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6170A - 물에 용해시 투명한 세척액을 형성하는 고수용성 고형 세탁세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물에 용해시 투명한 세척액을 형성하는 고수용성 고형 세탁세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6170A
KR20070036170A KR1020077003221A KR20077003221A KR20070036170A KR 20070036170 A KR20070036170 A KR 20070036170A KR 1020077003221 A KR1020077003221 A KR 1020077003221A KR 20077003221 A KR20077003221 A KR 20077003221A KR 20070036170 A KR20070036170 A KR 20070036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tant
weight
sol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란 토마스 브루커
케빈 리 코트
니콜라 에텔 데이빗슨
린지 헤스코트
존 피터 에릭 뮬러
마크 앨런 스머츠낙
로버츠 나이젤 패트릭 소머빌
겐지 신도
엠마뉴엘 팬텔리스 파쿠카키스
제이슨 크리스토퍼 킹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4318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3617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70036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17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6Phosphates, including poly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37Mixtures of compounds all of which are anionic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5Mixtures of anionic with cat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6Mixtures of anionic, cationic, and 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8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3/124Silicon containing, e.g. silica, silex, quartz or glass beads
    • C11D3/1246Silicates, e.g. diatomaceous earth
    • C11D3/128Aluminium silicates, e.g. zeol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romat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a) 0.1중량% 내지 10중량%,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b) 1중량% 내지 25중량%, 제올라이트 빌더(d) 0중량% 내지 4중량%, 포스페이트 빌더(e) 0중량% 내지 4중량% 및 규산염(f) 0중량%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제 조성물, 계면 활성제, 빌더, 제올라이트, 포스페이트, 규산염, 세제 제품

Description

물에 용해시 투명한 세척액을 형성하는 고수용성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A highly water-soluble sol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that forms a clear wash liquor upon dissolution in water}
본 발명은 물에 용해시 투명한 세척액을 형성하는 고수용성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포함하고, 제올라이트 빌더, 포스페이트 빌더 및 규산염을 포함하지 않거나 낮은 수준으로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립형 세탁 세제 조성물은 매우 다양한 오염물 유형에 대하여 직물 세정능이 매우 우수할 필요가 있다. 과립형 세탁 세제는 분배 및 용해 프로파일이 매우 우수할 필요도 있다. 그러나, 직물 세정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과립형 세탁 세제 조성물을 일부 재조제하면, 이의 분배 및 용해 프로파일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고, 또한 그 반대로도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양면성이 존재할 수 있다. 과립형 세탁 세제 조성물의 세정능, 분배 프로파일 및 용해 프로파일을 동시에 개선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게다가, 고수용성 과립형 세탁 세제 조성물은 물에 용해 시 투명한 세척액을 형성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는 세척액이 투명하면 소비자가 과립형 세탁 세제 조성물이 용해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바람직한 신호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우수한 직물 세정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과립형 세탁 세제 조성물에 혼입한다. 예를 들면, 영국 특허공보 제1408969호, 영국 특허공보 제1408970호, 미국 특허공보 제4487710호, 미국 특허공보 제5663136호 및 국제 공개공보 제2004/041982호는 모두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가 용액으로부터 침전되게 하는 방식으로 세척액에 존재하는 칼슘 및 마그네슘 양이온과 같은 유리 양이온과 착물을 형성할 수 있고, 이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활성의 감소로 이어진다. 극단적인 경우, 이러한 수불용성 착물은 직물에 침착되어 백도(whiteness) 유지 및 직물 무결성(fabric integrity) 효과가 열악하게 될 수도 있다. 이는 고농도의 칼슘 양이온이 존재하는 경우의 경수 세탁 조건에 세탁 세제 조성물이 사용될 때 특히 문제가 된다.
용액으로부터 침전되게 하는 방식으로 세척액에서 유리 양이온과 착물을 형성하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경향은 칼슘 및 마그네슘 양이온과 같은 양이온과의 결합 상수가 큰 제올라이트 빌더 및 포스페이트 빌더와 같은 빌더의 존재에 의해 완화된다. 이러한 빌더는 유리 칼슘 및 마그네슘 양이온을 봉쇄하여 상기한 바람직하지 못한 착물의 형성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제올라이트 빌더는 수불용성이고 이의 세탁 세제 조성물로의 혼입에 의해 세탁 세제 조성물의 용해가 열악 해지고 또한 바람직하지 못한 잔류물이 직물에 침착될 수 있다. 또한, 고수준의 제올라이트 빌더를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은 물과 접촉시 바람직하지 못한 탁한 세척액을 형성한다. 포스페이트 빌더는 일견 유리한 환경 프로파일을 갖지 않고 세탁 세제 조성물에서의 이의 사용이 덜 보편적인데, 이는, 예를 들면, 많은 국가에서의 포스페이트에 관한 법률로 인한 것이다.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및 알킬 에톡시화 설페이트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이 영국 특허공보 제1408969호, 영국 특허공보 제1408970호, 미국 특허공보 제4487710호 및 미국 특허공보 제5663136호에 기재되어 있다.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광범위한 물의 경도에서 얼룩 제거를 향상시킨다고 알려진 세제 조성물이 국제 공개공보 제2004/041982호에 기재되어 있다. 과립형 세제와 수증기 전달율이 낮은 패키징 시스템의 조합이 유럽 특허공보 제634484호에 기재되어 있다.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우수한 직물 세정능, 특히 기름기 많은 얼룩에 대한 우수한 세정능, 우수한 백도 유지성, 및 매우 우수한 분배 및 용해 프로파일을 갖고, 물에 용해될 때 투명한 세척액을 제공하는 과립형 세탁 세제 조성물이 여전히 필요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a) 0.1중량% 내지 10중량%,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b) 1중량% 내지 25중량%, 제올라이트 빌 더(d) 0중량% 내지 4중량%, 포스페이트 빌더(e) 0중량% 내지 4중량% 및 규산염(f) 0중량%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당해 조성물은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0.1중량% 내지 10중량% 포함한다. 이는 기름기 많은 오염물에 대한 우수한 세정능을 제공하고, 우수한 거품 발생 프로파일을 제공하고, 전체 세제용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경도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최적 수준이다. 당해 조성물이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3중량% 내지 5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고, 또는 당해 조성물이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1중량% 내지 3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평균 알콕시화 정도가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인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직쇄 또는 측쇄 C12-18 알킬 알콕시화 설페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평균 에톡시화도가 1 내지 10인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직쇄 또는 측쇄 C12-18 알킬 에톡시화 설페이트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평균 에톡시화도가 3 내지 7인 치환되지 않은 직쇄형 C12-18 알킬 에톡시화 설페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적어도 일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부가 비분무 건조 분말, 예를 들면, 압출물, 응집물, 바람직하게는 응집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이는 고수준의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조성물에 혼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특히 바람직하다.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가 유리 칼슘 양이온의 존재하에 용액으로부터 덜 침전되게 함으로써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활성을 또한 증가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대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5:1 미만, 또는 3:1 미만, 또는 1.7:1 미만, 또는 심지어 1.5:1 미만이다. 이러한 비는 우수한 경도 내성 프로파일 및 우수한 거품 발생 프로파일과 더불어 최적의 백도 유지 성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대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중량비가 5:1 초과, 또는 6:1 초과, 또는 7:1 초과, 또는 심지어 10:1 초과인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는 우수한 경도 내성 프로파일 및 우수한 거품 발생 프로파일과 더불어 기름기 많은 오염물에 대한 최적의 세정능을 제공한다. 적합한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로는 코그니스(Cognis)의 텍사판(Texapan) LEST™, 사솔(Sasol)의 코스마콜(Cosmacol) AES™, 스테판(Stephan)의 BES151™, 엠피콜(Empicol) ESC70/U™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당해 조성물은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1중량% 내지 25중량% 포함한다. 이는 우수한 세정능을 제공하기 위한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최적 수준이다. 당해 조성물이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16중량% 내지 2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는 당해 조성물이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1중량% 내지 3중량% 포함할 때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양의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우수한 경도 내성 프로파일 및 우수한 거품 발생 프로파일과 더불어 기름기 많은 물질에 대한 우수한 세정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당해 조성물이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4중량% 내지 10중량%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는 당해 조성물이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3중량% 내지 5중량% 포함할 때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양의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우수한 경도 내성 프로파일 및 우수한 거품 발생 프로파일과 더불어 우수한 백도 유지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알킬 설페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 포스포네이트, 알킬 카복실레이트 또는 여타의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C10-C18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LAS), 바람직하게는 C10-C13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전형적으로 화학식 I의 C10-C20의 1차 측쇄, 직쇄 및 불규칙쇄 알킬 설페이트(AS); 전형적으로 화학식 II의 C10-C18 2차 (2,3) 알킬 설페이트; C10-C18 알킬 알콕시 카복실레이트; 미국 특허공보 제6,020,303호 및 미국 특허공보 제6,060,443호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분지된 중쇄 알킬 설페이트; 국제 공개공보 제99/05243호, 국제 공개공보 제99/05242호, 국제 공개공보 제99/05244호, 국제 공개공보 제99/05082호, 국제 공개공보 제99/05084호, 국제 공개공보 제99/05241호, 국제 공개공보 제99/07656호, 국제 공개공보 제00/23549호 및 국제 공개공보 제00/23548호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개질된 알킬벤젠 설포네이트(MLAS); 메틸 에스테르 설포네이트(MES); 알파-올레핀 설포네이트(AO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CH3(CH2)xCH2-OSO3 -M+
Figure 112007012266277-PCT00001
위의 화학식 I 및 II에서,
M은 수소 또는 전하 중성을 제공하는 양이온이고, 바람직한 양이온은 나트륨 및 암모늄 양이온이고,
x는 7 이상, 바람직하게는 9 이상의 정수이다.
y는 8 이상, 바람직하게는 9 이상의 정수이다.
바람직한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직쇄 또는 측쇄 C12-18 알킬 설페이트;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직쇄 또는 측쇄 C10-13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바람직하게는 직쇄 C10-13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및 이들 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매우 바람직한 것은 직쇄 C10-13 알킬벤젠 설포네이트이다. 수득 가능한, 바람직하게는 구입 가능한 직쇄 알킬 벤젠(LAB)을 설포네이트화함으로써 수득한 직쇄 C10-13 알킬벤젠 설포네이트이 매우 바람직하고, 적합한 LAB는 저급 2-페닐 LAB, 예를 들면, 사솔의 상표명 이소켐(Isochem)®하에 제공되는 것 또는 페트레사(Petresa)의 상표명 페트레랩(Petrelab)®하에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고, 기타 적합한 LAB는 고급 2-페닐 LAB, 예를 들면, 사솔의 상표명 하이블렌(Hyblene)®하에 제공되는 것을 포함한다.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가 보다 큰 칼슘 내성을 갖게 하고 유리 칼슘 이온의 존재하에 세척액으로부터 덜 침전되게 하는 방식으로 구조적으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적 변경은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헤드(head) 그룹의 근처에 메틸 또는 에틸 잔기를 도입하는 것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헤드 그룹의 입체 장애로 인해 칼슘 내성이 보다 큰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는 용액으로부터의 침전을 야기하는 방식으로 유리 칼슘 양이온과 착물을 형성하는 것에 대한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친화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구조적 변경은 관능 잔기, 예를 들면, 아민 잔기를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알킬쇄에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는 칼슘 내성이 보다 큰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 제를 유발할 수 있고, 그 이유는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알킬쇄에 관능 그룹이 존재하면, 세척액에서 유리 칼슘 이온의 존재하에 매끄러운 결정 구조를 형성하는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하지 못한 물리 화학적 특성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가 용액으로부터 침전되는 경향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응집물, 분무 건조 분말, 압출물, 비드, 누들(noodle), 침상체 또는 박편과 같은 미립자 형태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또는 이의 적어도 일부는 응집물 형태로 존재하고, 당해 응집물은 바람직하게는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응집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 내지 65중량% 포함한다.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일부는 분무 건조 분말(예: 송풍 건조 분말)의 형태로 존재하고,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일부는 비분무 건조 분말의 형태(예: 응집물, 또는 압출물, 또는 박편, 예를 들면, 직쇄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박편; 적합한 직쇄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박편은 파일럿 케미칼(Pilot Chemical)의 상표명 F90®하에 또는 스테판(Stepan)의 상표명 나코놀(Nacconol) 90G®하에 공급됨)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는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고수준으로 조성물에 혼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특히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당해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0.1중량% 내지 5중량%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조성물은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0.5중량% 내지 3중량%, 또는 1중량% 내지 3중량%, 또는 심지어 1중량% 내지 2중량% 포함한다. 이는 우수한 세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최적 수준이다. 적합한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로는 알킬 피리디늄 화합물, 알킬 4급 암모늄 화합물, 알킬 4급 포스포늄 화합물 및 알킬 3급 설포늄 화합물이 있다.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미국 특허공보 제6,136,769호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알콕실레이트 4급 암모늄(AQA) 계면활성제; 미국 특허공보 제6,004,922호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디메틸 하이드록시에틸 4급 암모늄 계면활성제; 국제 공개공보 제98/35002호, 국제 공개공보 제98/35003호, 국제 공개공보 제98/35004호, 국제 공개공보 제98/35005호 및 국제 공개공보 제98/35006호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폴리아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미국 특허공보 제4,228,042호, 미국 특허공보 제4,239,660호, 미국 특허공보 제4,260,529호 및 미국 특허공보 제6,022,844호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양이온성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미국 특허공보 제6,221,825호 및 국제 공개공보 제00/47708호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아미노 계면활성제, 구체적으로는 아미도 프로필디메틸 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III의 4급 암모늄 화합물이다.
(R)(R1)(R2)(R3)N+ X-
위의 화학식 III에서,
R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직쇄 또는 측쇄 C6-18 알킬 또는 알케닐 잔기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메틸 또는 에틸 잔기로부터 선택되고,
R3은 하이드록실, 하이드록시메틸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잔기이고,
X는 전하 중성을 제공하는 음이온이고, 바람직한 음이온에는 할라이드(예: 클로라이드), 설페이트 및 설포네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모노-C6-18 알킬 모노-하이드록시에틸 디메틸 4급 암모늄 클로라이드이다. 매우 바람직한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모노-C8-10 알킬 모노-하이드록시에틸 디메틸 4급 암모늄 클로라이드, 모노-C10-12 알킬 모노-하이드록시에틸 디메틸 4급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모노-C10 알킬 모노-하이드록시에틸 디메틸 4급 암모늄 클로라이드이다.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추가로 기름기 많은 오염물의 세정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가 용액으로부터 침전되는 경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및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개별 입자 형태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이는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가 비알콕시화 음이온 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하지 못한 침전에 미칠 수도 있는 모든 영향을 최소화하고, 또한 물과 접촉시 생성된 세척액이 탁해지지 않도록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대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5:1 내지 25:1, 보다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20:1 또는 6:1 내지 15:1, 또는 7:1 내지 10:1, 또는 심지어 8:1 내지 9:1의 범위이다.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분무 건조 분말, 응집물, 압출물, 박편, 누들, 침상체,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미립자 형태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또는 적어도 이의 일부는 분무 건조 분말 또는 응집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비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당해 조성물은 비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0.5중량% 내지 10중량%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조성물은 비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1중량% 내지 7중량% 또는 2중량% 내지 4중량% 포함할 수도 있다. 당해 조성물에서 비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함유는 특히 고온, 예를 들면, 60℃ 또는 그 이상에서 세탁할 때 우수한 전체 세정 프로파일의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비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C12-C18 알킬 에톡실레이트, 예를 들면, 쉘(Shell)의 네오돌(NEODOL)®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6-C12 알킬 페놀 알콕실레이트(여기서, 알콕실레이트 단위는 에틸렌옥시 단위 또는 프로필렌옥시 단위 또는 이 들의 혼합물이다); C12-C18 알코올 및 C6-C12 알킬 페놀과 바스프(BASF)의 플루로닉(Pluronic)®과 같은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중합체와의 축합물; 미국 특허공보 제6,150,322호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C14-C22 중쇄의 분지된 알코올(BA); 미국 특허공보 제6,153,577호, 미국 특허공보 제6,020,303호 및 미국 특허공보 제6,093,856호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C14-C22 중쇄의 분지된 알킬 알콕실레이트[BAEx(여기서, x는 1 내지 30이다)]; 미국 특허공보 제4,565,647호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알킬폴리사카라이드, 구체적으로는 미국 특허공보 제4,483,780호 및 미국 특허공보 제4,483,779호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미국 특허공보 제5,332,528호, 국제 공개공보 제92/06162호, 국제 공개공보 제93/19146호, 국제 공개공보 제93/19038호 및 국제 공개공보 제94/09099호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 미국 특허공보 제6,482,994호 및 국제 공개공보 제01/42408호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에테르 캡핑된 폴리(옥시알킬화) 알코올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비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및/또는 알킬 알콕시화 알코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평균 에톡시화도가 1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인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직쇄 또는 측쇄 C8-18 알킬 에톡시화 알코올이다.
비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는 추가로 기름기 많은 오염물의 세정능을 제공할뿐만 아니라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가 유리 칼슘 양이온의 존재하에 용액으로부터 덜 침전되게 함으로써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대 비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8:1 미만, 또는 7:1 미만, 또는 6:1 미만 또는 5:1 미만,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5:1, 또는 2:1 내지 5:1, 또는 심지어 3:1 내지 4:1의 범위이다.
비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또는 적어도 이의 일부는 액체 스프레이-온(spray-on)의 형태로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고, 액체 형태(예: 고온-용융물의 형태)의 비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또는 적어도 이의 일부는 잔량의 조성물에 분무된다. 비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또는 적어도 이의 일부는 미립자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고, 비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또는 적어도 이의 일부는 잔량의 조성물에 건식 첨가될 수도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적어도 이의 일부는 고체 담체 물질, 예를 들면, 탄산염, 황산염, 부르카이트(burkeite), 실리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의 공-미립자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비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또는 적어도 이의 일부는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와의 공-미립자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비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또는 적어도 이의 일부는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와 함께 응집 또는 압출될 수도 있다.
제1 계면활성제, 제2 계면활성제 및 제3 계면활성제 성분
당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이 미립자 형태인 2종 이상의 별개의 계면활성제 성분을 포함한다. 당해 조성물은 각각이 미립자 형태인 3종 이상의 별개의 계면활성제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은 알콕시화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주로 포함한다. 주로 포함한다라는 것은,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이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초과, 바람직하게는 60% 초과, 또는 70% 초과, 또는 80% 초과, 또는 90% 초과 또는 심지어 본질적으로 100%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은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또는 2% 미만, 또는 심지어 0%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은 본질적으로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이 의도적으로 첨가되는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조성물이 우수한 분배 및 용해 프로파일을 갖도록 보장하기 위해 그리고 또한 조성물이 물에 용해될 때 투명한 세척액을 제공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특히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가 당해 조성물에 존재하면, 바람직하게는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은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또는 2% 미만, 또는 심지어 0%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은 본질적으로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이 의도적으로 첨가되는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세척액에서의 계면활성제의 겔화도의 감소를 위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분무 건조 분말, 응집물, 압출물 또는 박편의 형태로 존재한다. 제1 계면활성제가 응집물 입자 또는 압출물 입자의 형태로 존재하면, 바람직하게는 당해 입자는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입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65% 포함한다.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이 분무 건조 입자 형태로 존재하면, 바람직하게는 당해 입자는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입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중량% 내지 30중량% 포함한다.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은 고체 담체 물질과의 공-미립자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고체 담체 물질은 황산염 및/또는 탄산염, 바람직하게는 황산나트륨 및/또는 탄산나트륨일 수 있다.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은 비알콕시화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주로 포함한다. 주로 포함한다라는 것은,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이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초과, 바람직하게는 60% 초과, 또는 70% 초과, 또는 80% 초과, 또는 90% 초과 또는 심지어 본질적으로 100%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은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또는 2% 미만, 또는 심지어 0% 포함한다.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가 조성물에 존재하면, 바람직하게는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은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또는 2% 미만, 또는 심지어 0%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은 본질적으로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이 의도적으로 첨가되는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은 본질적으로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이 의도적으로 첨가되는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조성물이 우수한 분배 및 용해 프로파일을 갖도록 보장하기 위해 그리고 또한 조성물이 물에 용해될 때 투명한 세척액을 제공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특히 바람직하다.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분무 건조 분말, 섬광 건조(flash-dried) 분말, 응집물 또는 압출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이 응집물 입자의 형태로 존재하면, 바람직하게는 당해 입자는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입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50%, 또는 5중량% 내지 25중량% 포함한다.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은 고체 담체 물질과의 공-미립자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고체 담체 물질은 황산염 및/또는 탄산염, 바람직하게는 황산나트륨 및/또는 탄산나트륨일 수 있다.
제3 계면활성제 성분은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주로 포함한다. 주로 포함한다는 것은, 제3 계면활성제 성분이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제3 계면활성제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초과, 바람직하게는 60% 초과, 또는 70% 초과, 또는 80% 초과, 또는 90% 초과 또는 심지어 본질적으로 100% 포함함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 계면활성제 성분은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제3 계면활성제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또는 2% 미만, 또는 심지어 0%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 계면활성제 성분은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제3 계면활성제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또는 2% 미만, 또는 심지어 0%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 계면활성제 성분은 본질적으로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제3 계면활성제 성분이 의도적으로 첨가되는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 계면활성제 성분은 본질적으로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제3 계면활성제 성분이 의도적으로 첨가되는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조성물이 우수한 분배 및 용해 프로파일을 갖도록 보장하기 위해 그리고 또한 조성물이 물에 용해될 때 투명한 세척액을 제공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특히 바람직하다.
제3 계면활성제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분무 건조 분말, 섬광 건조 분말, 응집물 또는 압출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제3 계면활성제 성분이 응집물 입자의 형태로 존재하면, 바람직하게는 당해 입자는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입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50%, 또는 5중량% 내지 25중량% 포함한다. 제3 계면활성제 성분은 고체 담체 물질과의 공-미립자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고체 담체 물질은 황산염 및/또는 탄산염, 바람직하게는 황산나트륨 및/또는 탄산나트륨일 수 있다.
규산염
당해 세제 조성물은 규산염을 0중량% 내지 10중량% 포함한다. 당해 조성물은 규산염을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5중량%, 또는 4중량% 미만, 또는 2중량% 미만, 또는 1중량% 포함한다. 심지어 당해 조성물이 규산염을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규산염을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조성물이 의도적으로 첨가되는 실리케이트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조성물이 매우 우수한 분배 및 용해 프로파일을 갖도록 보장하기 위해 그리고 조성물이 물에 용해될 때 투명한 세척액을 제공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특히 바람직하다. 규산염은 수불용성 실리케이트를 포함한다. 규산염은 비결정질 실리케이트 및 결정질 층상 실리케이트(예: SKS-6)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규산염은 규산나트륨이다.
제올라이트 빌더
당해 조성물은 제올라이트 빌더를 0중량% 내지 4중량% 포함한다. 당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제올라이트 빌더를 0중량% 내지 3중량%, 또는 0중량% 내지 2중량%, 또는 0중량% 내지 1중량% 포함한다. 심지어 당해 조성물이 제올라이트 빌더를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제올라이트 빌더를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조성물이 의도적으로 첨가되는 제올라이트 빌더를 포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는 조성물이 매우 고도로 용해성이고, (예: 직물 표면에 침착할 수도 있는) 수불용성 잔사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경우, 그리고 또한 투명 세척액을 갖는 것이 매우 바람직할 때 특히 바람직하다. 제올라이트 빌더는 제올라이트 A, 제올라이트 X, 제올라이트 P 및 제올라이트 MAP를 포함한다.
포스페이트 빌더
당해 조성물은 포스페이트 빌더를 0중량% 내지 4중량% 포함한다. 당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포스페이트 빌더를 0중량% 내지 3중량%, 또는 0중량% 내지 2중량%, 또는 0중량% 내지 1중량% 포함한다. 심지어 당해 조성물이 포스페이트 빌더를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포스페이트 빌더를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조성물이 의도적으로 첨가되는 포스페이트 빌더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조성물의 환경 프로파일이 매우 우수한 것이 바람직할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포스페이트 빌더는 트라이폴리인산나트륨을 포함한다.
보조 빌더
당해 조성물은 제올라이트 빌더 및 포스페이트 빌더 이외의 보조 빌더를 포함할 수도 있고, 특히 바람직한 것은 수용성 보조 빌더이다. 보조 빌더는 바람직하게는 탄산나트륨, 설팜산 및/또는 이의 수용성 염, 예를 들면, 설팜산나트륨, 시트르산 및/또는 이의 수용성 염, 예를 들면, 시트르산 나트륨, 중합체성 폴리카복실레이트, 예를 들면, 아크릴산과 말레산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당해 조성물은 수불용성 빌더, 예를 들면, 제올라이트 A, 제올라이트 X, 제올라이트 P 및 제올라이트 MAP를 매우 낮은 수준으로 포함하는 반면, 수용성 보조 빌더, 예를 들면, 탄산나트륨, 설팜산 및 시트르산을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탄산나트륨 대 제올라이트 빌더의 중량비는 5:1 이상, 바람직하게는 10:1 이상, 또는 15:1 이상, 또는 20:1 이상 또는 25: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탄산염
당해 세제 조성물은 탄산염을, 전형적으로는 1중량% 내지 50중량%, 또는 5중량% 내지 25중량% 또는 10중량% 내지 2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탄산염은 탄산나트륨 및/또는 중탄산나트륨이다. 매우 바람직한 탄산염은 탄산나트륨이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조성물은 탄산나트륨을 10중량% 내지 20중량%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당해 조성물이 중탄산나트륨을 2중량% 내지 8중량%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준의 중탄산나트륨은 계면활성제-카보네이트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계면활성제의 겔화에 대한 위험성을 최소화하면서 우수한 알칼리성을 제공한다. 당해 조성물이 탄산나트륨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면, 바람직하게는 탄산나트륨 대 제올라이트의 중량비는 15:1 이상이다.
탄산염 또는 적어도 이의 일부는 전형적으로 미립자 형태로 존재하고 이는 전형적으로 중량 평균 입자 크기가 200 내지 500㎛ 범위이다. 그러나, 탄산염 또는 적어도 이의 일부는 미분화(micronized) 미립자 형태로 존재하고 이는 전형적으로는 중량 평균 입자 크기가 4 내지 4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고, 이는 탄산염 또는 적어도 이의 일부가 세제용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와의 공-미립자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할 때 특히 바람직하다.
고수준의 카보네이트는 세척액의 pH를 증가시킴으로써 조성물의 세정능을 개선시킨다. 이러한 알칼리성 증가에 의해, 존재할 경우 표백제의 성능이 개선되며, 오염물이 직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오염물의 가수 분해 경향을 증가시키고, 또한 세정될 오염물의 이온화 속도 및 정도를 증가시키며, 이온화된 오 염물은 용해성이 보다 커지고 세탁 과정의 세탁 단계 동안 직물로부터의 제거가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높은 카보네이트 수준에 의해, 세제 조성물이 자유 유동 미립자 형태로 존재할 때의 조성물의 유동성이 개선된다.
그러나, 카보네이트 음이온은 세척액에서 칼슘 양이온과 용이하게 착물을 형성하여 탄산칼슘을 형성한다. 탄산칼슘은 수불용성이고, 세척액에서 용액으로부터 침전되고 직물에 침착되어 백도 유지가 열악해질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조성물은 저수준의 탄산염을 포함하거나 탄산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바람직할 수도 있다. 당해 조성물은 카보네이트의 존재와 관련된 결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탄산염을 0중량% 내지 10중량%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성물에서 더 높은 수준의 탄산염을 혼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당해 조성물이 탄산염을 고수준으로, 예를 들면, 10중량% 이상으로 포함하면, 당해 조성물은 카보네이트 음이온과 산/염기 반응을 할 수 있는 산 공급원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고, 산 공급원은 설팜산, 시트르산, 말산, 석신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산 공급원은 설팜산이다. 바람직하게는, 카보네이트 음이온과 산/염기 반응을 할 수 있는 조성물에서 산 공급원의 총량에 대한 탄산염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50:1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5:1 미만, 또는 15:1 미만, 또는 10:1 미만 또는 심지어 5:1 미만이다. 당해 조성물이 탄산나트륨 및 설팜산을 포함하면, 바람직하게는 탄산나트륨 대 설팜산의 중량비는 5:1 미만이다.
카보네이트 음이온 공급원
세척액에서 너무 높은 농도의 카보네이트 음이온이 있게 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당해 조성물에서 카보네이트 음이온 공급원의 총량은 바람직하게는 제한된다. 바람직한 카보네이트 음이온 공급원은 탄산염 및/또는 과탄산염이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에서 카보네이트 음이온 공급원의 총량(카보네이트 음이온을 기준으로 함)은 카보네이트 음이온과 산/염기 반응을 할 수 있는 조성물에 존재하는 산 공급원의 총량을 완전히 중화시키는 데 필요한 카보네이트 음이온 공급원의 이론량보다 7중량% 내지 14중량% 많다. 상기에 설명된 방식으로 조성물에서 산 공급원의 양에 대해 조성물에서 카보네이트 음이온 공급원의 총량을 조절함으로써, 조성물에서 카보네이트 음이온 공급원을 갖는 모든 효과가 최대화되는 반면, 세척액에서 너무 높은 농도의 카보네이트 음이온을 갖는 모든 바람직하지 못한 부정적인 영향은 최소화된다.
황산염
당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황산염을 10중량%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고수준의 황산염은 조성물의 기름기 많은 얼룩 제거 세정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황산염은 황산나트륨이다. 황산나트륨 및 설팜산은 물의 존재하에 함께 착물을 형성하여 화학식 IV의 착물을 형성할 수 있다.
6 HSO3NH2 ㆍ 5 Na2SO4 ㆍ 15 H2O
이러한 착물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당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매우 높은 수준의 황산염을 포함할 수도 있고, 세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황산염을 15중량% 이상 , 또는 심지어 20중량%, 또는 25중량% 그리고 때로 심지어 30중량% 이상 포함한다. 황산염 또는 적어도 이의 일부는 전형적으로 중량 평균 입자 크기가 60 내지 200㎛ 범위인 미립자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그러나, 황산염 또는 적어도 이의 일부는 전형적으로 중량 평균 입자 크기가 5㎛ 내지 6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범위인 미분화 미립자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심지어 황산염은 전형적으로 중량 평균 입자 크기가 200㎛ 초과 내지 800㎛인 조 미립자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당해 조성물이 황산염을 20중량% 미만, 또는 심지어 10중량% 미만 또는 심지어 5중량% 미만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도 있다.
당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탄산염 및 황산염을 합한 총량 60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당해 조성물은 탄산염 및 황산염을 합한 총량 55중량% 미만, 또는 50중량% 미만, 또는 45중량% 미만, 또는 40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설팜산
당해 세제 조성물은 설팜산 및/또는 이의 수용성 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설팜산의 수용성 염은 설파메이트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일 수 있다. 설팜산의 수용성 염의 다른 예로는 설팜산암모늄, 설팜산아연 및 설팜산납이 포함된다. 설팜산의 바람직한 수용성 염은 설팜산나트륨이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세제 조성물은 설팜산을 포함한다. 당해 세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설팜산 및/또는 이의 수용성 염을 (설팜산을 기준으로 하여) 0.1중량% 내지 20중량% 포함하지만, 당해 세제 조성물은 설팜산 및/또는 이의 수용성 염을 0.1중량% 내지 15중량%, 또는 1중량% 내지 12중량%, 또는 심지어 3중량% 내지 1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설팜산은 전형적으로 화학식 V를 가진다.
H2NSO3H
설팜산은 세제 조성물에 존재할 때 쯔비터 이온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쯔비터 이온 형태의 설팜산은 화학식 VI을 가진다.
H3N+SO3 -
가능하게는 적어도 일부, 가능하게는 전부의 설팜산은, 조성물에, 예를 들면, 개별적인 미립자 성분으로서 존재할 때, 쯔비터 이온 형태로 존재한다.
설팜산은 세제 조성물의 분배 및 붕해를 개선시킬 수 있다. 이는, 자동 세탁기의 드럼 또는 자동 세탁기의 분배 서랍 또는 몇몇 다른 분배 장치, 예를 들면, 볼(ball) (그래뉼레테(granulette)) 또는 망(net) 속의 세척액과 같은 수성 환경에서, 존재할 경우의 카보네이트 공급원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기체를 생성할 수 있다. 설팜산과 카보네이트 공급원의 조합은 세제 조성물의 분배 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발포(effervescence) 시스템이다. 또한, 이러한 발포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세척액에서의 추가의 교반도 세제 조성물의 세정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설팜산은 시트르산, 말산 또는 석신산과 같은 다른 산보다 상당히 적은, 매우 낮은 흡습성을 가지며, 설팜산은 물을 용이하게 흡수되지 않는다. 설팜산은 세제 조성물의 보관 동안 안정하고 높은 습도와 같은 임의의 보관 조건하에 세제 조성물의 다른 성분을 용이하게 품질 저하시키지 않는다. 놀랍게도, 설팜산은 심지어 이동성 액체 상, 예를 들면, 비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서도 안정하다. 보다 더 놀랍게도, 설팜산은 높은 습도 하에서의 보관 동안 방향제를 쉽게 품질 저하시키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설팜산 및/또는 이의 수용성 염은 미립자 형태로 존재한다. 세제 조성물이 미립자 형태, 특히 자유 유동 미립자 형태로 존재할 때 설팜산 및/또는 이의 수용성 염은 바람직하게는 미립자 형태로 존재하고 바람직하게는 건식 첨가 입자의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별개의 건식 첨가 입자의 형태로 세제 조성물에 혼입된다. 또는, 설팜산은 카보네이트 공급원과의 공-미립자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고, 이러한 공-미립자 혼합물은 응집법(가압 응집법을 포함), 롤러 압축법, 압출법, 구형화법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립자 형태의 설팜산 및/또는 이의 수용성 염의 중량 평균 입자 크기는 210㎛ 내지 1,200㎛, 또는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800㎛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미립자 형태의 설팜산 및/또는 이의 수용성 염의 입자 크기 분포는 설팜산 및/또는 이의 수용성 염 중에서 35중량% 이하가 250㎛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도록, 바람직하게는 설팜산 및/또는 이의 수용성 염 중에서 30중량% 이하가 250㎛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도록,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설팜산 및/또는 이의 수용성 염 중에서 35중량% 이하가 1,000㎛ 초과의 입자 크기를 갖도록, 바람직하게는 설팜산 및/또는 이의 수용성 염 중에서 25중량% 이하가 1,000㎛ 초과의 입자 크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설팜산 및/또는 이의 수용성 염은 빌딩(building) 능력이 다른 산, 예를 들면, 시트르산, 말산, 석신산 및 이의 염보다 탁월하다. 조성물에 혼입되거나 설팜산의 동일 반응계 중화에 의해 세척액 속에서 현장 생성되는 설파메이트는 유리 양이온(예: 각각 설팜산칼슘 및/또는 설팜산마그네슘을 형성하는 칼슘 및/또는 마그네슘 양이온)과의 결합 효율이 높다. 세제 조성물에서 설팜산 및/또는 이의 수용성 염의 존재로 인한 이러한 탁월한 빌딩 능력은, 고농도의 유리 칼슘 및/또는 마그네슘과 관련된 세정에서의 결점이 나타날 가능성이 가장 높을 때, 세제 조성물이 매우 낮은 수준의 제올라이트 빌더 및 포스페이터 빌더를 포함하거나 이 빌더들을 전혀 포함하지 않을 때 특히 유익하다.
중합체성 폴리카복실레이트
당해 조성물은 중합체성 폴리카복실레이트를 1중량% 이상, 또는 2중량% 이상, 또는 3중량% 이상, 또는 4중량% 이상, 또는 심지어 5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고수준의 중합체성 폴리카복실레이트는 빌더로서 작용하고 세척액에서 유리 칼슘 이온을 봉쇄할 수 있고, 또한 이는 오염물 분산제로서 작용 할 수 있고 개선된 미립자형 얼룩 제거 세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중합체성 폴리카복실레이트에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Da 내지 20,000Da인 것; 말레산과 아크릴산과의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말레산 단량체 대 아크릴산 단량체의 몰비가 1:1 내지 1:10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Da 내지 200,000Da이거나, 바람직하게는 말레산 단량체 대 아크릴산 단량체의 몰비가 0.3:1 내지 3:1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Da 내지 50,000Da인 것이 포함된다.
오염물 분산제
당해 조성물이 화학식 VII의 오염물 분산제를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도 있다.
비스((C2H5O)(C2H4O)n)(CH3)-N+-CxH2x-N+-(CH3)-비스((C2H5O)(C2H4O)n)
위의 화학식 VII에서,
n은 20 내지 30이고, x는 3 내지 8이다.
다른 적합한 오염물 분산제로는 화학식 VIII의 설포네이트 또는 설페이트화 오염물 분산제가 있다.
설포네이트화 또는 설페이트화 비스((C2H5O)(C2H4O)n)(CH3)-N+-CxH2x-N+-(CH3)- 비스((C2H5O)(C2H4O)n)
위의 화학식 VIII에서,
n은 20 내지 30이고, x는 3 내지 8이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조성물은 오염물 분산제를 1중량% 이상, 또는 2중량% 이상, 또는 3중량% 이상 포함한다.
기타 보조 성분
당해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보조 성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조 성분은 퍼카보네이트 및/또는 퍼보레이트와 같은 표백제; 바람직하게는 테트라아세틸 에틸렌 다이아민과 같은 표백 활성화제, 노나노일 옥시벤젠 설포네이트와 같은 옥시벤젠 설포네이트 표백 활성화제, 카프로락탐 표백 활성화제, N-노나노일-N-메틸 아세트아미드와 같은 이미드 표백 활성화제, 사전 형성된 과산, 예를 들면, N,N-프탈로일아미노 퍼옥시카프로익산, 노닐아미도 퍼옥시아디프산 또는 다이벤조일 퍼옥사이드와 조합된 퍼카보네이트 및/또는 퍼보레이트와 같은 표백제; 킬레이트제, 예를 들면, 다이에틸렌 트라이아민 펜타아세테이트, 다이에틸렌 트라이아민 펜타(메틸 포스폰산), 에틸렌 다이아민-N'N'-다이석신산,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메틸렌 포스폰산) 및 하이드록시에탄 다이(메틸렌 포스폰산); 효소, 예를 들면, 아밀라제, 카보하이드라제, 셀룰라제, 락카제, 리파제, 옥시다제, 퍼옥시다제, 프로테아제, 펙테이트 라이아제 및 만난아제; 거품 억제 시스템, 예를 들면, 실리콘계 거품 억제제; 증백제; 광표백제; 충전 염; 직물 유연제, 예를 들면, 점토, 실리콘 및/또는 4급 암모늄 화합물; 응집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이염 억제제, 예를 들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 4-비닐피리딘 N-옥사이드 및/또는 비닐피롤리돈 및 비닐이미다졸의 공중합체; 직물 보존 성분, 예를 들면, 소수성으로 개질된 셀룰로오스와 이미다졸과 에피클로르하이드린과의 축합에 의해 생성된 올리고머; 오염물 분산제 및 오염물 재침착 방지 조제, 예를 들면, 폴리카복실레이트, 알콕시화 폴리아민 및 에톡시화 에틸렌이민 중합체; 및 재침착 방지 성분, 예를 들면,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폴리에스테르; 방향제; 및 염료, 예를 들면, 오렌지 염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조성물은 염소계 표백제 1중량% 미만 및 브롬계 표백제 1중량% 미만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조성물은 브롬계 표백제 및 염소계 표백제를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의도적으로 첨가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해 조성물이 섬세한 천의 세탁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라면, 바람직하게는 당해 조성물은 본질적으로 표백제를 포함하지 않고/않거나 본질적으로 프로테아제를 포함하지 않고/않거나, 당해 조성물은 형광 증백 성분을 0중량% 내지 0.1중량% 미만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의도적으로 첨가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섬세한 직물, 예를 들면, 견직물 및/또는 모직물을 세탁할 때 우수한 직물 케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시트르산 나트륨을 0중량% 내지 20중량% 미만, 또는 0중량% 내지 10중량%, 또는 0중량% 내지 5중량%, 또는 0중량% 내지 1중량%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당해 조성물은 설포숙신산 삼나트륨을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2중량%, 또는 0중량% 내지 1중량%, 또는 0중량% 내지 0.1중량%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제형에서의 공간의 최적화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조성물
당해 조성물은 응집물, 분무 건조된 분말, 압출물, 박편, 침상체, 누들, 비드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고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제 조성물은 자유 유동 입자의 형태로 존재한다. 전형적으로, 자유 유동 입자라는 것은 조성물이 개별적인 분리된 입자의 형태로 존재함을 의미한다. 자유 유동 미립자 형태의 세제 조성물의 용적 밀도는 전형적으로 450g/ℓ 내지 1,000g/ℓ이고, 바람직한 낮은 용적 밀도의 세제 조성물은 550g/ℓ 내지 650g/ℓ의 용적 밀도를 갖고, 바람직한 높은 용적 밀도의 세제 조성물은 750g/ℓ 내지 900g/ℓ의 용적 밀도를 갖는다. 세탁 과정 동안, 당해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물과 접촉하여 세척액의 pH가 7 초과 내지 13 미만, 바람직하게는 7 초과 내지 10.5 미만이 되게 한다. 이는 우수한 직물 케어 프로파일도 보장하면서 우수한 세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최적 pH이다.
당해 조성물은 응집법, 분무 건조법, 압출법, 혼합법, 건식 혼합법, 액체 스프레이-온, 롤러 압축법, 구형화법 또는 이들의 조합을 비롯한 임의의 적합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조성물은 농도 9.2g/ℓ 및 온도 20℃에서 물과 접촉시 500NTU(nephelometric turbidity units) 미만의 탁도(i) 및 8 내지 12의 pH(ii)를 갖는 투명 세척액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생성된 세척액의 탁도는 400NTU 미만, 300NTU 미만, 또는 10 내지 300NTU이다. 세척액의 탁도는 전형적으로 H1 93703 마이크로프로세서 탁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세척액의 탁도의 전형적인 측정방법은 하기와 같다. 조성물 9.2g을 비이커 내에서 물 1ℓ에 첨가하여 용액을 형성한다. 이 용액을 20℃에서 62.83rad/s(600rpm)로 5분 동안 교반시킨다. 이어서, 용액의 탁도를 제조업자의 설명서에 따라 H1 93703 마이크로프로세서 탁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전형적으로 당해 조성물은 35℃에서 측정할 때, 평형 상대 습도가 0% 내지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이다. 전형적으로, 평형 상대 습도는 하기와 같이 측정한다.
조성물의 평형 상대 습도의 측정방법
조성물 300g을 수-불투과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용기를 밀봉할 수 있는 뚜껑이 장착된 1ℓ 용기에 넣는다. 뚜껑에는 용기의 내부로 탐침자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개조된 밀봉 가능한 개구가 구비되어 있다. 용기 및 그 내용물은 35℃에서 24시간 동안 유지하여 온도가 평형이 되게 한다. 고체 상태 습도계[영국 해프셔 소재의 테스토텀 리미티드(Testoterm Ltd)가 판매하는 하이그로테스트(Hygrotest) 6100]를 사용하여 수증기압을 측정한다. 이는 용기 뚜껑의 밀봉 가능한 개구를 통 하여 용기의 내부로 탐침자를 삽입하고 상부 공간의 수증기압을 측정함으로써 수행한다. 이러한 측정은 수증기압이 평형될 때까지 10분 간격으로 수행한다. ㄴ이어서, 탐침자는 수증기압 판독치를 평형 상대 습도 값으로 자동 변환한다.
세제 제품
세제 제품은 조성물과 패키징 시스템의 조합을 포함한다. 당해 조성물은 상기에 보다 상세하게 정의되어 있다. 패키징 시스템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정의된다. 패키징 시스템은 수증기 전달율이 0gm-2day-1, 바람직하게는 10gm-2day-1 미만이다. 수증기 전달율은 전형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방법으로 측정되며, 바람직한 방법은 ASTM 표준 E-96-53T 또는 TAPPI 표준 T464 m-45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방법은 ASTM 표준 E-96-53T이다. 패키징 시스템은 상자, 백, 병, 양철통, 캔, 패킷, 소낭(sachet), 드럼의 형태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패키징 시스템은 병의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병은 반투명하다. 조성물의 안정성은 수증기 전달율이 매우 낮은 패키징 시스템 내에 조성물을 보관할 때 개선된다.
실시예 1. 미립자형 세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수성 슬러리 조성물
Figure 112007012266277-PCT00002
분무 건조된 분말의 제조
상기에 설명된 조성을 가지며 수분 함량이 25.89%인 수성 슬러리를 제조한다. 상기 수성 슬러리를 72℃로 가열하고 고압(5.5 ×106Nm-2 내지 6.0 ×106Nm-2) 하에 공기 유입 온도가 270℃ 내지 300℃인 역류식 분무 건조 타워 내로 펌핑한다. 상기 수성 슬러리를 분무화하고 분무화된 슬러리를 건조시켜 고체 혼합물을 형성한 후, 이를 냉각 및 체질하여 너무 큰 물질(> 1.8㎜)을 제거하여 분무 건조된 분말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분말은 자유 유동한다. 미세 물질(< 0.15㎜)을 분무 건조 타워에서 배기 공기(exhaust air)로 분급(elutriate)하고 포스트 타워 봉쇄 시스템(post tower containment system)에서 수집한다. 분무 건조된 분말은 수분 함량이 1.0중량%이고, 용적 밀도가 427g/ℓ이고, 분무 건조된 분말 중 95.2중량%가 150 내지 710㎛의 입자 크기를 갖도록 하는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다. 분무 건조된 분말의 조성이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분무 건조된 분말 조성물
Figure 112007012266277-PCT00003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입자 1의 제조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입자 1을 520g 배치(batch) 기준으로 틸트-에이-핀(Tilt-A-Pin) 혼합기, 이어서 틸트-에이-플로우(Tilt-A-Plow) 혼합기[둘 다 프로세스올(Processall)에 의해 제조됨]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공급된 황산나트륨 108g을 탄산나트륨 244g과 함께 틸트-에이-핀 혼합기에 첨가한다. 70% 활성 C25E3S 페이스트(C12/15 알코올 및 에틸렌 옥사이드를 기재로 하는 나트륨 에톡시 설페이트) 168g를 틸트-에이-핀 혼합기에 첨가한다. 이어서, 상기 성분들을 125.66rad/s(1,200rpm)로 10초 동안 혼합한다. 이어서, 생성된 분말을 틸트-에이-플로우 혼합기로 옮기고 20.94rad/s(200rpm)로 2분 동안 혼합하여 입자를 형성한다. 이어서, 입자가 입자의 평형 상대 습도가 15% 미만이 될 때까지 120℃에서 2,500ℓ/분의 속도로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이어서, 건조된 입자를 체질하고, 1,180㎛를 통과하여 250㎛에 있는 분획을 보유한다.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입자 1의 조성은 하기와 같다.
C25E3S 나트륨 에톡시 설페이트: 25.0%(w/w)
황산나트륨: 18.0%(w/w)
탄산나트륨: 57.0%(w/w)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입자 1의 제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입자 1을 14.6㎏ 배치 기준으로 모턴(Morton) FM-50 뢰디게(Loedige) 혼합기에서 제조한다. 미분화 황산나트륨 4.5㎏ 및 미분화 탄산나트륨 4.5㎏을 모턴 FM-50 뢰디게 혼합기에서 사전 혼합한다. 40% 활성 모노-C12-14 알킬 모노-하이드록시에틸 디메틸 4급 암모늄 클로라이드(양이온성 계면활성제) 4.6㎏의 수용액은 주 드라이브 및 초퍼(chopper) 둘 다를 작동시키면서 모턴 FM-50 뢰디게 혼합기에 첨가한다. 대략 2분간의 혼합 후, 1:1 중량비의 미분화 황산나트 륨 및 미분화 탄산나트륨 믹스(mix) 1.0㎏을 혼합기에 첨가한다. 생성된 응집물을 수집하고 100 내지 140℃에서 2,500ℓ/분의 공기를 기본으로 하여 유동층 건조기를 사용하여 30분 동안 건조시킨다. 생성된 분말을 체질하고 1400㎛를 통과한 분획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입자 1로서 수집한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입자 1의 조성은 하기와 같다.
모노-C12-14 알킬 모노-하이드록시에틸 디메틸 4급 암모늄 클로라이드: 15%(w/w)
탄산나트륨: 40.76%(w/w)
황산나트륨: 40.76%(w/w)
수분 및 잔량: 3.48%(w/w)
과립형 세탁 세제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의 분무 건조 분말 10.84㎏,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입자 1 4.76㎏,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입자 1 1.57㎏ 및 기타 개별적으로 투입되는 건식 첨가 물질 7.83㎏(총량)을 24rpm으로 작동하는 1m 직경의 콘크리트 배치 혼합기 내로 투입한다. 일단 모든 물질이 혼합기로 투입되면, 이 혼합물을 5분 동안 혼합하여 과립형 세탁 세제 조성물을 형성한다. 과립형 세탁 세제 조성물의 제형이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과립형 세탁 세제 조성물
Figure 112007012266277-PCT00004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10. 미립자형 세탁 세제 조성물
하기에 기재된 성분의 양은 중량% 단위이다.
Figure 112007012266277-PCT00005
Figure 112007012266277-PCT00006
Figure 112007012266277-PCT00007
Figure 112007012266277-PCT00008
Figure 112007012266277-PCT00009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형태가 예시되고 기술되었으나, 다른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경과 수정을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포함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모든 문헌은 관련된 부분에서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 임의의 문헌을 인용하는 것이 이 문헌을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로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43)

  1.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a) 0.1중량% 내지 10중량%,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b) 1중량% 내지 25중량%,
    제올라이트 빌더(d) 0중량% 내지 4중량%,
    포스페이트 빌더 (e) 0중량% 내지 4중량% 및
    규산염(f) 0중량%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2종 이상의 별개의 계면활성제인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주로 포함하는 제1 계면활성제 성분(a) 및 비알콕시화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주로 포함하는 제2 계면활성제 성분(b)을 각각 미립자 형태로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주로 포함하는 별개의 제3의 계면활성제 성분을 미립자 형태로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이 비알콕시화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 미만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5.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이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 미만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6. 제3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계면활성제 성분이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a)를, 제3 계면활성제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 미만 및
    비알콕시화 세제용 계면활성제(b)를, 제3 계면활성제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 미만 포함하고,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이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c)를,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 미만 및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d)를,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 미만 포함하고,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이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e)를,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 미만 및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f)를, 제2 계면활성제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 미만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분무 건조된 분말의 형태이고,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일부 또는 전부가 비분무 건조 분말의 형태인,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응집물 형태인,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대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중량비가 7:1 초과인,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활성 계면활성제 16중량% 내지 20중량% 및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1중량%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대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의 중량비가 1.7:1 미만인, 고 형 세탁 세제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활성 계면활성제 4중량% 내지 10중량% 및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 3중량% 내지 5중량%를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가 C10-13 직쇄 알킬벤젠 설포네이트(LAS),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직쇄 또는 측쇄 C12-18 알킬 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로부터 선택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콕시화 음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가, 평균 에톡시화도가 1 내지 10인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직쇄 또는 측쇄 C12-18 알킬 에톡시화 설페이트인,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0.1중량% 내지 5중량%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0.5중량% 내지 3중량% 포함 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가 모노-C6-18 알킬 모노-하이드록시에틸 디메틸 4급 암모늄 클로라이드인,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세제용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규산염을 1중량% 미만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규산염을 포함하지 않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제올라이트 빌더를 포함하지 않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포스페이트 빌더를 포함하지 않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산나트륨을 10중량% 내지 20중량%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산나트륨을 포함하고, 제올라이트 빌더를 또한 포함하는 경우, 탄산나트륨 대 제올라이트 빌더의 중량비가 15:1 이상인,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탄산나트륨을 2중량% 내지 8중량%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보네이트 음이온 공급원(a) 및
    카보네이트 음이온과 산/염기 반응을 할 수 있는 산 공급원(b)을 포함하고,
    고형 세탁 세제는 조성물 속의, 카보네이트 음이온을 기준으로 하는 카보네이트 음이온 공급원의 총량이, 카보네이트 음이온과 산/염기 반응을 할 수 있는, 조성물 속에 존재하는 산 공급원의 총량을 완전히 중화시키는 데 필요한 카보네이트 음이온 공급원의 이론량보다 7중량% 내지 14중량% 많은,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산나트륨을 미분 화(micronized) 미립자 형태로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설팜산 및/또는 이의 수용성 염을 포유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29. 제28항에 있어서, 탄산나트륨 및 설팜산을 포함하고, 탄산나트륨을 10중량% 초과 포함하는 경우, 탄산나트륨 대 설팜산의 중량비가 5:1 미만인,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폴리카복실레이트를 3중량% 이상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VII의 오염물 분산제를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화학식 VII
    비스((C2H5O)(C2H4O)n)(CH3)-N+-CxH2x-N+-(CH3)-비스((C2H5O)(C2H4O)n)
    위의 화학식 VII에서,
    n은 20 내지 30이고,
    x는 3 내지 8이다.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설포숙신산 삼나트륨을 0중량% 내지 2중량% 미만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황산염을 0중량% 내지 20중량% 미만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르산 나트륨을 0중량% 내지 20중량% 미만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표백제를 포함하지 않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프로테아제를 포함하지 않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형광 증백 성분을 0중량% 내지 0.1중량% 미만 포함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과 접촉시 pH가 7 초과 10.5 미만인 세척액을 형성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도 9.2g/ℓ 및 온도 20℃에서 물과 접촉시, 500NTU(nephelometric turbidity unit) 미만의 탁도(a) 및 8 내지 12의 pH(b)를 갖는 투명 세척액을 형성하는, 고형 세탁 세제 조성물.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과, 수증기 전달율이 0gm-2day-1 내지 20gm-2day-1 미만인 패키징 시스템과의 조합을 포함하는, 세제 제품.
  41. 제40항에 있어서, 패키징 시스템의 수증기 전달율이 0gm-2day-1 내지 10 gm-2day-1 미만인, 세제 제품.
  42.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패키징 시스템이 병의 형태인, 세제 제품.
  43. 제40항 내지 제4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평형 상대 습도가, 35℃에서 측정할 때, 0% 내지 30% 미만인, 세제 제품.
KR1020077003221A 2004-08-11 2005-08-11 물에 용해시 투명한 세척액을 형성하는 고수용성 고형 세탁세제 조성물 KR200700361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046404P 2004-08-11 2004-08-11
US60/600,464 2004-08-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170A true KR20070036170A (ko) 2007-04-02

Family

ID=3543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221A KR20070036170A (ko) 2004-08-11 2005-08-11 물에 용해시 투명한 세척액을 형성하는 고수용성 고형 세탁세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605116B2 (ko)
EP (1) EP1776442B1 (ko)
JP (1) JP4932713B2 (ko)
KR (1) KR20070036170A (ko)
CN (1) CN101001941B (ko)
AR (1) AR050127A1 (ko)
AT (1) ATE469202T1 (ko)
AU (1) AU2005272745A1 (ko)
BR (1) BRPI0514300A (ko)
CA (1) CA2573996C (ko)
DE (1) DE602005021502D1 (ko)
EG (1) EG24802A (ko)
ES (1) ES2346671T3 (ko)
MX (1) MX2007001670A (ko)
WO (1) WO20060207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93438A1 (en) * 2005-02-21 2006-08-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particulate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 detersive surfactant, carbonate and a cellulosic polymer
ATE465235T1 (de) * 2005-08-19 2010-05-15 Procter & Gamble Festförmige waschmittelzusammensetzung enthaltend alkylbenzolsulphonat und ein hydratbarer stoff
PL1754781T3 (pl) * 2005-08-19 2013-09-30 Procter & Gamble Stała kompozycja detergentowa do prania zawierająca anionowy środek powierzchniowo czynny i technologię wspomagania wapniem
ATE485361T1 (de) 2005-08-19 2010-11-15 Procter & Gamble Festförmige waschmittelzusammensetzung enthaltend alkylbenzolsulphonat, carbonat-salz und carboxylat-polymer
EP1914297B1 (en) 2006-10-16 2011-03-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spray-drying process for preparing a low density, low builder, highly water-soluble spray-dried detergent powder
EP1918362A1 (en) 2006-10-16 2008-05-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builder, highly water-soluble, low-density sol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ATE550420T1 (de) * 2007-12-05 2012-04-15 Procter & Gamble Verpackung mit einem reinigungsmittel
EP2067710B1 (en) 2007-12-05 2014-03-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closeable Bag
EP2103675A1 (en) * 2008-03-18 2009-09-2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cellulosic polymer
EP2103678A1 (en) * 2008-03-18 2009-09-2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 co-polyester of dicarboxylic acids and diols
EP2138567A1 (en) * 2008-06-25 2009-12-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pray-drying process
EP2138566A1 (en) * 2008-06-25 2009-12-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 spray-drying process
US7964548B2 (en) * 2009-01-20 2011-06-21 Ecolab Usa Inc. Stable aqueous antimicrobial enzyme compositions
US7811980B1 (en) * 2009-06-09 2010-10-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pray-drying process
BR112012000460A2 (pt) * 2009-07-09 2016-02-16 Procter & Gamble processo contínuo para produção de uma composição detergente para lavagem de roupas
US20110005001A1 (en) * 2009-07-09 2011-01-13 Eric San Jose Robles Detergent Composition
US20110241235A1 (en) * 2009-09-23 2011-10-06 Rohan Govind Murkunde Process for preparing spray-dried particles
GB201006076D0 (en) 2010-04-12 2010-05-26 Xeros Ltd Novel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GB201015277D0 (en) 2010-09-14 2010-10-27 Xeros Ltd Novel cleaning method
GB201100627D0 (en) 2011-01-14 2011-03-02 Xeros Ltd Improved cleaning method
GB201100918D0 (en) 2011-01-19 2011-03-02 Xeros Ltd Improved drying method
US20120245073A1 (en) * 2011-03-25 2012-09-27 Hossam Hassan Tantawy Spray-dried laundry detergent particles
EP2502979A1 (en) * 2011-03-25 2012-09-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pray-dried laundry detergent particles
ES2647109T3 (es) * 2012-06-01 2017-1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ción detergente para lavado de ropa
EP2669361B1 (en) * 2012-06-01 2015-0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pray-dried detergent powder
WO2013191647A1 (en) * 2012-06-18 2013-12-27 Laundry-Maid Pte Ltd Solid detergent composition
GB201212098D0 (en) 2012-07-06 2012-08-22 Xeros Ltd New cleaning material
GB201319782D0 (en) 2013-11-08 2013-12-25 Xeros Ltd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GB201320784D0 (en) 2013-11-25 2014-01-08 Xeros Ltd Improved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US9918921B2 (en) 2013-12-19 2018-03-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shaping fibrous material and treatment compositions therefor
US20150174432A1 (en) 2013-12-19 2015-06-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Shaping Fibrous Material and Treatment Compositions Therefor
US20150174793A1 (en) 2013-12-19 2015-06-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Shaping Fibrous Material and Treatment Compositions Therefor
US9877559B2 (en) 2013-12-19 2018-01-30 The Procter & Gamble Comany Methods for shaping fibrous material and treatment compositions therefor
US20150173478A1 (en) 2013-12-19 2015-06-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Shaping Fibrous Material and Treatment Compositions Therefor
US20150182960A1 (en) * 2013-12-31 2015-07-02 Ecowater Systems Llc Zeolite regeneration
US9751070B2 (en) 2014-09-08 2017-09-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ucture modifying apparatus
US9675989B2 (en) 2014-09-08 2017-06-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ucture modifying apparatus
JP6407682B2 (ja) * 2014-11-27 2018-10-17 花王株式会社 衣料用粉末洗剤組成物の製造方法
RU2715886C1 (ru) * 2016-10-03 2020-03-04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Композиция моющего средства для стирки с низким показателем ph
CN109844082A (zh) * 2016-10-03 2019-06-04 宝洁公司 衣物洗涤剂组合物
MX2019003839A (es) * 2016-10-03 2019-06-24 Procter & Gamble Composición detergente para lavandería.
EP3301165A1 (en) * 2016-10-03 2018-04-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ph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US20180094212A1 (en) * 2016-10-03 2018-04-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US20180094223A1 (en) * 2016-10-03 2018-04-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HUE046500T2 (hu) * 2016-10-03 2020-02-28 Procter & Gamble Mosószerkészítmény
EP3301152B1 (en) * 2016-10-03 2022-05-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pray-dried base detergent particle giving rise to a low ph in the wash
CN107050497A (zh) * 2017-04-18 2017-08-18 丁菊 一种防止冰箱异味的除臭剂
KR20200108346A (ko) 2018-01-26 2020-09-17 에코랍 유에스에이 인코퍼레이티드 액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고체화
KR20200115538A (ko) 2018-01-26 2020-10-07 에코랍 유에스에이 인코퍼레이티드 결합제 및 선택적 담체를 이용한 액체 아민 옥사이드, 베타인, 및/또는 설타인 계면활성제의 고체화
AU2019210740B2 (en) 2018-01-26 2022-02-17 Ecolab Usa Inc. Solidifying liquid amine oxide, betaine, and/or sultaine surfactants with a carrier
US20230159855A1 (en) * 2020-04-09 2023-05-25 Conopco, Inc., D/B/A Unilever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55983A1 (de) 1972-11-13 1974-05-22 Procter & Gamble Granulierte spruehgetrocknete waschund reinigungsmittel
DE2355940A1 (de) 1972-11-13 1974-05-16 Procter & Gamble Wasch- und reinigungsmittel
US4487710A (en) 1982-03-01 1984-12-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ranular detergents containing anionic surfactant and ethoxylated surfactant solubility aid
US4764292A (en) * 1986-04-11 1988-08-16 Lever Brothers Company Fabric-softening particles
US5663136A (en) 1992-06-15 1997-09-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compact detergent compositions
DE69412383T2 (de) 1993-07-14 1999-03-11 Procter & Gamble Reinigungsmittel-Verpackung-Kombination
JP4210427B2 (ja) * 1997-07-30 2009-01-21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グリシン−n,n−二酢酸−誘導体を含有する固形繊維製品洗剤−調製物
CN1322242A (zh) * 1998-09-25 2001-11-14 宝洁公司 洗涤剂组合物
IN243977B (ko) * 1998-09-25 2010-11-19 Procter & Gamble
CA2343810A1 (en) * 1998-09-25 2000-04-06 Jacqueline Westfield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 having improved appearance and solubility
GB2343456A (en) * 1998-11-06 2000-05-10 Procter & Gamble Speckle particle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peckle particles
GB2343457A (en) * 1998-11-07 2000-05-10 Procter & Gamble Bleach containing detergent composition
GB9825558D0 (en) * 1998-11-20 1999-01-13 Unilever Plc Granular detergent components and particulate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GB2344597A (en) * 1998-12-08 2000-06-14 Procter & Gamble Effervescence components
GB2345065A (en) 1998-12-24 2000-06-28 Procter & Gamble Cleaning compositions
GB9911816D0 (en) * 1999-05-21 1999-07-21 Reckitt & Colman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sitions
US6677289B1 (en) * 1999-07-16 2004-0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polyamines and mid-chain branched surfactants
US6939841B2 (en) * 2002-11-21 2005-09-06 S.C. Johnson & Son, Inc. Effervescent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20789A1 (en) 2006-02-23
AR050127A1 (es) 2006-09-27
CN101001941A (zh) 2007-07-18
CA2573996C (en) 2010-09-21
US20060035802A1 (en) 2006-02-16
JP2008509278A (ja) 2008-03-27
US7605116B2 (en) 2009-10-20
MX2007001670A (es) 2007-04-10
CN101001941B (zh) 2012-03-21
ATE469202T1 (de) 2010-06-15
EP1776442B1 (en) 2010-05-26
EG24802A (en) 2010-09-15
BRPI0514300A (pt) 2008-06-10
CA2573996A1 (en) 2006-02-23
ES2346671T3 (es) 2010-10-19
DE602005021502D1 (de) 2010-07-08
AU2005272745A1 (en) 2006-02-23
JP4932713B2 (ja) 2012-05-16
EP1776442A1 (en)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6170A (ko) 물에 용해시 투명한 세척액을 형성하는 고수용성 고형 세탁세제 조성물
JP4739241B2 (ja) 3元の洗浄性界面活性剤系を含み、ゼオライトビルダー類とリン酸塩ビルダー類とを少量含むか又は全く含まない、粒状洗濯洗剤組成物
CA2616692C (en) A sol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nionic detersive surfactant and a calcium-augmented technology
CA2616734C (en) A sol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lkyl benzene sulphonate, carbonate salt and carboxylate polymer
US7700539B2 (en) Particulate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 detersive surfactant, carbonate and a cellulosic polymer
KR20070004644A (ko) 음이온성 세척성 계면활성제, 설팜산 및/또는 이의 수용성염을 함유하는 세탁 세제 조성물
US20070042928A1 (en) Sol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n alkyl benzene sulphonate-based anionic detersive surfactant system and a chelant system
MX2007009699A (es) Una composicion detergente solida para lavanderia.
US20070042931A1 (en) Sol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nionic detersive surfactant and highly porous carrier material
KR20060131850A (ko) 음이온성 세척성 계면활성제, 설팜산 및/또는 이의 수용성염을 포함하는 세탁 세제 조성물
MX2007010128A (es) Una composicion detergente para lavanderia particulada que comprende un surfactante detergente, carbonato y un componente de aclarado fluorescente.
US20110152161A1 (en)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amphiphilic graft copolymers
MXPA06009555A (en) A granular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 ternary detersive surfactant system and low levels of, or no, zeolite builders and phosphate builders
MXPA06009548A (en)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n anionic detersive surfactant sulphamic acid and/or water soluble salts thereof
MXPA06009553A (en)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n anionic detersive surfactant sulphamic acid and/water soluble salts thereof
MXPA06009551A (en) A granular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n anionic detersive surfactant, and low levels of, or no, zeolite builders and phosphate buil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