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2239A -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2239A
KR20070042239A KR1020050097887A KR20050097887A KR20070042239A KR 20070042239 A KR20070042239 A KR 20070042239A KR 1020050097887 A KR1020050097887 A KR 1020050097887A KR 20050097887 A KR20050097887 A KR 20050097887A KR 20070042239 A KR20070042239 A KR 20070042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ouch
area
map
coordin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6337B1 (ko
Inventor
김호중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7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337B1/ko
Publication of KR2007004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14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through interaction with a road map, e.g. selecting a POI icon on a road m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의 확대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행 중 길 안내 모드에서 운전자가 터치스크린상의 확대하고 싶은 영역을 연속터치하여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가 연속터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인식하여 별도의 팝업 윈도우를 통해 선택영역의 확대된 지도화면을 표시해주고, 이어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팝업 윈도우를 자동 제거하여 길 안내 모드로 자동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터치스크린상에서 원하는 영역을 한 번의 연속터치 조작으로 확대하여 본 후 자동으로 원래의 안내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고, 결국 조작 횟수 축소에 따른 조작 편의성 및 상품성 향상의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의 확대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스크린, 연속터치, 팝업, 확대표시

Description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and magnifying selected area on screen of naviga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종래의 위치선택 및 화면확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에서 화면좌표와 지도좌표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GPS 위성 2 : GPS 수신기
3 : 제어부 4 : 지도 데이터 저장부
5 : 데이터 입력부 6 : 모니터 구동부
7 : 모니터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1회 조작만으로도 원하는 영역의 선택 및 확대 표시, 길 안내 모드로의 자동 복귀를 구현하게 되는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주행 중에 지도상에서 차량의 현재위치를 표시하여주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GPS 위성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모니터의 화면상에 CD-ROM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서 지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컴퓨터에서 계산된 차량의 현재위치를 모니터 화면의 지도상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목적지를 입력하면 목적지를 탐색하여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모니터 화면을 통해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서는 지도 데이터(map data)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이러한 지도 데이터는 차량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내에 CD-ROM 등의 저장매체에 기록되어 활용되거나, 지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와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 단말기 사이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의 현재 주행위치 부근의 지도 데이터만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모니터 화면에 경로를 표시하는 방법으로는 차량 단말기에서 자체적으로 계산된 경로를 표시하는 방법과, 교통상황 등을 고려한 최적 경로를 서비스 제 공자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로서,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GPS 수신기(2)는 GPS 위성(1)으로부터 전파, 즉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수신된 지점의 경도 및 위도를 계산하고, 제어부(3)는 GPS 수신기(2)에 의해 계산된 경도 및 위도에 관한 데이터를 공급받아 지도 데이터 저장부(4)로부터 읽어들인 지도 데이터상의 도로와 매칭(matching)시켜 지도화면을 모니터(7)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지도 데이터 저장부(4)는 일반적으로는 CD-ROM으로 구성되어 지도 데이터와 검색 등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나, CD-ROM 이외에 별도의 기록매체 수단을 활용할 수도 있으며, 제어부(3)는 차량의 속도 및 주행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GPS 데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차량의 현재위치에 대한 오차를 보정한 후 모니터 화면상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 입력부(5)로는 기능 조작 및 목적지의 적절한 검색과 등록을 위한 각종 버튼(스위치 또는 키)들이 포함되며, 표시수단인 모니터(7)의 화면이 터치스크린으로 되어 있는 경우 터치스크린 자체가 입력수단이 된다.
한편, 표시수단 및 입력수단으로서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길 안내 도중 원하는 지점을 자세히 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그 지점으로 지도화면을 스크롤한 후 '확대' 아이콘을 눌러서 지도화면을 확대해서 보아야 한다.
도 2는 종래의 위치선택 및 화면확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좌측 도면은 현재의 차량위치('현대기아차본사')를 표시한 터치스크린상의 차량위치 중심 지도화면을 나타낸 것이고(200m 스케일), 가운데 도면은 터치스크린상에서 화면을 터치하여 지점을 선택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우측 도면은 지점 선택 후 지도화면이 확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100m 스케일).
종래에는 지도화면의 특정 위치를 확대해 보기 위해서 최소 두 단계의 동작을 수행해야 했다.
즉, 도 2의 가운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의 원하는 지점을 원 터치(one touch)하여 지도화면의 중심을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시켜야 했고(지도 스크롤), 이후 우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대' 아이콘을 눌러 지도를 확대시켜야 했으며, 원하는 스케일로 보기 위해서 '확대' 아이콘을 수 회 누르는 동작을 반복해야 했다.
또한, 확대된 지도화면이 터치스크린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다시 길 안내를 받기 위해 도 2의 좌측 도면과 같은 차량위치 중심 지도화면으로 돌아오기 위해서는 '현재지' 버튼을 눌러야 하는 추가적인 조작이 필요하다.
주행 중에 상기 조작들을 반복하는 것은 안전운전을 방해하여 사고발생의 위험을 높일 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게 하므로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주행 중 길 안내 모드에서 운전자가 터치스크린상의 확대하고 싶은 영역을 연속터 치하여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가 연속터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인식하여 별도의 팝업 윈도우를 통해 선택영역의 확대된 지도화면을 표시해주고, 이어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팝업 윈도우를 자동 제거하여 길 안내 모드로 자동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터치스크린상에서 원하는 영역을 한 번의 연속터치 조작으로 확대하여 본 후 자동으로 원래의 안내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고, 결국 조작 횟수 축소에 따른 조작 편의성 및 상품성 향상의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의 확대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a)차량위치 중심의 지도화면이 표시되는 길 안내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상에 확대를 원하는 영역의 대각선을 연속터치하여 선택영역을 입력하는 단계와;
(b)제어부가 터치스크린 모듈로부터 사용자의 연속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선택영역을 인식하는 단계와;
(c)제어부가 선택영역 내 지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읽어들인 후 터치스크린 모듈로 신호 출력하여 터치스크린 화면 일부에 별도의 팝업 윈도우를 생성시키는 동시에 이 팝업 윈도우상에 선택영역의 확대된 지도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b)단계에서 터치스크린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연속터치 시작점의 화면좌표와 마지막으로 입력되는 종점의 화면좌표를 최종 저장하고, 상기 시작점의 화면좌표와 종점의 화면좌표로부터 연속터치 입력 오류 여부를 판단한 뒤, 입력 오류가 아님을 판단한 경우 상기 시작점과 종점을 대각선 끝점으로 하는 직사각형 영역을 선택영역으로 인식하여 상기 (c)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점의 화면좌표가 입력되고 이후 새로이 입력되는 화면좌표들을 저장하되, 특정 화면좌표의 입력 후 0.2초 이내에 또 다른 화면좌표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특정 화면좌표를 종점의 화면좌표로 저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점의 화면좌표와 종점의 화면좌표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 후 이 거리가 미리 정해진 확대최소기준픽셀보다 작은 경우 입력 오류인 것으로 판단하고, 입력 오류를 판단한 경우 상기 시작점의 화면좌표를 화면 중심으로 하는 지도화면을 터치스크린상에 표시하는 단순 지도 스크롤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d)상기 (c)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소정 시간이 경과됨을 판단한 경우 팝업 윈도우를 제거하여 터치스크린상에 차량위치 중심의 지도화면만이 표시되는 길 안내 모드로 자동 복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1회 조작만으로도 원하는 영역의 선택 및 확대 표시, 길 안내 모드로의 자동 복귀를 구현하게 되는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화면좌표와 지도좌표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나타낸 기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그대로 이용하므로 추가적인 장치가 불필요하고, 소프트웨어의 수정만으로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즉, 네비게이션 지도표시 연산을 수행하는 CPU를 포함하는 제어부(3)와, 표시수단이면서 동시에 입력수단이 되는 터치스크린(LCD)(7), 지도 데이터(지도 DB)가 저장되는 지도 데이터 저장부(4) 등이 그대로 이용되며, 다만 제어부(3)의 연산 로직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을 선택영역으로 인식하는 과정 및 선택영역을 확대하여 팝업 윈도우(pop-up window)로 표시하는 과정 등이 적절히 변경 및 추가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터치스크린상의 전체 화면(메인 화면)에 차량위치 중심의 지도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즉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제어부가 길 안내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상에서 자세히 보고 싶은 지도화면의 특정 영역 을 선택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영역을 선택하기 위해 원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대각선을 연속적으로 터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도 1의 도면부호 3)가 상기의 연속터치 조작에 의해 터치스크린 모듈(도 1의 도면부호 8에 해당함)로부터 입력되는 좌표들의 처음과 마지막 좌표를 대각선의 끝점으로 하는 가상의 직사각형 영역을 선택영역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가 사용자가 입력한 선택영역을 인식하게 되면, 제어부는 터치스크린 모듈로 신호 출력하여 화면 일부에 별도의 팝업 윈도우를 생성시킴과 동시에 선택영역의 확대된 지도화면을 상기 팝업 윈도우에 표시하게 되며, 기존 차량위치 중심의 지도화면은 터치 스크린의 전체 화면(메인 화면)에 그대로 표시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T) 경과 후 상기 제어부는 팝업 윈도우를 자동으로 제거하게 되며, 이에 따라 차량위치 중심의 지도화면, 즉 길 안내 화면만이 터치스크린의 메인 화면에 표시되는 길 안내 모드로 자동 복귀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차량위치 중심 지도화면이 표시되는 길 안내 모드의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상에서 확대하고 싶은 영역을 그 영역을 포함하는 대각선을 따라 연속터치하게 되면, 터치스크린 모듈로부터는 시작점의 화면좌표 및 그 이후 연속적으로 터치되는 각 지점의 화면좌표가 계속해서 출력되며, 제어부는 터치스크린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화면좌표를 두 변수에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는 시작점의 화면좌표(x1,y1)와 마지막으로 입력되는 종점의 화면좌표(x2,y2)를 최종적으로 저장하게 되는데, 시작점 화면좌표가 입력되고 이후 특정 화면좌표가 입력된 뒤 소정 시간, 예컨대 0.2초 이내에 새로운 화면좌표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특정 화면좌표를 종점 화면좌표로 저장하게 된다.
만약, 0.2초 이내에 재입력을 인식하게 되면, 즉 새로운 화면좌표가 입력되면, 새로 입력된 화면좌표를 시작점 화면좌표와 함께 저장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시작점 입력 후 대각선 방향으로 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 터치스크린 모듈로부터 계속해서 새로운 화면좌표를 입력받게 되는데, 일단 새로운 화면좌표를 종점 화면좌표로 저장하였다가 0.2초 이내에 또 다른 화면좌표가 입력되면 그 또 다른 화면좌표를 종점 화면좌표로 저장하는 방식이며, 0.2초 이내에 새로운 화면좌표가 입력되지 않으면 마지막에 입력된 화면좌표를 최종의 종점 화면좌표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0.2초 이후에 새로운 화면좌표가 입력되는 경우 그 화면좌표를 새로운 시작점의 화면좌표로 인식하여 저장하게 되고, 그 이후 입력되는 화면좌표들을 종점의 화면좌표로 저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상의 연속터치 조작을 수행하여 영역선택을 완료하면, 제어부는 입력된 시작점과 종점의 화면좌표로부터 이 두 점을 대각선의 끝점으로 하는 가상의 직사각형 영역을 선택영역으로 인식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두 화면좌표간 거리(L)를 계산하여 이 거리를 미리 정해진 확대최소기준픽셀( 예, 10픽셀)과 비교하게 된다.
여기서, 시작점과 종점의 화면좌표간 거리가 확대최소기준픽셀보다 작음을 판단한 경우라면, 너무 작은 영역을 팝업 윈도우 전체 화면상에 확대 표시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원 터치한 것으로 인식하여(연속터치 입력 오류로 판단함) 시작점의 화면좌표를 화면 중심으로 하는 지도화면을 터치스크린상에 표시하게 된다(단순 지도 스크롤 수행).
반면, 시작점과 종점의 화면좌표간 거리가 확대최소기준픽셀보다 크거나 같다고 판단한 경우, 선택영역의 중심좌표를 화면 중심으로 하는 확대된 지도화면을 팝업 윈도우를 통해 확대 표시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는 선택영역을 팝업 윈도우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스케일을 계산하여 선택영역의 지도화면이 확대된 상태로 팝업 윈도우의 전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CD-ROM 등 지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데이터를 읽어들인 후 팝업 윈도우를 통해 확대된 지도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시작점과 종점의 화면좌표로부터 선택영역의 중심좌표를 계산하게 되는데, 선택영역의 중심좌표를 (xC,yC)라 한다면, xC=(x1+x2)/2가 되고, yC=(y1+y2)/2가 된다.
이후, 제어부는 선택영역 내의 각 화면좌표를 지도좌표로 변환하고, 변환된 각 지도좌표의 지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읽어들인 후, 각 지도좌표를 팝업 윈도우상의 각 화면좌표로 변환한 뒤, 터치스크린 모듈에 신호 출력하여, 파업 윈도우를 생성시킴과 동시에 팝업 윈도우상의 각 화면좌표 및 이에 매칭되는 지도 데이터를 기초로 선택영역의 확대된 지도화면을 팝업 윈도우상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터치스크린의 기존 전체 화면, 즉 메인 화면에는 계속해서 차량위치 중심 지도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의 기존 전체 화면, 즉 메인 화면과 별도로 팝업 윈도우를 생성시키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메인 화면에서 선택한 영역의 확대된 지도화면을 팝업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는 팝업 윈도우상에 표시된 확대된 지도화면으로부터 원하는 특정 지역의 지도 정보를 자세히 살펴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팝업 윈도우상에 선택영역의 확대된 지도화면이 표시되고 나면, 사용자의 별도 조작이 없더라도 제어부는 소정 시간이 경과됨을 판단하여 자동으로 팝업 윈도우를 제거하게 되며, 이로써 터치스크린에 차량위치 중심의 지도화면만이 표시되는 길 안내 모드로 자동 복귀된다.
도 4는 화면좌표와 지도좌표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화면윈도우 중심 지도좌표와 화면윈도우 중심 화면좌표간에는 다음의 관계식이 성립된다.
화면좌표→지도좌표 변환: XC = X0 + xC×(D/P), YC = Y0 + yC×(D/P)
지도좌표→화면좌표 변환: xC = (XC - X0)×(P/D), yC = (YC - Y0)×(P/D)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터치스크린의 지도화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을 인식하게 되면 선택영역을 확대하여 팝업 윈도우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에 의하면, 주행 중 길 안내 모드에서 운전자가 터치스크린상의 확대하고 싶은 영역을 연속터치하여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가 연속터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인식하여 별도의 팝업 윈도우를 통해 선택영역의 확대된 지도화면을 표시해주고, 이어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팝업 윈도우를 자동 제거하여 길 안내 모드로 자동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게 된다.
1)터치스크린상에서 원하는 영역을 한 번의 연속터치 조작으로 확대하여 본 후 자동으로 원래의 안내 화면으로 복귀되는 바, 종래에 비해 조작 횟수를 줄일 수 있고, 결국 조작 편의성 및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2)운전자의 조작 횟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안전운전에 도움이 되고, 사고발생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Claims (5)

  1. (a)차량위치 중심의 지도화면이 표시되는 길 안내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상에 확대를 원하는 영역의 대각선을 연속터치하여 선택영역을 입력하는 단계와;
    (b)제어부가 터치스크린 모듈로부터 사용자의 연속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선택영역을 인식하는 단계와;
    (c)제어부가 선택영역 내 지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읽어들인 후 터치스크린 모듈로 신호 출력하여 터치스크린 화면 일부에 별도의 팝업 윈도우를 생성시키는 동시에 이 팝업 윈도우상에 선택영역의 확대된 지도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b)단계에서 터치스크린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연속터치 시작점의 화면좌표와 마지막으로 입력되는 종점의 화면좌표를 최종 저장하고, 상기 시작점의 화면좌표와 종점의 화면좌표로부터 연속터치 입력 오류 여부를 판단한 뒤, 입력 오류가 아님을 판단한 경우 상기 시작점과 종점을 대각선 끝점으로 하는 직사각형 영역을 선택영역으로 인식하여 상기 (c)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점의 화면좌표가 입력되고 이후 새로이 입력되는 화면좌표들을 저장하되, 특정 화면좌표의 입력 후 0.2초 이내에 또 다른 화면좌표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특정 화면좌표를 종점의 화면좌표로 저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점의 화면좌표와 종점의 화면좌표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 후 이 거리가 미리 정해진 확대최소기준픽셀보다 작은 경우 입력 오류인 것으로 판단하고, 입력 오류를 판단한 경우 상기 시작점의 화면좌표를 화면 중심으로 하는 지도화면을 터치스크린상에 표시하는 단순 지도 스크롤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d)상기 (c)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소정 시간이 경과됨을 판단한 경우 팝 업 윈도우를 제거하여 터치스크린상에 차량위치 중심의 지도화면만이 표시되는 길 안내 모드로 자동 복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
KR1020050097887A 2005-10-18 2005-10-18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 KR100716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887A KR100716337B1 (ko) 2005-10-18 2005-10-18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887A KR100716337B1 (ko) 2005-10-18 2005-10-18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239A true KR20070042239A (ko) 2007-04-23
KR100716337B1 KR100716337B1 (ko) 2007-05-11

Family

ID=3817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887A KR100716337B1 (ko) 2005-10-18 2005-10-18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33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4789A1 (en) * 2007-12-31 2009-07-09 Thinkware 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ap service displaying partially enlarged map in searched route
KR101340200B1 (ko) * 2007-05-06 2013-12-10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태블릿모니터를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435677B1 (ko) * 2007-07-16 2014-09-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터치스크린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 장치 및 그 기능을수행하는 방법
KR20150024973A (ko) * 2013-08-27 2015-03-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스크립트 생성 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90071876A (ko) * 2017-12-15 2019-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단말기, 차량 및 단말기 제어방법
CN114205523A (zh) * 2021-11-18 2022-03-18 苏州长风航空电子有限公司 一种光电转台监控图像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2693A (ko) * 1995-10-31 1997-05-30 배순훈 터치 확인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채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970031883A (ko) * 1995-11-28 1997-06-26 배순훈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tv 화면제어방법
KR100312232B1 (ko) * 1999-03-05 2001-11-03 윤종용 터치스크린패널을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구비하는 디지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200B1 (ko) * 2007-05-06 2013-12-10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태블릿모니터를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435677B1 (ko) * 2007-07-16 2014-09-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터치스크린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 장치 및 그 기능을수행하는 방법
WO2009084789A1 (en) * 2007-12-31 2009-07-09 Thinkware 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ap service displaying partially enlarged map in searched route
KR20150024973A (ko) * 2013-08-27 2015-03-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스크립트 생성 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90071876A (ko) * 2017-12-15 2019-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단말기, 차량 및 단말기 제어방법
CN114205523A (zh) * 2021-11-18 2022-03-18 苏州长风航空电子有限公司 一种光电转台监控图像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6337B1 (ko) 200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5803B2 (en) Graphic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CN101517525B (zh) 导航系统及该系统的操作指导显示方法
US20090088964A1 (en) Map scr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for selectively displaying icons
JP2006039745A (ja) タッチパネル式入力装置
US20120229376A1 (en) Input device
JP2003005897A (ja) 情報入力方法および装置
KR100716337B1 (ko)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
US8234060B2 (en) Navigation device for carrying out an along-route scrolling
CN109631920B (zh) 具有改进的导航工具的地图应用
JP3234823B2 (ja) 道路データの処理方法、地図データ処理装置、地図データ処理システム、道路データを処理するためのソフトウエア・プロダクト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2007248365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1169621A (ja) 地図表示装置
CN109029480B (zh) 具有改进的导航工具的地图应用
JP2840882B2 (ja) 車両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目的地の選択方法及び装置
JP4740168B2 (ja) 情報検索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7017269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080084417A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program
US20060052935A1 (en) Navigation device, information input/output device,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display method, and navigation display program
JP2005265572A (ja) 車載情報端末の操作方法、車載情報端末、携帯端末用プログラム、携帯電話
JP5068148B2 (ja) 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917856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における項目検索装置
US20160138932A1 (en) Search near cursor
JP2001330448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224346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表示方法
JP2000339339A (ja) 情報検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