캐치(224)가 맞물림 위치에 있을 때 클로(196)를 맞물림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클로(196)에서 홀(228)을 맞무는 포스트(post)(226)를 구비하고 있다. 클로(196)는 클로 캐치(224)가 비맞물림 위치에 있을 때 클로(196)의 비맞물림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걸쇠(220) 및 클로 캐치(224)는 각각 후퇴 위치 및 비맞물림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어 튕겨진다. 걸쇠(220)는 돌출 위치로 당겨져서 패드록이 걸쇠(220)에 맞물려서 그 위치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패드록이 가해졌을 때 핸들(110)이 접힘 위치에 있었던 것으로 가정한다면, 클로(196)와 클로 캐치(224)는 각각의 맞물림 위치에 잠겨지고, 그런 다음 핸들(110)을 접힘 위치에서 잠근다. 패드록을 제거함으로써 클로 캐치(224)는 클로(196)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이에 따라 플러그(216)를 회전시킴으로써 핸들(110)이 해제되게 된다. 보호 커버(230)가 구성요소로부터 플러그(216)와 걸쇠(220)의 조합 또는 잠금 실린더(212)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 도 56 내지 도 59, 도 81 및 도 82를 참조하면, 래치 메커니즘(100)이 도어(101)의 개구부, 즉 홀에 설치된다. 도어(101)의 개구부는 하우징(102)의 용 기부(118)의 측벽을 대한 간격을 제공하면서도 플랜지(120)에 대한 간격은 허용하지 않는 사이즈 및 형상을 하고 있다. 래치 메커니즘(100)을 도어(101)에 설치하기 위하여, 플랜지(120)의 하측면이 도어(101)의 외부 면에 접하도록 하우징(102)의 용기부(118)가 도어(101)의 개구부를 통하여 위치되어 있다. 브래킷(232)은 브래킷(232)의 가장자리(234)가 도어(101)의 내부 면에 접하도록 하우징(102)의 용기부(118)에 걸쳐 위치된다. 가장자리(234)를 가로질어 측정한 브래킷(232)의 치수는 충분히 크기 때문에 도어(101)의 개구부를 통과할 수는 없다. 브래킷(232)를 하우징(102)에 체결하기 위하여 네 개의 패스너(fastener)(236)가 사용된다. 그러므로, 도어(101)의 적어도 일부가 플랜지(120)와 브래킷(232)의 중간에 붙잡혀 있어서 래치 메커니즘(100)이 도어(101)에 고정되게 된다. 누수가 방지되는 래치가 필요한 분야에서 하우징(102)과 도어(101) 사이의 틈을 밀봉하기 위하여 플랜지 시일(238)이 플랜지(120)와 도어(101)의 외부 면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폴(122)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래치 배치에 있을 때, 폴(122)은 도어 프레임(103), 즉 키퍼를 맞물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일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폴(122)은 도어 프레임(103)을 맞물기에 적합한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홀(240)을 구비하고 있다. 홀(240)은 샤프트(104)의 나사부의 전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샤프트(104)의 나사부가 폴(122)의 홀(240)을 통하여 위치될 때 샤프트(104)와 폴(122)이 샤프트(104)의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 함께 일체로서 회전하도록 홀(240)은 샤프트(104)의 나사부의 편평한 측면(190)과 맞물리는 편평한 측면을 구비하고 있다. 폴(122)은 한 쌍의 너트(242)에 의하여 샤프트(104)의 나사부(188)를 따라 제 위치에 조절가능하게 체결된다. 너트(242)는 샤프트(104)의 나사부에 맞물리고, 폴(122)이 샤프트(104)의 나사부에 설치된 후에 폴(122)을 제자리에 체결하기 위하여 폴(122)에 대하여 죄어진다. 래치 메커니즘(100)의 작동 및 사용 중에 너트(242)가 풀어질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폴(122)과 너트(242)의 중간에 로크 와셔가 제공될 수 있다.
압축 래치 메커니즘(100)이 래치 배치에 있을 때, 핸들(110)은 접힘 위치에 고정되고, 한편 샤프트(104)는 래치 위치에 있으며, 샤프트(104)의 제 1 단부(134)와 상승된 베어링 면(146)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킥스탠드(106)의 베어링 면(136)에 의해 래치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상기 배열에서, 폴(122)은 도어 프레임(103)의 뒤로 빼어지거나 당겨져서 도어(101)와 도어 프레임(103) 사이에 압축력을 가하게 된다.
캐치 수단(116)이 핸들(110)을 해제하려는 사용자에 의하여 예컨대 잠금 실린더(212) 또는 플러그(216)를 회전시킴으로써 작동될 때, 핸들(110)은 킥스탠드(106)와 샤프트(104)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 2 가압수단(114)에 의해 제공되는 가압 하에서 중간 위치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핸들(110)은 접힘 위치에 대하여 하우징(102)으로부터 약 10°정도 튀어나온다. 폴(122)과 샤프트(104)는 이들의 래치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핸들(110)이 사용자에 의하여 중간 위치로부터 제 1 상승 위치를 향하여 이동될 때, 핸들(110)은 릴리프 노치(138)가 상승된 베어링 면(146)에 맞춰질 때까지 킥스탠드(106)와 핸들(110)의 킥스탠드 접촉 면(154) 사이의 접촉을 통하여 샤프 트(104)에 대하여 피벗식으로 킥스탠드(106)을 이동시키고, 그 후에 샤프트(104)는 샤프트(104)의 제 2 단부(128)가 중간 확장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제 1 가압수단(112)의 가압 하에서 길이방향 축선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중간 확장 위치는 래치 위치 및 비래치 위치의 중간 위치이다. 샤프트(104)의 제 2 단부는 중간 확장 위치에서 하우징(102)으로부터 최대 거리까지 돌출한다. 폴(122) 역시 폴이 도어 프레임(103) 뒤에서부터 떨어져 이동하도록 샤프트(104)와 함께 직선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도어(101)와 도어 프레임(103) 사이에 가해지는 압축이 경감된다.
그 후에, 핸들(110)은 샤프트(104)를 그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비래치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제 1 상승 위치로부터 제 2 상승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중에, 폴(122)은 또한 도어 프레임(103)의 뒤로부터 회전되어 나올 수 있으며, 이는 도어(101)가 개방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핸들(110)은 그 접힘 위치에 대하여 약 45°정도에 있고, 제 1 상승 위치 및 제 2 상승 위치와 그 사이의 모든 위치에서 거의 동일한 각도로 하우징(102)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핸들(110)은 핸들(110)을 제 1 상승 위치로부터 제 2 상승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샤프트(104)의 길이방향 축선과 일치하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또한, 핸들(110)은 핸들(110)을 제 1 상승 위치로버터 제 2 상승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60°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0°를 통하여 샤프트(104)의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된다.
압축 래치 메커니즘(100)이 비래치 배치에 있을 때, 핸들(110)은 제 2 상승 위치에 있고, 샤프트(104)는 비래치 위치에 있다. 또한, 폴(122)은 도어 프레임(103)의 뒤로부터 벗어나 있고 도어 프레임(103)의 어떤 부분과도 겹쳐지지 않는다.
도어(101)를 폐쇄 위치에 래치하기 위하여, 도어는 먼저 도어 프레임(103)에 대하여 대략 폐쇄 위치로 이동된다. 그 후, 핸들(110)은 사용자에 의하여 핸들(110)을 샤프트(104)의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제 2 상승 위치로부터 제 1 상승 위치로 회전된다. 핸들(110)을 제 2 상승 위치로부터 제 1 상승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은 샤프트(104)가 비래치 위치로부터 중간 확장 위치까지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하게끔 한다. 이때, 폴(122) 역시 폴(122)이 도어 프레임(103)과 겹쳐지도록 도어 프레임(103) 뒤에서 회전된다.
그 후, 핸들(110)은 도어 프레임(103) 뒤에서 폴(122)을 당겨 올리기 위해서 제 1 상승 위치로부터 접힘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도어(101)와 도어 프레임(103) 사이에 압축력을 발생시켜 도어(101)을 폐쇄 위치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고 도어(101)와 도어 프레임(103) 사이에 있을 수 있는 시일링 개스킷을 압축하도록 한다. 핸들(110)이 사용자에 의하여 제 1 상승 위치로부터 접힘 위치를 향하여 이동될 때, 손잡이부 및 핸들(110)과 샤프트(104) 사이의 피벗식 연결의 중간에 위치되어 있는 핸들(110)의 하측면의 일부가 하우징(102)의 제 1 베어링 면(130)에 접촉하여, 하우징(102)의 제 1 베어링 면(130)이 지지점(fulcrum)을 형성하고 핸들(110)은 킥스탠드(106) 및 샤프트(104)의 제 1 단부(134)를 베어링 플레이트(108)로부터 들어올리기 위한 레버로서 작용하여 킥스탠드(106) 및 샤프 트(104)의 제 1 단부를 베어링 플레이트(108) 위로 점점 상승시킨다. 베어링 플레이트(108)의 상승된 베어링 면(146)이 릴리프 노치(138)를 완전히 통과하면, 킥스탠드(106)는 킥스탠드(106)의 베어링 면(136)이 샤프트(104)의 제 1 단부(134) 및 상승된 베어링 면(146) 사이에 위치되어 샤프트(104)를 래치 위치에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 2 가압수단(114)에 의해 제공되는 가압력 하에서 샤프트(104)에 대하여 피벗식으로 이동한다. 폴(122) 역시 이 상황에서 래치 위치에 있으며, 샤프트(104)의 제 1 단부(134) 및 상승된 베어링 면(146)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킥스탠드(106)의 베어링 면(136)에 의해 래치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핸들(110)이 접힘 위치에 다다른 후에는, 캐치 수단(116)이 핸들(110)을 접힘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 상황에서 패드록이 가해질 수 있거나 키가 잠금 실린더(212)로부터 제거될 수 있어서 도어(101)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래치 메커니즘(100)은 또한 다중 지점 래칭, 즉 도어를 도어 프레임을 따라 복수의 지점에서 동시에 도어 프레임에 래칭하기 위한 지점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원격 래칭 로드(248)(하나만 도시되어 있음)를 부착하기 위하여 폴(122)이 홀(240) 이외에 제 1 홀(244) 및 제 2 홀(246)을 더 구비하도록 더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제 1 홀(244) 및 제 2 홀(246)은 홀(240)과 샤프트(104)의 양측 상에 위치된다. 제 1 홀(244) 및 제 2 홀(246)은 각각 중심을 갖추고 있고, 샤프트(104)와 홀(240)이 제 1 홀(244)의 중심으로부터 제 2 홀(246)의 중심까지 뻗어있는 직선의 대략 중심점에 위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원격 래칭 로드(248)는 각각의 홀(244 및 246) 중 하나를 통과 하여 위치하는 다양한 종류의 패스너를 사용하여 폴(122)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홀(244 및 246)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로드 설치 나사(250)가 로드(248)를 폴(122)에 피벗운동가능하게 부착하도록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로드(248) 하나만 도시되어 상세히 설명되어 있고 제 2 원격 래칭 로드는 홀(246)에 설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원격 래칭 로드와 동일할 것이다.
원격 래칭 로드(248)는 금속 시트로부터 형성된 신장된 로드이고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장방형 채널 형상의 전단면을 가지고 있다. 원격 래칭 로드(248)는 제 1 단부(252)와 제 2 단부(254)를 가지고 있다. 제 1 단부(252)는 폴(122)에 근접하여 있는 기단부이고, 제 2 단부(254)는 폴(122)에서 가장 먼 선단부이다. 원격 래칭 로드(248)는 홀(244) 또는 홀(246)에 맞춰져서 배치되어 있는 기단부 근처의 제 1 홀(256)을 구비하고 있다. 그 후, 패스너(250)는 홀(256)을 통하여 뻗어있도록 배치되고 로드(248)를 폴(122)에 부착하기 위하여 홀(244) 또는 홀(246)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원격 래칭 로드(248)는 그 선단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롤러(258)를 지지한다. 로드(248)는 그 선단부 부근에서 도어(101)의 외부 면에 의하여 피벗운동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이에 관한 상세사항은 후술한다.
폴(122)은 샤프트(104)의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한다. 홀(244 및 246)은 샤프트(104)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편심되어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폴(122)이 비래치 위치 및 래치 위치와 일치하는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때, 로드(248)의 선단부는 실질적으로 직선운동한다. 폴(122)이 비래치 위치 및 래치 위치와 일치하는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때 폴(122)이 도어 프레임(103)에 맞물리는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도어(101)를 도어 프레임(103)에 래치시키기 위하여 롤러(258)가 도어 프레임(103)의 후측면을 타고 올라(ride over)가도록, 래치 메커니즘이 도어(101)에 설치된다. 따라서, 로드(248)는 도어를 도어 프레임에 래칭하는 다중 지점을 제공한다. 또한, 폴(122)이 래치 위치와 일치하는 회전 위치로부터 비래치 위치로 회전할 때, 롤러(258)는 도어 프레임(103)의 후면으로부터 후퇴되어 도어(101)가 개방되도록 한다.
롤러(258)의 그립(grip)은 도어의 후측면에 의해 한정된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된, 롤러(258) 및 도어(101)의 후측면에 의해 한정된 면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한정된다. 본 발명의 로드(248)는 다양한 두께를 가진 도어 프레임을 수용하도록 조절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그립을 제공한다. 로드(248)는 평행하게 신장된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한 제 1 슬롯(260)을 구비하고 있다. 로드 가이드(262)는 나사산이 형성된 보어(264) 및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환형 플랜지(266 및 268)을 구비한 슬리브의 형태로 제공된다. 슬롯(260)의 제 1 평행하게 신장된 한 쌍의 측면은 환형 플랜지(266 및 268)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슬롯(260)의 제 1 평행하게 신장된 한 쌍의 측면은 환형 플랜지(266 및 268) 사이에 맞춰져서 로드(248)의 선단부가 로드 가이드(262)에 의하여 그 운동이 적절하게 제한되고 가이드되면서 로드 가이드(262)에 대하여 직선운동 및 피벗운동할 수 있다. 로드(248)의 선단부 및 로드 가이드(262) 사이의 상대적 운동의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슬롯(260)의 일단은, 로드(248)의 선단부에 로드 가이드(262)를 설 치하기 위하여 플랜지(266, 268)가 슬롯(260)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확장되어 있다. 플랜지(266, 268)의 중간이 아닌 로드 가이드(262)의 일부를 형성하는 슬리브의 일부분은 깎여 있고(faceted) 로드 가이드(262)를 회전시킬 때 렌치 등의 공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패싯(facet)(270)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시에, 슬롯(260)의 제 1 평행하게 신장된 한 쌍의 측면은 로드 가이드(262)의 슬리브의 일부분이 슬롯(260)을 통과하여 뻗어 있는 상태에서 로드 가이드(262)의 한 쌍의 환형 플랜지(266 및 268) 사이에 위치되어 있어서, 로드(248)의 운동을 가이드한다.
로드 가이드(262)는 도어(101)의 후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나사 기둥(272)과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로드 가이드(262)와 나사 기둥(272) 사이의 나사 결합은 롤러(258)의 그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기둥(272)에 대하여 로드 가이드(262)를 회전하는 것이 도어(101)의 내부 면 위로 로드 가이드(262)의 높이를 변화시켜서 롤러(258)의 그립을 가변하기 때문이다.
더 큰 조절이 필요할 경우에, 한 벌(kit)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는 서로 다른 그립을 제공하는 다른 피스(piece)로 교체할 수 있는 교체가능한 피스에 의해 롤러(258)가 지지되도록 로드(248)가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롤러(258)는 로드(248)의 선단부 근처에서 로드(248)에 연결되는 교체가능한 로드 단부 스탬핑부(interchangable rod end stamping)(274)에 의해 지지된다. 교체가능한 로드 단부 스탬핑부(274)는 두 개의 측벽부(276)를 구비하고 있는 스탬프된(stamped) 금속 시트 및 측벽부(276) 사이의 간격을 연결하는 연결벽부(278)를 포함하고 있다. 측 벽부(276)는 연결벽부(278)에 대체로 수직이다. 샤프트 또는 리벳(280)이 측벽부(276) 사이로 뻗어서 롤러(258)가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탭(282)이 연결벽부(278)의 일단으로부터 뻗어있고, 탭에 계단식의 윤곽을 부여하기 위하여 대향하는 방향으로 대체로 직각인 연속적인 두 개의 굽힘부를 구비하고 있다. 탭(282)은 로드(248)에서의 슬롯(284)에 맞물린다. 연결벽부(278) 역시 슬롯(260)의 윤곽과 동일한 슬롯(286)을 구비하고 있다. 슬롯(286) 및 슬롯(260)은 조립 후에 중첩된다. 각각 슬롯(260 및 286)의 평행하게 신장된 한 쌍의 측면(288 및 290)은 조립 후에 로드 가이드(262)의 한 쌍의 환형 플랜지(266 및 268)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탭(282)과 로드 가이드(262)는 로드(248)와 스탬핑부(274)를 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서로 협력한다. 측벽부(276)의 구성은 롤러의 그립을 가변하게 하기 위하여 변형될 수 있다.
도 99 내지 도 20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제 2 실시예(3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압축 래치 메커니즘(300)은 대체로 하우징(302), 샤프트(304), 킥스탠드(106), 베어링 플레이트(308), 핸들(310), 제 1 가압수단(312), 제 2 가압수단(314), 및 캐치 수단(316)을 포함하고 있다. 압축 래치 메커니즘(300)은 도어(301) 등의 제 1 부재를 도어 프레임(303) 등의 제 2 부재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하우징(302)은 제 1 부재, 즉 도어(301)에 부착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은 접힘 위치에서 핸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용기부(318)을 구비함으로써, 접힘 위치에서 도어(301)의 외부 표면 위로 래치 핸들(310)이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 화시킨다. 래치 하우징(302)은 도어(301)의 개구부에 설치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어서, 래치 하우징이 도어에 설치되었을 때 래치 하우징(302)이 도어(301)의 외부 표면 위로 작은 높이로만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작은 높이는 래치 하우징(302)의 용기부(318)의 개방된 상부를 둘러싸는 플랜지, 즉 베젤(bezel)(320)의 두께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래치 핸들(310)이 접힘 위치에 있을 때 래치 핸들(310)은 래치 하우징(302)의 용기부(318)의 플랜지, 즉 베젤(3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다. 래치 하우징(302)의 용기부(318)는 대체로 트로프(trough)의 형상이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래치 핸들(310)의 외형에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폴(322)이 폴(322)의 래치 위치에 상응하는 회전 위치에 있을 때 핸들(310)은 용기부(318)에 수용되도록 접혀질 수 있을 뿐이다. 폴(322)이 폴(322)의 래치 위치에 상응하는 회전 위치에 있지 않을 때 래치 핸들(310)을 접으려는 시도는 실패할 것인데, 이는 래치 핸들(310)의 일부분이 래치 하우징(302)의 용기부(318)의 개방된 상부와 정렬되어 있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며, 따라서 래치 핸들(310)은 래치 하우징(302)의 용기부(318) 안으로 접힐 수 없다.
하우징(302)은 샤프트(304)가 통과하는 슬리브(324)를 구비하고 있고, 슬리브(324)는, 슬리브(324)의 중심축선을 향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고 축선방향, 즉 슬리브(324)의 중심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슬리브(324)의 내부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뻗어있는 세 개의 동일하게 이격된 리브(326)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02)은 또한, 제 1 베어링 면(33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302)은 슬리브(324)를 직접 둘러싸고 있는 용기부(318)의 부분과 용기부(318)의 나머지 부분을 구분하는 구분 벽부(332)를 구비하고 있다. 구분 벽부(332)의 상부면은 제 1 베어링 면(330)을 형성한다.
샤프트(304)는 길이방향 축선, 제 1 단부(334) 및 제 2 단부(328)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304)는 그 길이방향 축선 주위를 회전운동하고 그 길이방향 축선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기 위하여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304)는 압축 래치 메커니즘(300)이 래치 배치 및 비래치 배치 사이에서 작동될 때 래치 위치 및 비래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래치 배치로부터 비래치 배치로 작동하고 그 후에 래치 배치로의 복귀하는 압축 래치 메커니즘(300)의 작동은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작동 사이클을 구성한다.
킥스탠드(106)는 샤프트(304)의 제 1 단부(334) 부근에서 샤프트(304)에 피벗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킥스탠드(106)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링 면(136) 및 적어도 하나의 릴리프(relief) 노치(138)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베이링 면(136) 및 한 쌍의 릴리프 노치(138)가 제공되어, 샤프트(304)의 각 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킥스탠드(106)는 서로 정렬되어 킥스탠드(106)를 샤프트(304)에 피벗운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한 쌍의 홀(140)을 구비하고 있다. 킥스탠드(106)는,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작동 사이클의 적어도 일부 동안에 샤프트(304)에 대하여 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피벗 축 주위로 샤프트(304)에 대하여 피벗운동가능하게 움직인다. 상기 피벗 축선은 제 1 단부(334) 부근에서 샤프트(304)를 통과하여 뻗는 홀(344); 및 킥스탠드(106)를 샤프트(304)에 피벗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홀(140);을 통과하는 피벗 축(342)에 의하여 형성된 다.
베어링 플레이트(308)는 샤프트(304)의 제 1 단부(334) 및 샤프트(304)의 제 2 단부(328) 사이에 배치된다. 베어링 플레이트(308)는 하우징(302)에 의해, 특히 슬리브(324)를 직접 둘러싸는 용기부(318)의 부분에 의해 지지된다. 베어링 플레이트(308)는 상승된 베어링 면(346) 및 낮은 베어링 면(348)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어링 플레이트(308)는 슬리브(324)의 보어와 일치하는 중심 홀(350)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310)은 샤프트(304)의 제 1 단부(334) 부근에서 샤프트(304)에 피벗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핸들(310)은 서로에 대하여 정렬되어 있고 핸들(310)과 샤프트(304) 사이에 피벗식 결합을 구성하기 위하여 핸들(310)을 샤프트(304)에 피벗운동가능하게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한 쌍의 홀(352)을 구비하고 있다. 홀(344) 및 홀(340)을 통과하는 전술한 피벗 핀(342)이 킥스탠드(106), 핸들(310) 및 샤프트(304)를 동일한 공통의 피벗 축선 주위로 서로에 대하여 피벗운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홀(352)도 통과한다. 핸들(310)이 접힘 위치 및 제 1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핸들(310)은 피벗 핀(342)에 의해 형성된 피벗 축선 주위로 샤프트(304)에 대하여 피벗운동가능하게 이동한다. 핸들(310)은 킥스탠드 접촉 면(354)을 구비하고 있다. 킥스탠드(106)과 핸들(310)은, 피벗 핀(342)의 일측 상에 킥스탠드 접촉 면(354)에 의해 한정되어 있는 소정의 피벗 운동 범위에 걸쳐 서로에 대하여 피벗식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핸들(310)은 도 122, 125 및 1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상승 위치로 회전될 수 있어서, 압축 래치 메커니즘(300)을 비래치 배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핸들(310)은 하측부(356) 및 손잡이부(358)를 구비하고 있다.
도 136 내지 도 140에 잘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샤프트(304)는 나사부(388) 및 나사부(388)의 일측 상에 편평한 측면(390)이 개재되어 있는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나사부(388)는 샤프트(304)의 제 2 단부(328)를 포함하고 있다. 샤프트(304)에는, 샤프트(304)의 제 1 단부(334) 부근 위치에서 샤프트(304)의 길이방향 축선을 가로질러 샤프트(304)를 관통하는 홀(344)이 구비되어 있다. 샤프트(304)에는 C-클립(378)에 의해 맞물림되기 위한 환형 그루브(380)이 구비되어 있다. 환형 그루브(380)는 샤프트(304)의 나사부(388)의 상단부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폴(322)이 도어 프레임(303)에 맞물리기 위하여 제공되어 도어(301)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고 샤프트(304)가 비래치 위치에서 래치 위치로 이동될 때 도어 및 도어 프레임 사이에 압축력을 가한다. 폴(322)은 샤프트(304)의 제 2 단부 및 하우징(302) 중간에 샤프트(304)에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폴(322)은 샤프트(304)의 나사부(388)를 따라 샤프트(304)에 설치된다. 압축 래치 메커니즘이 도어(301)에 설치되어 샤프트(304)가 래치 위치(도 102 참조) 및 중간 확장 위치(도 116 참조) 중 어느 하나에 있을 때, 폴(322)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어 프레임(303)을 형성하거나 도어 프레임(303)에 고정되는 구조 뒤에 배치되도록 폴(322)이 샤프트에 설치된다. 폴(322)은 샤프트(304)의 래치 위치 및 비래치 위치에 각각 상응하는 래치 위치 및 비래치 위치(각각, 도 104 및 도 123 참조) 사이에서 이동한다. 폴(322)은 샤프트(304)와 일체로 이동한다.
제 1 가압수단(312)은 압축 코일 스프링의 형태이고, 제 1 가압수단(312)에 의해 샤프트(304)에 전달되는 가압 하에서 샤프트(304)의 제 2 단부(328)가 하우징(302)으로부터, 특히 슬리브(324)로부터 큰 간격으로 돌출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도록 샤프트(304)를 가압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샤프트(304)는 슬리브(324)의 보어(362)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샤프트(304)는 샤프트(304)의 제 1 단부(334)가 하우징(302)의 용기부(318)에 위치될 수 있도록 슬리브(324)의 상부 개구부(364)를 통하여 뻗어있다. 제 1 단부(334) 및 홀(344)을 포함하는 샤프트(304)의 부분은, 전술한 것처럼 킥스탠드(106), 핸들(310) 및 샤프트(304) 사이에 피벗식 연결이 이루어지는 슬리브(324)를 직접 둘러싸는 용기부(318)의 부분에 위치된다. 또한, 베어링 플레이트(308)의 낮은 베어링 면(348)이 용기부(318)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슬리브(324)의 상단부와 핀(342)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샤프트(304)는 베어링 플레이트(308)의 중심 홀(350)을 통과한다. 베어링 플레이트(308)의 낮은 베어링 면(348)은, 핸들(310)이 선택적으로 접히고 상승될 때 핸들(310)의 캠 로브(366)가 지탱할 수 있는 베이링 면을 제공함으로써 하우징(302) 상의 마모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베어링 플레이트(308)에 의하여 낮은 가격의 재료로 하우징(302)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또한 베어링 플레이트(308)가 하우징(302)과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슬리브(324)의 상부 개구부(364)의 직경은 슬리브(324)의 보어(362)의 직경 보다 작으며, 따라서 환형 숄더(368)를 형성한다. O-링(370)이 숄더(368)에 기대어 보어(362)에 위치된다. 와셔(372)는 O-링(370)에 인접하여 보어(362)에 위치된다. O-링(370)과 와셔(372) 모두는 샤프트(304)를 둘러싼다. O-링(370)이 슬리브(324)의 상부 개구부(364) 및 샤프트(304)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동시에, 와셔(372)는 스프링(312)의 일단이 지탱할 수 있는 보호 면을 제공한다. 스프링(312)은 또한 하우징(302)의 슬리브(324)의 보어(362) 내에 실질적으로 위치되고, 그 코일은 샤프트(304)를 둘러싼다. 부싱(374)은 스프링(312)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스프링(312)의 하단부가 부싱(374) 내부에서 숄더(376)에 대하여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부싱(374)은 샤프트(304)를 둘러싸고, 하우징(302)의 슬리브(324)의 보어(362)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여있다. C-클립(378)이 부싱(374)을 샤프트(304) 주위에 제자리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환형 그루브(380)를 맞물고 있다.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슬롯(382)이 샤프트(304)에 의해 지지되는 부싱(374)의 외측 원주 면에 제공되어 있다. 하우징(302)의 슬리브(324)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리브(304)가 제공되어 있다. 폴(322)이 폴(322)의 래치 위치에 상응하는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슬롯(382)은 리브(326)에 맞추어진다. 즉, 핸들(310)이 제 1 상승 위치 및 접힘 위치에 있거나 그 사이에 있을 때에만 슬롯(382)이 리브(326)와 맞추어진다. 핸들(310)이 폴(322)을 그 래치 위치에 상응하는 회전 위치에서 벗어나게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되면, 슬롯(382)은 리브(326)와의 정렬이 어긋나게 될 것이다. 슬롯(382)이 이 위치에 있을 때, 슬롯(382)은 슬리브(324)의 선단부의 테두리에 매우 근접하게 위치 된다. 핸들(310)은 핸들 캠 면(386)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캠 로브(366)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캠 로브(366)가 킥스탠드(106)의 양측에 제공된다. 핸들(310)이 제 1 상승 위치 또는 제 2 상승 위치에 있거나 그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있을 때, 핸들 캠 면(386)은 베어링 플레이트(308)의 낮은 베어링 면(348)에 접하여 있고 핸들(310)을 접으려는 시도가 있을 경우에 샤프트(304)의 제 1 단부(334)를 베어링 플레이트(308)로부터 들어올리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시도는 부싱(374)이 리브(326)의 말단부와 간섭을 일으키도록 하고, 이에 따라 폴(322)과 핸들(310)이 래치 위치에 상응하는 회전 위치에 있지 않을 때에 더 이상 핸들(310)이 접히지 않도록 방지된다. 따라서, 슬롯(382)이 리브(326)와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핸들(110)이 접히려는 경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슬롯(382)이 리브(326)와 맞추어 지는 위치, 즉 핸들(310)이 제 1 상승 위치 및 접힘 위치에 있거나 그 사이의 위치에 있는 것에 상응하는 위치에 있을 때, 접힘 위치를 향하는 핸들(310)의 이동에 응하여 폴(322)과 샤프트(304)의 직선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스프링(312)은 압축하에 있으며, 샤프트(304)의 나사부(388)를 하우징(30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경향이 있는 가압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스프링(312)의 가압력은 부싱(374)과 C-클립(378)을 통하여 샤프트(304)에 가해진다.
제 2 가압수단(314)은 핸들(310)을 접힘 위치로부터 접힘 위치와 제 1 상승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를 향하여 가압하고, 킥스탠드(106)를 래치 위치로 가압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제 2 가압수단(314)는 피벗 핀(342)의 일측 상에서 핸들(310)과 킥스탠드(106) 사이에 제공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314)의 형태이다. 스프링(314)은 핸들(310)의 킥스탠드 접촉 면(354)에 대향하는 피벗 핀(342)의 일측 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스프링(314)은 핀(342)의 일측 상에서 떨어져 핸들(310)과 킥스탠드(106)를 밀어내는 경향이 있고, 스프링(314)은 핸들(310)의 킥스탠드 접촉 면(354)을 킥스탠드(106)과 접촉하도록 밀어내는 경향이 있다. 스프링(314)의 일부는 그 일단부에서, 핸들(310)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캐비티(392)에 수용된다. 스프링(314)의 타단은 킥스탠드(106)과 접촉하여 있다. 킥스탠드(106)에는, 킥스탠드(106)과 접촉하여 있는 스프링(314)의 단부 부근에서 스프링(314)의 하나 이상의 코일을 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94)가 구비되어 있다. 캐비티(392)와 돌출부(194)는 협동하여 스프링(314)을 적절한 위치에 있도록 유지시킨다.
캐치 수단(316)은 핸들(310)을 접힘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핸들(310)을 하우징(302)의 용기부(318) 내부에서 접힌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래치 메커니즘(300)의 파손에 대한 취약성을 감소시킨다. 캐치 수단(316)은 맞물림 위치 및 비맞물림 위치 사이에서의 직선 이동을 위하여 하우징(302)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이딩 클로(396)를 포함하고 있다. 캐치 수단(316)은 클로(396)를 맞물림 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스프링(398)을 더 포함하고 있다. 클로(396)는 핸들(310)의 손잡이부 아래에 위치되어 있고, 핸들(310)이 접힘 위치에 있을 때 완전히 숨겨진다. 클로(396)는 경사진 면(402)과 캐치 면(404)을 구비하고 있는 경사진 돌출부(400)를 구비하고 있다. 비맞물림 위치에서 클로(396)는 핸들(310)의 손잡이부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캐비티(406)와 맞추어진다. 계단부(408)는 캐 비티(406) 및 횡단 보어(개구부)(410)가 교차함으로써 캐비티(406)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캐치 면(404)은 핸들(310)을 접힘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계단부(408)에 맞물린다. 경사진 면(402)은 클로(396)를 비맞물림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캐비티(406)의 가장자리와 상호작용하여, 이에 따라 핸들(310)이 접힘 위치로 이동되고 있을 때 클로(496)가 캐비티(406) 내부로 이동하도록 한다. 핸들(310)이 접힘 위치에 있으면, 핸들(310)을 접힘 위치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캐치 면(404)은 스프링(398)에 의해 가해지는 힘 하에서 계단부(408)와 맞물림되도록 이동한다.
래치 메커니즘(300)은 하우징(302)에 의해 지지되는 잠금 실린더(412)를 더 포함하고 있다. 잠금 실린더(412)는 종래 방식대로 키에 의해 작동된다. 키가 잠금 실린더(412)에 삽입되면, 잠금 실린더(412)는 키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하여 잠금 실린더 자체의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키가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 실린더(412)는 잠금 위치 및 비잠금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캠 돌출부(414)가 잠금 실린더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서 잠금 실린더(412)의 내부 단부에 제공된다. 잠금 실린더(412)가 비잠금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캠 돌출부(414)가 클로(396)를 비맞물림 위치로 밀어냄으로써 핸들(310)을 접힘 위치로부터 해제시킨다. 잠금 실린더(412)는 키를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잠금 위치로 회전된다. 키가 제거되면, 잠금 실린더(412)는 회전할 수 없고 잠금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잠금 실린더(412)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클로(396)는, 핸들을 접힘 위치에 다시 한번 유지시키기 위하여 클로(396)가 접힘 위 치로 되돌아 올 때, 클로(396)가 핸들(310)에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 위치로 되돌아 오는 것이 자유롭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잠금 실린더(412)는 전술한 것과 같이 공구에 의해 작동되는 플러그(216)로 대체될 수 있다.
파손에 대한 저항성을 더 높이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는 또한 패드록을 사용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302a)에 의해 지지되는 패드록 걸쇠(hasp)(420)가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하우징(302a)는, 패드록 걸쇠(420)가 통과하여 뻗을 수 있도록 홀이 하우징(302a)의 전방 플레이트에 제공된다는 점에서만 하우징(302)과 차이가 있다. 걸쇠(420)는 후퇴가능하고 후퇴 위치 및 돌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패드록 걸쇠(shackle)의 맞물림을 위하여 걸쇠(420)에 있는 홀(422)은 걸쇠(420)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부분적으로 덮여있다. 패드록 걸쇠(420)는, 패드록 걸쇠가 후퇴 위치 및 돌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패드록 걸쇠와 직선으로 이동하는 클로 캐치(224)에 부착되어 있다. 걸쇠(420)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클로 캐치(224)는 비맞물림 위치에 있다. 클로 캐치(224)는 클로(396)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고, 클로 캐치(224)가 맞물림 위치에 있을 때 클로(396)를 맞물림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클로(396)에서 홀(428)을 맞무는 포스트(226)를 구비하고 있다. 클로(396)는 클로 캐치(224)가 비맞물림 위치에 있을 때 클로(396)의 비맞물림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걸쇠(420) 및 클로 캐치(224)는 각각 후퇴 위치 및 비맞물림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어 튕겨진다. 걸쇠(420)는 돌출 위치로 당 겨져서 패드록이 걸쇠(420)에 맞물려서 그 위치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패드록이 가해졌을 때 핸들(310)이 접힘 위치에 있었던 것으로 가정한다면, 클로(396)와 클로 캐치(224)는 각각의 맞물림 위치에 잠겨지고, 그런 다음 핸들(310)을 접힘 위치에서 잠근다. 패드록을 제거함으로써 클로 캐치(224)는 클로(396)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이에 따라 잠금 실린더(412)를 회전시킴으로써 핸들(310)이 해제되게 된다. 보호 커버(430)가 구성요소로부터 잠금 실린더(412)와 걸쇠(420)의 조합 또는 잠금 실린더(412)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04, 도 114 및 도 166 내지 171을 참조하면, 래치 메커니즘(300)이 도어(301)의 개구부, 즉 홀에 설치된다. 도어(301)의 개구부는 하우징(302)의 용기부(318)의 측벽을 대한 간격을 제공하면서도 플랜지(320)에 대한 간격은 허용하지 않는 사이즈 및 형상을 하고 있다. 래치 메커니즘(300)을 도어(301)에 설치하기 위하여, 플랜지(320)의 하측면이 도어(301)의 외부 면에 접하도록 하우징(302)의 용기부(318)가 도어(301)의 개구부를 통하여 위치되어 있다. 브래킷(432)은 브래킷(432)의 가장자리(434)가 도어(301)의 내부 면에 접하도록 하우징(302)의 용기부(318)에 걸쳐 위치된다. 가장자리(434)를 가로질어 측정한 브래킷(432)의 치수는 충분히 크기 때문에 도어(301)의 개구부를 통과할 수는 없다. 브래킷(432)를 하우징(302)에 체결하기 위하여 네 개의 패스너(436)가 사용된다. 그러므로, 도어(301)의 적어도 일부가 플랜지(320)와 브래킷(432)의 중간에 붙잡혀 있어서 래치 메커니즘(300)이 도어(301)에 고정되게 된다. 누수가 방지되는 래치가 필요한 분야에서 하우징(302)과 도어(301) 사이의 틈을 밀봉하기 위하여 플랜지 시일(438)이 플랜지(320)와 도어(301)의 외부 면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브래킷(432)은 브래킷(232)보다 더 크고, 파손에 대한 저항성을 더 높이기 위하여 하우징(302)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있다. 따라서, 샤프트(304)가 브래킷(432)와의 간섭없이 브래킷(432)를 통하여 뻗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브래킷(432)에는 개구부(384)가 제공되어 왔다.
폴(322)이 도 104에 도시되어 있는 래치 배치에 있을 때, 폴(322)은 도어 프레임(303), 즉 키퍼를 맞물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일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폴(322)은 도어 프레임(303)을 맞물기에 적합한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홀(440)을 구비하고 있다. 홀(440)은 샤프트(304)의 나사부의 전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샤프트(304)의 나사부가 폴(322)의 홀(440)을 통하여 위치될 때 샤프트(304)와 폴(322)이 샤프트(304)의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 함께 일체로서 회전하도록 홀(440)은 샤프트(304)의 나사부의 편평한 측면(390)과 맞물리는 편평한 측면을 구비하고 있다. 폴(322)은 한 쌍의 너트(442)에 의하여 샤프트(304)의 나사부(388)를 따라 제 위치에 조절가능하게 체결된다. 너트(442)는 샤프트(304)의 나사부에 맞물리고, 폴(322)이 샤프트(304)의 나사부에 설치된 후에 폴(322)을 제자리에 체결하기 위하여 폴(322)에 대하여 죄어진다. 래치 메커니즘(300)의 작동 및 사용 중에 너트(442)가 풀어질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폴(322)과 너트(442)의 중간에 로크 와셔가 제공될 수 있다.
압축 래치 메커니즘(300)이 래치 배치에 있을 때, 핸들(310)은 접힘 위치에 고정되고, 한편 샤프트(304)는 래치 위치에 있으며, 샤프트(304)의 제 1 단부(334) 와 상승된 베어링 면(346)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킥스탠드(106)의 베어링 면(136)에 의해 래치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상기 배열에서, 폴(322)은 도어 프레임(303)의 뒤로 빼어지거나 당겨져서 도어(301)와 도어 프레임(303) 사이에 압축력을 가하게 된다.
캐치 수단(316)이 핸들(310)을 해제하려는 사용자에 의하여 예컨대 잠금 실린더(412)를 회전시킴으로써 작동될 때, 핸들(310)은 킥스탠드(106)와 샤프트(304)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 2 가압수단(314)에 의해 제공되는 가압 하에서 중간 위치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핸들(310)은 접힘 위치에 대하여 하우징(302)으로부터 약 30°정도 튀어나온다. 폴(322)과 샤프트(304)는 이들의 래치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핸들(310)이 사용자에 의하여 중간 위치로부터 제 1 상승 위치를 향하여 이동될 때, 핸들(310)은 릴리프 노치(138)가 상승된 베어링 면(346)에 맞춰질 때까지 킥스탠드(106)와 핸들(310)의 킥스탠드 접촉 면(354) 사이의 접촉을 통하여 샤프트(304)에 대하여 피벗식으로 킥스탠드(106)을 이동시키고, 그 후에 샤프트(304)는 샤프트(304)의 제 2 단부(328)가 중간 확장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제 1 가압수단(312)의 가압 하에서 길이방향 축선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중간 확장 위치는 래치 위치 및 비래치 위치의 중간 위치이다. 샤프트(304)의 제 2 단부는 중간 확장 위치에서 하우징(302)으로부터 최대 거리까지 돌출한다. 폴(322) 역시 폴이 도어 프레임(303) 뒤에서부터 떨어져 이동하도록 샤프트(304)와 함께 직선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도어(301)와 도어 프레임(303) 사이에 가해지는 압축 이 경감된다.
그 후에, 핸들(310)은 샤프트(304)를 그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비래치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제 1 상승 위치로부터 제 2 상승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중에, 폴(322)은 또한 도어 프레임(303)의 뒤로부터 회전되어 나올 수 있으며, 이는 도어(301)가 개방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핸들(310)은 그 접힘 위치에 대하여 약 45°정도에 있고, 제 1 상승 위치 및 제 2 상승 위치와 그 사이의 모든 위치에서 거의 동일한 각도로 하우징(302)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핸들(310)은 핸들(310)을 제 1 상승 위치로부터 제 2 상승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샤프트(304)의 길이방향 축선과 일치하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또한, 핸들(310)은 핸들(310)을 제 1 상승 위치로버터 제 2 상승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60°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0°를 통하여 샤프트(304)의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된다.
압축 래치 메커니즘(300)이 비래치 배치에 있을 때, 핸들(310)은 제 2 상승 위치에 있고, 샤프트(304)는 비래치 위치에 있다. 또한, 폴(322)은 도어 프레임(303)의 뒤로부터 벗어나 있고 도어 프레임(303)의 어떤 부분과도 겹쳐지지 않는다.
도어(301)를 폐쇄 위치에 래치하기 위하여, 도어는 먼저 도어 프레임(303)에 대하여 대략 폐쇄 위치로 이동된다. 그 후, 핸들(310)은 사용자에 의하여 핸들(310)을 샤프트(304)의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제 2 상승 위치로부터 제 1 상승 위치로 회전된다. 핸들(310)을 제 2 상승 위치로부터 제 1 상승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은 샤프트(304)가 비래치 위치로부터 중간 확장 위치까지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하게끔 한다. 이때, 폴(322) 역시 폴(322)이 도어 프레임(303)과 겹쳐지도록 도어 프레임(303) 뒤에서 회전된다.
그 후, 핸들(310)은 도어 프레임(303) 뒤에서 폴(322)을 당겨 올리기 위해서 제 1 상승 위치로부터 접힘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도어(301)와 도어 프레임(303) 사이에 압축력을 발생시켜 도어(301)을 폐쇄 위치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고 도어(301)와 도어 프레임(303) 사이에 있을 수 있는 시일링 개스킷을 압축하도록 한다. 핸들(310)이 사용자에 의하여 제 1 상승 위치로부터 접힘 위치를 향하여 이동될 때, 손잡이부 및 핸들(310)과 샤프트(304) 사이의 피벗식 연결의 중간에 위치되어 있는 핸들(310)의 하측면의 일부가 하우징(302)의 제 1 베어링 면(330)에 접촉하여, 하우징(302)의 제 1 베어링 면(330)이 지지점을 형성하고 핸들(310)은 킥스탠드(106) 및 샤프트(304)의 제 1 단부(334)를 베어링 플레이트(308)로부터 들어올리기 위한 레버로서 작용하여 킥스탠드(106) 및 샤프트(304)의 제 1 단부를 베어링 플레이트(308) 위로 점점 상승시킨다. 베어링 플레이트(308)의 상승된 베어링 면(346)이 릴리프 노치(138)를 완전히 통과하면, 킥스탠드(106)는 킥스탠드(106)의 베어링 면(136)이 샤프트(304)의 제 1 단부(334) 및 상승된 베어링 면(346) 사이에 위치되어 샤프트(304)를 래치 위치에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 2 가압수단(314)에 의해 제공되는 가압력 하에서 샤프트(304)에 대하여 피벗식으로 이동한다. 폴(322) 역시 이 상황에서 래치 위치에 있으며, 샤프트(304)의 제 1 단부(334) 및 상승된 베어링 면(346)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킥스탠 드(106)의 베어링 면(136)에 의해 래치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핸들(310)이 접힘 위치에 다다른 후에는, 캐치 수단(316)이 핸들(310)을 접힘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 상황에서 패드록이 가해질 수 있고 및/또는 키가 잠금 실린더(412)로부터 제거될 수 있어서 도어(301)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게 된다.
도 104 내지 도 106을 참조하면, 래치 메커니즘(300)은 또한 다중 지점 래칭, 즉 도어를 도어 프레임을 따라 복수의 지점에서 동시에 도어 프레임에 래칭하기 위한 지점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브래킷(43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로드 액추에이터(416)를 더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로드 액추에이터(416)는 샤프트(304)의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 샤프트(304)의 회전 운동에 응하여 회전 운동한다. 그러나, 샤프트(304)는 로드 액추에이터(416)로부터의 간섭없이 로드 액추에이터(416)에 대하여 샤프트(304)의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직선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로드 액추에이터(416)는 샤프트(304)가 로드 액추에이터(416)를 통하여 뻗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제 1 홀(492)을 구비하고 있다. 로드 액추에이터(416)는 또한 제 1 홀(492)의 양측 상에 뻗어있는 암을 구비하고 있다. 로드 액추에이터(416)는 원격 래칭 로드(448)를 부착하기 위하여 홀(492) 외에 제 2 홀(444) 및 제 3 홀(446)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홀(444) 및 제 2 홀(446)은 샤프트(304) 및 홀(492)의 양측 상에 위치되어 있다. 각각의 제 1 홀(444) 및 제 2 홀(446)은 중심을 가지고 있으며, 샤프트(304)와 홀(492)이 제 1 홀(444)의 중심으로부터 제 2 홀(446)의 중심까지 뻗어 있는 직선의 대략 중심점에 위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 1 홀(444) 및 제 2 홀(446)은 로드 액추에이터(416)의 암 중 각각 하나의 일단 부근에 위치되어 있다.
래치 메커니즘(300)은 또한 액추에이터 허브(493)와 액추에이터 허브 하우징(494)을 포함하고 있다. 액추에이터 허브(493)는 액추에이터 허브 하우징(494) 내부에 맞춰지고 그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액추에이터 허브 하우징(494)은 브래킷(432)을 하우징(302)에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스너(436) 중 두 개에 의해 브래킷(432)에 부착된다. 액추에이터 허브 하우징(494)은 샤프트(304)가 액추에이터 허브 하우징(494)로부터의 간섭없이 액추에이터 허브 하우징(494)을 통하여 뻗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양측에 개구부(495, 496)를 구비하고 있다. 액추에이터 허브(493)는, 로드 액추에이터(416)의 홀(492)과 맞춰지고 샤프트(304)가 액추에이터 허브(493)를 통하여 뻗을 수 있도록 하는 중심 홀(497)을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304)는 액추에이터 허브(493)로부터의 간섭없이 액추에이터 허브(493)에 대하여 샤프트(304)의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직선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 허브(493)는, 액추에이터 허브(493)과 로드 액추에이터(416)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로드 액추에이터(416)에서 홀(492)의 양측 상에 제공되는 홀(500 및 501)의 각각에 맞물리는 홀(497)의 마주보는 측 상에 두 개의 맞춤못(peg)(498 및 499)을 구비하고 있다. 맞춤못(498, 499)은 샤프트(304)의 마주보는 측 상에 액추에이터 허브 하우징(494)의 개구부(495)를 통하여 뻗어있다. 액추에이터 허브(493) 및 로드 액추에이터(416) 각각의 홀(497) 및 홀(492)의 하나 또는 모두는 샤프트(304)의 나사부(388)의 비원형인 전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이고 샤프트(304)의 나사부의 편평한 측면(390)에 맞물리는 편평한 측면을 구비하고 있 어서, 샤프트(304)가 액추에이터 허브(493) 또는 로드 액추에이터(416)로부터의 간섭없이 액추에이터 허브(493) 및 로츠 액추에이터(416)에 대하여 샤프트(304)의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직선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에서, 액추에이터 허브(493) 및 로드 액추에이터(416)가 샤프트(304)의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 샤프트(304)의 회전과 함께 샤프트(304)의 회전에 응하여 회전하게 된다.
제 1 및 제 2 원격 래칭 로드(448)는 각각의 홀(444 및 446) 중 하나를 통과하여 위치하는 다양한 종류의 패스너를 사용하여 로드 액추에이터(416)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홀(444 및 446)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로드 설치 나사(450)가 로드(448)를 로드 액추에이터(416)에 피벗운동가능하게 부착하도록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로드(448) 하나만 도시되어 상세히 설명되어 있고 제 2 원격 래칭 로드는 홀(446)에 설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원격 래칭 로드와 동일할 것이다.
원격 래칭 로드(448)는 금속 시트로부터 형성된 신장된 로드이고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장방형 채널 형상, 즉 대략 U-형상의 채널 형상의 전단면을 가지고 있다. 원격 래칭 로드(448)는 제 1 단부(452)와 제 2 단부(454)를 가지고 있다. 제 1 단부(452)는 폴(322)에 근접하여 있는 기단부이고, 제 2 단부(454)는 폴(322)에서 가장 먼 선단부이다. 원격 래칭 로드(448)는 홀(444) 또는 홀(446) 중 각각 하나에 맞춰져서 배치되어 있는 기단부 근처의 제 1 홀(456)을 구비하고 있다. 그 후, 패스너(450)는 홀(456)을 통하여 뻗어있도록 배치되고 로드(448)를 로드 액추에이터(416)에 부착하기 위하여 홀(444) 또는 홀(446)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 다. 원격 래칭 로드(448)는 그 선단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롤러(458)를 지지한다. 로드(448)는 그 선단부 부근에서 도어(301)의 외부 면에 의하여 피벗운동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이에 관한 상세사항은 후술한다.
로드 액추에이터(416)는 샤프트(304)와 함께 샤프트(304)의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한다. 홀(444 및 446)은 샤프트(304)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편심되어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폴(322)이 비래치 위치 및 래치 위치와 일치하는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때, 로드 액추에이터(416)도 역시 회전하고 그 결과 로드(448)의 선단부가 샤프트(304)의 길이방향 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반대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선운동한다. 폴(322)이 비래치 위치 및 래치 위치와 일치하는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때 폴(322)이 도어 프레임(303)에 맞물리는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도어(301)를 도어 프레임(303)에 래치시키기 위하여 롤러(458)가 도어 프레임(303)의 후측면을 타고 올라(ride over)가도록, 래치 메커니즘이 도어(301)에 설치된다. 따라서, 로드(448)는 도어를 도어 프레임에 래칭하는 다중 지점을 제공한다. 또한, 폴(322)이 래치 위치와 일치하는 회전 위치로부터 비래치 위치로 회전할 때, 롤러(458)는 도어 프레임(303)의 후면으로부터 후퇴되어 도어(301)가 개방되도록 한다. 또한, 핸들(310)이 사용자에 의하여 제 1 상승 위치로부터 접힘 위치를 향하여 이동될 때, 폴(322)과 샤프트(304)의 나사부는 로드(448) 또는 로드 액추에이터(416)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하우징(302)을 향하여 그 최종 래치 위치로 당겨 올려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예컨대 도어와 도어 프레임 사이의 개스킷에 가해지는 높은 압축력이 스프링(312)의 가압하에서 샤프 트(304)의 직선운동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라는 장점이 있다. 래치 메커니즘(100)의 실시예에서는, 롤러(258)에 가해지는 매우 높은 압축력이 폴(122) 및 샤프트(104)의 나사부를 하우징(102)을 향하여 뒤로 밀어내는 경향이 있어서, 스프링(112)의 가압하에서 샤프트(104)의 직선운동을 방해하게 된다.
롤러(458)의 그립은 도어의 후측면에 의해 한정된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된, 롤러(458) 및 도어(301)의 후측면에 의해 한정된 면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한정된다. 본 발명의 로드(448)는 다양한 두께를 가진 도어 프레임을 수용하도록 조절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그립을 제공한다. 로드(448)는 평행하게 신장된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한 제 1 슬롯(460)을 구비하고 있다. 로드 가이드(262)는 나사산이 형성된 보어(264) 및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환형 플랜지(266 및 268)을 구비한 슬리브의 형태로 제공된다. 슬롯(460)의 제 1 평행하게 신장된 한 쌍의 측면은 환형 플랜지(266 및 268)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슬롯(460)의 제 1 평행하게 신장된 한 쌍의 측면은 환형 플랜지(266 및 268) 사이에 맞춰져서 로드(448)의 선단부가 로드 가이드(262)에 의하여 그 운동이 적절하게 제한되고 가이드되면서 로드 가이드(262)에 대하여 직선운동 및 피벗운동할 수 있다. 로드(448)의 선단부 및 로드 가이드(262) 사이의 상대적 운동의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슬롯(460)의 일단은, 로드(448)의 선단부에 로드 가이드(262)를 설치하기 위하여 플랜지(266, 268)가 슬롯(460)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확장되어 있다. 플랜지(266, 268)의 중간이 아닌 로드 가이드(262)의 일부를 형성하는 슬리브의 일부분은 깎여 있고 로드 가이드(262)를 회전시킬 때 렌치 등의 공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패싯(270)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시에, 슬롯(460)의 제 1 평행하게 신장된 한 쌍의 측면은 로드 가이드(262)의 슬리브의 일부분이 슬롯(460)을 통과하여 뻗어 있는 상태에서 로드 가이드(262)의 한 쌍의 환형 플랜지(266 및 268) 사이에 위치되어 있어서, 로드(448)의 운동을 가이드한다.
로드 가이드(262)는 도어(301)의 후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나사 기둥(472)과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로드 가이드(262)와 나사 기둥(472) 사이의 나사 결합은 롤러(458)의 그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기둥(472)에 대하여 로드 가이드(262)를 회전하는 것이 도어(301)의 내부 면 위로 로드 가이드(262)의 높이를 변화시켜서 롤러(458)의 그립을 가변하기 때문이다.
더 큰 조절이 필요할 경우에, 한 벌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는 서로 다른 그립을 제공하는 다른 피스로 교체할 수 있는 교체가능한 피스에 의해 롤러(458)가 지지되도록 로드(448)가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롤러(458)는 로드(448)의 선단부 근처에서 로드(448)에 연결되는 교체가능한 로드 단부 스탬핑부(474)에 의해 지지된다. 교체가능한 로드 단부 스탬핑부(474)는 두 개의 측벽부(476)를 구비하고 있는 스탬프된 금속 시트 및 측벽부(476) 사이의 간격을 연결하는 연결벽부(478)를 포함하고 있다. 측벽부(476)는 연결벽부(478)에 대체로 수직이다. 샤프트 또는 리벳(480)이 측벽부(476) 사이로 뻗어서 롤러(458)가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탭(482)이 연결벽부(478)의 일단으로부터 뻗어있고, 탭에 계단식의 윤곽을 부여하기 위하여 대향하는 방향으로 대체로 직각인 연속적인 두 개의 굽힘부를 구비하고 있다. 탭(482)은 로드(448)에서의 슬롯(484)에 맞물린다. 연결벽부(478) 역시 슬롯(460)의 윤곽과 동일한 슬롯(486)을 구비하고 있다. 슬롯(486) 및 슬롯(460)은 조립 후에 중첩된다. 각각 슬롯(460 및 486)의 평행하게 신장된 한 쌍의 측면(488 및 490)은 조립 후에 로드 가이드(262)의 한 쌍의 환형 플랜지(266 및 268)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탭(482)과 로드 가이드(262)는 로드(448)와 스탬핑부(474)를 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서로 협력한다. 측벽부(476)의 구성은 롤러의 그립을 가변하게 하기 위하여 변형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 허브(493)의 외주부는 액추에이터 허브(493)가 작동 중에 회전할 때 액추에이터 허브 하우징(494)의 내부 면을 따라 끌리는 두 개의 돌출부(502 및 503)을 구비하고 있다. 액추에이터 허브 하우징(494)의 내부 면은, 핸들(310)이 접혀질 수 있는 위치에 있을 때 플랜지 돌출부(502 및 503)을 각각 수용하는 두 개의 작은 오목부(504 및 505)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에게 핸들(310)이 접혀있는 동안에 핸들이 하우징(302)에 정확하게 정렬되어 있는지에 관한 촉각적인 지시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부싱(374)의 제 2 상승된 베어링 면(345)은 하우징(302)의 마모를 줄이기 위하여 베어링 면(330)의 기능을 수행하기에 충분히 높게 만들어질 수 있다. 유사한 변형이 래칭 메커니즘(100)의 실시예에서도 적용된다.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임의의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Claims (10)

  1. 제 1 부재를 제 2 부재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압축 래치 메커니즘에 있어서,
    제 1 부재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하우징;
    길이방향 축선,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1 단부 부근에서 상기 샤프트에 피벗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킥스탠드;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베어링 플레이트;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1 단부 부근에서 상기 샤프트에 피벗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피벗식 연결을 형성하는 핸들;
    제 1 가압수단으로서,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가 상기 제 1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전달되는 가압 하에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큰 간격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샤프트를 가압하기 위한 제 1 가압수단;
    접힘 위치로부터 상기 접힘 위치와 제 1 상승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를 향하여 상기 핸들을 가압하고 상기 킥스탠드를 래치 위치로 가압하기 위한 제 2 가압수단; 및
    상기 핸들을 상기 접힘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캐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 1 베어링 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의 회전 및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일치하는 방향으로의 직선이동을 위하여 지지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는 압축 래치 메커니즘이 래치 배치 및 비래치 배치 사이에서 작동할 때 래치 위치 및 비래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상기 래치 배치로부터 상기 비래치 배치로 작동하고 그 후에 상기 래치 배치로 복귀하는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작동은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작동 사이클을 구성하며,
    상기 킥스탠드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링 면 및 적어도 하나의 릴리프 노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킥스탠드는 압축 래치 메커니즘의 상기 작동 사이클의 적어도 일부 동안에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있는 피벗 축 주위로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피벗운동가능하게 움직이고,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상승된 베어링 면과 적어도 하나의 낮은 베어링 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이 접힘 위치 및 제 1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상기 피벗 축선 주위로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피벗운동가능하게 이동하고, 상기 핸들은 킥스탠드 접촉 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킥스탠드와 상기 핸들은 소정의 피벗 운동 범위에 걸쳐 서로에 대하여 피벗식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핸들은 압축 래치 메커니즘을 상기 비래치 배치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제 2 상승 위치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핸들은 하측부 및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있고,
    압축 래치 메커니즘이 상기 접힘 배열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핸들은 상기 접힘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래치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상승된 베어링 면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킥스탠드의 상기 베어링 면에 의해 래치 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캐치 수단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핸들을 해제하기 위해 작동될 때, 상기 핸들은 상기 킥스탠드와 상기 샤프트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기 제 2 가압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가압 하에서 상기 중간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핸들이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중간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상승 위치를 향하여 이동될 때, 상기 핸들은 상기 릴리프 노치가 상기 상승된 베어링 면에 맞춰질 때까지 상기 킥스탠드와 상기 핸들의 상기 킥스탠드 접촉 면 사이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피벗식으로 상기 킥스탠드을 이동시키고, 그 후에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가 상기 하우지으로부터 최대 거리까지 돌출하는, 상기 래치 위치 및 상기 비래치 위치의 중간 위치인) 중간 확장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가압수단의 가압 하에서 상기 길이방향 축선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며,
    이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샤프트를 그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비래치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1 상승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상승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래치 메커니즘.
  2. 제 1 항에 있어서,
    압축 래치 메커니즘이 상기 비래치 배치에 있을 때,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상승 위치에 있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비래치 위치에 있고,
    상기 샤프트를 그 중심 축선 주위로 상기 비래치 위치로부터 상기 중간 확장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상승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상승 위치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핸들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1 상승 위치로부터 상기 접힘 위치를 향하여 이동될 때,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핸들과 상기 샤프트 사이의 상기 피벗식 연결의 중간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핸들의 상기 하측부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1 베어링 면에 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1 베어링 면이 지지점을 형성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킥스탠드 및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1 단부를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로부터 들어올리기 위한 레버로서 작용하여 상기 킥스탠드 및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1 단부를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 위로 점점 상승시키고,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의 상기 상승된 베어링 면이 상기 릴리프 노치를 완전히 통과하면, 상기 킥스탠드는 상기 킥스탠드의 상기 베어링 면이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상승된 베어링 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상기 래치 위치에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가압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가압력 하에서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피벗식으로 이동하며,
    상기 핸들이 상기 접힘 위치에 다다르면, 상기 캐치 수단이 상기 핸들을 상기 접힘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래치 메커니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도어이고, 상기 제 2 부재는 도어 프레임이며,
    압축 래치 메커니즘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 및 상기 하우징의 중간에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어 있는 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폴은, 압축 래치 메커니즘이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기 래치 및 상기 중간 확장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있을 때, 상기 폴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어 프레임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도어 프레임의 일부에 고정되는 구조 뒤에 배치되도록 샤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폴은 상기 샤프트의 래치 위치 및 비래치 위치에 각각 상응하는 래치 위치 및 비래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상기 폴은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래치 메커니즘.
  4. 제 3 항에 있어서,
    핸들이 제 1 상승 위치로부터 접힘 위치로 이동될 때, 도어 및 도어 프레임을 함께 당기는 압축력이 도어 및 도어 프레임에 가해져서 상기 샤프트를 상기 중간 확장 위치로부터 상기 래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래치 메커니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은 상기 샤프트의 양측 상에 위치되어 있는 제 1 홀 및 제 2 홀을 구 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홀 및 상기 제 2 홀은 각각 중심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 1 홀의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2 홀의 상기 중심까지 뻗어있는 직선의 대략 중심점에 위치되어 있고,
    압축 래치 메커니즘은,
    상기 제 1 홀을 맞무는 패스너에 의해 상기 폴에 피벗운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1 로드; 및
    상기 제 2 홀을 맞무는 패스너에 의해 상기 폴에 피벗운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2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로드는 상기 폴로부터 선단인 단부에서 제 1 롤러를 지지하고, 상기 제 1 로드는 상기 제 1 롤러가 상기 폴의 회전에 응하여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로드는 상기 폴로부터의 선단인 단부에서 제 2 롤러를 지지하고, 상기 제 2 로드는 상기 제 2 롤러가 상기 폴의 회전에 응하여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제 1 로드는, 상기 폴이 도어 프레임의 뒤에 위치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폴이 상기 래치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 롤러를 도어 프레임 뒤로 이동시키고, 상기 폴이 상기 비래치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제 1 롤러를 도어 프레임 뒤로부터 후퇴시키며,
    상기 제 2 로드는, 상기 폴이 도어 프레임 뒤에 위치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이격된 제 2 위치에서, 상기 폴이 상기 래치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 2 롤러를 도어 프레임 뒤로 이동시키고, 상기 폴이 상기 비래치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제 2 롤러를 도어 프레임 뒤로 후퇴시켜서, 도어를 도어 프레임에 래칭하는 다중 지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래치 메커니즘.
  6. 제 5 항에 있어서,
    도어는 후측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로드는 제 1 평행하게 신장된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한 제 1 슬롯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2 로드는 제 2 평행하게 신장된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한 제 2 슬롯을 구비하고 있고,
    압축 래치 메커니즘은,
    나사산이 형성된 보어 및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환형 플랜지를 구비한 슬리브의 형태로 제공되는 제 1 로드 가이드; 및
    나사산이 형성된 보어 및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환형 플랜지를 구비한 슬리브의 형태로 제공되는 제 2 로드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평행하게 신장된 한 쌍의 측면은 상기 제 1 로드 가이드의 상기 슬리브의 일부가 상기 제 1 슬롯을 통하여 뻗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로드 가이드의 상기 한 쌍의 환형 플랜지 사이에 위치되어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의 이동을 가이드 하고, 상기 제 1 로드 가이드는 도어의 후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 1 나사 기둥과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롤러는 도어의 후측면에 의해 한정된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도어의 후측면에 의해 한정된 면 및 상기 제 1 롤러 사이의 간격에 의해 한정되는 그립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로 드 가이드와 제 1 나사 기둥 사이의 나사 결합은 상기 제 1 롤러의 그립을 조절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 2 평행하게 신장된 한 쌍의 측면은 상기 제 2 로드 가이드의 상기 슬리브의 일부가 상기 제 2 슬롯을 통하여 뻗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로드 가이드의 상기 한 쌍의 환형 플랜지 사이에 위치되어 있어서 상기 제 2 로드의 이동을 가이드 하고, 상기 제 2 로드 가이드는 도어의 후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 2 나사 기둥과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롤러는 도어의 후측면에 의해 한정된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도어의 후측면에 의해 한정된 면 및 상기 제 2 롤러 사이의 간격에 의해 한정되는 그립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2 로드 가이드와 제 2 나사 기둥 사이의 나사 결합은 상기 제 2 롤러의 그립을 조절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래치 메커니즘.
  7. 제 5 항에 있어서,
    도어는 후측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롤러는 상기 제 1 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교체가능한 로드 단부 스탬핑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1 롤러는 도어의 후측면에 의해 한정된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도어의 후측면에 의해 한정된 면 및 상기 제 1 롤러 사이의 간격에 의해 한정되는 그립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교체가능한 로드 단부 스탬핑부는 상기 제 1 롤러의 그립을 가변하기 위하여 다른 교체가능한 로드 단부 스탬핑부에 의해 교체되고,
    상기 제 2 롤러는 상기 제 2 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교체가능한 로드 단 부 스탬핑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2 롤러는 도어의 후측면에 의해 한정된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도어의 후측면에 의해 한정된 면 및 상기 제 2 롤러 사이의 간격에 의해 한정되는 그립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2 교체가능한 로드 단부 스탬핑부는 상기 제 2 롤러의 그립을 가변하기 위하여 다른 교체가능한 로드 단부 스탬핑부에 의해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래치 메커니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핸들 캠 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캠 로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핸들 캠 면은, 상기 핸들이 상기 접힘 위치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에 응하여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1 단부를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로부터 들어올리기 위하여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의 상기 낮은 베어링 면에 접하여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샤프트가 통과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에서 가장 근접한 상기 슬리브의 단부에서 한 쌍의 슬롯을 구비하고 있으며,
    압축 래치 메커니즘은, 상기 샤프트의 양측 또는 상기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는 부싱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측면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돌출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 1 상승 위치 및 상기 접힘 위치에 있거나 그 사이에 있을 때에만 상기 한 쌍의 슬롯과 맞추어져서 상기 샤프트가 상기 래치 위치로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래치 메커니 즘.
  9. 원격 래칭 로드 조립체로서,
    래치 메커니즘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로드; 상기 로드의 상기 제 2 단부에서 지지되어 있는 롤러; 및 나사산이 형성된 보어 및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환형 플랜지를 구비하고 있는 슬리브의 형태로 제공되는 로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평행하게 신장된 한 쌍의 측면을 갖춘 슬롯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로드는 상기 롤러가 래치 메커니즘의 작동에 응하여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평행하게 신장된 한 쌍의 측면은 상기 로드 가이드의 상기 슬리브의 일부가 상기 슬롯을 통하여 뻗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로드 가이드의 상기 한 쌍의 환형 플랜지 사이에 위치되어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이동을 가이드 하고, 상기 로드 가이드는 도어의 후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나사 기둥과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롤러는 도어의 후측면에 의해 한정된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도어의 후측면에 의해 한정된 면 및 상기 롤러 사이의 간격에 의해 한정되는 그립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로드 가이드와 상기 나사 기둥 사이의 나사 결합은 상기 롤러의 그립을 조절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래칭 로드 조립체.
  10. 원격 래칭 로드 조립체로서,
    래치 메커니즘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구비하고 있 는 로드; 상기 로드의 상기 제 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교체가능한 로드 단부 스탬팽부; 및 상기 교체가능한 로드 단부 스탬핑부에 의해 지지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평행하게 신장된 한 쌍의 측면을 갖춘 슬롯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로드는 상기 롤러가 래치 메커니즘의 작동에 응하여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롤러는, 도어의 후측면에 의해 한정된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된, 상기 로드가 부착되어 있는 도어의 후측면에 의해 한정된 면 및 상기 롤러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한정되는 그립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교체가능한 로드 단부 스탬핑부는 상기 롤러의 상기 그립을 가변하기 위하여 다른 교체가능한 로드 단부 스탬핑부에 의해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래칭 로드 조립체.
KR1020077005272A 2004-08-04 2005-08-04 압축 래치 메커니즘 KR200700444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11,817 2004-08-04
US10/911,817 US20060028027A1 (en) 2004-08-04 2004-08-04 Compression latch mechanis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484A true KR20070044484A (ko) 2007-04-27

Family

ID=35756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272A KR20070044484A (ko) 2004-08-04 2005-08-04 압축 래치 메커니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60028027A1 (ko)
EP (2) EP2664733B1 (ko)
KR (1) KR20070044484A (ko)
CN (1) CN100526585C (ko)
WO (1) WO200601773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8027A1 (en) * 2004-08-04 2006-02-09 Schlack Richard E Compression latch mechanism
US7526933B2 (en) * 2006-10-18 2009-05-05 Master Lock Company Llc Multipoint door lock
US7752877B2 (en) 2007-03-06 2010-07-13 Hanson International, Inc. Rotary actuation latch with disconnect feature
DE202007004435U1 (de) 2007-03-27 2008-08-14 Dirak Dieter Ramsauer Konstruktionselemente Gmbh & Co. Kg In einer Mulde arretierbar versenkbare Handhebelbetätigung
EP2204081A4 (en) * 2007-10-01 2013-10-30 Hoffman Enclosures Inc CONFIGURABLE HOUSING FOR ELECTRONIC COMPONENTS
DE202007014082U1 (de) * 2007-10-09 2009-02-19 Dirak Dieter Ramsauer Konstruktionselemente Gmbh & Co. Kg Kompressionsverschluss
DE202008004058U1 (de) * 2008-03-25 2009-08-06 Mayer & Co. Griff
US8348357B2 (en) * 2009-07-12 2013-01-08 Matthew Briggs Drawer assembly locking mechanism
US20130127186A1 (en) * 2010-05-05 2013-05-23 David Martin Stuckey Coupling arrangement
CN102080481A (zh) * 2010-10-13 2011-06-01 吴江凯瑞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隐藏锁
US9765549B2 (en) * 2011-09-23 2017-09-19 Architectural Builders Hardware Mfg., Inc. Universal latch handle
USD839087S1 (en) 2013-02-13 2019-01-29 Albert A. Dosch Trailer door holding device
US9890515B2 (en) * 2013-09-27 2018-02-13 Harnischfeger Technologies, Inc. Dipper door and dipper door trip assembly
US10184268B2 (en) * 2016-02-23 2019-01-22 Fath, Inc. Security swing handle assembly
US10738513B2 (en) * 2016-12-09 2020-08-1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lush power slide door handle
WO2018192676A1 (de) * 2017-04-21 2018-10-25 Dirak Dieter Ramsauer Konstructionelemente Gmbh Wechseleinsatz für eine modulare verschlusseinrichtung für unterschiedliche verschlusselemente
USD945854S1 (en) * 2018-06-07 2022-03-15 Southco, Inc. Electronic latch assembly
WO2020062172A1 (zh) * 2018-09-29 2020-04-02 向德钊 一种锁具
EP3670327A1 (en) * 2018-12-19 2020-06-24 Bombardier Inc. Aircraft door handle assembly
CA3158427A1 (en) * 2021-05-05 2022-11-05 Assa Abloy Access And Egress Hardware Group, Inc. Door lock assembly
US20230107513A1 (en) * 2021-10-04 2023-04-06 C. R. Laurence Co, Inc. Vertical Latch Bolt
US20230265685A1 (en) * 2022-02-23 2023-08-24 Hansen International, Inc. Lockable roll-up door assembly
US20240141697A1 (en) * 2022-11-01 2024-05-02 Janus International Group, Llc Door lock and process for installing door lock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3127A (en) * 1936-04-21 1939-01-10 Albert J Leonard Automobile door lock
US2317700A (en) * 1942-06-11 1943-04-27 Arthur S Thompson Door lock
US3402958A (en) * 1967-03-28 1968-09-24 Southco Door or panel fastener
US4556244A (en) * 1984-01-26 1985-12-03 Southco, Inc. Latch assembly having pull-up action
US4583775A (en) * 1984-05-16 1986-04-22 Southco, Inc. Latch assembly having pull-up action
US4693503A (en) * 1986-03-06 1987-09-15 Southco, Inc. Lever latch
US4706478A (en) * 1986-04-11 1987-11-17 The Eastern Company Rotary handle operated door lock
US4689976A (en) * 1986-06-16 1987-09-01 Tri/Mark Corporation Pop-up handle assembly
US4763935A (en) * 1987-03-25 1988-08-16 Southco, Inc. Door or panel fastener
US4893849A (en) * 1987-09-24 1990-01-16 Southco, Inc. Remote latching mechanism
US5267762A (en) * 1992-02-20 1993-12-07 Southco, Inc. Latch with connecting parts forming a seal
JPH06264656A (ja) * 1993-03-16 1994-09-20 Takigen Seizo Kk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H0717203Y2 (ja) * 1993-03-18 1995-04-19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平面ハンドル装置
JP2504714B2 (ja) 1993-04-07 1996-06-05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US5409272A (en) * 1993-06-28 1995-04-25 Southco, Inc. Over-center latch assembly
US5526660A (en) * 1994-03-15 1996-06-18 Cleveland Hardware & Forging Multi-point t-handle latch assembly
DE29513978U1 (de) 1995-08-31 1995-10-26 Chiang Ching Hua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elektrische Anschlußdose
DE29711741U1 (de) * 1997-07-04 1998-11-05 Ramsauer Dieter In eingeschwenktem Zustand sicherbare Schwenkhebelbetätigung für den Verschluß von Schaltschranktüren o.dgl.
US5938248A (en) * 1997-10-08 1999-08-17 Southco, Inc. Multi-point latching system
US5984383A (en) * 1997-10-17 1999-11-16 Cleveland Hardware And Forging Company Lockable slammable cam latch with handle key hole cover
DE29722000U1 (de) * 1997-12-15 1999-04-15 Ramsauer Dieter Schwenkhebelverschluß für die Tür, Seitenwand o.dgl. eines Schaltschrankes, einer Maschinenverkleidung oder ähnlichem, mit durch Vorhängeschloß und/oder Haken arretierbarem Schwenkhebel
CN1302348A (zh) * 1998-04-02 2001-07-04 索斯科公司 多点门闩拉杆滚柱系统
US6174007B1 (en) * 1999-05-19 2001-01-16 Southco, Inc. Actuator assembly
JP2969119B1 (ja) * 1998-12-22 1999-11-02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引き出し回転操作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DE20006876U1 (de) * 2000-04-14 2001-08-23 Ramsauer Dieter Verschluß zur Montage in einem Durchbruch in einer dünnen Wand
US6668602B2 (en) * 2002-01-02 2003-12-30 S.P.E.P. Acquisition Corp. Flush mounted latch
US6971689B2 (en) * 2002-05-03 2005-12-06 Hartwell Corporation Flush handle assembly
US6953209B2 (en) * 2002-09-24 2005-10-11 Southco, Inc. Compression latch
DE20315488U1 (de) * 2003-10-08 2003-12-11 Chiang, Ching-Hua Schnappschloß, insbesondere für einen Schrank
US20060028027A1 (en) * 2004-08-04 2006-02-09 Schlack Richard E Compression latch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4733A1 (en) 2013-11-20
WO2006017731A3 (en) 2006-09-08
WO2006017731A2 (en) 2006-02-16
US20060028027A1 (en) 2006-02-09
CN101027453A (zh) 2007-08-29
EP1778938A4 (en) 2011-06-15
EP2664733B1 (en) 2016-03-16
EP1778938B1 (en) 2013-06-19
US20070046038A1 (en) 2007-03-01
CN100526585C (zh) 2009-08-12
EP1778938A2 (en) 2007-05-02
US7360802B2 (en) 2008-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4484A (ko) 압축 래치 메커니즘
CA2778747C (en) Lock with sliding locking elements
EP1732414B1 (en) Slide and snap clamp
EP3426870B1 (en) High offset hook latch
US7753418B2 (en) Lever actuated door latch operator
US7553279B1 (en) Slide and snap clamp
EP3261482B1 (en) Closure device assembly for a piece of luggage
US4671089A (en) Door latch and deadbolt assembly
US6418761B1 (en) Latch
US8353541B2 (en) Lock mechanism for a casement window
CA3052497A1 (en) Automatically-extendible deadbolt latch assembly
US8240177B2 (en) Keyed lock door handle
US20110198869A1 (en) Fire door lock structure and latch assembly thereof
RU2643125C2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CA2875425C (en) Multi-point lock assembly
EP2281983B1 (en) Snap lock assembly
US6352289B1 (en) Lock apparatus for a door
JP2531936Y2 (ja) 用心錠
AU2019210627B1 (en) A latch assembly
JPH0129952B2 (ko)
AU2065800A (en) Improvements in locks
WO2006124986A1 (en) Slide and snap clamp
JP2007113363A (ja) ドア用補助錠
AU3012600A (en) Improvements in locks
AU1847400A (en) Improvements in lo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