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6097A - 휀스 - Google Patents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6097A
KR20070036097A KR1020070016945A KR20070016945A KR20070036097A KR 20070036097 A KR20070036097 A KR 20070036097A KR 1020070016945 A KR1020070016945 A KR 1020070016945A KR 20070016945 A KR20070016945 A KR 20070016945A KR 20070036097 A KR20070036097 A KR 20070036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horizontal
frame
fenc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5371B1 (ko
Inventor
주재영
Original Assignee
(주)이원캐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원캐스팅 filed Critical (주)이원캐스팅
Priority to KR1020070016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371B1/ko
Publication of KR2007003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5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panels with rigid filling and fra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휀스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용접작업으로 이루어진 휀스부재를 기둥에 조립 설치하는 종래의 휀스와 달리, 각 구성요소를 단위별로 조립하여, 현장에서의 신속한 설치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각 색상에 맞게 구성요소의 세팅을 자유스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미려하게 장식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과 동시에, 구성요소의 훼손상태에 따른 부분적인 부품의 원활한 교체성으로 휀스를 경제적으로 유지보수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휀스, 기둥, 횡바, 수직바, 지지틀체, 문양판

Description

휀스{A fence}
도 1은 종래 휀스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휀스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휀스의 수직바 지지틀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휀스의 문양판 지지틀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휀스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바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 5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기둥 11: 끼움구
20: 횡바 21: 제1안내홈
30: 수직바 지지틀체 31: 수직바
32: 제2수평프레임 40: 문양판 지지틀체
41: 문양판 42: 제1수지프레임
43: 제1수평프레임 S: 체결나사
100: 휀스
본 발명은 휀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휀스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조립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현장설치에서 조립이 용이하고, 각 색상에 맞게 구성요소의 세팅을 자율스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미려하게 장식효과는 물론, 부분교체성으로 인한 유지보수를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휀스는 집, 도로 가장자리를 둘러 경계를 표시하거나, 특정장소의 침입을 막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설치되는 울타리로서, 그외 공원이나 각종장소로부터 동식물(잔디, 보호수 등..)을 보호하기 위한 차원에서도 설치되어 사용된다.
용도에 따라서는 그 높낮이가 다르게 설치되며, 범용적으로는 성인의 평균신장의 절반 정도의 높이로 설치되며, 재질은 목재, 금속재(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알루미륨 등)로 설치된다.
종래의 휀스(100)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기본적인 구성을 살피면, 기둥(1)과, 휀스부재(2)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휀스부재(2)는 상호 평행하는 상,하측 횡바(2-1)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수직바(2-2)의 설치로서 이루어진 것인바, 이는 작업성의 편리성 추구로 상기 횡바(2-1)와 수직바(2-2)는 기둥(1)을 포함하는 동일소재의 선택과 동일색상으로 제작된다.
상호 이들의 연결은 용접작업에 의한 횡바(2-1)와 수직바(2-2)의 연결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횡바와 수직바의 조합으로 된 하나의 휀스부재(2)는 각 지점(a1)(a2)(a3)(a4)의 연결구조를 살피면, 상기 기둥(1)에 마련된 끼움구(1-1)에 대하여 횡바의 일단을 각각 삽입시켜 체결보울트로서 나사를 관통하는 체결방식이거나, 별도의 용접작업에 의해 용접 설치되는 경우가 일례이다.
한편, 제공되는 문양판(도면에서 생략함) 또한, 상기 횡바와 수직바와 일체로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호환성 및 문양판의 색채가 다양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하나의 휀스부재의 설치는 비교적 작업성은 빠르나, 보통 휀스부재를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휀스부재의 파손이 우려되며, 특히 용접작업에 의한 조립 설치는 그만큼 용접장비가 현장에 제공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휀스부재의 제작은 일련의 용접작업에 의해 제작되기 때문에 휀스에 있어, 어느 특정부위의 훼손시 부분교체가 어렵기 때문에 휀스부재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비 경제적인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용접작업에 의해 제작되는 휀스부재는 동일색상, 재질로서 제작되기 때문에 미려함이 떨어지고, 항상 동일 질감을 주기 때문에 장식효과 면에서도 낮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휀스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조립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현장설치에서 조립이 용이하고, 각 색상에 맞게 구성요소의 세팅을 자율스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미려하게 장식효과는 물론, 부분 교체성으로 인한 유지보수를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상으로부터 지면에 수직 설치되고, 일측면 상,하측에 끼움구가 부착 설치된 한 쌍의 기둥과, 상기 기둥 사이의 상,하측에 배치된 끼움구를 통해 양단이 연결 설치되는 횡바와, 상기 평행하는 횡바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바 및, 상기 횡바의 상,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문양판을 포함하여서 된 휀스에 있어서,
상기 횡바는 길이방향 일측면에 레일형의 제1안내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안내홈이 마주 보이는 형태로 상기 끼움구에 양단이 삽입 설치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횡바에 대해 수직바를 설치하기 위한 수직바 지지틀체가 안내 설치되고, 상기 문양판을 설치하기 위한 문양판 지지틀체를 안내 설치하여서 조립되는 휀스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인 휀스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휀스의 수직바 지지틀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휀스의 문양판 지지틀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휀스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바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 5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 5의 C-C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지상으로부터 지면에 수직 설치되고, 일측면 상,하측에 끼움구(11)가 부착 설치된 한 쌍의 기둥(10)과, 상기 기둥(10) 사이의 상,하측에 배치된 끼움구(11)를 통해 양단이 연결 설치되는 횡바(20)와, 상기 평행하는 횡바(20)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바(31) 및, 상기 횡바(20)의 상,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문양판(41)을 포함하여서 된 휀스(100)에 있어서,
상기 횡바(20)는 길이방향 일측면에 레일형의 제1안내홈(21)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안내홈(21)이 마주 보이는 형태로 상기 끼움구(11)에 양단이 삽입 설치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횡바(20)에 대해 수직바(31)를 설치하기 위한 수직바 지지틀체(30)가 안내 설치되고, 상기 문양판(41)을 설치하기 위한 문양판 지지틀체(40)를 안내 설치하여서 구성된다.
상기 수직바 지지틀체(30)는 길이방향 일측면에 상기 수직바(31)의 상,하측단을 안내하기 위한 제4안내홈(32a)이 형성되며, 제4안내홈(32a)이 형성되는 길이방향 저부로부터 체결나사(S)로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32b)이 등 간격으로 형성된 제2수평프레임(32)이 설치되어 상기 횡바(20)의 제1안내홈(21)에 길이방향으로 안내되어 설치된다.
상기 문양판 지지틀체(40)는 상기 횡바(20)의 제1안내홈(21)에 상,하측이 안내되도록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문양판(41)의 양측단을 감싸는 제2안내홈(42a)이 형성된 제1수직프레임(42)이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수직프레임(42) 사이의 상,하측단에 일단이 안내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문양판(41)의 상하측단을 감싸 지지하기 위한 제3안내홈(43a)이 형성된 제1수평프레임(43)을 상호 연결 설치하여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수직프레임(42)의 제2안내홈(42a)과, 제2수평프레임(32)의 제4안내홈(32a)의 중앙에는 배수통로(42-1)(32-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안내홈(42a) 및 제4안내홈(32a)의 내측 직각되는 면에는 상기 제1수평프레임(43) 및 수직바(31)의 일단이 각 안내홈(42a)(32a)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기 위한 돌턱(42-2)(32-2)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돌턱(42-2)(32-2)은 가로, 세로타입으로 설치되는 상기 제1수평프레임(43) 및 수직바(31)의 일단의 간격을 주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간격은 상기 제2안내홈(42a) 및 제4안내홈(32a)에 대해 직각되는 상기 제1수평프레임(43)의 제3안내홈(43a)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제3안내홈의 양단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을 원활히 배출시키는 구조를 갖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직바 지지틀체(30)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상기 수직바(31)는 하드우드,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되며, 색상이 코팅처리되어 각 프레임에 대해 조합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직바(31)는 자연목 형태를 갖는 무늬목이 표현되도록 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42b)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42)의 외측으로부터 요부진 홈에 마련된 나사결합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휀스의 설치 및 설치상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휀스(100)의 현장설치는 기둥(10), 횡바(20), 수직바 지지틀체(30), 문양판 지지틀체(40)로 구분하여 제작이 이루어지고, 또 이들을 각각 구성요소별로 운반하며, 또 이들의 단위를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합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수직바 지지틀체(30)의 조립은 제2수평프레임(32)을 상하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일측에 형성된 제4안내홈(32a)에 수직바(31)의 양단을 안내시켜 상기 제2수평프레임(32)의 일측면에 배열 형성된 고정공(32b)을 통해 체결나사(S)로서 위치된 수직바(31)를 체결 고정시켜 준다. 여기서 수직바(31)는 소재에 따라 상기 제수평프레임(32)과 함께 재질을 달리하여 설치하거나, 각각 표면을 도색한 수직바(31)의 배열 설치로서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문양판(41)의 설치를 위한 문양판 지지틀체(40)는 제1수직프레임(42)과 제1수평프레임(43)으로 구성된 것으로, 주어진 문양판(41)의 가장자리는 사진틀과 같은 사각형틀을 이루는 제1수직프레임(42)측의 제2안내홈(42a)으로부터 문양판(41)의 양측단을 안내시키되, 제1수평프레임(43)은 문양판(41)의 상,하측단에 대해 상호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42)의 외측으로부터 요부진 홈에 마련된 나사결합공(42b)을 통해 체결나사(S)로 체결하여 제1수평프레 임(43)을 고정 설치함으로써, 그 내부에 문양판(41)이 안내된 상태로 조립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수직바 지지틀체(30)와 문양판 지지틀체(40)를 각각의 독립적인 단위별로 설치한 상태에서 현장까지 운반되어 설치함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휀스(100)의 설치는 비교적 조립을 빠르게 실시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단위별로 제작된 휀스(100)의 구성요소에 있어, 상호 평행하는 횡바(20)의 길이방향 제1안내홈(21)에 대해 중앙에는 상기 문양판 지지틀체(40)의 상,하측단부, 즉, 제1수직프레임(42)과 직각되는 제1수평프레임(43)이 안내되는 상태로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42)의 폭은 상기 제1안내홈(21)에 일치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수직바 지지틀체(30)와 함께 횡바(20)의 기둥(10)측 설치는 상호 유동되지 않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수직바 지지틀체(30)는 상기 문양판 지지틀체(40)이 중앙에 위치시킴에 있어, 그 좌우측으로 위치시켜 조립하한다.
이때 상기 수직바(31)의 상, 하측단을 연결하고 있는 제2수평프레임(32)은 횡바(20)의 마주하는 제1안내홈(21)에 상호 안내되는 형태에서 가조립 형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의 횡바(20)는 구비된 기둥(10)의 일측면에 마련된 끼움구(11)에 안내시키고, 상기 끼움구(11)로부터는 미도시된 체결나사를 관통 체결하여 기둥(10)과 횡바(20)의 조립을 완성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휀스(100)는 설치 상에 있어, 특히 하부에 위치하는 프레임측에는 빗물 등이 유입될 수 있지만, 제2수평프레임(32)의 제4안내홈(32a)의 중앙에 형성된 배수통로(32-1) 및 제2수평프레임(32)으로부터 형성된 돌턱(32-2)으로 하여금 수직바(31)의 이격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횡바(20)의 양단측으로 신속하게 배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직프레임(42)의 제2안내홈(42a)에 형성되는 배수통로(42-1)는 상기 제2수평프레임(32)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로서, 단지 설치에 따른 수직과 수평 차이에 의한 문양판 지지틀체(40)의 설치위치에 따라 상기와 같은 제2수평프레임(32)의 배수통로(32-1)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문양판 지지틀체(40)의 제1수직프레임(42)측 제2안내홈(42a)내에 형성된 돌턱(42-2)은 상기 제1수평프레임(43)의 이격 설치를 위한 구조를 갖고, 설치위와 관계없이 빗물유입시 동일한 배수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 설치된 휀스(100)에 있어, 기둥(10)은 통상적인 기둥설치와 같이, 지면 상에 설정된 위치에 위치시켜 미 도시된 기초보울트 등의 체결요소로서 기둥(10)의 하부를 고정하여 설치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횡바(20)에 각 단위별로 설치된 수직바 지지틀체(30), 문양판 지지틀체(40)의 조합설치로서 완성되는 휀스(100) 그 자체는 각 단위별의 조립설치로 현장에서의 신속한 조립 설치는 물론, 다양한 색채를 갖는 구성요소(횡바, 수직바, 문양판 등)의 채택이 자유로운 이점이 있다.
아울러, 일부분 훼손시에는 해당하는 기둥(10)을 분리하고, 횡바(20)에 설치된 구성요소 중 훼손된 부분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대한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휀스는 하나의 용접작업으로 이루어진 휀스부재를 기둥에 조립 설치하는 종래의 휀스와 달리, 각 구성요소를 단위별로 조립하여, 현장에서의 신속한 설치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각 색상에 맞게 구성요소의 세팅을 자유스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미려하게 장식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과 동시에, 구성요소의 훼손상태에 따른 부분적인 부품의 원활한 교체성으로 휀스를 경제적으로 유지보수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지상으로부터 지면에 수직 설치되고, 일측면 상,하측에 끼움구(11)가 부착 설치된 한 쌍의 기둥(10)과, 상기 기둥(10) 사이의 상,하측에 배치된 끼움구(11)를 통해 양단이 연결 설치되는 횡바(20)와, 상기 평행하는 횡바(20)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바(31) 및, 상기 횡바(20)의 상,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문양판(41)을 포함하여서 된 휀스(100)에 있어서,
    상기 횡바(20)는 길이방향 일측면에 레일형의 제1안내홈(21)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안내홈(21)이 마주 보이는 형태로 상기 끼움구(11)에 양단이 삽입 설치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횡바(20)에 대해 수직바(31)를 설치하기 위한 수직바 지지틀체(30)가 안내 설치되고, 상기 문양판(41)을 설치하기 위한 문양판 지지틀체(40)를 안내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 지지틀체(30)는 길이방향 일측면에 상기 수직바(31)의 상,하측단을 안내하기 위한 제4안내홈(32a)이 형성되며, 제4안내홈(32a)이 형성되는 길이방향 저부로부터 체결나사(S)로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32b)이 등 간격으로 형성된 제2수평프레임(32)이 설치되어 상기 횡바(20)의 제1안내홈(21)에 길이방향으로 안내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판 지지틀체(40)는 상기 횡바(20)의 제1안내 홈(21)에 상,하측이 안내되도록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문양판(41)의 양측단을 감싸는 제2안내홈(42a)이 형성된 제1수직프레임(42)이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수직프레임(42) 사이의 상,하측단에 일단이 안내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문양판(41)의 상하측단을 감싸 지지하기 위한 제3안내홈(43a)이 형성된 제1수평프레임(43)을 상호 연결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42)의 제2안내홈(42a)과, 제2수평프레임(32)의 제4안내홈(32a)의 중앙에는 배수통로(42-1)(32-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안내홈(42a) 및 제4안내홈(32a)의 내측 직각되는 면에는 상기 제1수평프레임(43) 및 수직바(31)의 일단이 각 안내홈(42a)(32a)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기 위한 돌턱(42-2)(32-2)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 지지틀체(30)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상기 수직바(31)는 하드우드,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되며, 색상이 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KR1020070016945A 2007-02-20 2007-02-20 휀스 KR100865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945A KR100865371B1 (ko) 2007-02-20 2007-02-20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945A KR100865371B1 (ko) 2007-02-20 2007-02-20 휀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983U Division KR200418372Y1 (ko) 2006-03-06 2006-03-06 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097A true KR20070036097A (ko) 2007-04-02
KR100865371B1 KR100865371B1 (ko) 2008-10-31

Family

ID=3815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945A KR100865371B1 (ko) 2007-02-20 2007-02-20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3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6639A (zh) * 2015-10-19 2016-03-09 南宁市正极机电有限公司 一种电气设备维修用的防护栏
KR102285294B1 (ko) * 2021-01-20 2021-08-04 (주)미데크 조립식 휀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053B1 (ko) 2008-02-04 2009-12-08 주식회사 케이티 Ims 기반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리젠스 정보 갱신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15947B1 (ko) * 2012-10-31 2014-07-04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0720U (ja) * 1981-10-19 1983-04-23 新日軽株式会社 ベランダ等の手摺
JPS5879639U (ja) * 1981-11-26 1983-05-30 日本金属工業株式会社 手摺
JP3406472B2 (ja) * 1997-01-27 2003-05-12 タキロン株式会社 フェンス
KR200232726Y1 (ko) * 1998-12-28 2001-08-07 허성아 조립식 울타리
JP2000297562A (ja) * 1999-04-15 2000-10-24 Takasho Co Ltd フェンス用装飾部材の取付けフレーム
JP2001158646A (ja) * 1999-12-02 2001-06-12 Hirabayashi:Kk 結露除去機能付き複層ガラ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6639A (zh) * 2015-10-19 2016-03-09 南宁市正极机电有限公司 一种电气设备维修用的防护栏
KR102285294B1 (ko) * 2021-01-20 2021-08-04 (주)미데크 조립식 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371B1 (ko) 200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371B1 (ko) 휀스
KR101569774B1 (ko) 가로 목의 각도설치가 용이한 휀스용 지주
CA2493003A1 (en) Pre-fabricated fencing panels
KR20110115049A (ko) 철망 지지 프레임 및 그를 이용한 철망 울타리
KR102339094B1 (ko) 칸막이 시공성이 향상된 펜스 조립체
KR200418372Y1 (ko) 휀스
US20070181866A1 (en) Fence
KR101078604B1 (ko) 조립식 휀스
KR100520887B1 (ko) 합성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 조경 울타리 시공 구조
US20170356216A1 (en) Combination bracket and rail for mounting a deck board
KR100812621B1 (ko) 휀스용 프레임 조립체
JP5185742B2 (ja) 柵および柵の施工方法
KR101568348B1 (ko) 평지와 경사로의 공용이 용이한 메쉬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KR200474866Y1 (ko) 메쉬휀스 설치구조
JP5686722B2 (ja) 枠材の連結構造
KR20130007194U (ko) 그레이팅과 킥플레이트의 결합구조
KR101178881B1 (ko) 조립식 휀스
KR20110005685U (ko)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KR200435442Y1 (ko) 배수 트렌치 그레이팅 장식 커버
KR101777370B1 (ko) 하자보수가 용이한 목재 펜스 조립방법
KR20090060687A (ko) 펜스고정장치
KR200344282Y1 (ko) 조립식 휀스
JP6189106B2 (ja) 筒状部材の端面隠蔽部材および端面隠蔽構造
JP2010180558A (ja) グレーチング
EP2415952B1 (en) Swimming p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