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167A - 장시간 유지형 화장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시간 유지형 화장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167A
KR20070038167A KR1020077004280A KR20077004280A KR20070038167A KR 20070038167 A KR20070038167 A KR 20070038167A KR 1020077004280 A KR1020077004280 A KR 1020077004280A KR 20077004280 A KR20077004280 A KR 20077004280A KR 20070038167 A KR20070038167 A KR 20070038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coat
composition
film
plasticizer
mix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렌 화-린 위
하이미노트 베켈레
도날드 프랭크 레이니
로날드 앨런 샌포드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7003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16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시간 유지형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의 외양 및 느낌을 유의하게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 상기 조성물의 사용 방법 및 상기 조성물의 패키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a) 각질 조직에 도포되어 그 위에 베이스코트 필름을 형성하도록 조제되는 내이전성,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인 제1 조성물; 및 (b) 가소제를 함유하는 제2 톱코트 조성물 - 여기서, 문지름 시험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코트 필름은 상기 제2 톱코트 조성물의 도포 후 베이스코트 필름의 L 값 변화 퍼센트가 약 50% 미만이며, 이전 기재의 L 값 변화 퍼센트는 약 9% 초과 내지 약 30%임 - 을 포함하는 다층 화장 조성물이다.
장시간, 다층 화장 조성물, 베이스코트, 톱코트, 내이전성

Description

장시간 유지형 화장 조성물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본 발명은 장시간 유지형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basecoat)의 외양 및 느낌을 유의하게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 상기 조성물의 사용 방법 및 상기 조성물의 패키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립스틱보다 우수한 장시간 유지 능력을 제공하는 2단계 립 컬러 시스템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이들 시스템에서는 착색된 베이스코트가 이용되어 색 및 유지성을 제공하는 반면, 이차적인 톱코트(topcoat)는 광택 및 매끄러움을 제공한다. 이들 시스템이 유지성 면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지만, 느낌 및 외양에 대하여 결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이 제품은 건조하고 팽팽한 느낌이면서 또한 무광택(matte)으로 보일 수도 있다. 무광택 외양은 광택성의 빛나는 모습을 기대하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바람직하지 못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이 제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르지 않게 닳아 없어져 외양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느낌의 개선을 위하여, 몇몇 소비자들은 립 밤(lip balm) 또는 유사 제품을 사용하여 건조함 및 팽팽함의 완화를 도울 수도 있다. 이들 제품은 베이스코트 필름의 느낌 및 미적 특성의 개선을 도울 수도 있지만, 유지성에 영향을 줌이 없이 느낌 및 외양을 증강시키도록 최적화되어 있지는 않다.
장시간 유지형 필름의 건조함 및 팽팽함의 완화를 위하여, 가소제가 조성물 내로 혼입될 수 있다. 가소제는 보다 연성이고 보다 가요성이며 보다 편안하게 느껴지는 필름을 생성한다. 가소제의 사용이 개인 케어 제품을 비롯한 다수의 산업계에서 일반적이지만, 대부분의 가소제는 중합체 내에 혼입되어 제품을 형성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가요성 및 느낌을 개선시키지만, 상기 접근법은 기재(각질 표면)에의 밀착성을 손상시킨다. 예를 들어, 2003년 1월 21일자로 공개되고 립-잉크 인터내셔널(Lip-Ink International)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6,027,739호에는 알코올 용해성 및 수불용성 수지를 위한 잠재적인 가소제로서의 피마자유의 사용이 개시되어 있다. 수지는 번지지 않는(smear resistant) 립 컬러에 사용되어 장시간 유지 속성을 제공한다. 가소제는 제조 공정 동안 수지와 함께 혼입되어, 가소제 및 수지 둘 모두를 함유하는 하나의 비히클을 생성한다. 1999년 11월 23일자로 공고되고 로레알(L'Oreal)에 양도된 미국 특허 제5,989,570호에는 가소용 올리고머 및 필름 형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 및 그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에 따른 가소제는 하나의 비히클로서 조성물 내로 혼입된다. 체세브로-폰즈, 인크.(Chesebrough-Pond's, Inc.)에 양도된 미국 특허 제4,795,631호에는 알칼리 용해성 필름 형성제를 함유하며, 번지거나 묻어나지 않는 물 기재의 립 컬러가 개시되어 있다. 수불용성 가소제가 제조 공정 동안 조성물 내로 혼입되어 가요성이 더 큰 필름을 생성하도록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레블론, 인크.(Revlon, Inc.)에 양도된 스칸카렐라(Scancarella)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10/066,055호에는 입술 상에서의 착색된 내이전성 필름(transfer resistant film) 의 미적 특성의 개선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방법은 내이전성 필름을 비반응성 습윤제 조성물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습윤제 조성물은 내이전성 필름을 습윤시키며, 이는 다시 입술의 조성물에 촉촉함 및 편안함을 제공한다. 비반응성 습윤제 조성물이 느낌 및 외양의 개선을 돕지만, 이들 속성은 종래의 립 컬러와 비교할 때 열등하다. 반면, 종래의 립 컬러는 내이전 특성을 나타내는 데에 필요한 양의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충분한 정도의 내이전성을 유지하면서 느낌 및 외양을 유의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반응성 톱코트가 존재하는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벌크 제품에 혼입되는 가소제, 예를 들어 전술한 참고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중합체를 연화하거나 가소화하지만 기재에 대한 중합체의 밀착성을 손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소제가 중합체 필름의 형성 후까지 가소화될 중합체로부터 분리되어 유지되는 2층 화장 조성물 및 시스템을 발견하였다. 그 결과, 중합체는 어떠한 가소제도 없이 기재(즉, 각질 표면)에의 밀착성이 최적인 내이전성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필름 형성 중합체 상부에서의 가소제의 도포시, 중합체 필름의 표면은 연화되는 반면, 기재와 중합체 사이의 밀착은 온전한 채로 남아있다. 궁극적으로, 중합체는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의 내이전 특성에 유의하게 영향을 줌이 없이 가소화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a. 각질 조직에 도포되어 그 위에 베이스코트 필름을 형성하도록 조제되는 내이전성,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 조성물; 및
b. 가소제를 함유하는 톱코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층 화장 조성물 - 여기서, 문지름 시험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코트 필름은 그 상부에 상기 톱코트 조성물을 도포한 후 베이스코트 필름의 L 값 변화 퍼센트가 약 50% 미만이며, 이전 기재(transfer substrate)의 L 값 변화 퍼센트는 약 9% 초과 내지 약 30%임 - 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이전성,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의 느낌 및 미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a. 각질 조직의 표면 상으로 내이전성,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 조성물을 도포하여 베이스코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베이스코트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c. 가소제를 함유하는 톱코트 조성물을 상기 베이스코트 위에 도포하는 단계 - 여기서, 문지름 시험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코트 필름은 그 상부에 상기 톱코트 조성물을 도포한 후 베이스코트 필름의 L 값 변화 퍼센트가 약 50% 미만이며, 이전 기재의 L 값 변화 퍼센트는 약 9% 초과 내지 약 30%임 - 를 포함한다.
2. 또한, 본 발명은 내이전성,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의 느낌 및 미적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a. 각질 조직에 도포되어 그 위에 베이스코트 필름을 형성하도록 조제되는 내이전성,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 조성물, 및
b. 가소제를 함유하는 톱코트 조성물 - 여기서, 문지름 시험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코트 필름은 그 상부에 상기 톱코트 조성물을 도포한 후 베이스코트 필름의 L 값 변화 퍼센트가 약 50% 미만이며, 이전 기재의 L 값 변화 퍼센트는 약 9% 초과 내지 약 30%임 - 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과;
c. (a)의 조성물을 (b)의 조성물과 함께 사용하여야 함을 나타내는 사용 설명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지시하며 명확하게 청구하는 청구의 범위로 결론을 맺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라고 여겨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포함하는"은 다른 단계 및 성분들이 추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이루어진" 및 "본질적으로 이루어진"이라는 용어를 포함한다.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이라는 문구는 조성물이 추가 성분들을 함유할 수도 있으나 이 추가 성분들이 청구된 조성물 또는 방법의 기본적이고 신규한 특징들을 크게 변경하지는 않는 경우만을 의미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든 백분율, 부 및 비는 본 발명의 국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모든 측정은 25℃에서 행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열거된 성분에 관련된 이러한 모든 중량은 활성제 수준에 기초하며, 따라서 시판되는 물질 내에 포함될 수도 있는 담체 또는 부산물은 포함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내이전성,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라는 용어는 화장용 제품의 도포시 필름을 형성하며 실질적으로 내이전성이며 유지성이 증가된 화장용 제품을 의미한다. 화장용 제품은 각질 조직에 도포될 수 있으며, 고체, 액체, 파우더, 고체 에멀젼, 통상적인 불릿(bullet), 겔, 크림, 립 컬러 펜 등의 형태일 수도 있다.
"가소제"라는 용어는 주어진 필름 형성 중합체에 적용되어 그의 가요성을 개선시키거나 필름을 연화시키는 물질을 말한다. 이들은 주어진 필름 형성 중합체에 적용될 때 하기 수단: i) 중합체 시스템의 유리 전이 온도 Tg의 저하 및 ii) 중합체 시스템의 복소 탄성률(complex modulus)의 저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 둘 모두로 중합체를 연화시키는 물질이다.
"입술 제품"이라는 용어는 입술에 적용될 수 있으며 액체, 통상적인 불릿, 겔, 크림, 립 컬러 펜 등의 형태일 수도 있는 화장품을 의미한다.
"통상적인 립 컬러"라는 용어는 색을 부여하지만 접촉시 손쉽게 색을 다른 물체에 이전시키는 화장용 입술 제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각질 조직"이라는 용어는 피부, 입술, 모발, 발톱, 손톱, 표피, 발굽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 포유류의 최외측 보호 외피로서 배치된 케라틴 함유층을 말한다.
"복소 탄성률, G*"이라는 용어는 가요성의 척도이다. 체부(body) 또는 물질의 가요성이 보다 커짐에 따라, 체부 또는 물질은 적용되는 변형에 대하여 저항성이 덜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드로다운(drawdown)"은 기재 상의 균일한 두께의 베이스코트 필름을 말한다.
"L* 값"으로도 공지된 "L 값"이라는 용어는 국제 조명 위원회(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 CIE)가 개발한 색 모델을 기초로 한 물체의 명도의 척도이다. L 값은 100 내지 0의 스케일의 범위이며, 100은 가장 밝은 것이고 0은 가장 어두운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 성분을 반드시 함유한다.
본 발명은 장시간 유지형 립 컬러 제품의 베이스코트 필름을 가소제를 함유하는 톱코트로 습윤시킴으로써 상기 립 컬러 제품의 미적 특성 및 느낌을 개선시키는 조성물, 방법 및 패키징 시스템을 포함한다. 소정 재료 또는 가소제 - 여기서, 상기 재료 또는 가소제는 베이스코트 필름에서 약간의 상용성 또는 용해성을 가짐 - 의 내이전성 필름 위에의 도포에 의해 불상용성 또는 비가소화 재료에 비하여 미적 특성 및 느낌이 개선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느낌 상의 장점은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의 장시간 유지 능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줌이 없이 나타난다.
본 발명에서는 첫째, 베이스코트를 각질 조직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기재에 밀착시키는 방법이 이용된다. 둘째, 도포시 베이스코트 중합체를 가소화하기 시작하는 가소용 톱코트가 도포된다. 가소화된 중합체는 베이스코트와 톱코트 사이에 중간층(interphase layer)을 생성하며, 상기 중간층은 중합체 및 가소제 둘 모두를 포함한다. 중간층은 베이스코트 내의 중합체의 가소화로 인하여 보다 큰 가요성 및 연성을 갖게 되어, 느낌을 개선시킨다. 기재/베이스코트 경계면의 중합체는 가소화되지 않은 채 남아있으며, 따라서 내이전성 및 입술 또는 피부 표면에의 밀착 특성이 유지된다. 톱코트 층은 표면에 남아서 매끄러움 및 광채를 제공한다. 가소용 톱코트는 안료 및 펄(pearl)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색의 유지 및 입술 표면의 광채의 개선을 돕는다. 전체적인 결과는 장시간 유지형 립 컬러에 있어서 느낌 및 외양이 개선된다는 것이다.
베이스코트
본 발명은 밀착 및 내이전 특성을 각질 조직의 표면에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함유하는 베이스코트 조성물을 포함한다. 그러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중합체 또는 수지를 휘발성 담체와 조합하여 함유한다. 중합체는 몇몇 내이전 특성을 베이스코트에 제공하는 임의의 중합체 또는 수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수지에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중합체, 다당류,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알키드, 플루오로 중합체 및 그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수지는 유기실록산 수지이며, 중합체는 유체 다이오르가노실록산 중합체이다.
유기실록산 수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기실록산 수지를 함유할 수도 있다. 수지는 R3SiO1/2 "M" 단위, R2SiO "D" 단위, RSiO3/2 "T" 단위, SiO2 "Q" 단위의 조합을 n이 1.0 및 1.50 사이의 값이며 R이 메틸기인 관계식 RnSiO(4-n)/2를 만족시키는 서로에 대한 비로 포함할 수도 있다. 최대 5%까지의 실라놀 또는 알콕시 작용기가 처리 결과 수지 구조 내에 또한 존재할 수도 있다. 유기실록산 수지의 수분자량 평균은 약 1,000 g/몰 내지 약 10,000 g/몰의 범위이다. 수지는 유기 용매, 예컨대 톨루엔, 자일렌, 아이소파라핀 및 사이클로실록산 또는 휘발성 담체에 가용성인데, 이는 수지가 휘발성 담체에 불용성이도록 충분히 가교 결합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반복되는 일작용성 또는 R3SiO1/2 "M" 단위 및 사작용성 또는 SiO2 "Q"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데, 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으며 1994년 7월 19일자로 허여된 크르지시크(Krzysik)의 미국 특허 제5,330,74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르게는 "MQ" 수지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M" 작용 단위 대 "Q" 작용 단위의 비는 약 0.6 내지 약 2.0, 더 바람직하게는 약 0.6 내지 약 0.9,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7이다. 구매가능한 유기실록산 수지의 예로는 미국 미시간주 아드리안 소재의 왜커 실리콘즈 코포레이션(Wacker Silicones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가능한 왜커 803 및 804와, 제너럴 일렉트릭 컴퍼니(General Electric Company)로부터의 G.E. SR1000이 있다.
유기실록산 수지는 본 발명에서 유기실록산 수지, 다이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 및 개질 실리콘의 총량의 적어도 약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5%,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60%로부터 약 95%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70% 이하의 수준으로 사용된다.
다이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
본 발명은 또한 상기에 개시된 유기실록산 수지와 조합된 다이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인은 적합한 중합체가 25℃에서 적어도 약 1E-6 ㎡/s(1 cSt)의 점도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다이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는 식 (R2SiO)에 상응하고, 여기서 R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일가 탄화수소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아이소부틸, t-부틸, 아밀, 헥실, 비닐, 알릴, 사이클로헥실, 페닐, 플루오로알킬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가 탄화수소 라디칼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다이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실록산 중합체 골격 상의 치환기로 상기 탄화수소 라디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이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식 (R'3Si)의 트라이오르가노실릴기에 의해 종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R'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일가 탄화수소, 하이드록실기, 알콕실기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라디칼이다. 다이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가 존재할 경우 이는 혼합물 중에서 유기실록산 수지 물질 및 휘발성 담체와 상용성인 것이 필수적이다. "상용성"이라는 용어는 다이오르가노폴리실록산, 유기실록산 수지 및 휘발성 담체가 특정 제형에 필요한 비로 함께 혼합될 경우 균질한 블렌드를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바람직한 다이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는 본 명세서에서 PDMS로 칭해지는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이다. 적합한 다이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는 n이 약 1500 내지 약 4500인 하기의 구조식을 가진다:
Figure 112007015911952-PCT00001
톱코트
본 발명의 톱코트 조성물은, 베이스코트에 도포될 때 기재에의 밀착성에 영향을 줌이 없이 중합체를 가소화하여 보다 큰 연성, 보다 큰 가요성의 필름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함유한다. 내이전성 및 가소화의 정도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문지름 시험으로 측정할 수 있다. 문지름 시험은, 그러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필름의 물리적 특성의 견지에서 본 발명의 구별성을 명확하게 입증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전형적으로, 점도 및/또는 복소 탄성률이 낮을수록 가소제가 중합체와 더 많이 상호 작용할 가능성이 더 커지며, 따라서 중합체의 Tg가 저하된다. 점도가 충분히 낮을 경우, 가소제는 용매와 보다 유사하게 되어, 필름을 완전히 붕괴시킬 것이다. 그러나, 양이 너무 적을 경우, 가소제는 톱코트/베이스코트 경계면에서 필름을 연화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톱코트 조성물은 톱코트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약 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5%,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0%로부터 약 99%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7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60% 이하의 가소제를 함유한다. 가소제는 적어도 약 1E-6 ㎡/s(1 cSt)의 점도에서 베이스코트 중합체와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문지름 시험 방법:
장시간 유지형 립 컬러 제품의 주요 장점은, 다양한 손상, 예를 들어, 마찰, 식사, 식음, 키스 등을 견디어 내고 입술 표면 상에 여전히 남아있는 그의 능력이다. 립 컬러 제품의 내이전성 또는 유지 특성의 시험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 문지름 시험 방법이 제공된다. 이 시험 방법에서는 마찰의 결과로서 기재 상으로 색이 이전되는 것에 저항하는 립 컬러 제품의 능력이 시험된다. 컬러 컴퓨터를 사용하여, 마찰 전후의 립 컬러의 색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이전되는 제품의 양을 측정한다. 이 방법은 이전 기재와 베이스코트 필름의 L 값을 판독하여 기록하는데, 이 값은 베이스코트 색의 명도와 관련된다.
드로다운의 초기 판독치로부터 최종 판독치까지의 L 값의 증가는 필름의 색깔이 엷어지는 것에 상응하며, 이는 필름이 어느 정도 제거되거나 "닳아 없어짐(worn)"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드로다운의 초기 L 판독치가 50.0이며 드로다운의 마지막 L 값이 75.0인 조성물은 50%의 L 값 변화 퍼센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L 값 증가 퍼센트가 약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35%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미만이다.
이전 기재의 초기 판독치로부터의 최종 판독치까지의 L 값의 감소는 이전 기재의 색깔이 짙어짐에 상응하는 것이며, 이는 베이스코트 필름 중 일부가 기재로 이전되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코트 필름의 상층이 가소화되며, 따라서, 약간량의 이전이 마찰 동안 일어날 것이다. 가소화 정도가 커질수록, 보다 많은 베이스코트 필름이 이전될 것이다. 장시간 유지형 베이스코트 필름의 가소화 정도가 보다 낮을수록, 베이스코트 필름이 보다 덜 이전될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L 값 감소 퍼센트가 9%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12% 초과,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5% 초과이지만, 30% 이하이다.
장비:
데이터컬러 마이크로플래쉬(Datacolor Microflash) 컴퓨터 200d 또는 등가물
2.5인치 원형 펀치(아치형 펀치(Arch Punch)- 마카르취코 컴퍼니(Macarchco Company))
레네타 카드(Leneta Card) - 2A 불투명도 차트 양식(Form 2A Opacity Chart)
원형 직경이 2.5인치인 2 ㎏의 스테인레스 강 원통형 분동(weight)
고무 해머
킴벌리 클라크(Kimberly Clark) 윕올(WypAll) L40 다목적 와이퍼(All Purpose Wipers)
양면 접착 테이프
0.001" 드로다운 바(bar)(버드(Bird) 어플리케이터(applicator)- 1mil (0.001") x 3"의 폭)
고무 주걱
샘플 준비:
(1) 시험할 각각의 시제품에 대하여 레네타 카드 상에 3개의 드로다운을 준비한다(하기 표 참조). 0.001" 드로다운 바를 사용한다. 고형 제품은 드로다운 목적을 위하여 충분히 액화될 때까지 전단시켜야 한다.
(2) 드로다운을 50℃ 오븐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3) 필름을 건조시킨 후 오븐으로부터 옮긴다.
(4) 톱코트 시제품만을 가소화하기 위하여, 가소용 톱코트를 주걱을 사용하여 3개의 필름의 상부에 도포한다. 톱코트 도포 동안 베이스코트 필름이 긁히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톱코트를 고르게 도포하여, 측정할 전체 베이스코트 영역을 톱코트가 완전히 덮도록 한다.
(5) 톱코트의 도포 후, 모든 드로다운을 주위 온도(대략 24℃ - 27℃)에서 2시간 동안 경화시킨다.
(6) 톱코트를 2시간 동안 경화시킨 후, 호스 또는 튜브로부터의 고압 공기를 사용하여 여분의 생성물을 필름으로부터 불어 제거한다. 필름 위의 종이 타월 위에 대략 2-3 ㎏ 힘을 사용함으로써 임의의 잉여물을 계속하여 블로팅 제거한다. 가능한 한 많은 잉여물을 확실히 제거한다. 베이스코트 필름은 전혀 제거하지 않고 톱코트만을 제거하여야 한다. 여분의 톱코트가 베이스코트 필름의 표면 상에 남아있게 허용하는 것은 측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전 기재(디스크)의 준비:
(1) 원형 펀치 및 고무 해머를 사용하여 2.5인치의 디스크를 윕올 와이퍼로부터 제조한다. 각각의 드로다운에 대하여 하나의 디스크를 제조한다. 각각의 디스크는 일층 두께이어야 한다.
2 ㎏ 분동의 준비:
(1) 분동의 기저부의 전체 표면을 가로질러 이중 코팅 테이프를 적용함으로써, 사용하기 위한 2 ㎏ 분동을 준비한다. 스트립이 겹쳐지지 않도록 테이프가 적용되게 한다. 분동과 테이프 사이에 공기 포켓이 생기지 않게 한다.
(2) 면도날을 사용하여 베이스의 주연부의 둘레로부터 여분의 테이프를 잘라낸다.
(3) 이전 디스크 기재(transfer disk substrate)를 2 ㎏ 분동의 테이프를 붙인 부분에 적용하여, 이것이 디스크 내에서 주름짐이 없이 베이스의 테이프를 붙인 전체 부분을 덮도록 한다.
측정:
(1) 마이크로플래쉬 컴퓨터를 사용하여 (2 ㎏ 분동에 접착된) 이전 기재 및 (카드의 백색부를 이용한) 필름의 L 값을 측정한다. 값들을 테이블에 기록한다. 이 시험에서 사용되는 이전 기재는 초기 L 값이 적어도 85이어야 한다. 이 시험에서 사용되는 베이스코트 필름은 초기 L 값이 40 내지 60 범위이어야 한다.
(2) 2 ㎏ 분동을 이전 기재와 함께 드로다운 상에 두고 720°로 회전시킨다(2회의 완전 회전). 분동은 마이크로플래쉬가 측정하는 필름 위의 중앙에 두어야 한다.
(3) 주의 깊게 2 ㎏ 분동을 샘플 드로다운에 대해 직각으로 제거하고, 이전 기재 디스크 측이 위쪽으로 오도록 테이블 위에 둔다.
(4) 드로다운(백색부) 및 (2 ㎏ 분동에 접착된) 이전 기재의 L 값을 측정한다. 판독은 닳아 없어진 시험 영역의 중앙에서 하여야 한다. 값들을 기록한다.
(5) 하기 식을 이용하여 베이스코트 필름 및 이전 기재 둘 모두의 L 값 변화 퍼센트를 계산한다:
L의 변화 % = (최종 값 - 초기 값)/초기 값 x 100%
음의 L 값 변화 퍼센트는 물체의 색깔이 짙어짐을 나타내며 양의 L 값 변화 퍼센트는 물체의 색깔이 엷어짐을 나타낸다.
(6) 이전 디스크 기재를 벗겨 내고, 새로운 디스크로 대체한다.
(7) 제2 및 제3 드로다운에 대하여 단계 1-6을 반복하고, 이전 기재 및 베이스코트 필름에 대한 3개 모두의 L 값 변화 퍼센트를 함께 평균한다. 이전 디스크의 L 값의 표준 편차는 3% 미만이어야 한다. 베이스코트 필름의 L 값의 표준 편차는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이어야 한다.
톱코트 / 가소화제
오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1 베이스코트 조성물 위에 도포된 제2 톱코트 조성물을 포함한다. 톱코트 조성물은 고체로부터 액체까지의 범위의 형태의 오일일 수도 있는 가소화제를 반드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오일이 사용되며, 액체 오일은 점도가 약 1E-6 ㎡/s(1cSt)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약 1E-5 ㎡/s(10 cSt) 초과,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5E-5 ㎡/s(50 cSt) 초과,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E-4 ㎡/s(100 cSt) 초과이다. 형태와 관계없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를 위한 가소제로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오일은 탄화수소, 에스테르, 실리콘, 작용화 실리콘, 유체 합성 중합체, 왁스, 고체유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가 약간의 내이전성을 갖도록, 일단 도포되면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의 필름을 유의하게 붕괴시키지 않는다는 기준을 만족시키기만 한다면, 이들 부류 내의 임의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탄화수소
본 발명에서 유용한 탄화수소에는 직쇄 탄화수소, 아이소파라핀, 미네랄 스피릿(mineral spirits), 폴리부텐, 수소화 폴리아이소부텐, 수소화 폴리데센, 폴리데센, 스쿠알렌, 바셀린 및 그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글리콜
본 발명에서 유용한 글리콜에는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그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스테르
본 발명의 조성물은 RCO-OR'의 화학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를 함유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R 및 R'은 알킬, 알킬렌 또는 알콕시 사슬로 이루어진 독립적인 기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에스테르에는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아이소프로필 리놀레에이트 및 그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리콘
본 발명에서 유용한 실리콘에는 다이오르가노실록산, 다이메티코놀, 사이클로메티콘, 알킬 실리콘, 페닐 트라이메티콘 및 그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실리콘의 추가의 예를 문헌[CTFA Handbook, Chemical Classes]에서 실록산 및 실란 하에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질 실리콘을 또한 함유할 수도 있다. 특히, 개질 실리콘은 아미노실리콘, 카르복시 개질 실리콘, 에폭시 개질 실리콘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개질 실리콘은 R이 아미노, 에폭시 또는 카르복시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하기의 일반 구조를 가진다:
Figure 112007015911952-PCT00002
여기서, m은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이며, n은 10 내지 100이고, z는 8 내지 45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상기에 개시된 개질 실리콘과 조합되어 사용되는 실리콘 개질 플루오르화 중합체를 함유할 수도 있다.
유체 합성 중합체
본 발명에서 유용한 유체 합성 중합체에는 폴리데센, 수소화 폴리아이소부텐, 폴리아이소부텐, 폴리부텐 및 그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왁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왁스는 본 명세서에서 23℃에서 고체인 고분자량의 유기 혼합물 또는 화합물로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왁스는 글리세라이드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조성 면에서 유지류와 유사하다. 왁스는 고분자량의 탄화수소,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 알코올,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왁스는 화장품 기술 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공지된 왁스를 포함한다. 그러한 왁스는 1997년 2월 4일자로 허여된 바르톨로메이(Bartholomey) 등의 미국 특허 제5,599,547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기타 왁스는 동물성 왁스, 식물성 왁스, 광물성 왁스, 천연 왁스의 다양한 분획들, 합성 왁스, 석유 왁스, 에틸렌계 중합체, 피셔-트롭쉬(Fischer-Tropsch) 왁스와 같은 탄화수소 유형, 실리콘 왁스,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데, 여기서 왁스는 약 30℃ 초과의 융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왁스는 합성 왁스, 지랍, 호호바 에스테르, 페트롤라이트 코포레이션(Petrolite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가능한 "유닐린스(Unilins)", C22 내지 C50의 지방 알코올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합성 왁스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문헌[Warth, Chemistry and Technology of Waxes, Part 2, 1956, Reinhold Publishing]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가장 유용한 왁스는 융점이 약 30℃내지 약 115℃이며 C8 내지 C50 탄화수소 왁스들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왁스는 이가 알코올과 조합된 장쇄의 에틸렌 옥사이드 중합체, 즉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그러한 왁스는 카바이드 앤드 카본 케미컬즈 컴퍼니(Carbide and Carbon Chemicals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한 카보왁스(carbowax)를 포함한다. 기타 합성 왁스는 사슬 말단에서 OH 또는 기타 길이 종결 기를 갖는 장쇄의 에틸렌 중합체를 포함한다. 그러한 왁스는 상기에 개시된 문헌의 465-469 쪽에 개시되어 있는 피셔-트로슈 왁스를 포함하며, 로스 컴퍼니(Ross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한 로스왁스(Rosswax) 및 아스토르 왁스 컴퍼니(Astor Wax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한 PT-0602를 포함한다. 부가적인 합성 왁스에는 PVPIE아이코센 공중합체(아이에스피 컴퍼니(ISP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함) 및 트라이콘타닐 PVP(아이에스피 컴퍼니로부터 가넥스(Gannex) WP- 660으로 입수가능함)를 비롯한 알킬화 폴리비닐 피롤리돈 또는 PVP 부류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특정 왁스는 밀랍, 라놀린 왁스, 셸락 왁스(동물성 왁스);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월계수 열매(bayberry)(식물성 왁스); 지랍, 세레신(광물성 왁스); 파라핀, 미정질 왁스(석유 왁스); 폴리에틸렌, (에틸렌계 중합체); 폴리에틸렌 단일중합체(피셔-트롭쉬 왁스); C 24-45 알킬 메티콘(실리콘 왁스);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밀랍, 라놀린 왁스,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지랍, 세레신, 파라핀, 미정질 왁스, 폴리에틸렌, C 24- 45 알킬 메티콘 및 그 혼합물이다.
고체유
본 발명에서 유용한 고체유는 융점이 약 30℃ 초과 내지 약 250℃, 바람직하게는 약 37℃ 내지 약 100℃, 더 바람직하게는 약 37℃ 내지 약 80℃인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고체유"라는 용어는 약 200℃ 내지 약 25℃의 온도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이고, 일반적으로 물 중에서의 용해도가 25℃에서 약 1중량% 미만인 임의의 오일 또는 오일-유사 물질들을 말한다. 적합한 고체유의 예에는 석유, 고도 분지형 탄화수소, 지방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식물유, 수소화 식물유,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알파-하이드록시 지방산, 약 10개 내지 약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 2- 및/또는 3-염기성 카르복실산의 알킬 아미드, n-아실 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에 유용한 고체유는 1990년 4월 24일자로 데크너(Deckn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19,934호에 추가로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적합한 고도 분지형 탄화수소는 약 17개 내지 약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탄화수소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스쿠알란, 콜레스테롤, 라놀린, 도코산(즉, C22 탄화수소), 및 아이소파라핀이 포함된다.
휘발성 담체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실록산 수지 및 다이오르가노실록산 중합체의 조합물은 패키지/어플리케이터(package/applicator)를 사용하여 입술 표면에 용이하게 이전되어야 한다. 전달의 성취를 위해서는, 전술한 이 조합물을 담체, 바람직하게는 입술 표면으로부터 빠르게 휘발되어 앞서 논의된 얇은 내구성 있는 필름을 남기는 휘발성 담체 내로 혼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휘발성 담체는 유기실록산 수지 및 다이오르가노실록산 중합체를 용해시켜야 한다.
휘발성 담체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약 1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5%,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0%로부터, 전체 조성물의 약 9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70% 이하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탄화수소계 오일은 비등점이 60-260℃ 범위인 것, 더 바람직하게는 사슬 길이가 약 C5 내지 약 C20인 탄화수소계 오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C7내지 C16의 아이소파라핀을 포함한다. 이러한 아이소파라핀 중, 가장 바람직한 것은 아이소도데칸, 아이소헥사데칸, 아이소에오코산, 2,2,4-트라이메틸펜탄, 2,3-다이메틸헥산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아이소도데칸인데, 이는 2,2,4,6,6-펜타메틸헵탄으로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시키기에 적합한 아이소도데칸은 다수의 공급원으로부터 입수가능한데, 예를 들어 프레스퍼스, 인크.(Presperse, Inc.)로부터 퍼메틸(Permethyl) 99A로서 입수가능하다.
바람직한 휘발성 실리콘 유체는 하기 식에 상응하는 4, 5 및 6원 고리 구조를 갖는 사이클로메티콘을 포함한다:
Figure 112007015911952-PCT00003
여기서, X는 약 3 내지 약 6이다. 상기 휘발성 실리콘은 모두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Dow Corning Corporation)으로부터의 244 플루이드(Fluid), 344 플루이드 및 245 플루이드와, 345 플루이드를 포함한다.
선택 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도 있으며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이 허가된 다수의 기타 성분이 있다. 그러한 성분들은 화장품에 사용되도록 허가된 것들로, 문헌[CTFA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 Handbook, Tenth Edition, The Cosmetic, Toiletries,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2004]과 같은 참고 서적에서 열거된 것을 볼 수 있다. 베이스코트가 약간의 내이전성을 갖도록, 일단 도포되면 베이스코트의 필름을 유의하게 붕괴시키지 않는다는 기준을 만족시키기만 한다면, 상기 물질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성분은 미립자, 향료, 착향유, 피부 케어 성분, 예를 들어 썬스크린, 유화제 등을 포함한다. 저자극성 조성물이 본 발명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상기 조성물은 향료, 착향유, 라놀린, 썬스크린, 특히 PABA, 또는 기타 증감제 및 자극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오일은 본 발명의 중요한 성분이다. 상기 오일 외에도, 다른 물질을 함유시켜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 형태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한 형태는 액체, 페이스트 및 고체를 포함한다. 고체 형태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정한 점착력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의 물질을 함유한다. 이들 물질은 본 명세서에서 고체 형성제로 불리워진다. 상기 고체 형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0.5% 내지 약 35.0%, 더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25.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약 20.0%의 수준으로 사용된다. 상기 고체 형성제는 고체 폴리올 지방산 폴리에스테르, 왁스, 고체유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미립자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미립자형 물질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미립자형 물질의 비제한적 예에는 입자, 안료 및 가교 결합 실리콘 탄성중합체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미립자형 물질은 착색 및 미착색 안료, 간섭 안료, 무기 분말, 유기 분말, 복합 분말, 광 증백제 입자, 및 그 조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미립자는 혈소판형, 구형, 연신형 또는 바늘형, 또는 부정형, 표면 코팅형 또는 미코팅형, 다공성 또는 비다공성, 하전형 또는 미하전형일 수 있으며 분말 또는 예비 분산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이들 미립자형 물질은 피부 느낌의 변경, 잔주름, 주름살 및 모공과 같은 소정의 피부의 특징적인 외양의 차폐, 조성물의 도포 특성의 개선, 조성물의 다른 성분의 색의 차폐 및 피부 상에서의 액체 물질의 이동의 감소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 광범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될 경우, 미립자형 물질은 조성물 중에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60%,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5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30%의 수준으로 존재한다. 본 조성물에 사용되는 안료, 착색제 또는 충전제 분말에 대한 특정한 한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유용한 미립자형 물질은 비스무쓰 옥시클로라이드, 견운모, 운모, 황산바륨 또는 기타 물질로 처리된 운모, 제올라이트, 고령토, 실리카, 질화붕소, 라우로일 라이신, 나일론, 폴리에틸렌, 활석, 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견운모, 산화알루미늄, 실리콘 수지, 황산바륨, 탄산칼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PTF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전분, 개질 전분, 예를 들어 알루미늄 전분 옥텐일 석시네이트, 실크, 유리, 섬유, 미분화 씨, 부석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평균 일차 입자 크기가 약 0.1 내지 약 75 미크론,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30 미크론인 구형 분말이다.
적합한 유기폴리실록산 겔 조성물은 적절한 용매에서 팽창되는 다이메티콘/비닐 다이메티콘 가교 중합체이다. 그러한 다이메티콘/비닐 다이메티콘 가교 중합체는 다우 코닝(DC 9040™ 및 DC 9041™),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SFE 839™), 신 에쯔(Shin Etsu)(KSG-15™, KSG-16™, KSG-18™ [다이메티콘 /페닐 비닐 다이메티콘 가교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공급자에 의해 공급되며, 라우릴 다이메티콘/비닐 다이메티콘 가교 중합체는 신 에쯔(예를 들어 KSG-31™, KSG-32™, KSG-41™, KSG-42™, KSG-43™ 및 KSG-44™)에 의해 공급된다.
대안적으로는, 유기폴리실록산 탄성중합체 분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합한 예에는 비닐 다이메티콘/메티콘 실레스퀴옥산 가교 중합체, 예를 들어 신-에쯔의 KSP-100™, KSP-101™, KSP-102™, KSP-103™, KSP-104™, KSP-105™, 플루오로알킬기를 포함하는 혼성 실리콘 분말, 예를 들어 신-에쯔의 KSP-200™, 및 페닐기를 포함하는 혼성 실리콘 분말, 예를 들어 신-에쯔의 KSP-300™과; 다우 코닝의 DC 9506™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또한 유용한 것은 간섭 안료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간섭 안료는 얇은 판 형태의 층상 입자의 상이한 층으로부터의 일반적으로 2개,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그보다 많은 반사광의 간섭으로부터의 특징적인 반사 색을 생성하며 굴절률이 상이한 제어된 두께의 2개 이상의 층이 있는 얇은 판 형태의 층상 입자로 정의된다. 간섭 안료의 예로는 TiO2, Fe2O3, 실리카, 산화주석 및/또는 Cr2O3의 약 50 - 300 ㎚ 필름으로 층화된 운모가 있다. 그러한 안료는 흔히 진주광택성이다. 진주광택 안료는 안료 입자의 투명성 및 혈소판형 운모의 굴절률에 있어서의 큰 차이와, 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 코팅 때문에 광을 반사, 굴절 및 통과시킨다. 유용한 간섭 안료는 매우 다양한 공급자, 예를 들어 로나(Rona)(티미론(Timiron)™ 및 다이크로나(Dichrona)™), 에카르트(Eckart)(예를 들어, 프레스티지(Prestige) 및 프레스티지 실크(Prestige Silk) 라인)로부터 구매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입자 크기가 보다 작으며 개개의 입자의 평균 직경이 가장 긴 방향으로 약 75 미크론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직경이 약 50 미크론 미만인 간섭 안료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다른 안료는 주로 특정 파장의 가시광의 선택적 흡수를 통하여 색을 제공하며, 이는 무기 안료, 유기 안료 및 그 조합물을 포함한다. 유용한 무기 안료의 예에는 산화철, 페릭 암모늄 페로사이아나이드, 망간 바이올렛, 울트라마린 블루, 및 산화크롬이 포함된다. 유기 안료에는 천연 착색제와 단량체성 및 중합체성의 합성 착색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로는 프탈로사이아닌 블루 및 녹색 안료가 있다. 또한 유용한 것은 레이크, 일차 FD&C 또는 D&C 레이크 및 그 블렌드이다. 또한 유용한 것은 캡슐화된 용해성 또는 불용성 염료 및 기타 착색제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무기 백색 또는 미착색 안료, 예를 들어 TiO2, ZnO, 또는 ZrO2는 다수의 공급원으로부터 구매가능하다. 적합한 미립자형 물질의 일례는 유.에스. 코즈메틱스(U.S. Cosmetics)로부터 입수가능한 물질을 포함한다(트로녹스(TRONOX) TiO2 시리즈, SAT-T CR837, 금홍석 TiO2). 특히 바람직한 것은 미국 특허 제5,997,88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전된 이산화티타늄 분산물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안료/분말은 표면 처리되어 부가된 색 안정성 및/또는 제형화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적합한 코팅 물질의 비제한적 예에는 실리콘, 레시틴, 아미노산, 금속 비누, 폴리에틸렌 및 콜라겐이 포함된다. 이러한 표면 처리는 소수성 또는 친수성일 수도 있는데, 소수성 처리가 바람직하다. 특히 유용한 소수성 안료 처리는 미국 특허 제5,143,722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폴리실록산 처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레이크로는 적색 3호 알루미늄 레이크, 적색 21호 알루미늄 레이크, 적색 27호 알루미늄 레이크, 적색 28호 알루미늄 레이크, 적색 33호 알루미늄 레이크, 황색 5호 알루미늄 레이크, 황색 6호 알루미늄 레이크, 황색 10호 알루미늄 레이크, 오렌지색 5호 알루미늄 레이크 및 청색 1호 알루미늄 레이크, 적색 6호 바륨 레이크, 적색 7호 칼슘 레이크가 있다.
기타 착색제 및 안료, 예를 들어 펄, 산화티타늄, 적색 6호, 적색 21호, 청색 1호, 녹색 5호, 오렌지색 5호 염료, 백악, 활석, 산화철 및 티타네이트화 운모도 본 입술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다.
유화제
유화제가 본 발명의 입술 조성물의 친수성 상 및 소수성 상에 대하여 친화성을 갖는 커플링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유화제는 극성 유체, 예를 들어, 물,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또는 그 혼합물의 혼입에도 유용하다. 그러한 유화제는 화장품에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을 포함하며, CTFA에서 발견된다. 또한, 극성 유체, 예를 들어, 물,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그 혼합물은 친양쪽성 물질, 예를 들어, 폴리올 지방산 폴리에스테르가 조성물 중에 사용될 때 유화제 없이 혼입될 수도 있다.
피부 케어 활성 성분
수용성 및 수불용성 형태 둘 모두의 피부 케어 활성 성분이 입술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성분은 지용성 비타민, 썬스크린 및 약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피부 케어 활성 성분은 글리세린, 산화아연; 카모마일유; 은행잎 추출물(ginko biloba extract); 파이로글루탐산, 염 또는 에스테르; 하이알루론산나트륨; 2-하이드록시옥탄산; 황; 살리신산; 카르복시메틸 시스테인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는 청구된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지만 이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베이스코트
Figure 112007015911952-PCT00004
A군 성분들을 비이커에서 함께 합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프로펠러 혼합기로 혼합한다. B군 성분들을 A군 혼합물에 첨가하고 수동으로 혼합하여 건조 분말을 대충 혼입시킨다. 모든 안료가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전체 제형을 균질화한다. 생성된 유체를 개개의 패키지로 옮긴다.
톱코트
Figure 112007015911952-PCT00005
성분들을 비이커에서 함께 합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프로펠러 혼합기로 혼합한다. 성분들을 60℃로 가열하여 왁스를 용융시킨다. 모든 성분들이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전체 제형을 균질화한다. 생성된 생성물을 냉각시키고 개개의 패키지로 옮긴다.
실시예 2
베이스코트
Figure 112007015911952-PCT00006
A군 성분들을 함께 합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프로펠러 혼합기로 혼합한다. B군 성분들을 A군 혼합물에 첨가하고 안료가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균질화한다. C군 성분들을 별개의 용기에서 프로펠러 혼합기를 사용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사전 혼합시키고, 이어서 A군 및 B군 성분들의 혼합물과 합한다. D군 성분들을 약 3분 동안 약 57-60℃로 가열하면서 사전 혼합한다. 열을 제거하고 대략 5분 동안 또는 겔이 나타날 때까지 균질화한다. 마지막으로, D군 혼합물을 배치(batch)의 나머지에 첨가하고, 전체 혼합물은 프로펠러 혼합기로 혼합하면서 57-60℃로 약 7분 내지 10분 동안 가열한다. 배치를 열로부터 옮기고, 프로펠러 혼합기로 혼합하면서 이것을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생성된 유체를 개개의 패키지로 옮긴다.
톱코트
Figure 112007015911952-PCT00007
성분들을 비이커에서 함께 합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프로펠러 혼합기로 혼합한다. 성분들을 60℃로 가열하여 왁스를 용융시킨다. 모든 성분들이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전체 제형을 균질화한다. 생성된 생성물을 냉각시키고 개개의 패키지로 옮긴다.
실시예 3
베이스코트
Figure 112007015911952-PCT00008
톱코트
Figure 112007015911952-PCT00009
성분들을 비이커에서 함께 합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프로펠러 혼합기로 혼합한다. 성분들을 60℃로 가열하여 왁스를 용융시킨다. 모든 성분들이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전체 제형을 균질화한다. 생성된 생성물을 냉각시키고 개개의 패키지로 옮긴다.
실시예 4
Figure 112007015911952-PCT00010
A군 성분들을 비이커에서 함께 합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프로펠러 혼합기로 혼합한다. B군 성분들을 A군 혼합물에 첨가하고 수동으로 혼합하여 건조 분말을 대충 혼입시킨다. 모든 안료가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전체 제형을 균질화한다. 생성된 유체를 개개의 패키지로 옮긴다.
톱코트
Figure 112007015911952-PCT00011
군의 성분들을 비이커에서 함께 합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프로펠러 혼합기 로 혼합한다. 성분들을 60℃로 가열하여 왁스를 용융시킨다. 모든 성분들이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전체 제형을 균질화한다. 생성된 생성물을 냉각시키고 개개의 패키지로 옮긴다.
본 발명의 사용 방법
본 발명의 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사용자는 적합한 액체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또는 립 컬러 불릿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 상으로 직접 도포한다. 액체 입술 제품용으로 사용되는 그러한 하나의 어플리케이터는 일본 소재의 미쯔비시 펜슬 컴퍼니 리미티드(Mitsubishi Pencil Co., Ltd.)에게 양도되었으며 1990년 5월 9일자로 허여된 영국 특허 제21198037호에 개시되어 있는 리퀴드 펜 패키지(lqiuid pen package)이다. 대안적인 패키지는 화장용 칩(wand)이 저장기 내로 담궈져 있는 것인데, 이 화장용 칩의 단부 상의 조성물이 피부 표면에 적용된다. 그러한 패키지는 시세이도(Shiseido)의 일본 실용신안 제64 000822 Y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다른 화장품 분배기는 1998년 12월 22일자로 허여된 리차드 엘. 호스트맨(Richard L. Horstman) 등의 미국 특허 제5851079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량이 증가하는 일방향의 트위스트-업(twist-up)형 분배 장치이다. 그러한 트위스트-업형 분배 장치는 개방된 분배 단부가 있는 챔버를 형성하는 중공 하우징과, 이 챔버 내에 위치하며 챔버 내에서의 병진 운동에 한정되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피스톤은 작동기의 회전시 분배 단부를 향한 피스톤의 전진이 발생하도록 작동기 내의 나사 형성된 개구와 맞물리며 피스톤으로부 터 연장되는 나사 형성된 로드(rod)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기의 회전에 의해 본 제품이 분배 단부로부터 분배된다. 어플리케이터는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하우징의 분배 단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본 제품은 어플리케이터를 통하여 분배된다. 어플리케이터는 페룰(ferrule) 및 적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페룰은 하우징의 분배 단부에 부착되고 적용부는 그 내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를 가진다. 예를 들어 섬유 브러시 또는 플로킹(flocking)이 있는 적용 표면을 포함하는 여러 버전의 어플리케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플로킹은 적용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얇고 짧은 플라스틱 섬유의 매트이다. 섬유 브러시의 강모는 바람직하게는 점점 가늘어지며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대안적으로는, 사용자는 당업계에 공지된 보다 전통적인 어플리케이터 또는 도구, 예를 들어, 딥 인 브러시(dip in brush) 또는 도우 풋 어플리케이터(doe foot applicator)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조성물을 적용하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조성물이 손상을 받기 전에 건조되게 한다. 일단 조성물이 건조되면, 상기에 개시된 가소용 톱코트 조성물과 같은 보완 제품을 건조된 제품 위에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미적으로 호감이 가는 감정(affect)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소용 톱코트 조성물에서는 동일한 분배 장치가 또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셀린 또는 다이메티콘 기재의 화장품 제거제를 적용하고 이 영역을 티슈로 부드럽게 문질러 화장품을 제거함으로써 제거할 수도 있다.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의 개선을 위한 패키징 시스템
본 발명은 2단계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의 개선을 위한 패키지 시스템을 포함한다. 패키지의 하나의 부분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본 발명의 베이스코트를 포함한다. 제2 부분은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를 개선시키고, 이로써 생성된 조성물이 문지름 시험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코트 필름의 L 값 변화 퍼센트가 약 50% 미만이 되게 하며 이전 기재의 L 값 변화 퍼센트가 약 9% 초과이고 약 30% 이하가 되게 하는 톱코트 가소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두 조성물은 소비자가 두 조성물을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또는 그러한 방식으로 함께 패키징하여, 소비자에게 장시간 유지형 립 컬러의 느낌 및 외양이 개선된 상용성의 2부분 화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은 매끄러움 및 광채를 제공하는 장시간 유지 능력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인용된 모든 문헌은 관련 부분에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며, 어떠한 문헌의 인용도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의 인정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형태가 예시되고 기술되었으나,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다른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경과 수정을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11)

  1. 다층 화장 조성물로서,
    a. 각질 조직에 도포되어 그 위에 베이스코트 필름을 형성하도록 조제되는 내이전성,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 조성물; 및
    b. 가소제를 함유하는 톱코트 조성물을 포함하며, 문지름 시험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코트 필름은 그 상부에 상기 톱코트 조성물을 도포한 후 베이스코트 필름의 L 값 변화 퍼센트가 약 50% 미만이며, 이전 기재의 L 값 변화 퍼센트는 약 9% 초과 내지 약 30%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코트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중합체, 다당류,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알키드, 플루오로 중합체 또는 그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를 포함하며, 가소제는 탄화수소, 에스테르, 실리콘, 개질 실리콘, 글리콜, 유체 합성 중합체, 왁스, 고체유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3. 내이전성,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의 느낌 및 미적 특성의 개선 방법으로서,
    a. 각질 조직의 표면 상으로 내이전성,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 조성물을 도포하여 베이스코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베이스코트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c. 가소제를 함유하는 톱코트 조성물을 상기 베이스코트 위에 도포하는 단계 - 여기서, 문지름 시험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코트 필름은 그 상부에 상기 톱코트 조성물을 도포한 후 베이스코트 필름의 L 값 변화 퍼센트가 약 50% 미만이며, 이전 기재의 L 값 변화 퍼센트는 약 9% 초과 내지 약 30%임 -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코트가 실리콘 수지, 실리콘 중합체, 다당류,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알키드, 플루오로 중합체 또는 그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방법.
  5. 상기 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코트가 유체 다이오르가노실록산 중합체와, 유기실록산 수지와, 휘발성 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직쇄 탄화수소, 아이소파라핀, 미네랄 스피릿(mineral spirits), 폴리부텐, 수소화 폴리아이소부텐, 수소화 폴리데센, 폴리데센, 스쿠알렌, 바셀린, 에스테르, 다이오르가노실록산, 다이메티코놀, 사이클로메티콘, 알킬 실리콘, 페닐 트라이메티콘, 개질 실리콘, 글리콜, 유체 합성 중합체, 왁스, 고체유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이오르가노실록산은 점도가 25℃에서 약 1 cSt 초과인 방법.
  8. 내이전성,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의 느낌 및 미적 특성 개선용 시스템으로서,
    a. 각질 조직에 도포되어 그 위에 베이스코트 필름을 형성하도록 조제되는 내이전성, 필름 형성 베이스코트인 제1 조성물, 및
    b. 가소제를 함유하는 제2 톱코트 조성물 - 여기서, 문지름 시험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코트 필름은 상기 제2 톱코트 조성물의 도포 후 베이스코트 필름의 L 값 변화 퍼센트가 약 50% 미만이며, 이전 기재의 L 값 변화 퍼센트는 약 9% 초과 내지 약 30%임 - 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과;
    c. (a)의 조성물을 (b)의 조성물과 함께 사용하여야 함을 나타내는 사용 설명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a)의 조성물이 (b)의 조성물과 개별적으로 패키징되거나, 일체형으로 함께 패키징된 시스템.
  10.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코트가 실리콘 수지, 실리콘 중합체, 다당류,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알키드, 플루오로 중합체 또는 그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소제는 탄화수소, 에스테르, 다이오르가노실록산, 다이메티코놀, 사이클로메티콘, 알킬 실리콘, 페닐 트라이메티콘, 개질 실리콘, 글리콜, 유체 합성 중합체, 왁스, 고체유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하며, 탄화수소는 직쇄 탄화수소, 아이소파라핀, 미네랄 스피릿, 폴리부텐, 수소화 폴리아이소부텐, 수소화 폴리데센, 폴리데센, 스쿠알렌, 바셀린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077004280A 2004-08-27 2005-08-23 장시간 유지형 화장 조성물 KR200700381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27,994 2004-08-27
US10/927,994 US20060045893A1 (en) 2004-08-27 2004-08-27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167A true KR20070038167A (ko) 2007-04-09

Family

ID=3527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280A KR20070038167A (ko) 2004-08-27 2005-08-23 장시간 유지형 화장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045893A1 (ko)
EP (1) EP1781249A1 (ko)
JP (1) JP2008510729A (ko)
KR (1) KR20070038167A (ko)
CN (1) CN101010064A (ko)
AU (1) AU2005280272A1 (ko)
CA (1) CA2576729A1 (ko)
WO (1) WO20060262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37125A3 (fr) * 2004-08-24 2009-08-05 L'oreal Produit de maquillage bicouche de tenue améliorée, ses utilisations et kit de maquillage contenant ce produit
FR2887771B1 (fr) * 2005-07-04 2008-06-06 Oreal Produit de maquillage a deux compositions
BRPI0617606A2 (pt) * 2005-09-26 2011-07-26 Oreal processo para tratar um substrato queratÍnico e sistema cosmÉtico
FR2909872B1 (fr) * 2006-12-19 2009-07-03 Oreal Produit de maquillage a deux compositions
EP2231283B1 (fr) * 2007-12-05 2012-09-12 L'Oréal Procede cosmetique utilisant une composition comprenant une resine de siloxane et une charge minerale
US20090155586A1 (en) * 2007-12-12 2009-06-18 Avon Products, Inc. Method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Using Treated Macroscopic Particles
US8933134B2 (en) 2010-06-09 2015-01-13 L'oreal Compositions containing agar and a softening agent
US20140154199A1 (en) * 2012-12-04 2014-06-05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Silicone-containing composition and personal care products containing same
FR3015927A1 (fr) 2013-12-27 2015-07-03 Oreal Procede de maquillage par transfert et dispositif associe.
FR3015872B1 (fr) 2013-12-27 2017-03-24 Oreal Dispositif de maquillage comportant une pluralite d'encres cosmetiques
FR3015889B1 (fr) 2013-12-27 2016-02-05 Oreal Dispositif pour le maquillage par transfert des matieres keratiniques
FR3015890B1 (fr) 2013-12-27 2016-02-05 Oreal Dispositif pour le maquillage par transfert des matieres keratiniques
FR3015870B1 (fr) 2013-12-27 2016-02-05 Oreal Dispositif pour le maquillage par transfert des matieres keratiniques.
FR3015888B1 (fr) 2013-12-27 2017-03-31 Oreal Dispositif de maquillage par transfert des matieres keratiniques
CN109071750B (zh) 2016-03-08 2022-08-02 生活实验公司 持久化妆品组合物
CA3074843A1 (en) 2017-09-13 2019-03-21 Living Proof, Inc. Long lasting cosmetic compositions
WO2019055445A2 (en) 2017-09-13 2019-03-21 Living Proof, Inc. COLOR PROTECTION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5631A (en) * 1986-03-26 1989-01-03 Chesebrough-Pond's, Inc. Water based lip color comprising an alkali soluble film-forming agent
US5225186A (en) * 1990-06-21 1993-07-06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High cosmetic powder lipstick composition
FR2686793B1 (fr) * 1992-01-31 1994-04-15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maquillage contenant un pigment transparent d'oxyde de titane et d'oxyde de silicium.
FR2715306B1 (fr) * 1994-01-25 1996-03-15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ou dermopharmaceutique sous forme de pâte souple et procédé de préparation de ladite composition.
CA2183448C (en) * 1994-12-16 2003-04-15 Yoshikazu Soyama Composition for rouge for lip
US5747017A (en) * 1995-05-15 1998-05-05 Lip-Ink International Lip cosmetic
FR2740330B1 (fr) * 1995-10-27 1997-12-05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systeme polymerique et utilisation dudit systeme
US6019962A (en) * 1995-11-07 2000-02-01 The Procter & Gamble Co.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cosmetic products
US6071503A (en) * 1995-11-07 2000-06-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ansfer resistant cosmetic compositions
SK59498A3 (en) * 1995-11-07 1998-11-04 Procter & Gambl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long-wearing cosmetic products
FR2745494B1 (fr) * 1996-03-04 1998-08-07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e dispersion aqueuse de particules de polymere filmogene,et utilisation d'un systeme polymerique comprenant ladite dispersion notamment en cosmetique
FR2750323B1 (fr) * 1996-06-28 1998-08-07 Oreal Utilisation d'oligomeres comme plastifiants d'un polymere filmogene dans et pour la preparation de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ce polymere filmogene,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atologiques
FR2756177B1 (fr) * 1996-11-28 1999-01-29 Oreal Dispersion aqueuse de vesicules resistantes a la deshydratation
DE69900119T2 (de) * 1998-02-12 2001-10-18 Oreal Verwendung von 1,2-Pentandiol i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sammensetzungen, die eine wäßrige Dispersion von Partikeln eies filmbildenden Polymers enthalten, und kosmetische und/oder dermatologische Zusammensetzungen, die diese Bestandteile enthalten
FR2783160A1 (fr) * 1998-09-14 2000-03-1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queuse comprenant un polyester sulfone et un compose silicone
FR2783418B1 (fr) * 1998-09-17 2000-11-10 Oreal Composition anti-rides comprenant une association de polymeres tenseurs d'origine synthetique et/ou naturelle et de polyesters dendritiques
FR2791986A1 (fr) * 1999-04-06 2000-10-13 Oreal Composition notamment cosmetique comprenant des polymeres ayant une structure en etoiles, lesdits polymeres et leur utilisation
FR2791988A1 (fr) * 1999-04-06 2000-10-13 Oreal Composition notamment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comprenant des polymeres ayant une structure en etoiles, lesdits polymeres et leur utilisation
FR2791989A1 (fr) * 1999-04-06 2000-10-13 Oreal Composition notamment cosmetique comprenant des polymeres ayant une structure en etoiles, lesdits polymeres et leur utilisation
US6342209B1 (en) * 2000-05-04 2002-01-29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film forming polymers plasticized with esters and malic acid
FR2810236B1 (fr) * 2000-06-15 2002-07-26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filmogene
FR2815847B1 (fr) * 2000-10-27 2002-12-1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s fibres et une cire
US20020159960A1 (en) * 2001-02-27 2002-10-31 Scancarella Neil D. Method for improving the properties of transfer resistant lip compositions and related compositions and articles
FR2823103B1 (fr) * 2001-04-10 2003-05-23 Oreal Produit de maquillage bicouche contenant un pigment goniochromatique et un pigment monocolore et kit de maquillage contenant ce produit
FR2823100B1 (fr) * 2001-04-10 2003-05-30 Oreal Procede de maquillage bicouche et kit de maquillage contenant des premiere et seconde compositions
US6811770B2 (en) * 2001-04-10 2004-11-02 L'oreal Two-coat make-up process and a make-up kit containing first and second compositions
US20040009137A1 (en) * 2002-04-08 2004-0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hydrous, single phase, transfer resistant cosmetic lip compositions
DE20207328U1 (de) * 2002-05-10 2002-10-24 Schwan Stabilo Cosmetics Gmbh Lipidhaltige Zuberei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10064A (zh) 2007-08-01
CA2576729A1 (en) 2006-03-09
JP2008510729A (ja) 2008-04-10
AU2005280272A1 (en) 2006-03-09
EP1781249A1 (en) 2007-05-09
US20060045893A1 (en) 2006-03-02
WO2006026228A1 (en)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8167A (ko) 장시간 유지형 화장 조성물
KR100355518B1 (ko) 묻어나지않는화장용조성물
US6340466B1 (en) Transfer resistant cosmetic compositions
CN101208073B (zh) 彩妆类化妆品
US20110081390A1 (en) Anhydrous, Transfer-Resistant Cosmetic Lip Compositions
WO2018022614A1 (en) Long-wearing, transfer-resistant cosmetic composition having improved tackiness
JP2005336186A (ja) 2層コート化粧品、その使用およびこの製品を含むメイクアップキット
US20180214369A1 (en) Long-wear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one resin and silicone elastomer resin
US20040009137A1 (en) Anhydrous, single phase, transfer resistant cosmetic lip compositions
AU2004229576C1 (en) Anhydrous, silicone modified flourinated polymers for transfer-resistant cosmetic lip compositions
US20190262257A1 (en) Matte lip compositions
WO2023208802A1 (en) Makeup processes using a polyphenol and at least one polyglycerol compound, and compositions for performing the process
JP2023524273A (ja) シリコーン樹脂の組み合わせを含む、ケラチン物質への塗布後に多層構造を形成することができる化粧用組成物
US20230067902A1 (en) Dilute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ixed sensory modifiers
US20210401722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biodegradable polymers
WO2011001218A1 (en) Cosmetic process for coating keratin material
WO2011001220A1 (en) Cosmetic process for coating keratin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