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788A - 영상 스캔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스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788A
KR20070039788A KR1020050095072A KR20050095072A KR20070039788A KR 20070039788 A KR20070039788 A KR 20070039788A KR 1020050095072 A KR1020050095072 A KR 1020050095072A KR 20050095072 A KR20050095072 A KR 20050095072A KR 20070039788 A KR20070039788 A KR 20070039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d
green
lens
image sca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0709B1 (ko
Inventor
박문규
이중기
박성수
박병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5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709B1/ko
Priority to US11/543,666 priority patent/US7375868B2/en
Publication of KR20070039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1Scanning systems with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ng means, e.g. raster or XY scan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 G02B27/102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for generating a colour image from monochromatic image signal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 G02B27/102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for generating a colour image from monochromatic image signal sources
    • G02B27/10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for generating a colour image from monochromatic image signal sources for use with scann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8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ampling a portion of a beam or combining a small beam in a larger one, e.g. wherein the area ratio or power ratio of the divided beams significantly differs from unity, without spectral selectiv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8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diffraction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G02B27/145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having sequential partially reflect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G02B27/4205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having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contributing to image formation, e.g. whereby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or optical aberrations are relevant
    • G02B27/4227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having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contributing to image formation, e.g. whereby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or optical aberrations are relevant in image scann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6Scanning systems having diffraction gratings as scanning elements, e.g. holographic scan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영상 스캔 장치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각각의 모드로 회절 시키는 공간 광 변조기와, 상기 공간 광 변조 모듈에서 회절된 각 모드 중에서 0차 모드 이외의 다른 모드의 광을 제한하기 위한 조리개를 포함한다.
공간 광 변조, 회절, 영상

Description

영상 스캔 장치{APPARATUS FOR IMAGE SCA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스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적색 광의 스폿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a와 도 4b는 청색 광의 스폿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a와 도 5b는 녹색 광의 스팟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상관 비구면을 설명하기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스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스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영상 스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간 변조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가 가능한 영상 스캔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근래에는 반도체 레이저 등의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영상 스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상술한 레이저 광원을 구비한 영상 스캔 장치는 프로젝터, 프로젝터 텔레비젼, 칼라 스캐너, 칼라 프린터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레이저 광원을 구비한 영상 스캔 장치가 프로젝터 또는 프로젝터 텔레비젼 등에 이용될 경우에는 스크린 또는 화면에 영상을 구현하는 반면에, 칼라 프런터 또는 스캐너 등에 사용될 경우는 드럼 상에 영상을 재생하게 된다.
영상 스캔 장치는 서로 다른 가시 파장의 광을 생성하기 위한 반도체 레이저(laser) 등의 레이저 광원들과, 상기 광을 각 화소에 필요에 따라서 조사시키기 위한 공간 광 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를 포함해서 구성되며, 상기 공간 광 변조기는 다양한 형태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 공간 광 변조기는 일반적으로 입사된 광의 특성 변조가 가능한 회절 격자가 사용되며, 그 중에는 데이비드(David M. Bloom) 등에 의해서 1995년 10월 17일 미국 특허 등록된 공간 광 변조기로서 평면 격자 광 밸브(Grating light-valve; GLV)에 관한 미국 특허 등록 번호 US 5,459,610과, 2002년 6월 25일 코와즈(Kowarz) 등에 의해 미국 특허 등록된 격자 전기기계 시스템(Grating Electromechanical System; GEMS)에 관한 미국 특허 등록 번호 US 6,476,848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폴(Paul K. Manhart) 등에 의해서 2000년 7월 11일 미국 특허 등록된 US 6,088,102는 GLV를 이용한 영상 스캔 장치에 관해서 개시하고 있으며, 코와즈(Kowarz) 등에 의해 2004년 4월 20일 미국 특허 등록된 US 6,724,515는 GEMS를 이용한 영상 스캔 장치에 관해서 각각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회절 격자 형태의 공간 광 변조기를 포함하는 영상 스캔 장치는 입사된 광을 0차 모드를 중심으로 음의 차수와 양의 모드로 분리하며, 0차 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모드를 영상 재생에 이용한다. 즉, 회절 격자 형태의 공간 광 변조기를 사용함으로써 선명한 영상의 구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스캔 장치들은 부피가 크고 전력 소모가 커서 휴대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특히, 0차 모드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US 6,724,515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별도의 구성을 더 포함해야 하므로 시스템 구성이 복잡해지고,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부피가 작고 전력 소모가 적어서 휴대 가능한 영상 스캔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스캔 장치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각각의 모드로 회절 시키기 위한 공간 광 변조 모듈과;
상기 공간 광 변조 모듈에서 회절된 각 모드 중에서 0차 모드 이외의 다른 모드의 광을 제한하기 위한 조리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스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스캔 장치(100)는 서로 다른 가시 파장 대역의 광들을 생성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내지 제3 광원들(111, 115, 118)과, 상기 각 광을 시준화시키기 위한 시준화 광학계와, 시준화된 상기 광을 그 진행 방향에 수직한 띠 형태의 라인 스캔을 형성하기 위한 라인 스캔 광학계와, 공간 광 변조기(124), 결상 광학계(130)와, 조리계(136), 스캔 미러(135), 스크린(screen) 등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들(111, 115, 118)은 녹색, 청색, 적색의 삼원색을 생성할 수 있는 반도체 레이저 또는 2차 조화파 생성기(second harmonic generator; SH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스캔 장치(100)는 휴대가 가능한 소형의 프로젝터 등으로 사용 가능하며, x, y, z의 삼축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를 이용해서 설명될 수 있다. z축은 광의 진행 방향과 일치하는 광축으로 정의될 수 있고, y 축은 상기 z축에 수직 한 임의의 축으로 정의될 수 예다. 또한, x축은 y 및 z 축에 수직한 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라인 스캔은 상기 광을 y축에 대해서는 시준화 시키고, x축에 대해서는 수렴시켜서 그 장축이 y축을 따라서 진행하는 띠 형태를 의미 하며, 상기 광을 라인 스캔 상태로 만들어서 상기 광이 상기 공간 광 변조기에 입사가 용이하도록 만든다.
상기 제1 광원(111)은 2차 조화파 생성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3 광원(115, 118)은 반도체 레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3 광원(115, 118)로 사용된 각 반도체 레이저들은 타원형의 스팟(spot)을 갖는 적색 및 청색 광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a는 적색 광의 단축 선 폭을 나타내고, 도 3b는 적색 광의 장축 선 폭을 나타낸다. 즉, 도 3a의 그래프에 도시된 단축은 x축 상에 위치되고, 도 3b의 그래프에 도시된 장축은 y축 상에 위치된다. 도 4a는 청색 광의 단축 선 폭을 나타내고, 도 4b는 청색 광의 장축 선 폭을 나타낸다. 도 3a, 도 3b, 도 4a, 도 4b를 참조하면 청색 및 적색 광을 생성하는 제2 및 제3 광원들(115, 118)은 타원형 스팟을 갖는 각 광의 장축이 y축에 평행하게 출력할 수 있도록 정렬됨을 알 수 있다. 즉, 생성된 청색 및 적색 광은 장축이 상기 y축과 평행하게 진행하고, 단축은 x축을 따라서 진행한다.
다만, 녹색 광은 반도체 레이저 등으로 직접 생성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2차 조화파 생성기를 이용해서 생성할 수 있다. 도 5a는 녹색 광의 x축 상에서의 선폭을 나타내고, 도 5b는 녹색 광의 y축 상에서의 선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 광은 x축 및 y축 상에서의 선폭의 거의 동일한 원형 스팟을 형성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시준화 광학계는 상기 각 광원에서 생성된 삼 원색을 시준화 시키기 위 한 광학계로서, 상기 광원들(111, 115, 116) 각각에 대응되는 시준화를 위한 제1 내지 제3 렌즈(114, 116, 119)와, 반사 미러(113), 제1 및 제2 파장 선택 필터들(117, 120)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들(111, 115, 116)은 녹색, 적색, 청색 순으로 정렬되거나, 적색, 녹색, 청색 순으로 정렬되거나, 적색, 청색, 녹색 순으로 정렬되거나, 녹색, 청색, 적색 순으로 정렬되거나, 청색, 적색, 녹색 순으로 정렬되거나, 또는 청색, 녹색, 적색 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114)는 상기 반사 미러(113)와 상기 제1 파장 선택 필터(117)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반사 미러(113)에서 반사된 녹색 광을 시준화시켜서 상기 제1 파장 선택 필터(117)로 출력한다.
상기 반사 미러(113)는 상기 제1 광원(111)에서 생성된 녹색 광을 반사시켜서 진행 경로를 수직 방향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제공한다. 상기 반사 미러(113)는 유전체 증착 또는 금속 증착된 박막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장 선택필터(117)는 z 축 상의 상기 제1 렌즈(114)와 상기 제2 파장 선택필터(120)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 렌즈(116)로부터 입사된 적색 광과, 상기 반사 미러(113)에서 반사된 녹색 광을 상기 라인 스캔 광학계(121~123) 측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2 파장 선택필터(120)는 z 축 상에 상기 라인 스캔 광학계(121~123)와 상기 제1 파장 선택 필터(117)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3 렌즈(119)로부터 입력된 상기 청색 광을 상기 라인 스캔 광학계(121~123) 측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녹색 및 적색 광을 상기 라인 스캔 광학계(121~123) 측으로 투과시킨다.
상기 라인 스캔 광학계(121~123)는 제1 확산 렌즈(121), y축 시준화 렌즈(122), x축 수렴 렌즈(123)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장 선택필터(120)로부터 입력된 상기 녹색, 적색, 청색 광을 라인 스캔 형태로 변환시켜서 상기 공간 광 변조기(124)로 출력한다.
상기 공간 광 변조기(124)는 SOM, GLV, GEMS 등과 같은 회절 격자 형태의 소자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입사된 라인 스캔 형태의 광들을 상기 결상 광학계(130) 측으로 0차, 1차 내지 다수의 차수를 갖는 모드들(modes)로 회절 시킨다.
상기 결상 광학계(130)는 하나 이상 복수의 렌즈들(131~13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 광 변조기(124)에서 회절된 모드들을 좌표계 상의 y-z 평면에서 볼 때는 상기 스캔 미러(135)로 수렴시키고, x-z 평면에서 볼 때는 시준화된 상태로 상기 스캔 미러(135)로 출력한다.
상기 조리개(136)는 상기 스캔 미러(135)에서 반사되는 광 중에서 0차 모드 이외의 회절 차수를 갖는 모드들을 제한하며, 상기 스캔 미러(135)는 입사된 모드들 중 상기 조리개(136)를 통과한 0차 모드를 스크린(screen) 상의 특정 화소 상에 수렴시킨다. 상기 녹색, 적색, 청색 광은 각각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면 조사되며, 라인 스캔되면서 특정 화소에 중첩됨으로써 전체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스캔 장치(100)는 상기 제1 광원(111)과 상기 반사 미러(113) 사이에 위치된 제2 확산 렌즈(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상관 비구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아래의 수식들이 도출될 수 있다. 하기의 <수학식 1>은 입력 광의 스폿 면적과, 출력 광의 스폿 면적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수학식 2>와 <수학식 3>은 <수학식 1>의 등치 관계로부터 스폿의 크기 및 세기로 변환한 수식이다.
Figure 112005057202904-PAT00001
Figure 112005057202904-PAT00002
Figure 112005057202904-PAT00003
상기 <수학식 2>와 <수학식 3>에서, Iin은 입력 스폿의 세기를 나타내고, Iout은 출력 스폿의 세기를 나타낸다. 또한, <수학식 2>의 dAreain은 입력 스폿의 크기를 나타내고, dAreaout은 출력 스폿의 크기를 나타낸다. <수학식 3>의 2πrdr은 입력 스폿의 반지름에 따른 크기를 나타내고, 2πsds는 출력 스폿의 반지름에 따른 크기를 나타낸다.
위의 <수학식 3>은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은 지수 함수 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으며, 변환된 <수학식 4>로부터 출력 스폿의 반지름 s에 대한 함수를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5057202904-PAT00004
Figure 112005057202904-PAT00005
상기 <수학식 5>는 스폿의 장축 방향의 광 분포 균일를 향상시키기 위한 상관 비구면 특성을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라인 스캔 광학계(121~123)의 각 면에 적용시킴으로써 상기 공간 광 변조기(124)로 출력되는 광의 y축에 대한 광 분포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스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스캔 장치는(200)는 서로 다른 가시 파장 대역의 광들을 생성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3 광원들(211, 215, 218)과, 상기 각 광을 시준화시키기 위한 시준화 광학계(214, 216, 219)와, 시준화된 상기 광을 그 진행 방향에 수직한 띠 형태의 라인 스캔을 형성하기 위한 라인 스캔 광학계(221, 222, 223)와, 공간 광 변조기(224), 결상 광학계(230)와, 조리계(236), 스캔 미러(235), 스크린(screen)과, 상기 광의 경로를 수직하게 변환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반사 미러(213)와, 제2 확산 렌즈(212)를 포함한다.
상기 라인 스캔 광학계는 제1 확산 렌즈(221)와, 시준화 렌즈(222)와, 수렴 렌즈(233)을 포함한다.
상기 공간 광 변조기(224)는 입사된 광의 경로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꺽어서 반사시키며, 상기 결상 광학계(230)는 복수의 렌즈들(231, 232, 233, 234)로 구성되며 상기 공간 광 변조기(224)에서 반사된 모드들의 경로 상에 배열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스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스캔 장치는 (300)는 서로 다른 가시 파장 대역의 광들을 생성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3 광원들(311, 315, 318) 과, 상기 각 광을 시준화시키기 위한 시준화 광학계(314, 316, 319)와, 시준화된 상기 광을 그 진행 방향에 수직한 띠 형태의 라인 스캔을 형성하기 위한 라인 스캔 광학계(321, 322, 323)와, 공간 광 변조기(324), 결상 광학계(330)와, 조리계(336), 스캔 미러(335), 스크린(screen)과, 상기 광의 경로를 수직하게 변환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반사 미러들(313, 320)과, 제2 확산 렌즈(322)를 포함한다.
상기 라인 스캔 광학계는 제1 확산 렌즈(321)와, 시준화 렌즈(322)와, 수렴 렌즈(33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간 변조 모듈에서 회절된 모드들 중에서 0차 모드만을 이용해서 영상을 구현함으로써, 0차 모드만을 사용하기 위한 조리개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전체 시스템의 소형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서로 다른 가시 파장의 광들을 이용해서 스크린 상에 영상 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영상 스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광들을 서로 다른 복수의 모드들로 회절시키고, 회절된 모드들 중 0차 모드를 이용해서 영상 화면을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스캔 장치.
  2. 영상 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영상 스캔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각각의 모드로 회절 시키는 공간 광 변조기와;
    상기 공간 광 변조 모듈에서 회절된 각 모드 중에서 0차 모드 이외의 다른 모드의 광을 제한하기 위한 조리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스캔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스캔 장치는,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가시 파장의 광을 생성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광원들과;
    상기 녹색 광을 시준화시키기 위한 제1 렌즈와;
    상기 제2 및 제3 광원에서 생성된 적색과 청색 광을 시준화시키기 위한 제2 및 제3 렌즈와;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입력된 녹색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2 렌즈로부터 입력된 적색 광을 입사된 방향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 파장 선택 필터와;
    상기 제1 파장 선택필터로부터 입력된 녹색 및 적색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3 렌즈로부터 입력된 청색 광을 입사 방향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 파장 선택 필터와;
    상기 제2 파장 선택필터로부터 입력된 녹색, 적색, 청색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제1 확산 렌즈와;
    상기 제1 확산 렌즈와 상기 공간 광 변조기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 확산 렌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적색, 청색, 녹색 광을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띠 형태로 형성해서 상기 공간 광 변조기로 출력하는 시준화 및 수렴 렌즈와;
    상기 공간 광 변조기로부터 입력된 광을 상기 조리개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스캔 미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스캔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스캔 장치는,
    상기 스캔 미러와 상기 공간 광 변조기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모드들을 상기 스캔 미러 측으로 투영시키기 위한 투영 렌즈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스캔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은,
    녹색 광을 생성하기 위한 2차 조화파 생성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스캔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은,
    타원 형태의 스폿을 갖는 적색 광을 생성하는 반도체 레이저를 포함하며, 상기 적색 광 스폿의 장축은 상기 시준화 및 수렴 렌즈에 의해 형성된 띠 형태의 광의 장축과 일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스캔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광원은,
    타원 형태의 스폿을 갖는 청색 광을 생성하는 반도체 레이저를 포함하며, 상기 적색 광 스폿의 장축은 상기 시준화 및 수렴 렌즈에 의해 형성된 띠 형태의 광의 장축과 일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스캔 장치.
  8.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 광학계는 하나 이상의 렌즈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스 캔 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제2 확산 렌즈와, 시준화 렌즈와, 수렴 렌즈의 각 면은 하기의 <수학식 6>에 따른 상과 비구면이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스캔 장치.
    Figure 112005057202904-PAT00006
    s는 출력 면의 반지름을 나타내고, I0는 출사되는 광의 세기를 나타낸다. r은 광이 입사되는 면의 반지름을 의미한다.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스캔 장치는,
    상기 제1 파장 선택 필터에서 반사된 일부 녹색 광으로부터 녹색 광의 세기를 감시하기 위한 광 검출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스캔 장치.
  11.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스캔 장치는,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반사 미러의 사이에 위치된 제2 확산 렌즈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스캔 장치.
  12.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스캔 장치는,
    상기 제2 파장 선택 필터와 상기 확산 렌즈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 파장 선택필터들로부터 입력된 광들의 경로를 진행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반사시켜서 상기 확산 렌즈로 입력시키기 위한 반사 미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스캔 장치.
  1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들은,
    녹색, 적색, 청색 순으로 정렬되거나, 적색, 녹색, 청색 순으로 정렬되거나, 적색, 청색, 녹색 순으로 정렬되거나, 녹색, 청색, 적색 순으로 정렬되거나, 청색, 적색, 녹색 순으로 정렬되거나, 또는 청색, 녹색, 적색 순으로 정렬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스캔 장치.
KR1020050095072A 2005-10-10 2005-10-10 영상 스캔 장치 KR100800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072A KR100800709B1 (ko) 2005-10-10 2005-10-10 영상 스캔 장치
US11/543,666 US7375868B2 (en) 2005-10-10 2006-10-05 Image scan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072A KR100800709B1 (ko) 2005-10-10 2005-10-10 영상 스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788A true KR20070039788A (ko) 2007-04-13
KR100800709B1 KR100800709B1 (ko) 2008-02-01

Family

ID=37910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072A KR100800709B1 (ko) 2005-10-10 2005-10-10 영상 스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75868B2 (ko)
KR (1) KR1008007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683B1 (ko) * 2006-05-02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프로젝터
KR100842617B1 (ko) * 2007-05-29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
US7995282B2 (en) * 2008-12-10 2011-08-09 Panamorph, Inc. Anamorphic optical system
WO2014002514A1 (ja) * 2012-06-25 2014-01-03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投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3661A (en) 1978-04-28 1979-11-09 Canon Inc Recording optical system
JPS58184901A (ja) 1982-04-23 1983-10-28 Hitachi Ltd 回転鏡
US4754272A (en) * 1986-09-18 1988-06-28 General Signal Corporation Three aspect signalling device using no moving parts
JPH0682877B2 (ja) * 1988-12-23 1994-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ーザ発振器
US5311360A (en) * 1992-04-28 1994-05-1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ting a light beam
US5331143A (en) * 1992-08-28 1994-07-19 Symbol Technologies, Inc. Optical scanner using an axicon and an aperture to aspherically form the scanning beam
US6088102A (en) * 1997-10-31 2000-07-11 Silicon Light Machines Display apparatus including grating light-valve array and interferometric optical system
US6229650B1 (en) * 1999-10-18 2001-05-08 Agfa Corporation Optical imaging head having a multiple writing bean source
US6678095B2 (en) * 2000-11-27 2004-01-13 Visual Systems Research, Inc. Anamorphic optical system
US6476848B2 (en) * 2000-12-21 2002-11-05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mechanical grating display system with segmented waveplate
JP4111074B2 (ja) * 2002-08-20 2008-07-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US7248409B2 (en) * 2002-11-25 2007-07-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element, optical lens, optical head apparatus, optical information apparatus, computer, optical information medium player, car navigation system, optical information medium recorder, and optical information medium server
US6724515B1 (en) * 2002-12-31 2004-04-20 Eastman Kodak Company Conformal grating device for producing enhanced gray levels
KR20060052809A (ko) * 2003-07-14 2006-05-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프로젝션 디바이스
DE10341626B4 (de) * 2003-09-10 2016-06-02 Carl Zeiss Jena Gmbh Beleuchtungsmodul zur Farbbildanzeige
KR100632606B1 (ko) * 2004-08-19 2006-10-09 삼성전기주식회사 색선별 슬릿을 이용한 광변조기 다중광 스캐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81214A1 (en) 2007-04-12
US7375868B2 (en) 2008-05-20
KR100800709B1 (ko) 200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3126B2 (en) Illuminating optical device i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JP4115851B2 (ja) 照射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装置
US8016427B2 (en) Light source device, and two-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6897992B2 (en) Illuminating optical unit in image display unit, and image display unit
US20060114420A1 (en) Illumination unit and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H08304706A (ja) 空間光変調器のためのイルミネーション光学
JP2006048044A (ja) 照明ユニット及びそれを採用した画像投射装置
CN107505806B (zh) 一种dmd调制成像系统以及激光投影设备
JP2000206449A (ja) 照明装置、照明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4029662B2 (ja) 画像表示装置
KR100842617B1 (ko) 프로젝터
KR100917881B1 (ko) 회절소자를 가지는 광분리 및 결합소자를 구비하는 조명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0800709B1 (ko) 영상 스캔 장치
CN108061995B (zh) 投影系统
KR100754683B1 (ko) 레이저 프로젝터
KR100636089B1 (ko) 반사형 칼라 프로젝터
KR100975057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
CN115356887A (zh) 照明系统
CN211086897U (zh) 投影系统
KR100790121B1 (ko) 레이저 프로젝터
JP2008212444A (ja) 照明装置、光学装置及びモニタシステム
JP2020071296A (ja) 波長変換ユニット、光源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CN113805419B (zh) 照明系统及投影装置
US20070229924A1 (en) Display device using single-panel diffractive light modulator
JPH06222362A (ja) 液晶表示装置用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