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571A - 충격 개질된 폴리아미드 조성물 - Google Patents

충격 개질된 폴리아미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571A
KR20070039571A KR1020077002243A KR20077002243A KR20070039571A KR 20070039571 A KR20070039571 A KR 20070039571A KR 1020077002243 A KR1020077002243 A KR 1020077002243A KR 20077002243 A KR20077002243 A KR 20077002243A KR 20070039571 A KR20070039571 A KR 20070039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composition
weight
elastomer
elastic body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린느 뷔셸망
Original Assignee
솔베이 어드밴스트 폴리머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05103761A external-priority patent/EP1557445A3/en
Application filed by 솔베이 어드밴스트 폴리머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솔베이 어드밴스트 폴리머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70039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57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0Polyamides derived from aromatically bound amino and carboxyl groups of amino-carboxylic acids or of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하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 하나 이상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 (ⅰ) 4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고리형 올레핀 (O1)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 및 (ⅱ) 6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고리형 올레핀 (O2)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탄성체, 및
- 6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비고리형 올레핀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가 없는, 4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고리형 올레핀 (O3)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탄성체.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폴리아미드, 폴리(테레)프탈아미드, 중합체 조성물, 충격 개질제

Description

충격 개질된 폴리아미드 조성물 {IMPACT MODIFIED POLYAMIDE COMPOSITIONS}
관련출원의 참조
본 출원은 2004 년 7 월 29 일 출원된 제 60/591,882 호, 2004 년 12 월 17 일 출원된 제 60/636,526 호의 미국 가출원, 및 2005 년 5 월 4 일 출원된 제 05103761.2 호의 유럽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세 가지 출원의 모든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도입된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조성물, 특히 반응성 압출을 통해, 현저하게 관능화될 수 있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충격-개질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말레산 무수물로 관능화된 탄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유용한 탄성체 내에 포함된다.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SOLVAY ADVANCED POLYMERS, L.L.C. 사제 AMODEL® 폴리아미드와 같은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발명된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개선된 표면 품질 및 충격 저항을 갖는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품, 성형품, 필름, 섬유 및 용기 등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 또한 본 발명의 일부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장점과 기타 특징은 하기 명세서에 일부 설명될 것이고, 일부는 하기 명세서를 검토한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고, 또는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학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이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에 명시된 바와 같이 이해되고, 수득될 수 있다. 이해되겠지만, 본 발명은 추가적이고 상이한 실시태양이 가능하며, 몇몇 세부사항은 모두가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명백하고 다양한 측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기재는 사실상 예시를 위한 것이지,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중합체 조성물은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부품 제조, 사출 성형, 필름 가공, 열성형, 압출, 중공 성형 (blow molding) 등을 포함하는 많은 용도를 가진다. 중합체 조성물은 필름 및 용기 예컨대 병, 재밀봉가능한 포장 등을 포함하는 포장 응용의 광범위한 용도로 발견된다. 중합체 필름 및 용기는 선적 중에 일시적으로 포장 상품으로 이용될 수 있거나 필수적이고 영구적인 부분인 소자 예컨대 전자 성분 포장으로 이용될 수 있다. 압출, 적층 및 필름 성형 분야에서 유용한 성질을 제공하는 신규한 중합체 조성물에 대한 수요가 있다.
중합체 물질의 압출 성능은 특정한 중합체-함유 조성물이 실용적 또는 상업적으로 유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예를 들어, 중합체 조성물의 융점 특성은 중합체 조성물이 특정 필름 압출 또는 성형 응용에 적합한지 여부에 크게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유리하게, 조성물은 필름 응용시 고려되는 연신성 (drawability), 유연성, 기계적 강도, 용융 안정성, 재활용성, 투명도 및 피복성에서 우수한 성질을 가진다. 장벽 (barrier) 성질 (예를 들어, 일정 기체의 진입 및/또는 이탈 저항), 착색 저항 특성과 같은 성질 또한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많은 중합체-함유 조성물이 존재하는 반면, 우수한 화학적 및 기계적 성질을 갖고 상업적으로 유용한 필름을 제공하는 양호한 압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있다 해도, 얼마 되지 않는다.
에틸렌 비닐 알콜 중합체는 포장 응용에 필름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왔다. 그러한 필름은 수용가능한 기계적 밸런스 및 기체 투과 성질을 제공하는 다적층물을 이용해야 하는 필요성을 포함하는 특정 결점을 가진다. 개선된 기계적 특성 예컨대 유연성, 가공성 (예를 들어, 용융 안정성을 포함함), 인열 응력 (tear stress) 및 내충격성 (impact resistance) 을 양호한 압출 수지 성능과 조합하여 제공하는 수지 조성물은 존재하는 포장 필름에 현저한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필름의 최종 두께는 포장 또는 필름 응용용 중합체 조성물을 선택하는데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필름 두께를 최소화함으로써 더 적은 양의 중합체 조성물이 필요하고 그 때문에 원료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 부담을 줄이게 된다. 개선된 용융 강도를 나타내는 중합체 조성물은 기공 (pin-hole) 형성에 더욱 저항할 수 있어 필름-압출 응용에의 통상적인 중합체 조성물과 비교하여 결함 비율을 낮추도록 귀착되고 따라서 더 얇은 필름의 이용을 허용할 수 있게 한다.
지방족 폴리아미드 예컨대 지방족 디아민 및 디카르복실산의 축중합 (polycondensation) 반응에서 유도된 것들은 공지되어 있다. 지방족 폴리아미드는 섬유 또는 직물과 같은 응용에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왔다. 비록 광범위하 게 이용되었다 하더라도, 지방족 폴리아미드는 보통 전문적인 응용에 필요한 충분한 정도의 열적 및 화학적 저항을 제공할 수 없다.
부분적 또는 전체적인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방향족 디아민의 축중합 반응에서 유도된다. 지방족 폴리아미드와 달리,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보통 매우 높은 열적 저항 및 매우 양호한 기계적 성질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이들의 지방족 대응부와 비교하여 충분히 더 높은 융점 및 개선된 기계적 특성 예컨대 충격 저항 및 강성도 (stiffness) 를 가진다. 그러나, 필름 제조를 위한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응용은 수용가능한 기계적 성질 예컨대 충격 저항, 인열 강도 및 용융 가공성을 갖는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용이하게 입수가능한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부족으로 어느 정도 제한된다.
말레산화 폴리올레핀 (maleated polyolefin) 은 EP 0291796 에서 테레프탈 산 (terephthalic acid) - 함유 폴리아미드에서의 개질제로 기재되어 있다. 하나의 개질제를 함유하는 부분적인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U.S. 6,518,341 에 기재되어 있다. 전술한 특허들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이용하는 필름 형성의 문제를 전혀 다루지 않는다. 게다가, 전술한 특허들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및 두 개의 다른 탄성체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에 대하여 전혀 기재하지 않는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요구 뿐만 아니라 선행 기술의 문제를 다루고, 하나 이상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및 특정 유형의 두 개 이상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 하나 이상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 (ⅰ) 4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고리형 (acyclic) 올레핀 (O1)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 및 (ⅱ) 6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고리형 올레핀 (O2)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탄성체, 및
- 4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고리형 올레핀 (O3)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탄성체 (여기서 제 2 탄성체는 6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비고리형 올레핀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가 없음).
바람직한 탄성체는 관능화되고 반응성 압출을 통하여 제조된다. 본원에서 유용한 바람직한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예컨대 AMODEL®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크기, 형상, 표면 조직, 첨가제의 개수와 양, 용도 등은 어떠한 방법으로든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및 두 개 이상의 특정 유형의 탄성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압출된 필름 및 압출 또는 성형된 물품에 개선된 기계적 및 압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체는 하나 이상의 이온성, 비이온성, 친수성, 소수성 및/또는 반응성 기로 선택적으로 관능화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는 일반적으로, 반복 아미드 (CONH) 관능기를 함유하는 중합체이다. 전형적으로, 폴리아미드는 디아민 및 이산 (diacid) 단량체 단위를 반응시키거나 (예를 들어 나일론 6,6), 아미노 카르복실산 또는 카프로락탐을 중합함으로써 (예를 들어 나일론 6) 형성된다. 선형, 지방족 폴리아미드는 공지된 물질이다.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라아미드의 방향족성 (aromaticity) 은 이산 및/또는 디아민 단량체 단위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원에서 이용된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하나 이상의 이산 및 하나 이상의 디아민의 축중합으로 제조된다.
방향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방향족기-함유 반복 단위의 함량이 반복 단위의 전체 몰수에 기초하여 15 몰% 초과인 폴리아미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반복 단위의 총 개수에 기초하여, 방향족기-함유 반복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 35 몰% 초과 및 더욱 바람직하게 50 몰% 초과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이용에 적합한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특히 높은 가공 온도를 필요로 하여 저하 없이 용융 가공이 어려운, 다양한 선형, 열가소성, 고온,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 및 종종 부분 방향족 나일론으로 불리는, 이의 공중합체 유사체를 포함한다.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결정성이거나 결정화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방족 디아민의 테레프탈아미드 (terephthalamide) 를 포함하는 결정성 또는 반-결정성 (semi-crystalline), 고온 폴리아미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한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구조 단위로써 탄화수소 부분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C1-C4 알킬 치환체를 갖는 디아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C4-C14 지방족 디아민 예컨대 헥사메틸렌 디아민 등의 테레프탈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테레프탈아미드 단위 외에,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구조 단위로써 그러한 지방족 디아민의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디아미드, 예를 들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관련된 화합물 예컨대 이소프탈산 (isophthalic acid),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등에서 유도된 디아미드 뿐만 아니라, 지방족 디아민 및 C4-C14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관련된 화합물에서 유도된 디아미드, 예컨대 아디프산, 세바신산,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및 유사한 디카르복실산에서 유도된 디아미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테레프탈아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다양한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선택적으로 헥사메틸렌 이소프탈아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단위 및 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 단위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향족 공폴리아미드는 공지되어 있다.
더욱 세부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하기 구조식으로 표현되어 추가로 기재할 수 있는 중합된 지방족 디아민 테레프탈아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Figure 112007008720615-PCT00001
(식중 R 은 하나 이상의 지방족 히드로카빌 라디칼을 포함함)
바람직하게 상기 화학식에서 지방족 라디칼 R 은 하나 이상의 C4 - C14 지방족 히드로카빌 라디칼, 더욱 바람직하게 약 4 내지 약 1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선형 사슬, 분지형 또는 고리형, 치환 또는 비치환 지방족 라디칼을 포함할 것이다. 그러한 라디칼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는 보통 양호한 결정성 및 목적 고온 성질을, 이들을 용융 생성 및 사출 성형 제조 및 압출 조작에 매우 적합하게 하는 용융 및 열 분해 온도와 함께 나타낸다. 적합한 지방족 라디칼의 특정 예는 테트라메틸렌, 헥사메틸렌, 도데카메틸렌 등 뿐만 아니라, 이들의 알킬-치환 유사체 예컨대 2-메틸펜타메틸렌, 2,4-디메틸헥사메틸렌 등, 및 고리형 유사체 예컨대 p-시클로헥실 등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화학식 중 R 은 단독으로 또는 부가적인 지방족 4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 라디칼과 혼합함물로써 헥사메틸렌 라디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약 270 ℃ 이상의 융점; 보다 더욱 바람직한 폴리아미드 성분은 약 290 ℃ 내지 약 330 ℃ 의 융점을 가질 것이다.
바람직한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PMXDA 폴리아미드의 부류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PMXDA 는 50 몰% 초과의 반복 단위가 하나 이상의 방향족 이산 및 방향족 디아민, 특히 메타크실렌 디아민 간의 축중합 반응으로 형성되는 폴리아미드를 표시하도록 의도되었다. 적합한 PMXDA 는 Solvay Advanced Polymers, L.L.C. 사제 IXEF® PMXDA 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폴리프탈아미드 (PPA) 의 부류로부터 선택된다. 폴리프탈아미드는 50 몰% 초과의 반복 단위가 하나 이상의 프탈산 (phthalic acid) 및 하나 이상의 디아민 간의 축중합 반응으로 형성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로써 정의된다. 프탈산은 오쏘 (ortho) -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이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디아민은 유리하게 지방족 디아민 (예컨대: 헥사메틸렌디아민, 노난디아민, 2-메틸-1,5 펜타디아민, 및 1,4-디아미노부탄), 바람직하게 C3-C12 지방족 디아민, 더욱 바람직하게 C6-C9 지방족 디아민,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헥사-메틸렌디아민이다.
적합한 폴리프탈아미드는 Solvay Advanced Polymers, L.L.C. 사제 AMODEL® 폴리프탈아미드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PPA 의 부류 중에, 제 1 류의 바람직한 폴리프탈아미드는 폴리테레프탈아미드이다. 폴리테레프탈아미드는 50 몰% 초과의 반복 단위가 테레프탈산 및 하나 이상의 지방족 디아민 간의 축중합 반응으로 형성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로써 정의된다.
제 1 군의 바람직한 폴리테레프탈아미드는 테레프탈산 및 하나 이상의 지방족 디아민의 축중합 반응으로 형성되는 폴리테레프탈아미드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제 2 군의 바람직한 폴리테레프탈아미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하나 이상의 지방족 디아민의 축중합 반응으로 형성되는 폴리테레프탈아미드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군 중에서, 테레프탈아미드 반복 단위의 몰함량 (반복 단위의 총 몰수에 기초함) 은 바람직하게 60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65 몰% 이상이다. 테레프탈아미드 반복 단위의 몰함량은 유리하게 90 몰% 이하, 바람직하게 80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약 70 몰% 이다.
제 3 군의 바람직한 폴리테레프탈아미드는 테레프탈산, 하나 이상의 지방족 이산 및 하나 이상의 지방족 디아민의 축중합 반응으로 형성되는 폴리테레프탈아미드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지방족 이산은 바람직하게 아디프산이다.
상기 제 3 군의 폴리테레프탈아미드 중에서, 제 1 유형의 폴리테레프탈아미드는 테레프탈아미드 및 아디프아미드 반복 단위의 총 몰수에 대한 테레프탈아미드 반복 단위의 몰 함량이 바람직하게 60 몰% 이상; 또한 유리하게 80 몰% 이하, 및 바람직하게 70 몰% 이하인 것들이다.
상기 제 3 군의 폴리테레프탈아미드 중에서, 제 2 유형의 폴리테레프탈아미드는 테레프탈아미드 및 아디프아미드 반복 단위의 총 몰수에 대한 테레프탈아미드 반복 단위의 몰 함량이 바람직하게 60 몰% 미만인 것들이다.
제 4 군의 바람직한 폴리테레프탈아미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하나 이상의 지방족 이산 및 하나 이상의 지방족 디아민의 축중합 반응으로 형성되는 폴리테레프탈아미드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지방족 이산은 바람직하게 아디프산이다.
상기 제 4 군의 폴리테레프탈아미드 중에서, 제 1 유형의 폴리테레프탈아미드는 테레프탈아미드, 이소프탈아미드 및 아디프아미드 반복 단위의 총 몰수에 대한 테레프탈아미드 반복 단위의 몰 함량이 바람직하게 60 몰% 이상; 또한, 유리하게 80 몰% 이하, 및 바람직하게 70 몰% 이하인 것들이다. 제 1 유형의 폴리테레프탈아미드는 또한 테레프탈아미드, 이소프탈아미드 및 아디프아미드 반복 단위의 총 몰수에 대한 이소프탈아미드 반복 단위의 몰 함량이 유리하게 10 몰% 이상, 바람직하게 20 몰% 이상; 그 밖에 유리하게 40 몰% 이하 및 바람직하게 30 몰% 이하인 것들이다.
상기 제 4 군의 폴리테레프탈아미드 중에서, 제 2 유형의 폴리테레프탈아미드는 테레프탈아미드, 이소프탈아미드 및 아디프아미드 반복 단위의 총 몰수에 대한 테레프탈아미드 반복 단위의 몰 함량이 유리하게 60 몰% 미만 및 바람직하게 55 몰% 미만인 것들이다.
제 4 군의 폴리테레프탈아미드 중에서, 상기 제 2 유형의 폴리테레프탈아미드에서 테레프탈아미드, 이소프탈아미드 및 아디프아미드 반복 단위의 총 몰수에 대한 이소프탈아미드 반복 단위의 몰 함량은 유리하게 1 몰% 이상, 바람직하게 3 몰% 이상, 그 밖에 유리하게 25 몰% 이하, 바람직하게 15 몰%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 10 몰% 이하이다.
PPA 의 부류 중에, 제 2 류의 바람직한 폴리프탈아미드는 50 몰% 이하의 반복 단위가 테레프탈산 및 하나 이상의 디아민 간의 축중합 반응으로 형성된 폴리프탈아미드이다. 이들 중에서, 디아민이 이소프탈산 및 지방족 이산과 축중합 반응으로 형성되는 반복 단위를 또한 함유하는 것들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이산은 바람직하게 아디프산이다.
상기 폴리프탈아미드 중에서, 테레프탈아미드, 이소프탈아미드 및 아디프아미드 반복 단위의 총 몰수에 대한 테레프탈아미드 반복 단위의 몰 함량이 유리하게 25 몰% 초과, 바람직하게 35 몰% 초과 및 더욱 바람직하게 45 몰% 초과인 것들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탈아미드 중에서, 테레프탈아미드, 이소프탈아미드 및 아디프아미드 반복 단위의 총 몰수에 대한 이소프탈아미드 반복 단위의 몰 함량은 유리하게 1 몰% 이상, 바람직하게 3 몰% 이상, 유리하게 25 몰% 이하, 바람직하게 10 몰% 이하이다.
물론, 하나 이상의 방향족 폴리아미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유리하게 9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8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75 중량% 이하인 양으로 존재한다. 또한, 중합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유리하게 25 중량 % 이상, 바람직하게 4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60 중량% 이상 및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70 중량% 이상 존재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30 ℃ 의 60/40 중량 대 중량의 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탄 용매 혼합물 중 0.4 중량 퍼센트 용액에서 결정된 고유 점도 0.5 dl/g 내지 2.5 dl/g 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폴리아미드 성분의 고유 점도는 0.7 dl/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0.9 dl/g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1 dl/g 이상이다. 또한,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고유 점도는 바람직하게 2.2 dl/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2.1 dl/g 이하, 및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2 dl/g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적합한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앞서 참조된 미국 특허 제 5,436,294 호; 제 5,447,980 호; 및 Poppe 등의 제 RE34,447 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에 이용될 수 있는 다른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미국 특허 제 6,531,529 호; 제 6,359,055 호; 제 5,665,815 호; 제 6,524,671 호; 제 6,306,951 호; 및 제 5,416,189 호에 기재되어 있고; 모두 본원에 참조로 도입된다.
탄성체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두 개 이상의 탄성체를 포함하고, 이하 제 1 탄성체 및 제 2 탄성체라 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제 1 탄성체는 4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고리형 올레핀 (O1)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 및 6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고리형 올레핀 (O2)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올레핀”는 임의의 유형의 알켄, 예를 들어, 비고리형 단일올레핀 (monoolefin), 공액 (conjugated) 비고리형 디올레핀, 비-공액 (non-conjugated) 비고리형 디올레핀, 고리형 단일-올레핀, 비-공액 고리형-디올레핀, 두고리 (bicyclic) 단일-올레핀, 두고리 디-올레핀, 등을 지시한다.
비고리형 올레핀 (O1) 은 유리하게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이소부텐, 2-부텐, 부타디엔,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비고리형 올레핀 (O1) 은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비고리형 올레핀 (O1) 은 에틸렌, 프로필렌 및 이의 혼합물이다.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비고리형 올레핀 (O1) 은 에틸렌이다.
비고리형 올레핀 (O2) 은 유리하게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α-ω-헵타디엔, α-ω-옥타디엔, α-ω-데카디엔, α-ω- 도데카디엔,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비고리형 올레핀 (O2) 은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α-ω-헵타디엔, α-ω-옥타디엔, α-ω-데카디엔,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비고리형 올레핀 (O2) 은 1-헵텐, 1-옥텐, α-ω-헵타디엔, α-ω-옥타디엔,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비고리형 올레핀 (O2) 은 1-옥텐,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 비고리형 올레핀 (O2) 은 1-옥텐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제 1 탄성체는 (O1) 및 (O2)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단량체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부가 단량체 (A1) 이라 함).
부가 단량체 (A1) 은 4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비고리형 올레핀 (O1) 및 6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갖는 비고리형 올레핀 (O2) 이 배제되는 것을 제외한 임의의 에틸렌적인 (ethylenically) 불포화 공단량체일 수 있다.
부가 단량체 (A1) 은: 선형 단일-올레핀, 예를 들어 1-펜텐, 1-헥센 및 이의 이성질체; 고리형 및 두고리형 단일-올레핀, 예를 들어,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및 노르보넨; 종래의 공액 디올레핀, 예를 들어, 이소프렌 및 이의 이성질체; 비-공액 직선 사슬 디-올레핀 및/또는 비-공액 고리형 및 두고리형 디올레핀, 예를 들어, 1,4-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에틸리덴 노르보넨 (EBN) 및 노르보나디엔; 하나 이상의 극성 관능기를 지닌 에틸렌적인 불포화 단량체 (즉, 비닐 단량체),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AN); 메타크릴로니트릴; 메틸비닐 케톤;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아크릴레이트 (MA)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 비닐 아세테이트 (VA); 할로겐화 비닐 단량체, 예를 들어,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디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히드로펜타플루오로프로필렌, 클로로프렌, 2,3-디클로로-1,3-부타디엔; 퍼플루오로비닐에테르,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 방향족 비닐 단량체, 예를 들어, 스티렌 (STY), 알킬 치환 스티렌, 할로 치환 스티렌, 디비닐벤젠, 디비닐벤젠의 이성질체;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의 무수물,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또는 숙신산 무수물; 에폭시 화합물, 예를 들어,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제 1 탄성체는 관능화되거나 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제 1 탄성체는 관능화된다. 관능화된 유형인, 제 1 탄성체는 유리하게 임의의 당업계의 공지 기술로부터 수득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비관능화된 올레핀과 하나 이상의 극성 관능기를 지닌 에틸렌적인 불포화 단량체 (즉, 비닐 단량체) 의 공중합; 비관능화된 제 1 탄성체와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지닌 하나 이상의 에틸렌적인 불포화 단량체의 그래프팅; 및 비관능화된 제 1 탄성체의 하나 이상의 직접 염소화, 직접 플루오르화, 직접 술폰화, 직접 클로로술폰화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제 1 탄성체는 그래프팅에 의해 관능화된다.
제 1 비관능화 탄성체의 그래프팅은 바람직하게 과산화물 또는 자유-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 유리하게 혼합물 중 비닐 단량체를 가열된 비관능화 제 1 탄성체와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탄성체가 그래프팅으로 관능화되는 자리에서, 하나 이상의 극성 관능기를 지닌 하나 이상의 에틸렌적인 불포화 단량체는 유리하게 그래프팅제로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메틸비닐 케톤;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이의 에스테르, 및 이의 무수물;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산, 및 이의 에스테르;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알킬 치환 스티렌, 할로 치환 스티렌, 디비닐 벤젠, 및 디비닐 벤젠의 이성질체; 할로겐화 비닐 단량체, 예를 들어,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등이다. 바람직하게, 그래프팅제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이의 에스테르, 이의 무수물, 이의 염, 또는 이의 혼합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그래프팅제는 디카르복실산의 무수물이다.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그래프팅제는 말레산 및/또는 숙신산 무수물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그래프팅제는 말레산 무수물이다.
제 1 탄성체가 산 또는 무수물로 관능화될 때, 특히 말레산화 될 때, 금속 양이온과 반응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화될 수 있다. 금속 양이온은 수산화물 (예를 들어, NaOH 및/또는 Zn(OH)2), 유기 염 (예를 들어 유산 나트륨 (sodium lactate) 및/또는 아세트산 아연) 및/또는 무기 염 (예를 들어 Na2CO3 및/또는 NaHCO3) 의 형태일 수 있다.
그래프팅제로 그래프팅된 제 1 탄성체는 유리하게 0.01 중량% 이상의 그래프팅제, 바람직하게 0.10 중량% 이상의 그래프팅제, 더욱 바람직하게 0.50 중량% 이상의 그래프팅제 및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1.5 중량% 이상의 그래프팅제를 포함한다. 또한, 그래프팅제로 그래프팅된 제 1 탄성체는 유리하게 10 중량% 이하의 그래프팅제, 바람직하게 6 중량% 이하의 그래프팅제, 더욱 바람직하게 4.0 중량% 이하의 그래프팅제 및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3.0 중량% 이하의 그래프팅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제 1 탄성체는 예를 들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C2-C8), 프로필렌/1-옥텐 공중합체 (C3-C8), 에틸렌/프로필렌/1-옥텐 삼원혼성중합체 (terpolymer) (C2-C3-C8), 에틸렌/1-부텐/1-옥텐 삼원혼성중합체 (C2-C4-C8), 프로필렌/1-부텐/1-옥텐 삼원혼성중합체 (C3-C4-C8), 에틸렌/1-옥텐/1-펜텐 삼원혼성중합체 (C2-C8-C5), 에틸렌/1-옥텐/스티렌 삼원혼성중합체 (C2-C8-STY), 에틸렌/1-옥텐/아크릴로니트릴 삼원혼성중합체 (C2-C8-AN), 에틸렌/1-옥텐/메타크릴레이트 삼원혼성중합체 (C2-C8-MA), 에틸렌/1-옥텐/비닐 아세테이트 삼원혼성중합체 (C2-C8-VA), 에틸렌/1-옥텐/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삼원혼성중합체 (C2-C8-MMA), 프로필렌/1-옥텐/스티렌 삼원혼성중합체 (C3-C8-STY), 프로필렌/1-옥텐/아크릴로니트릴 삼원혼성중합체 (C3-C8-AN), 프로필렌/1-옥텐/메타크릴레이트 삼원혼성중합체 (C3-C8-MA), 프로필렌/1-옥텐/비닐아세테이트 삼원혼성중합체 (C3-C8-VA), 프로필렌/1-옥텐/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삼원혼성중합체 (C3-C8-MMA), 에틸렌/1-옥텐/1,4-헥사디엔 삼원혼성중합체, 프로필렌/1-옥텐/1,4-헥사디엔 삼원혼성중합체, 에틸렌/1-옥텐/에틸리덴노르보넨 삼원혼성중합체 (C2-C8-ENB), 프로필렌/1-옥텐/에틸리덴노르보넨 삼원혼성중합체 (C3-C8-ENB),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제 1 탄성체 중에서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EPR), 클로로술폰화 에틸렌 중합체 (PE 고무), 에틸렌/1-부텐 및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삼원혼성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1-헥센 삼원혼성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1,4-헥사디엔 삼원혼성중합체 (EPDM) 및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 노르보넨 삼원혼성중합체 (EPDM), 부타디엔 고무 (cis-1,4-폴리부타디엔), 부틸 고무 (IIR,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고무),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NBR, 부타디엔과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BR),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 (SEBS), 에틸렌-아크릴 가교 고무 (에틸렌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공-프로필렌), 천연 고무, (cis-1,4-폴리이소프렌), 클로로프렌 고무 또는 네오프렌 (trans-1,4-폴리클로로프렌),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 없는-플루오르화 탄성체, 에피클로로히드린 탄성체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 탄성체와 같은 폴리에테르, 폴리펜텐아머 (polypentenamer) 예컨대 폴리시클로펜덴, 및 열가소성 우레텐 탄성체가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제 1 탄성체에서, (O1)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는 유리하게 9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9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85 중량% 이하 및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82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제 1 탄성체에서, (O1)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는 유리하게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 6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70 중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78 중량%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 80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제 1 탄성체에서, (O2)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는 유리하게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4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30 중량% 이하 및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22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제 1 탄성체에서, (O2)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는 유리하게 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 1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15 중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18 중량%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 20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한다.
제 1 탄성체에서, 부가 단량체 (A1) (즉 (O1) 및 (O2) 이외의 단량체)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는 유리하게 4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28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15 중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4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고 가장 바람직하게 제 1 탄성체는 (O1) 및 (O2) 이외의 단량체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가 없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제 2 탄성체는 4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고리형 올레핀 (O3)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이는 6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비고리형 올레핀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가 없다.
비고리형 올레핀 (O3) 은 유리하게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trans 2-부텐, cis 2-부텐, 이소부텐, trans 부타디엔, cis 부타디엔,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비고리형 올레핀 (O3) 은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비고리형 올레핀 (O3) 은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혼합물이다.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비고리형 올레핀 (O3) 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혼합물이다. (O3) 이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혼합물일 때,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중량비는 유리하게 1/10 초과, 바람직하게 1/3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 1 초과,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3/2 초과이다. 프로필렌에 대한 에틸렌의 중량비는 유리하게 10 미만, 바람직하게 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3 미만 및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2 미만이다. 특정 적합한 프로필렌에 대한 에틸렌의 중량비의 범위는 특히, 선호도가 커짐에 따라, 1/10 내지 10, 1/3 내지 5, 1 내지 3, 및 3/2 내지 2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제 2 탄성체는 (O3)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단량체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부가 단량체 (A2) 라 함).
부가 단량체 (A2) 의 예는 C5 및 C6 비고리형 단일-올레핀, 예를 들어, 1-펜텐, 1-헥센, 및 이의 이성질체; C5 및 C6 비고리형 디-올레핀, 예를 들어, α-ω 헥사디엔, 1,4-헥사디엔, 및 이의 이성질체, 비-공액 고리형 디올레핀, 예를 들어, 디시클로펜타디엔, 에틸리덴 노르보넨 (EBN), 노르보나디엔; 고리형 단일-올레핀, 예를 들어,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노르보넨; 하나 이상의 극성 관능기를 지닌 에틸렌적인 불포화 단량체 (즉, 비닐 단량체),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메틸 비닐 케톤;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할로겐화 비닐 단량체 예를 들어,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히드로펜타플루오로프로필렌, 클로로프렌, 2,3-디클로로-1,3-부타디엔, 이소프렌; 퍼플루오로비닐 에테르,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메틸 비닐 에테르; 방향족 비닐 단량체, 예를 들어, 스티렌, 알킬 치환 스티렌, 할로치환 스티렌, 디비닐 벤젠, 디비닐 벤젠의 이성질체;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의 무수물,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또는 숙신산 무수물; 에폭시 화합물, 예를 들어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부가 단량체 (A2) 는 C5 및/또는 C6 비고리형 디올레핀; 비-공액 고리형 디올레핀; 또는 고리형 단일-올레핀; 또는 이의 혼합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부가 단량체 (A2) 는 C5 비고리형 디올레핀 (즉 이소프렌) 및/또는 C6 비고리형 디올레핀 (즉 1,4-헥사디엔) 및/또는 비-공액 고리형 디올레핀 (즉 에틸리덴 노르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이다.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부가 단량체 (A2) 는 비-공액 고리형 디올레핀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부가 단량체 (A2) 는 에틸리덴 노르보넨 (ENB) 이다.
제 2 탄성체는 관능화되거나 아닐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2 탄성체는 관능화된다. 이의 관능화된 유형인, 제 2 탄성체는 유리하게 하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당업계의 공지 기술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비관능화된 올레핀과 하나 이상의 극성 관능기를 지닌 에틸렌적인 불포화 단량체 (즉, 비닐 단량체) 의 공중ㄹ합; 비관능화된 제 2 탄성체를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지닌 에틸렌적인 불포화 단량체와 그래프팅; 비관능화된 제 2 탄성체의 하나 이상의 직접 염소화, 직접 플루오르화, 직접 술폰화, 직접 클로로술폰화. 더욱 바람직하게, 제 2 탄성체는 그래프팅에 의한 관능화이다.
제 2 탄성체가 그래프팅으로 관능화될 때, 하나 이상의 극성 관능기를 지닌 에틸렌적인 불포화 단량체가 그래프팅제로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메틸 비닐 케톤;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이의 에스테르, 이의 무수물;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산, 이의 에스테르;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알킬 치환 스티렌, 할로 치환 스티렌, 디비닐 벤젠, 디비닐 벤젠의 이성질체; 할로겐화 비닐 단량체, 예를 들어,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 에틸렌 등이다.
바람직하게, 그래프팅제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이의 에스테르, 이의 무수물 이의 염, 또는 이의 혼합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그래프팅제는 디카르복실산의 무수물이다.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그래프팅제는 말레산 및/또는 숙신산 무수물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그래프팅제는 말레산 무수물이다.
제 2 탄성체가 산 또는 무수물로 관능화될 때, 특히 말레산화될 때, 금속 양이온과 반응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이온은 수산화물 (예를 들어, NaOH 및/또는 Zn(OH)2), 유기 염 (예를 들어 유산 나트륨 및/또는 아세트산 아연) 및/또는 무기 염 (예를 들어 Na2CO3 및/또는 NaHCO3) 의 형태일 수 있다.
비관능화된 제 2 탄성체 상에 극성 관능기를 지닌 에틸렌적인 불포화 단량체의 그래프팅은 당업계의 공지 기술로 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과산화물 또는 자유-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 혼합물 중 비닐 단량체를 가열된 비관능화 제 2 탄성체와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 그래프팅된 제 2 탄성체는 0.001 중량% 이상의 그래프팅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0.1 중량% 이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0.15 중량% 이상이다.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0.2 중량% 이상이다. 또한, 그래프팅된 제 2 탄성체는 유리하게 5 중량% 이하의 그래프팅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3 중량%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1 중량% 이하이다.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0.8 중량% 이하의 그래프팅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탄성체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EPR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EPDM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 (예를 들어 디엔은 1,4-헥사디엔 또는 ENB), 부타디엔 고무 (cis-1,4-폴리부타디엔); 부틸 고무 (IIR, 이소부틸렌-이소프로필렌 고무);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NBR, 부타디엔과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비-수소화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BR); 비-수소화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 (SEBS); 에틸렌-아크릴 가교 고무 (에틸렌과 MMA 의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공-프로필렌) 고무; 클로로술폰화 에틸렌 중합체 (PE 고무), 등일 수 있다.
EPDM 은 부분적으로 바람직한 제 2 중합체일 수 있고, 디엔은 1,4-헥사디엔 또는 ENB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제 2 탄성체는 하기의 임의의 하나가 아닐 수 있다: 천연 고무 (cis-1,4-폴리이소프렌); 클로로프렌 고무 또는 네오프렌 (trans-1,4-폴리클로로프렌);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 없는-플루오르화 탄성체; 에피클로로히드린 탄성체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 탄성체와 같은 폴리에테르; 폴리펜텐아머 예를 들어, 폴리시클로펜텐; 열가소성 우레탄 탄성체.
유리하게, 제 2 탄성체는 비고리형 올레핀 (O3)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를 99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98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97 중량% 이하를 함유한다. 유리하게, 제 2 탄성체는 (O3)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를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 8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90 중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95 중량% 이상을 포함한다. 제 2 탄성체가 부가 단량체 (A2) 예컨대 ENB 를 포함할 때, 유리하게, 제 2 탄성체는 부가 단량체 (A2) 를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2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10 중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5 중량% 이하를 함유한다. 유리하게, 제 2 탄성체는 부가 단량체 (A2) 를 1.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 2.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3.0 중량% 이상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탄성체는 임의의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갖는 탄성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유리하게, 제 1 탄성체의 수평균 분자량 (Mn) 은 5,000 초과이다. 바람직하게 수평균 분자량은 10,000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 20,000 초과,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25,000 초과이다. 또한, 제 1 탄성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유리하게 100,00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 제 1 탄성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8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50,000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35,000 이하이다.
유리하게, 제 1 탄성체의 질량평균 분자량 (Mw) 은 15,000 초과이다. 바람직하게, 질량평균 분자량은 50,000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 100,000 초과,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125,000 초과이다. 또한, 제 1 탄성체의 질량평균 분자량은 유리하게 300,00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 제 1 탄성체의 질량평균 분자량은 40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250,000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175,000 이하이다.
제 1 탄성체의 평균 분자량 (Mz) 은 유리하게 190,000 내지 550,000 이다. 평균 분자량 (Mz) 은 바람직하게 200,000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 210,000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220,000 이상이다. 또한, 제 1 탄성체의 평균 분자량 (Mz) 은 바람직하게 54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530,000 이하, 및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520,000 이하이다.
제 2 탄성체의 수평균 분자량 (Mn) 은 유리하게 5,000 내지 100,000 이다. 바람직하게 제 2 탄성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15,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30,000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45,000 이상이다. 바람직하게, 제 2 탄성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120,000 이하, 또는 바람직하게 80,000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60,000 이하이다. 제 2 탄성체의 질량평균 분자량 (Mw) 은 유리하게 15,000 내지 300,000이다. 바람직하게, 제 2 탄성체의 질량평균 분자량은 80,000 이상, 바람직하게 140,000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180,000 이상이다. 바람직하게, 제 2 탄성체의 질량평균 분자량은 50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300,000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255,000 이하이다.
제 2 탄성체의 평균 분자량 (Mz) 은 유리하게 190,000 내지 600,000 이다. 바람직하게, 제 2 탄성체의 평균 분자량 (Mz) 은 250,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380,000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530,000 이상이다. 바람직하게, 제 2 탄성체의 평균 분자량 (Mz) 은 58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570,000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560,000 이하이다.
제 2 탄성체의 제 1 탄성체에 대한 수평균 분자량 비율 (제 2 탄성체의 Mn/제 1 탄성체의 Mn), 은 유리하게 1 초과, 바람직하게 4/3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 3/2 초과이다. 제 2 탄성체 및 제 1 탄성체의 수평균 분자량의 비율은 유리하게 3 미만, 바람직하게 2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9/10 미만이다. 제 2 탄성체의 제 1 탄성체에 대한 질량평균 분자량 비율 (제 2 탄성체의 Mw/제 1 탄성체의 Mw), 은 유리하게 1 초과, 바람직하게 6/5 초과이다. 제 2 탄성체의 제 1 탄성체에 대한 질량평균 분자량의 비율은 유리하게 3 미만, 바람직하게 2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3/2 미만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에 존재하는 제 2 의 제 1 탄성체에 대한 중량비는 유리하게 15 미만, 바람직하게 10 미만, 및 더욱 바람직하게 5 미만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에 존재하는 제 2의 제 1 탄성체에 대한 중량비는 유리하게 1 초과, 바람직하게 2 초과 및 더욱 바람직하게 3 초과이다.
관능화된 폴리올레핀은 하기를 포함하는, 상업적인 출처에서 입수가능하다 : 말레산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예컨대 Exxon Mobil Chemical Company 사제 EXXELOR® VA 1801; Exxon Mobil Chemical Company 사제 EXXELOR® MDEX 94-11-2; 말레산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혼성중합체 예컨대 Crompton Corporation 사제 ROYALTUF® 498; 및 말레산화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예컨대 Du Pont Company 사제 FUSABOND® 493D.
다른 관능화된 탄성체는: 아크릴 또는 아크릴레이트-변형된 폴리에틸렌 고무 예컨대 DuPont Company 사제 SURLYN® (예를 들어 SURLYN® 9920); 말레산 무수물-변형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SEBS) 블럭 공중합체, 예컨대 Kraton Polymers 사제 KARTON® FG1901X 이다.
물론, 두 개 이상의 탄성체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하는 탄성체의 양은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 목적하는 기계적 특성에 충분한 양일 것이다. 따라서, 탄성체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중량 퍼센트는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탄성체의 총량은 유리하게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40 중량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30 중량% 이하, 및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27 중량% 이하이다. 제 1 및 제 2 탄성체의 총량은 유리하게 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 10 중량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20 중량% 이상, 및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23 중량% 이상이다.
충격 개질제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어떠한 방법으로든 함께 혼합될 수 있고, 혼합은 예를 들어, 압출 전에 발생될 수 있고, 또는 물질은 압출기에서 혼합될 수 있다.
첨가제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유용한 첨가제는 압출을 촉진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외부 윤활제, 예컨대 스테아르산 금속,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을 포함한다. 적합한 분말화된 PTFE 는 Solvay Solexis 사제 POLYMIST® F5A 를 포함한다.
또 다른 유용할 수 있는 첨가제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 (예를 들어 Cabot Corporation 사제 Vulcan® Black), 니그로신 염료,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안료 및/또는 염료이다.
또 다른 유용할 수 있는 첨가제는 열 안정화제이다. 적합한 열 안정화제는 폴리아미드에 가용성인 구리 화합물과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을 포함하는 구리-함유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보다 특히, 특정 실시태양에서 안정화제는 구리 (I) 염, 예를 들어 아세트산 구리, 스테아르산 구리, 구리 유기 복합체 화합물 예컨대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 할로겐화 구리 등, 및 알칼리금속 할로겐화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태양에서, 안정화제는 요오드화 구리 및 브롬화 구리로부터 선택되는 할로겐화 구리 및 리튬, 나트륨, 및 칼륨의 요오드화물 및 브롬화물로부터 선택되는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을 포함한다. 할로겐화 구리 (I),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 및 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형물이 또한 약 140 ℃ 이하의 온도에 대한 연장된 노출 동안 폴리프탈아미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중공체 (hollow bodies) 의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이용되는 안정화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약 50 ppm 내지 약 1000 ppm 수준의 구리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조성물은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과 할로겐화 구리 (I) 을 약 2.5 내지 약 1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약 10 범위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안정화된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조성물에서 구리 및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 화합물의 조합 중량은 약 0.0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위해 특히 적합한 안정화제는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결합제를 갖는 요오드화 칼륨과 요오드화 구리의 10/1 중량 혼합물의 펠렛을 포함한다. 요오드화 칼륨/요오드화 구리 열 안정화제는 장기간 열 노화, 예컨대 언더-더-후드 (under-the-hood) 자동차 온도에의 노출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
또 다른 유용할 수 있는 첨가제는 충전제 예컨대 보강 충전제 (reinforcing filler), 또는 구조 섬유이다. 충전된 물품과 복합체 제품을 형성하는데 유용한 구조 섬유는 유리 섬유, 탄소 또는 흑연 섬유 및 실리콘 카바이드, 알루미나, 티타니아, 붕소 등으로 형성된 섬유 뿐만 아니라, 고온 조작 수지로 형성된 섬유 예컨대, 예를 들어, 폴리(벤조티아졸),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벤조옥사졸),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아릴 에테르 등을 포함하며, 2개 이상의 그러한 섬유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유용할 수 있는 적합한 섬유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 예컨대 DuPont Company 사제 상품명 KEVLAR® 하에 판매되는 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에 존재하는 충전제는, 만약 있다면, 예를 들어 중공 성형 응용에서, 굽힘 계수 (flexural modulus) 를 증가시킬 수 있다. 섬유의 양은 바람직하게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강도를 감소시키거나 표면 마감 (finish) 에 불리하게 영향을 끼지치 않는 양이다.
또 다른 유용할 수 있는 첨가제는 산화방지제이다. 유용한 산화방지제는 Nauguard 445, 페놀 (예를 들어 Ciba 사제 Irganox® 1010, Irganox® 1098), 포스파이트, 포스포나이트 (예를 들어 Ciba 사제 Irgaphos® 168, Clariant 또는 Ciba 사제 P-EPQ®), 티오시너지스트 (예를 들어 Great Lakes 사제 Lowinox® DSTDP), 입체장애 아민 안정화제 (예를 들어 Ciba 사제 Chimasorb® 944), 하이드록실 아민, 벤조퓨라논 유도체, 아크릴로일 변형된 페놀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조성물에 또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충전제는 정전기방지 첨가제 예컨대 탄소 분말 (예를 들어 Cabot 사제 Vulcan® Black),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및 단일 벽 나노튜브 뿐만 아니라 플레이크, 구형 및 섬유상 입자성 충전 보강제 및 핵형성제 예컨대 탈크, 마이카, 이산화티탄, 티탄산칼륨, 실리카, 카올린, 백묵 (chalk), 알루미나, 미네랄 충전제 등을 포함한다. 충전제 및 구조 섬유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추가로 유용할 수 있는 첨가제는 수지 기술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첨가제를 비롯한 안료, 염료, 방염제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첨가제는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 특정 응용을 위해, 가소제, 윤활제 및 금형 방출제 뿐만 아니라, 열, 산화 및 광 안정화제 등을 포함하는 것 또한 유용할 수 있다. 그러한 첨가제의 수준은 본 개시내용에 비추어 당업자에 의해 예상되는 특정 용도를 위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산화방지제, PTFE 및 안료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유리하게 3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2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1 중량% 이하인 양으로 존재한다. 또한, 산화방지제는 유리하게 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 0.2 중량% 이상 및 바람직하게 0.5 중량% 이상 존재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태양은 하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이다:
- 하나 이상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및
- EPDM/에틸렌-옥텐인 하나 이상의 충격 개질제.
유용한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Solvay Advanced Polymers, L.L.C. 사제 AMODEL® 폴리프탈아미드 라인, 특히 AMODEL® A-1004 폴리프탈아미드를 포함한다.
AMODEL® A-1004 폴리프탈아미드는 100% 헥사메틸렌디아민 디아민 단위체와 함께 65% 테레프탈산, 25 % 이소프탈산, 및 10 % 아디프산 단위체를 포함한다.
AMODEL® A-1004 폴리프탈아미드의 등가물이 방향족 폴리아미드로써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AMODEL® A-1004 폴리프탈아미드의 등가물은 이의 형태 (예를 들어 이의 명칭 및/또는 이의 화학적 성질) 가 AMODEL® A-1004 폴리프탈아미드의 등가물과 상이한 폴리테레프탈아미드이나, AMODEL® A-1004 폴리프탈아미드와 동일한 기능을 충족시켜, AMODEL® A-1004 폴리프탈아미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 특히 동일하거나 유사한 최종 용도 성질을 달성한다.
AMODEL® A-1004 폴리프탈아미드의 흔한 등가물은 AMODEL® A-1004 폴리프탈아미드와 동일한 화학적 성질을 가지나, 상이한 명칭을 갖는 폴리테레프탈아미드를 포함한다.
충격 개질제는 탄성체일 수 있다. 게다가, 관능화된 말레산 무수물일 수 있다. EXXON 은 말레산 무수물로 관능화된 탄성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EXXELOR® 물질의 라인을 제조한다.
바람직한 제 1 충격 개질제는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이다. 본 출원인의 실험적 측정에 기초하여,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는 말레산 무수물과 반응시킨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혼성중합체 및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의 배합물로 간주된다. 230 ℃ 및 21.6 kg 하중 하에 ISO 표준 방법으로 측정된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의 용융 흐름 비율 (Melt Flow Ratio) 은 5 g/10 분 이다. 에스테르화 이후 C13 NMR 로 측정된,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의 말레산 무수물 함량은 0.75 중량% 이다.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의 등가물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의 등가물은 하기의 배합물을 표시하도록 의도하였다:
- (ⅰ) 4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고리형 올레핀 (O1)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 및 (ⅱ) 6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고리형 올레핀 (O2)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탄성체, 및
- 6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비고리형 올레핀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가 없는, 4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고리형 올레핀 (O3)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탄성체
(여기서, 전체로 취한, 상기 배합물은 이의 형태 (예를 들어 이의 명칭 및/또는 화학적 성질) 가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와 상이하나,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와 동일한 기능을 충족시켜,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 특히 동일하거나 유사한 최종 용도 성질을 달성함).
상기 배합물은 그대로 또는 분리된 성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의 흔한 등가물은 특히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와 동일한 화학적 성질 (즉, 동일한 중량에서 동일한 화학 성분) 을 가지나, 상이한 명칭을 갖는 배합물을 포함한다. 이의 전형적인 예는 EXXELOR® MDEX VA 1850 충격 개질제이다. 실제로, 2005 년 7 월 20 일에 EXXON 에서 호의적으로 받은 정보에 의하면 상기 날짜 이후 제조될 일부 또는 모든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는 EXXELOR® VA 1850 라벨 하에 판매될 예정이었다. 따라서, EXXON 의 정보에 의해,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 및 EXXELOR® VA 1850 충격 개질제는 물질의 관점에서 엄격하게 동일한 제품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제 2 충격 보강제는 약 80 pbw 의 ROYALTUF® 498 탄성체 및 약 20 pbw 의 FUSABOND® 493D 탄성체로 구성된다. 본 출원인의 실험적 측정에 기초하여, ROYALTUF® 498 탄성체는 말레산 무수물로 그래프팅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혼성중합체로 간주되는 반면, FUSABOND® 493D 탄성체는 말레산 무수물로 그래프팅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로 간주된다.
상기 충격 개질체의 등가물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80 pbw 의 ROYALTUF® 498 탄성체 및 20 pbw 의 FUSABOND® 493D 탄성체로 구성된 조합 (RF) 의 등가물은 하기를 포함하는 조합을 표시하도록 의도하였다:
- (ⅰ) 4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고리형 올레핀 (O1)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 및 (ⅱ) 6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고리형 올레핀 (O2)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탄성체, 및
- 6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비고리형 올레핀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가 없고, 4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고리형 올레핀 (O3)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탄성체
(여기서, 전체로 취한, 상기 조합은 이의 형태 (예를 들어 이의 명칭 및/또는 화학적 성질) 가 조합 (RF) 와 상이하나, 조합 (RF) 와 동일한 기능을 충족시켜, 조합 (RF) 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 특히 동일하거나 유사한 최종 용도 성질을 달성함).
상기 등가물은 분리된 성분의 형태로 또는 배합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조합 (RF) 의 흔한 등가물은 특히 조합 (RF) 와 동일한 화학적 성질 (즉, 동일한 중량에서 동일한 화학 성분) 을 가지나, 상이한 명칭을 갖는 조합을 포함한다.
충격 개질제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중량 퍼센트는 제한되지 않는다. 충격 개질제의 양은 특히 총 중량에 기초하여 0.1, 0.5, 1, 3, 5, 8, 10, 15, 20, 25, 30, 35, 40, 45 및 50 % 일 수 있다.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양은 특히 총 충량에 기초하여 0.5, 1, 3, 5, 8,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97, 99, 99+% 일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조성물은 0.1 - 50 중량% 의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 또는 이의 등가물, 및 30 - 99+ 중량% 의 AMODEL A-1004® 폴리프탈아미드, 또는 이의 등가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10 - 40 중량% 의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 또는 이의 등가물, 및 50 - 90 중량% 의 AMODEL A-1004® 폴리프탈아미드, 또는 이의 등가물을 포함한다.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20 - 30 중량% 의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 또는 이의 등가물, 및 60 - 80 중량% 의 AMODEL A-1004® 폴리프탈아미드, 또는 이의 등가물을 포함한다.
다른 일부 바람직한 조성물은 약 80 pbw 의 ROYALTUF® 498 탄성체 및 약 20 pbw 의 FUSABOND® 493D 탄성체, 또는 이의 등가물로 구성된 0.1 - 50 중량% 의 충격 개질제, 및 30 - 99+ 중량% 의 AMODEL A-1004® 폴리프탈아미드, 또는 이의 등가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약 80 pbw 의 ROYALTUF® 498 탄성체 및 약 20 pbw 의 FUSABOND® 493D 탄성체, 또는 이의 등가물로 구성된 10 - 40 중량% 의 충격 개질제, 및 50 - 90 중량% 의 AMODEL A-1004® 폴리프탈아미드, 또는 이의 등가물을 포함한다.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약 80 pbw 의 ROYALTUF® 498 탄성체 및 약 20 pbw 의 FUSABOND® 493D 탄성체, 또는 이의 등가물로 구성된 20 - 30 중량% 의 충격 개질제, 및 60 - 80 중량% 의 AMODEL A-1004® 폴리프탈아미드, 또는 이의 등가물을 포함한다.
상기 특별한 실시태양에서, 첨가제 예컨대 충전제, 윤활제, 안정화제, PTFE,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제 1 탄성체, 제 2 탄성체 및 선택적인 첨가제가 존재한다면, 용융 상태에서 혼합된 상기 기재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압출, 공-압출, 사출 성형, 중공 성형, 주조 (cast), 열성형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최종 측면은 상기 기재된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이다.
발명된 성형품은 호스, 파이프, 튜브, 필름, 필라멘트, 섬유, 탱크, 중공 성형품, 사출 성형품, 열성형품, 다중-층 구조물, 시트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 - 설정 1
이하에는 본 발명을 예시하지만 제한하는 것은 아닌 실시예를 제공한다. 네 개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름) 비교예 1 (비교) 비교예 2 (비교) 비교예 3 (비교)
성분 중량% 중량% 중량% 중량%
폴리테레프탈아미드 (4th 군 1 st 유형) 73.6 73.6 73.6 73.6
EPDM 1 20 0 0 0
(C2 - C8) 5 0 0 0
EPDM 2 0 25 20 0
EPR 0 0 0 20
PE 0 0 5 5
PTFE 0.5 0.5 0.5 0.5
카본 블랙 0.4 0.4 0.4 0.4
안정화제 0.5 0.5 0.5 0.5
총합 100 100 100 100
EPDM 1 성분은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 노르보넨 삼원혼성중합체 고무이다. C13 NMR 로 측정된, EPDM 1 성분의 조성은 61 중량% 의 에틸렌, 35.5 중량% 의 프로필렌 및 3.5 중량% 의 에틸리덴 노르보넨이다. EPDM 1 성분은 에스테르화 후 C13 NMR 로 측정된 0.33 중량% 의 말레산 무수물로 그래프팅된다.
(C2 - C8) 성분은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고무이다. C13 NMR 로 측정된 (C2 - C8) 성분의 조성은 20 중량% 의 1-옥텐 및 80 중량% 의 에틸렌이다. (C2 - C8) 성분은 C13 NMR 로 측정된 2.2 중량% 의 말레산 무수물로 그래프팅된다.
EPDM 2 성분은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 노르보넨 삼원혼성중합체 고무이다.
C13 NMR 로 측정된, EPDM 2 성분의 조성은 EPDM 1 의 성분 (즉 61 중량% 의 에틸렌, 35.5 중량% 의 프로필렌 및 3.5 중량% 의 에틸리덴 노르보넨) 과 동일하다. EPDM 2 성분은 에스테르화 후 C13 NMR 로 측정된 0.67 중량% 의 말레산 무수물로 그래프팅된다. EPR 성분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이고, 이의 조성은 23 중량% 의 프로필렌 및 77 중량% 의 에틸렌이다. EPR 성분은 에스테르화 후 C13 NMR 로 측정된 0.61 중량% 의 말레산 무수물로 그래프팅된다.
PE 성분은 폴리에틸렌이고 에스테르화 후 C13 NMR 로 측정된 0.87 중량% 의 말레산 무수물로 그래프팅된다. PTFE 성분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윤활제이다. EPDM 1, (C2 - C8), EPDM 2, EPR 및 PE 성분의 분자량 및 그래프팅 수준을 표 2 에 나타낸다.
EPDM 1 (C2 - C8) EPDM 2 EPR PE
그래프팅 수준 (중량%) 0.33 2.2 0.67 0.61 0.87
Mn 51710 31644 26344 46077 23031
Mw 199566 144150 133865 125941 77376
Mz 555464 502144 392512 271946 203294
Mw/Mn 3.86 4.56 5.08 2.73 3.36
Mz/Mw 2.78 3.48 2.93 2.16 2.63
분자량을 135 ℃ 의 트리클로로벤젠에서 측정하였다. 4 개의 컬럼 HMW-6E 를 PS 표준 (7520000 내지 2950) 으로 교정하였다. 그 결과는 Mark-Houwink 법칙에 따르고 폴리에틸렌에 측정된 계수, 즉 K = 3.92 e-4 및 알파 = 0.725 를 이용하여 나타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름) 에 따라 중합체 조성물의 제 1 시료를 30 분 동안 55 갤론 드럼 중 81,26 g 의 폴리테레프탈아미드 (4th 군 1st 유형), 22,08 g 의 EPDM 1, 5,52 g 의 (C2 - C8), 552 g 의 안정화제, 552 g 의 PTFE 및 441 g 의 카본 블랙을 텀블링 (tumbling) 시켜 제조하였다.
27 mmHg 의 진공 하에 시간당 90,72 g 의 유출량 속도 및 370 rpm 의 나사 속도로 360, 360, 360, 370, 370, 340, 340, 325, 300, 260, 250 및 350 ℃ 의 배럴 온도 설정을 이용하여 ZSK-40 쌍나사형 압출기에 건조 배합물을 도입하고 화합물을 용융시켰다. 화합 용융물을 펠렛화 하고, 펠렛은 약 110 ℃ 에서 48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비교예 1 (비교) 에 따라 중합체 조성물을 30 분 동안 55 갤론 드럼 중 81,26 g 의 폴리테레프탈아미드 (4th 군 1st 유형), 27,60 g 의 EPDM 2, 552 g 의 안정화제, 552 g 의 PTFE 및 441 g 의 카본 블랙을 텀블링시켜 제조하였다.
27 mmHg 의 진공 하에 시간당 90,72 g 의 유출량 속도 및 370 rpm 의 나사 속도로 360, 360, 360, 370, 370, 340, 340, 325, 300, 260, 250 및 350 ℃ 의 배럴 온도 설정을 이용하여 ZSK-40 쌍나사형 압출기에 건조 배합물을 도입하고 화합물을 용융시켰다. 화합 용융물을 펠렛화 하고 펠렛은 약 110 ℃ 에서 48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중합체 조성물의 필름을 2.54 cm 단일 나사형 압출기 및 20.32 cm 다이 (die) 를 이용하여 압출시켜 제조하였다. 20 의 L/D 및 4/1 의 압축비인 계량 나사를 이용하였다. 배럴 온도 설정은 후방에서 다이까지 310, 315.5, 321.1, 321.1, 326.6, 326.6, 332.2 ℃ 이었다. 압출기 속도를 60 rpm 으로 고정하였다. 롤을 135 ℃ 까지 가열하였다. 비교예 1 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실시예 1 의 조성물의 장점, 즉 이의 연신 능력 (draw ability) 을 입증하기 위해, 상기 롤은 다이에 인접시켜 위치시키고 당김 속도 (pull rate) 를 필름이 파단될 때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 실시예 1 의 중합체 조성물에 대하여 기록된 최대 당김 속도는 비교예 1 의 중합체 조성물의 분당 152.4 cm 와 비교하여 분당 558.8 cm 이었다. 실시예 1 의 중합체 조성물로 수득 가능한 최소 두께는 비교예 1 의 중합체 조성물의 0.019 cm 와 비교하여 0.003 cm 이었다.
동일한 실험을 다이로부터 15.24 cm 에 롤을 위치시켜 반복하였다. 최대 당김 속도는 실시예 1 의 중합체 조성물이 분당 304.8 cm 인 반면 비교예 1 의 중합체 조성물의 경우에 단지 분당 142.24 cm 이었다. 수득 가능한 최소 필름 두께는 실시예 1 의 중합체 조성물이 0.009 cm 이고, 비교예 1 의 중합체 조성물이 0.022 cm 이었다. 롤을 다이로부터 30.48 cm 에 위치시킬 때, 최대 당김 속도는 실시예 1 의 중합체 조성물이 분당 269.24 cm 이고 비교예 1 의 중합체 조성물이 분당 106.68 cm 이었다. 수득된 최소 필름 두께는 실시예 1 의 중합체 조성물이 0.011 cm 이고, 비교예 1 의 중합체 조성물이 0.033 cm 이었다. 개선된 연신 능력 및 용융 강도로 인하여, 실시예 1 의 중합체 조성물은 압출에 의한 물품 제조시 특히 유용하다.
단층 설정을 이용한 튜브의 압출
튜브의 압출을 SCAMEX® 30 mm 단일 나사형 압출기로 수행하였다. 26/1 의 L/D 및 3.3/1 의 비행 깊이인 나사를 이용하였다. 배럴 설정은 다음과 같다: Zl (300 ℃), Z2 (320 ℃), Z3 (325 ℃), Z4 (325 ℃).
다이는 출구 직경이 8.5 mm 인 단일 모듈 압출 다이였다. 출구에서 다이 중심봉 직경은 6.5 mm 였다. 출구에서 다이 랜드 (land) 는 30 mm 의 랜드 길이를 갖는 1 mm 이었다. 다이 온도를 325 ℃ 로 제어하였다. 나사 속도를 60 rpm 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조건하에 질량 유출량은 70 - 80 g/분 이고 용융물의 온도는 335 - 340 ℃ 이었다. 나사 팁의 압력은 물질에 따라 200 내지 220 bar 이었다.
교정 및 냉각을 ROLLEPAAL® VCU 63/2-2 로 하였다. 냉각 탱크는 진공 하에 스프레이 모드에 두었다. 교정기 직경은 8.3 mm 이었다. 최종 튜브 단위는 8 mm (외경) 및 6 mm (내경) 이었다. 튜브를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하였다.
결과 - 분출 압력 테스트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튜브를 23 ℃ 에서 SAE J2260 에 따라 분출 압력으로 또한 테스트하였다. 하기 결과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튜브 : 10.9 MPa
비교예 1 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튜브 : 9.1 MPa.
실시예 1 의 중합체 조성물은 분출 압력의 대략 20 % 의 개선을 구성하는 더 우수한 결과를 제공한다.
대규모 필름 압출
실시예 1 의 중합체 조성물을 상용 크기 (직경 76 mm) 단일 나사형 장치 상에서 조작하였다. 20/1 의 L/D 및 3/1 의 압축비인 계량 나사를 이용하였다. 롤을 125 ℃ 까지 가열하였다. 후방에서 전방까지 배럴 설정을 310 내지 325 ℃ 로 설정하였다. 어댑터 및 다이를 330 ℃ 로 설정하였다. 70 rpm 의 나사 속도로, 0.4 mm 두께의 필름을 헤드 압력에 따라 분당 2 내지 7 미터의 속도로 제조하였다.
상기 필름의 인장 (tensile) 성질 은 ASTM D638 로 측정하였다:
항복점 인장 강도 = 54.6 MPa
항복점 신장율 = 5.2 %
파단 인장 강도 = 67.8 MPa
파단 신장율 = 110 %
이는 충격 개질된 폴리테레프탈아미드 필름의 제조자에 상업적 유용성과 성질이 의도된 최종 용도에 대해 우수함을 분명히 입증한다.
열성형
두께 0.4 ㎜의 실시예 1 의 중합체 조성물의 필름을 성공적으로 열성형하였다. 필름의 사각형 조각을 그림의 캔버스와 유사한, 프레임으로 클램핑 (clamping) 하였다. 프레임을 290 내지 300 ℃ 의 오븐 내에서 15 - 45 초간 인덱스 (index) 하였다. 프레임은 툴 상에 직접 오븐으로부터 인덱스하였다. 일단 위치에 있게 되면, 툴을 밀어 올리고 필름을 원하는 물품으로 열성형하였다. 280 ℃ 미만의 온도는 필름이 너무 단단하여 형성되지 못하게 하였다. 305 ℃ 초과의 온도는 필름에 기포가 생기거나 녹게 하였다.
중공 성형
실시예 1 의 중합체 조성물을 원형 저장기, 높이 180 mm 및 직경 100 mm, 툴에서, 상용 (직경 38.1 mm) 단일 나사형 (L/D, 20/1; 압축비, 2.5/1) 중공 성형기 상에서 조작시켰다. 배럴 설정은 (후방에서 전방) 318 내지 325 ℃ 이었다. 툴을 100 ℃ 에 설정시켰다. 90 rpm 의 나사 속도로 패리슨 (parison) 을 31 초 주기로 압출하였다. 패리슨 팽창에 이용된 압력은 0.207 bar 이었다. 수용가능한 부분을 0.8 mm (+/- 0.2 mm) 의 균일한 벽 두께로 수득하였다. 부분 중량은 84 g 이었다.
추가적인 필름 압출 비교 테스트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름) 에 따라 중합체 조성물의 제 2 시료를 30 분 동안 5 갤론 버킷 중 5001 g 의 폴리테레프탈아미드 (4th 군 1st 유형), 1,359 g 의 EPDM 1, 339.8 g 의 (C2 - C8), 34.05 g 의 안정화제, 34.5 g 의 PTFE 및 27.15 g 의 카본 블랙을 텀블링시켜 제조하였다. 27 mmHg 의 진공 하에 시간당 6,804 g 의 유출량 속도 및 250 rpm 의 나사 속도로 340, 340, 340, 340, 315, 285, 255 및 340 ℃ 의 배럴 온도 설정을 이용하여 25 mm BERSTOFF® 쌍나사형 압출기에 건조 배합물을 도입하고 화합물을 용융시켰다.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 에 따른 두 개의 부가적인 중합체 조성물을, 비교예 2 의 중합체 조성물의 경우, EPDM 1 및 (C2 - C8) 성분을 EPDM 2 및 PE 성분으로 교체 (EPDM 2 및 PE 성분의 중량 퍼센트는 표 1 에 명기하였음) 한 반면, 비교예 3 의 중합체 조성물의 경우, EPDM 1 및 (C2 - C8) 성분을 EPR 및 PE 성분으로 교체 (EPR 및 PE 성분의 중량 퍼센트는 표 1 에 명기하였음)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상기 언급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필름을 2.54 cm 단일 나사형 압출기 및 20.32 cm 다이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3 의 중합체 조성물의 압출로 제조하였다. 물질을 압출에 앞서 110 ℃ 에서 48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20/1 의 L/D 및 4/1 의 압축비인 계량 나사를 이용하였다. 배럴 온도 설정은 후방에서 다이까지 310, 315.5, 321.1, 321.1, 326.6, 326.6, 332.2 ℃ 이었다. 압출기 속도를 60 rpm 으로 고정하였다. 롤을 135 ℃ 로 가열하였다.
롤을 다이에 인접시켜 위치시키고 당김 속도를 필름이 파단될 때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 결과는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최대 당김 속도 (cm/분) 630 160 127
필름 두께 (cm) 0.004 0.028 0.033
표면 품질 양호함 나쁨 나쁨
순위 3 2 1
순위가 높을수록, 필름의 성능은 더욱 양호하였다.
실시예는 중합체 조성물이 단독의 EPDM 삼원혼성중합체 대신 EPDM 삼원혼성중합체 및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C2 - C8) 를 함유할 때 필름의 가공성 및 품질 모두가 개선된다는 것을 나타냈다.
실시예는 EPDM 삼원혼성중합체 및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로 수득한 필름의 가공성 및 품질이 EPDM 삼원혼성중합체 및 PE 또는 EPR 의 공중합체 및 PE 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로 수득한 필름의 가공성 및 품질에 비하여 개선된다는 것을 나타냈다. EPDM 삼원혼성중합체 중 디엔 단량체는 에틸리덴 노르보넨 (ENB) 일 수 있다.
실시예 - 설정 2
이하에는 본 발명을 예시하지만 제한하는 것은 아닌 실시예를 제공한다. 다섯 개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하기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름)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름)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름) 실시예 5 (본 발명에 따름) 비교예 5
성분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AMODEL® A-1004 폴리테레프탈아미드 72 72 72 71.5 72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 (탄성체 배합물) 25 0 0 25 0
ROYALTUF® 498 탄성체 0 20 0 0 20
EXXELOR® VA-1801 탄성체 0 0 20 0 0
FUSABOND® 493D 탄성체 0 5 5 0 0
FUSABOND® MB-226D 충격 개질제 0 0 0 0 5
윤활제 0.5 0.5 0.5 1 0.5
카본 블랙 농축물 2 2 2 2 2
안정화제 0.5 0.5 0.5 0.5 0.5
총합 100 100 100 100 100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는 말레산 무수물과 반응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혼성중합체 및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의 배합물로 간주된다.
ROYALTUF® 498 충격 개질제는 말레산 무수물로 그래프팅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혼성중합체로 간주된다.
EXXELOR® VA-1801 충격 보장제는 말레산 무수물로 그래프팅된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로 간주된다.
FUSABOND® 493D 충격 개질제는 말레산 무수물로 그래프팅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로 간주된다.
FUSABOND® MB-226D 충격 개질제는 말레산 무수물로 그래프팅된 폴리에틸렌 단일중합체로 간주된다.
표 4 의 카본 블랙 농축물은 80 % AMODEL® A-1004 폴리테레프탈아미드 및 20 % 카본 블랙으로 구성된다.
실시예 2, 실시예 3 및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름) 및 비교예 4 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의 시료를 30 분 동안 55 갤론 드럼 중, 조성물의 모든 성분, 즉 폴리테레프탈아미드, 충격 개질제, 안정화제, 윤활제 및 카본 블랙 농축물을 텀블링시켜 건조 배합물의 형태로 제조하였다. 각각 제조된 시료의 총 중량은 15 lbs (6,804 g) 이었고; 시료 성분의 상대적인 양은 표 4 에 나타냈다 (예를 들어 안정화제에서, 0.5 부는 0.075 lbs 에 대응됨).
27 mmHg 의 진공 하에 시간당 90,7 g 의 유출량 속도 및 370 rpm 의 나사 속도로 360, 360, 360, 370, 370, 340, 340, 325, 300, 260, 250 및 350 ℃ 의 배럴 온도 설정을 이용하여 ZSK-40 쌍나사형 압출기에 건조 배합물을 도입하고 화합물을 용융시켰다. 화합 용융물을 펠렛화 하고 펠렛은 약 110 ℃ 에서 48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필름을 2.54 cm 단일 나사형 압출기 및 20.32 cm 다이를 이용하여,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및 비교예 4 의 중합체 조성물을 압출시켜 제조하였다. 물질을 압출에 앞서 110 ℃ 에서 48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20/1 의 L/D 및 4/1 의 압축비인 계량 나사를 이용하였다. 배럴 온도 설정은 후방에서 다이까지 310, 315.5, 321.1, 321.1, 326.6, 326.6, 332.2 ℃ 이었다. 압출기 속도를 60 rpm 으로 고정하였다. 롤을 135 ℃ 까지 가열하였다.
롤을 다이에 인접시켜 위치시키고 당김 속도를 필름이 파단될 때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 결과는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4
최대 당김 속도 (mm/s) 105 81 31 26
필름 두께 (μm) 40 65 200 280
표면 품질 양호함 앙호함 앙호함 나쁨
순위 4 3 2 1
순위가 높을수록, 필름의 성능은 더욱 양호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3 및 실시예 4 의 발명된 중합체 조성물은 비교예 4 에서 제조된 필름과 비교할 때, 필름에 개선된 가공성 및 품질을 제공하였다.
부가적인 제조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름) 에 따라 중합체 조성물의 제 2 시료를 쌍나사형 압출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AMODEL® A-1004 폴리테레프탈아미드 및 EXXELOR® MDEX-94-11-2 충격 개질제를 기계의 후면에 도입시키는 반면 다른 첨가제 (안정화제, 윤활제 및 카본 블랙 농축물) 를 주 공급기, 하류, 또는 후속의 흐름에 도입시켰다.
마찬가지로 실시예 5 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로 구성된 시료를 제조하는 것이 진행되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두 시료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특정 중합체가 하나 이상의 단량체 (또는 단량체 단위) “로부터 수득되는” 또는 “를 포함하는” 등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러한 기재는 최종 중합체 물질 자체 및 제품의 전체 또는 그 일부를 구성하는 반복 단위에 대한 것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당업자는 중합체가 개개의 미관련 “단량체”를 포함하지는 않지만, 그 대신에 반응된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로 구성됨을 이해한다.
본원에 언급된 모든 참조문헌, 특허문헌, 출원서, 테스트, 표준 지침서, 문서, 간행물, 소책자, 텍스트, 논문 등은 본원에 참조로 도입된다. 유사하게, 모든 시판 물질에 대한 모든 소책자, 기술 정보지 등은 본원에 참조로 도입된다.
상기한 기재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특정 출원 및 그의 요건의 문맥에서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대한 다양한 변형은 당업자에게 매우 명백할 것이고, 본원에 정의된 일반 원리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태양과 응용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나타낸 실시태양들로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본원에 개시된 원리와 특징에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가 허용되어야 한다.

Claims (28)

  1. 하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 하나 이상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 (ⅰ) 4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고리형 올레핀 (O1)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 및 (ⅱ) 6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고리형 올레핀 (O2)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탄성체, 및
    - 6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비고리형 올레핀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가 없는, 4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고리형 올레핀 (O3)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탄성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가 폴리테레프탈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비고리형 올레핀 (O1) 이 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고리형 올레핀 (O2) 가 1-옥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탄성체가 그래프팅에 의해 관능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탄성체가 (O1) 및 (O2) 이외에 단량체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O3) 이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에 대한 에틸렌의 중량비가 1 내지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탄성체가 (O3)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단량체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를 추가로 함유하고, (O3) 이외의 상기 부가 단량체가 C5 비고리형 디올레핀 및/또는 C6 비고리형 디올레핀 및/또는 비-공액 고리형 디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O3) 이외의 부가 단량체가 에틸리덴 노르보넨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아미드가 중합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60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탄성체에서, (O1)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가 70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탄성체에서, (O2)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가 15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탄성체에서, (O3) 에서 유도된 반복 단위가 80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탄성체의 총량이 10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탄성체의 총량이 20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탄성체의 제 1 탄성체에 대한 중량비가 1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제 2 탄성체의 제 1 탄성체에 대한 중량비가 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탄성체의 제 1 탄성체에 대한 중량비가 1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제 2 탄성체의 제 1 탄성체에 대한 중량비가 2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21. 하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 하나 이상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및
    - EPDM/에틸렌-옥텐인 하나 이상의 충격 개질제.
  22. 제 21 항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아미드가 AMODEL® A-1004 폴리프탈아미드 또는 이의 등가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충격 개질제가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 또는 EXXELOR® VA 1850 충격 개질제와 같은 등가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24.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충격 개질제가 약 80 pbw 의 ROYALTUF® 498 탄성체 및 약 20 pbw 의 FUSABOND® 493D 탄성체, 또는 상기 충격 개질제의 등가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25. 제 21 항에 있어서, 0.1 - 50 중량% 의 EXXELOR® MDEX 94-11-2 충격 개질제, 또는 이의 등가물, 및 30 - 99+ 중량% 의 AMODEL A-1004® 폴리프탈아미드, 또는 이의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26. 제 21 항에 있어서, 약 80 pbw 의 ROYALTUF® 498 탄성체 및 약 20 pbw 의 FUSABOND® 493D 탄성체, 또는 이의 등가물로 구성된 0.1 - 50 중량% 의 충격 개질제, 및 30 - 99+ 중량% 의 AMODEL A-1004® 폴리프탈아미드, 또는 이의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28. 제 27 항에 있어서, 발명된 형상의 물품은 호스, 파이프, 튜브, 필름, 필라멘트, 섬유, 탱크, 중공 성형품, 사출 성형품, 열성형품, 다중-층 구조물 및 시트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077002243A 2004-07-29 2005-07-28 충격 개질된 폴리아미드 조성물 KR200700395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188204P 2004-07-29 2004-07-29
US60/591,882 2004-07-29
US63652604P 2004-12-17 2004-12-17
US60/636,526 2004-12-17
EP05103761A EP1557445A3 (en) 2005-05-04 2005-05-04 Impact modified polyamide compositions
EP05103761.2 2005-05-04
MYPI20053460 2005-07-27
MYPI20053460 2005-07-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571A true KR20070039571A (ko) 2007-04-12

Family

ID=3547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243A KR20070039571A (ko) 2004-07-29 2005-07-28 충격 개질된 폴리아미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95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13475A1 (en) Impact Modified Polyamide Compositions
JP5916762B2 (ja) 溶融ブレンドされた熱可塑性組成物
KR101106406B1 (ko) 충격 보강된 폴리아미드 필름
KR101565860B1 (ko) 세미방향족 성형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6306951B1 (en) Polyphthalamide composition
JP5628829B2 (ja) ひけが少なく優れた表面外観を有する強化ポリアミド組成物およびその物品
JP6721576B2 (ja) 改良された機械特性を有する熱可塑性ポリマー組成物
JP2013518175A (ja) 改善された耐塩性および熱安定性のポリアミド組成物
US20120177858A1 (en) Polyamide compositions for flow molding
JP6066990B2 (ja) 熱可塑性多層チューブ及び製造方法
JP2007204675A (ja) ブロー中空成形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5942109B2 (ja) ポリアミド組成物及びポリアミド組成物を成形した成形体
JP6876715B2 (ja) ポリアミド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成形体及び中空成形体
EP1557445A2 (en) Impact modified polyamide compositions
WO2006015067A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rmoplastic polyamide compositions exhibiting increased melt flow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EP0812869A2 (en) Improved polyphthalamide composition
KR20070039571A (ko) 충격 개질된 폴리아미드 조성물
WO2007082924A1 (en) Laminates with fluoropolymeric and bonding layers
EP1811219A1 (en) Laminates with fluoropolymeric and bonding layers
JP2000248174A (ja) ナイロン12組成物
US20130289148A1 (en) Toughened polyamide compositions
MXPA06001913A (en) Impact-modified polyamide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