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844A - 이종 금속관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금속관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844A
KR20070039844A KR1020050095158A KR20050095158A KR20070039844A KR 20070039844 A KR20070039844 A KR 20070039844A KR 1020050095158 A KR1020050095158 A KR 1020050095158A KR 20050095158 A KR20050095158 A KR 20050095158A KR 20070039844 A KR20070039844 A KR 20070039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tube
metal
pipe
tub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5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9844A/ko
Priority to US11/543,027 priority patent/US20070080536A1/en
Priority to CNA2006101495435A priority patent/CN1948808A/zh
Publication of KR20070039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72Joints for pipes of dissimi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07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joining pipes of dissimilar materials
    • F16L13/013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금속관 조립체에 있어서, 제1금속관과; 상기 제1금속관과 상이한 용융점을 갖는 제2금속관과; 양측이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에 결합되어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이 접촉하여 결합하도록 연결하는 관 형상의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냉동사이클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 금속관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DIFFERENT METAL TUB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조립체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조립체의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제1클램프 6 : 제2클램프
10 : 금속관 조립체 11 : 제1금속관
13 : 경사부 21 : 제2금속관
23 : 확관부 25 : 연장부
27 : 돌기수용부 31 : 슬리브
33 : 제1삽입부 35 : 제2삽입부
37 : 돌기부 39 : 절단부
본 발명은, 이종 금속관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의 금속관의 조립구조 및 방법을 개선한 이종 금속관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종의 금속관 조립체는 냉동장치의 냉동사이클에서 증발기와 압축기를 연결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즉, 증발기를 형성하는 증발기관은 주로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며, 압축기로 냉매를 안내하는 흡입관(suction tube)은 주로 구리로 마련된다. 따라서,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기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이종의 금속관인 알루미늄관과 구리관을 접합해야 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알루미늄관과 구리관을 납땜하지 않고 전기를 통하여 가열 및 가압하여 접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관과 구리관을 접합하는 기술에 관련된 예들이 미국특허번호 US 5,549,335호 및 일본 특개소50-134944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번호 US 5,549,335호에 개시된 알루미늄관과 구리관의 접합은 구리관의 일측을 좁혀 축관부를 마련하며, 알루미늄관의 일측을 확대하여 확관부를 마련하고, 알루미늄관의 확관부와 구리관의 축관부를 가열 및 가압하여 접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접합방법을 냉동사이클에 사용하는 경우 구리관의 축관부에 의해 관직경이 좁아지게 되어 냉동사이클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특개소50-134944호에 개시된 알루미늄관과 구리관의 접합은 구리관의 일측을 경사지게 가공한 경사부를 마련하며, 알루미늄관의 일측을 확대하여 확관부를 마련하고, 알루미늄관의 확관부와 구리관의 경사부를 통전 가열 및 가압하여 접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접합방법을 냉동사이클에 사용하는 경우 접합과정에서 접합부에 알루미늄칩(chip)과 같은 이물질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이물질은 냉매와 함께 압축기로 유입되어 압축기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합영역에 축관현상이나 이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종 금속관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종 금속관 조립체에 있어서, 제1금속관과; 상기 제1금속관과 상이한 용융점을 갖는 제2금속관과; 양측이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에 결합되어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이 접촉하여 결합하도록 연결하는 관 형상의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1금속관의 일측에 내접하여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제2금속관의 일측에 내접하여 삽입되는 제2삽입부와,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 사이에 마련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 사이에 외향으로 절곡될 수 있 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가 각 단부에서 중앙영역으로 외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금속관은 일측에 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금속관은 일측에 상기 경사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직경이 확대된 확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금속관과 상기 제2금속관이 결합된 상태에서 가열 및 상호 가압하여 상기 제1금속관과 제2금속관을 접합할 수 있다.
상기 제1금속관은 구리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금속관은 알루미늄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1금속관 및 상기 제2금속관 보다 용융점이 높은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종 금속관 조립체에 있어서, 일측에 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갖는 제1금속관과; 상기 제1금속관과 상이한 용융점을 가지며, 상기 경사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일측의 직경이 확대된 확관부를 갖는 제2금속관과; 상기 제2금속관의 확관부가 상기 제1금속관의 경사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양측이 각각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에 내접하여 삽입되며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 사이에 위치하도록 돌기부를 갖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금속관과, 상기 제1금속관과 상이한 용융점을 갖는 제2금속관을 접합하기 위한 이종 금속관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관의 일측에 경사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금속관의 일측에 상기 경사부에 대응하여 직경이 확대된 확관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에 삽입가능하게 관 형상의 슬리브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슬리브의 양측을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에 삽입하며,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을 가열 및 가압하여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의 조립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가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에 내접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 사이에 위치하도록 돌기부를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를 마련하는 단계에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 보다 용융점이 높은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를 마련하는 단계에서 상기 슬리브는 금속판을 관 형상으로 감아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금속관은 구리관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금속관은 알루미늄관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이종 금속관 조립체(10)는 제1금속관(11)과, 제1금속관(11)과 상이한 용융점을 갖는 제2금속관(21)과, 양측이 제1금속관(11) 및 제2금속관(21)에 결합되어 제1금속관(11) 및 제2금속관(21)이 접촉하여 결합하도록 연결하는 관 형상의 슬리브(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종 금속관 조립체(10)는 일예로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에서 증발기와 압축기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미도시)로부터 연장된 증발기관과 압축기(미도시)와 연결된 흡입관(suction tube)의 접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금속관(11)은 증발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도록 압축기(미도시)와 연결된 흡입관(suction tube)으로 사용된다. 제1금속관(11)은 본 발명의 일예로 구리재질로 마련되며, 구리재질의 용융점은 대략 섭씨 1000도 정도 이다. 제1금속관(11)은 제2금속관(21)과 결합되는 일측에 단부(15)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3)를 포함한다. 제1금속관(1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클램프(5)에 의해 클램핑되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예로 제1금속관(11)의 직경은 8mm 이고 두께는 0.8mm 이다. 그러나, 제1금속관(11)의 직경이 10mm 혹은 6mm 등 다양할 수 있고 두께가 1.0mm 혹은 0.6mm 등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제1금속관(11)의 직경이 8mm 이고 두께가 0.8mm 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경사부(13)는 제2금속관(21)과 결합하는 일측에 선반과 같은 절삭장치에 의해 단부(15)방향으로 경사지게 가동된다. 경사부(13)의 길이(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예로 제1금속관(11)의 직경이 8mm이며 두께가 0.8mm인 경 우에 5mm 내지 6mm 정도 일 수 있다. 그러나 경사부(13)의 길이(A)는 제1금속관(11)의 직경 및 두께에 따라 6mm 보다 크거나 5mm 보다 작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경사부(13)의 단부(15)의 두께는 본 발명의 일예로 제1금속관(11)의 직경이 8mm이며 두께가 0.8인 경우에 0.2mm 정도이나, 경사부(13)의 길이(A) 및 제1금속관(11)의 두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제2금속관(21)은 본 발명의 일예로 증발기의 냉매관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제2금속관(21)은 본 발명의 일예로 알루미늄재질로 마련되며, 알루미늄재질의 용융점은 대략 섭씨 670도 정도 이다. 제2금속관(21)은 제1금속관(11)의 경사부(13)와 결합되는 일측에 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직경이 확대된 확관부(23)를 포함한다. 제2금속관(2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클램프(6)에 의해 클램핑되어 지지된다. 제2금속관(21)의 직경은 8mm 이고 두께는 1.0mm 이다. 그러나, 제2금속관(21)의 직경이 10mm 혹은 6mm 등 다양할 수 있고, 두께가 1.2mm 혹은 0.8mm 등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제2금속관(21)의 직경이 10mm 이고 두께가 1.0mm 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확관부(23)는 제1금속관(11)의 경사부(13)를 수용하여 경사부(13)의 외부면과 접촉하도록 제2금속관(21)의 일측에 직경이 확대되도록 마련된다. 확관부(23)의 길이(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예로 제2금속관(21)의 직경이 8mm이며 두께가 1.0mm인 경우에 경사부(13)의 길이(A)보다 길도록 9mm 내지 10mm 정도 일 수 있다. 그러나, 확관부(23)의 길이(B)는 경사부(13)의 길이(A) 등에 따 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확관부(23)의 단부에는 경사부(13)와 연결되는 제1금속관(11)의 외부면을 수용하여 접촉하도록 연장부(25)가 마련된다. 연장부(25)의 길이(C)는 본 발명의 일예로 제2금속관(21)의 직경이 8mm이며 두께가 1.0mm인 경우에 대략 2.0mm 정도이나 경사부(13)의 길이(A) 등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슬리브(31)는 제1금속관(11)의 일측에 내접하여 삽입되는 제1삽입부(33)와, 제2금속관(21)의 일측에 내접하여 삽입되는 제2삽입부(35)와, 제1금속관(11) 및 제2금속관(21)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삽입부(33) 및 제2삽입부(35) 사이에 마련된 돌기부(37)를 포함한다. 슬리브(31)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단부(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31)는 제1금속관(11) 및 제2금속관(21) 보다 용융점이 높은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슬리브(31)는 용융점이 대략 섭씨 1400도 정도인 스테인리스스틸(stainless steel)로 마련된다. 그러나, 슬리브(31)는 제1금속관(11) 및 제2금속관(21) 보다 용융점이 높은 몰리브덴강 등 다양한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슬리브(31)는 본 발명의 일예로 제1금속관(11) 및 제2금속관(21)에 삽입되도록 직경이 6mm 정도이며, 두께가 0.1mm 정도이고, 길이가 대략 20mm 정도이나, 제1금속관(11) 및 제2금속관(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양한 치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삽입부(33)는 관 현상으로 마련되어 경사부(13)가 형성된 제1금속관(11)의 일측에 삽입된다. 제1삽입부(33)는 제1금속관(11)의 일측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직격이 제1금속관(11)의 내주면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삽입부(35)는 제1삽입부와 같이 관 현상으로 마련되어 확관부(23)와 연결된 제2금속관(21)의 내측면에 삽입된다. 제1삽입부(33)는 제2금속관(21)의 일측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직격이 제2금속관(21)의 내주면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부(37)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삽입부(33) 및 제2삽입부(35) 사이에 외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돌기부(37)는 본 발명이 일예로 제1삽입부(33) 및 제2삽입부(35) 사이에 삼각형 형상으로 외향 돌출된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37)는 제2금속관(21)의 확관부(23)가 제1금속관(11)의 경사부(13)에 접촉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제1금속관(11)의 일측 단부와 제2금속관(21)의 일측에서 확관부(23)가 시작되는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돌기부(37)의 높이(D)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예로 0.5mm 정도이나, 제1금속관(11)의 단부(15)의 두께보다는 크도록 0.3mm 혹은 0.7mm 등 다양한 치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131)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슬리브(131)는 제1금속관(11)의 일측에 내접하여 삽입되는 제1삽입부(133)와, 제2금속관(21)의 일측에 내접하여 삽입되는 제2삽입부(135)와, 제1금속관(11) 및 제2금속관(21)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삽입부(133) 및 제2삽입부(135)의 중앙에 위치한 돌기부(137)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단부(139)를 포함한다. 그러나, 돌기부(137)는 제1삽입부(33) 및 제2삽입부(35)가 각 단부에서 중앙영역으로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도 2의 실시예와 차이점이다.
절단부(39)는 슬리브(31)를 제작하기 위해 소정의 판형상의 재질을 둥글게 감을 경우에 상호 이격되는 양측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절단부(39)는 슬리브(31)가 제1금속관(11) 및 제2금속관(21)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으로 형성된다. 절단부(39)는 제1삽입부(33) 및 제2삽입부(35)를 수축시켜 제1금속관(11) 및 제2금속관(21)에 삽입할 수 있도록 양측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절단부(39)에 의해 제1삽입부(33) 및 제2삽입부(35)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제1금속관(11) 및 제2금속관(21)에 삽입될 수 있다. 절단부(39)의 폭(E)은 본 발명의 일예로 0.4mm 정도이나, 0.2mm 혹은 0.6mm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관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금속관(11)의 일측에 선반 등을 이용하여 경사부(13)를 형성하며, 제2금속관(21)의 일측에 확관부(23)를 형성한다(S1). 그리고, 제1금속관(11) 및 제2금속관(21)에 삽입가능하게 관 형상의 슬리브(31)를 마련한다(S3). 그런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3)가 형성된 제1금속관(11)을 한 쌍의 제1클램프(5)가 이동하여 지지하며, 확관부(23)가 형성된 제2금속관(21)을 한 쌍의 제2클램프(6)가 이동하여 지지한다(S5).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31)의 일측에 마련된 제1삽입부(33)를 제1금속관(11)에 삽입하고(S7), 제2금속관(21)을 제2클램프(6)에 의해 제1금속관(1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9). 그리고, 제2금속관(21)을 슬리브(31)의 타측 및 제1금속관(11)에 결합되도록 가압하며, 제1클램프(5) 및 제2클램프(6) 등을 통해 제1금속관(11) 및 제2금속관(21)에 전기를 인가 하여 가열하게 된다(S11). 즉, 제1금속관(11) 및 제2금속관(21)을 통전 가열하며, 제1금속관(11)의 경사부(13) 및 제2금속관(21)의 확관부(23)가 상호 접촉하도록 가압하여 접합시키게 된다. 이때, 제1금속관(11) 및 제2금속관(21)의 가열온도인 공정(共晶)온도는 본 발명의 일예로 섭씨 540도 내지 550도 정도이나 알루미늄의 용융점 온도보다 작도록 다양한 온도로 가열될 수도 있다.
이에, 이러한 공정온도까지의 가열에 의해 제1금속관(11)과 제2금속관(21)이 접촉한 용역에서 히트 어펙티드 존(heat affected zoon)이 생성되어 제1금속관(11)과 제2금속관(21)이 상호 접합하게 된다. 그러나, 슬리브(31)는 이러한 공정온도보다 상당히 높은 용융점을 가지게 되므로 이러한 공정온도에서도 기계적 강도 및 내식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정온도로 가열됨에 따라 제2금속관(21)이 연하게 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31)의 돌기부(37)는 확관부(23)의 내측면에 돌기수용부(27)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슬리브(31)는 이러한 히트 어펙티드 존이 발생하는 영역이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 이러한 히트 어펙티드 존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알루미늄칩과 같은 이물질이 냉매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히트 어펙티드 존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알루미늄칩과 같은 이물질은 슬리브(31)의 돌기부(37) 및 제2금속관(21)의 돌기수용부(27)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며, 슬리브(31)의 제1삽입부(33) 및 제1금속관(11)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여 냉매로 흘러들어가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슬리브(31)의 두께가 0.1mm 정도이므로 냉매의 유동에 큰 영향을 미치자 않게 되어 냉동사이클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동사이클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종 금속관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이종 금속관 조립체에 있어서,
    제1금속관과;
    상기 제1금속관과 상이한 용융점을 갖는 제2금속관과;
    양측이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에 결합되어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이 접촉하여 결합하도록 연결하는 관 형상의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1금속관의 일측에 내접하여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제2금속관의 일측에 내접하여 삽입되는 제2삽입부와,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 사이에 마련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 사이에 외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가 각 단부에서 중앙영역으로 외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관은 일측에 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의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속관은 일측에 상기 경사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직경이 확대된 확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관과 상기 제2금속관이 결합된 상태에서 가열 및 상호 가압하여 상기 제1금속관과 제2금속관을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관은 구리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금속관은 알루미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1금속관 및 상기 제2금속관 보다 용융점이 높은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 조립체.
  11. 이종 금속관 조립체에 있어서,
    일측에 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갖는 제1금속관과;
    상기 제1금속관과 상이한 용융점을 가지며, 상기 경사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일측의 직경이 확대된 확관부를 갖는 제2금속관과;
    상기 제2금속관의 확관부가 상기 제1금속관의 경사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양측이 각각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에 내접하여 삽입되며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 사이에 위치하도록 돌기부를 갖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관과 상기 제2금속관이 결합된 상태에서 통전 가열 및 상호 가압하여 상기 제1금속관과 제2금속관을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 조립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관은 구리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금속관은 알루미늄관을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 보다 용융점이 높은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 조립체.
  14. 제1금속관과, 상기 제1금속관과 상이한 용융점을 갖는 제2금속관을 접합하기 위한 이종 금속관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관의 일측에 경사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금속관의 일측에 상기 경사부에 대응하여 직경이 확대된 확관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에 삽입가능하게 관 형상의 슬리브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슬리브의 양측을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에 삽입하며,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을 가열 및 가압하여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의 조립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가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에 내접하여 삽입 된 상태에서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 사이에 위치하도록 돌기부를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의 조립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를 마련하는 단계에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1금속관 및 제2금속관 보다 용융점이 높은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의 조립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를 마련하는 단계에서 상기 슬리브는 금속판을 관 형상으로 감아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의 조립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관은 구리관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금속관은 알루미늄관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금속관 조립방법.
KR1020050095158A 2005-10-10 2005-10-10 이종 금속관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20070039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158A KR20070039844A (ko) 2005-10-10 2005-10-10 이종 금속관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US11/543,027 US20070080536A1 (en) 2005-10-10 2006-10-05 Dissimilar metal tub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CNA2006101495435A CN1948808A (zh) 2005-10-10 2006-10-10 异金属管组件及其组装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158A KR20070039844A (ko) 2005-10-10 2005-10-10 이종 금속관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844A true KR20070039844A (ko) 2007-04-13

Family

ID=3791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158A KR20070039844A (ko) 2005-10-10 2005-10-10 이종 금속관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80536A1 (ko)
KR (1) KR20070039844A (ko)
CN (1) CN19488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7836B2 (en) 2018-07-20 2020-09-29 Dong-In Entech Co., Ltd. Tent po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8085B2 (en) * 2008-02-06 2012-02-21 Leprino Foods Company Heat exchanger
US8092416B2 (en) 2008-03-28 2012-01-10 Vitalmex Internacional S.A. De C.V.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a blood pump without trapping air bubbles
CN102828956B (zh) * 2011-06-15 2016-08-1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压缩机吸气口结构
US20160116090A1 (en) * 2014-10-24 2016-04-28 Mission Rubber Company LLC Pipe Coupling Apparatus
US11668414B2 (en) * 2019-12-12 2023-06-06 Lc Advanced Motor Technology Corporation Dual metal 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0013C3 (de) * 1970-03-04 1974-01-10 Messer Griesheim Gmbh, 6000 Frankfurt Schrumpfverbindung für Rohre
US5549335A (en) * 1994-04-06 1996-08-27 Peerless Of America, Incorporated Solderless metallurgical joi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7836B2 (en) 2018-07-20 2020-09-29 Dong-In Entech Co., Ltd. Tent p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80536A1 (en) 2007-04-12
CN1948808A (zh) 200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9844A (ko) 이종 금속관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101248197B1 (ko) 유동 튜브에 브레이징하기 위한 탭이 형성된 어퍼처를 가진 지지 바
US7726024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heat exchanger
US6554929B2 (en) Method for joining tube headers and header tanks of plastic heat exchanger
US5881456A (en) Header tubes for heat exchangers and the methods used for their manufacture
JP2001289590A5 (ko)
KR20150053135A (ko)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759110B1 (ko) 이중관 열교환기 및 그의 제조방법
TW552384B (en) Heat exchanger element and heat exchanger member for a Stirling cycle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heat exchanger member
US10921069B2 (en) Stacking-type hea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acking-type header
KR20110026844A (ko) 이종금속의 공정접합부 꺾임 방지 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US10612865B2 (en) Header tank of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KR101970966B1 (ko) 열교환기의 입출구배관 연결용 입출구 부재
JP3899173B2 (ja) 熱交換器
KR101194004B1 (ko) 라디에이터의 연결튜브 접합방법 및 그에 따른 라디에이터의 연결튜브 접합구조
JP5008508B2 (ja) 銅管とアルミ管の接合体、接合方法、接合装置、並びに流体回路装置
KR101694671B1 (ko) 입출구파이프를 포함한 열교환기 제조방법
KR200406575Y1 (ko)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
KR101694670B1 (ko) 열교환기용 입출구파이프 연결부재
US20080016904A1 (en) Refrigerating Unit Comprising An Ultrasound-Welded Suction Tube And A Throttling Tube
US20230068291A1 (en) Heat exchanger
CN213273296U (zh) 一种阀体组件及空调设备
CN111963723B (zh) 一种阀体组件及空调设备
US20240118045A1 (en) Heat exchanger
KR102137803B1 (ko) 보일러용 열교환기의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