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238A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238A
KR20070035238A KR1020050089867A KR20050089867A KR20070035238A KR 20070035238 A KR20070035238 A KR 20070035238A KR 1020050089867 A KR1020050089867 A KR 1020050089867A KR 20050089867 A KR20050089867 A KR 20050089867A KR 20070035238 A KR20070035238 A KR 20070035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usings
portable terminal
rotatably coupled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4295B1 (ko
Inventor
현승희
박명훈
정수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9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295B1/ko
Priority to US11/344,005 priority patent/US7813775B2/en
Priority to CN200610057734A priority patent/CN100583661C/zh
Priority to EP06019038A priority patent/EP1768356B1/en
Publication of KR20070035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 및 일단이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인접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타단이 상기 제1 하우징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철되고, 상기 제2,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한 때 상기 제1, 제2, 제3 하우징에 의해 삼각기둥 형상이 구현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제3 하우징 상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여 DMB 서비스와 같은 방송 프로그램 시청이 편리하고, 방송 프로그램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 영역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말기, DMB, 디스플레이 장치, 회동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제3 하우징이 회동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제3 하우징이 접철되는 동작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제3 하우징이 접철되는 방향으로 회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3 하우징이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휴대용 단말기 101 : 제1 하우징
102 : 제2 하우징 103 : 제3 하우징
106 : 슬라이더 131 :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시청에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해주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음성 통화서비스, 단문 메시지 전송으로부터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TV 시청, 온라인 게임, 주문형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콘텐츠(contents)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에 통신회로, 송화부, 수화부 등의 입출력 장치가 설치된 바형 단말기, 바형 단말기에 플립 커버가 설치된 플립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회전함으로써 개폐되고 입출력 장치가 각각의 하우징에 분산 배치된 폴더형 단말기 등으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이 등장하여 폴더형 단말기와 더불어 휴대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들을 만족시켜 주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초기에는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 등에 한정되었으나, 게임, 음악, 동영상 파일 등의 전송, 온라인 게임,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DMB 서비스가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음성통화,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에 충실한 디자인이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DMB 서비스 등을 장시간 시청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거치대를 휴대하고 다니거나,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의 시선에 위치되도록 항상 손으로 쥐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들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세로 방향의 길이가 가로 방향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되어 방송 프로그램 시청에 부적합한 실정이다. 즉, 일반 방송 서비스로부터 DMB 서비스 역시 가로 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방송 화면을 송출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화면 영역을 충분하게 활용하여 방송 화면 시청하기에는 불편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DMB 서비스 등 방송 프로그램 시청이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 및
일단이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인접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타단이 상기 제1 하우징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철되고, 상기 제2,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한 때 상기 제1, 제2, 제3 하우징에 의해 삼각기둥 형상이 구현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제1 하우징;
양면을 관통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철 가능하고, 상기 제2,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접철된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제3 하우징(102, 10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접철된 때 상기 제3 하우징(103)은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한 때 상기 제1, 제2, 제3 하우징(101, 102, 103)은 삼각기둥 형상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은 베이스 하우징(101a)과 그에 결합되는 커버 하우징(101b)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은 회동 하우징(102a)과 그에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102b)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측에는 제1 센터 힌지 암(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일측에는 한 쌍의 제1 사이드 힌지 암(123)들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사이드 힌지 암(123)들이 각각 상기 제1 센터 힌지 암 (111)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사이드 힌지 암(123)들을 상기 제1 센터 힌지 암(111)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회동핀(109)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회동핀(109)은 상기 제1 사이드 힌지 암(1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센터 힌지 암(111)의 단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회동을 지지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일면(121)에는 키패드, 송화부, 수화부 등이 설치되어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통신 기능을 이용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정보들, 예를 들면 상대방 전화 번호, 안테나 송수신 감도, 날짜/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일면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 상에는 가이드 레일(167)이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67)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내측면,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102b)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 하우징(102b) 상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67)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홀(129)이 형성된다. 결국, 상기 가이드 홀(129)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167)을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외부로 노출시키게 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67)은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의 힌지 결합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3 하우징(103)은 일면에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1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단에는 한 쌍의 제2 사이드 힌지 암(133)들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 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1)는 상기 제3 하우징(103)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3 하우징(103)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 하우징(103)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04)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04)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커버 하우징(101b) 내측면에 대면하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101a) 내에 형성된 리브 등의 지지를 받아 상기 제1 하우징(101) 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 홀(1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04)는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수용된 채로 상기 슬라이드 홀(119)을 통해 인입/인출된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04)의 단부에는 제2 센터 힌지 암(1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센터 힌지 암(141)은 상기 슬라이드 홀(119)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04)가 상기 제1 하우징(101) 내로 인입되더라도 상기 제2 센터 힌지 암(141)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타측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수단(143)이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04)를 상기 제1 하우징(101) 내로 인입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탄성 수단(143)의 일단은 상기 제1 하우징(101) 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04) 상에 지지된다. 상기 탄성 수단(143)의 양단이 지지되는 위치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것 이다.
상기 제3 하우징(103)은 회동핀(109)을 통해 상기 제1 하우징(101),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04)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는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의 결합을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또는 제3 하우징(103)을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킴에 있어서, 공지의 힌지 모듈(105)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 모듈(105)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상기 제3 하우징(103)을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용되었다. 상기 힌지 모듈(105)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센터 힌지 암(141)의 일단에는 수용홀(1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 모듈(105)은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회동한 각도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거나,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힌지 모듈(105)은 본 출원인에게 특허 허여된 대한민국 특허 제296,038호(2001년 5월 7일; 미국 등록특허 제6,292,980호, 2001. 9. 25) 등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3 하우징(103)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에서만 상기 힌지 모듈(105)이 사용되었으나,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을 결합시키는 구성에도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제3 하우징(103)의 타측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후면에 인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이 힌지 결합된 부 분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제3 하우징(103)의 타측 단에 설치되는 슬라이더(106)가 상기 가이드 레일(167)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106)는 상기 제3 하우징(103)의 타측단에 형성된 결합홈(13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106)에는 회동홀(161)이 형성되어 그를 관통하는 지지핀(165)에 의해 상기 결합홈(137) 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더(106)는 상기 제3 하우징(103)의 타측단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는 슬라이딩 홈(163)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167)의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 홈(163)이 상기 가이드 레일(167)의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06)가 상기 제2 하우징(102)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106)가 상기 제3 하우징(103)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102) 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3 하우징(103)의 타측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후면에 인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의 일단은 각각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3 하우징(103)의 타측단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후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이 각각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각도는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이 상기 제1 하우징 (101)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한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는 삼각기둥 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의 회동 각도는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의 폭, 상기 가이드 홀(129)이 형성된 길이 등에 의해 설정된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04)에 설치된 힌지 모듈(105)은 상기 제3 하우징(103)이 회동한 각도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 접철되거나,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제공함은 앞서 언급한 바 있다. 상기 제3 하우징(103)이 40도까지 회동할 수 있게 설정된 제품이라면,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20도 이내의 범위에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같은 제품에서,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20도를 초과하는 범위에 회동한 상태라면 상기 힌지 모듈(105)은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힌지 모듈(105)의 구동력은 제품에 따라 그 작용 방향이 전환되는 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펼쳐지기 시작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접철된 상태의 제2, 제3 하우징(102, 103)을 펼치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시키면, 상기 제3 하우징(103)도 함께 회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 레일(167)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일정 각도 이상 회동하기 전까지 상기 힌지 모듈(105)은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제공함은 앞서 언급한 바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일정 각도 이내에 회동한 상태라면 상기 힌지 모듈(105)에 의해 상기 제3 하우징(103)에 제공되는 구동력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됨은 자명하다.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일정 각도 이상 멀어지면 상기 힌지 모듈(105)의 구동력은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더 이상 상기 제2 또는 제3 하우징(102, 103)을 회동시키지 않더라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가 삼각기둥 형태로 펼쳐지는 위치까지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이 회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힌지 모듈(105)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3 하우징(103)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31)의 개방동작은 반자동으로 구현되는 것이다.
상기 제3 하우징(103)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31)가 개방된 때 사용자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을 탁자 등의 평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1)를 통해 DMB 서비스 등 방송 프로그램을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1)는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위치되므로 제한된 화면 표시 영역의 면적을 충분히 활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펼쳐진 상태의 제2, 제3 하우징(102, 103)이 다시 접철되기 시작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게 위치된 때,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을 다시 접철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과 제3 하우징(103)이 이루는 각도(A)는 90도에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106)는 상기 가이드 홀(129)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지 못한다. 즉, 상기 제2 하우징(102)과 제3 하우징(103)이 이루는 각도(A)는 사용자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누르는 힘을 상기 슬라이더(106)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힘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각도가 아닌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화살표 ①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되는 방향(③)으로 회동하게 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04)가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①)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04)가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상기 제3 하우징(103)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점차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02)과 제3 하우징(103)이 이루는 각도도 점차 작아지게 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하우징(102)과 제3 하우징(103)이 이루는 각도(A)가 점차 작아짐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02)을 누르는 힘이 상기 슬라이더(106)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힘으로 전환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다. 동시에,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제3 하우징(103)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면서 상기 힌지 모듈(105)의 구동력은 상기 제3 하우징(103)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04)를 상기 제1 하우징(101) 내로 인입시키는 방향(④)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의 힌지 결합부분에 근접하는 방향(⑤)으로 이동시키는 힘으로 전환된다.
상기 슬라이더(106)와 함께 상기 제3 하우징(103)의 타측단이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의 힌지 결합부분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이 이루는 각도(A)가 점차 작아지고, 상기 힌지 모듈(105)의 구동력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04)에 작용하는 탄성력은 상기 제3 하우징(103)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3 하우징(103)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31)를 다시 폐쇄시키기 위한 동작은 상기 힌지 모듈(105)과 상기 제1 하우징(101) 내에 설치된 탄성 수단(143)에 의해 제공되는 힘에 의해 반자동으로 구현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접철된 때, 상기 힌지 모듈(105)의 구동력은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2, 제3 하우 징(102, 103)을 회동시키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100)는 접철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제2 하우징(102) 상에 형성된 개구(211)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1)가 노출될 수 있게 구성된 점에서 선행 실시 예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선행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그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에는 그의 양면을 관통하는 개구(2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과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접철된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1)가 상기 개구(211)를 통해 노출된다.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접철된 때에도 사용자는 상기 개구(211)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1)에 표시되는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1)에 표시되는 정보들은 날짜, 시간, 안테나의 송수신 신호 감도, 배터리 잔량, 수신된 단문 메시지 등 간단한 통신 기능과 단말기 상태 정보들이 있다.
상기 개구(211)의 일측에는 키패드(215)와 송화부(213)가, 타측에는 수화부(217)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접철된 때, 상기 단말기(100)는 바형 단말기의 형태를 갖는다. 따라 서, 사용자는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을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접철시킨 상태로 일반적인 통신 기능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제2, 제3 하우징(102, 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한 때, 상기 제1, 제2, 제3 하우징(101, 102, 103)은 삼각기둥 형태를 이루어 상기 제3 하우징(103)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31)를 통해 편리하게 방송 프로그램 등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접철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고정 돌기와 고정 홈이 부가된 점에서 선행 실시 예들과 차이가 있다. 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선행 실시 예들을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아울러,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고정 돌기와 고정 홈의 구성이 명확하게 도시될 수 있도록 선행 실시 예들에 개시되는 제2 하우징은 생략되어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상기 고정 홈은 상기 제3 하우징의 일 측단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 돌기와 고정 홈으로 구성된 상기 제3 하우징의 고정 수단을 설치하기 용이한 위치로는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형성된 센터 힌지 암의 내측면이 적합하다. 이는 상기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접철된 때에만 상기 센터 힌지 암과 상기 제3 하우징의 일 측단이 서로 대면할 수 있는 위치이기 때문이다.
상기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접철된 때, 상기 고정 돌기와 고정 홈이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상기 제3 하우징이 접철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접철된 상태의 제3 하우징을 펼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제2 하우징을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속됨에 따라, 상기 제3 하우징도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 돌기와 고정 홈이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때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고정 홈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고정 홈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게 되면, 상기 제3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모듈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진 위치까지 회동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제1 하우징 상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제3 하우징이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위치된 때 삼각기둥 형상을 갖게 되어 단말기를 탁자 등의 평면에 위치시키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제3 하우징 상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여 DMB 서비스와 같은 방송 프로그램 시청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방향 길이를 세로 방향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방향으로 단말기를 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방송 프로그램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 영역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4)

  1.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 및
    일단이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인접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타단이 상기 제1 하우징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철되고, 상기 제2,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한 때 상기 제1, 제2, 제3 하우징에 의해 삼각기둥 형상이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하는 때,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3 하우징의 일 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하는 때,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해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 및
    상기 제3 하우징의 일 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분이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센터 힌지 암;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힌지 암들이 상기 센터 힌지 암의 양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힌지 암 상에 형성된 고정 돌기; 및
    상기 제3 하우징 상에 형성된 고정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철된 때, 상기 고정 돌기와 고정 홈이 서로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센터 힌지 암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 홈은 상기 제3 하우징의 일 측단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형성된 고정 돌기; 및
    상기 제3 하우징 상에 형성된 고정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철된 때, 상기 고정 돌기와 고정 홈이 서로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한 때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3 하우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제3 하우징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핀들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되는 센터 힌지 암; 및
    상기 제3 하우징의 타단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들을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힌지 암들이 각각 상기 센터 힌지 암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드 홀을 통해 상기 제1 하우징 내로 인입/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위치된 상태로부터 다시 접철되는 때,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제3 하우징의 일단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결합된 부분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슬라이딩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14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에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상기 제1 하우징 내로 인입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제1 하우징;
    양면을 관통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된 제3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철 가능하고, 상기 제2,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접철된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은 그의 일측이 상기 제1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그의 타측이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되는 센터 힌지 암; 및
    상기 제3 하우징의 타단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들을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힌지 암들이 각각 상기 센터 힌지 암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힌지 암에 수용되어 상기 제3 하우징이 회동한 각도에 따라 상기 제3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철시키거나,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힌지 모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2.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3 하우징의 일 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하는 때,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3. 제17 항에 있어서,
    기 제2 하우징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3 하우징의 일 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하는 때,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4. 제23 항에 있어서,
    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해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50089867A 2005-09-27 2005-09-27 휴대용 단말기 KR100744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867A KR100744295B1 (ko) 2005-09-27 2005-09-27 휴대용 단말기
US11/344,005 US7813775B2 (en) 2005-09-27 2006-02-01 Portable terminal foldable to form a triangular prism
CN200610057734A CN100583661C (zh) 2005-09-27 2006-02-23 可折叠形成三棱柱的便携式终端
EP06019038A EP1768356B1 (en) 2005-09-27 2006-09-12 Portable terminal foldable forming a triangular pris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867A KR100744295B1 (ko) 2005-09-27 2005-09-27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238A true KR20070035238A (ko) 2007-03-30
KR100744295B1 KR100744295B1 (ko) 2007-07-30

Family

ID=3757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867A KR100744295B1 (ko) 2005-09-27 2005-09-27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13775B2 (ko)
EP (1) EP1768356B1 (ko)
KR (1) KR100744295B1 (ko)
CN (1) CN100583661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771B1 (ko) * 2008-07-11 2015-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8927B2 (en) * 2001-07-10 2013-10-01 Xatra Fund Mx, Llc Biometric registration for facilitating an RF transaction
KR100726468B1 (ko) * 2005-06-27 2007-06-1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78200B1 (ko) * 2005-06-30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TWI281811B (en) * 2005-07-01 2007-05-21 Wintek Corp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005518B1 (en) * 2006-12-21 2011-08-23 Adobe Systems Incorporated Configurable multi-dimensional media device
TWI321980B (en) * 2007-01-22 2010-03-11 Qisda Corp Foldable mobile electronic device
US8082631B2 (en) * 2007-06-19 2011-12-27 Nokia Corporation Folding mechanism for compact device
TWI339328B (en) * 2007-10-17 2011-03-21 Inventec Corp Slide 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376928B (en) * 2010-07-29 2012-11-11 Htc Corp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2347996B (zh) * 2010-08-03 2014-10-01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手持电子装置
WO2012017270A1 (en) * 2010-08-05 2012-02-09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TWI415553B (zh) * 2011-01-06 2013-11-11 Htc Corp 手持式電子裝置
KR101839615B1 (ko) * 2011-04-14 201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USD766894S1 (en) * 2013-07-01 2016-09-20 Lg Innotek Co., Ltd. Router
WO2015008680A1 (en) * 2013-07-19 2015-01-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ata processing device
CN113851093B (zh) 2013-08-02 2023-10-10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装置
TWI696103B (zh) 2013-11-29 2020-06-1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資料處理裝置及資料處理裝置的驅動方法
US20160323430A1 (en) * 2014-02-01 2016-11-03 Patrick J. Fiori Mounting Device
US9395765B2 (en) * 2014-07-31 2016-07-19 Dell Products, Lp Unibody construction triangular chassis
KR101779012B1 (ko) * 2014-08-15 2017-09-18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USD789925S1 (en) * 2015-06-26 2017-06-20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foldable display panels
KR102164704B1 (ko) 2015-11-13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프레임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장치
CN209765371U (zh) * 2016-09-01 2019-12-10 夏普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
CN107358824B (zh) * 2017-07-24 2019-06-11 包头轻工职业技术学院 太阳能语言学习一体机及其语言学习系统
USD902879S1 (en) * 2019-06-03 2020-11-24 Crestron Electronics, Inc. All-in-one speakerphone device
USD902880S1 (en) * 2019-06-03 2020-11-24 Crestron Electronics, Inc. All-in-one speakerphone console
USD913260S1 (en) * 2019-06-18 2021-03-16 Mitel Networks Corporation Conference unit
USD928735S1 (en) * 2019-08-23 2021-08-24 Lg Electronics Inc. Speaker
CN110410413B (zh) * 2019-08-23 2024-05-14 东莞市环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移动终端的折叠铰链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7849A (ja) * 1990-09-07 1992-04-17 Fujitsu Ltd カード式電話機
JP2658928B2 (ja) 1994-11-30 1997-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通信機
US5926364A (en) * 1997-05-30 1999-07-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i-fold personal computer with touchpad and keyboard
IL146262A (en) * 2000-03-14 2007-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sonal digital assistant / integrated telephone device
KR100374771B1 (ko) * 2001-05-17 2003-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형 전화기 및 휴대형 정보 단말기가 복합된 휴대형복합 무선 단말기
EP1456734B1 (en) * 2001-12-20 2007-06-20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device having foldable functional cover
CN100496058C (zh) 2002-03-21 2009-06-03 诺基亚有限公司 具有可枢转的显示元件的移动电子装置
JP3849623B2 (ja) 2002-09-05 2006-11-2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通信機器
KR100640379B1 (ko) 2003-11-01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모듈
US20060183435A1 (en) * 2005-02-14 2006-08-17 Chicony Electronics Co., Ltd. Keyboard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771B1 (ko) * 2008-07-11 2015-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83661C (zh) 2010-01-20
KR100744295B1 (ko) 2007-07-30
EP1768356B1 (en) 2012-01-11
US7813775B2 (en) 2010-10-12
CN1941644A (zh) 2007-04-04
EP1768356A2 (en) 2007-03-28
US20070072657A1 (en) 2007-03-29
EP1768356A3 (en) 200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295B1 (ko) 휴대용 단말기
US8666463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utomatically rotating display by actuating a switch unit
US8250712B2 (en) Hing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axes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plurality of axes
EP1758343A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1675362A2 (en) Foldable phone with a rotatable 3rd housing between the 2 folding housings
JP2004215180A (ja) 携帯型無線端末機
US20060160582A1 (en)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EP1773030A2 (en) Foldable portable terminal with a hinge which allows several angle positions of the two housings
US20070184882A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KR10063013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20050124395A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070293285A1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stopper
KR1008425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EP1887762A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game function
KR1005757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100842627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700567B1 (ko) 휴대 단말기
KR100595674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100651538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653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0137B1 (ko) 회전 제한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50068329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697648B1 (ko) 개인휴대단말기
KR20080075334A (ko) 휴대용 단말기
KR20080096345A (ko) 2축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3