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7838A -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젖병 - Google Patents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7838A
KR20070037838A KR1020050092917A KR20050092917A KR20070037838A KR 20070037838 A KR20070037838 A KR 20070037838A KR 1020050092917 A KR1020050092917 A KR 1020050092917A KR 20050092917 A KR20050092917 A KR 20050092917A KR 20070037838 A KR20070037838 A KR 20070037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heartbeat
feeding bottle
motor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9096B1 (ko
Inventor
이호주
Original Assignee
이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주 filed Critical 이호주
Priority to KR1020050092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096B1/ko
Publication of KR20070037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001Baby-comfor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1Emitting means, e.g. for emitting sound, light, scents or flavours
    • A61J17/1011Emitting sound, e.g. having rattles or music bo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젖병에 유아들에게 생명력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특히 유아들이 홀로 분유를 섭취할 경우에 안정감을 갖도록 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통상의 젖병은 분유로 채워지는 통과 통에 채워진 분유를 빨아먹을 수 있는 젖꼭지가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현대생활에서는 산모들이 사회생활을 위하여 유아들에게 분유를 먹이게 됨으로 이러한 분유가 유아들이 홀로 먹게 됨으로서 유아들에게 불안감은 물론 이로 인한 소화불량이나 특히 성장하게 되면서 정서적인 안정감을 찾지 못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혼자서 분유등을 혼자서 먹게 될 경우에도 손으로 잡게 되는 젖병에서 인체의 생명력과 동일한 생명력을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서 먹으면서도 안정감을 갖게 되고 동시에 정서적인 안정을 갖게 되는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젖병

Description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젖병{a baby bottle with a means to make a sound like the beating sound of the heart}
도 1은 본 발명의 심장박동수단이 젖병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심장박동 수단의 전체적인 구성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심장박동 수단의 배열상태의 평면도.
도 4는 심장박동 수단의 격벽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심장박동수단이 실린더의 바닥면에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심장박동수단이 젖병에 직접장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심장박동수단이 고정수단에 의하여 젖병에 장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고정수단이 심장박동수단과 연결되는 상태의 개략도.
도 9는 고정수단이 심장박동수단과 연결되는 또 다른 상태의 개략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젖병 11: 젖꼭지
12: 통 13: 요입부
14: 요입수단 15: 덮개판
20: 심장박동 수단 21: 걸림수단
30: 고정수단 31: 걸이수단
1: 실린더 2: 전원부
3: 격벽 4: 모타
5: 축 6: 편심체
7: 제어부 8: 스위치
9: 개구부
본 발명은 젖병에 관한 것으로, 젖병에 심장의 박동소리를 발생토록 함으로서 신생아니 유아들이 젖병을 잡고 분유 등을 먹게 될 경우에 모체의 생명력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정신적인 안정감을 같도록 한 것이다.
통상의 젖병은 액상의 분유를 채울 수 있는 통과 입으로 빨아먹을 수 있는 젖꼭지로 구성되어져 단지 먹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젖병은 10달 동안 엄마의 뱃속에서 규칙적인 심장박동소리를 들으면서 생명력을 키워온 신생아들에게는 입으로는 뭔가 먹게 되지만 그 외적으로 느끼게 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정신적인 안정감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안정감의 상실은 특히 예민한 특성를 갖는 신생아들에게는 소화불량 등의 원인을 유발하게 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정서적인 안정감을 상실하여 자칫 정서불안에 의한 문제점도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생아들은 물론 유아들에게도 젖병을 사용하여 혼자서 분유 등을 먹게 될 경우에 손으로 전달되는 심방박동의 느낌과 그 소리를 미세하게 감지토록 하여 정서적인 안정감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심장박동과 그 소리를 느낄 수 있는 심장박동수단이 장착되어진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2는 심장박동수단을 나타낸 외관사시도이고, 도3은 심장박동수단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은 탈착 가능한 젖꼭지(11)를 갖는 젖병(10)의 통(12)에 긴밀하게 밀착되어지게 장착이 가능한 밴드타입의 고정수단(30)에 심장박동 수단(20)이 형성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30)과 심장박동수단(20)은 서로 탈착되어지도록 고정수단(30)에는 걸이수단(31)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수단(31)이 장착되어질 수 있도록 심장박동수단(20)에는 걸림수단(21)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이러한 걸이수단(31)과 걸림수단(21)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고, 걸이수단(31)을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성형물을 이용하고 있으나 밴드타입의 고정수단(30)의 선단을 접어서 걸림수단에 끼움이 가능토록 걸이수단(31a)을 형성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걸이수단(31a)이 끼워질 수 있도록 심장박동수단(20)에는 걸림수단(21a)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심장박동수단(20)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타의 회전을 단속하여 모타축에 장착된 편심체의 원심력과 관성력을 이용한 진동을 이용토록 함으로서 균일한 상태의 심장박동느낌이나 소리를 발생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고정수단의 밴드타입은 강한 조임에 의하여 젖병의 통과 긴밀하게 밀착토록 하거나 또는 밴드타입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긴밀하게 밀착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밴드타입의 고정수단이 젖병에서 임의적인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병의 통(12)에는 요입부(13)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밴드타입의 고정수단(30)이 젖병의 통(12)에서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심장박동 수단(20)을 밴드타입의 고정수단(30)을 이용하였으나 젖병(10)의 통(12)을 브로우 성형할 경우에 통(12)에 심장박동수단(20)만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입수단(14)을 형성토록 하여 요입수단(14)에 심장박동수단(20)이 탈착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럴 경우에는 심장박동수단(20)이 요입되어진 상태에서 그 상부로 덮개판(15)을 형성함으로서 유아들이 젖병을 손으로 만져지게 될 경우에도 이탈되어지지 않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모타를 이용한 심장박동수단(20)은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조를 일정한 내공간을 갖는 실린더(1)에 전원부(2)가 격벽(3)에 의하여 구획되어지고, 상기와 같이 전원부(2)를 구획하는 격벽(3)에는 모터(4)가 장착되어 지며 상기 모터(4)의 축(5)에는 편심체(6)가 장착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모터(4)의 축(5)의 회전을 on,off되게 단속하기 위하여 즉 모타(4)의 전원을 단락시키기 위하여 제어부(7)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어부(7)의 작동의 개시와 모타의 작동개시를 위한 스위치(8)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스위치(8)는 사용용도에 따라 센서에 의한 방식 등 다양한 구조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토록 하는 것이고, 또한 스위치(8)의 형태는 다양한 공지의 방법이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위치(8)가 실린더(1)의 외부에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모터(4)의 회전축(5)에 편심체(6)가 끼워지기 위하여는 편심체(6)에는 축홈(6a)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고, 이러한 편심체(6)의 관성에 의한 진동은 모타(4)가 장착되어지는 격벽(3)에 의하여 진동이 전달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격벽(3)을 격벽의 좌우측의 어느 일측이나 양측 모두를 절개토록 하여 개구부(9)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격벽(3)에 진동력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진동의 전달을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모터등의 장착을 실린더의 바닥면에 구현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때 바닥면에도 절개에 의한 개구부(9a)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진동의 전달이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원을 온 시키면 제어부(7)에서는 일정시간의 간격으로 전원을 단락토록 함으로서 모터(4)의 회전력이 회전과 정지되면서 회전하고자 하는 원심력과 정지한 이후에 발생되는 관성력이 편심체(6)에서 발생되어 원심력과 관성력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러한 진동은 격벽(3)에 의하여 전달되어지고 격벽의 개구부(9a)에 의하여 진동이 증폭되어짐으로서 정확하고 안정적인 심장박동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심장의 박동소리의 재현은 모타를 이용한 방식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박동수단을 구비토록 함으로서 솔레노이드의 반복적인 작동으로 심장박동을 구현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젖병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젖병(10)의 통(12)에 심장박동수단이 장착된 밴드타입의 고정수단(30)을 이용하여 긴밀하게 고정토록 한 후 또는 젖병(10)의 통(12)에 형성된 요입수단(14)에 심장박동수단(20)이 요입토록 한 후 스위치를 작동토록 하는 것이고, 이렇게 함으로서 심장박동수단(20)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동이 젖병(10)의 통(12)에 전달됨으로 신생아들이 젖병을 손으로 잡고 우유를 먹게 될 경우에 엄마의 심장소리와 느낌을 그대로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젖병을 손으로 잡고 혼자 우유 등을 먹게 될 경우에도 엄마와 함께하고 있다는 느낌을 얻게 됨으로 정서적인 안정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10)

  1. 통상의 젖병에 있어서, 탈착가능한 젖꼭지를 갖는 젖병의 통에 긴밀하게 장착이 가능한 고정수단에는 심장 박동수단이 장착되어 심장박동수단의 박동수단에 의한 박동이 젖병의 통에 전달되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젖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심장 박동수단에 탈착되어지도록 걸이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수단이 장착되어질 수 있도록 심장 박동수단에는 걸림수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젖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젖병에서 임의적인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젖병에는 밴드타입과 일치되도록 요입부를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젖병.
  4. 통상의 젖병에 있어서, 젖병의 통에는 요입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수단에는 심장 박동수단이 삽입되어 장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젖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수단에 장착된 심장 박동수단은 덮개판으로 덮여 짐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젖병.
  6. 제1항 또는 제2항과 제4항 또는 제5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박동수단은 솔레노이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젖병.
  7. 제1항 또는 제2항과 제4항 또는 제5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박동수단은 모타의 축에 장착된 편심체에 의하여 모타의 전원의 단락에 의한 편심체의 원심력과 관성력에 의한 진동을 박동수단으로 사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젖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박동수단은 내공간을 갖는 실린더에 전원부가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어지고, 상기 격벽에는 모터가 장착되어지며 상기 모터의 축에는 편심체가 장착되어지는 것이고 상기한 모터의 회전을 on,off되게 단속하는 제어부가 스위치에 의하여 단속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젖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타가 장착되어지는 격벽의 좌우측의 어느 일측이나 양측 모두를 절개토록 하여 개구부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격벽에 진동력을 우수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젖병.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장착을 실린더의 바닥면에 구현토록 하고 상기 모타가 장착된 바닥면에는 그 외측을 절개에 의한 개구부를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젖병.
KR1020050092917A 2005-10-04 2005-10-04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젖병 KR100809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917A KR100809096B1 (ko) 2005-10-04 2005-10-04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917A KR100809096B1 (ko) 2005-10-04 2005-10-04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젖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838A true KR20070037838A (ko) 2007-04-09
KR100809096B1 KR100809096B1 (ko) 2008-03-05

Family

ID=3815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917A KR100809096B1 (ko) 2005-10-04 2005-10-04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0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3492A1 (en) * 2008-04-30 2009-11-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ractive baby feeding bottle
WO2021032950A1 (en) * 2019-08-16 2021-02-25 Rawlinson Jasmine Tactile sensory device for use by a baby or chil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9669A (en) * 1989-03-10 1991-05-28 Chemical Research & Licensing Company Alkylation of organic aromatic compounds
KR970005814Y1 (ko) * 1994-12-19 1997-06-16 김상남 유아 취면용 가슴받이 패드
US5842901A (en) 1997-01-17 1998-12-01 Montgomery; Lonzell Baby bottle with musical and vibratory adapters
US6386937B1 (en) 1999-10-01 2002-05-14 Mattel, Inc. Magnetically coupled toy apparatus
US6752103B1 (en) 2002-12-30 2004-06-22 Fay Howell Thermostatically controlled, heated animal nurser and means for simulating a mother's heartbea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3492A1 (en) * 2008-04-30 2009-11-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ractive baby feeding bottle
US8482416B2 (en) 2008-04-30 2013-07-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ractive baby feeding bottle
WO2021032950A1 (en) * 2019-08-16 2021-02-25 Rawlinson Jasmine Tactile sensory device for use by a baby or child
CN114521140A (zh) * 2019-08-16 2022-05-20 贾丝明·劳林森 供婴儿或儿童使用的触觉传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9096B1 (ko)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0345C2 (ru) Интерактивная бутылочка для кормления ребенка
US20150051646A1 (en) Modular pacifier assembly
US20170095406A1 (en) Vibrating Oral Comfort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US6634919B2 (en) Pacifier toy
US20190175454A1 (en) Stuffed toy with an enclosed pacifier for weaning an infant off of the pacifier
US20120078143A1 (en) Vibrating pacifier
KR100809096B1 (ko)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젖병
US20200352828A1 (en) Apparatus Useful for Infant Teething and Suckling
JP4049451B2 (ja) 飲料容器
JP2006311875A (ja) 人工乳房
US20220047003A1 (en) Therapeutic burp cloth
KR200382961Y1 (ko) 스푼형 실리콘 유아젖병
CN210812675U (zh) 一种新生儿用安抚奶嘴
JPS5816752Y2 (ja) 哺乳器
BRMU8801987U2 (pt) dispositivo para alimentação alternativa para bebês de risco
KR20160046084A (ko) 손가락 빨기 방지 교정기
WO2021010381A1 (ja) おしゃぶり
JP2622598B2 (ja) 哺乳器用乳首
CN219763990U (zh) 一种安抚奶嘴
GB2181957A (en) Teething dummy
KR970005814Y1 (ko) 유아 취면용 가슴받이 패드
KR200458070Y1 (ko) 양치 기능이 부가된 젖꼭지
CN210044195U (zh) 乳头保护罩
JP2005065723A (ja) 哺乳動物用の人工乳首付き縫い包み
KR200362705Y1 (ko) 젖꼭지 모양의 병뚜껑을 가진 요구르트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