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3684A -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3684A
KR20050013684A KR1020030052173A KR20030052173A KR20050013684A KR 20050013684 A KR20050013684 A KR 20050013684A KR 1020030052173 A KR1020030052173 A KR 1020030052173A KR 20030052173 A KR20030052173 A KR 20030052173A KR 20050013684 A KR20050013684 A KR 20050013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telephone
voice
video
data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재완
김민석
황승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2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3684A/ko
Publication of KR20050013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68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2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non-real time sessions, e.g. downloading a file in a parallel FTP session, initiating an email or combinational services
    • H04L65/4025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non-real time sessions, e.g. downloading a file in a parallel FTP session, initiating an email or combinational services where none of the additional parallel sessions is real time or time sensitive, e.g. downloading a file in a parallel FTP session, initiating an email or combinationa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43Gateway controllers, e.g.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GCP]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화상 전화 단말기, 상기 화상 전화 단말기와 함께 무선 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 상기 기지국과 연동되어 패킷 데이터를 전송시키기 위한 패킷망, 가입자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 및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게이트키퍼 및 상기 게이트키퍼 및 부가 장비에 접속되어 각 구성요소를 관리하기 위한 엘리먼트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상 전화망을 통하여 음성과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전화 단말기에 화상 전화 서비스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발신측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의 음성호 및 데이터호 경로가 상기 패킷망을 통하여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에 설정된 상기 음성호 및 데이터호 경로를 통하여 음성 및 영상 데이터가 각각 전송되는 단계와;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영상 데이터 전송은 중지되고, 음성만 전송되는 단계 및 영상 데이터 재전송을 요구하는 신호에 의해서, 상기 영상 데이터가 다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A METHOD TO PROVIDE A PICTURE VIDEOPHONE SERVICE IN THE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H.323 이동 통신망 화상 전화 서비스의 음성 품질 향상 및 선택적인 영상 제공 구현 방안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H. 323 화상 전화망 구성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H. 323 화상 전화망 구성도로서, 화상 전화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10); 상기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와 함께 무선 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BTS)(20); 상기 기지국과 연동되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패킷망; 가입자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 및 과금을 수행하는 게이트키퍼(GateKeeper)(60); 상기 게이트키퍼 및 부가 장비에 접속되는 엘리먼트 관리시스템(EMS)(70); 상기 엘리먼트 관리시스템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과금 정보 관리시스템(BDS)(82); 고객 정보 관리시스템(CDS)(84) 및 망 관리시스템(NMS)(86)으로 구성된다.
상기 패킷망은 패킷망 가입자의 상태 관리, 무선망과의 패킷 서비스 연결 및 데이터망과의 연동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BSC)(30); 상기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와의 PPP 연결처리와 방문 가입자 관리 및 상기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의 발신, 착신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 : Packet Data Serving Node)(40) 및 상기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 방문망의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와 연동하여 화상 전화 단말기의 발신, 착신 패킷 데이터 전달 기능을 하는 홈 에이전트(HA : Home Agent)(50)로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키퍼는 패킷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상기 패킷망에 연결되어, 가입자 정보 및 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가입자의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 과금 및 번호 번역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엘리먼트 관리시스템(EMS)은 상기 게이트키퍼에 연결되어, 장비의 고장, 성능, 구성, 계정, 보안 관리 기능을 하며, 상기 과금 정보 관리시스템(BDS)은 상기 엘리먼트 관리시스템에 접속되며, 상기 게이트키퍼로부터의 과금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며, 상기 고객 정보 관리시스템(CDS)은 상기 게이트키퍼로부터의 화상 전화 서비스 가입자들의 정보를 관리하며, 그리고, 망 관리시스템(NMS)은 화상 전화 서비스 인프라 요소 제어 및 상태 관리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게이트키퍼(GK)와 접속되며, PC 가입자 관리, 프로토콜 변화 기능을 수행하는 웹폰 서버(Webphone Server)(62); 미디어 게이트 웨이와 시그널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MGC)(64); PSTN, ISDN 망과의 연동시 사용하며,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시그널링 게이트웨이(Signaling GW)(66); 미디어 변환 기능을 담당하는 MGW(67), IVR(68)을 더 포함한다.
도 2는 상용화되어 있는 H. 323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우선,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가 파워 온되면, 패킷망을 통하여 모바일 IP가 자동 등록된다(210). 상기 모바일 IP 주소를 할당받은 상기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는 게이트키퍼(GK)에 화상 전화 자동 등록을 하게 된다(220).
그리고 나서, 발신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가 화상 전화를 시도하게 되면, 상기 게이트키퍼에서 발신자를 인증하고, 착신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IP 주소를 확인한 후에, 호 처리 신호를 처리하며, 또한 상기 게이트키퍼는 착신자를 인증하고, 착신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의 상태 및 호처리 신호를 처리한다(230). 그리고 나서, 음성호 및 영상 데이터호 경로가 설정되어 화상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240). 상기 발신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의 음성 및 화상 데이터는 발신측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와 홈에이전트 및 착신측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를 통하여 상기 착신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에 전송된다.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의 화상 전화 서비스는 음성과 영상을 동시에 패킷 기반으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영상 데이터의 경우에는 리버스 채널(Reverse Channel)의 스루풋(Throughput) 문제로 인하여 양질의 서비스 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요금자체가 일반 음성에 비하여 대략 10배 정도이다. 이와 같이, 상당한 고가 서비스이므로 가입자 확보나 서비스 확대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향후 가입자가 증가할 경우에, 주파수 한계로 인해 화상 전화 서비스 가입자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음성의 경우에 있어서도, 패킷(Packet) 기반으로 제공되는 VoIP의 품질 자체가 무선환경에서 음성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을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서킷(Circuit) 기반의 음성 통화와 비교할 경우에 품질이 떨어지며, 단절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화상 전화 서비스 가입자의 불만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패킷 기반으로 제공되는 H.323 이동 통신망 화상 전화 서비스의 음성 품질 향상 및 선택적인 영상 제공 구현을 통하여 보다 개선된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H.323 화상 전화망 구성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H. 323 화상 전화 서비스의 제공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cdma2000 1x EV-DO 네트워크 구조를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VD 기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H.323 화상 전화망 구성도
200 : H. 323 화상 전화 서비스 흐름도
3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전화 서비스 흐름도
40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전화 서비스 흐름도
500 : cdma2000 1x EV-DO 네트워크 구조
600 : SVD 기반 화상 전화 서비스 흐름도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상 전화 단말기, 상기 화상 전화 단말기와 함께 무선 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 상기 기지국과 연동되어 패킷 데이터를 전송시키기 위한 패킷망, 가입자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 및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게이트키퍼 및 상기 게이트키퍼 및 부가 장비에 접속되어 각 구성요소를 관리하기 위한 엘리먼트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상 전화망을 통하여 음성과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전화 단말기에 화상 전화 서비스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발신측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의 음성호 및 데이터호 경로가 상기 패킷망을 통하여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에 설정된 상기 음성호 및 데이터호 경로를 통하여 음성 및 영상 데이터가 각각 전송되는 단계와;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영상 데이터 전송은 중지되고, 음성만 전송되는 단계; 및 영상 데이터 재전송을 요구하는 신호에 의해서, 상기 영상 데이터가 다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화상 전화 단말기, 상기 화상 전화 단말기와 함께 무선 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 상기 기지국과 연동되어 패킷 데이터를 전송시키기 위한 패킷망, 상기 기지국과 연동되어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서킷망, 가입자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 및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게이트키퍼 및 상기 게이트키퍼 및 부가 장비에 접속되어 각 구성요소를 관리하기 위한 엘리먼트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상 전화망을 통하여 음성과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전화 단말기에 화상 전화 서비스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발신측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의 음성호 및 데이터호 경로가 상기 패킷망을 통하여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에 설정된 상기 음성호 및 데이터호 경로를 통하여 음성 및 영상 데이터가 각각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화상 전화 단말기에 음성 모드 전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영상 데이터 전송은 중지되며, 상기 발신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의 음성호 경로가 상기 서킷망을 통하여 설정되어 음성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에 설정된 상기 음성호 경로를 통하여 음성이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화상 전화 단말기, 상기 화상 전화 단말기와 함께 무선 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 상기 기지국과 연동되어 패킷 데이터를 전송시키기 위한 패킷망, 상기 기지국과 연동되어 음성을 전송시키기 위한 서킷망, 가입자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 및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게이트키퍼 및 상기 게이트키퍼 및 부가 장비에 접속되어 각 구성요소를 관리하기 위한 엘리먼트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상 전화망을 통하여 음성과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전화 단말기에 화상 전화 서비스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발신측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의 음성호 경로는 상기 서킷망을 통하여 설정되며, 데이터호 경로는 상기 패킷망을 통하여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에 설정된 상기 음성호 및 데이터호 경로를 통하여 음성 및 영상 데이터가 각각 전송되는 단계와;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영상 데이터 전송은 중지되고, 음성만 전송되는 단계; 및 영상 데이터 재전송을 요구하는 신호에 의해서, 상기 영상 데이터가 다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패킷 기반으로 음성과 영상이 동시에 제공되고 있는 화상 전화 서비스에서, 화상 전화 서비스 가입자가 화상 전화를 시도하게 되면(310), 상기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가 파워 온되면 패킷망을 통하여 모바일 IP가 자동 등록되고, 상기 모바일 IP 주소를 할당받은 상기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는 게이트키퍼(GK)에 화상 전화 자동 등록을 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발신측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가 화상 전화를 시도하게 되면, 상기 게이트키퍼에서 발신자를 인증하고, 착신측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IP 주소를 확인한 후에, 호 처리 신호를 처리하며, 또한 상기 게이트키퍼는 착신자를 인증하고, 착신측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의 상태 및 호처리 신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나서, 음성호 및 영상 데이터호 경로가 설정된다(320). 상기 음성호 및 영상 데이터호 경로는 발신측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로부터 발신측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와 홈에이전트 및 착신측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를 통하여 착신측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로 설정된다.
상기 설정된 음성호 및 데이터호 경로를 통하여 음성 및 영상 데이터가 전송된다(330). 상기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 뒤에,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340),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에서 영상 데이터를 전송을 중지시키고, 음성만을 전송하게 된다(350).
상기와 같이, 음성만이 전송되는 도중에, 화상 전화 서비스 가입자가 영상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구하게 되면(360), 상기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에서 영상 데이터를 재전송하게 되고, 그 결과 음성과 영상 데이터가 함께 전송된다(370).
그러나, 가입자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 및 과금을 수행하는 게이트키퍼(GK)는 시간에 근거하여 과금하기 때문에, 영상 데이터 전송을 중지하더라도, 계속적으로 과금되어 가입자는 요금 절감의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위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 상기 게이트키퍼에 영상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그널링을 함께 전송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게이트키퍼는 상기 영상 데이터와 함께전송되는 상기 시그널링을 통하여 과금을 하게 되어, 화상 전화 서비스 가입자는 영상 데이터 전송을 중지할 경우에 요금 절감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도 4에서는 상기 도 3과는 달리,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가 패킷 데이터를 전송시키기 위한 패킷망 이외에,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서킷망과도 연동되어 있으며, 화상 전화 서비스 가입자가 화상 전화를 시도하게 되면(410), 상기 도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게이트키퍼에서 발신자를 인증하고, 착신측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IP 주소를 확인한 후에, 호 처리 신호를 처리하며, 또한 상기 게이트키퍼는 착신자를 인증하고, 착신측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의 상태 및 호처리 신호를 처리한 후에, 음성호 및 영상 데이터호 경로가 설정된다(420).
상기 설정된 음성호 및 데이터호 경로를 통하여 음성 및 영상 데이터가 전송된다(430). 그리고 나서, 화상 전화 서비스 가입자가 음성만 사용하는 모드로 전환을 요구하게 되면(440),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에서는 영상 데이터 전송을 중지하고, 발신측 및 착신측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를 패킷망에서 서킷망으로 전환시킨다(450). 상기 패킷망은 EV-DO 네트웍 구조이며, 상기 서킷망은 cdma 2000 1X 네트웍 구조를 말한다. 그리고, 서킷망으로 전환시, 발신측 및 착신측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가 모두 서킷망으로 전화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단말기간의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하거나, 게이트키퍼가 릴레이(Relay)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가 서킷망으로 전환되면, 이를 통하여 음성이 전송된다(460).
도 5를 참조하여, cdma2000 1x EV-DO 네트워크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cdma2000 1x EV-DO 네트워크 구조는 음성과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워크로서, 음성호와 데이터호의 동시 지원이 가능한 SVD(Simultaneous Video and Data) 기능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SVD란 IS 2000 Rel 'A'규격에서 새로이 정의된 개념으로서, 음성 통화중 데이터 사용과 데이터 사용중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한 개념이다. 종래의 IS-2000 Rel '0' 경우에는, 가입자가 데이터 사용중 음성호의 발, 착신이 불가하였으며, 데이터호의 장시간 사용시 음성호의 착신 불가로 인하여, 발신 가입자에 불편한 점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상기 SVD (Simultaneous Video and Data) 기능 구현으로 음성호와 데이터호의 동시 지원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은 1x 채널을 할당하여,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통하여 서킷망으로 전송되며, 데이터는 EV-DO 채널을 할당하여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를 통하여 패킷망으로 전송된다. EV-DO 네트워크는 데이터만을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로서, 단말기에서 1x 네트워크와 EV-DO 네트워크를 동시에 모니터링하여, 음성호와 데이터호를 제공하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SVD 기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개시된다.
도 6에 개시된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도 5에 개시된 SVD 기반에 의한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우선, 화상 전화 서비스 가입자가 화상 전화를 시도하게 되면(610), 상기 도 3 및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게이트키퍼에서 발신자를 인증하고, 착신측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IP 주소를 확인한 후에, 호 처리 신호를 처리하며, 또한 상기 게이트키퍼는 착신자를 인증하고, 착신측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의 상태 및 호처리 신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나서, 음성호에는 1x 채널이 할당되어, 서킷망으로 음성호 경로가 설정되고, 데이터호에는 EV-DO 채널이 할당되어, 패킷망으로 데이터호 경로가 설정된다(620).
상기 설정된 음성호 경로 및 데이터호 경로를 통하여, 각각 음성 및 영상 데이터가 전송된다(630). 상기 음성과 영상 데이터가 전송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640),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에서 영상 데이터를 전송을 중지시키고, 음성만을 전송하게 된다(650).
상기와 같이, 음성만이 전송되는 도중에, 화상 전화 서비스 가입자가 영상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구하게 되면(660), 데이터호 경로가 패킷망으로 다시 설정되어 상기 이동 화상 전화 단말기에서 영상 데이터를 재전송하게 되고, 그 결과 음성과 영상 데이터가 함께 전송된다(670).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패킷망을 통한 영상 데이터 전송시 발생하는 고액의 화상 전화 요금발생으로 인한 화상 전화 서비스 가입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음성은 서킷 기반으로 제공되어 음성 품질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패킷 기반으로 제공되는 VoIP로 인한 음성 품질 저하 문제, 요금 문제 및 데이터 레이트(Data Rate) 제한으로 인한 영상품질 저하의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게 되어, 화상 전화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화상 전화 단말기, 상기 화상 전화 단말기와 함께 무선 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 상기 기지국과 연동되어 패킷 데이터를 전송시키기 위한 패킷망, 가입자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 및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게이트키퍼 및 상기 게이트키퍼 및 부가 장비에 접속되어 각 구성요소를 관리하기 위한 엘리먼트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상 전화망을 통하여 음성과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화상 전화 단말기에 화상 전화 서비스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발신측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의 음성호 및 데이터호 경로가 상기 패킷망을 통하여 설정되는 단계;
    (b)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에 설정된 상기 음성호 및 데이터호 경로를 통하여 음성 및 영상 데이터가 각각 전송되는 단계;
    (c)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영상 데이터 전송은 중지되고, 음성만 전송되는 단계; 및
    (d) 영상 데이터 재전송을 요구하는 신호에 의해서, 상기 영상 데이터가 다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3. 화상 전화 단말기, 상기 화상 전화 단말기와 함께 무선 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 상기 기지국과 연동되어 패킷 데이터를 전송시키기 위한 패킷망, 상기 기지국과 연동되어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서킷망, 가입자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 및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게이트키퍼 및 상기 게이트키퍼 및 부가 장비에 접속되어 각 구성요소를 관리하기 위한 엘리먼트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상 전화망을 통하여 음성과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화상 전화 단말기에 화상 전화 서비스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발신측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의 음성호 및 데이터호 경로가 상기 패킷망을 통하여 설정되는 단계;
    (b)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에 설정된 상기 음성호 및 데이터호 경로를 통하여 음성 및 영상 데이터가 각각 전송되는 단계;
    (c) 상기 화상 전화 단말기에 음성 모드 전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영상 데이터 전송은 중지되며, 상기 발신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의 음성호 경로가 상기 서킷망을 통하여 설정되어 음성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및
    (d)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에 설정된 상기 음성호 경로를 통하여 음성이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음성 모드는 cdma 2000 1x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c)의 음성 모드 전환 단계는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의 시그널링을 통하여 음성호 경로가 상기 서킷망을 통하여 설정되어 음성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c)의 음성 모드 전환 단계는 상기 상기 게이트키퍼가 릴레이(relay)함으로써 음성호 경로가 상기 서킷망을 통하여 설정되어 음성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7. 화상 전화 단말기, 상기 화상 전화 단말기와 함께 무선 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 상기 기지국과 연동되어 패킷 데이터를 전송시키기 위한 패킷망, 상기 기지국과 연동되어 음성을 전송시키기 위한 서킷망, 가입자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 및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게이트키퍼 및 상기 게이트키퍼 및 부가 장비에 접속되어 각 구성요소를 관리하기 위한 엘리먼트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상 전화망을 통하여 음성과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화상 전화 단말기에 화상 전화 서비스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발신측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의 음성호 경로는 상기 서킷망을 통하여 설정되며, 데이터호 경로는 상기 패킷망을 통하여 설정되는 단계;
    (b) 상기 발신측 및 착신측 화상 전화 단말기간에 설정된 상기 음성호 및 데이터호 경로를 통하여 음성 및 영상 데이터가 각각 전송되는 단계;
    (c)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영상 데이터 전송은 중지되고, 음성만 전송되는 단계; 및
    (d) 영상 데이터 재전송을 요구하는 신호에 의해서, 상기 영상 데이터가 다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음성호 경로를 위해 FCH (Fundamental channel) 1개가 할당되고, 상기 데이터호 경로를 위해 FCH 1개와 SCH(Supplemental channel) 1개가 각각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30052173A 2003-07-29 2003-07-29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500136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173A KR20050013684A (ko) 2003-07-29 2003-07-29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173A KR20050013684A (ko) 2003-07-29 2003-07-29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684A true KR20050013684A (ko) 2005-02-05

Family

ID=3722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173A KR20050013684A (ko) 2003-07-29 2003-07-29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368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7045A1 (fr) * 2005-03-17 2006-09-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ede et systeme de traitement d’appel multimedia
KR100773874B1 (ko) * 2006-01-24 2007-11-06 (주)제너시스템즈 인터워킹 미디어 게이트웨이 및 상기 인터워킹 미디어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KR101023606B1 (ko) * 2003-12-30 2011-03-21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음성/영상 통화 차등 과금 방법
KR101067139B1 (ko) * 2005-09-02 2011-09-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망에서의 화상 호 설정 방법
KR101066870B1 (ko) * 2005-09-02 2011-09-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망에서의 화상 호 설정 방법
KR101237586B1 (ko) * 2006-11-06 2013-02-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중모드 이동 통신망에서의 음성호 전환 처리 시스템 및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606B1 (ko) * 2003-12-30 2011-03-21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음성/영상 통화 차등 과금 방법
WO2006097045A1 (fr) * 2005-03-17 2006-09-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ede et systeme de traitement d’appel multimedia
US7719562B2 (en) 2005-03-17 2010-05-1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multimedia calls
KR101067139B1 (ko) * 2005-09-02 2011-09-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망에서의 화상 호 설정 방법
KR101066870B1 (ko) * 2005-09-02 2011-09-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망에서의 화상 호 설정 방법
KR100773874B1 (ko) * 2006-01-24 2007-11-06 (주)제너시스템즈 인터워킹 미디어 게이트웨이 및 상기 인터워킹 미디어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KR101237586B1 (ko) * 2006-11-06 2013-02-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중모드 이동 통신망에서의 음성호 전환 처리 시스템 및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6508B1 (en) Network resource conservation system
US7664103B2 (en) Method for providing VoIP services for wireless terminals
US20040240430A1 (en) IP gateway for hybrid circuit switched and IP based mobile wireless telephone system
EP1325618B1 (en) Method for transmission of voice over wireless packet-switched networks
US20070211698A1 (en) System and device for integrating ip and analog telephone systems
JPH11252180A (ja) ケーブル網を用いた電話通信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2141938A (ja) 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装置、信号変換装置
RU2252488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тонального сигнала вызова
US84468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tone/announcement over wireless network
US20040116108A1 (en) Internet phone system and internet phone service method for a mobile telephone
US20070064677A1 (en) Packet media gateway with a secondary PSTN connection and method for time slot switching
US200801869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employing underutilized communication channels as outbound gateways
US7302258B1 (en) Call transfer for an integrated packet and wireless service using a temporary directory number
KR20050013684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90238176A1 (en) Method, telephone system and telephone terminal for call session
CN115361362A (zh) 基于ims的煤矿通话系统和方法
US69040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 transfer in packet switched local area networks
US7630488B2 (en) DTMF tone generation in a media gateway
US7058044B2 (en) Hybrid type telephony system
KR20020085387A (ko) 이동전화망에서의 화상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EP17683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establishing links between IP private branch exchanges
CN101217700B (zh) 一种在ims网络的话务台实现保持的方法
JP2008141490A (ja) 緊急通報制御装置、無線通信端末および基地局
KR100550077B1 (ko) 광대역 이동통신망과 초고속 인터넷망과의 영상통화 연동시스템 및 방법
JP2000184411A (ja) 交換機及び交換機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