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4283A -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및 이에 적합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증폭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및 이에 적합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증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4283A
KR20070044283A KR1020050100402A KR20050100402A KR20070044283A KR 20070044283 A KR20070044283 A KR 20070044283A KR 1020050100402 A KR1020050100402 A KR 1020050100402A KR 20050100402 A KR20050100402 A KR 20050100402A KR 20070044283 A KR20070044283 A KR 20070044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output
pulse
negative feedback
digital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8520B1 (ko
Inventor
문병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520B1/ko
Priority to PCT/KR2006/004341 priority patent/WO2007049898A1/en
Priority to US12/090,278 priority patent/US7952426B2/en
Priority to CN200680036154XA priority patent/CN101278477B/zh
Priority to JP2008535471A priority patent/JP5415765B2/ja
Publication of KR2007004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03F3/2173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of the bridge ty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03F1/0227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using suppl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3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using a switching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7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push-pul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4Negative-feedback-circuit arrangements with or without positive feedbac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2Circuit arrangements for protecting su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51Pulse width modulation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0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being continuously controlled by a controlling signal, e.g. the controlling signal of a transistor implemented as variable resistor in a supply path for, an IC-block showed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41Transformer coupled at the output of an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와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를 하나로 통합함에 의해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절연 요건을 만족시키면서도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및 이에 적합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 증폭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펄스 변조하여 펄스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펄스 변조부; 상기 펄스 변조된 오디오 신호에 기반하여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을 변성하여 출력하는 절연 트랜스; 및 상기 절연 트랜스의 출력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 상응하는 출력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와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를 하나로 통합함에 의해 절연 요건을 만족시키면서도 전력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달성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및 이에 적합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 증폭 방법{digital audio amplifier and a method of amplifying digital audio}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급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의 동작을 보이기 위한 파형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풀 브리지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의 예를 보이는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슈미트 트리거의 동작을 보이는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의 제1변형 실시예를 보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의 제2변형 실시예를 보이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의 제3변형 실시예를 보이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와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를 하나로 통합함에 의해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절연 요건을 만족시키면서도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및 이에 적합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 증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은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발생하는 직류 전원 공급부와; 직류 전원을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펄스 변조하고, 펄스 변조된 직류 전원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여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상응하는 출력 오디오 신호를 얻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를 구비한다.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의 출력은 스피커에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직류 전원 공급부는 상용 교류 전원과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를 절연시키는 기능을 가지도록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부합하기 위하여 직류 전원 공급부로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로서는 출력 전력의 증강을 위해 D급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100)은 SMPS(110)와 D급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130)를 구비한다.
SMPS(110)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1차 정류 및 평활부(112)를 이용하 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직류 전원을 펄스폭 변조부(114, PWM 변조부)에서 발생된 수십 Khz ~ 수백 Khz 혹은 그 보다 더 빠른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폭 변조 신호(pulse width modified signal; 이하 PWM이라 함)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칭부(116)에서 스위칭하고, 스위칭된 직류 전원을 적절한 권선비를 가지는 절연 트랜스(118)로 변성하고, 절연 트랜스(118)의 출력을 2차 정류 및 평활부(120)를 통하여 정류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입력 전원의 변동이나 출력 전류의 변동에 상관없이 일정한 직류 전압을 출력하도록, 에러 신호를 부궤환(feedback)시켜 펄스 변조 신호의 주파수, 듀티비(duty rate) 등을 조정한다.
여기서, 절연 트랜스(118)에 의해 1차측 즉, 상용 교류 전원과 2차측 즉,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130)가 절연된다. 또한, 절연 트랜스(118)의 2차측에서 검출되는 에러 신호도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미도시)를 통하여 1차측의 펄스폭 변조부(114)로 피드백시키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D급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130)는 SMPS(11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펄스폭 변조부(134)에서 발생된 펄스폭 변조된 오디오 신호(PWM 오디오 신호)에 의해 D급 출력단(134)에서 스위칭하고, 스위칭된 직류 전원을 저역 통과 필터(136)를 통하여 저역 통과 필터링하여 원래의 오디오 신호에 상응하는 출력 오디오 신호를 발생한다. 출력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에 제공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오디오 출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절연 트랜스(308)의 출력으로부터 부궤환 신호를 발생하여 펄스폭 변조부(134)의 펄스 변조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급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130)의 동작을 보이기 위한 파형도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Khz 이하의 입력 오디오 신호에 의해 180Khz 이상의 삼각파 반송파를 변조함에 의해 PWM 오디오 신호가 얻어진다. 이 PWM 오디오 신호에 의해 직류 전원을 스위칭함에 의해 스위칭된 직류 전원이 얻어진다. 또한, 스위칭된 직류 전원을 저역 통과 필터링함에 의해 출력 오디오 신호가 얻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오디오 신호와 출력 오디오 신호는 서로 유사함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은 전력 효율이 낮고 제조 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SMPS(110)의 전력 효율을 P1이라 하고,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의 전력 효율을 P2라고 한다면,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100)의 전력 효율 Pt은 P1 x P2가 된다. 여기서, P1 및 P2는 1보다 작은 값이므로 Pt는 P1 및 P2 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100)은 낮은 전력 효율을 가질 수 밖에 없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SMPS(110) 및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130)를 살펴보면, 펄스폭 변조부들(114, 134)이 동일한 펄스폭 변조 동작을 수행하고 있고, 정류 및 평활부들(112, 120)도 동일한 정류 동작을 수행하고 있으며 또한, 스위칭부(116)와 D급 출력단(134)도 동일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들이 중복 설치되어 있어서, 제조 비용이 불필요하게 소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SMPS와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에서 중복되는 부재들을 통합함에 의해 전력 효율을 증대시키고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 효율을 증대시키고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증폭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펄스 변조하여 펄스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펄스 변조부;
상기 펄스 변조된 오디오 신호에 기반하여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을 변성하여 출력하는 절연 트랜스; 및
상기 절연 트랜스의 출력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 상응하는 출력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절연 트랜스의 1차측 및 2차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펄스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포토 커플링하여 상기 스위칭부에 제공하는 포토 커플러를 더 구비한다.
또 다르게는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절연 트랜스의 1차측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포토커플링하여 상기 펄스 변조부에 제 공하는 제2포토 커플러를 더 구비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신호 증폭 방법은
입력 오디오 신호를 펄스 변조하여 펄스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
상기 펄스 변조된 오디오 신호에 기반하여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스위칭된 직류 전원을 발생하는 과정;
상기 스위칭된 직류전원을 절연 트랜스를 통하여 변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절연 트랜스의 출력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 상응하는 출력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300)는 정류 및 평활부(302), 펄스 변조부(304), 스위칭부(306), 절연 트랜스(308) 그리고 저역 통과 필터(310)를 구비한다.
정류 및 평활부(302)는 상용 교류 전원을 1차 정류 및 평활부(112)를 이용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펄스 변조부(302)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펄스 변조하여 펄스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얻고, 이를 스위칭부(306)에 제공한다. 스위칭부(306)는 펄스 변조된 오디오 신호에 의해 정류 및 평활부(302)에서 제공되는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스위칭된 직류 전원을 발생한다. 절연 트랜스(306)는 스위치부(306)에서 출력되는 스위칭된 직류 전원을 변성하여 출력한다. 저역 통과 필터 (310)는 절연 트랜스(306)의 출력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여 입력 오디오 신호에 상응하는 출력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에 제공된다.
여기서, 절연 트랜스(308)에 의해 상용 교류 전원과 저역 통과 필터(310)가 절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100)에 비해, 정류 및 평활부, 펄스 변조부, 그리고 스위칭부의 중복이 해소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효율 및 제조 비용이 개선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3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이는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예에 의하면, 펄스 변조기(304)가 절연 트랜스(308)의 2차측에 설치되며, 펄스 변조기(304)의 출력인 PWM 오디오 신호가 포토 커플러(410)를 통하여 절연 트랜스(308)의 1차측에 설치된 스위칭부(306)로 제공된다.
도 4에 있어서, 참조부호 402는 퓨즈, 404는 전자파 장해(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를 방지하기 위한 필터, 406은 라인 사이 혹은 라인과 샤시 사이의 노이즈 필터링을 위한 콘덴서들, 408은 부궤환 신호 발생기, 410은 펄스 변조부(304)에서 발생된 펄스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포토 커플링하기 위한 포토 커플러 그리고 412는 포토 커플러(410)의 출력을 스위칭부(306)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306a, 306b)을 구동하기에 충분하도록 증폭하는 게이트 드라이버(gate driver)이다.
정류 및 평활부(302)는 브리지 정류기(302a) 및 평활 콘덴서(302b)를 구비한 다. 스위칭부(306)는 서로 상보적으로 동작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들(306a, 306b)을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스위칭부(306)는 하프 브리지(half bridge) 방식의 D급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에 준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스위칭부(306)가 풀 브리지(full bridge) 방식의 D급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에 준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풀 브리지 방식의 D급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의 예를 보이는 것이다.
절연 트랜스(308)는 전자파 장해를 절감하고,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를 가진다.
펄스 변조기(304)는 적분회로(304a)와 슈미트 트리거(304b, shumitt trigger)를 구비한다. 적분 회로(304a)는 오디오 신호 및 부궤환 신호를 적분하며, 슈미트 트리거(304b)는 적분 회로(304a)의 출력에 의해 발진한다. 적분 회로(304a)와 슈미트 트리거(304b)에 의해 PWM 오디오 신호가 얻어진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슈미트 트리거(304b)의 동작을 보이는 파형도이다. 슈미트 트리거(304b)는 두 개의 스레스홀드(threshold) 전압을 가진다. 예를 들어, 입력 전압 (Vin)이 제1 스레스홀드 전압보다 크게 되면, 출력 전압 (Vout)이 로직 1로 된다. 일단 출력 전압 (Vout)이 로직 1이 되면, 입력 전압이 제1 스레스홀드 전압과 제2 스레스홀드 전압 사이에 있는 동안 로직 1을 유지한다. 한편, 입력 전압 (Vin)이 제2 스레스홀드 전압보다 작아지면, 출력 전압 (Vout)은 로직 0로 복귀한다.
따라서, 슈미트 트리거(304b)는 적분회로(304a)의 출력 변화에 상응하는 펄스폭 변조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펄스 변조부(304)에서 출력되는 PWM 오디오 신호는 포토 커플러(410)를 통하여 포토 커플링되어 게이트 드라이버(410)에 제공된다. 게이트 드라이버(410)는 포토 커플러(410)의 출력을 스위칭부(306)의 스위칭 트랜지스터(306a 306b)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증폭한다.
스위칭부(306)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직류 전원은 스위칭 즉, 펄스폭 변조된다. 스위칭부(306)의 출력은 절연 트랜스(308)를 통하여 변성되고, 다시 저역 통과 필터(310)에 의해 저역 통과 필터링되어 출력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입력 전원의 변동 및 출력 전류의 변동에 상관없이 출력 오디오 신호가 안정되도록, 부궤환 신호 발생기(408)가 제공된다. 부궤환 신호 발생기(408)는 절연 트랜스(308)의 출력으로부터 출력 오디오 신호의 크기에 상응하는 부궤환 신호를 발생한다.
부궤환 신호는 적분회로(304a)에 제공된다. 적분회로(304a)는 오디오 신호 및 부궤환 신호를 적분 즉, 오디오 신호와 부궤환 신호의 합성 신호를 증폭한다.
출력 오디오 신호가 안정한 상태 즉, 부궤환 신호가 일정한 값을 가지는 상태에서 입력 전원의 변동 및 출력 전류의 변동에 의해 출력 오디오 신호의 레벨이 정상보다 높아지면, 부궤환 신호가 작아지고 그 결과 PWM 오디오 신호의 듀티비가 작아진다. 이에 따라, 스위칭된 직류 전원의 듀티비도 작아지고, 따라서 출력 오디오 신호의 레벨이 감소한다.
반대로, 입력 전원의 변동 및 출력 전류의 변동에 의해 출력 오디오 신호의 레벨이 정상보다 낮아지면, 부궤환 신호가 커지고 그 결과 PWM 오디오 신호의 듀티비가 커진다. 이에 따라, 스위칭된 직류 전원의 듀티비도 커지고, 따라서 출력 오디오 신호의 레벨이 증가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의 제1변형 실시예를 보이는 회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펄스 변조기(304)가 절연 트랜스(308)의 2차측에 설치되며, 펄스 변조기(304)의 출력인 PWM 오디오 신호가 포토 커플러(410)를 통하여 절연 트랜스(308)의 1차측에 설치된 스위칭부(306)로 제공된다. 그렇지만, 도 7에 도시된 제1변형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슈미트 트리거(304b) 대신에 비교기(304c)가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비교기(304c)는 적분회로(304a)의 출력과 삼각파 반송파를 비교하여 PWM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비교기(304c)의 동작 및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300)의 동작은 도 2에 도시된 파형도들을 참조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300)의 제2변형 실시예를 보이는 회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는 다르게 펄스 변조기(304)가 절연 트랜스(308)의 1차측에 설치되며, 입력 오디오 신호 및 부궤환 신호가 포토 커플러들(802, 804) 각각을 통하여 펄스 변조부(304)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오디오 신호와 부궤환 신호에 대한 절연이 달성된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300)의 제3변형 실시예를 보이는 회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예에 의하면, 도 8에 도시된 제2변형 실시예에서와 같이 펄스 변조기(304)가 절연 트랜스(308)의 1차측에 설치되며, 입력 오디오 신호 및 부궤환 신호가 포토 커플러들(802, 804) 각각을 통하여 펄스 변조부(304)에 제공된다.
그렇지만, 도 9에 도시된 제3변형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제2변형 실시예에서의 슈미트 트리거(304b) 대신에 비교기(304c)가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를 사용하면, SMPS와 D급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에서 서로 중첩되는 펄스폭 변조부와 스위칭부를 간략화할 수 있어서, 부품 수의 감소, 제조 비용 절감 그리고 설치 공간 감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회로가 간단하게 되어 그만큼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를 사용하면, SMPS의 생략으로 전력 효율이 향상되고, 더불어서 방열을 위한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SMPS와 D급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로 구성하는 경우 소비 전력이 130Watt임에 비해, 본 발명의 경우는 111Watt 즉, 19Watt의 소비전력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 결과, 전자파 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각종 필터들, 교류 전원의 정류를 위한 브리지 정류기, 평활 콘덴서 등의 전류 레이트(current rate)를 낮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더하면 보다 낮은 비용으로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를 제 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와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를 하나로 통합함에 의해 절연 요건을 만족시키면서도 전력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달성한다.

Claims (17)

  1. 입력 오디오 신호를 펄스 변조하여 펄스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펄스 변조부;
    상기 펄스 변조된 오디오 신호에 기반하여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을 변성하여 출력하는 절연 트랜스; 및
    상기 절연 트랜스의 출력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 상응하는 출력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절연 트랜스의 1차측 및 2차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펄스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포토 커플링하여 상기 스위칭부에 제공하는 포토 커플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변조부는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펄스폭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변조부는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적분하는 적분회로; 및
    상기 적분 회로의 출력에 따라 발진하는 슈미트 트리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적분 회로 및 상기 슈미트 트리거에 의해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펄스폭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트랜스의 출력으로부터 부궤환신호를 발생하는 부궤환 신호 발생기를 더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적분회로는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부궤환 신호를 적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변조부는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적분하는 적분회로; 및
    상기 적분회로의 출력과 삼각파 반송파를 비교하는 비교기를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적분회로와 상기 비교기에 의해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펄스폭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트랜스의 출력으로부터 부궤환 신호를 발생하는 부궤환 신호 발생기를 더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적분회로는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부궤환 신호를 적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절연 트랜스의 1차측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포토커플링하여 상기 펄스 변조부에 제공하는 제2포토 커플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변조부는 상기 제2포토 커플러의 출력을 펄스폭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변조부는 상기 제2포토 커플러의 출력을 적분하는 적분회로; 및
    상기 적분 회로의 출력에 의해 발진하는 슈미트 트리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적분 회로 및 상기 슈미트 트리거에 의해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에 상응하는 펄스폭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트랜스의 출력으로부터 부궤환 신호를 발생하는 부궤환 신호 발생기;
    상기 부궤환 신호를 포토 커플링하여 상기 적분회로에 제공하는 제3포토 커플러를 더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적분회로는 상기 제2포토 커플러의 출력 및 상기 제3포토 커플러의 출력들을 적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변조부는
    상기 제2포토 커플러의 출력을 적분하는 적분회로; 및
    상기 적분회로의 출력과 삼각파 반송파를 비교하는 비교기를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적분회로 및 상기 비교기에 의해 상기 오디오 신호에 상응하는 펄스폭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트랜스의 출력으로부터 부궤환신호를 발생하는 부궤환 신호 발생기;
    상기 부궤환 신호를 포토 커플링하는 제3포토 커플러를 더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적분회로는 상기 제2포토 커플러의 출력 및 상기 제3포토 커플러의 출력들을 적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트랜스는 페라이트 코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15. 제1항에 있어서,
    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정류 및 평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상기 스위칭부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증폭시키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17. 입력 오디오 신호를 펄스 변조하여 펄스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
    상기 펄스 변조된 오디오 신호에 기반하여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스위칭된 직류 전원을 발생하는 과정;
    상기 스위칭된 직류전원을 절연 트랜스를 통하여 변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절연 트랜스의 출력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 상응하는 출력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증폭 방 법.
KR1020050100402A 2005-10-24 2005-10-24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및 이에 적합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증폭 방법 KR101128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402A KR101128520B1 (ko) 2005-10-24 2005-10-24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및 이에 적합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증폭 방법
PCT/KR2006/004341 WO2007049898A1 (en) 2005-10-24 2006-10-24 Digital audio amplifier and digital audio amplifying method therefor
US12/090,278 US7952426B2 (en) 2005-10-24 2006-10-24 Digital audio amplifier and digital audio amplifying method therefor
CN200680036154XA CN101278477B (zh) 2005-10-24 2006-10-24 数字音频放大器及其数字音频放大方法
JP2008535471A JP5415765B2 (ja) 2005-10-24 2006-10-24 デ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増幅器及びこれに適したデ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増幅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402A KR101128520B1 (ko) 2005-10-24 2005-10-24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및 이에 적합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증폭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283A true KR20070044283A (ko) 2007-04-27
KR101128520B1 KR101128520B1 (ko) 2012-03-27

Family

ID=3796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402A KR101128520B1 (ko) 2005-10-24 2005-10-24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및 이에 적합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증폭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52426B2 (ko)
JP (1) JP5415765B2 (ko)
KR (1) KR101128520B1 (ko)
CN (1) CN101278477B (ko)
WO (1) WO2007049898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3213A (zh) * 2017-08-30 2017-11-07 东莞中拓机械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脉宽调制300w+双150w(pfc)功放模组
KR102112253B1 (ko) * 2019-12-24 2020-05-18 가락전자 주식회사 전원 증폭기와 음향 증폭기가 일체화된 고효율 음향 증폭 장치
KR102156327B1 (ko) * 2020-05-21 2020-09-15 (주)아이엠피 단일권선 변압기와 스너버 캐패시터를 이용한 절연형 Class D 오디오 앰프
KR102156315B1 (ko) * 2020-05-21 2020-09-15 (주)아이엠피 절연형 Class D 오디오 앰프
KR102156322B1 (ko) * 2020-05-21 2020-09-15 (주)아이엠피 단일권선 변압기의 유니폴라 동기식 절연형 Class D 오디오 앰프
KR102156325B1 (ko) * 2020-05-21 2020-09-15 (주)아이엠피 센터탭 변압기의 유니폴라 동기식 절연형 Class D 오디오 앰프
KR102156330B1 (ko) * 2020-05-21 2020-09-15 (주)아이엠피 센터탭 변압기와 스너버 캐패시터를 이용한 절연형 Class D 오디오 앰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6835B2 (en) * 2007-11-05 2015-05-19 Aliphcom Combining an audio power amplifier and a power converter in a single device
US8089311B2 (en) * 2008-01-22 2012-01-03 Analog Devices, Inc. Signal amplifier
JP2011160538A (ja) * 2010-01-29 2011-08-18 Panasonic Corp 電源装置及びデジタルアンプ
US8384478B2 (en) * 2010-03-04 2013-02-26 Bose Corporation Versatile audio power amplifier
US8410851B1 (en) 2011-09-12 2013-04-02 Wen-Hsiung Hsieh Switching amplifier with an inductor
US8228118B1 (en) 2011-09-17 2012-07-24 Wen-Hsiung Hsieh Switching amplifier using capacitor for transmitting energy
US8212613B1 (en) 2011-09-21 2012-07-03 Wen-Hsiung Hsieh Switching amplifier using flyback transformer
US8451057B2 (en) 2011-11-02 2013-05-28 Wen-Hsiung Hsieh Switching amplifier using inductor current feedback
US9602067B2 (en) * 2011-11-15 2017-03-21 Wen-Hsiung Hsieh Switching amplifier with pulsed current supply
US8416020B1 (en) 2011-11-20 2013-04-09 Wen-Hsiung Hsieh Switching amplifier and switching amplifying method
US8432221B1 (en) 2011-11-27 2013-04-30 Wen-Hsiung Hsieh Switching amplifying method and switching amplifier
US8525587B2 (en) 2011-12-04 2013-09-03 Wen-Hsiung Hsieh Switching amplifier with inductance means for transmitting energy
CN102412741A (zh) * 2011-12-12 2012-04-11 西安福安创意咨询有限责任公司 一种日光灯隔离型双电源方法
US8760230B2 (en) 2012-06-28 2014-06-24 Wen-Hsiung Hsieh Switching amplifier with pulsed current source and sink
WO2014093038A1 (en) * 2012-11-28 2014-06-19 Guangdong Rui Ding Electrical Technology LTD. Super-efficient single-stage isolated switching power amplifier
US9293997B2 (en) 2013-03-14 2016-03-22 Analog Devices Global Isolated error amplifier for isolated power supplies
CN104092369B (zh) * 2014-06-27 2017-01-11 北京控制工程研究所 一种基于数字光耦的开关电源反馈电路
CN104408835B (zh) * 2014-10-21 2018-01-12 深圳市易联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pos终端有线音频通信中的抗干扰装置
KR101619837B1 (ko) 2014-11-20 2016-05-11 서용상 디급 디지털 증폭기
CN104581530B (zh) * 2014-12-23 2018-12-28 福建星网视易信息系统有限公司 一种降低信号噪音的电路、装置和系统
EP3101807A1 (de) * 2015-06-01 2016-12-07 Siemens Schweiz AG Verstärkerschal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verstärkerschaltung
CN105306044B (zh) * 2015-11-20 2019-03-12 中国航天科技集团公司第五研究院第五一三研究所 一种信号完全隔离的滤波电路
WO2018048975A1 (en) 2016-09-09 2018-03-1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Use of an anti-pd-1 antibody in combination with an anti-mesothelin antibody in cancer treatment
EP3505034A1 (en) * 2017-12-28 2019-07-03 Makita Corporation Interlocking adapter,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ic apparatus in interlocking manner with working machine
CN109065011B (zh) * 2018-09-05 2024-04-05 厦门轻唱科技有限公司 卡拉ok一体机以及k歌系统
CN112865722B (zh) * 2021-01-08 2022-06-14 四川湖山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功率放大器过流保护检测电路及数字功率放大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5002D0 (en) * 1989-03-04 1989-04-19 Attwood Brian E Audio amplifiers
US5270904A (en) * 1990-05-02 1993-12-14 Zdzislaw Gulczynski Switching power apparatus with 3-state driver
JPH06244654A (ja) * 1993-02-16 1994-09-02 Ryowa Denshi Kk アイソレーションアンプ
US5410592A (en) * 1993-06-04 1995-04-25 Harris Corporation Class `D` audio speaker amplifier circuit with state variable feedback control
KR100256377B1 (ko) * 1997-06-18 2000-05-15 김만식 저전압 증폭장치
US5949282A (en) * 1998-02-25 1999-09-07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Class D amplifier no low pass filter feedback with zero phase delay
US5986498A (en) * 1998-04-14 1999-11-1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Audio direct from power supply
US6396340B1 (en) * 2000-09-22 2002-05-28 Harris Corporation RF power amplifier system employing AC-DC power supplies and RF combining
JP2002151979A (ja) * 2000-11-09 2002-05-24 Sony Corp Pwmオーディオ増幅装置
US6563377B2 (en) * 2001-10-09 2003-05-13 Evenstar, Inc. Class D switching audio amplifier
JP2003188660A (ja) * 2001-12-14 2003-07-04 Sony Corp 電力調整装置
US7015754B2 (en) * 2001-12-17 2006-03-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solated converter with synchronized switching leg
JP3982342B2 (ja) * 2002-03-28 2007-09-26 ヤマハ株式会社 D級増幅器における三角波生成回路および該三角波生成回路を用いたd級増幅器
US6924700B2 (en) * 2002-10-03 2005-08-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lass D amplifier
KR100502415B1 (ko) 2002-12-10 2005-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회로를 갖는 클래스 디이 파워 앰프
CN1549445A (zh) * 2003-05-20 2004-11-24 磊 庄 数字功放定压输出方法
JP4067475B2 (ja) 2003-08-21 2008-03-26 シャープ株式会社 信号増幅出力装置
KR20050020353A (ko) * 2003-08-22 2005-03-04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D급 앰프 회로의 고조파왜율 저감 회로 및 그 방법
JP2005236349A (ja) * 2004-02-17 2005-09-02 Toa Corp 増幅器
CN2722488Y (zh) * 2004-03-15 2005-08-31 深圳市中资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手机电池充电器
JP2005269580A (ja) 2004-03-16 2005-09-29 Koichi Nakagawa 注入同期した自励発振型pwmモジュレータ方式
US7221216B2 (en) * 2004-05-18 2007-05-22 Nphysics, Inc. Self-oscillating switching amplifier
KR100608001B1 (ko) 2004-08-17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앰프의 전류 제한 장치 및 그 방법
US7279967B2 (en) * 2005-01-12 2007-10-09 Qsc Audio Products, Inc. Multi-channel, multi-power class D amplifier with regulated power supply
KR200450410Y1 (ko) 2010-01-21 2010-09-30 슈 첸 쉬 밟을 필요가 없는 전동 탈수통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3213A (zh) * 2017-08-30 2017-11-07 东莞中拓机械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脉宽调制300w+双150w(pfc)功放模组
CN107333213B (zh) * 2017-08-30 2024-02-13 东莞精恒电子有限公司 一种脉宽调制300w+双150w(pfc)功放模组
KR102112253B1 (ko) * 2019-12-24 2020-05-18 가락전자 주식회사 전원 증폭기와 음향 증폭기가 일체화된 고효율 음향 증폭 장치
KR102156327B1 (ko) * 2020-05-21 2020-09-15 (주)아이엠피 단일권선 변압기와 스너버 캐패시터를 이용한 절연형 Class D 오디오 앰프
KR102156315B1 (ko) * 2020-05-21 2020-09-15 (주)아이엠피 절연형 Class D 오디오 앰프
KR102156322B1 (ko) * 2020-05-21 2020-09-15 (주)아이엠피 단일권선 변압기의 유니폴라 동기식 절연형 Class D 오디오 앰프
KR102156325B1 (ko) * 2020-05-21 2020-09-15 (주)아이엠피 센터탭 변압기의 유니폴라 동기식 절연형 Class D 오디오 앰프
KR102156330B1 (ko) * 2020-05-21 2020-09-15 (주)아이엠피 센터탭 변압기와 스너버 캐패시터를 이용한 절연형 Class D 오디오 앰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8520B1 (ko) 2012-03-27
US7952426B2 (en) 2011-05-31
CN101278477B (zh) 2011-05-18
WO2007049898A1 (en) 2007-05-03
JP5415765B2 (ja) 2014-02-12
CN101278477A (zh) 2008-10-01
JP2009512333A (ja) 2009-03-19
US20080252370A1 (en)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520B1 (ko) 디지털 오디오 증폭기 및 이에 적합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증폭 방법
JP4735826B2 (ja) 電力変換装置
US7692937B2 (en) Resonant converter and voltage stabilizing method thereof
US20070126372A1 (en) Power supply devices
JP3133286U (ja) トラッキング電源
US8169795B2 (en) Audio power conversion system
JP2009512333A5 (ko)
KR100760024B1 (ko) 소프트 시작/정지 기능을 갖는 게이트 제어회로
US6496059B1 (en) Clas-N amplifer
US20130010501A1 (en) Bisynchronous resonant switching-type direct current power supply
US6867575B2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incorporating power line filter
US9407219B2 (en) Electronic Circuit
JP582268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US5598325A (en) Series coupled non-isolated bipolar transformer within automotive power amplifier
KR200193690Y1 (ko) 컴퓨터용 스피커의 전원공급 장치
KR102156330B1 (ko) 센터탭 변압기와 스너버 캐패시터를 이용한 절연형 Class D 오디오 앰프
JP201810797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オーディオ装置
KR102156315B1 (ko) 절연형 Class D 오디오 앰프
KR102156325B1 (ko) 센터탭 변압기의 유니폴라 동기식 절연형 Class D 오디오 앰프
CN219181414U (zh) 音频开关电源
KR100428241B1 (ko) 디지털 증폭기
KR20060109898A (ko) 튜너 호환성이 있는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아키텍처
JP2023548027A (ja) クラスdオーディオアンプの電源レールパンピングを低減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22185232A (ja) 電力増幅器および物標探知装置
KR20030013103A (ko) 시비율 제어와 주파수 제어를 이용한 종속 접속 스위칭전력 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