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081A - 가습기 및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 - Google Patents

가습기 및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081A
KR20070038081A KR1020070027023A KR20070027023A KR20070038081A KR 20070038081 A KR20070038081 A KR 20070038081A KR 1020070027023 A KR1020070027023 A KR 1020070027023A KR 20070027023 A KR20070027023 A KR 20070027023A KR 20070038081 A KR20070038081 A KR 20070038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e
tank
growth tank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웅
Original Assignee
권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대웅 filed Critical 권대웅
Priority to KR1020070027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8081A/ko
Publication of KR20070038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석을 이용하여 식물을 기를 수 있는 화분 대용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석분(壽石盆)은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홀이 위치에 상관없이 수직으로 뚫려 있고, 이 원통형 홀의 바닥면을 수반에 저장된 물과 닿게 하여 삼투압 및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수반의 물을 상부로 펌핑하는 구조로 설계했다.
또한, 원통형 홀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분이 공급되면 뿌리가 썩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원통형 홀의 최상단에 수분의 흐름을 제어하는 수문이 내장되었으며, 미관상으로 수석 및 분재 그리고 가습기의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해 주는 가습기 및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이다.
화분, 수석, 삼투압, 수석, 수경재배

Description

가습기 및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Stone Flowerpot For Humidifier And Water Culture}
도 1은 삼투압이 일어나는 원리도
도 2는 삼투압의 이동 설명도
도 3은 두 개 용액의 변화를 관찰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경재배 겸용 수석에 두 개의 연못을 파고 핵심수문(빨간 A부분 포함)을 설치하는 자리 배치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의 실제 배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의 또 다른 실제 배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축수조가 달린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핵심수문 B: 배수라인 C: 축수조
D: 생육조 E: 송수라인 F: 홀
G: 수반 S: 수석 W: 물
E2: 송수용 물질 E3: 관수용 물질 J: 드레인 라인
본 발명은 자연의 돌(이하 자연석을 '수석'이라 칭함)을 이용하여 꽃이나 나무 등을 심을 수 있는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주택의 실내외 또는 건물의 실내에서는 꽃이나 나무를 화분에 담아 둔다. 종래의 화분은 주로 토기나 플라스틱의 합성수지로 만들며, 고품격의 꽃이나 나무를 담거나 또는 심미감을 높이기 위하여 도자기로도 만들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화분은 누구에게나 쉽게 연상되는 것으로 화분 자체의 두께는 얇고, 내면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며, 바닥면에는 배수를 위하여 중앙에 하나의 배수구멍이 뚫려 있다.
한편, 최근 화분의 대용으로 자연의 모습을 인공적으로 형상화한 분재가 널리 보급되어 있고 또한, 꽃이나 나무 등은 전혀 없는 자체적으로 고유하고 특수한 형태를 갖는 수석이라 부르는 자연석을 수집하여 실내를 장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분의 경우에는 여러 가지 단점이 있었다. 먼저, 토기로 만들어진 토기화분은 강도가 약하여 화분의 이동시에 부주의하여 바닥에 떨어지면 쉽게 깨져버리며, 또한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 서서히 부서져 화분의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플라스틱화분은 쉽 게 손상되지는 않지만 꽃이나 나무 등의 자연과 융화되지 못하여 자연미를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며 또한, 플라스틱의 재질의 특성으로 특정 폐기물이기 때문에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한편, 분재나 수석의 경우에는 고유의 특징은 보유하고 있으나, 분재의 경우에는 너무나 인공적인 느낌을 주며, 수석의 경우에는 정체된 고정적인 느낌만을 제공하는 아쉬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쉽게 파손되지 않으면서 자연친화적인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의 역할뿐만 아니라, 분재 및 수석의 역할도 아울러 수행할 수 있는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은 하나 이상의 원통형 홀(F)이 위치에 상관없이 뚫려 있고, 이 홀의 바닥면에는 물이 채워진 수반과 맞닿아 있는 것이 기본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석은 특수한 성분이나 형상을 갖는 돌이 아니며, 산이나 강, 하천 또는 들에서 쉽게 발견되는 모든 돌이 대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수석(S)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석(S)은 상방으로 수직하게 원통형 홀(F)이 뚫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의 경우 홀(F)의 위치는 홀을 뚫을 수 있는 두께만 확보되면 위치에 구 애받지 않고 어디라도 무관하다. 다만, 수석과 꽃의 조화가 이루어지는 곳이 바람직하다. 또한, 홀(F)은 하나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전체의 미감 또는 조화를 위하여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을 하나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삼투압이 일어나는 원리도를 보여 주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 응용하는 삼투압에 대하여 상세한 기술을 하자면, 삼투압이란 농도가 다른 두 액체를 반투막으로 막아놓았을 때,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농도가 높은 쪽으로 용매가 옮겨가는 현상에 의해 나타나는 압력을 말한다.
용매는 통과시키나 용질은 통과시키지 않는 반투막을 고정하고, 그 양쪽에 용액과 순용매를 따로 넣으면, 용매의 일정량이 용액 속으로 침투하여 평형에 이르는데, 이때 반투막의 양쪽에서 온도가 같지만, 압력에 차이가 생기는 압력차를 말한다. 삼투압 현상은 1867년 독일의 화학자 M.트라우베가 발견하였고, 1877년 페퍼가 처음으로 측정하였다.
페퍼는 페로시안화구리의 침전막을 가진 질그릇 통(筒)을 써서 설탕 수용액의 삼투압을 측정하고, 삼투압이 온도에 비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후 1886년 J.H.반트호프(1852~1911)는 삼투압의 원인은 용액 속에 녹아 있는 물질의 분자가 기체분자와 같은 법칙으로 운동하여 반투막에 압력을 미치기 때문이라 생각하고, 이 현상을 이론적으로 설명하였다. 즉, 삼투압을 P 기압, 용질 n mol을 용해하는 용액의 부피를 Vℓ, 용액의 절대온도를 T, 기체상수를 R라 하면, 용액의 농도가 그다지 크지 않은 범위에서 PV = nRT 라는 식이 성립된다. 이 식은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과 같은 형이며, 이 유사성으로부터 반트호프가 이끌어낸 것이다. 이 식은 전해질인 수용액의 경우는 보정 값 i 가 필요하며, PV = inRT라는 식이 적용된다. i 는 1보다 큰 상수이며, 그 값은 물질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변한다.
삼투압을 측정함으로써 용질의 분자량을 정하거나, 분자량을 아는 물질의 용액 속에서의 해리도를 구할 수가 있다. 특히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을 결정하는 데는 삼투압을 이용하는 일이 많다. 생물의 원형질막은 일종의 반투막이며, 삼투압은 생물현상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하 물이 세포 속으로 들어가는 원리를 설명해 본다.
세포막은 세포를 감싸고 있는 10나노미터(나노미터는 10억분의1, 빛의 파장을 나타내는 단위)안팎의 얇은 세포의 보호막으로, 인지질 분자의 이중 막에 단백질 분자들이 박혀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인지질이 이중 막으로 세포질을 감싸고 있는 것은 인지질이 물을 좋아하는 분자들과 물을 싫어하는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즉, 친수성 분자들은 물과 접촉되는 것을 좋아하고, 소수성 분자들은 물과 접촉되는 것을 싫어하다 보니 대부분이 물인 우리 몸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는 구조가 이중 막 구조인 것이다.
세포막은 완전히 꽉 막힌 막이 아니라 순간적으로 구멍이 생기는 반투막이다. 순간적으로 구멍이 생기면서 세포막 바깥에 있는 물이 세포 안 쪽으로 들어가는데, 이것이 바로 삼투압현상이다. 삼투압 현상은 세포막 속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는 부분이 끊임없이 위치를 바꾸는 과정에서 일어나는데, 이때, 미세한 구멍이 열린다. 이 구멍들은 지름이 겨우 0.7-1um밖에 안될 정도로 아주 작다. 그러나 물 분자는 지름이 04um으로 더 작기 때문에 이 구멍으로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다. 세포막에 박혀 잇는 단백질 중에는 생명현상을 위해 이온들이 세포막의 안과 밖을 왔다 갔다 할 때 이용하는 통로를 이루는 것들이 있는데, 세포 안팎의 여러 이온들은 각기 다를 이온 통로를 이용한다. 각기 다른 단백질들이 다양한 구조와 메커니즘에 의해 이온들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온 통로들은 항상 열러 있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물이 쉽게 이 벽을 통과해 세포 안으로 들어갈 수가 없다. 입자들이 세포막을 통과하기 힘든 이유는 표면이 대부분 자기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
세포막 안과 밖의 농도가 달라지게 하는 삼투압현상을 일으키는 주동자는 전해질이다. 전해질은 양성이나 음성의 전극을 띤 미네랄 염기로써, 물을 세포 밖에서 세포 안으로 또는 그 반대로 밀어 넣어 준다. 전해질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칼륨과 나트륨이다. 인체 세포막의 막 단백질이 아데노산 삼인산(ATP)과 화합한 후에 세포 안팎의 나트륨 이온과 칼륨 이온의 농도에 의해 경사도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ATP는 나트륨 이온과 칼륨 이온 펌프라고 칭한다.
도 2는 삼투압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는 도면인데 원리에 대해서는 상기에 설명을 하였으며, 도 3은 두 개 용액의 변화를 관찰한 설명도이다.
한편, 물을 상부로 끌어올리는 현상에 대해서는 삼투압 말고도 모세관 현상을 들 수 있는데, 모세관현상 [毛細管現象, capillary phenomenon]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액체 속에 폭이 좁고 긴 관을 넣었을 때, 관 내부의 액체 표면이 외부의 표면보다 높거나 낮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액체의 표면이 오목할 경우 부착력이 강한 액체이고, 볼록할 경우 응집력이 강한 액체이다. 이 현상을 이용하여 식물이 뿌리에서 무기양분과 물을 흡수할 수 있다.
이를 모관 현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액체의 응집력과 관과 액체 사이의 부착력의 차에 따라 액면은 오목(凹)하거나 볼록(凸)해진다. 오목해진 것은 부착력이 더 강한 경우이고, 볼록해지는 것은 응집력이 강하기 때문이며, 어느 경우에나 안팎의 액면의 높이 h=2T cos θ/rρg 될 때 중력과 평형을 이룬다(T는 표면장력,θ는접촉각, r는 관의 안지름,ρ는 액체의 밀도,g 는 중력가속도). 이 관계는 액면의 상승 또는 하강의 접촉각의 실측값으로부터 표면장력을 구하는 데 이용된다. 모세관현상에 의해 만곡된 표면을 메니스커스라 하는데, 이 표면이 오목하면 관 안의 액면이 높아지고(물인 경우), 표면이 볼록하면 관 안의 액면은 낮아진다(수은인 경우). 이러한 현상은 자주 볼 수 있는 자연현상의 하나로서, 흡수지나 천에 물이 저절로 스며드는 까닭도 흡수지나 천의 섬유가 모세관 구실을 하여 물을 빨아올리기 때문이다. 식물의 뿌리에서 흡수된 수분이나 양분이 식물체 전체에 퍼지는 것도 역시 이 현상에 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의 사시도를 보여 준다. 즉, 수반과 수석과 식물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결합하여 본 발명의 미관을 보여주게 된다.
본 발명에서 중요하게 이용되는 물이 상부로 올라가는 원리에 대해서 다시 한번 정리하여 설명을 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식물이 물을 흡수하여 식물 꼭대기까지 올리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필요하다.
첫 번째로 식물이 물을 흡수하는 가장 근본적 힘은 증산작용이다. 증산작용을 쉽게 설명하자면 식물잎 뒷면을 보면(현미경) 기공이라는 부분이 있다. 이 구멍을 통해 온도가 높을수록(제한적), 빛이 강할수록, 식물 내부의 물이 많을 경우 이 기공을 통해 식물 내부의 물이 빠져나가게 된다. 마치 빨래가 마르듯 내부의 물이 나가게 되는 것인데, 하지만 나가는 것이 있으면 들어오는 것이 있어야 한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계속 빠지는 물의 힘에 의해 물이 뿌리에서 계속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즉, 물의 상승하는 힘이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두 번째로 식물이 물을 끌어 올 수 있는 힘의 두 번째 요인은 뿌리의 삼투압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삼투압 현상은 농도가 높은 쪽으로 농도가 낮은 지역에서 용매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뿌리의 농도는 흙속의 물의 농도보다 높기 때문에 흙속의 물은 뿌리도 침투하게 되어서 결국 뿌리의 내부 압력은 높아지게 되며, 이 힘으로 물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세 번째로 모세관 현상을 들 수 있다. 모세관현상이란 쉽게 설명하자면, 빨대를 음료수에 꽂게 되면 빨대에 음료수 높이 보다 약간 높게 올라와 있는 걸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즉, 아주 가는 모세관이면 물이 그만큼 위로 상승하게 되는데, 식물 관다발의 물관인 세포관은 아주 가늘다. 그러므로 모세관현상에 의해 물이 위로 상승할 수 있는 것이다.
네 번째로는 물의 응집력을 들 수 있다. 실례로, 물을 두 방울 떨어뜨려서 약간 기울이면 순식간에 붙어 하나의 물방울로 합쳐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물끼리 서로 합쳐 지려는 응집력 때문인데 식물 내부의 가는 모세관 내부의 물이 서로 자꾸 합쳐 지려는 힘 때문에 위로 결국 위로 상승하게 되는 힘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4가지의 설명에 의해 물이 상부로 올라가는 원리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인데, 이와 같이 상부로 끌어 올려진 물은 도 5 또는 도 9의 축수조(C)에 저장된다. 그러므로 도 5는 본 발명의 수경재배 겸용 수석에 두 개의 연못을 파고 핵심수문(빨간 A부분 포함)을 설치하는 자리 배치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제법 평평하면서도 대형 사이즈의 수석을 도 5와 같이 축수조(C)와 생육조(D)를 파 놓은 두 개의 연못으로 구성하였으며, 가운데 빨간 사각 부분이 축수조에서 생육조로 공급E되는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핵심수문(A)이 들어가는 자리를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핵심수문은 다양한 방법으로 그 기술적 장치를 설명할 수 있다. 이를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해 보자면, 화장실의 수세식 변기를 이용해 그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데, 수세식 변기의 저장조에 달려 있는 레버를 당기면 개폐장치가 열려있는 동안 다량의 물이 일시에 수세조로 공급되어 변을 회오리식으로 쓸어서 하수구로 방출하게 된다.
즉, 도 9를 이용해서 설명하자면 수반의 물(W)은 홀(F)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수라인(E) 또는 송수용 물질(E2)을 타고 상부로 올라가 축수조(C)에 저장된다. 축수조(C)에 저장된 물이 만수로 찰 경우에 일정한 수압이 생기게 되는데, 이 만수상태의 수압을 읽어서 자동으로 개문(開門)되는 장치를 핵심수문(A)의 내부에 설계 하면, 축수조(C)의 물을 일시에 생육조(D)로 흘려 보내게 할 수 있으며, 이후에는 다시 만수위에 이르기까지 핵심수문(A)은 폐쇄(閉鎖)의 상태로 복귀가 된다.
상기와 같은 핵심수조(A)의 원리를 또 다른 방법으로 설명하자면, 핵심수조의 개폐(開閉)를 담당하는 차단막(도면으로는 미도시)을 물이 쉽게 머금을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서,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차단막에 물기가 완전히 스며들어 차단막의 무게가 불어나게 되고, 그 하중으로 인하여 차단막이 아래로 구부러지게 설계를 해서 축수조의 물이 일시에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개폐식(開閉式) 수문(水門) 을 설계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차단막이 부력을 받아 동작하게 설계를 한다면, 상기 축수조(C)의 물이 만수위(滿水位)에 올라갈 때에 발생하는 수압이 상기 차단막을 위로 밀어 올려 개문(開門)이 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핵심수문(A)은, 생육조(D) 내부의 수분이 마르면 자동으로 상기 핵심수문(A)이 열리고, 수분의 공급이 충분하게 이루어지면 상기 핵심수문(A)이 자동으로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축수조(A)의 물이 일시에 빠져나가게 하는 방법은 상기 수세식 변기의 방법을 쓰면 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설명을 다시 종합해서 설명하자면, 축수조(C)의 물이 일정한 수위의 만수(滿水) 상태에 이르면, 상기 핵심수문(A)이 개문(開門) 상태로 열리고, 일시에 축수조(A)의 물이 빠져나간 후에는 자동으로 폐문(閉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의 실제 배치 사시도를 보여 주고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예에 불과하다는 부언을 해 둔다.
도 8은 본 발명의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의 평면도인데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해 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도 8은 물(W)을 담는 수반(G)과 자연석인 수석(S)으로 기본 구성이 된다. 상기 수석(S)의 상부에는 식물을 키울 수 있는 생육조(D)가 파여지며, 삼투압이나 모세관의 원리를 이용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미세한 홀(F)이 상기 생육조(D)의 하층에서부터 수석(S)의 하부에까지 구멍의 형태로 파여 진다.
상기 홀(F)의 내부에는 송수용 물질(E2)이 채워지는데, 이 물질은 삼투압이나 모세관 현상을 그대로 적용하기 위해 솜이나 면직(綿織)류 등의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물을 끌어올릴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떤 것이든 상관이 없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F)을 모세관식으로 미세하게 뚫는 공법이 마련된다면 상기 물질(E2)을 채우지 않아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홀(F)을 통해 끌어 올려진 물은 상기 생육조(D)의 저면에 깔린 물을 머금을 수 있는 흙이나 관수용 물질(E3)에 흡수되어 식물의 뿌리에 물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물이 고여만 있다면 썩을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일정한 배수가 되면서 공기도 순환시킬 수 있는 드레인 라인(J:Drain Line)이 상기 생육조(D)의 하측에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축수조가 달린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의 평면도인데, 또 다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도 9는 물(W)을 담는 수반(G)과 자연석인 수석(S)으로 기본 구성이 된다. 상기 수석(S)의 상부에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축수조(C)와 식물을 키울 수 있는 생육조(D)가 파여 지며, 삼투압이나 모세관의 원리를 이용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미세한 홀(F)이 상기 생육조(D)의 하층에서부터 수석(S)의 하부에까지 구멍의 형태로 파여 진다.
상기 홀(F)의 내부에는 송수라인(E) 또는 송수용 물질(E2)이 채워지는데, 이 물질은 삼투압이나 모세관 현상을 그대로 적용하기 위해 솜이나 면직(綿織)류 등의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물을 끌어올릴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떤 것이든 상관이 없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F)을 모세관식으로 미세하게 뚫는 공법이 마련된다면 상기 물질(E2)을 채우지 않아도 무방할 것이다.
도 9의 도면으로는 자세한 설명이 미흡하지만, 상기 홀(F)의 최상단을 U자형으로 180도 구부러지게 설계하여 그 끝 부분에 물을 빨아들이는 관수용 물질(E3)을 연결하여 놓으면 상기 홀(F)을 통해 끌어 올려진 물이 상기 관수용 물질(E3)에 빨려들어가 상기 축수조(C)에 저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단에서도 자세히 설명하였지만 축수조(C)의 물이 일정한 수위의 만수(滿水) 상태에 이르면, 상기 핵심수문(A)이 개문(開門) 상태로 열리고, 일시에 축수조(A)의 물이 빠져나간 후에는 자동으로 폐문(閉門)이 되는 핵심수문(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리로 상기 생육조(D)에 물이 공급되면, 상기 생육조(D)의 저면에 깔린 물을 머금을 수 있는 흙이나 관수용 물질(E3)에 흡수되어 식물의 뿌리에 물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물이 고여만 있다면 썩을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일정한 배수가 되면서 공기도 순환시킬 수 있는 드레인 라인(J:Drain Line)이 상기 생육조(D)의 하측에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자료 중에서 특징이 되는 것이 본 발명에서는 지중관수 방법을 사용하여 생육조(D)의 식물을 관리한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즉, 상기 생육조(D)의 하부에는 흙이나 관수용 물질(E3)이 배치되어 지중(地中)에 물을 보존하게 할 수 있다. 지중관수는 지표관수에 비해 토양 표면에서의 수분증발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관수량이 30% 절감되고, 지표면이 건조하게 유지되어 장점이 많은 관수 방법이기 때문에 이 방법을 본 발명에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은 수석의 상부에 원통형의 생육조가 마련되어서, 그 속에 흙이 채워지고 꽃이나 나무를 심어서, 쉽게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자연친화적인 화분이 됨은 물론, 화분의 역할뿐만 아니라 분재 및 수석의 역할도 아울러 수행하면서 가습기의 역할도 겸용할 수 있는 미적으로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가습기 및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이다.

Claims (3)

  1. 식물을 키우는 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을 대체하는 자연석(S)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생육조(D)가 설치되며;
    상기 생육조(D)와 자연석(S)의 하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홀(F)이 위치에 상관없이 뚫려 있고;
    상기 홀(F)의 바닥면에는 물(W)을 담는 수단(G)이 위치하며;
    상기 홀(F)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세한 관을 시공하는 방법이거나 또는 상기 홀(F)의 내부에 송수용 물질(E2)을 채워 놓는 방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며;
    상기 홀(F)의 최상단과 맞닿는 부위에 흙 또는 관수용 물질(E3)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연결되며;
    상기 생육조(D)의 일 측에 드레인 라인(J)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및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
  2. 식물을 키우는 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을 대체하는 자연석(S)의 상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축수조(C)와 생육조(D)가 설치되며;
    상기 축수조(C)와 자연석(S)의 하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홀(F) 이 위치에 상관없이 뚫려 있고;
    상기 홀(F)의 바닥면에는 물(W)을 담는 수단(G)이 위치하며;
    상기 홀(F)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미세한 관을 시공하는 방법이거나 또는 상기 홀(F)의 내부에 송수용 물질(E2)을 채워 놓는 방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며;
    상기 홀(F)의 최상단을 U자형으로 180도 구부러지는 파이프라인으로 설계하며;
    상기 파이프라인의 끝 부분에 물을 빨아들이는 관수용 물질(E3)을 연결하며;
    상기 축수조(C)와 생육조(D)를 연결하는 배수라인(B)이 내장되며;
    상기 배수라인(B)의 일 측에 물(W)의 이동을 제어하는 핵심수문(A)이 내장되며;
    상기 생육조(D)의 일 측에 드레인 라인(J)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및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수문(A)은,
    생육조(D) 내부의 수분이 마르면 자동으로 상기 핵심수문(A)이 열리고;
    수분의 공급이 충분하게 이루어지면 상기 핵심수문(A)이 자동으로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및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壽石盆).
KR1020070027023A 2007-03-20 2007-03-20 가습기 및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 KR20070038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023A KR20070038081A (ko) 2007-03-20 2007-03-20 가습기 및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023A KR20070038081A (ko) 2007-03-20 2007-03-20 가습기 및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081A true KR20070038081A (ko) 2007-04-09

Family

ID=38159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023A KR20070038081A (ko) 2007-03-20 2007-03-20 가습기 및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80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3504A (zh) * 2018-07-28 2018-12-11 佛山市三水区希望火炬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加湿器盆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3504A (zh) * 2018-07-28 2018-12-11 佛山市三水区希望火炬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加湿器盆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6176C (zh) 毛细灌溉的容器
CN102577868A (zh) 可蓄供水的植物栽培容器
JP2004242501A (ja) 植物栽培方法及び植物栽培具及び植栽容器
CN107114136B (zh) 园林盆栽容器
CN105052593A (zh) 一种多功能盆栽容器
KR20110006150A (ko) 난초용 화분
KR20070038081A (ko) 가습기 및 수경재배 겸용 수석분
JP2010068735A (ja) 自動給水プランター
KR102479711B1 (ko)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대 구조체
WO2006077669A1 (ja) 植木鉢
JP7074971B2 (ja) 植物栽培装置
CN101187657B (zh) 一种测定作物活体生物量变化的方法
CN212993641U (zh) 一种芝麻水培育苗装置
KR200461953Y1 (ko) 조립식 화분
KR100895339B1 (ko) 건축물 옥상 화단 자동 물공급장치
KR20080011252A (ko) 바이오 누드화분
FR2608011A1 (fr) Dispositif pour assurer l'alimentation regulee d'un milieu, en liquide, a partir d'une reserve
CN201911093U (zh) 水、土分隔浸润式植物栽培花盆
KR20130027647A (ko)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JP2005040009A (ja) 底面給水式植物栽培容器
CN102150604A (zh) 一种液位自动控制的共享式植物供液系统
KR200416500Y1 (ko) 수경재배화분
CN201133908Y (zh) 一种测定作物活体生物量变化的装置
JPH10150867A (ja) 花壇の自動給水装置
CN101187658B (zh) 一种测定作物活体生物量变化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