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735A -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검사 장치 및, 방법과, 접착제 도포목적물의 접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검사 장치 및, 방법과, 접착제 도포목적물의 접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735A
KR20070043735A KR1020070024610A KR20070024610A KR20070043735A KR 20070043735 A KR20070043735 A KR 20070043735A KR 1020070024610 A KR1020070024610 A KR 1020070024610A KR 20070024610 A KR20070024610 A KR 20070024610A KR 20070043735 A KR20070043735 A KR 20070043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beverage package
bag
beverage
application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2654B1 (ko
Inventor
한스-페터 빌트
에버하르트 크라프트
Original Assignee
도이취시시-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베트리브스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이취시시-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베트리브스 카게 filed Critical 도이취시시-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베트리브스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4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 B65B61/20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for adding drinking straws to a contain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35/00732Identification of carriers, materials or components in automatic analysers
    • G01N2035/00792Type of components bearing the codes, other than sample carriers
    • G01N2035/00801Holders for sample carriers, e.g. trays, caroussel, ra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Packag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4)가 도포된 제1 목적물(2)이 상기 접착제(4)를 수단으로 제 2 목적물(3)에 접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접착제(4)의 발광 광선을 여기시키기 위한 여기 장치(5), 상기 접착제(4)의 발광 광선의 선별적 검출을 위한 검출 장치(6)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4)가 도포된 제1 목적물(2)을 제2 목적물(3)에 접착시키며, 제1 목적물(2)에 접착시키는 접착기(8)를 구비하며, 검사를 위한 전술된 검사 장치(1)가 제공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접착제(4)가 도포된 제1 목적물(2)이 상기 접착제를 수단으로 하여 제2 목적물(3)에 접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접착제(4)가 발광하도록 하는 여기, 상기 접착제(4)에서 발생된 발광 광선의 선택적 검출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목적물(2)을 제2 목적물(3)에 접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목적물은 접착기(8)를 수단으로 하여 제2 목적물에 접착되며, 전술된 검사 방법이 수행된다.

Description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검사 장치 및, 방법과,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접착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a glued-on object, and device and method for glueing a glued-on object}
도 1 은 제1 목적물이 제2 목적물에 접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의 개략적 도시이며,
도 2 는 제1 목적물을 제2 목적물상에 접착시키는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접착제가 도포된 제1 목적물이 제2 목적물에 상기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목적물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2 목적물에 접착시키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일 백(foil-bag)과 같은 음료수 용기의 제조에서, 음료 스트로우(drinking straw)는 음료수 용기에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종종, 위생상의 이유로 인하여 음료 스트로우는 스트로우 백(straw bag)에 동봉된다. 접착제가 음료 스트로우나 스트로우 백에 사전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음료 스트로우나 스트로우 백은 접착제 에 의하여 음료수 용기에 부착된다.
음료 스트로우를 음료수 용기에 부착할 때 에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후의 단계에서 음료 스트로우가 음료 용기에 실제로 부착되었는지를 검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목적물이 제2 목적물에 접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신뢰성있게 검사를 수행하고, 가능한한 신뢰성있게 기능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목적물을 제2 목적물에 접착시키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러한 장치 및 방법으로써 접착이 신뢰성있게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특허 청구 범위 제1항 내지 제 3 항에 따른 장치와 특허 청구 범위 제 4 항 내지 제 7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장치의 경우, 접착제에 의한 발광의 방출을 여기시킬 수 있는 여기 장치(excitation unit)가 제공된다. 상기 여기 장치는, 예를 들어, 접착제가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조광 장치가 될 수 있다. 접착체에서 발생한 발광 광선은 발광 광선의 선별적 검출을 위한 검출 장치에 의하여 검출될 수 있다. 검출기는 여기(excitation:예컨대, 조광 장치의 광선)를 제외하고 오직 발광 광선만을 최대한 선별적으로 검출하여야 한다. 이는, 예컨대, 접착제의 발광 광선은 통과하게 하면서 조광 장치의 광선은 실질적으로 차단하는(예컨대, 흡수하거나 반사시키는) 적절한 분광 필터(spectral filter)를 검출 장치에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파수나 파장에 반응하는 검출(detection) 또는 모든 발광 광선 선택등의 다른 방법도 모두 가능하다. 발광의 바람직한 형태는 형광(fluorescence)이며, 형광은, 인광(phosphorescence)의 경우와는 달리, 즉시 그리고 시간 지체없이 반응한다.
상기 장치는, 배면광에 의하여 가능한 한 적게 영향받도록, 제1 목적물과 제2 목적물에 의한 빛을 차광(black out)할 수 있는 장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배면광이 간섭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없도록 검출 장치 그리고/또는 여기 장치를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검출기 신호를 락인 증폭기(lock-in amplifier)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는바, 상기 락인 앰프에 대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는 (예컨대 조명광의) 여기(excitation)의 변조(modulation)에 의해서 취득된다.
다른 가능성은, 여기 장치(조명 장치)가 오직 하나의 여기 펄스(excitaion pulse)나 복수개의 여기 광선 펄스(light pulse)만을 전송하고, 검출 장치는 따라서 하나 또는 복수의 짧은 검출 펄스(short detection pulse)를 검출하여, 검출된 것이 배경 광선이 아니고 발광 광선이라는 것을 표시하게 하는 것이다.
만일 발광 광선의 강도(intensity of the luminescence light)가 배경 광선에 비하여 충분히 강할 때에는, 차광이나 그 외 다른 검출 수단을 쓰지 않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접착제가 도포된 제1 목적물을 제2 목적물에 접착하는 장치는, 예컨대 제1 목적물을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에 단일의 또는 복수의 제2 목적물에 접착시킬 수 있게 적절하게 설계된 접착기(applicator)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다시, 상기 접착기는, 예컨대, 제 1목적물과 제2 목적물의 연속을 제공하는 복수의 접착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장치에는 접착기 또는 접착 장치의 다음에 검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접착제가 도포된 제1 목적물이 상기 접착제에 의하여 제2목적물에 접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에서, 상기 접착제는 여기(excited)되며, 즉, 예컨대, 광이 조사되며, 그리고 상기 접착제에 의하여 여기된 발광 광선은 선별적으로 검출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는 광학적으로 용이하게 접근 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스러우며, 이는 예컨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제1 목적물에 의해서 가능하게 된다.
음료 스트로우가 포일 백이나 스트로우 백에 밀봉되었을 경우에, 만일 스트로우 자체가 충분히 투명하지 않은 경우에는, 접착제가 음료 스트로우의 측면에서 보이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접착제에는 적절한 농도의 발광 염료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100분의 1,2 또는 그 이상의 퍼센트의 범위의 농도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이한 염료는 상이한 정도(degree)로 발광되기 때문에, 이는 실제적으로 이용되는 염료와 발광력(luminescent power)에 항상 의존된다. 상이한 발광 염료는 광선을 상이한 파장으로 흡수하고 발생시킨다. 발광 염료가 자외선 분광 영역의 광선을 흡수하 고, 가시광의 분광 영역에서, 바람직스럽게는 청색 분광 영역에서 조사(emit)되는 것이 유리하다.
조광 장치와 검출 장치는 사용되는 발광 염료와 (예컨대 광 강도나 파장에 관하여) 적절하게 대응되어야 한다.
제1 목적물에 접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절한 발광을 갖는 접착제가 사용되며, 제1 목적물이 제2 목적물에 접착된 후에는, 상기 제1 목적물이 상기 제2 목적물에 접착이 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이 수행된다.
상기 장치와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 은 제1 목적물이 제2 목적물에 접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의 개략적 도시이며,
도 2 는 제1 목적물을 제2 목적물상에 접착시키는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에서, 포일 백(3)은 경사진 위치로 도시되어있다. 스트로우 백(2)은 접착제(4)에 의해서 포일 백(3)에 접착되어 있다. 스트로우 백(2)은 음료 스트로우(7)를 둘러싼다. 스트로우 백(2)은 투명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조광 장치(5)는 접착제(4)를 광선으로 조명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접착제(4)는 조광될 경우 발광 광을 조사한다. 상기 발광 광선은 적절하게 배치된 검출 장치(6)에 의하여 검출될 수 있다. 상기 검출 장치(6)는 신호선(9)을 통하여 평가 장치(evaluation unit:10)로 연결된다. 평가 장치(10)는, 검출 장치(6)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접착제(4)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스트로우 백(2)이 포일 백(3)상에 접착되기 전의 과정에서 스트로우 백(2)에 접착제(4)가 제공되기 때문에, 스트로우 백(2)의 존재는 접착제(4)의 존재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방법에 있어서, 포일 백(3)은 검사 장치(1)의 영역으로 이송된다. 이는 예컨대 컨베이어 벨트나 다른 컨베이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조광 장치(5)는 접착제(4)를 조광시키며, 상기 접착제에는, 만일 본래의 발광성이 충분치 못하다면, 적절한 발광 염료가 제공된다. 이렇게 발생된 발광 광선은 검출 장치(6)에 의하여 검출된다. 검출 신호는 신호선(9)를 통하여 평가 장치(10)로 전송된다. 이제 평가 장치(10)는 접착제(4)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로서 불량(faulty)으로 인식된 포일 백(3)의 수용 거부를 제어한다. 수용 거부된 포일 백(3)은 예컨대 다시 스트로우 백의 접착기로 반송된다.
후속 회로로 연결된 접착기가 스트로우 백(2)과 음료 스트로우(7)를 부착하도록 평가 장치(10)가 유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일 백(3)이 검사 장치(1)의 영역내에서 존재하는지 여부를 적절한 방법으로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포일 백(3)이 존재할 경우에만 접착제(4)의 존재나 부존재가 검출될 수 있다. 포일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은, 예컨대, 광학적으로 또는 음향학적으로(accoustically) 작동하는 광 차단체(light barrier)나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4)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포일 백이나 음료 용기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금속(예컨대 알류미늄)의 탐지 센서도 여기에서 역시 적당하다.
스트로우 백(2)을 포일 백(3)에 접착시키는 장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접착기(8)는 스트로우 백(2)을 포일 백(3)에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 트로우 백(2)은 그 위에 부착된 접착제(4)를 구비하며, 상기 접착제를 통하여 스트로우 백(2)은 포일 백(3)에 접착된다.
도 2에서는 접착기로서 비록 하나의 장치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접착기(8)는 다시 그 자체가, 예컨대 스트로우 백(2)을 포일 백(3)에 부착할 수 있는 복수의 접착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포일 백(3)이 접착기(8)에서 검사 장치(1)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벨트(9)를 도시한다.
검사 장치(1)는 컨베이어 벨트 주행 방향에서 접착기(8)의 다음에 위치되어 있으며, 스트로우 백(2)이 포일 백(3)에 접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컨베이어 벨트 주행 방향에서 검사 장치(1)의 다음에는,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트로우 백(2)을 구비하지 않은 포일 백(3)의 수용을 거부하는 수용 거부 장치가 제공된다. 또는, 접착되지 않은 스트로우 백(2)을 부착하는 부가적인 접착기(8)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목적물(2)의 수용 거부 또는 부착이 검출 과정 후 즉시 발생할 수 있도록, 수용 거부 장치 또는 부가적인 접착기(8)도 장치(1)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접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포일 백(3)은 컨베이어 벨트(9)상에서 접착기(8)로 이송되고, 거기에서 스트로우 백(2)이 제공된다. 포일 백(3)은 다시 검사 장치(1)로 이송된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면서 전술된 바와 같이, 접착제(4)가 존재하는지가, 결과적으로는 스트로우 백(2)이 존재하는지가 검사된다. 포일 백(3)은 다시 컨베이어 벨트(9)상에서 이송되어, 수용 거부되거나 스트로우 백(2)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후속적으로 스트로우 백(2)을 접착하게 된다. 수용 거부 또는 접착은, 포일 백을 그 전에 더 이상 공정 진행시키지 않고, 검사후에 즉시 실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제1 목적물, 예컨대 음료 스트로우가 제 2 목적물, 예컨대 음료수 용기에 접착되는 공정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불량품의 발생 가능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부분적으로 투명하며 접착제(4)가 부착되어 있는 스트로우 백(2)을 음료 팩키지(3)에 접착시키는데 이용되는,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접착 장치로서, 상기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접착 장치는:
    스트로우 백(2)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기(8),
    접착제(4)의 발광을 여기시키기 위한 여기 장치(5),
    접착제(4)의 발광을 선택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6),
    검출 신호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장치(10)를 구비하며,
    음료 팩키지(3)의 수용을 거부하는 수용 거부 장치가 콘베이어 벨트의 주행 방향에서 접착제 도포 목적물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1)에 제공되거나, 또는 접착제 도포 목적물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의 다음에 제공되며,
    여기 장치와 검출 장치는 접착제가 도포된 스트로우 백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검사 장치(1)는 접착제(4)가 부착된 스트로우 백(2)이 음료 팩키지(3)에 대하여 접착제(4)에 의해 접착되었는지의 여부를 점검하기 위하여 이용되며,
    여기 장치는 UV 광을 조광하기 위한 조광 장치(5)이며,
    음료 팩키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접착제의 존재 또는 부존재가 검출되도록, 검출기가 음료 팩키지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접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음료 팩키지는 포일 백(foil ba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접착 장치.
  3. 제 1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검출 장치(6)는 청색 분광 영역(blue spectral region)에서의 검출을 위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접착 장치.
  4. 부분적으로 투명한 스트로우 백(2)을 음료 팩키지(3)에 접착하기 위해 이용되며, 스트로우 백은 접착기(8)로써 음료 팩키지에 접착되는,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접착을 위한 방법으로서,
    접착제 도포 목적물을 검사하기 위한 과정이 수행되고, 상기 검사 과정은,
    음료 팩키지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
    접착제(4)가 발광하도록 여기시키는 단계,
    접착제(4)에서 발생된 발광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단계,
    음료 팩키지(3)를 수용 거부하는 단계를 가짐으로써, 접착제(4)가 부착된 스트로우 백(2)이 접착제에 의해서 음료 팩키지(3)에 접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데 이용되며,
    UV 광의 조광이 여기(excitation)를 위하여 이용되며,
    음료 팩키지(3)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접착제의 존재 또는 부존재가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접착을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음료 팩키지는 포일 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접착을 위한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접착제(4)는 발광 염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접착을 위한 방법.
  7. 제 4 항 내지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출은 청색 분광 영역에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접착을 위한 방법.
KR1020070024610A 2003-07-31 2007-03-13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검사 장치 및, 방법과, 접착제 도포목적물의 접착 장치 및, 방법 KR100792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017378A EP1502859B1 (de) 2003-07-31 2003-07-31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prüfen eines aufgeklebten Gegenstandes
EP03017378.5 2003-07-3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130A Division KR20050014744A (ko) 2003-07-31 2004-07-30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검사 장치와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검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735A true KR20070043735A (ko) 2007-04-25
KR100792654B1 KR100792654B1 (ko) 2008-01-09

Family

ID=335223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130A KR20050014744A (ko) 2003-07-31 2004-07-30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검사 장치와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검사 방법
KR1020070024610A KR100792654B1 (ko) 2003-07-31 2007-03-13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검사 장치 및, 방법과, 접착제 도포목적물의 접착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130A KR20050014744A (ko) 2003-07-31 2004-07-30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검사 장치와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239380B2 (ko)
EP (1) EP1502859B1 (ko)
JP (1) JP2005055425A (ko)
KR (2) KR20050014744A (ko)
CN (1) CN1307078C (ko)
AT (1) ATE408559T1 (ko)
BR (1) BRPI0402780B1 (ko)
CA (1) CA2470585C (ko)
CY (1) CY1108556T1 (ko)
DE (1) DE50310520D1 (ko)
DK (1) DK1502859T3 (ko)
ES (1) ES2312697T3 (ko)
HK (1) HK1071877A1 (ko)
PT (1) PT1502859E (ko)
SI (1) SI1502859T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726A (ko) * 2018-05-29 2019-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상물을 광학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50596A4 (en) * 2007-05-29 2016-04-27 Henkel IP & Holding GmbH GLUE DETECTION METHOD
CA2703853C (fr) 2007-10-30 2015-11-24 Airbus Operations Dispositif d'ejection d'un fluide a etancheite renforcee
US20100272674A1 (en) * 2008-12-04 2010-10-2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DE202011104802U1 (de) * 2011-08-20 2012-01-26 Christian Kober Strohhalm zur Messung schädlicher Stoffe bzw. von Partydrogen in Getränken
DE202012005997U1 (de) 2012-06-20 2012-07-18 Claus Linder Gefäß für Getränke und Flüssigkeiten jeglicher Art zur Messung schädlicher Stoffe bzw. Rauschgift und Partydrogen in Getränken
DE102012222377A1 (de) * 2012-12-06 2014-07-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optischen Überprüfung einer Klebestelle
DE102015105594A1 (de) 2015-04-13 2016-10-13 Schreiner Group Gmbh & Co. Kg Etikett zum fälschungssicheren Kennzeichnen eines Gegenstands und Verfahren
USD781718S1 (en) 2016-04-25 2017-03-21 Mott's Llp Flexible pouch
USD793865S1 (en) 2016-04-25 2017-08-08 Mott's Llp Flexible pouch
DE102017110353A1 (de) * 2017-05-08 2018-11-08 Sig Technology Ag Verpack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Erfassung einer Anordnung eines Applikationselements an einer Verpackung
CN112297435A (zh) * 2019-07-26 2021-02-02 哈米尔顿森德斯特兰德公司 空间差异测量
CN111215344B (zh) * 2020-03-06 2020-11-20 温州顺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牛奶盒导管黏连检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0400A (en) * 1970-02-09 1972-03-21 American Cyanamid Co Optical sensing system usable in ambient light
DE3128280A1 (de) * 1981-07-17 1983-02-0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Ueberdruckventil aus kunststoff an einer packung
US5030833A (en) * 1987-02-06 1991-07-09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objects containing fluorescent substances
JPH0814544B2 (ja) * 1989-08-18 1996-02-1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フロッピーディスクの検査方法
US5978093A (en) * 1997-07-17 1999-11-02 Mcms, Inc. Method for calibrating surface mounting processes i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manufacturing
FR2769417B1 (fr) * 1997-10-07 2000-02-11 Giat Ind Sa Disque amplificateur laser et procede de controle du collage du disque
DE19745855C2 (de) * 1997-10-16 2002-06-20 Indag Gmbh Trinkhalmanbring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bringen von Trinkhalmen an Getränkefolienbeutel
US20040202812A1 (en) * 2001-09-07 2004-10-14 Congard Pierre M. Photoluminescent adhesive tape
DE50210827D1 (de) * 2002-03-28 2007-10-11 Sisi Wer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Aufkleben von Trinkhalmen auf Folienbeutel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726A (ko) * 2018-05-29 2019-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상물을 광학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71877A1 (en) 2005-08-05
KR100792654B1 (ko) 2008-01-09
CA2470585A1 (en) 2005-01-31
SI1502859T1 (sl) 2008-12-31
US7239380B2 (en) 2007-07-03
CY1108556T1 (el) 2014-04-09
CA2470585C (en) 2015-03-31
CN1590227A (zh) 2005-03-09
JP2005055425A (ja) 2005-03-03
PT1502859E (pt) 2008-10-08
ATE408559T1 (de) 2008-10-15
ES2312697T3 (es) 2009-03-01
DK1502859T3 (da) 2009-01-12
DE50310520D1 (de) 2008-10-30
EP1502859B1 (de) 2008-09-17
BRPI0402780B1 (pt) 2015-07-07
BRPI0402780A (pt) 2005-05-24
US20050024631A1 (en) 2005-02-03
CN1307078C (zh) 2007-03-28
KR20050014744A (ko) 2005-02-07
EP1502859A1 (de) 200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2654B1 (ko) 접착제 도포 목적물의 검사 장치 및, 방법과, 접착제 도포목적물의 접착 장치 및, 방법
WO2001057503A1 (fr) Procede et dispositif d'imagerie de recipient a remplissage de liquide
WO2001057504A1 (fr) Procede et dispositif d'imagerie d'un recipient rempli de liquide
US6301380B1 (en) Fold inspection device for transparent overwrap film
US3650400A (en) Optical sensing system usable in ambient light
JP3215858B2 (ja) 物品外観検査装置
US4778999A (en)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dhesive in a container and associated apparatus
US200800481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the authenticity of an item by detecting encoded luminescent security markers
JP2002207013A (ja) 卵殻の表面状態検出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る卵殻の表面状態検出装置
CN1402862A (zh) 钞票真伪检验设备和方法
CN104040340A (zh) 包括滤光器的测定装置和一种测定方法
EP18983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the authenticity of an item by detecting encoded luminescent security markers
RU2672764C2 (ru) Способ для неинвазивного измерения содержания газа в прозрачных упаковках
WO2003104780A1 (ja) ラベル検査方法およびラベル検査装置
US20090084186A1 (en) Sensor arrangement
US4865447A (en) Container inspection apparatus having each output demodulated at a specific source frequency
JP4681206B2 (ja) 光センサ装置をウインドシールドに自動的に適応させる装置と方法
JP4085999B2 (ja) 密封容器の検査方法及び内容物入り密封容器製品の製造方法
JPH11166890A (ja) 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分別方法及び装置
JP2003075352A (ja) 密封包装体の熱接着部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WO2006025039A2 (en) An optical detector
EP0263618A2 (en) Inspection apparatus
WO2003019160A3 (en) Open path emission sensing system
JP2005043315A (ja) 農産物非破壊品質判定装置
JP2021162311A (ja) 塗膜を有する容器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