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279A - 통신 시스템에서 호 연결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호 연결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279A
KR20070035279A KR1020050089953A KR20050089953A KR20070035279A KR 20070035279 A KR20070035279 A KR 20070035279A KR 1020050089953 A KR1020050089953 A KR 1020050089953A KR 20050089953 A KR20050089953 A KR 20050089953A KR 20070035279 A KR20070035279 A KR 20070035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terminal
terminal
transmitting
call connection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5279A/ko
Publication of KR20070035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망과 인터넷 전화 프로토콜(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망을 통해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단말 간의 호 연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통신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 간의 호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망은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과의 호 연결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수신 단말의 호 연결 상태를 검사한 후, 상기 검사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수신 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호 연결을 요청받으면, 상기 송신 단말의 데이터 코딩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상응하여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송신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단말은 상기 전송된 응답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송신 단말의 데이터 코딩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이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코딩 정보를 구비한 수신 단말과 호를 연결한 후, 상기 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호 연결, VoIP, CDMA2000 1×, 1×EVDO, Codec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호 연결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CALL IN A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망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VoIP 망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단말 간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단말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망과 인터넷 전화 프로토콜(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하 'VoIP'라 칭하기로 한다) 망을 통해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단말 간의 호 연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함은 물론 패 킷 데이터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속, 고품질의 무선 데이터 패킷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현재의 무선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은 음성 데이터와 패킷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CDMA2000 1×(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1×) 망과 고속의 패킷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1×EVDO(1×Evolution Data Optimized) 망이 사용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망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IS-95A/B(Industry Standard-95A/B) 망(110)과 CDMA 2000 1× 망(130) 및 1×EVDO 망(150)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IS-95A/B 망(110)은, IS-95A/B 시스템에서 기지국 역할을 담당하며 상기 IS-95A/B 시스템에 접속한 이동 단말(111)과의 무선 접속 규격을 처리하는 BTS(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113)와, IS-95A/B 시스템에서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BTS(113)를 제어하는, 즉 기지국 제어기 역할을 수행하는 BSC(Base Station System Controller)(115)와, 상기 이동 단말(111)의 위치를 확인하여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동시에 이동 단말(111)에 대한 각종 정보를 파악하여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어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119)와, 무선 통신 시스템인 IS-95A/B 시스템과 인터넷(103)을 연결하기 위한 IWF(Inter Working Function)(121)와, 데이터 전송 망(127)을 통해 상기 IWF(121)와 인터넷(103) 간에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라우터(Router)(123)와, 상기한 장치들 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며 음성 전송 망(125)을 통해 공중 전화 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이하 'PSTN'이라 칭하기로 한다)(101)과의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즉 고정된 PSTN(101)과 IS-95A/B 망(110)과의 접속 역할을 수행하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117)를 포함한다. 이러한 IS-95A/B 망(110)은, 이동 단말(111)과 PSTN(101)을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음성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이동 단말(111)과 인터넷(103)을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CDMA 2000 1× 망(130)은, 전술한 IS-95A/B 망(110)과 같이, CDMA 2000 1× 시스템에서 기지국 역할을 담당하며 상기 CDMA 2000 1× 시스템에 접속한 이동 단말(131)과의 무선 접속 규격을 처리하는 BTS(133)와, CDMA 2000 1× 시스템에서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BTS(133)를 제어하는, 즉 기지국 제어기 역할을 수행하는 BSC(135)와, 데이터 전송 망(147)을 통해 인터넷(107)과의 고속으로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 Packet Data Serving Node, 이하 'PDSN'이라 칭하기로 한다)(141)와, 상기 인터넷(107)을 중계하여 라우터 기능을 수행하는 홈 에이전트(HA: Home Agent, 이하 'HA'라 칭하기로 한다)(139)와, 상기한 장치들 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며 음성 전송 망(143)을 통해 PSTN(105)과의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즉 고정된 PSTN(105)과 CDMA 2000 1× 망(130)과의 접속 역할을 수행하는 MSC(137)를 포함한다. 이러한 CDMA 2000 1× 망(130)은, 이동 단말(131)과 PSTN(105)을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음성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이동 단말(131)과 인터넷(107)을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1×EVDO 망(150)은, 1×EVDO 시스템에서 기지국 역할을 담당하며 상기 1×EVDO 시스템에 접속한 이동 단말(151)과의 무선 접속 규격을 처리하는 ANTS(Access Network Transmission System)(153)와, 상기 1×EVDO에서 기지국 제어기 역할을 담당하는 ANC(Access Network Controller)(155)와, 1×EVDO 시스템에 접속한 가입자와의 인증(authentication), 권한부여(authorization) 및 과금(accounting)에 관련된 기능을 담당하는 AN-AAA(Access network-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157)와, 가입자에 대한 이동성 관리와 세션을 제어하는 DLR(Data Location Register)(159)와, 상기한 장치들 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며 패킷 데이터 전송 전용 망(161)을 통해 상기 CDMA 2000 1× 망(150)의 PDSN(141)과의 접속 역할을 수행하는 MSC(155)를 포함한다. 이러한 1×EVDO 망(150)은 이동 단말(151)과 상기 CDMA 2000 1× 망(150)의 PDSN(141)을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음성 데이터 서비스는 상기 CDMA 2000 1× 망(15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망이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이동 단말들(111,131,151)의 음성 코덱(Voice Codec)을 이용하여 음성 코딩(Vocoding)를 처리하여야 하며, 기지국의 제어기 역할을 수행하는 BSC(115,135) 및 ANC(155)가 상기 음성 코덱을 이용하여 음성 코딩을 처리한다. 그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 망은, 상기 음성 코딩을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이하 'DSP'라 칭하기로 한다)가 추가적으로 포함되므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망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음성 서비스는 PSTN과 같은 회선망(CSN: Circuit Switched Network, 이하 'CSN'이라 칭하기로 한다)을 통해 제공되고, 패킷 서비스는 IP(Internet Protocol) 망인 PSDN을 통해 제공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IP 망을 통해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VoIP 기술이 제안되었다. 상기 VoIP는, 인터넷과 같은 IP 망의 발달과 회선망의 음성 대역폭을 극복하여 고품질의 음성 통화가 가능하고, 인터넷 사용료만으로도 저렴하게 국제 전화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각종 응용 솔루션과 부가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2는 VoIP 망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VoIP 망은, VoIP 망의 가입자 단말들(201,203,205)이 상기 VoIP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즉 서로 다른 통신 망 간을 연동하기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로서 RGW(Regidential Gateway)(207)와, AGW(Access Gateway)(209)와, TGW(Trunking Gateway)(227)와, 사설 교환기(PBX: Private Branch Exchange, 이하 'PBX'라 칭하기로 한다)(211)와, 미디어 게이트웨이(MG: Media Gateway, 이하 'MG'라 칭하기로 한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MG 제어기들(215,219)과, 호를 관리하는 콜 서버(Call Server)(213)와, SG(Signaling Gateway)(221)와, 송수신 신호의 메시지의 중계,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STP(Signal Transfer Point)(223)와,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SCP(Service Controller Point)(225)와, PSTN(231)과 연결된 다른 가입자 단말(233)과의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교환기(229)와, 다른 이동 망(237)과 접속 역학을 수행하는 MSC(235)와,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PDSN(239), 및 상기 RGW(207)와 AGW(209)를 통해 연결 가능한 인터넷(217)과, 상기 인터넷(241)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이하 'AP'라 칭하기로 한다)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RGW(207)와 AGW(209) 및 TGW(227)는 MGCP(Media Gateway Controller Protocol)/Megaco를 통해 필요한 신호의 운용 및 세션을 관리하고 제어한다. 즉, RGW(207)와 AGW(209) 및 TGW(227)는 상기 MGCP/Megaco를 이용하여 다른 장치들과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콜 서버(213)와 MG 제어기들(215,219)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통해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상기 STP(223)와 SCP(225) 간에는 INAP (Intelligent Network Application Protocol)를 통해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STP(223)와 PSTN(231) 간에는 CCS(Common Channel Signaling) No.7을 통해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VoIP 망은 VoIP 망에 접속 가능한 단말 또는 이동 망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 등이 인터넷 망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상기 인터넷 망으로 음성 서비스를 위한 경로를 연결하기 위해 MG를 통해 송수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MG에서 음성 코딩을 처리하므로 상기 음성 코딩을 처리하기 위한 음성 부호화기(Vocoder)이 추가적으로 구비됨에 따라 VoIP 망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단말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통신 망을 단순화시키며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호 연결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통신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 간의 호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망은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과의 호 연결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수신 단말의 호 연결 상태를 검사한 후, 상기 검사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수신 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호 연결을 요청받으면, 상기 송신 단말의 데이터 코딩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상응하여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송신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단말은 상기 전송된 응답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송신 단말의 데이터 코딩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이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코딩 정보를 구비한 수신 단말과 호를 연결한 후, 상기 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통신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과의 호 연결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수신 단말의 호 연결 상태를 검사한 후, 상기 검사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수신 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상기 통신 망과, 상기 통신 망으로부터 호 연결을 요청받으면, 상기 송신 단말의 데이터 코딩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상응하여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송신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수신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응답 메 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송신 단말의 데이터 코딩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이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코딩 정보를 구비한 수신 단말과 호를 연결한 후, 상기 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상기 송신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호 연결 방안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은, 송신 단말의 데이터 코딩 정보를 수신 단말이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송수신 단말이 동일한 코딩 정보를 갖는 상태로 호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성 서비스를 위한 음성 코딩(Voice Coding)을 이미 처리하고 있는 송신 단말이 자신의 코딩 정보인 음성 코덱(Voice Codec)을 수신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송수신 단말이 동일한 음성 코덱을 갖는 음성 부호화기(Vocoder)로 음성 코딩을 처리하도록 하는 호 연결 방안을 제안한다.
이때, 송수신 단말 간의 통신 망은 전달 경로만을 스위칭하며, 상기 통신 망은 무선 환경의 통신 망 뿐만 아니라 인터넷 전화 프로토콜(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하 'VoIP'라 칭하기로 한다) 망를 포함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모든 통신 망이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음성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포함한 일반적인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통신 망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송수신 단말은 상기 통신 망에 접속 가능한 단말이다. 이하에서는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의 호 연결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단말 간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송신 단말(301)은 음성 코딩을 처리하도록 하는 음성 코덱(Voice Codec)을 이미 가지고 있는 상태로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송신 단말(301)을 통해 통화를 시도하면, 상기 송신 단말(301)에는 수신 번호(Digit)가 입력된다(311). 그러면, 상기 송신 단말(301)은 수신 번호에 해당하는 수신 단말(305)과 호 연결을 시도하기 위해 상기 수시측 번호가 포함된 호 요청 메시지를 교환기(303)로 전송한다(313). 여기서 상기 교환기(303)는 접속 역할, 즉 회선 교환, 메시지 교환, 패킷 데이터 교환 기능을 수행하며, 통신 망에 따라, 즉 공중 전화 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이하 'PSTN'이라 칭하기로 한다)과 접속 역할을 수행하는 교환기, 또는 이동 통신 망과 접속 역할을 수행하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 게이트웨이, 예컨대 MGW(Media Gateway), RGW(Regidential Gateway), AGW(Access Gateway), TGW(Trunking Gateway)가 될 수 있다.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303)는 수신 번호를 분석한 후 수신 단말(305)과 호 연결을 시도한다(315). 이때, 상기 수신 단말(317)이 통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317). 만약 수신 단말(317)이 통화 상태이면, 즉 다른 송신 단말과 호 연결 상태이면, 상기 수신 단말(305)과의 호 연결이 불가능하므로 상기 교환기(303)는 호 연결 불가능 메시지를 송신 단말(301)로 전달하고, 상기 호 연결 불가능 메시지를 수신한 송신 단말(301)은 호 연결 요청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수신 단말(305)이 통화 상태가 아니면, 수신 단말(305)과의 호 연결이 가능하므로 교환기(303)는, 호 연결 가능 메시지를 송신 단말(301)로 전송하며(321), 상기 수신 단말(305)로는 호 연결 메시지(323)를 전송한다(325). 상기 호 연결 메시지(323)를 수신한 수신 단말(305)은 호 연결 메시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후크 온(Hook On)된다(327). 이렇게 수신 단말(305)이 후크 온됨에 따라 상기 송신 단말(301)과 수신 단말(305)은 상기 교환기(303)를 통해 통화 경로가 연결된다(327).
상기 수신 단말(305)과의 통화 경로가 연결된 송신 단말(301)은, 앞서 가정한 바와 같이 이미 음성 코딩을 처리하도록 하는 음성 코덱이 존재하며(329), 상기 음성 코덱이 수신 단말(305)에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음성 코덱의 존재 확인 요청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305)로 전송한다(331).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단말(305)은 송신 단말(301)이 갖고 있는 음성 코덱이 존재하는 지를 확인한 후(333), 상기 확인 결과에 상응하여 응답 메시지를 송신 단말(301)로 전송한다(335). 여기서, 상기 수신 단말(305)에 송신 단말(301)의 음성 코덱이 존재하면, 상기 송신 단말(305)은 자신의 음성 코덱을 수신 단말(305)로 전송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송신 단말(301)과 수신 단말(305)은 동일한 음성 코덱을 갖는 음성 부호화기(Vocoder)로 통화를 수행한다.
반면, 상기 수신 단말(305)에 송신 단말(301)의 음성 코덱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송신 단말(301)은 자신의 음성 코덱을 수신 단말(305)로 전송하고(337), 수신 단말(305)은 상기 전송되는 음성 코덱을 수신함으로써 송신 단말(301)과 동일한 음성 코덱을 갖는다. 이렇게 송신 단말(301)의 음성 코덱이 존재한 수신 단말(305)은 상기 음성 코덱으로 플러그 인(Plug-in)하여 통화를 준비한다(339). 그러면, 상기 송신 단말(301)과 수신 단말(305)은 동일한 음성 코덱을 갖는 음성 부호화기(Vocoder)로 통화를 수행한다(341). 이때, 상기 송신 단말(301)과 통화가 완료되면, 수신 단말(305)은 후크 오프(Hook Off)하고 상기 음성 코덱을 유지시켜 다음 통화를 대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단말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앞서 가정한 바와 같이 상기 송신 단말은 음성 코딩을 처리하도록 하는 음성 코덱(Voice Codec)을 이미 가지고 있는 상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상기 송신 단말은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하면, 수신 번호(Digit)가 입력된다. 그러면, 403단계에서 상기 수신 번호에 해당하는 수신 단말과 호 연결을 시도하기 위해 교환기로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405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교환기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여 수신 단말의 통화 상태를 판단하여 응답 메시지를 송신 단말로 전달한다. 상기 405단계에서 송신 단말은 상기 응답 메시지를 통해 수신 단말과의 호 연결이 가능한 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수신 단말이 다른 송신 단말과 통화 상태로 호 연결이 불가능할 경우 송신 단말은, 호 연결 동작을 종료하고, 상기 수신 단말이 통화 상태가 아 니면 40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7단계에서 송신 단말은, 상기 수신 단말과 통화 경로를 연결한 후 409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409단계에서 수신 단말로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음성 코덱(Voice Codec)의 전송이 필요한 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단말이 자신의 음성 코덱과 동일한 음성 코덱을 보유하면 4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음성 코덱을 갖는 음성 부호화기(Vocoder)로 수신 단말과 통화를 수행한다. 반면, 상기 409단계에서 상기 수신 단말에 동일한 음성 코덱이 존재하지 않으면, 411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411단계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음성 코덱을 전송하여 수신 단말이 자신의 음성 코덱과 동일한 음성 코덱을 갖도록 한다. 그런 다음, 413단계에서 송신 단말은 상기 상기 음성 코덱을 갖는 음성 부호화기로 수신 단말과 통화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단말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단계에서 상기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또한, 상기 호 연결을 요청한 송신 단말과 호 연결이 가능한 지를 판단한다. 즉, 수신 단말은, 자신이 통화 상태이거나 호 연결 요청이 없으면 호 연결 동작을 종료하고, 자신이 통화 상태가 아니고 호 연결 요청이 존재하면 503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수신 단말이 통화 상태인 경우는 상기 송신 단말이 아닌 다른 송신 단말과 호 연결된 상태이다. 상기 503단계에서 호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검출한 수신 단말은 자동으로 후크 온되어 송신 단말과 통화 경로 를 연결한다.
그런 다음, 505단계에서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에 존재하는 음성 코덱과 동일한 음성 코덱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한 음성 코덱이 존재하면, 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동일한 음성 코덱을 갖는 음성 부호화기(Vocoder)로 송신 단말과 통화를 수행한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수신 단말은 507단계로 진행하여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송신 단말의 음성 코덱을 수신한다. 그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과 동일한 음성 코덱이 존재하며 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음성 코덱을 갖는 음성 부호화기(Vocoder)로 송신 단말과 통화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송수신 단말 간의 코딩 정보를 동기화함으로써,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송수신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통신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 간의 호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망은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과의 호 연결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수신 단말의 호 연결 상태를 검사한 후, 상기 검사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수신 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호 연결을 요청받으면, 상기 송신 단말의 데이터 코딩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상응하여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송신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단말은 상기 전송된 응답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송신 단말의 데이터 코딩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이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코딩 정보를 구비한 수신 단말과 호를 연결한 후, 상기 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의 호 연결 상태를 검사한 후, 상기 검사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수신 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 단말의 호 연결 상태를 검 사한 후,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수신 단말이 다른 송신 단말과 호 연결된 상태이면 상기 송신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수행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과의 호 연결 요청이 발생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호 연결 요청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을 요청 받는 과정은, 상기 호 연결을 요청 받으면, 상기 송신 단말과의 호 경로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이 구비하도록 하는 과정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신 단말에 상기 코딩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코딩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코딩 정보를 계속 구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결 방법.
  7. 통신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과의 호 연결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수신 단말의 호 연결 상태를 검사한 후, 상기 검사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수신 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상기 통신 망과,
    상기 통신 망으로부터 호 연결을 요청받으면, 상기 송신 단말의 데이터 코딩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상응하여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송신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수신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응답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송신 단말의 데이터 코딩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이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코딩 정보를 구비한 수신 단말과 호를 연결한 후, 상기 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상기 송신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망은, 상기 수신 단말의 호 연결 상태를 검사한 후,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수신 단말이 다른 송신 단말과 호 연결된 상태이면 상기 송신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수행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결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은, 상기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수신 단말과의 호 연결을 상기 통신 망으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결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통신 망으로부터 호 연결을 요청 받으면, 상기 송신 단말과의 호 경로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결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신 단말에 상기 코딩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코딩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결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 간의 상기 코딩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종료되면,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코딩 정보를 계속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결 시스템.
KR1020050089953A 2005-09-27 2005-09-27 통신 시스템에서 호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35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953A KR20070035279A (ko) 2005-09-27 2005-09-27 통신 시스템에서 호 연결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953A KR20070035279A (ko) 2005-09-27 2005-09-27 통신 시스템에서 호 연결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279A true KR20070035279A (ko) 2007-03-30

Family

ID=4365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953A KR20070035279A (ko) 2005-09-27 2005-09-27 통신 시스템에서 호 연결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52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0898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パケット音声呼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7120133B1 (en) System and method of linking a wireless signaling protocol with a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in a packet-based network
US7403775B2 (en) Roaming gateway for support of advanced voice services while roa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EP17494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roup voice services in a wireless network
KR101577860B1 (ko) 사용자 개시 핸드오프에 기초한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CN101084659B (zh) 用于为移动订户提供专有语音呼叫服务的方法和系统以及用于其的无线软切换设备
US20040240430A1 (en) IP gateway for hybrid circuit switched and IP based mobile wireless telephone system
US200600023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andoff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switching device therefor
KR100882187B1 (ko)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기반의 음성패킷서비스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15642B1 (ko)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푸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JPH10224853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通信ネットワーク及びその基地局
JP4133258B2 (ja) 公衆無線通信網及び私設有無線通信網サービス装置とその方法
WO2007118380A1 (fr) Procédé, système et dispositif de négociation du codage/décodage vocal dans un système de communication
JP4047855B2 (ja) ボイス・オーバipゲートウェイを使用した、ボイス・オーバipメディア制御メッセージングのモバイル制御チャネル・シグナリングへの変換
US71708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working an ANSI type radio access network in the internet protocol based core network
US20060114868A1 (en) MGW codec information managing method in MSC server
KR100401262B1 (ko) 이동전화망에서의 화상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82127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연동시스템 및 방법
US7630488B2 (en) DTMF tone generation in a media gateway
KR20070035279A (ko) 통신 시스템에서 호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100700020B1 (ko) 휴지 상태의 단말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그 시스템
KR100398658B1 (ko) 이동전화망에서의 개인 컴퓨터와 이동전화 단말기간의화상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13684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49310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기반 음성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KR20030059532A (ko)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