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6411A - 레일 픽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 Google Patents

레일 픽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6411A
KR20070036411A KR1020050091405A KR20050091405A KR20070036411A KR 20070036411 A KR20070036411 A KR 20070036411A KR 1020050091405 A KR1020050091405 A KR 1020050091405A KR 20050091405 A KR20050091405 A KR 20050091405A KR 20070036411 A KR20070036411 A KR 20070036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module
led
rail
holes
rail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892B1 (ko
Inventor
정준화
김영록
김철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도
Priority to KR1020050091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892B1/ko
Publication of KR20070036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8Sun shades, shades, hoods or louvres on electronic displays to minimise the effect of direct sun light on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정보를 표출하는 전광판의 전면에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LED가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화상정보가 상기 전광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픽셀 모듈로 이루어진 전광판으로서, LED 구동회로를 갖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점멸하는 LED; 상기 LED의 일부가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LED를 고정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공을 종방향으로 형성하고, 통풍공간이 확보되도록 최상단의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상측 연장부와, 최하단의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하측 연장부의 길이의 합이 인접된 상기 관통공 간의 종방향 수직 길이보다 작게 형성한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햇빛의 간섭으로 인한 상기 LED의 광도 저하를 방지하는 차광판을 포함하는 다수의 레일 픽셀 모듈과, 상기 레일 픽셀 모듈을 케이스에 일정한 형태로 서로 이격하여 설치함으로써 레일 픽셀 모듈의 상하측에 통풍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바람의 저항을 줄일 수 있고, LED의 방열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LED, 전광판, 방열, 통풍

Description

레일 픽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Rail pixel module and Electric sign board with ventila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광판용 픽셀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광판용 픽셀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을 도시한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을 도시한 저면도.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을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을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을 연결하는 제 1접속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을 연결하는 제 2접속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을 연결하는 제 3접속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을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레일 픽셀 모듈 201: 제 1 레일 픽셀 모듈
202: 제 2 레일 픽셀 모듈 203: 제 3 레일 픽셀 모듈
204: 제 4 레일 픽셀 모듈 210: LED 구동회로기판
220: LED 225: 관통공
225a: 최상단 관통공 225b: 최하단 관통공
230: LED 고정판 240: 차광판
250: 나사 결합부 251: 소경부
252: 대경부 260: 나사
270: 통풍공간 300: 케이스
310: 지지프레임 320: 바디프레임
330: 볼트 400: 전광판
410: 제어부 420: 접속부
430: 삽입부
본 발명은 레일 픽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람의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통풍공간이 형성되고, LED의 방열 면적을 증가시킨 레일 픽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매체를 사용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문자 및 화상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옥외 전광판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옥외 전광판장치의 사용은 점차 확대되어 운동장의 대형 안내판, 도로의 교통정보 표지판, 옥외용 광고판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음은 옥외 전광판장치를 구성하는 종래의 기술에 다른 전광판용 픽셀 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광판용 픽셀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광판용 픽셀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광판용 픽셀 모듈(100)은 LED 구동회로를 장착하여 이루어진 소정 크기의 LED 구동회로기판(110)과, 상기 LED 구동회로기판(110)의 전면에 일정한 형태로 설치 및 배열되고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점멸되어 문자 및 화상을 구현하는 다수의 LED(Light-Emitting-Diode:120)와, 상기 LED(120)가 일정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LED 구동회로기판(110)의 전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LED(12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LED 고정판(130)과, 상기 LED 고정판(130) 의 전면에 햇빛의 간섭으로 인한 상기 LED의 광도저하를 방지하도록 소정길이로 연장된 차광판(1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LED 고정판(130)과 LED 구동회로가 장착된 LED 구동회로기판(110)은 LED 고정판(130)의 전면에서 삽입되는 나사(160)를 통해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광판용 픽셀 모듈(100)은 설치될 전광판의 크기에 따라 픽셀 모듈을 연결하여 필요한 크기의 전광판을 형성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픽셀 모듈(170)과 제 2 픽셀 모듈(180)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필요한 크기의 전광판을 형성한다.
또한, 전광판용 픽셀 모듈(100)은 단색을 구현하는 경우 LED(120)를 한 종류로 구성하고, 칼라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빨강, 파랑, 초록의 LED(120)를 혼합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각각의 LED(120)는 LED 구동회로기판(110)에 장착된 LED 구동회로에 의해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의 온/오프(ON/OFF)를 통해 점멸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광판용 픽셀 모듈은 LED를 고정하기 위한 LED 고정판(130)을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한 사출성형으로 제조되었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한 사출성형은 LED 고정판(130)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플라스틱의 낮은 열전도율로 인한 방열 효과의 미비로 LED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된 열이 공기중으로 방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고열로 인한 LED의 열화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하여 LED의 광도저하와 LED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한 LED 고정판(130)은 플라스틱 재료가 가연성 물질로서, 빗물의 누수로 인한 전광판의 누전시 가연성 재료로 인한 화재 발생에 취약하고,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를 배출하는 문제가 있으며, 수명이 다한 플라스틱 고정판은 교체할 경우 산업폐기물이 되어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10-2005-17075호 발명의 명칭 : 방열층을 구비한 전광판용 픽셀 모듈의 LED 고정부재'에서 LED 고정판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방열층을 형성하여 LED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상기 10-200-17075호에서 제안된 기술은 열 전도율이 낮은 LED 고정판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열 전도율이 높은 방열층을 형성하여 LED와 밀착시킴으로써, LED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방열층으로 전도되어 공기중에서 냉각되도록 하여 LED 고정판의 낮은 열 전도율로 인한 방열 효과의 미비를 개선함으로써, LED의 열화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열층을 구비한 LED 고정판은 베이스 판을 사출로 성형한 다음 상기 베이스 판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방열층을 형성하고, 헷빛 등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판(일측면에 방열층이 형성됨)을 상기 베이스 판의 전면에 결함함으로써, 결합의 견고함에 대한 신뢰문제와 별도의 조립 공정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각각의 조립공정이 별도로 진행됨으로써 대량생산에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광판용 픽셀 모듈은 일렬로 배열된 LED가 다수의 층을 이루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의 픽셀 모듈은 각각의 LED 고정판이 서로 맞닿아 있는 형태로 되어 판형의 LED 전광판을 형성하기 때문에, 기상 악화로 인해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에 바람의 저항을 LED 전광판에 고스란히 받음으로써, 상기 바람 저항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LED 전광판의 파손은 보행자 또는 주행중인 차량에 치명적인 안전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광판을 구성하고 있는 레일 픽셀 모듈의 상하측에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통풍공간을 형성하여 바람의 저항을 줄일 수 있으며, LED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열 면적을 증가시켜 전광판의 방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레일 픽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상정보를 표출하는 전광판의 전면에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LED가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화상정보가 상기 전광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픽셀 모듈로서, LED 구동회로를 갖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점멸하는 LED; 상기 LED의 일부가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LED를 고정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공을 종방향으로 형성하고, 통풍공간이 확보되도록 최상단의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상측 연장부와, 최하단의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하측 연장부의 길이의 합이 인접된 상기 관통공 간의 종방향 수직 길이보다 작게 형성한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햇빛의 간섭으로 인한 상기 LED의 광도 저하를 방지하는 차광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정보를 표출하는 전광판의 전면에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LED가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화상정보가 상기 전광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픽셀 모듈로 이루어진 전광판으로서, LED 구동회로를 갖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점멸하는 LED; 상기 LED의 일부가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LED를 고정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공을 종방향으로 형성하고, 통풍공간이 확보되도록 최상단의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상측 연장부와, 최하단의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하측 연장부의 길이의 합이 인접된 상기 관통공 간의 종방향 수직 길이보다 작게 형성한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햇빛의 간섭으로 인한 상기 LED의 광도 저하를 방지하는 차광판을 포함하는 다수의 레일 픽셀 모듈과, 상기 레일 픽셀 모듈의 상하측에 통풍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다수의 레일 픽셀 모듈을 일정한 형태로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기판의 후면에서 상기 레일 픽셀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판, 기판, 지지프레임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LED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열 면적이 증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판의 후면에 나사 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의 전면에서 나사가 삽입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면에서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나사결합부는 상기 나사가 삽입되는 부분이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부분보다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 기판 및 지지프레임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 픽셀 모듈은 제어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LED를 점멸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픽셀 모듈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다수의 핀을 구비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양단부에 상기 접속부의 핀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홀을 구비한 삽입부로 이루어진 제 1접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레일 픽셀 모듈은 제어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LED를 점멸할 수 있도록 일측 단부에 장착되어 다수의 핀을 구비한 접속부와, 타측 단부에 상기 접속부의 핀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홀을 구비한 삽입부로 이루어진 제 2접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레일 픽셀 모듈은 제어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LED를 점멸할 수 있도록 그 양단부에 각각 다수의 핀을 구비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핀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삽입부로 이루어진 제 3접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광판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레일 픽셀 모듈의 상하측에 바람이 통과할 수 있도록 통풍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바람의 저항을 줄여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에도 전광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지프레임, LED 구동회로기판 및 LED 고정판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LED에서 발 생하는 열을 방열할 수 있는 방열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전광판의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200)은 LED 구동회로를 내장하여 이루어진 소정 크기의 기판(210)과, 상기 기판(210)의 전면에 일정한 형태로 설치 및 배열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점멸되는 다수의 LED(220)와, 상기 LED(220)가 일정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기판(210)의 전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LED(220)의 일부가 관통하도록 관통공(225)을 형성하여 상기 LED(220)를 고정하며, 상기 LED(22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고정판(230)과, 상기 고정판(230)의 전면에 햇빛의 간섭으로 인한 상기 LED(220)의 광도저하를 방지하도록 소정길이로 연장된 차광판(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판(210)은 소정길이의 폭을 갖으며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그 전면에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점멸되는 다수의 LED(220)가 일정한 형태로 설치 및 배열된다. 또한, 상기 기판(210)에는 LED 구동회로가 내장되어 상기 LED(220)를 구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230)은 상기 LED(2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공(225)이 형성되어 있으며, LED 고정판(230)은 상기 LED(2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하여 구리, 알루미늄 또는 구리와 알루미늄의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그 방열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판(210)과 고정판(230)이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230)과 LED 구동회로가 장착된 기판(210)은 고정판(230)의 전면에서 삽입되는 나사(260)를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LED(22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고정판(230)의 전면 및 후면을 통해 방열되어 그 방열 효과가 증대된다.
일반적으로, LED 전광판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LED 전광판을 구성하고 있는 픽셀 모듈(100)에 장착된 LED(220)간의 종방향 간격이 LED 전광판에 표시되는 문자 및 화상이 일정 거리 떨어진 곳에서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일정간격 L만큼 이격되어 형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200) 역시 종래와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전광판을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210)과 고정판(230)을 케이스(300)에 다수개 종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 LED 전광판에 표시되는 문자 및 화상이 일정 거리 떨어진 곳에서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레일 픽셀 모듈(200)에 장착된 LED(220)간의 종방향 간격 즉, 고정판(230)에 형성된 관통공(225)의 종방향 간격이 일정간격 L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기판(210)에는 LED(220)가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기판(210) 및 고정판(230)의 폭(W')이 기존의 기판 및 고정판의 폭(W)보다 작게 형성되어 기판(210) 및 고정판(230)의 상하측에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통풍공간(270)이 형성되도록 한다. 구체 적으로, 레일 픽셀 모듈(200)에 형성된 관통공(225) 중 상단에 위치하는 제 1 관통공(225a)의 최상단으로부터 레일 픽셀 모듈(200)의 상단으로 연장된 상측 연장부의 길이(L1)와 하단에 위치하는 제 2 관통공(225b)의 최하단으로부터 레일 픽셀 모듈(200)의 하단으로 연장된 하측 연장부의 길이(L2)의 합이 인접한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공(225a, 225b)간의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길이(L3)보다 작게 형성이 되어 상기 레일 픽셀 모듈(200)의 상하측으로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통풍공간(270)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200)은 LED 전광판을 구성하기 위하여 다수개가 종방향으로 설치될 때, 상기 레일 픽셀 모듈(200) 사이에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통풍공간(270)가 형성됨으로써,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에 바람이 상기 통풍공간(270)을 통과할 수 있어 상기 LED 전광판이 받게 되는 바람의 저항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강한 바람에 의해 LED 전광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고정판(230)에 천공된 관통공(225)이 상하 2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LED의 성능 및 표출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관통공을 배열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도 5는 레일 픽셀 모듈을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지지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을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은 레일 픽셀 모듈(200)과, 상기 레일 픽셀 모듈(200)이 케이스(300)에 일정한 형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기판(210)의 후면에서 상기 레일 픽셀 모듈(2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10) 및 상 기 지지 프레임(310)에 고정되는 상기 레일 픽셀 모듈(200)을 지면이나 도로 상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바디프레임(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일 픽셀 모듈(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210)과, 상기 기판(210)에 횡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는 다수의 LED(220)와, 상기 다수의 LED(220)가 일정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고, 상기 기판(210)에 상기 LED(220)가 일정한 형태로 배열 및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판(230) 및 상기 고정판(230)의 전면에 햇빛의 간섭으로 인한 상기 LED(220)의 광도저하를 방지하도록 소정길이로 연장된 차광판(240)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레일 픽셀 모듈(200)이 종방향으로 일정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레일 픽셀 모듈(200)은 즉, 상기 LED 구동회로를 갖는 기판(210)과 고정판(230)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레일 픽셀 모듈(200)에 장착된 LED(220)간의 종방향 간격 즉, 고정판(230)에 형성된 관통공(225)의 종방향 간격이 일정간격 L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기판(210)에는 LED(220)가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기판(210) 및 고정판(230)의 폭(W')이 기존의 기판 및 고정판의 폭(W)보다 작게 형성되어 기판(210) 및 고정판(230)의 상하측에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통풍공간(270)이 형성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레일 픽셀 모듈(200)에 형성된 관통공(225) 중 상단에 위치하는 제 1 관통공(225a)의 최상단으로부터 레일 픽셀 모듈(200)의 상단으로 연장된 상측 연장부의 길이(L1)와 하단에 위치하는 제 2 관통공(225b)의 최하단으로부터 레일 픽셀 모듈(200)의 하단으로 연장된 하측 연장부의 길이(L2)의 합이 인접한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공(225a, 225b)간의 수직방향 으로 이격된 길이(L3)보다 작게 형성이 되어 상기 레일 픽셀 모듈(200)의 상하측으로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통풍공간(27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레일 픽셀 모듈(200) 사이에 형성된 통풍공간(270)을 통해 바람이 통과하게 되어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에도 그 저항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프레임(310)은 상기 레일 펙셀 모듈(200)의 뒷편, 즉 기판(210)의 뒷편에서 상기 레일 픽셀 모듈(200)이 일정한 형태로 배열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픽셀 모듈(200)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기판(210)의 후면에 설치된 나사결합부(250)에 지지프레임(310)의 후면에서 볼트(330)가 삽입 체결되어 상기 레일 픽셀 모듈(200)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볼트(330)가 삽입 체결된 반대편에는 고정판(230)으로부터 나사(260)가 삽입 체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10), 기판(210) 및 고정판(230)이 서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나사결합부(250)는 소경부(251)와 대경부(252)로 구성되며 상기 소경부(251)에는 상기 고정판(230)으로부터 나사(260)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경부(252)에는 상기 지지프레임(310)으로부터 볼트(330)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사결합부(250)는 소경부(251)와 상기 소경부(251)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대경부(252)로 이루어져 상기 소경부(251)와 대경부(252)의 경계를 이루는 단턱부에 의해 상기 고정판(230), 구동회로기판(210) 및 지지프레임(310)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판(230), 기판(210) 및 지지프레임(310)을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LED(2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할 수 있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즉, 고정판(230)의 전후면과 기판(210)의 전후면 및 지지프레임(310)의 전후면을 통해 방열이 되도록 함으로써, 방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바디프레임(320)은 상기 레일 픽셀 모듈(200)을 고정하는 지지프레임(310)을 지면이나 도로의 상측 또는 건물외벽 등에 고정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는 상기 바디프레임(320)의 고정방법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을 이용한 전광판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것처럼, 전광판(400)에 다수의 레일 픽셀 모듈(200)이 종방향 및 횡방향의 일정한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각각의 레일 픽셀 모듈(200)의 양단부에 접속수단이 장착되어 상기 각각의 레일 픽셀 모듈(200)이 제어부(410)에 의해 구동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 픽셀 모듈(200)의 연결 관계를 살펴보면, 전광판(400)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 1 레일 픽셀 모듈(201)의 일측 단부가 제어부(4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 2 레일 픽셀 모듈(202)과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3 픽셀 모듈(203)은 그 측면에 위치하는 제 4 레일 픽셀 모듈(204)과 연결되어 제어부(410)와 연결된다. 즉, 각각의 한 층을 이루는 레일 픽셀 모듈이 개별적으로 제어부(410)에 연결이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10)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LED(220)가 점멸됨으로써, 전광판(400)에 문자 및 화상이 표시된다.
이때,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 픽셀 모듈(200)은 제어부로부터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LED(220)를 점멸할 수 있도록 제 1접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접속수단은 각각의 레일 픽셀 모듈(200)의 양단부에 다수의 돌출된 핀을 구비한 접속부(420)와, 상기 접속부(420)를 연결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양단부에 상기 접속부(420)의 핀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홀을 구비한 삽입부(430)가 장착된 커넥터로 구성되어 제어부(410)와 레일 픽셀 모듈(200)을 연결하게 된다.
대안적으로는,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200)은 제 2 접속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접속수단은 레일 픽셀 모듈(200)의 일측 단부에는 다수의 돌출된 핀을 구비한 접속부(420)가 장착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접속부(420)의 핀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홀을 구비한 삽입부(43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부(420)와 삽입부(430)는 레일 픽셀 모듈(200)이 평행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서로 대면하여 위치한다.
또 다른 제 3접속수단으로, 8c에 도시된 것처럼, 레일 픽셀 모듈(200)의 양단부에 각각 다수의 핀을 구비한 접속부(420)가 장착되고, 레일 픽셀 모듈(200)의 일측 단부의 접속부(420)와 레일 픽셀 모듈(200)의 타측 단부의 접속부(420)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부(420)의 핀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삽입부(430)가 구비되어, 상기 두 레일 픽셀 모듈(20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을 이용한 전광판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레일 픽셀 모듈(200)이 일정한 형태로 배열되지만, 상기 레일 픽셀 모듈(200)의 일측 단부에만 접속수단이 한 쌍을 이루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 픽셀 모듈(200)의 연결 관계를 살펴보면, 전광판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 1 레일 픽셀 모듈(201)의 한쪽 단부에 장착된 한 쌍의 접속수단 중 하나가 제어부(410)와 연결되고, 한 쌍의 접속수단 중 다른 하나는 제 1 레일 픽셀 모듈(201)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 2 레일 픽셀 모듈(202)의 일측 단부에 장착된 한 쌍의 접속수단 중 하나에 연결된다.이러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10)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LED(220)가 점멸됨으로써, 전광판(400)에 문자 및 화상이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일 픽셀 모듈을 이용한 전광판은 전광판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레일 픽셀 모듈의 상하측에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과 LED 구동회로기판 및 LED 고정판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바람의 저항을 줄이고, LED의 방열 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광판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레일 픽셀 모듈의 상하측에 바람이 통과할 수 있도록 통풍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바람의 저항을 줄여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에도 전광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 LED 구동회로기판 및 LED 고정판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할 수 있는 방열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전광판의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광판을 구성하고 있는 레일 픽셀 모듈이 일정간격의 통풍공간을 갖는 조립형 구조로 되어 있어 부분적으로 상기 레일 픽셀 모듈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교체 및 유지보수시 편리하고 그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화상정보를 표출하는 전광판의 전면에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LED가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화상정보가 상기 전광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픽셀 모듈로서,
    LED 구동회로를 갖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점멸하는 LED;
    상기 LED의 일부가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LED를 고정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공을 종방향으로 형성하고, 통풍공간이 확보되도록 최상단의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상측 연장부와, 최하단의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하측 연장부의 길이의 합이 인접된 상기 관통공 간의 종방향 수직 길이보다 작게 형성한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햇빛의 간섭으로 인한 상기 LED의 광도 저하를 방지하는 차광판을 포함하는 레일 픽셀 모듈.
  2. 화상정보를 표출하는 전광판의 전면에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LED가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화상정보가 상기 전광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픽셀 모듈로 이루어진 전광판으로서,
    LED 구동회로를 갖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점멸하는 LED;
    상기 LED의 일부가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LED를 고정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공을 종방향으로 형성하고, 통풍공간이 확보되도록 최상단의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상측 연장부와, 최하단의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하측 연장부의 길이의 합이 인접된 상기 관통공 간의 종방향 수직 길이보다 작게 형성한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햇빛의 간섭으로 인한 상기 LED의 광도 저하를 방지하는 차광판을 포함하는 다수의 레일 픽셀 모듈과,
    상기 레일 픽셀 모듈의 상하측에 통풍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다수의 레일 픽셀 모듈을 일정한 형태로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레일 픽셀 모듈을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기판의 후면에서 상기 레일 픽셀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픽셀 모듈을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기판, 지지프레임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LED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열 면적이 증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픽셀 모듈을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후면에 나사 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판의 전면에서 나사가 삽입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면에서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나사결합부는 상기 나사가 삽입되는 부분이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부분보다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 기판 및 지지프레임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픽셀 모듈을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픽셀 모듈은 제어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LED를 점멸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픽셀 모듈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다수의 핀을 구비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양단부에 상기 접속부의 핀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홀을 구비한 삽입부로 이루어진 제 1접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픽셀 모듈을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픽셀 모듈은 제어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LED를 점멸할 수 있도록 일측 단부에 장착되어 다수의 핀을 구비한 접속부와, 타측 단부에 상기 접속부의 핀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홀을 구비한 삽입부로 이루어진 제 2접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픽셀 모듈을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픽셀 모듈은 제어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LED를 점멸할 수 있도록 그 양단부에 각각 다수의 핀을 구비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핀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삽입부로 이루어진 제 3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픽셀 모듈을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KR1020050091405A 2005-09-29 2005-09-29 레일 픽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KR100706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405A KR100706892B1 (ko) 2005-09-29 2005-09-29 레일 픽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405A KR100706892B1 (ko) 2005-09-29 2005-09-29 레일 픽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996U Division KR200404198Y1 (ko) 2005-09-29 2005-09-29 레일 픽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411A true KR20070036411A (ko) 2007-04-03
KR100706892B1 KR100706892B1 (ko) 2007-04-12

Family

ID=3815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405A KR100706892B1 (ko) 2005-09-29 2005-09-29 레일 픽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8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9434A2 (en) * 2010-03-20 2011-09-29 Q Technology, Inc. Linear configuration lighting module and application thereof
CN104269118A (zh) * 2014-10-30 2015-01-07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led显示屏的光学干涉消除结构及方法
WO2021010763A1 (ko) * 2019-07-17 2021-01-21 주식회사 글로우원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9176B2 (ja) * 2014-12-25 2019-05-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Led素子用基板及びled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6298A (ja) * 2002-04-19 2003-11-07 Enomoto Co Ltd 大画面led表示装置
KR100550080B1 (ko) * 2003-08-13 2006-02-08 주식회사 래도 방열층을 구비한 전광판용 픽셀 모듈의 led 고정부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9434A2 (en) * 2010-03-20 2011-09-29 Q Technology, Inc. Linear configuration lighting module and application thereof
WO2011119434A3 (en) * 2010-03-20 2012-01-12 Q Technology, Inc. Linear configuration lighting module and application thereof
CN104269118A (zh) * 2014-10-30 2015-01-07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led显示屏的光学干涉消除结构及方法
WO2021010763A1 (ko) * 2019-07-17 2021-01-21 주식회사 글로우원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892B1 (ko) 200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1416B2 (ja) 画像表示装置
JP5305816B2 (ja) 画像表示装置
US8845131B2 (en) Angled light box lighting system
US7597468B2 (en) Light source of side-edge type LED backlight unit
KR100376893B1 (ko) 주야 변환용 멀티 광고판
US20130083559A1 (en) Detachable light emitting device using light emitting diode modules
KR100930069B1 (ko) 투명판의 결로 및 열적 변형방지기능을 갖는 발광다이오드형 광고판
US20100251583A1 (en) Incident light management device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JP3247821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06892B1 (ko) 레일 픽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KR102180594B1 (ko) 곡면설치용 모듈과 프레임이 구비된 엘이디 전광판
KR101062303B1 (ko) 엘이디 전광판용 기판모듈 및 엘이디 전광판
JP2010015781A (ja) 光源装置及び照明装置
KR200404198Y1 (ko) 레일 픽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KR101761479B1 (ko) 플렉서블 엘이디 전광판 발광모듈
JP2009043627A (ja) 照明装置
JP3927592B1 (ja) Ledモジュール及びled表示装置
KR200414133Y1 (ko) 태양 전지를 갖는 led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광판
KR20110105940A (ko) Led 백라이트 및 이를 이용한 광고간판
JP4119593B2 (ja) ドットマトリクス表示装置
KR20200109198A (ko) 공기구멍을 구비한 led 가로등 장치
KR100550080B1 (ko) 방열층을 구비한 전광판용 픽셀 모듈의 led 고정부재
CN101673489A (zh) 一种led显示屏
KR100316514B1 (ko) 수리가가능한픽셀과멀티픽셀및이들을사용한전광장치
KR1011018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